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909A - 스티칭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티칭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909A
KR20230011909A KR1020227031534A KR20227031534A KR20230011909A KR 20230011909 A KR20230011909 A KR 20230011909A KR 1020227031534 A KR1020227031534 A KR 1020227031534A KR 20227031534 A KR20227031534 A KR 20227031534A KR 20230011909 A KR20230011909 A KR 2023001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head
curved surface
area
different adjacent
prin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1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콜린스
Original Assignee
글로벌 잉크젯 시스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 잉크젯 시스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글로벌 잉크젯 시스템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32Print quality control characterised by dot disposition, e.g. for reducing white stripes or ba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16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tilting motion mechanisms relative to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5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 B41J3/54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with multiple inkjet print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방법은 표면에 대한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로부터 표면 상에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는 제1 및 제2 배향이고,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와 표면은 두 개의 잠재적으로 겹치는 스와스를 포함하는 인쇄 경로를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단계; 두 개의 겹치는 스와스에 대한 표면 상의 겹침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겹침 영역은 두 개의 상이한 프린트헤드 위치 중 하나로부터 인쇄되는 단계; 잉크젯 방울이 인쇄될 수 있는 겹침 영역의 각 위치에 대해 해당 방울의 표면에서 입사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로부터 방울들의 표면에서 입사각들 사이의 차이가 허용 가능한 한도 내에서 유지되는 겹침 영역에서 스티치 포인트 또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칭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양태는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곡면에 프린팅할 때 프린팅된 이미지의 서로 다른 부분 사이에 효과적인 이미지 스티칭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신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노즐 어레이를 형성하는 "노즐"이라고도 하는 다중 액적 토출 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노즐은 일반적으로 작동될 때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도록 배열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그러한 액추에이터는 예컨대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노즐에서 잉크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전압 파형 또는 공통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 전자 장치(전자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된다. 예를 들어, 작동 이벤트(actuation event)는 노즐의 잉크 챔버에 압력 펄스를 생성하여 차례로 잉크 방울을 분배한다.
많은 응용 분야에서 구동 전자 장치는 많은 노즐에 공통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개별 또는 통합 컨트롤러는 지정된 작동 이벤트의 인스턴스에 대해 잉크를 분사할 개별 노즐을 결정하는 프린트헤드에 데이터 스위칭을 제공한다. 공유 작동 이벤트와 관련된 노즐 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스트라이프(stripe) 데이터”라고 한다.
구동 신호와 스위칭 입력의 조정된(coordinated) 시퀀스를 배열함으로써 프린트헤드와 기판(물체 표면)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 프린트헤드는 픽셀 어레이 형태로 기판에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는 단일 패스 프린팅 시스템과 스캔(다중 패스) 프린팅 시스템에 적용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하나 이상의 "스트라이프 데이터" 인스턴스인 작동 이벤트의 조정된 시퀀스에 대한 데이터를 "스와스(swathe) 데이터"라고 한다. 인쇄하는 동안 각 프린트헤드가 처리하는 영역은 일반적으로 "스와스"로 알려져 있다.
