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224A - Case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Case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224A
KR20230011224A KR1020220067374A KR20220067374A KR20230011224A KR 20230011224 A KR20230011224 A KR 20230011224A KR 1020220067374 A KR1020220067374 A KR 1020220067374A KR 20220067374 A KR20220067374 A KR 20220067374A KR 20230011224 A KR20230011224 A KR 20230011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smartphone
present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승석
이명희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로
이명희
이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로, 이명희, 이주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로
Priority to KR102022006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224A/en
Publication of KR2023001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2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an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urface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a mobile phone, a second surfac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surface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t least two or more groove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buffer member fitted into the grooves.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CASE FOR MOBILE PHONE}Cell phone case {CAS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과 결합하여 휴대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휴대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that prevents damage to a mobile phone by mitigating an impact applied to the mobile phone in combination with the mobile phon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폰은 일면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입력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형태의 휴대폰이며,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폰 형태의 휴대폰의 테두리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씌워지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둘레측면과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감싸는 형태의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mobile pho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martphone-type mobile phone having a touch-enabled display on one surface and perform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phone-type mobile phone that is elastic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rtphone-type mobile phone. It is covered, but it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in the form of wrapping around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play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휴대폰은 전화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기기이다. 휴대폰에는 통신 뿐만 아니라, 휴대폰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내비게이션, 카메라, 디지털 음원 MP3(MPEG Audio Layer-3)와 디지털 동영상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플레이어 (Multi media player) 등 많은 부가 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앱(APP : Application)이라 불리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더 많은 디지털기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A mobile phone is a telephony terminal, and is a device that a user carries and uses.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mobile phones are equipped with many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avigation, camera, digital sound source MP3 (MPEG Audio Layer-3) and multimedia player that plays digital videos. , The role of digital devices is being fulfilled by application programs called APPs (Applications).

근래에 출시되고 있는 휴대폰은 일면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터치스크린)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입력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형태의 휴대폰이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3G(3-Generation) 및 4G(4-Generation), 5G 등은 데이터통신망과 WiFi(wireless fidelity)를 통해 무선인터넷을 할 수 있음을 물론 더 많은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고, 그 디자인이나 형상이 점점 미려해지고 있으며 기존의 스마트폰보다는 크기면에서 커져서 의류 포켓에 실장하기는 무리가 있지만 그 중량은 별 차이가 없다. 이와 같이 의류의 포켓에 실장하기 어렵지만 그 기능면에서는 포터블 PC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많은 소비자가 이용하고 있고 향후 증대될 추세임은 분명한 것이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의 경우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바-타입(bar type)으로 전면의 터치스크린은 강화유리로 처리되고 있다.Recently, a mobile phone that has been released is a smartphone-type mobile phone that has a display (touch screen) capable of being touched on one surface and allows a user to perform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sers can access wireless Internet through data communication networks and WiFi (wireless fidelity) such as 3G (3-Generation), 4G (4-Generation), 5G, etc. through smartphones, as well as more additional functions are being added, Its design and shape are becoming more and more beautiful, and it is larger in size than existing smartphones, so it is difficult to mount it in a clothing pocket,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As such, it is difficult to mount in the pocket of clothing, but since it performs more than a portable PC in terms of its function, it is clear that many consumers are using it and it is a trend that will increase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such a smartphone, the front surface is a bar-type formed of a touch screen, and the front touch screen is processed with tempered glass.

그러나, 강화유리는 긁힘, 전면으로부터의 충격에는 강한 이점이 있으나, 측면으로부터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이 강화유리로 제작된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사용 중 부주의에 의해 스마트폰이 지면으로 낙하된 경우, 디스플레이패널을 보호하고 있는 전면패널, 또는 디스플레이패널 자체가 지면과의 충격에 의해 깨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empered glass has strong advantages against scratches and impacts from the front, but is very vulnerable to impacts from the side, so if a user of a smartphone whose display panel is made of tempered glass accidentally drops the smartphone to the ground during use , problems such as the front panel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or the display panel itself being broken due to impact with the ground occur.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비교적 고가이며 미려한 자신의 휴대폰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에 더욱 민감하며 나아가 휴대폰의 외관을 자신의 개인 취향에 알맞은 액세서리로 활용하고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고, 이러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휴대폰의 손상을 막으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자랑하는 다양한 종류 및 재질의 휴대폰 케이스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Accordingly, users are more sensitive to scratches, scratches, and damage that may occur on their relatively expensive and beautiful mobile phones, and furthermore, the tendency to use the exterior of the mobile phone as an accessory suitable for their personal taste is becoming stronger. Mobile phone cases of various types and materials that boast a beautiful appearance while preventing damage to mobile 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as needed.

