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088A - 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 Google Patents

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088A
KR20230010088A KR1020210089576A KR20210089576A KR20230010088A KR 20230010088 A KR20230010088 A KR 20230010088A KR 1020210089576 A KR1020210089576 A KR 1020210089576A KR 20210089576 A KR20210089576 A KR 20210089576A KR 20230010088 A KR20230010088 A KR 2023001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ranching
ballot
transfer path
trans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5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진복
주동성
김호연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10089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0088A/en
Publication of KR2023001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0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7C13/005Voting apparatus opera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65H29/2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8Diverting
    • B65H2301/4482Diverting to multiple paths, i.e. more than 2
    • B65H2301/448223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Abstract

A classification device with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fer path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arked ballots are transferred; an input modu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path to insert the plurality of ballots so that the ballots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transfer path; a scan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th to scan a marking position of the ballot transferred from the input module; a reading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scanned from the scan module and reading marking information on the ballot; a classification modu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ath to classify and store the ballots based on the results read by the reading module; a branching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th and allowing the ballot,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scan module, to be branched one-to-many and transferred sequentially when the ballot is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reading modu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put module and the branch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volume of the classification device can be reduced.

Description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Classifier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본 발명은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표가 완료된 투표용지를 자동으로 개표하는 분류장치에서 스캔이 완료된 투표용지를 분류모듈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분기 시켜 이송되도록 하여 투표용지의 판독에 따른 딜레이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rting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scanned ballot papers to a sorting module in a sor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counts ballot papers that have been marked, they are sequentially branched and transferred. It relates to a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capable of minimizing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reading of ballot papers.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대부분의 의회민주주의 국가들은 대통령선출을 비롯하여 대표선출이나 의견 결정의 수단으로 선거를 하고 있다.Most of the world's parliamentary democracies, including Korea, hold elections as a means of electing representatives or deciding opinions, including the election of the president.

대부분의 종래 투표방식으로는 여러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 및 각 선거에 맞는 소정의 색으로 이루어진 식별 표시가 인쇄된 투표용지에 선택하고자 하는 후보자의 기표부에 도장을 날인하여 투표함에 넣는 방식으로 투표가 진행되었다.In most conventional voting methods, voting is performed by stamping the ballot box of the candidate to be selected on a ballot paper printed with identification marks consisting of the names and symbols of various candidates and a predetermined color suitable for each election and putting it into the ballot box. progressed

일 예로서, 투표용지에는 선거의 종류에 따라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가 표시되며, 유권자가 선거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표용지 자체 또는 투표용지의 일부에 초록색이나 빨강색 등 선거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는 식별 표시가 인쇄되어 있다.As an example, the name and symbol of the candidate are displayed on the ballot paper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ion, and the ballot paper itself or part of the ballot paper is colored green or red depending on the election so that voters can visually check the type of election. Identification marks made of different colors are printed.

전술한 방법을 통해 투표가 완료되면 투표시간 완료 후 선거관리인이 투표함을 개방하여 인력으로 집표한다.When the voting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election manager opens the ballot box after the voting time is over and counts the ballot by manpower.

그러나 선거관리인이 인력으로서 집표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개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선거관리인을 채용해야 하므로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in the case of polling managers as human resources, and in order to shorten the counting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labor costs increase because more election managers must be employed.

또한, 개표가 완료된 투표용지는 개표결과에 따라 별도로 집표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개표결과 및 집표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집표를 다시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거나, 부정투표 의혹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allot papers that have been counted are coun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counting results, and in this process, if the counting results and the counting details do not match,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count the ballot or suspicion of fraudulent voting may occur. there is.

이런 시간과 인력의 소모를 줄이고 효과적인 선거를 위해 새로운 전자분류장치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전자분류장치들이 개발되었다.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a new electronic sorting devic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time and manpower and to conduct an effective election, and various electronic sort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전자분류장치는 소정의 개표용 스캔장치가 포함되어, 기표가 된 투표용지를 이송하면서 순차적으로 스캔함으로써 투표용지의 이미지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인식하게 된다.Such an electronic sorting device includes a scanning device for counting and recognizes the image of the ballot paper by sequentially scanning it while transferring the marked ballot paper.

그리고 이와 같이 인식된 이미지는 컴퓨터 등의 제어모듈을 통하여 그 이미지를 분석, 즉, 투표용지에서 기표된 부분의 위치를 분석하여 투표가 된 후보자를 파악하게 된다.And the image recognized in this way is analyzed through a control module such as a computer, that is, by analyzing the location of the marked part on the ballot paper, the candidate who has been voted is identified.