기존 "스티칭" 기술은 정확한 드롭 배치를 사용하여 인쇄된 이미지의 서로 다른 스와스 사이에 명백한 연속성을 달성한다. 평평한 표면에서는 종종 단일 경계선(플랫(flat)스티치 또는 버트(butt) 스티치로 알려짐)으로 인접한 스와스를 인쇄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이 상황에서 유일한 요구사항은 스와스가 정확하게 등록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헤드의 방울 크기 사이에 약간의 변화가 관찰되는 평평한 표면에서는 두 개의 인접한 스와스에서 몇 줄의 방울을 인터리브하여 잠재적으로 다른 색상 밀도 간의 전환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곡면에는 잉크젯 방울이 일반적으로 더 이상 표면에 수직으로 분사되지 않는다는 추가 문제가 있다. 이것은 인접한 노즐의 방울들 사이 표면의 피치가 더 이상 노즐 피치와 동일하지 않지만, 이러한 방울들이 표면에 입사하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것임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다른 각도로 표면에 입사하는 잉크젯 방울들에 의해 인쇄되는 인접한 스와스로 인한 도트 피치의 차이로 인해 인접한 스와스들 사이의 플랫 스티치 경계들에서 색상 밀도의 차이가 일반적으로 있을 것이다. 그 결과 플랫 스티치와 인터리브 스티치 모두에서 인접한 스와스들 사이의 경계에서 도트 피치가 달라져 밀도가 단계적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DE102018003096A1>은 3D 표면의 이미지 픽셀이 "3D 표면과 관련하여 다른 거리와 방향을 갖는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액적 크기를 조정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한다. <EP1990206 A2>는 본질적으로 반경 또는 곡률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떨어지는 표면 위에서 선형으로 병진되는 프린트헤드의 단일 인쇄 경로의 밀도 변화에 대해 논의했다. <CN103722886A>는 드롭 온 디맨드 인쇄 방법보다 표면에 분무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양태가 해결책을 제공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양태는 잉크젯 방울이 표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평평한 표면에 인쇄하는 것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스티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술한 차이점을 관리하여 스티치를 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잉크젯 방울이 표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평평한 표면에 인쇄하는 것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스티치를 달성하기 위한 스티칭 방법 및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독립 양태에 따르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곡면에 대한 인쇄 경로 방향에 대해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로부터 곡면 상에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드롭-온-디맨드 프린트헤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는 상기 인쇄 경로 방향에 대해 제1 및 제2 배향이고, 적어도 하나의 드롭-온-디맨드 프린트헤드와 곡면은 상기 인쇄 경로를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단계;
인쇄 경로의 두 개의 겹치는 스와스에 대한 곡면 상의 겹침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두 개의 겹치는 스와스는 곡면의 중심 축에 평행하고, 겹침 영역은 상기 두 개의 상이한 프린트헤드 위치 중 하나로부터 인쇄되는 단계;
잉크젯 방울이 인쇄될 수 있는 겹침 영역의 복수의 위치에 대해 해당 방울의 곡면 상에서 입사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로부터 방울들의 곡면에서 입사각들 사이의 차이가 각각 미리 결정된 매개변수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의 스티치 영역에서 각각의 도트 피치 사이의 차이가 허용 가능한 한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겹침 영역에서 스티치 포인트 또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방법은 다양한 형상의 곡면에 인쇄하는 데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이 방법은 도트 피치 사이의 차이가 인쇄에 대한 품질 요건에 의존하는 허용 가능한 한계 내에서(예컨대, 미리 결정된 매개변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인쇄물의 기하학적 구조를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입사각과 제2 입사각 사이의 차이를 작게 유지함으로써, 두 개의 프린트헤드 위치에 대응하는 투영된 도트 피치가 밀접하게 일치하도록 스티치 포인트 또는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프린트헤드 위치에서 투영된 피치들 사이의 차이가 작게 유지되어 두 개의 인접한 프린트헤드 위치의 스티치 영역에서 도트 피치가 허용 가능한 한도 내에서 일치한다. 이것은 선행 기술과 구별되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데, 알려진 방법 중 어느 것도 두 인쇄 경로 영역 사이의 스티치 포인트 선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각 영역의 스티치 포인트가 입사각, 따라서 도트 피치의 차이는 허용 가능한 한도 내에서 유지된다.
종속 양태에서, 두 개의 상이한 인접한 프린트헤드 위치는 동일한 프린트헤드에 해당한다. 즉, 동일한 프린트헤드에 인쇄 경로를 따라 여러 패스가 있다.
또는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가 두 개의 개별 프린트헤드에 해당한다.
두 개의 프린트헤드는 동일한 노즐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프린트헤드는 인쇄 경로 방향에 대해 배향이 같다. 실시예에서, 두 개의 프린트헤드는 모두 인쇄 프로세스 방향(상대적인 이동 방향)에 직교한다.
또는 두 개의 개별 프린트헤드가 상이한 "네이티브(native)" 노즐 피치를 가지므로 인쇄된 도트 피치가 상이하다.