스마트폰 케이스는 크게 핸드폰을 가죽 또는 직물 등으로 제작된 수납공간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파우치(pouch)형과, 가죽을 재단하여 그 내부에 핸드폰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를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지갑 형과,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만들어져 내부의 수납공간에 핸드폰을 끼워 보관하는 하우징(housing)/케이스(case) 형으로 구별된다.Smartphone cases are largely divided into a pouch type for storing and storing a cell phone in a storage space made of leather or fabric, and a wallet made of leather to form a space for storing a cell phone inside and to open and close the cover. It is divided into a type and a housing/case type that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plastic and silicon and stores the mobile phon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등록특허 10-1118708(2012.02.28. 공고, 이하 선행문헌)은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은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터치 형태의 정보입력 수단을 갖는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적합한 구조로 제공되어 당해 스마트폰 테두리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씌워지되 스마트폰 전면과 배면의 외주면 둘레가 일부 포함되어 감싸지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ㄷ형 단면구조 프레임의 범퍼 케이스를 마련하여 스마트폰의 외관 보호와 사용자의 개성 표출 그리고 전파 수신감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개선된 기능의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Registered Patent No. 10-1118708 (2012.02.28. Announcement, hereinafter Prior Literature) discloses a bumper case for mobile phones. Prior literature relates to a bumper case for a mobile phone, which is provided in a structure suitable for a smartphone having a touch-type information input means, and is elastically cover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rtphone rim, but includes som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martphone It relates to a bumper case for a mobile phone with improved functions that can contribute to protecting the exterior of a smartphone, expressing a user's personality, and improving radio reception sensitivity by providing a bumper case of a c-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frame in which a locking jaw is formed to be wrapped.

그러나 휴대폰을 떨어트릴 경우 역학적으로 스마트폰의 모서리 부분이 지면으로 향하여 낙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선행발명은 스마트폰의 모서리 부분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어려운 구조이다.However, when the mobile phone is dropped, the corner of the smartphone falls toward the ground mechanically. In this case, the prior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relieve the impact concentrated on the corner of the smartphon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스마트폰이 기타 등의 이유로 낙하하여 지면에 부딪힐 경우, 스마트폰의 모서리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various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itigat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corner of the smartphone when the smartphone falls and hits the ground for other reasons.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휴대폰의 후면을 커버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휴대폰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 면과 상기 제2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홈 및 상기 홈에 끼움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first surface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a second surfac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surface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at least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two or more grooves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fitted into the grooves.

상기 홈은 상기 휴대폰의 측면 모서리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groov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ide edge of the mobile phone.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uffer memb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groove.

상기 홈은, 상기 제2 면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oove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and the buffer member may include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폰의 모서리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bas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bent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corner portion of the mobile phone, an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protruding from the bas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s may protrude from position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홀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at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hole.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Each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unless inconsistent with or exclusive of the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본 실시예의 완충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스마트폰의 모서리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의 완화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degree of alleviation of the shock appli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smartphone by selectively coupling the buffer memb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o the groove formed inside the case of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표현된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표현된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완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ide views of the cell phone case represented in FIG. 1 .
Figure 4 is a top view of the mobile phone case represented in Figure 1;
5 is a view showing a mobile phone case and a buff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s that follow are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ressly used otherwise, singular forms of expression include plural form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any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portion or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표현된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표현된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side views of the mobile phone case represented in FIG. 1, and FIG. 4 is a top view of the mobile phone case represented in FIG.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below.

