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202A - 미생물 감염의 치료를 위한 프로테아제 제형 - Google Patents

미생물 감염의 치료를 위한 프로테아제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202A
KR20230010202A KR1020227039453A KR20227039453A KR20230010202A KR 20230010202 A KR20230010202 A KR 20230010202A KR 1020227039453 A KR1020227039453 A KR 1020227039453A KR 20227039453 A KR20227039453 A KR 20227039453A KR 20230010202 A KR20230010202 A KR 20230010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otease
composition according
hyaluronic acid
glyc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츠 클래르선드
Original Assignee
자이미크 테크놀로지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미크 테크놀로지 에이비 filed Critical 자이미크 테크놀로지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3001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2Serine endopeptidases (3.4.21)
    • A61K38/4826Trypsin (3.4.21.4) Chymotrypsin (3.4.21.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3Periodo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2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containing insect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한 프로테아제 제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 및 화장료에 사용하기 위한 안정한 프로테아제 제형과 생물막(biofilm) 제형의 방지 및 감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생물 감염의 치료를 위한 프로테아제 제형
본 발명은 미생물 감염 치료를 위한 안정한 프로테아제(protease) 제형에 관한 것이다.
박테리아, 진균 및 바이러스 감염은 생명을 위협하는 공격적인 감염에 대해 적대적이지 않은 비교적 경미한 단기 감염일 수 있다. 숙주 세포막에서의 미생물 부착은 숙주에서 감염을 확립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다. 미생물 표면 단백질은 부착, 내재화(internalization), 집락화(colonization) 및 독성 분자의 분비를 통해 미생물 감염을 시작하는 세포 표면 단백질을 인식하여 숙주 조직 내에서 박테리아 세포 발달과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Meena et al. 2020). 미생물 감염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좋은 전략은 감염의 첫 번째 단계인 미생물 부착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것이다.
외부 환경에 노출된 포유동물 신체의 표면은 미생물(microbe), 즉 미생물총(microbiota)에 의해 집락화된다. 내인성 미생물 중 일부는 특정 상황에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이나 다른 동물에 서식하는 외인성 병원체 중 일부는 우리의 항균 방어를 이기고 우리가 접촉할 경우 해를 끼칠 수 있다. 병원성 미생물 불균형 미생물총(pathogenic dysbiotic microbiota)을 건강한 공생 미생물총(symbiotic microbiota)으로 전환하는 좋은 전략은 병원균의 과증식을 줄이고 미생물 다양성(microbial diversity)을 증가시키기 위해 생물막(biofilm) 구조와 부착 메커니즘을 표적으로 삼는 것일 수 있다. 여러 연구는 건강한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병에 걸린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차이를 확인했으며(Rosenthal et al. 2011), 디스바이오시스(dysbiosis)라고 하는 미생물의 불균형이 수많은 병리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동물에서 피부 감염을 없애기 위한 전통적인 접근 방식은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과 같은 비특이적 항균제로 유해 물질(offending agent)을 표적으로 삼으려는 시도였다. 공생 피부 미생물군집(commensal skin microbiome)에 대해 더 많은 정보가 얻어짐에 따라, 이러한 비특이적 접근 방식이 이상적인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어야 한다(Rosenthal et al). 예를 들어, 농피증(pyoderma)의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클로르헥시딘은 핵심 미생물군집의 많은 부분에 대해 효능이 있으므로 병원성 성분과 유익한 성분을 둘 다 억제할 수 있다.
항생제의 무제한 사용은 우리 시대의 가장 시급한 건강 위험 중 하나인 항생제 내성 증가를 초래하여 치료할 수 없는 인간 감염의 부상으로 이어졌다(WHO, 2019). 항생제는 또한 동물의 수의학적 치료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많은 약물은 인간의 박테리아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고, 항생제 내성은 치료 실패 및 그에 따른 동물 건강 악화와 관련이 있다. 반려동물은 또한 다제내성 병원체를 획득하고 인간과 교환할 수 있으며, 접촉하는 사람들에 대해 항미생물 내성의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다(Buckland et al, 2016).
박테리아 내성 메커니즘의 레퍼토리를 견딜 수 있는 새로운 항미생물제를 개발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생존력 대신 부착 및 집락화와 같은 박테리아 독력(virulence) 특성을 표적으로 하는 것은 항생제 치료에 대한 가치 있는 대안 전략으로 간주된다(Asadi et al, 2019). 숙주 세포 또는 조직으로의 병원체의 부착은 세균 감염의 첫 번째 단계이며 집락화(생물막)를 생성하는 첫 번째 단계이기도 하다. 생물막 생성 박테리아는 모든 박테리아 감염의 최대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Bryers, 2008). 생물막은 복잡한 다당류, 단백질, 지질 및 세포외 DNA의 자가 합성 층에 의해 보호되는 미생물 군락이다. 박테리아가 생물막으로 작용할 때 면역계와 항생제에 대한 박테리아의 내성은 최대 100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Gilbert et al, 1997). 항부착 요법은 또한 박테리아 개체군에 대한 선택적 압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감소로 인해 내성으로 이어지는 돌연변이의 출현을 초래할 가능성이 적다.
항생제는 흔히 병원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전신 사용되며 치료하는 동안 우리의 건강에 중요한 우리의 공생 미생물총의 다양한 박테리아 종에 작용한다. 이것은 장 및 피부 미생물 개체군에서 이전에 미미한 기여자에 의한 감소된 박테리아 다양성 및 파생물을 포함하여 거주 군락의 재구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의 피부와 점막은 숙주의 선천성 면역계 및 적응성 면역계와 지속적인 대화를 하는 미생물 군락 간의 공생 관계로 만들어진 복잡한 장벽 기관으로, 잘 통제되지만 섬세한 균형을 이루는 상기 관계가 건강한 피부에 필수적이다. 항생제로 인한 건강한 미생물총의 변화는 치료 후 몇 개월 또는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Shaw et al, 2019).