종속 양태에서, 방법은 선택된 스티치 포인트에서 두 개의 스와스를 스티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독립 양태에서, 곡면에 대한 인쇄 경로 방향에 대해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로부터 곡면 상에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에 대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고,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는 인쇄 경로 방향에 대해 제1 및 제2 배향이고,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와 곡면은 인쇄 경로를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배열되며, 제어 시스템은 하기로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인쇄 경로의 두 개의 겹치는 스와스에 대한 곡면 상의 겹침 영역을 결정하고, 겹침 영역은 상기 두 개의 상이한 프린트헤드 위치 중 하나로부터 인쇄되고;
잉크젯 방울이 인쇄될 수 있는 겹침 영역의 복수의 위치에 대해 해당 방울의 곡면 상에서 입사각을 결정하고; 및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로부터 방울들의 곡면에서 입사각들 사이의 차이가 각각 미리 결정된 매개변수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의 스티치 영역에서 각각의 도트 피치 사이의 차이가 허용 가능한 한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겹침 영역 내 스티치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독립항 각각의 바람직한 특징은 종속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잉크젯 방울이 표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평평한 표면에 인쇄하는 것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스티치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표면에서 잉크 액적의 입사각이 인쇄된 도트의 피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위치 A 및 위치 B의 표면에서 입사각이 서로 다른 잉크젯 방울에 의해 스티치 영역이 달성되도록 표면 상에 인쇄하기 위한 프린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위치 A 및 위치 B의 표면에서 입사각이 유사한 잉크젯 방울에 의해 스티치 영역이 달성되도록 표면 상에 인쇄하기 위한 프린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각 위치에서 프린트헤드의 노즐 비율이 동일한 곡면의 영역에 잉크 액적을 인쇄할 수 있도록 배열된 두 개의 프린트헤드 위치(A 및 B)를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프린팅 시스템이 "형상"을 코팅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는 프린팅될 물체를 나타내고 곡면을 포함한다. 프린팅될 물체는 수백 미크론 정도의 공차에 따른 공칭 형상(공칭 물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인쇄 경로"는 인쇄할 표면에 대한 프린트헤드(노즐 배열 포함)의 이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인쇄 경로는 인쇄 과정에서 노즐 배열과 물체(형상)의 상대적인 이동이다. "인쇄 경로 방향"은 인쇄 방향(인쇄 진행 방향)이다. "경로"는 노즐 아래를 통과할 표면의 복수 위치를 나타낸다. 개별 노즐의 경로를 결정하면 물체 표면을 가로지르는 노즐 트레이스의 궤적이 제공된다. 이 상대 운동은 노즐의 배열이 정적이고 물체가 움직이거나, 둘 다 움직여 상대 운동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물체에 인쇄하려면 프린트헤드 노즐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인쇄 이미지를 생성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인쇄는 하나의 프린트헤드 너비보다 더 넓기 때문에 물체 표면 영역을 덮기 위해 각 프린트헤드에서 하나씩 여러 스와스가 필요하다. 인쇄 경로에 잠재적으로 겹치는 인접 스와스가 있다.
사람의 눈은 인쇄된 이미지, 특히 균질한 색상 영역에서 불연속성을 매우 잘 감지하기 때문에 인접한 각 스와스를 잘 스티칭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 개 인쇄 경로의 스티칭 영역(잠재적인 인접 스와스의 겹침 영역)은 일반적으로 20~40픽셀(예: 2~4mm)이지만, 이것이 더 작거나 훨씬 클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노즐은 일반적으로 헤드를 가로질러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며, 따라서 일정한 피치로 평평한 표면에 잉크 액적을 인쇄한다. 일부 헤드 디자인의 경우 노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하여 이를 달성하며 이를 선형 헤드라고 한다. 2-D 헤드로 알려진 다른 헤드 디자인에서 노즐은 2차원 배열로 배치되어 프린트헤드를 따라 여전히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지만, 인쇄 방향으로도 변위 된다. 이러한 노즐 배열은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이 두 디자인의 헤드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특히, 선형 헤드 디자인의 경우 헤드를 사용하여 인쇄 방향과 직교하지 않은 배향(orientation)으로 인쇄할 수 있다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을 '레이킹(raking)’이라고 하며 헤드의 유효 노즐 피치를 수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이 직교하게 배향되거나(oriented orthogonally) 레이킹 또는 둘 다인 헤드를 사용하는 프린팅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에서 노즐 1과 노즐 2는 헤드의 네이티브 피치로 알려진 거리만큼 분리된 프린트헤드의 인접한 노즐이다. 노즐은 각도 표면에서 입사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궤적을 따라 잉크 액적을 토출한다. 표면 피치는 잉크 액적이 떨어지는 지점 사이의 거리이다. 네이티브 피치(NP)와 표면 피치(SP)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SP = NP / cosine(θ).
