KR20230012832A -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832A
KR20230012832A KR1020210093582A KR20210093582A KR20230012832A KR 20230012832 A KR20230012832 A KR 20230012832A KR 1020210093582 A KR1020210093582 A KR 1020210093582A KR 20210093582 A KR20210093582 A KR 20210093582A KR 20230012832 A KR20230012832 A KR 2023001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lip
metal cover
cover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헌
Original Assignee
김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헌 filed Critical 김재헌
Priority to KR102021009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832A/ko
Publication of KR2023001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하면서도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은 상부에 다수의 돌출부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측면과 상부를 덮도록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금속커버와, 금속커버에 마련되는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braille brick for the bli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하면서도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애인 편의시설 관련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각종 장애인 편의를 위한 구조물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구조물로는 점자블록, 점자 안내판, 음향신호기 및 유도신호기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점자블록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통상의 보행상태에서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을 통해 형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돌기가 돌출된 블록으로, 시각 장애인의 보행위치와 보행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점자블록은 돌출부위가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물기가 묻을 있을 경우 표면이 매끄러워 보행자 낙상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8861호에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점자유도블럭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점자유도블럭은 콘크리트로 된 블럭 위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된 점자블럭판을 결합시키고, 점자블럭판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다수의 금속알갱이를 골고루 접착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점자유도블록은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금속알갱이에 의해 미끄럼 방지 효과는 있으나, 금속알갱이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으므로 금속 알갱이가 쉽게 탈리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효과가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점자유도블록은 표면이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점자블럭판으로 감싸져 있으므로 내구성과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8861호: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금속볼의 탈리를 장기적으로 억제하여 보행자의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은 상부에 다수의 돌출부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과 상부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금속커버와; 상기 금속커버에 마련되는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금속커버에는 상기 돌출부들과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돌출부이 내측으로 삽입된 다수의 융기패턴들이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상기 융기패턴들 각각의 상부에 브레이징 접합된 금속볼들이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은 평평한 금속판을 준비하는 제 1단계와;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상호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논슬립영역들을 설정하는 제 2단계와; 브레이징 조성물이 도포된 금속볼들을 상기 논슬립영역들 각각에 배치하는 제 3단계와; 상기 금속판을 가열하여 상기 논슬립영역에 상기 금속볼들을 브레이징 접합시키는 제 4단계와; 상기 금속판을 절곡하여 상기 논슬립영역들이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융기패턴들이 형성된 금속커버를 수득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융기패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돌출부들이 상부에 마련된 베이스부를 형성시키는 제 6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논슬립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융기패턴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킨다.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금속커버를 뒤집은 후 상기 금속커버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형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자블록의 표면을 금속소재의 커버를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점자블록의 강도와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커버의 돌출되는 부위의 표면에 금속볼을 브레이징 접합함으로써 계속적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금속볼의 탈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동안 미끄럼 방지효과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금속커버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금속커버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금속커버를 제작한 후 금속커버를 뒤집은 상태에서 금속커버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금속커버를 제작한 후 금속커버의 내측에 별도로 제작된 베이스부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금속커버를 제작하기 위해 금속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크린패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크린패드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논슬립영역에 금속볼들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은 상부에 다수의 돌출부들(15)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의 측면과 상부를 덮도록 베이스부(10)에 결합되는 금속커버(20)와, 금속커버(20)에 마련되는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한다.
베이스부(10)는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 등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된다. 베이스부(10)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베이스부(10)는 오각, 육각, 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돌출부들(15)은 베이스부(10)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들(15)은 서로 이격되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돌출부들(15)은 종 및 횡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돌출부(15)는 횡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5)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5)의 상부는 평평하게 형성된다.
금속커버(20)는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결합된다. 금속커버(20)는 베이스부(10)의 측면과 상부를 덮도록 베이스부(10)에 결합된다. 금속커부(20)는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금속커버(20)는 견고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다.
금속커버(20)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융기패턴들(25)이 형성된다. 융기패턴들(25)은 서로 이격되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융기패턴들(25)은 종 및 횡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융기패턴(25)은 돌출부(1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융기패턴(25)은 돌출부(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융기패턴(25)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융기패턴(25)의 상부는 평평하게 형성된다.
융기패턴(25)의 내측은 비어있다. 비어있는 융기패턴(24)의 내측으로 베이스부(10)의 돌출부(15)가 삽입된 형태로 결합된다.