효소, 특히 프로테아제는 박테리아 부착과 같은 미생물 부착을 감소 또는 억제하고, 미생물을 죽이지 않고 생물막을 용해시키는 데 매우 적합하다. 프로테아제는 수십 년 동안 약제(medicine)에 사용되어 왔으며 확립되고 잘 용인되는 종류의 치료제이다(Craik et al, 2011).
미생물/박테리아 부착을 표적으로 하고 내성을 유발하지 않으며 환자의 천연 미생물총에 미치는 영향이 없거나 낮은, 무독성 화합물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고도로 안정적인 국소 항미생물 조성물, 예컨대 항박테리아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신규 제형을 개발하였다. 상기 제형은 생물막 형성을 방지 및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대상체 또는 생물학적 표면 상의/내부에서 미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안정한 프로테아제 제형이다. 또한, 상기 제형은 미생물 내성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항생제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제형은 임상용 잠재력이 높고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ⅰ. 프로테아제 0.01 내지 0.2% w/w;
ⅱ. 글리세롤 50 내지 70% w/w;
ⅲ. 히알루론산 0.0 내지 0.1% w/w; 및
ⅳ. 2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염 0.01 내지 0.2% w/w.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약제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포유동물 내부 및/또는 포유동물 상의 미생물 감염, 피부 질환(dermatological conditions) 및 구강 질환(oral condition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병태(condition)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ⅰ. 프로테아제;
ⅱ. 글리세롤;
ⅲ. 히알루론산; 및
ⅳ. 2가 양이온.
한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포유동물 내부 및/또는 포유동물 상의 미용 용도를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ⅰ. 프로테아제;
ⅱ. 글리세롤;
ⅲ. 히알루론산; 및
ⅳ. 이염화칼슘.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생물막의 방지 및/또는 감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미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성분을 25℃에서 다음 순서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술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ⅰ. 글리세롤;
ⅱ. 완충제(buffer);
ⅲ. 히알루론산; 및
ⅳ. 프로테아제.
도 1. 제형 최적화는 용액에서 트립신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40±2℃/100% RH)에서 보관 후 트립신의 잔류 활성에 대한 다양한 제형의 효과를 나타내는 플롯. 제형 조성물(N16)은 pH 8.5로 글리세롤 60w/w%, CaCl2 0.1w/w%, 콜라겐 0.3w/w% 및 트립신 0.04w/w%를 함유한다. 제형 조성물(N15)은 pH 8.5로 글리세롤 50w/w%, CaCl2 0.1w/w%, 콜라겐 0w/w% 및 트립신 0.04w/w%를 함유한다. (완충제) 용액은 pH 7.5로 트립신 0.04 w/w%를 함유하였다. 반감기를 추정하기 위해 비선형 회귀를 사용하였다.
도 2. 제형 A는 시험관 내에서 생물막 형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음성 대조군 제형(n=12) 및 테스트 제형 A(n=6)로 처리한 후 (도 2a)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도 2b) 스타필로코커스 슈딘테르메디우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및 (도 2c) 말라세지아 파키데르마티스(Malassezia pachydermatis)로부터 미리 형성된 생물막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플롯. 제형 A는 대조군 제형과 비교하여 집락 형성 단위(CFU)/peg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데이터는 오차 막대가 있는 평균으로 표시된다(95% 신뢰 구간).
도 3. 효소 치료 후 관찰된 종의 수가 증가하였다. 효소 치료 그룹(n=7) 및 프로테우스 감염(Proteus infection)이 있는 개 중 한 마리에서 관찰된 종의 수를 나타내는 플롯. 대조군(n=6)은 치료를 전혀 받지 않았다. 연구 말미에, 관찰된 종의 수가 가장 많은 그룹은 효소 치료 그룹이었다. 대조군에서는 관찰된 종의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다. 데이터는 오차 막대(표준 오차)가 있는 평균으로 표시된다.
도 4. 임상적으로 관련된 병원체의 풍부도와 미생물 다양성 사이에는 분명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임상적으로 관련된 병원체의 풍부도를 데이터세트에 얼마나 많은 상이한 종이 있는지를 반영하는 정량적 측정치인 미생물 다양성 점수, Shannon 지수에 대해 표시하였는데, 이는 두 매개변수 사이에 명확한 상관관계(r2=0.8)를 보였다. 이것은 임상적으로 관련된 병원체의 낮은 풍부도가 높은 미생물 다양성 점수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도 5. 임상 관련 병원체의 풍부도는 두 치료 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세 환자 그룹 모두에 대해 연구 기간의 0일부터 28일까지 임상적으로 관련된 병원체의 상대적 풍부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플롯. 대조군은 임상적으로 관련된 병원체의 증가를 보인 반면, 두 치료 그룹은 모두 감소를 나타냈다. 효소 치료 그룹은 클로르헥시딘 치료된(p=0.048) 다른 치료 그룹에 비해 약간 더 큰 감소(p=0.028)를 보였다. 데이터는 오차 막대(표준 오차)가 있는 평균으로 표시된다.
도 6. 알파 다양성은 주로 효소 그룹에서 증가하였다. (A) 0일 및 (B) 28일째에 알파 다양성, 즉 치료된 영역의 평균 종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플롯. 28일째에, 평균 알파 다양성은 효소 치료 그룹에서 197에서 404(중앙값; 53에서 479)로 증가하였고 클로르헥시딘 그룹에서는 359에서 392(중앙값; 345에서 388)로 유의미하지 않은 약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조군에서는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평균; 300에서 312, 중앙값; 300에서 192). 데이터는 오차 막대(표준 오차)가 있는 평균으로 표시된다.