본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는, 제1 면(10)과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10)은 휴대폰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휴대폰의 후면은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반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폰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면에는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터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면은 휴대폰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휴대폰의 후면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전면에 대향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두께는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며 휴대폰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mobile phone cas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0 and a second surface. The first surface 10 may cover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The back side of the mobile phone may refer to the opposite side on which the display is formed. More specifically, the mobile phone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display that can be physically touched by a user and conveys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can be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is formed can be defined as the front of the mobile phone.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may refer to a surface opposite to the front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is formed. And the predetermined thickness can connec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form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본 실시예의 제1 면(10)은 상기 휴대폰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The first side 10 of this embodiment may cover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제2 면은 제1 면(1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휴대폰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면은 제1 면(10)이 형성하는 둘레부분에서 휴대폰의 측면을 감싸도록 휴대폰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face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first face 10 to cover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urface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so as to surround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i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formed by the first surface 10 .

따라서, 본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가 휴대폰에 결합되면 휴대폰의 후면 및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면은 휴대폰의 측면 길이방향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케이스가 휴대폰에 결합되면 제2 면의 단부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보다 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 면의 단부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보다 더 돌출되어 구비됨에 따라,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obile phone case of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mobile phone.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Therefore, when the mobile phone case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the end of the second surface may protrude more than the display of the mobile phone. As the end of the second surface protrudes more than the display of the mobile phon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mpact unrelated to the user's intention from being applied to the display of the mobile phone.

본 실시예의 적용되는 휴대폰 케이스는 신축성이 우수한 연질의 고무재질로 제조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외관의 심미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컬러의 배합으로 여러 색상을 창출할 수 있음은 물론 기타 각종의 무늬모양을 내/외표면에 일체로 성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The mobile phone case applied in this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and processed from a soft rubber material with excellent elasticity. In addition, various colors can be created by mixing various colors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exterior, and other various pattern patterns can be integrally molded and provided on the inner/outer surface.

상기 제2 면은, 휴대폰의 둘레 중 세로방향 측면을 커버하는 세로면(21,23)과 휴대폰의 둘레 중 가로방향 측면을 커버하는 가로면(25,2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면은 가로면(25)과 세로면(21)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면(22), 세로면(21)과 가로면(27)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면(24), 가로면(27)과 세로면(23)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면(26) 및 세로면(23)과 가로면(25)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면(28)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rface may include vertical surfaces 21 and 23 covering the vertical side of the mobile phone and horizontal surfaces 25 and 27 covering the horizontal sid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second surface is a corner surface 22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surface 25 and the vertical surface 21, a corner surface 24 formed between the vertical surface 21 and the horizontal surface 27, and a horizontal surface It may include a corner surface 26 formed between (27) and the vertical surface 23 and a corner surface 28 formed between the vertical surface 23 and the horizontal surface 25.