이와 같이 판독이 완료된 투표용지는 판독 결과에 따라 판독 결과 별로 분류모듈에서 각각 분류되어 적재된다.The ballot papers that have been read in this way are classified and loaded in the classification module for each reading result according to the reading result.

하지만, 투표용지에서 기표된 부분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판독을 완료하기 까지는 소정의 시간이 요구되며, 이러한 시간과 투표용지가 분류모듈로 이송되는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 오류가 발생하거나 분류 작업이 딜레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However,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to recognize and analyze the marked part of the ballot paper and complete the reading, and if this time and the time to transfer the ballot paper to the sorting module do not match, an error may occur or the classification operation may be delayed. There are issues such as

이를 위해 투표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유로의 길이를 길게 하여 투표용지의 판독이 완료되는 시간과 투표용지의 이송 시간을 맞출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이송유로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분류장치의 전체 부피가 증가하는 분제가 있다.To this end, the length of the transfer path for transporting the ballot papers was lengthened so that the time for completing the reading of the ballot papers and the transfer time of the ballot papers could be matched.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 제10-204019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4019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되어 스캔모듈을 통과하는 투표용지가 분기모듈에 의해 일대다로 분기되어 분류모듈 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투표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유로의 길이를 단축시켜 분류장치 전체의 부피를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so that the ballot papers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th and passing through the scan module are branched one-to-many by the branching module and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sorting module side. It has the purpose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entire sorting device b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transfer path for transporting ballot paper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는, 기표된 복수의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이송유로와, 상기 이송유로의 일단에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이송유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투입시키는 투입모듈과, 상기 이송유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모듈에서 전달된 상기 투표용지의 마킹 위치를 스캔하는 스캔모듈과, 상기 스캔모듈에서 스캔된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투표용지의 기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모듈과, 상기 이송유로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판독모듈에서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투표용지가 분류되어 보관되도록 하는 분류모듈과, 상기 이송유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캔모듈을 통과한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분류모듈로 이송됨에 있어서 일대다로 분기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분기모듈 및 상기 판독모듈의 판독 정보를 전송 받으며, 상기 투입모듈 및 분기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orting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path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arked ballots are transferred, and one end of the transfer path is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ballot papers ar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ath. An input module for inputting so that it is sequentially transferr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put module, a scan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ssage and scanning the marking position of the ballot paper delivered from the input module, and the information scanned by the scan module A reading module for receiving and reading the marking information of the ballot paper, a classification modu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ath an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ballot paper based on the result read by the reading module, and one side of the transfer path. The branching module provided in and receiving the read information of the reading module and the reading information of the reading module are transmitted so that the ballot papers passing through the scan module are branched one-to-many and transferred sequentially in the transfer to the sorting module,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driving.

이때, 상기 분기모듈은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된 상기 투표용지를 가이드하여 일대다 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연계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투표용지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분기유로를 갖는 분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nching module guides the ballot papers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th to enable one-to-many branching and is linked with the guide part, so that the ballot papers delivered through the guide part are sequentially transported. It may include a branching part having a branching passage.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이송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gui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at allows the guide unit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이때,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이 상기 분기부에 형성된 분기유로 각각의 일단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가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에 이송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guide part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by the driving unit, one end of the guide part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branch passage formed in the branching part to be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ssage The ballot paper may be branched and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이때,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분기유로 각각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표용지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어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속도 및/또는 구동력이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e un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branching passages in sequence with the guide part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speed of the ballot papers transported along the conveying passage so that the ballot papers are stably transported by the control module. A speed and/or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guide portion may be controlled.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유로와 일부 겹쳐지거나 상기 이송유로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송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내부에 상기 투표용지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된 상기 투표용지가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분기부에 순차적으로 분기되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art partially overlaps the transfer path or is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path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it can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th, and a flow path in which the ballot paper is moved is formed therein.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ballot paper transported along the conveying passage is sequentially branched and delivered to the branching portion through the passage formed in the guide portion without being separated.

