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761A - 재사용 방지 란셋 - Google Patents

재사용 방지 란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761A
KR20230011761A KR1020210092405A KR20210092405A KR20230011761A KR 20230011761 A KR20230011761 A KR 20230011761A KR 1020210092405 A KR1020210092405 A KR 1020210092405A KR 20210092405 A KR20210092405 A KR 20210092405A KR 20230011761 A KR20230011761 A KR 20230011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ousing
lancet
trigg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남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덱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덱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덱셀
Priority to KR102021009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761A/ko
Publication of KR2023001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85Preventing re-use
    • A61B5/150916Preventing re-use by blocking components, e.g. piston, driving device or fluid passagew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41Breakable protectors, e.g. caps, shields or sleeves, i.e. protectors separated destructively, e.g. by breaking a connecting ar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26Means for controlling the lancing movement, e.g. 2D- or 3D-shaped elements, tooth-shaped elements or sliding guides
    • A61B5/1513Means for controlling the lancing movement, e.g. 2D- or 3D-shaped elements, tooth-shaped elements or sliding guides comprising linear sliding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2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Abstract

본 발명은 재사용 방지 구조가 형성된 란셋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방에 바늘홀, 내부에 상기 바늘홀과 연결되는 중공, 걸림 턱 및 걸림 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배치되어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걸림턱에 걸려 장전되는 바늘 조합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장전된 바늘 조합체를 밀어 상기 바늘 조합체의 장전을 해제하여 상기 바늘 조합체를 발사할 수 있는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 조합체가 발사되면 상기 트리거는 상기 걸림 홈에 고정되는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사용 방지 란셋{A Safty Lancet For Anti Reuse}
본 발명은 재사용 방지 구조가 형성된 란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란셋(lancet, 채혈침)은 병원 등에서 환자의 각종 검사시 혈액을 편리하게 채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란셋을 이용하여 손가락, 발가락등의 모세혈관 피하조직을 가압하면서 소량의 피가 나게하여 혈액을 채취하고, 채취된 혈액을 이용하여 당뇨병환자의 혈당을 측정하거나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TG) 등의 혈액분석장치에 투입하여 각종 혈액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국내 등록 특허 제971171호에는 안전란셋의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재사용 방지기능을 가지는 안전란셋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종래의 안전란셋은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한 상부 및 하부 케이스(1,2) 내에 이동블록(3)에 스프링을 구비하고, 후단에 트리거 역할을 하는 가이드(4)를 장착한 상태로 조립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안전란셋을 이용하여 채혈을 하기 위한 동작은 하기와 같다. 먼저, 외부의 누름판(5)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누름판(5)의 힘이 가이드(4) 밑으로 전달되면서 이동블록(3)의 후크가 해제되고, 이때 스프링(6)의 힘으로 이동블록(3)이 전진하여 이동블록(3) 선단의 채혈침(7)이 피부에 순간적으로 파고들었다가 다시 피부 외부로 인출된다.
종래의 란셋은 혈액을 채취한 후 물로 씻어 내거나 간단한 소독만을 행하여 재사용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러한 행위는, 피채혈자의 혈액으로부터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간염 등 혈액을 통하여 전파되는 각종 질병에 감염되게 하는 등 심각한 의료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란셋의 반복 사용에 따른 감염사곤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란셋 사용 후 바늘을 다시 재장전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란셋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바늘홀, 내부에 상기 바늘홀과 연결되는 중공, 걸림 턱 및 걸림 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배치되어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걸림턱에 걸려 장전되는 바늘 조합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장전된 바늘 조합체를 밀어 상기 바늘 조합체의 장전을 해제하여 상기 바늘 조합체를 발사할 수 있는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 조합체가 발사되면 상기 트리거는 상기 걸림 홈에 고정되는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발사된 바늘 조합체가 가이드 되는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바늘 조합체가 바늘홀로 돌출된 후 다시 하우징 내로 복귀할 수 있도록 경사가 형성된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늘 조합체에는 제1 탄성 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 암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바늘 조합체가 장전되는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돌출부에는 경사가 형성된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에는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에는 경사가 형성된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트리거에는 제2 탄성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암에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슬라이딩하는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탄성암의 단부는 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를 밀면 상기 제2 탄성암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바늘 조합체가 가변되며 상기 걸림턱을 