도 7. 치은염(gingivitis) 점수와 치주(periodontal) 점수/등급은 치료 그룹(n=5)에서 감소하였다. 제형 A로 치료한 후 (A) 치은염 점수의 감소 및 (B) 치주 점수의 감소를 나타내는 플롯. 이것은 제형 A로 치료된 개에서 감소된 치은염 및 일반적으로 개선된 치아 건강을 시사한다. 데이터는 오차 막대(표준 오차)가 있는 평균으로 표시된다.
도 8. 제형 A로 치료된 개에서 장기간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치은염 상태 테스트를 연구가 끝난 후에도 계속하였고, 점수는 개시 후 60일이 초과해도 계속 낮게 유지되었다. 이 효과는 60일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건강하지 않은 미생물총이 더 건강한 미생물총으로 대체되었음을 시사한다.
정의
본원에 사용된 용어 "프로테아제"는 짧거나 긴 임의의 길이의 폴리펩티드를 펩티드 결합에서, 예를 들어, 펩티드 결합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절단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테아제의 기질은 폴리펩티드이다. 상기 기질은 천연 발생 폴리펩티드 또는 합성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생물막"이라는 용어는 미생물이 분산되는/되거나 집락을 형성하는 세포외 기질을 나타낸다. 생물막은 전형적으로 다당류 및 기타 거대분자로 구성된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생물막 방지" "생물막 감소" 또는 "생물막 축소" 등의 용어는 생물막 성장 방지, 생물막 성장 속도 감소, 기존 생물막의 부분 제거(eradication) 및/또는 기존 생물막의 완전 제거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안정성"은 생체 내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예를 들어, 실온에서의 저장 안정성)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에 비례하여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기타 문제나 합병증 없이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인간 및 동물의 조직, 기관 및/또는 체액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형을 지칭한다.
"미생물 감염"이라는 용어는 숙주 유기체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원치 않는 증식 또는 침입의 존재를 지칭한다. 여기에는 보통 포유동물 또는 다른 유기체의 신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과도한 성장이 포함된다. 더욱 일반적으로, 미생물 감염은 미생물 개체군(들)의 존재가 숙주 포유동물에 손상을 주는 임의의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감염은 과도한 수의 미생물 개체군이 포유동물의 신체 내부 또는 포유동물의 신체 상에 존재할 때, 또는 미생물 개체군(들)의 존재 효과가 포유동물의 세포 또는 다른 조직을 손상시킬 때 존재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미생물 다양성"은 포유동물의 입 또는 피부와 같은 특정 환경 내에 얼마나 많은 상이한 유형의 미생물 종이 존재하는지의 측정치를 지칭하는 동시에 다른 종에 대한 상기 종의 종합적인 표현을 고려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용어 "w/w"는 "중량/중량"을 의미한다. "% w/w"라는 표현은 "wt%" 또는 "중량 퍼센트"와 동의어이다. 예로서, 50% w/w의 A를 포함하는 10g의 조성물은 5g의 A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A X 내지 Y%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같은 구는 X 내지 Y% 범위의 A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두 임계값 모두 포함된다. 즉, X가 Y보다 작다면, 조성물은 X% 미만의 A를 포함하지 않고, 조성물은 Y% 초과의 A를 포함하지 않는다.
안정한 제형
본 개시내용은 미생물 감염 치료를 위한 안정한 프로테아제 제형에 관한 것이다. 프로테아제는 미생물 감염, 생물막에 대한 치료에 매우 적합하고 무독성이며 치료제로서 잘 용인된다. 내성을 유발하지 않는 제형으로 항생제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ⅰ. 프로테아제 0.01 내지 0.2% w/w;
ⅱ. 글리세롤 50 내지 70% w/w;
ⅲ. 히알루론산 0.0 내지 0.1% w/w; 및
ⅳ. 2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염 0.01 내지 0.2% w/w.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2가 양이온은 칼슘이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0.01 내지 0.2%의 칼슘염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0.01 내지 0.2%의 염화칼슘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완충제, 예를 들어, pH 완충제를 0.1 내지 0.4% w/w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완충제는 둘 이상의 완충제 시스템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완충제는 트리스(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 및 MOPS(3-모르폴리노프로판-1-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당업자는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제의 사용을 이해할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단당류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당류는 오탄당 또는 육탄당일 수 있다. 단당류는 사이클릭 형태, 선형 형태 또는 이 두 형태의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단당류 0.0 내지 0.2% w/w, 예컨대 단당류 0.01 내지 0.2% w/w를 포함한다. 피부 적용을 위해, 예를 들어, 젤의 적용을 위해, 상기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단당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진피 조성물이고 단당류, 예컨대 단당류 0.01 내지 0.2% w/w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단당류 0.0% w/w와 같이 단당류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단당류는 만노스(mannose)이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만노스 0.0 내지 0.2% w/w, 예컨대 만노스 0.01 내지 0.2% w/w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을 추가로 포함한다. 콜라겐은 동물 및 어패류의 조직으로부터 추출되고 정제된 임의의 콜라겐일 수 있다. 생성된 콜라겐의 추출 및 분해 방법이나 변형 정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콜라겐은 변형될 수 있는데, 예컨대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콜라겐은 젤라틴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0.0 내지 0.3% w/w, 예컨대 콜라겐 0.01 내지 0.3% w/w를 포함한다. 미용 용도의 경우, 제형은 유리하게는 콜라겐을 포함할 수 있다. 콜라겐은 진피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피용의 더욱 유리한 특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예컨대 콜라겐 0.01 내지 0.3%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0.0% w/w와 같이 콜라겐을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프로테아제는 트립신이다. 트립신은 아미노산 라이신과 아르기닌의 카복실 쪽에 있는 펩티드 쇄를 주로 절단하는 세린 프로테아제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프로테아제 0.01 내지 0.2% w/w, 예컨대 트립신 0.01 내지 0.2% w/w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프로테아제 0.02 내지 0.09% w/w, 예컨대 트립신 0.02 내지 0.09 w/w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프로테아제 0.04% w/w, 예컨대 프로테아제 0.04% w/w를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디올, 트리올 또는 폴리올 중 하나 이상, 예컨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당 알코올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디올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디올을 50 내지 80% w/w, 예컨대 50 내지 75% w/w, 예컨대 50 내지 70% w/w, 예컨대 50 내지 62% w/w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롤을 50 내지 80% w/w, 예컨대 50 내지 75% w/w, 예컨대 50 내지 70% w/w, 예컨대 50 내지 62% w/w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디올, 예컨대 글리세롤 60%를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디올, 트리올 및/또는 폴리올의 역할은 부분적으로 상기 조성물에서 수분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수분 활성을 감소시키면 결국 프로테아제가 불활성화된다. 