그리고 상기 분기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연계 가능하고,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하여 상기 분기유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가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 측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And the branching part can be linked with the guide part, and can move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reciprocating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so that one end of each of the branching passages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uide part and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ssageway. The ballot paper can be branched and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또한, 상기 가이드부 및 분기부는 상호 연계 가능하며,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분기유로 각각의 일단과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가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 측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art and the branch part can be interconnected, and can move back and forth in opposite directions at the same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so that one end of each of the branch passages and one end of the guide part are sequentially connected along the transfer passage. The conveyed ballot paper may be branched and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sid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투표용지가 분기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분기모듈이 구비됨으로써, 이송유로의 전체적인 길이를 최소화 하여 분류장치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by providing a branching module that allows ballots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th to be branched and transferred sequential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verall volume of the sorting device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transfer path.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에 있어서, 분기모듈을 나타내는 세부 구조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structural view showing a branching module in a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of a guide unit in a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code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기표가 완료된 투표용지를 자동으로 개표하는 분류장치에서 스캔이 완료된 투표용지를 분류모듈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분기 시켜 이송되도록 하여 투표용지의 판독에 따른 딜레이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canned ballot papers to the sorting module in the sor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counts the ballot papers that have been marked, the present invention is sequentially branched and transferred, thereby minimizing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reading of the ballot papers. It relates to a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multi-branch metho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표된 복수의 투표용지(P)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유로(100)와, 상기 이송유로(100)의 일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유로(100)의 전반부에 구비 가능하여 내부에 복수의 상기 투표용지(P)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유로(1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투표용지(P)가 이송될 수 있도록 투입시키는 투입모듈(200)과, 상기 이송유로(100)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투입모듈(200)에서 투입된 기표가 완료된 상기 투표용지(P)의 마킹 위치 및/또는 기표 상태를 스캔하고, 스캔된 정보를 판독모듈(400)로 전송할 수 있는 스캔모듈(300)과, 상기 스캔모듈(300)에서 스캔된 정보를 전달 받아 오기표의 유무 및 선택된 후보자를 확인하는 등의 상기 투표용지(P)의 기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모듈(400)과, 상기 이송유로(100)의 타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유로(100)의 후반부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판독모듈(400)에서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투표용지(P)가 분류되어 각각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분류모듈(500)과, 상기 이송유로(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캔모듈(300)과 상기 분류모듈(500)의 사이에 연결된 상기 이송유로(100)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스캔모듈(300)을 통과한 상기 투표용지(P)가 상기 분류모듈(500)로 이송됨에 있어서 일대다로 분기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분기모듈(600) 및 상기 판독모듈(400)의 판독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상기 투입모듈(200) 및 상기 분기모듈(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orting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path 100 that allows a plurality of marked ballot papers P to be transferred in a certain direction, and the transfer path 100 ), more specifically, it can be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transfer path 100 so that a plurality of the ballot papers (P) can be accommodated therein, sequentially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path 100. The input module 200 for inputting the ballot paper P to be transferred, and the ballot paper P, which can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ssage 100 and the ballot paper input from the input module 200 is completed A scan module 300 capable of scanning the marking position and/or marking state and transmitting the scanned information to the reading module 400, and receiving the scanned information from the scan module 30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rroneous mark and the selected candidate Provided with a reading module 400 capable of reading the marking information of the ballot paper P, such as checking,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ath 10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half of the transfer path 100 Possibly based on the results read by the reading module 400,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that allows the ballot papers (P) to be classified and stored respectively, and one side of the transfer passage 100, in more detail, The ballot paper P, which can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ssage 100 connected between the scan module 300 and the sorting module 500 and passed through the scan module 300, is transferred to the sorting module 500. ),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reading information of the branching module 600 and the reading module 400, which are branched one-to-many and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and the input module 200 and the branching module 600 ) It may be made including a control module 7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iving.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는 상기 투입모듈(200)에서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복수의 상기 투표용지(P)가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스캔모듈(300)을 통해 상기 투표용지(P)의 기표 상태가 스캔 되도록 하며, 상기 스캔모듈(300)을 통과한 복수의 상기 투표용지(P)가 상기 분기모듈(600)에 의해 복수의 경로로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500) 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투표용지(P)가 상기 스캔모듈(300)을 통과하여 상기 분류모듈(500)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판독모듈(400)에서 상기 스캔모듈(300)의 스캔 정보가 판독이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확보하여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sorting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the plurality of ballot papers (P) sequentially input from the input module 200 are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th 100 while the scan module Through 300, the marked state of the ballot papers (P) is scanned, and the plurality of ballot papers (P) passing through the scan module 300 ar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paths by the branching module 600. so that it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so that the ballot paper P passes through the scan module 300 and is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in the reading module 40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ength of the transfer passage 100 being long by secur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scan information of the scan module 300 to be rea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캔모듈(300)을 통과하여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P)가 다중으로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50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분기모듈(6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610) 및 분기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llot papers (P) passing through the scan module 300 and being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th 100 are multi-branched and directed toward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As shown in FIG. 2 , the branching module 600 to be transported may include a guide part 610 and a branching part 630 .