표면에서 입사각이 동일한 잉크젯 액적에 의해 스와스가 인쇄되는 평평한 표면에 스티칭하는 것과 달리, 임의의 곡면에 스티칭하면 일반적으로 표면에서 입사각이 다른 잉크젯 방울에 의해 인쇄되는 스와스가 생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프린트헤드에 대한 두 위치와 각 위치에서 프린트헤드가 인쇄되는 곡면(즉, 형상 또는 물체)의 경우를 고려한다. 우리는 위치만 구별하며 두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동일한 프린트헤드에 의해 또는 병렬로 인쇄되는 두 개의 프린트헤드에 의해 인쇄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프린트헤드" A, B를 언급할 때 이는 동일한 프린트헤드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인쇄 위치는 스티치 영역에서 프린트헤드 A는 표면에 거의 수직으로 인쇄하지만, 프린트헤드 B는 약 45도의 입사각 인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프린트헤드의 노즐 피치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프린트헤드 B의 방울은 노즐 피치보다 1 / cosine(θ)만큼 더 큰 표면의 도트 피치를 갖게 된다. 이 경우에는 1 / cosine(45°) ~ = 1.41이 된다.
두 개의 프린트헤드 위치의 방울 표면에서 입사각의 이러한 차이는 표면에서 대응하는 도트 피치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야기할 것이다. 이러한 도트 피치 사이의 차이는 플랫 스티치의 스티치 포인트에서 밀도 이동을 일으켜 인터리브 스티치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도트 피치 사이의 차이가 인쇄물에 대한 품질 요건에 의존하는 허용 가능한 한계 내에서 유지되도록 인쇄물의 기하학적 구조를 배열하는 것이 유리한다. 플랫 스티치의 경우 최대 도트 피치 차이는 최대 허용 밀도 이동에 의해 결정된다. 인터리브 스티치의 경우 허용 가능한 최대 도트 피치 차이도 스티치 구역의 너비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인터리빙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도트 위치가 도트 피치의 약 10% 이상으로 공칭 값에서 변하지 않아야 하므로, 이 경우 스티치 구역 10개 노즐의 경우 표면 도트 피치의 차이에 대한 허용 가능한 한계는 1%가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린트헤드와 표면의 상대적인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다. 이 경우 각 프린트헤드 위치에서 방울 표면의 입사각 θΑ , θΒ가 같거나 거의 같도록 스티치 영역이 선택되었다. 유리하게는, θΑ와 θΒ 사이의 절대 차이가 작게 유지되어 두 위치에 대한 스티치 영역의 표면 도트 피치가 일치하여 두 개의 스와스의 밀도를 일치시키고 필요한 경우 인터리브 스티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쉽다.
도 4는 두 개의 프린트헤드 위치 A와 B를 보여준다. 이 위치는 각각의 노즐 비율이 곡면의 동일한 영역에 잉크 방울을 인쇄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겹침 영역의 극단인 잠재적 스티치 위치 1 및 3에서 위치 A의 방울 표면의 입사각은 위치 B의 방울 표면의 입사각과 현저하게 다르다. 또한, 연속적으로 만곡하는 표면의 경우 이러한 극단들 사이에 지점 또는 영역이 있는 잠재적 스티치 위치 3에서 입사각들 사이의 이러한 차이가 작을 것이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스티치 영역의 선택 방법을 설명한다. 두 개의 프린트헤드 위치 A와 B는 물체의 표면에 투영될 때 프린트헤드 위치 A와 프린트헤드 위치 B에서 투영된 잉크젯 방울이 겹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A에 위치한 프린트헤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복수의 노즐 위치 NA 및 B에 위치할 수 있는 복수의 노즐 위치 NB가 있어 프린트헤드 위치 A의 잉크젯 방울 기여와 프린트헤드 위치 B의 잉크젯 방울 기여가 결과적으로 프린트헤드 위치 A가 프린트헤드 위치 B로 인해 발생하는 것과 가장 가까운 투영된 잉크젯 방울을 생성한다. 즉, 스티치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투영된 잉크젯 방울을 생성한다. 프린트헤드 위치 A 및 위치 B에서 각각 가장 최적의 노즐 NA NB 선택은 투영된 방울이 모두 인접하고 프린트헤드 위치 A에서 잉크젯 방울과 프린트헤드 위치 B에서 잉크젯 방울의 입사각의 절대 차이(|θA - θΒ|가 작게 유지되도록 한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는 개시 내용을 고려하여 수정 및 대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거나 예시된 각각의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본원에 개시되거나 예시된 임의의 다른 특징과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본 발명에 통합될 수 있다.