프로테아제의 불활성화는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과 같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및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및 히알루론산 칼슘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히알루론산염을 포괄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예컨대 히알루론산을 0.0 내지 0.1% w/w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예컨대 히알루론산을 0.002 내지 0.1% w/w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예컨대 히알루론산을 0.0 내지 0.04% w/w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예컨대 히알루론산을 0.002 내지 0.04% w/w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예컨대 히알루론산 0.02% w/w를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을 0.0 내지 0.1% w/w, 예컨대 0.002 내지 0.1% w/w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ⅰ. 프로테아제 0.02 내지 0.09% w/w;
ⅱ. 글리세롤 50 내지 62% w/w;
ⅲ. 히알루론산 0.0 내지 0.04% w/w;
ⅳ. CaCl2 0.01 내지 0.1% w/w;
ⅴ. Tris 또는 MOPS 0.1 내지 0.4% w/w;
ⅵ. 만노스 0.0 내지 0.2% w/w; 및
ⅶ. 콜라겐 0.0 내지 0.3% w/w.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ⅰ. 프로테아제 0.04% w/w;
ⅱ. 글리세롤 60% w/w;
ⅲ. 히알루론산 0.2% w/w;
ⅳ. 이염화칼슘 0.01% w/w; 및
ⅴ. Tris 또는 MOPS 0.1% w/w.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ⅰ. 프로테아제 0.04% w/w;
ⅱ. 글리세롤 60% w/w;
ⅲ. 히알루론산 0.02% w/w;
ⅳ. 이염화칼슘 0.01% w/w; 및
ⅴ. Tris 또는 MOPS 0.1% w/w.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성분의 조합은 100%를 초과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pH는 6.0 내지 7.5, 예컨대 6.2 내지 7.4이다. 용액의 pH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는 pH 전극이나 pH 지시약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물의 적어도 일부는 완충제로부터 유래한다. 자유수의 존재는 프로테아제를 활성화하고/하거나 불안정화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의 물은, 예를 들어, 글리세롤 및 본원에 기술된 기타 알코올과 같은 다른 성분에 의해 불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50% w/w 미만의 물, 예컨대 20 내지 50% w/w의 물을 포함한다. 프로테아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성물 내 수분 활성도가 낮은 것이 중요하다. 상기 조성물을, 예를 들어, 상처, 피부에 또는 구강 내에 적용 시, 상기 상처, 피부 또는 구강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조성물과 혼합되어 수분 활성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결국 프로테아제를 활성화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프레이, 젤, 크림, 로션, 연고, 폼(foam) 또는 덴탈 츄(dental chew)의 형태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약제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 실시양태는 약제에 사용하기 위한 개시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포유동물 내부 및/또는 포유동물 상의 미생물 감염, 피부 질환 및 구강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또는 미용 용도를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ⅰ. 프로테아제;
ⅱ. 글리세롤;
ⅲ. 히알루론산; 및
ⅳ. 2가 양이온.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포유동물 내부의 미생물 감염, 피부 질환 및 구강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ⅰ. 프로테아제;
ⅱ. 글리세롤;
ⅲ. 히알루론산; 및
ⅳ. 2가 양이온.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미생물 감염은 박테리아 감염, 진균 감염, 효모 감염 및 바이러스 감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피부 질환은 피부 감염(skin infection)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피부 질환은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건선(psoriasis), 주사(rosacea) 및 여드름(ac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구강 질환은 구강 감염(oral infection)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구강 질환은 치아 감염(dental infection)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포유동물은 개, 고양이, 말 또는 인간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프로테아제는 트립신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2가 양이온은 칼슘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완충제를 0.1 내지 0.4% w/w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 완충제의 완충제는 Tris 및 MOP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단당류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단당류는 만노스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pH는 6.0 내지 7.5, 예컨대 6.2 내지 7.4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프레이, 젤, 크림, 로션, 연고, 폼 또는 덴탈 츄의 형태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국소 용도(topical use)를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전술한 청구항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생물막의 방지 및/또는 감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생물막은 포유동물 내부 또는 포유동물 상의 생물막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생물막은 생물학적 표면의 생물막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미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장벽과 피부 미생물총은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데 필수적이고 피부 미생물총의 구성과 피부 장벽 기능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아토피 피부염, 건선, 주사 또는 여드름과 같은 일부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에서 입증된 디스바이오시스 상태(불균형 상태)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chommer et al, 2013). 따라서, 피부 미생물군집 및 미생물 다양성을 자극하는 조성물은 이러한 병태의 치료 및 미용 목적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안정한 제형은 클로르헥시딘과 마찬가지로 임상적으로 관련된 병원체의 감소에 대해 유사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클로르헥시딘은 알레르기 반응(특히 습진 환자에서)을 유발할 수 있고 항생제에 대한 교차 내성이 보고되었으며 진균 및 마이코박테리아(mycobacteria)에 대한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것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치과용 클로르헥시딘은 치아 착색, 치석 형성 증가 및 구강의 (건강한) 미생물군집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제형의 사용이 클로르헥시딘보다 유리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성분을 25℃에서 다음 순서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의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ⅰ. 글리세롤;
ⅱ. 완충제;
ⅲ. 히알루론산; 및
ⅳ. 프로테아제.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는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내부 및/또는 포유동물 상의 미생물 감염, 피부 질환 및 구강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ⅰ. 프로테아제;
ⅱ. 글리세롤;
ⅲ. 히알루론산; 및
ⅳ. 2가 양이온.