탈출하는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에는 제3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를 가이드할 수 있는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재사용 방지 란셋은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바늘 조합체의 바늘을 감싸며, 상기 캡을 상기 하우징을 향해 밀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걸림 턱에 걸리며 상기 바늘 조합체가 장전되는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캡에는 제3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캡은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캡에 형성된 방향과 상기 바늘 홀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바늘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재사용 방지 란셋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지 란셋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적은 제조비용으로도 생산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방지 구조가 형성되어 란셋을 한 번 사용하여 채혈한 이후에는 다시 사용할 수 없어 란셋의 위생 문제, 란셋의 재사용으로 인한 각종 질병 감염 문제 등을 저감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지 란셋의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지 란셋의 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지 란셋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지 란셋이 발사되어 바늘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지 란셋이 발사되어 바늘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란셋(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재사용 방지 란셋(10)은 하우징(100), 바늘 조합체(200), 트리거(300) 및 캡(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길이 방향의 일단에 바늘 홀(16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트리거 홀(170)형성되며, 바늘 홀(160)과 트리거 홀(170)은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방은 바늘 조합체(200)가 발사되어 바늘이 돌출되는 바늘 홀(160)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트리거(300)가 배치된 트리거 홀(170)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벽에는 걸림 턱(110)이 돌출 형성되고, 걸림 턱(110)의 후방의 내벽에는 걸림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0)은 바늘 조합체(200)의 제1 돌출부(212)가 걸려 바늘 조합체(200)가 장전되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걸림 홈(120)은 트리거(300)를 전방으로 밀어 바늘 조합체(200)를 발사시킨 후 트리거(300)의 제2 돌출부(311)가 걸려 고정되며 트리거(300)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한하여 본 발명의 란셋(10)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 홈(120)은 하우징(100)의 내벽에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 턱(110)과 인접한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벽에는 제1 가이드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30)은 걸림 홈(120)과 인접한곳에 형성되며, 걸림 홈(120)보다 하우징(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30)은 트리거(300)의 제2 돌출부(311)를 가이드하여 트리거(300)의 제2 탄성암(310) 단부가 바늘 조합체(200)를 만나 접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300)의 제2 돌출부(311)가 제1 가이드 홈(130)에 걸려 트리거(30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30)에는 제1 경사면(131)이 형성되 어 트리거(300)의 제2 탄성암(310)이 제1 경사면(131)을 슬라이딩하는 경우 제2 탄성암(310)은 하우징(100) 내부 중심 축을 향해 오므려지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걸림 턱(110), 걸림 홈(120) 및 제1 가이드 홈(130)은 하우징(100) 내벽에서 하우징(100)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140)은 바늘 조합체(200)가 발사된 이후 바늘 조합체(200)의 바늘이 바늘 홀(160)으로 돌출되기 까지 바늘 조합체(200)를 안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가이드 홈(140)에는 발사된 바늘 조합체(200)가 바늘 홀(160)로부터 돌출된 바늘이 다시 하우징(100) 내부로 복귀하도록 제2 경사면(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면(141)은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갈수록 하우징(100)의 내부 중공 단면의 넓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면(141)은 발사된 바늘 조합체(200)가 다시 하우징(100) 내부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탄성암(211)은 제2 경사면(141)은 슬라이딩하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홈(150)은 제1 가이드 홈(130)보다 하우징 후방에 형성되며, 트리거(3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홈(150)은 트리거(300)가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홈(150)에는 단턱(151)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트리거(300)를 눌러 트리거(300)가 하우징(100) 전방을 향해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여 바늘 조합체(200)를 발사시킨 후에는 트리거(300)가 단턱(151)에 걸려 하우징(100)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바늘 홀(160)은 하우징(10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바늘 조합체(200)가 발사되어 바늘 조합체(200)에 결합된 바늘이 돌출될 수 있다. 바늘 홀(160)은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차이 나는 도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타원형 등일 수 있다. 바늘 홀(160)의 길이 방향은 가로길이와 세로길이 중 길이가 더 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트리거 홀(170)은 하우징(10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트리거(300)가 제3 가이드 홈(150)에 유입되기 위한 곳일 수 있다. 트리거 홀(170)은 트리거(300)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늘 조합체(200)는 몸통부(210), 제1 탄성암(211) 및 바늘(220)을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210) 일면에는 하우징(100)의 전방을 향해 바늘(220)이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몸통부(210)의 타면에는 트리거(300)와 탄성체(33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몸통부(210)는 트리거(300)에 의해 격발되면 압축된 탄성체(300)의 탄성력을 받아 발사될 수 있다.