금속커버(20)의 가장자리 부위는 하방으로 꺽여 스커트부(27)를 형성한다. 스커트부(25)는 베이스부(10)의 전후좌우의 네 측면을 덮는다. 스커트부(27)의 높이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금속커버(20)는 판상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금속판을 절곡하여 금속커버를 제작하는 과정은 후술한다.
미끄럼방지수단은 금속커버(20)에 마련된다. 도시된 미끄럼방지수단은 일 예로서 융기패턴들(25) 각각의 상부에 브레이징 접합된 금속볼들(5)로 이루어진다.
금속볼들(5)은 융기패턴(25)의 평평한 상부 표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금속볼들(5)은 융기패턴(25)에 브레이징 접합된다. 브레이징 접합에 의해 금속볼들(5)이 융기패턴(2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금속커버(20)에 계속적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금속볼(5)이 탈리되지 않는다.
금속볼(5)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금속볼(5)은 구형 형태 외에도 다각형 또는 표면이 거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금속볼(5)은 형상이 불규칙한 알갱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볼(5)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2mm일 수 있다.
금속볼(5)은 금속커버(21)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금속볼(5)은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금속볼(5)은 브레이징 접합에 의해 융기패턴(25)에 고정된다. 금속볼(5)의 브레이징 접합을 위해 페이스트 형태의 브레이징 조성물이 사용된다. 브레이징 조성물은 플럭스분말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가령, 플럭스분말 30 내지 60중량%와 바인더 40 내지 70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플럭스 분말은 브레이징시 용융되어 피접합물(모재)을 접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플럭스 분말은 피접합물의 소재에 따라 상업화된 제품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한다. 가령, 피접합물의 소재가 알루미늄일 경우 알루미늄 칼륨 플루오라이드(aluminum potassium fluoride)와 같은 불화계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피접합물의 소재가 스테인리스일 경우 상업화된 니켈계 플럭스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니켈계 플럭스 분말은 니켈이 주성분으로 함유되어 있고 기타 성분으로 Cr, B,P, Si, Fe, W 등이 함유되어 있다.
바인더는 플럭스 분말이 점착성을 갖게 하여 피접합물의 표면에 도포를 용이하게 한다. 바인더로 아크릴 수지에 솔벤트 또는 3-메톡시-3-메틸-1-부탄올(3-methoxy-3-methyl-1-butanol)을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바인더로 아크릴 수지와 솔벤트를 1:5~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로 아크릴 수지와 3-메톡시-3-메틸-1-부탄올을 1:5~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브레이징 접합을 위해 브레이징 조성물을 융기패턴(25)의 표면 또는 금속볼(5)에 도포한 후 금속볼들(5)을 융기패턴(25)의 표면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금속커버(20)를 브레이징 로에 투입하여 열처리를 통해 브레이징 접합시킨다. 브레이징을 통해 금속볼(5)은 융기패턴(25)의 표면에 브레이징 접합된다. 한편, 브레이징 조성물에 금속볼(5)을 투입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융기패턴(25)의 표면에 도포한 후 브레이징 로에 투입하여 브레이징 접합시킬 수도 있다.
브레이징 접합에 의해 융기패턴(25)에 고정된 금속볼들(5)은 금속커버(20)의 마찰력을 높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자블록의 표면을 금속커버(20)로 형성함으로써 점자블록의 강도와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커버(20)에 금속볼을 브레이징 접합함으로써 계속적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금속볼의 탈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자블록은 장기간 동안 미끄럼 방지효과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은 금속커버(30)에 형성된 융기패턴(35)의 형상이 도 1과 다르다.
도시된 융기패턴(35)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시각장애인의 방향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융기패턴(35) 상부의 평평한 부위에 금속볼들(5)이 브레이징 접합되어 있다. 금속볼들(5)은 융기패턴(35)의 상부의 평평한 부위 전체에 접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와 달리 융기패턴(35)의 상부의 평평한 부위의 일부에만 접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융기패턴(35)의 형상이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베이스부(17)의 돌출부(19)의 형상 역시 도 1과 다르다. 베이스부(17)의 돌출부(17)는 융기패턴(35)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도 1의 점자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은 평평한 금속판(1)을 준비하는 제 1단계와, 금속판(1)의 표면에 상호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논슬립영역들(A)을 설정하는 제 2단계와, 브레이징 조성물이 도포된 금속볼들(5)을 논슬립영역들(A) 각각에 배치하는 제 3단계와, 금속판(1)을 가열하여 논슬립영역(A)에 금속볼들(5)을 브레이징 접합시키는 제 4단계와, 금속판(1)을 절곡하여 논슬립영역들(A)이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융기패턴들(25)이 형성된 금속커버(20)를 수득하는 제 5단계와, 융기패턴(25)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돌출부들(15)이 상부에 마련된 베이스부(10)를 형성시키는 제 6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별로 살펴본다.