상기 가이드부(610)는 상이 이송유로(100)를 따라 하나의 경로로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복수의 상기 투표용지(P)가 다중 경로로 분기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송유로(100)의 일측에 상기 이송유로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 가능하여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투표용지(P)를 가이드 함으로써, 상기 투표용지(P)의 일대다 분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guide unit 610 can serve as a guide so that a plurality of the ballot papers (P) sequentially transported along one path along the different transfer path 100 can diverge into multiple paths. One side of the transfer path 100 can be provi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th to guide the ballot paper P being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th 100, so that one area of the ballot paper P Multi-branching is possible.

또한, 상기 분기부(630)는 복수의 분기유로가 병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투표용지(P)가 분기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상기 가이드부(610)와 연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61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투표용지(P)가 상기 분류모듈(500)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분기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nching part 630 is that a plurality of branching passages can be formed in a parallel manner, and the guide part for guiding the ballot paper (P) being transferred along the conveying passage 100 to be branched. 610, and the ballot paper P delivered through the guide unit 610 can serve to be sequentially branched and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6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610)가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유닛(6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driving unit 620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uide part 610 to allow the guide part 61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100 .

상기 구동유닛(620)은 상기 가이드부(610)를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6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61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610)가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발생시켜 전달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620 can perform a role of reciprocating the guide part 610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100,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uide part 610 to provide the guide By being connected to the unit 610, power for reciprocating the guide unit 610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즉, 상기 가이드부(610)와 분기부(63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분기모듈(600)은 상기 스캔모듈(300)과 상기 분류모듈(5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유로(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캔모듈(300)과 상기 분류모듈(500)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분기모듈(600)의 전방에서 단절되는 상기 이송유로(100)의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부(610)가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61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유닛(620)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610)가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branch module 600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the guide part 610 and the branch part 630 is located between the scan module 300 and the sorting module 500. ), more specifically, the guide part at one end of the transfer passage 100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front of the branch module 600 provided between the scan module 300 and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610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100, and the drive unit 6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part 610, so that the guide part 610 It is possible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100 .

예컨대, 상기 가이드부(610)가 상기 구동유닛(620)에 의해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610)의 일단이 상기 분기부(630)에 형성된 복수의 분기유로 각각의 일단과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610)와 상기 분기부(630)에 형성된 분기유로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투표용지(P)가 전달됨으로써, 상기 분기부(630)를 통해 다중 경로로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500) 측으로 복수의 상기 투표용지(P)가 분기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the guide part 610 is reciprocally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100 by the driving unit 620, one end of the guide part 610 is attached to the branching part 630. It can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anched passages, and the ballast is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ssag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art 610 and the branched passages formed in the branching part 6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assing the paper (P), it is possible to branch into multiple paths through the branching unit 630 so that the plurality of ballot papers (P) can be branched and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side.

이때, 상기 가이드부(610)는 내부에 상기 투표용지(P)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유로(100)와 일정 길이 범위 내로 겹쳐질 수 있도록 구비된 상태로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투표용지(P)의 분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이드부(610)가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되, 상기 이송유로(100)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유로(1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투표용지(P)의 분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610 may have a passage (passage) formed therein so that the ballot paper (P) can be moved, and the transfer passage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100 By enabling back and forth reciproca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th 100 in a state provided so as to overlap within a certain length range, the ballot paper P being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path 100 The divergence can be made smooth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uide part 610 has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th 100, but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transfer path 100. By allowing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100 in a stat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the ball being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ssage 100 even though i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transfer passage 100 The paper P can be smoothly branched.

또한, 이와 같이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610)에 의해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된 상기 투표용지(P)가 상기 이송유로(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분기부(630)에 형성된 복수의 분기유로에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투표용지(P)가 안정적으로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50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ot paper (P)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th 100 by the guide part 610 having a passage formed therein in this way is not separated from the transfer path 100 and the branching part 630 By allowing it to be sequentially delivered to a plurality of branching passages formed in, the ballot paper (P) can be stably branched and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610)를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상기 구동유닛(620)은 상기 제어모듈(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610)를 이동시키는 속도 및/또는 구동력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620 capable of moving the guide part 610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1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700. The speed and/or driving force of moving the guide part 61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즉, 상기 구동유닛(620)이 상기 가이드부(610)를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어모듈(700)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610)의 이동 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가이드부(610)가 상기 분기부(630)에 형성된 복수의 분기유로에 각각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표용지(P)가 분기되도록 하는 타이밍과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투표용지(P)의 이송 속도가 어긋나지 않고 정확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투표용지(P)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driving unit 620 moves the guide part 610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100, the moving speed of the guide part 610 by the control module 700 is It is controlled so that the guide part 610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ranching passages formed in the branching part 630, so that the ballot paper P is diverted and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ssage 100. By ensuring that the conveyance speed of the ballot paper P corresponds accurately without being deviated,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ballot paper P is transported stably.