실시예
실시예 1: 안정성 실험
방법
트립신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를 연구하기 위해 5가지 매개변수의 부분 요인 설계(fractional factorial design)와 그 농도를 사용하였다(표 1).
Figure pct00001
다양한 조합을 혼합하고 MOPS 완충제를 사용하여 pH를 조정하였다. 2개의 상이한 제형을 시험하였다: 글리세롤 60w/w%, CaCl2 0.1w/w%, 콜라겐 0.3w/w% 및 트립신 0.04w/w%를 함유하는 pH 8.5의 제형 조성물 N16, 및 글리세롤 50w/w%, CaCl2 0.1w/w%, 콜라겐 0w/w% 및 트립신 0.04w/w%를 함유하는 pH 8.5의 제형 조성물 N15. 트립신 0.04w/w%를 함유하는 pH 7.5의 완충제 용액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테스트 제형인 제형 A도 동일한 조건에서 평가하였다.
제형 혼합물을 밀봉된 폴리프로필렌 병에 넣었다. 각 제형 조성물의 산물은 최대 411일 동안 스트레스 조건(40±2℃/100% RH)에서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샘플을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 꺼내 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직접 분석하였다. 트립신 활성은 405nm에서 분광 광도계로 Z-Gly-Pro-Arg-pNA를 기질로 사용하여 30℃에서 측정하였다. 분당 흡광도 감소를 활성 매개변수로 사용하였다. 시점 0에 대한 반감기 또는 잔류 활성을 측정하고 안정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하였다. 반감기를 추정하기 위해 비선형 회귀를 사용하였다.
결과
트립신의 반감기는 완충제에서 2일에서 가장 안정적인 제형에서 400일 초과로 증가하였다. 411일 후에도 효소 활성이 여전히 88% 초과로 잔류하기 때문에 가장 안정한 제형에서는 반감기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었다. 40℃에서 411일 동안 보관한 후 잔류 활성은 테스트된 조합에 대해 20%에서 88%로 다양하였다(도 1). 제형 A는 또한 119일 동안 40℃에서 보관한 후 >90%의 잔류 활성으로 매우 안정하였다. 이의 실온 25-30℃에서의 저장 수명은 3년 초과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
40℃의 스트레스 조건에서 용액 내 트립신의 안정성을 극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최적화된 제형의 실온에서의 예상 저장 수명은 3년 초과로 예상된다.
실시예 2: 항생물막 활성
이 연구의 목적은 ASTM E2799-12 표준에 따라 MBEC™ 검정을 사용하여 미리 형성된 생물막 및 생물막 형성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안정성이 테스트된 테스트 제형인 제형 A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ASTM E2799-12는 MBEC 검정을 사용하여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스타필로코커스 슈딘테르메디우스 및 말라세지아 파키데르마티스 생물막에 대한 소독제(disinfectant) 효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표준 테스트 방법이다.
방법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에서 장치의 부드러운 회전에 의해 생성된 매우 낮은 전단력의 배치 조건하에 peg에 성숙한 생물막을 생성하였다. 24-48시간의 성장이 끝나면, 생물막을 함유하는 peg를 헹구어 플랑크톤 세포를 제거하고 peg 리드(lid)를 리시버 플레이트(receiver plate)에 놓았다. 리시버 플레이트의 웰은 소독제뿐만 아니라 적절한 멸균, 성장 및 중화제 대조군을 함유하는 실험 설계에 따라 채웠다. 본 연구에서 소독제는 표 2에 기술된 제형과 활성제가 없는 캐리어 용액인 음성 대조군이었다(표 3). 지정된 접촉 시간 후, peg 리드를 중화제가 들어 있는 리시버 플레이트에 놓고, 전체 장치를 초음파처리기에 넣어 생물막을 제거하고 군집(clump)을 분해하였다. 그런 다음 각 웰의 샘플을 희석하고, 플레이팅하고 생존 세포를 계수하였다. 생존 세포의 로그 감소는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의 평균 로그 밀도에서 처리된 생물막의 평균 로그 밀도를 빼서 계산하였다. 결과는 집락 형성 단위(CFU)/peg로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결과
CFU/peg의 수는 대조군 제형과 비교하여 제형 A로 처리한 후의 본 연구에서 분석된 모든 미생물: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스타필로코커스 슈딘테르메디우스 및 말라세지아 파키데르마티스에 대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2).
결론
제형 A는 테스트된 미생물에 의해 형성된 생물막을 성공적으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3: 프렌치불독(French bulldog)의 코주름의 미생물 다양성(임상 연구)
본 임상 연구의 목적은 개의 피부 주름에서 천연 미생물총의 영향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해법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방법
본 연구는 19마리의 개인 소유 개(프렌치불독)를 포함하는 무작위, 단일 맹검의 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y)였다. 테스트된 두 용액은 데나토늄 벤조에이트(denatonium benzoate) 0.002w/w% 및 2% 클로르헥시딘 용액이 첨가된 제형 A(효소)였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는 개가 상처 또는 치료 부위를 핥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형 A에 첨가된 고미제(bittering agent)이다. 포함된 개는 상이한 세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어떤 치료도 받지 않은 대조군 1개(n=6), 및 효소 치료 그룹(n=7)과 클로르헥시딘 치료 그룹(n=6)인 2개의 치료 그룹.