1. 제 1단계
먼저, 도 3의 (a)와 같이 평평한 금속판(1)을 준비한다.
금속판(1)은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금속판(1)은 사각으로 이루어진다. 금속판(1)의 두께는 0.2 내지 5mm일 수 있다.
2. 제 2단계
다음으로, 금속판(1)의 표면에 논슬립영역들(A)을 설정한다. 논슬립영역(A)은 금속볼(5)이 브레이징 접합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논슬립영역(A)의 형상과 크기는 융기패턴(25)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원형의 융기패턴(25)일 경우 논슬립영역(A) 역시 원형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논슬립영역(A)의 직경은 융기패턴(25) 상부의 평평한 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논슬립영역(A)의 직경은 융기패턴(25) 상부의 평평한 면의 직경보다 더 작다.
논슬립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일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홀(2a)이 형성된 스크린패드(2)를 이용할 수 있다.
스크린패드(2)는 얇은 시트 형상으로서, 금속판(1)과 동일한 넓이를 갖는다. 스크린패드(2)에는 다수의 타공홀들(2a)이 형성되어 있다. 각 타공홀(2a)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타공홀(2a)은 융기패턴(25)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다. 타공홀들(2a)은 서로 이격되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타공홀들(2a)은 종 및 횡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타공홀(2a)의 직경은 융기패턴(25) 상부의 평평한 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타공홀(2a)의 직경은 융기패턴(25) 상부의 평평한 면의 직경보다 더 작다.
도 3의 (b)와 같이 스크린패드(2)를 금속판(1)의 상부에 올려셔 겹치면 타공홀(2a)과 대응되는 금속판(1)의 부위가 논슬립영역(A)인 것이다.
3. 제 3단계
다음으로, 각 논슬립영역(A)에 브레이징 조성물이 도포된 금속볼들(5)을 배치시킨다.
이를 위해 스크린패드(2)의 타공홀들(2a) 각각에 브레이징 조성물이 도포된 금속볼들(5)을 일정량 집어넣은 다음 스크레이퍼나 주걱 등을 이용하여 스크린패드(2)의 상면을 긁어서 이동시키면 금속볼들(5)이 타공홀들(2a)에 채워진다. 그리고 스크린패드(2)를 들어올려 금속판(1)으로부터 제거하면 도 7과 같이 각 논슬립영역(A)에만 금속볼들(5)이 남아있는다.
한편, 브레이징 조성물에 금속볼(5)을 투입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스크린패드(2)의 타공홀들(2a)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각 논슬립영역(A)에 금속볼들(5)을 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4. 제 4단계
다음으로, 금속볼들(5)이 배치된 금속판(1)을 가열하여 논슬립영역(A)에 금속볼들(5)을 브레이징 접합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브레이징 접합을 위해 금속판(1)을 브레이징 로(brazing furnace)에 투입하여 1,000 내지 1,200℃에서 열처리하여 브레이징 접합시킨다. 브레이징 접합을 통해 도 3의 (c)에 도시된 것처럼 금속볼(5)이 금속판(1)에 고정된다.
5. 제 5단계
다음으로, 금속판(1)을 절곡하여 다수의 융기패턴들(25)이 형성된 금속커버(20)를 제작한다.
절곡은 상부금형(7)과 하부금형(8)이 마련된 절곡기를 이용한다. 절곡시 상부금형(7)이 논슬립영역(A)에 고정된 금속볼들(5)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부금형(7)이 논슬립영역(A)과 접촉될 경우 금속볼들이 탈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논슬립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금속판(1)을 절곡한다. 도 3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금형(7)이 하강하여 하부금형(8)과 형합할 때 논슬립영역(A)은 상부금형(7)과 접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논슬립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태로 절곡된다. 따라서 논슬립영역(A)은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 5단계에서 금속판(1)의 전후좌우의 가장자리 부위는 하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금속커버(20)의 스커트부(27)를 이룬다.