즉 상기 제2 면은 휴대폰의 측면 중 장면을 커버하는 두개의 세로면(21,23)과 휴대폰의 측면 중 단면을 커버하는 두개의 가로면(25,27) 및 상기 세로면과 가로면을 연결하며 휴대폰의 측면 중 모서리부분을 커버하는 모서리면(22,24,26,28)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urface connects the two vertical surfaces 21 and 23 covering the scene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mobile phone, the two horizontal surfaces 25 and 27 covering the end surface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mobile phone, and the vertic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surface. And may include edge surfaces (22, 24, 26, 28) covering the corner of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본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유용한 사용을 위해 필요한 각종 기능키는 물론이고 여러 접속 커넥터 등이 위치되어 있는 바, 본 실시예 역시 이러한 기능키와 접속 커넥터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종 작동 및 접속이 자유로울 수 있게 해당 부분이 공간 형태로 노출될 수 있게 한 천공부를 형성시키거나 혹은 접속 커넥터 부분을 제외한 기능키 부분은 휴대폰 케이스가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 작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해당되는 부분만 연질의 고무재질을 특별하게 얇고 신축성을 우수하게 가공한 상태로 이중 사출하여 제한적으로만 제공할 수도 있다.In the cell phone case of this embodiment, various function keys necessary for useful use of the smartphone as well as various connection connectors are located. In this embodiment, various operations and connections are also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positions of these function keys and connection connectors. A perforated part is formed so that the corresponding part can be freely exposed in the form of a space, or the function key part except for the connection connector part is made of soft material so that external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hile the mobile phone case is in close contact. It can be provided only limitedly by double injection in a state where the rubber material is specially processed to be thin and has excellent elasticity.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버튼(211), 제2 버튼(231)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천공부(271), 제2 천공부(273)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utton 211 and the second button 231 may be formed of a soft rubber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first perforation part 271 and the second perforation part 273 may be formed.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 예로써, 제1 버튼(211)은 휴대폰의 전원을 키거나 끌 수 있는 물리적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버튼(231)은 휴대폰의 음량을 높이거나 줄일 수 있는 물리적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tton 2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hysical button capable of turning on or off the mobile phone, and the second button 231 may be It can be form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 physical button that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mobile phone.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 예로써, 제1 천공부(271)는 휴대폰에 형성되는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휴대폰과 외부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의미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is one exampl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perforated part 27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erminal formed in a mobile phone. The terminal may refer to a terminal to which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a mobile phone or connecting a mobile phone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connected.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 예로써, 제2 천공부(273)는 휴대폰에 형성되는 스피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휴대폰의 측면 중 일부에 천공되어 있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천공부(273)는 상기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면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perforated part 27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peaker formed in a mobile phone. The speake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holes perforated on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second perforation part 27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한편, 제1 면(10)은 렌즈 삽입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후면에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이 구비될 수 있고, 고해상도, 광각 등의 더 나은 품질의 영상 및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렌즈가 후면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렌즈 삽입부(11)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돌출되는 렌즈가 삽입되는 천공부를 형성하며, 렌즈 삽입부(11)가 제1 면(10)에 천공형성됨에 따라 제1 면(10)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를 형성하므로 스마트폰이 본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될 경우 스마트폰의 후면에 돌출된 렌즈는 휴대폰 케이스의 후면이 형성하는 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surface 10 may have a lens insert 11 formed thereon. More specifically, a camera module for shooting may be general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a smartphone, and a lens may protrude more than the rear surface to capture better quality videos and images such as high resolution and wide angle. Therefore, the lens insertion part 11 of this embodiment forms a perforation into which a protruding lens is inser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and the first surface as the lens insertion part 11 is perforated on the first surface 10. Since the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10) is formed, when the smartphone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lens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surface form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case.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완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a) is a view showing a mobile phone case and a buff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b) is a view showing the buffer member of Figure 5 (a).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below.

본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는 완충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충부재(100)는 홈(221,241 이하 221을 기준으로 설명)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mobile phone cas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buffer member 100, and the buffer member 100 may be fitted into grooves (221 and 241 hereinafter described based on 221).

홈(221)은 상기 제2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홈(221)은 휴대폰의 측면 모서리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면 중 두개의 세로면(21,23)과 두개의 가로면(25,27)을 연결하며 휴대폰의 측면 중 모서리부분을 커버하는 모서리면(22,24,26,28)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A groove 221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More specifically, the groove 22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edge of the mobile phone, 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wo vertical surfaces 21 and 23 and two horizontal surfaces 25 and 27 of the second surface. ) and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rner surfaces 22, 24, 26, and 28 covering the corner of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홈(221)이 형성됨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가 휴대폰에 결합되었을 경우,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 모서리 부분의 외면과 휴대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는 서로 이격되기 때문에 홈(221)이 형성하는 깊이에 대응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본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와 결합된 휴대폰이 낙하하여 지면에 충돌할 경우 일종의 완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s the groove 221 is formed, when the mobile phone case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edge of the mobile phone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cas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empty space corresponding to the depth formed by the groove 221 can be formed. This empty space can form a kind of buffer space when the mobile phone combined with the mobile phone case of this embodiment falls and collides with the ground.