이러한 상기 구동유닛(6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7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바, 그리고 상기 스크류바에 관통되어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61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대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가 이동되는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조절할 수 있는 엔코더가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610)의 정확한 왕복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riving unit 620 includes a driving motor generating driving force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700, a screw bar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t is provided through the screw bar, and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one side of which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610. At this time, the distance at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oves in comparison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Accurat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guide part 610 can be achieved by further providing an encoder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and adjusting .

또한, 상기 구동유닛(620)은 상술한 구성 외에도, 레일바에 의해 왕복 이동이 가능한 동력전달부가 상기 가이드부(6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610)가 상기 이송유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620,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llows a power transmission unit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by a rail bar to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610, so that the guide unit 610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ath ( 100) may be smoothly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620)은 단순히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투표용지(P)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어 상기 가이드부(610)가 왕복 이동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610)가 상기 분기부(630)에 형성된 복수의 분기유로에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driving unit 620 is not simply limited to one method, and the guide unit 610 corresponds to the conveying speed of the ballot paper P being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passage 100. Any method that allows the guide part 610 to be sequentially and accurat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formed in the branch part 630 by reciprocating is applic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에서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투표용지(P)가 분기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610)가 왕복 이동되어 상기 분기부(630)에 형성된 복수의 분기유로 각각의 일단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표용지(P)를 분기 시키는 방법 외에, 상기 분기부(630)가 상기 제어모듈(7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기유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610)의 일단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P)가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500) 측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sorting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diverging the ballot papers (P) being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th 100 is the guide unit 61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reciprocating and sequentially connecting to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anch oil lines formed in the branching part 630 to branch the ballot paper (P), the branching part 630 is the control module 700 By allowing forward and backward or left and right reciprocation by a control signal, one end of each of the branch passages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uide part 610 and the ballot paper P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ssage 100 may be branched and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610)가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분기부(630)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 외에도 상기 가이드부(610)와 상기 분기부(630)가 상기 제어모듈(700)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기유로 각각의 일단과 상기 가이드부(610)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P)가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500) 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allowing the guide part 610 to move or the branch part 630 to mov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700, the guide part 610 and the branch part 630 is capable of reciprocating in opposite directions at the same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700, so that one end of each of the branch passages and one end of the guide part 610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transfer passage ( 100), it is also possible to diverge the ballot paper (P) and transfer it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side.

즉, 상기 가이드부(610) 및 상기 분기부(630)는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제어모듈(700)의 제어에 의해 위치가 가변 되되,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유로(1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복수의 상기 투표용지(P)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500) 측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either or both of the guide part 610 and the branch part 630 are variable in positi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700, but are interconnected so that the transfer passage 100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plurality of ballot papers (P) being transferred along are smoothly and stably branched and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si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 matter of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이송유로 200 : 투입모듈
300 : 스캔모듈 400 : 판독모듈
500 : 분류모듈 600 : 분기모듈
610 : 가이드부 620 : 구동유닛
630 : 분기부 700 : 제어모듈
P : 투표용지
100: transfer path 200: input module
300: scan module 400: reading module
500: classification module 600: branching module
610: guide unit 620: drive unit
630: branch 700: control module
P: ballot paper

Claims (8)