이와 같이 제 5단계까지 수행하면 다수의 융기패턴들(25)이 볼록하게 돌출된 금속커버(20)가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달리 금속판을 먼저 절곡하여 융기패턴을 형성한 후 융기패턴에 금속볼을 배치시킨 후 브레이징 로에 투입하여 브레이징 접합할 경우 얇은 금속커버(45)는 고온의 브레이징로에서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평평한 금속판(1)에 금속볼들(5)을 먼저 브레이징 접합한 후 금속판(1)을 절곡하여 금속커버(45)를 제작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6. 제 6단계
다음으로, 금속커버(20)의 내측에 베이스부(10)를 형성시킨다.
베이스부(10)를 형성시키기 위한 일 예로서, 도 4와 같이 금속커버(20)를 뒤집은 후 금속커버(20)의 내측에 콘크리트(9)를 주입한다. 그리고 콘크리트(9)를 경화시키면 융기패턴(25)의 내측으로 돌출부(15)가 삽입된 베이스부(10)가 금속커버(20)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베이스부(10)를 금속커버(20)의 내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금속커버(20)의 내측에 베이스부(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금속커버(20)와 베이스부(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조방법은 도 1의 점자블록을 제조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8의 점자블록의 제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금속판 5: 금속볼
10: 베이스부 15: 돌출부
20: 금속커버 25: 융기패턴

Claims (6)

  1. 상부에 다수의 돌출부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과 상부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금속커버와;
    상기 금속커버에 마련되는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커버에는 상기 돌출부들과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돌출부들이 내측으로 삽입된 다수의 융기패턴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상기 융기패턴들 각각의 상부에 브레이징 접합된 금속볼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4. 평평한 금속판을 준비하는 제 1단계와;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상호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논슬립영역들을 설정하는 제 2단계와;
    브레이징 조성물이 도포된 금속볼들을 상기 논슬립영역들 각각에 배치하는 제 3단계와;
    상기 금속판을 가열하여 상기 논슬립영역에 상기 금속볼들을 브레이징 접합시키는 제 4단계와;
    상기 금속판을 절곡하여 상기 논슬립영역들이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융기패턴들이 형성된 금속커버를 수득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융기패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돌출부들이 상부에 마련된 베이스부를 형성시키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논슬립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융기패턴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금속커버를 뒤집은 후 상기 금속커버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KR1020210093582A 2021-07-16 2021-07-16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KR20230012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82A KR20230012832A (ko) 2021-07-16 2021-07-16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82A KR20230012832A (ko) 2021-07-16 2021-07-16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832A true KR20230012832A (ko) 2023-01-26

Family

ID=8511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582A KR20230012832A (ko) 2021-07-16 2021-07-16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28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861Y1 (ko) 2001-12-11 2002-03-18 현기종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861Y1 (ko) 2001-12-11 2002-03-18 현기종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8018A3 (d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Bausteinen zur Bildung eines Bausteinverbundes sowie Bausteinverbund
KR20230012832A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US2115172A (en) Weatherboarding
CN207245090U (zh) 地板接缝连接构件
CA2482765A1 (en) Reinforced slab made of cement conglomerate,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associated reinforcing structure
US6595768B1 (en) Concrete edge stamp and method for shaping a concrete surface
JP5829906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集合体にマットを接着するための接着加圧具
DE4100226C2 (ko)
WO2015142203A1 (en) Paving slab, paving slabs production method and paving slab obtained using the method
JPH02308061A (ja) タイル付き有孔板とその製造方法
JPH05209455A (ja) タイルの施工方法及び施工具
JP2689731B2 (ja) 床とその施工方法
CN214423866U (zh) 一种高品质砖及其成型装置
JP2000008589A (ja) 外装形成方法
DE29919046U1 (de) Ornamentplatte
JPH10121695A (ja) 細粒無機骨材添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表面の仕上げ工法並びに化粧板
CA2883889C (en) Improved granite parquetry tile assembly method
WO200505856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ile, tile, and methods for laying and removing a tile floor
JPH0566137U (ja) タイル施工用主体壁
JP3127390U (ja) 塗込用器具
JP2008038398A (ja) 装飾床面の施工方法
JP2002210716A (ja) 敷石ブロック製造法及びそのブロック
CN106513482A (zh) 具有接合结构的金属件、制作方法及金属料带
AU2003266855A1 (en) Methods for making composite tiles
JPH02282556A (ja) タイル等の厚さ調整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