휴대폰이 낙하할 경우 일반적으로 공기저항이 큰 면 단위 낙하보다는, 모서리 부분이 아래로 향하여 지면에 부딪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경우 휴대폰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일종의 완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휴대폰의 파손위험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mobile phone falls, it generally hits the ground with its edge facing downward rather than a plane-by-plane drop with high air resistance. The risk of breakage can be reduced.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완충부재(100)가 홈(22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휴대폰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함과 동시에 소정간격 이격된 완충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파손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ffer member 100 of this embodiment is fitted into the groove 221 to support the edge of the mobile phone and form a buffer spac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isk of damage to the mobile phone can be minimized.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홈은 모서리면(22,24,26,28)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완충부재(100)는 모서리면(22,24,26,28)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홈에 끼움 결합되어 핸드폰의 모서리 부분에 집중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grooves of this embodiment are fitted to the inner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corner surfaces 22, 24, 26, and 28, and the buffer member 100 is fitted into th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ides of the corner surfaces 22, 24, 26, and 28, respectively. Combined, the impact concentrated on the corner of the mobile phone can be alleviated.

홈(221)은 상기 제2 면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2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면의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은 제2 면의 세로면(21,23) 중 어느 하나의 면에서 다른 하나의 세로면(23,21)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2 면의 내면에서 휴대폰이 결합되는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groove 221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2211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The direc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means a direction from one of the vertical surfaces 21 and 23 of the second surface to the other vertical surface 23 and 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It can be defined as a direction toward the space where the mobile phone is coupled in.

완충부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홈(221)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완충부재(100)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01)은 완충부재(100)에 천공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101)에 결합돌기(2211)가 삽입됨으로써, 완충부재(100)가 홈(2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member 100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groove 221 . More specifically, the buffer member 100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01 into which a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The coupling hole 101 may be formed through a hole 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211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01 so that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may be fitted into the groove 221.

완충부재(100)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홈(221)에 삽입되어 휴대폰의 모서리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지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 member 100 may include a base 11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serted into the groove 221 and bent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rner of the mobile phone, an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30 protruding from the base 110. can

본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에 삽입되는 휴대폰은 모서리 부분은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곡면의 R-값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케이스의 모서리면(22,24,26,28)도 휴대폰 기종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110)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모서리면(22,24,26,28)에 끼움 결합되므로 휴대폰 기종의 곡면에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corner of the mobile phone inserted into the mobile phone case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 different R-value of the curved surface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Therefore, the edge surfaces 22, 24, 26, and 28 of the mobile phone case may also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obile phone model. Since the base 110 of this embodimen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fitted to the edge surfaces 22, 24, 26, and 28, it can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mobile phone model.

지지부재(130)는 베이스(110)의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일면은, 완충부재(100)가 홈(221)에 끼움 결합될 시 홈(221)에 접촉되는 면에 대향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30 ma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110 . One surface of the base may be defined as a surface opposite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ove 221 whe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is fitted into the groove 221 .

지지부재(130)가 베이스(110)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베이스(110)가 휴대폰의 모서리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지면서 홈(221)에 끼움 결합될 시 베이스(110)가 탄성 임계치를 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30)에 의해 베이스(1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Since the support member 130 protrudes from the base 110, the base 110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rner of the mobile phone and when fitted into the groove 221, the base 110 is damaged beyond the elastic threshold.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That is, the durability of the base 110 can be increased by the support member 130 .

그리고 지지부재(130)의 단부는 완충부재(100)가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이 결합될 경우, 휴대폰의 모서리부분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110) 면은 휴대폰의 모서리부분과 이격되어 있으며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공간은 본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를 장착한 휴대폰의 모서리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phone case and the mobile phone to which the buffer member 100 is coupled are coupled,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130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edge of the mobile phone. In this case, the surface of the base 110 on which the support member 130 is not formed is spaced apart from the corner of the mobile phone, and thus a buffer space can b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is buffer space can mitig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corner of the mobile phone case equipped with the mobile phone case of this embodiment.