탄성암(211)은 몸통부(210) 양측면에서 하우징(100)의 후방을 향해 대칭적으로 형성된 암(arm)으로써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제1 탄성암(211)에는 제1 돌출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12)에는 하우징(100) 중심축을 향해 하방향 경사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돌출부(212)는 바늘 조합체(200)가 장전되는 경우 걸림 턱(110)에 걸려 바늘 조합체(2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걸림 턱(110)에 걸린 제1 돌출부(212)는 트리거(300)가 격발시 제2 탄성암(310) 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 탄성암(310) 단부가 제1 돌출부(212)의 단부를 밀면 제1 탄성암(211)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변되면서 걸림턱(110)을 탈출할 수 있다.
바늘(220)은 몸통부(210)와 결합되며 몸통부(210)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바늘(221)은 바늘 조합체(200)가 발사되면 바늘 홀(160)을 통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며, 환자의 피부에 침투되어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트리거(300)는 하우징(100)에서 바늘 조합체(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바늘 조합체(200)와 탄성체(330)를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가 트리거(300)를 하우징(100)을 향해 가압하여 제3 가이드 홈(150)을 슬라이딩하며 전방으로 이동하면 바늘 조합체(200)를 발사시킬 수 있다.
트리거(300)에는 하우징(100)의 전방을 향해 형성된 제2 탄성암(310) 및 푸시부(320)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탄성암(310)은 트리거(300) 양측에 두 개가 하우징(100)의 전방을 향해 암(arm)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2 탄성암(310)의 단부는 트리거(300)의 중심을 향해 하방향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암(310)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의 방향은 제1 돌출부(212)의 경사의 방향과 일치할 수 있고, 제2 탄성암(310)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가 제1 돌출부(212)의 경사보다 더 가파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암(310)의 단부는 트리거(300)가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 탄성암(211) 단부와 접하며 이동할 수 있고, 제1 탄성암(211)은 제1 탄성암(211) 단부가 제2 탄성암(310) 단부에 형성된 경사를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제1 탄성암(211)은 몸통부(210) 양측면에 형성되므로 복수의 제1 탄성암(211)은 제2 탄성암(310) 단부에 의해 오므려지는 변형이 발생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돌출부(212)가 걸림턱(110)을 탈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푸시부(320)는 트리거(300)에서 사용자가 가압하는 부분으로, 제3 가이드 홈(150)을 슬라이딩하는 부분일 수 있다. 푸시부(320)와 제2 탄성암(310)은 단차가 형성되어 푸시부(320)가 제3 가이드 홈(150)을 슬라이딩하면 단턱(151)에 걸려 트리거(300)가 하우징(100)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트리거(300)와 바늘 조합체(200)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체(330)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330)는 탄성 변형 등으로 탄성에너지가 저장되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스프링, 탄성 구조물, 탄성 고무 등 일 수 있다.
탄성체(330)는 바늘 조합체(200)가 장전되는 경우 바늘 조합체(200)와 트리거(300) 사이에서 압축되며, 압축된 탄성체(330)에 저장된 탄성에너지는 장전이 해제된 바늘 조합체(200)가 하우징(100) 전방을 향해 발사되도록 할 수 있다.