Claims (8)

  1. 곡면에 대한 인쇄 경로 방향에 대해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로부터 상기 곡면 상에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는 상기 인쇄 경로 방향에 대해 제1 및 제2 배향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와 상기 곡면은 상기 인쇄 경로를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인쇄 경로의 두 개의 겹치는 스와스에 대한 상기 곡면 상의 겹침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겹침 영역은 상기 두 개의 상이한 프린트헤드 위치 중 하나로부터 인쇄되는 단계;
    잉크젯 방울이 인쇄될 수 있는 상기 겹침 영역의 복수의 위치에 대해 해당 방울의 상기 곡면 상에서 입사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로부터 방울들의 상기 곡면에서 입사각들 사이의 차이가 각각 미리 결정된 매개변수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 상기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의 스티치 영역에서 각각의 도트 피치 사이의 차이가 허용 가능한 한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겹침 영역에서 스티치 포인트 또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의 동일한 프린트헤드에 대응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는 두 개의 프린트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는 각각 상기 두 개의 프린트헤드에 대응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프린트헤드는 동일한 노즐 피치를 갖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프린트헤드는 상기 인쇄 경로 방향에 대해 동일한 배향을 갖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프린트헤드는 상이한 노즐 피치를 갖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스티치 포인트에서 상기 두 개의 스와스를 스티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곡면에 대한 인쇄 경로 방향에 대해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로부터 상기 곡면 상에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에 대한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는 상기 인쇄 경로 방향에 대해 제1 및 제2 배향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와 상기 곡면은 상기 인쇄 경로를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인쇄 경로의 두 개의 겹치는 스와스에 대한 상기 곡면 상의 겹침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겹침 영역은 상기 두 개의 상이한 프린트헤드 위치 중 하나로부터 인쇄되며;
    잉크젯 방울이 인쇄될 수 있는 상기 겹침 영역의 복수의 위치에 대해 해당 방울의 상기 곡면에서 입사각을 결정하고; 및
    상기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로부터 방울들의 상기 곡면에서 입사각들 사이의 차이가 각각 미리 결정된 매개변수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 상기 두 개의 상이한 인접 프린트헤드 위치의 스티치 영역에서 각각의 도트 피치 사이의 차이가 허용 가능한 한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상기 겹침 영역 내 스티치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227031534A 2020-03-26 2021-03-25 스티칭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1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65857.2A EP3885146B1 (en) 2020-03-26 2020-03-26 Stitching methods and systems
EP20165857.2 2020-03-26
PCT/EP2021/057781 WO2021191367A1 (en) 2020-03-26 2021-03-25 Stitching methods and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909A true KR20230011909A (ko) 2023-01-25

Family

ID=7004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534A KR20230011909A (ko) 2020-03-26 2021-03-25 스티칭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19470A1 (ko)
EP (1) EP3885146B1 (ko)
JP (1) JP2023537547A (ko)
KR (1) KR20230011909A (ko)
CN (1) CN115298035A (ko)
ES (1) ES2969077T3 (ko)
IL (1) IL296613A (ko)
WO (1) WO20211913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1767A1 (de) * 2007-05-09 2008-11-13 Bauer, Jörg 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drucken eines Bauteils mit zwei zueinander geneigten Oberflächenbereichen mittels eines digitalen Druckverfahrens
CN103722886A (zh) * 2013-12-25 2014-04-16 汤振华 一种立体物表面喷绘方法及喷绘喷头
DE102018003096A1 (de) * 2018-04-17 2019-10-17 Burkhard Büstgens Drop-on-Demand - Beschichtung von Oberflä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85146A1 (en) 2021-09-29
JP2023537547A (ja) 2023-09-04
IL296613A (en) 2022-11-01
WO2021191367A1 (en) 2021-09-30
US20230019470A1 (en) 2023-01-19
EP3885146B1 (en) 2023-12-27
ES2969077T3 (es) 2024-05-16
CN115298035A (zh)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0831B1 (en) Adjustment of a print array and a substrate in a printing device
US7748829B2 (en) Adjustable drop placement printing method
EP0827839B1 (en) Mechanical way to double the resolution
KR20060123937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멀티 패스를 이용한 고해상도 구현방법
JP6631627B2 (ja) 液滴吐出ヘッド、液滴吐出ヘッド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液滴吐出ヘッドの実装方法
KR20230011909A (ko) 스티칭 방법 및 시스템
US11780239B2 (en) Control methods and systems
US11633961B2 (en) Printing methods and systems
US7815279B2 (en) Adjustment of print arrays in a printing device
CN102114731B (zh) 用于热喷墨打印的打印头及其打印方法
EP1935653B1 (en) Adjustment of print arrays in a printing device
EP4005804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printer with failure compensation
CN113147178B (zh) 具有互补不规则边界的拼接条带的打印方法
KR100422014B1 (ko) 경사 급지방식 잉크젯 프린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