상술한 효과를 위해 지지부재(130)는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돌출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30)는 결합홀(10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가 결합홀(10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완충공간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덧붙여 이 경우 결합돌기(2211)는 홈(22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For the above effect, the support members 130 may protrude at position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110 .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30 may be formed at a symmetrical position relative to the coupling hole 101 . Since the support member 130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hole 101, the aforementioned buffer space can be evenly distributed. In addition, in this case,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22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roove 221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0: 제1면 21, 23: 세로면
25,27: 가로면 22,24,26,28: 모서리면
221: 홈
100: 완충부재 101: 결합홀
110: 베이스 130: 지지부재
10: first surface 21, 23: vertical surface
25,27: horizontal plane 22,24,26,28: edge plane
221: Home
100: buffer member 101: coupling hole
110: base 130: support member

Claims (1)

휴대폰의 후면을 커버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휴대폰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홈; 및
상기 홈에 끼움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a first surface covering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a second surfa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surface and covering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t least two groove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shock absorbing member fitted into the groove.
KR1020220067374A 2021-07-13 2022-06-02 Case for mobile phone KR202300112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374A KR20230011224A (en) 2021-07-13 2022-06-02 Case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489A KR102406222B1 (en) 2021-07-13 2021-07-13 Case for mobile phone
KR1020220067374A KR20230011224A (en) 2021-07-13 2022-06-02 Case for mobile ph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489A Division KR102406222B1 (en) 2021-07-13 2021-07-13 Case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224A true KR20230011224A (en) 2023-01-20

Family

ID=819817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489A KR102406222B1 (en) 2021-07-13 2021-07-13 Case for mobile phone
KR1020220067374A KR20230011224A (en) 2021-07-13 2022-06-02 Case for mobile phon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489A KR102406222B1 (en) 2021-07-13 2021-07-13 Case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06222B1 (en)
WO (1) WO202328705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222B1 (en) * 2021-07-13 2022-06-08 주식회사 올로 Case for mobile phone
KR102551355B1 (en) * 2022-08-12 2023-07-03 신준섭 Smartphone cas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4882B2 (en) * 2012-06-08 2014-07-08 A.G. Findings & Mfg. Co. Mobile device case with removably insertable corners
KR101933944B1 (en) * 2017-06-27 2019-01-02 김성길 Protective guard for mobile terminals
KR200488623Y1 (en) * 2018-08-02 2019-03-04 주식회사 애즈포러스 Card Storage Bumper Case
CN208924318U (en) * 2018-12-31 2019-05-31 陈佳卓 Mobile phone protecting case
KR102116885B1 (en) * 2019-12-20 2020-06-01 (주)피에이치원 Smartphone case
KR102406222B1 (en) * 2021-07-13 2022-06-08 주식회사 올로 Case for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222B1 (en) 2022-06-08
WO2023287051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145B1 (en) Protective case for potrable terminal with speaker sound amplification path
KR20230011224A (en) Case for mobile phone
US9756915B2 (en)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sensor cover
US888586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58855B2 (en) Mobile terminal having shielding member
KR101437966B1 (en) Portable terminal
CN105517393A (en)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1418154B1 (en) Terminal having speaker unit
US9853349B2 (en) Electronic device
KR20110027951A (en) Mobilephone protect case for bar-type mobilephone
US20210152944A1 (en) Sound Emitting Structure and Terminal
KR20110033694A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04864U (en) Cellular phone case combined with battery cover
KR101585383B1 (en) Protecting case for mobile device
KR200473279Y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reinforcement in the structure
KR101229079B1 (en) Bumper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1039639B1 (en) Portable terminal and speaker apparatus thereof
CN210380944U (en) Electronic device
KR102097081B1 (en) Assembling structure f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101546867B1 (en) Jelly type surface protection case for mobile phone
KR200466469Y1 (en)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02166U (en) Case for mobile terminal
CN109873884A (en) A kind of flexibility screen assembly, flexible screen mould group and wearable device
KR20140045617A (en) Elastic band attached bumper case for smart phone
KR101975435B1 (en) A Protective Case for Mobile Having Sound Guidance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