캡(400)은 바늘을 감싸 보호하고, 바늘 조합체(200)를 걸림 턱(110)에 장전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캡(400)은 핸들부(410), 몸체(420) 및 돌출부(430) 및 보호홀(44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410)는 몸체(420) 일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캡(400)을 회전시키거나 하우징(100)을 향해 몸체(420)을 하우징 내부로 밀어 넣어 바늘 조합체(200)를 장전하거나 캡(400)을 잡아당겨 바늘과 분리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몸체(410)의 타단에는 보호홀(440)이 형성되어 바늘(220)이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보호홀(440)은 바늘(200)의 날카로운 단부를 란셋 사용전 까지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보호홀(400)은 캡(400)을 바늘(220)과 한번 분리하면 바늘을 다 시 보호홀(400)에 넣을 수 없도록 직경이 바늘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몸체(420)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캡(400)을 당겨 바늘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바늘 홀(160)에 걸려 캡(400)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우징(100) 돌출부(430)는 란셋(10) 사용 전에는 캡(400)이 바늘과 결합되어 있어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므로 캡(400)은 돌출부(430)가 몸체(420)에 형성된 방향과 바늘 홀(160)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도록 캡(400)을 회전시키고, 캡(40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어 바늘과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기술을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기술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기술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재사용 방지 란셋 100 : 하우징
110 : 걸림 턱 120 : 걸림 홈
130 : 제1 가이드 홈 131 : 제1 경사면
140 : 제2 가이드 홈 141 : 제2 경사면
150 : 제3 가이드 홈 151 : 단턱
160 : 바늘 홀 170 : 트리거 홀
200 : 바늘 조합체 210 : 몸통부
211 : 제1 탄성암 212 : 제1 돌출부
220 : 바늘 300 : 트리거
310 : 제2 탄성암 311 : 제2 돌출부
320 : 푸시부 330 : 탄성체
400 : 캡 410 : 핸들부
420 : 몸체부 430 : 제3 돌출부

Claims (11)

  1. 전방에 바늘홀, 내부에 상기 바늘홀과 연결되는 중공, 걸림 턱 및 걸림 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배치되어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걸림 턱에 걸려 장전되는 바늘 조합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장전된 바늘 조합체를 밀어 상기 바늘 조합체의 장전을 해제하여 상기 바늘 조합체를 발사할 수 있는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 조합체가 발사되면 상기 트리거는 상기 걸림 홈에 고정되는 재사용 방지 란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발사된 바늘 조합체가 가이드 되는 재사용 방지 란셋.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바늘 조합체가 바늘홀로 돌출된 후 다시 하우징 내로 복귀할 수 있도록 경사가 형성된 재사용 방지 란셋.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조합체에는 제1 탄성 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 암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걸림 턱에 걸려 상기 바늘 조합체가 장전되는 재사용 방지 란셋.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에는 경사가 형성된 재사용 방지 란셋.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에는 경사가 형성된 재사용 방지 란셋.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에는 제2 탄성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암에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슬라이딩하는 재사용 방지 란셋.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암의 단부는 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를 밀면 상기 제2 탄성암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바늘 조합체가 가변되며 상기 걸림턱을 탈출하는 재사용 방지 란셋.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제3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를 가이드할 수 있는 재사용 방지 란셋.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방지 란셋은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바늘 조합체의 바늘을 감싸며, 상기 캡을 상기 하우징을 향해 밀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걸림 턱에 걸리며 상기 바늘 조합체가 장전되는 재사용 방지 란셋.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제3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캡은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캡에 형성된 방향과 상기 바늘 홀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바늘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재사용 방지 란셋.
KR1020210092405A 2021-07-14 2021-07-14 재사용 방지 란셋 KR20230011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405A KR20230011761A (ko) 2021-07-14 2021-07-14 재사용 방지 란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405A KR20230011761A (ko) 2021-07-14 2021-07-14 재사용 방지 란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761A true KR20230011761A (ko) 2023-01-25

Family

ID=8510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405A KR20230011761A (ko) 2021-07-14 2021-07-14 재사용 방지 란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17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9249A (en) Blood sampling devices
KR200315777Y1 (ko) 일회용 사혈침기구
US9693712B2 (en) Lancet pricking device
EP0427406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blood sampling devices
EP1204372B1 (en) Lancet assembly
KR101361112B1 (ko) 재사용 이중 방지기능을 갖는 안전란셋
US20050085840A1 (en) Lancet assembly
KR20190037862A (ko) 가압-작동식 일회용 무통 채혈기
US8114109B2 (en) Single-use skin pricking device
WO2011030714A1 (ja) ランセット穿刺デバイス
AU2004218870B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kin prickers
KR101021922B1 (ko) 랜싱장치
JP5615125B2 (ja) ランセット穿刺デバイス
KR20230011761A (ko) 재사용 방지 란셋
KR20190083385A (ko) 채혈기
US8425547B2 (en) Disposable skin pricker
KR20230100088A (ko) 재사용 방지 란셋
KR20190055856A (ko) 당뇨 환자 전용 채혈기
KR200404886Y1 (ko) 일회용 사혈침 기구
CN211022699U (zh) 按压式采血器
KR102558708B1 (ko) 사혈기
KR20220132105A (ko) 일회용 채혈기
KR101809198B1 (ko) 채혈기
JP2024504922A (ja) 使い捨て採血器
KR20220100138A (ko) 일회용 채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