다음 포함 기준을 사용하였다:
ⅰ. 병력 및 임상검사에 근거하여 비상악 주름 피부염(nasomaxillary fold dermatitis)(간찰진(intertrigo))으로 잠정 진단됨
ⅱ. 1차 조사관의 의견에 따라 상태가 안정적이지 않은 한 동시에 발생하는 전신 질환(concurrent systemic illness) 또는 대사 질환 없음
ⅲ. 임신 또는 수유 중이 아닌 개
ⅳ. 서명된 동물 소유자 동의서
다음 제외 기준을 사용하였다:
ⅰ. 비강 주름에서 심한 농피증과 일치하는 임상 병변(예컨대 누공(fistula), 봉와직염(phlegmon) 및 종기(furuncle))
ⅱ. 코주름의 궤양화
ⅲ. 코주름을 만지는 것을 허용하지 않은 개
ⅳ. 연구 기간 2주 전 또는 연구 기간 동안 코주름에 대해 임의의 다른 형태의 국소 치료 또는 임의의 형태의 항생제 치료
ⅴ. 포함 2주 전부터 연구 기간 내내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한 진행 중인 치료의 변화
ⅵ. 포함 90일 전부터 연구 기간 내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0일에 개는 일반 임상 검사를 받았다. 세포학 샘플을 양측 비상악 주름에서 채취하였다. 개의 비상악 주름에서 면봉을 수집하여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차세대 DNA 시퀀싱(MiDOG, CA, USA)을 위해 보냈다. 0일에는 클리닉 방문 당일을 제외하고 재방문 시까지 1일 2회(아침 및 저녁) 각 코주름 부위에 테스트 용액(효소 치료 용액 또는 클로르헥시딘)을 도포하는 방법도 애완동물 주인에게 안내하였다. 테스트 제품 2병을 주인에게 제공하고 테스트 제품을 실온에서 보관하도록 지시하였다.
14일째에 0일과 동일한 테스트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방문에서 가능한 부작용도 언급하였다. 애완동물 주인에게 이전 지침에 따라 다음 주에 치료를 계속하고 재방문 당일에 치료를 해서는 안 되며 다음 방문 시 모든 스프레이 병을 클리닉에 반납해야 한다고 알려준다.
28일째에 이전에 클리닉을 방문했을 때와 동일한 테스트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다시 한번, 가능한 부작용을 기록하였다. 테스트 용액 병의 무게를 기록한다. 애완동물 주인은 모든 국소 제품 적용을 중단하고 2주 후에 동물을 재평가하도록 지시받았다.
42일째에(치료 중단 후 14일) 테스트 샘플의 마지막 수집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모든 개는 박테리아 및 진균 문(phylum) 수준에서 낮은 다양성을 보였지만, 종 수준에서는 높은 박테리아 다양성과 낮은 진균 다양성을 보였다. 19마리의 개의 피부 주름에 서식하는 주요 피부 박테리아 문은 피르미쿠테스(Firmicutes), 악티노박테리아(Actinobacteria) 및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였다. 주요 피부 진균 문은 자낭균류(Ascomycota) 및 담자균류(Basidiomycota)였다. 국소 치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박테리아 및 진균 구성의 다양성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미생물 다양성 점수의 증가로 나타났다(도 3). 효소 치료 그룹(제형 A)의 경우 그 증가가 38%, 클로르헥시딘 그룹의 경우 11%, 대조군의 경우 < 5%였다. 임상적으로 관련된 병원체의 풍부도와 미생물 다양성 사이의 명확한 상관관계(r2=0.8)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임상적으로 관련된 병원체의 낮은 풍부도가 데이터세트에 얼마나 많은 상이한 종이 있는지를 반영하는 정량적 측정치인 미생물 다양성 점수, Shannon 지수의 높은 값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도 4). 두 치료 그룹에서 임상적으로 관련된 병원체의 풍부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효소 치료 그룹; p=0.028, 클로르헥시딘 그룹; p=0.048)(도 5). 알파 다양성, 즉 처리된 영역의 평균 종 다양성은 0일(도 6A)에서 28일(도 6B)까지 효소 치료 그룹에서 주로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는 제형 A를 사용한 국소 요법이 프렌치불독의 코주름에서 임상적으로 관련된 병원체의 상대적 풍부도를 감소시키고 미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냈다. 이는 제형 A가 클로르헥시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4: 개의 치아 건강(임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의 치아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제형 A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방법
본 임상 연구는 5마리의 개인 소유 개에 대한 오픈 라벨 전향적 연구였다. 다음 포함 기준을 사용하였다:
ⅰ. OraStrip® 치과 진단 테스트 점수(치은염 점수) ≥ 3(중등도에서 중증 활동성 치주 질환(active periodontal disease)의 위험이 97% 이상임을 의미)
ⅱ. 양호 내지 우수한 건강
ⅲ. 질환 또는 감염이 없음
ⅳ. 최근 치과 > 6-8주 전
ⅴ. 서명된 동물 소유자 동의서
OraStrip® 치아 진단 테스트(CET OraStrip, Virbac, Ft. Worth, TX)는 치주 질환을 감지하고 중등도에서 중증 치주 질환의 위험을 평가하는 테스트로 클리닉에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진단 테스트는 치주 질환과 관련된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는 유기 황 화합물인 티올의 수준을 측정하며 치은염 수준의 척도로서 0은 티올이 검출되지 않은 것(치은염 없음)이고 1-5는 활동성 치은염 증가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 사용된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다:
ⅰ. 다수의 발치
ⅱ. 주요 치과 시술
ⅲ. 매일 약물 치료(daily medication)
ⅳ. 연구 기간 동안 임의의 다른 형태의 치아 건강 치료
ⅴ. 연구 프로토콜 미준수
ⅵ. 데이터 기록 후 치료의 부작용. 가능한 부작용은 의사가 처리하였다.