기표된 복수의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이송유로;
상기 이송유로의 일단에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이송유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투입시키는 투입모듈;
상기 이송유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모듈에서 전달된 상기 투표용지의 마킹 위치를 스캔하는 스캔모듈;
상기 스캔모듈에서 스캔된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투표용지의 기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모듈;
상기 이송유로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판독모듈에서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투표용지가 분류되어 보관되도록 하는 분류모듈;
상기 이송유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캔모듈을 통과한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분류모듈로 이송됨에 있어서 일대다로 분기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분기모듈; 및
상기 판독모듈의 판독 정보를 전송 받으며, 상기 투입모듈 및 분기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
A transfer path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arked ballot papers are transferred;
An input modu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passage to input a plurality of ballot papers to be sequentially transferr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a scan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ssage to scan the marking position of the ballot paper delivered from the input module;
a reading module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scanned by the scan module and reading the marking information of the ballot paper;
a sorting modu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veying passage so that the ballots are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the results read by the reading module;
a branching modu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veying passage so that the ballot papers passing through the scanning module are branched one-to-many and sequentially conveyed when the ballot papers passing through the scanning module are transferred to the sorting module; and
a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read information from the reading module and controls driving of the input module and the branching module;
Classifier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모듈은,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된 상기 투표용지를 가이드하여 일대다 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연계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투표용지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분기유로를 갖는 분기부;
를 포함하는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ranch module,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ballots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th to enable one-to-many branching; and
Branching unit that is associated with the guide unit and has a branching passage so that the ballots transmitted through the guide unit are sequentially transported;
A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이송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유닛;
을 더 포함하는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
According to claim 2,
On one side of the guide part,
a driving unit for reciprocating the guide part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Classifier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이 상기 분기부에 형성된 분기유로 각각의 일단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가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에 이송되는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
According to claim 3,
As the guide part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by the driving unit, one end of the guide part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branch passage formed in the branching part, and the vote is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ssage. A sorting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in which papers are branched and transferred to the sorting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분기유로 각각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표용지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어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속도 및/또는 구동력이 제어되는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driving unit is
The guide unit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branching passages so that the ballot paper is transported stably, and the speed at which the guide unit moves by the control modu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veying speed of the ballot paper transported along the conveying passage, and / or a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in which the driving force is control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유로와 일부 겹쳐지거나 상기 이송유로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송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내부에 상기 투표용지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된 상기 투표용지가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분기부에 순차적으로 분기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guide part,
It partially overlaps with the transfer path or is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transfer path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on is possi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th,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ballot paper is moved is formed inside the transfer path. A sorting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so that the ballot paper transported along is sequentially branched and delivered to the branching part through the flow path formed in the guide part without being separ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연계 가능하고,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하여 상기 분기유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가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 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branch,
It can be linked to the guide unit, and can be moved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so that one end of each of the branching passages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uide unit so that the ballot papers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passage are branched. A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so that it is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및 분기부는,
상호 연계 가능하며,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분기유로 각각의 일단과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용지가 분기되어 상기 분류모듈 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guide part and the branching part,
It is mutually interconnectable, and it is possible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e same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so that one end of each of the branching passages and one end of the guide part are sequentially connected, and the ballot papers transported along the conveying passage are branched. A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one-to-many branching method to be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module side.
KR1020210089576A 2021-07-08 2021-07-08 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KR202300100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576A KR20230010088A (en) 2021-07-08 2021-07-08 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576A KR20230010088A (en) 2021-07-08 2021-07-08 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088A true KR20230010088A (en) 2023-01-18

Family

ID=8510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576A KR20230010088A (en) 2021-07-08 2021-07-08 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008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198B1 (en) 2017-11-15 2019-11-05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198B1 (en) 2017-11-15 2019-11-05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4346B1 (en) Contactless smart card high production encoding machine
US7240835B2 (en) Integrated vote by mail processing system
CN102105888B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print product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080099560A1 (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edia having printed magnetic ink characters
US20070095898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artition card user therefor
KR102040198B1 (en)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KR20230010088A (en) 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CN109230342B (en) Safety inspection conveying equipment
KR101031335B1 (en) Electronic ticketing device
KR20100082649A (en) Device for scanning sheet for vote
CA3017659C (en) Ballot adjud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9433632A (en) Ticket card sorts recognition methods, system and ticket card sorting device
KR20230010090A (en) Classification device with multiple paths through which ballots are transferred
CN108876875A (en) A kind of papery card carriage path automatic identification Method of printing and system
KR101653220B1 (en) Apparatus for Scanning Ballot Paper
KR20230010089A (en)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roller module that can selectively contac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allot paper
KR100344931B1 (en) A device for counting of the votes
KR102315082B1 (en) Ballot paper sorting device having temporary storage module
KR102315085B1 (en) Ballot paper sorting device capable of double storage
CN208558672U (en) A kind of license white space automatic identification printing equipment
US200501081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hecks
CN1201270C (en) Automatic ticket checking devices
KR101584969B1 (en) Electro-Vote Apparatus Having Discharge Function by Detecting Double Paper Fee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05378B1 (en)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KR20030046998A (en) Method for distinguishing ballot-paper in automatic ballot-coun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