0일에 개는 클리닉에서 관련 임상 검사를 받았다. 임상 검사에는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타액에 대해) OraStrip® 치아 진단 테스트를 사용한 치아 상태 평가가 포함되었다. 치은염과 치주염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치주 점수도 측정하였다(표 4). 개의 치아와 잇몸 사진을 찍었다. 재방문 시까지 1일 2회(아침 및 저녁) 제형 A를 도포하는 방법을 애완동물 주인에게 안내하였고 지침 문서를 제공하였다. 각각의 주인에게 제형 A 1병을 제공하였으며, 실온에서 보관해야 함을 알렸다.
Figure pct00004
14일째에 0일과 동일한 방식으로 치주 등급과 OraStrip® 치아 진단 테스트를 실시하여 기록하였다. 다시 한번, 개의 치아와 잇몸 사진을 찍고 주인에게 이전 지침에 따라 치료를 계속 할 것임을 알려준다.
28일째에 이전 방문에서와 동일한 테스트 및 등급화를 수행하였다. 이 방문에서 가능한 부작용도 기록하였고 병의 무게를 기록하였다.
결과
치료 기간의 28일째에 OraStrip® 테스트는 치은염 수준이 제형 A로 치료된 그룹에서 감소했음을 보여주며, 이는 더 심각한 치주 질환의 위험 감소를 나타낸다(도 7A). 치주 점수도 제형 A로 치료된 개에서 감소하였고, 이는 치료된 개들의 개선된 치아 건강을 시사한다(도 7B). 치은염 정도도 치료 기간이 끝난 후 테스트했는데 치료 중단 후 60일이 지나도 점수는 계속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도 8).
결론
제형 A는 치은염 및 치주 점수를 감소시키면서 개의 치아 건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효과는 60일 넘게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건강하지 않은 미생물총이 더 건강한 미생물총으로 대체되었음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Claims (54)

  1.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
    ⅰ. 프로테아제(protease) 0.01 내지 0.2% w/w;
    ⅱ. 글리세롤 50 내지 70% w/w;
    ⅲ. 히알루론산 0.0 내지 0.1% w/w; 및
    ⅳ. 2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염 0.01 내지 0.2% w/w.
  2.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0.002 내지 0.1% w/w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가 양이온이 칼슘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제(buffer) 0.1 내지 0.4% w/w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Tris 및 MOP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당류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단당류가 만노스(mannose)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라겐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을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ⅰ. 프로테아제 0.02 내지 0.09% w/w;
    ⅱ. 글리세롤 50 내지 62% w/w;
    ⅲ. 히알루론산 0.0 내지 0.04% w/w;
    ⅳ. CaCl2 0.01 내지 0.1% w/w;
    ⅴ. Tris 또는 MOPS 0.1 내지 0.4% w/w;
    ⅵ. 만노스 0.0 내지 0.2% w/w; 및
    ⅶ. 콜라겐 0.0 내지 0.3% w/w.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을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ⅰ. 프로테아제 0.02 내지 0.09% w/w;
    ⅱ. 글리세롤 50 내지 62% w/w;
    ⅲ. 히알루론산 0.002 내지 0.04% w/w;
    ⅳ. CaCl2 0.01 내지 0.1% w/w;
    ⅴ. Tris 또는 MOPS 0.1 내지 0.4% w/w;
    ⅵ. 만노스 0.01 내지 0.2% w/w; 및
    ⅶ. 콜라겐 0.01 내지 0.3% w/w.
  11. 제8항에 있어서, 다음을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ⅰ. 프로테아제 0.04% w/w;
    ⅱ. 글리세롤 60% w/w;
    ⅲ. 히알루론산 0.2% w/w;
    ⅳ. 이염화칼슘 0.01% w/w; 및
    ⅴ. Tris 또는 MOPS 0.1% w/w.
  12. 제8항에 있어서, 다음을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ⅵ. 프로테아제 0.04% w/w;
    ⅶ. 글리세롤 60% w/w;
    ⅷ. 히알루론산 0.02% w/w;
    ⅸ. 이염화칼슘 0.01% w/w; 및
    ⅹ. Tris 또는 MOPS 0.1% w/w.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가 트립신인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의 pH가 6.0 내지 7.5, 예컨대 6.2 내지 7.4인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젤, 크림, 로션, 연고, 폼(foam) 또는 덴탈 츄(dental chew)의 형태인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medicine)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8. 포유동물 내부 및/또는 포유동물 상의 미생물 감염, 피부 질환(dermatological conditions) 및 구강 질환(oral condition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병태(condition)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
    ⅴ. 프로테아제;
    ⅵ. 글리세롤;
    ⅶ. 히알루론산; 및
    ⅷ. 2가 양이온.
  19. 제18항에 있어서, 미생물 감염이 박테리아 감염, 진균 감염, 효모 감염 및 바이러스 감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20. 제18항에 있어서, 피부 질환이 피부 감염(skin infection)인 조성물.
  21. 제18항에 있어서, 피부 질환이 염증성 피부 질환인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염증성 피부 질환이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건선(psoriasis), 주사(rosacea) 및 여드름(ac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23. 제18항에 있어서, 구강 질환이 구강 감염(oral infection)인 조성물.
  24. 제18항에 있어서, 구강 질환이 치아 감염(dental infection)인 조성물.
  25. 제18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개, 고양이, 말 또는 인간인 조성물.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가 트립신인 조성물.
  27. 제17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가 양이온이 칼슘인 조성물.
  28. 제17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Tris 및 MOP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30. 제1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당류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단당류가 만노스인 조성물.
  32. 제1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라겐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33. 제1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의 pH가 6.0 내지 7.5, 예컨대 6.2 내지 7.4인 조성물.
  34. 제1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35. 제1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젤, 크림, 로션, 연고, 폼 또는 덴탈 츄의 형태인 조성물.
  36. 제17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소 용도(topical use)를 위한 조성물.
  37. 포유동물 내부 및/또는 포유동물 상의 미용 용도를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
    ⅰ. 프로테아제;
    ⅱ. 글리세롤;
    ⅲ. 히알루론산; 및
    ⅳ. 이염화칼슘,
  38. 제37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개, 고양이, 말 또는 인간인 조성물.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가 트립신인 조성물.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가 양이온이 칼슘인 조성물.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2. 제41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Tris 및 MOP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43. 제37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당류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4. 제43항에 있어서, 단당류가 만노스인 조성물.
  45. 제3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라겐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6. 제37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의 pH가 6.0 내지 7.5, 예컨대 6.2 내지 7.4인 조성물.
  47.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8. 제37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젤, 크림, 로션, 연고, 폼 또는 덴탈 츄의 형태인 조성물.
  49. 제37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소 사용을 위한 조성물.
  50. 제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생물막(biofilm) 형성의 방지 및/또는 감소를 위한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생물막이 포유동물 내부 또는 포유동물 상의 생물막인 방법.
  52. 제50항에 있어서, 생물막이 생물학적 표면의 생물막인 방법.
  53. 제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미생물 다양성(microbial diversity)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54. 다음 성분을 25℃에서 다음 순서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ⅰ. 글리세롤;
    ⅱ. 완충제;
    ⅲ. 히알루론산; 및
    ⅳ. 프로테아제.
KR1020227039453A 2020-05-13 2021-05-12 미생물 감염의 치료를 위한 프로테아제 제형 KR202300102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4324 2020-05-13
EP20174324.2 2020-05-13
PCT/EP2021/062630 WO2021228942A1 (en) 2020-05-13 2021-05-12 Protease formulation for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202A true KR20230010202A (ko) 2023-01-18

Family

ID=7086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453A KR20230010202A (ko) 2020-05-13 2021-05-12 미생물 감염의 치료를 위한 프로테아제 제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65776A1 (ko)
EP (2) EP4149420B1 (ko)
JP (1) JP2023526302A (ko)
KR (1) KR20230010202A (ko)
CN (1) CN115666512A (ko)
CA (1) CA3177724A1 (ko)
WO (1) WO2021228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639A1 (en) * 2022-05-12 2023-11-16 Helix Science LLC Composition for the control of oral malodor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99317B1 (en) * 2014-01-29 2021-08-04 Enzymatica AB Cod trypsi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s in a subject with immunodeficiency
EP3120866A1 (en) * 2015-07-24 2017-01-25 Zymetech ehf. Use of marine serine proteases for removal, prevention and inhibition of formation and growth of biofilms
GB201701315D0 (en) * 2017-01-26 2017-03-15 Enzymatica Ab Novel treat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6302A (ja) 2023-06-21
CA3177724A1 (en) 2021-11-18
US20230165776A1 (en) 2023-06-01
EP4149420C0 (en) 2023-12-06
EP4149420A1 (en) 2023-03-22
EP4149420B1 (en) 2023-12-06
EP4344749A2 (en) 2024-04-03
CN115666512A (zh) 2023-01-31
WO2021228942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00989B (zh) 用于治疗或预防金黄色葡萄球菌感染以及用于根除或减少表面上金黄色葡萄球菌的组合物和方法
EP2283130B1 (en) Dispersin B(TM), 5-fluorouracil, deoxyribonuclease I and proteinase K-based antibiofilm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02272162B (zh) 治疗或预防大肠杆菌导致的经口感染的组合物和方法
CN104010653B (zh) 用于预防并治疗口腔疾病的组合物和方法
US20060228384A1 (en) Control of biofilm with a biofilm inhibitor
KR20070040332A (ko) 다중양이온성 항균 치료
US20220370680A1 (en) Chitosan-containing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2061447A1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oof diseases
CN1744905A (zh) 局部抗感染制剂
Cunha et al. Potential of two delivery systems for nisin topical application to dental plaque biofilms in dogs
Marion et al. Chlorhexidine and its applications in Endodontics: A literature review.
US2020012956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wounds
JP2020533417A (ja) 抗菌組成物
US2012017774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Lameness in Hoofed Domesticated Animals Due to Hairy Foot Warts and Foot Rot
KR20230010202A (ko) 미생물 감염의 치료를 위한 프로테아제 제형
Mohammadi et al. A Review on Root Canal Irrigation Solutions in Endodontics.
EP2893932A1 (en) Anti-infective formulation and methods of use
US7476379B1 (en) Emu-based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damaged skin by inhibiting microbial and fungal activity
RU2764178C1 (ru) Водная бактер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или лечения инфекцион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копыт у животных и способ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6998109B1 (en) Emu-based formulations with lidocaine for wound treatment by inhibiting microbial activity
RU2801869C2 (ru)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й гель с липосомами, содержащий соединение йода с поливиниловым спиртом,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Bahadoran et al. The Effects of Bioadhesive Wound Healer (AMONIA) on Skin Wound Healing
Amtha et al. A Comparison of Commercial Mouthwashes Towards Oral Pathogens Biofilms in vitro
BR102020026441A2 (pt) Formulação tópica antisséptica e cicatrizante e seu uso em animais
US20240156918A1 (en) Gel based on annelid hemoglob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