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378B1 -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 Google Patents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378B1
KR102205378B1 KR1020200155295A KR20200155295A KR102205378B1 KR 102205378 B1 KR102205378 B1 KR 102205378B1 KR 1020200155295 A KR1020200155295 A KR 1020200155295A KR 20200155295 A KR20200155295 A KR 20200155295A KR 102205378 B1 KR102205378 B1 KR 10220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allots
cassette
ballot
transf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00155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3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7C13/005Voting apparatus opera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7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7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vertical articles, e.g. by extracting articles laterally from the pile
    • B65H2301/4237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vertical articles, e.g. by extracting articles laterally from the pile by extracting articles upwards from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2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on edge
    • B65H2405/21Parts and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llot counting device allowing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includes: a transfer path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arked ballots are transferred; an input modu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path,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ballots therein,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ballots such that the ballots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along a proceed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path; a scanning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th to scan a marked position of the ballot transferred from the input module; a reading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canning from the scan module to read marked information of the ballot; a sorting module provided at an opposite end of the transfer path,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orting chambers so that the ballots are sorted and stored based on a result obtained by the reading by the reading module; and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read information of the reading module and control driving of the input module and the sorting module, wherein the input module has a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on which the ballots are loaded to continuously discharge the ballots while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escription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s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본 발명은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복수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복수의 카세트모듈을 투입모듈에 거치 시켜 일정 방향 및 일정 속도로 이동되도록 하며, 피딩이 완료되어 내부의 투표용지가 모두 배출된 카세트모듈은 회수하여 투표용지를 다시 적재하고 재 거치 시킴으로써, 개표를 진행할 투표용지의 투입이 딜레이 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in which a plurality of ballots are loaded are mounted on an input module to move in a certain direction and at a constant speed, and feeding After completion of the process, the cassette module in which all of the internal ballots have been discharged can be retrieved, reloaded and reloaded, so that the input of the ballots to be counted can be continuously fed without delay time. It is about the counting device.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대부분의 의회민주주의 국가들은 대통령선출을 비롯하여 대표선출이나 의견 결정의 수단으로 선거를 하고 있다.Most parliamentary democratic countries in the world, including Korea, hold elections as a means of electing a representative or making opinions, including the election of the president.

대부분의 종래 투표방식으로는 여러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 및 각 선거에 맞는 소정의 색으로 이루어진 식별 표시가 인쇄된 투표용지에 선택하고자 하는 후보자의 기표부에 도장을 날인하여 투표함에 넣는 방식으로 투표가 진행되었다.In most conventional voting methods, voting is carried out by stamping the stamp on the voting part of the candidate who wishes to select on a printed ballot paper with the names and preferences of several candidates and an identification mark in a predetermined color for each election, and putting them in the ballot box. Proceeded.

일 예로서, 투표용지에는 선거의 종류에 따라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가 표시되며, 유권자가 선거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표용지 자체 또는 투표용지의 일부에 초록색이나 빨강색 등 선거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는 식별 표시가 인쇄되어 있다.As an example, the names and symbols of candidates are displayed on the ballot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ion, and the ballot itself or part of the ballot is green or red,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election so that voters can visually check the type of election. Identification marks in different colors are printed.

전술한 방법을 통해 투표가 완료되면 투표시간 완료 후 선거관리인이 투표함을 개방하여 인력으로 집표를 한다.When voting is completed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above, after the voting time is completed, the election official opens the ballot box and picks up the vote by manpower.

그러나 선거관리인이 인력으로 집표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개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선거관리인을 채용해야 하므로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when the electoral officials are picked up by manpower, and in order to shorten the counting time, more electoral administrators must be employed, thereby increasing the labor cost.

또한, 개표가 완료된 투표용지는 개표결과에 따라 별도로 집표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개표결과 및 집표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집표를 다시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거나, 부정투표 의혹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allots that have been counted are separately coun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unting. In this process, if the counting results and the counting contents do not mat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ssle of carrying out the counting again or suspicion of fraudulent voting may arise. have.

이런 시간과 인력의 소모를 줄이고 효과적인 선거를 위해 새로운 전자개표장치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전자개표장치들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time and manpower, and for effective election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new electronic counting devices, and various electronic count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전자개표장치는 소정의 개표용 스캔장치가 포함되어, 기표가 된 투표용지를 이송하면서 순차적으로 스캔함으로써 투표용지의 이미지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인식하고, 스캔된 투표용지의 이미지를 판독하여 동일한 기표가 이루어진 투표용지들을 따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Such an electronic counting device includes a predetermined counting scanning device, and recognizes the image of the ballot by sequentially scanning it while transferring the voted ballot, and by reading the image of the scanned ballot, the same vote is obtained. This is done in a way that separates the ballots made.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0917호에는 투표용지의 투입을 위한 공급유닛, 투표용지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전송하는 스캔유닛, 투표용지를 운반하는 이송유닛, 분류 처리된 투표용지가 수납되는 수납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표 등에 사용 가능한 용지 분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40917, a supply unit for inputting ballots, a scanning unit for scanning and transmitting images of ballots, a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ballots, and a storage box in which classified ballots are stored. There is disclosed a paper sorting device that is included and can be used for counting or the like.

상기 종래기술은 투표결과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가져오면서 투표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하도록 투표결과에 따른 용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류하여 재 검표할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한다.The prior ar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classify and recount papers according to the voting results so as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voting results while bringing the speed and accuracy of the voting result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기술은 투표용지의 연속적인 투입 및 낱장 분리가 용이하도록 공급유닛에 적재된 투표용지들의 일면을 타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투표용지가 이송부의 투입구에 상시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정렬수단이 설치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ior art is an alignment means that pressurizes one side of the ballots loaded in the supply unit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ballots are always placed at the inlet of the transfer unit to facilitate continuous input and separation of the ballots. Install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개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공급유닛의 적재부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투표용지를 적재부에 계속하여 적재할 때 상당한 주의를 요하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only one loading part of the suppl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ballots are loaded is installed, considerable attention is required when continuously loading ballots into the loading part, and it takes a long time.

즉, 적재부의 투표용지를 모두 소진한 후 다시 일정량의 투표용지를 적재하면, 개표 작업이 간헐적으로 중단되어 전체 개표 시간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a certain amount of ballots are loaded again after all the ballots in the loading section are exhausted, the counting process is intermittently stopp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total counting time.

이를 해결하고자 실제 개표 현장에서는 투표용지의 공급이 끊이지 않고 연속될 수 있도록 투표용지의 투입 중에 소정 양의 투표용지를 적재부에 계속적으로 추가 적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정렬수단의 조작이 미숙할 경우 투표용지가 투입구에서 이탈하거나 적재된 투표용지가 쓰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대부분 투표용지의 공급 작업에 최소 두 명 이상의 관리자가 필요하여 불필요한 노동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고, 이마저도 관리자의 숙련도에 따라 투표용지의 공급 정확도 및 시간이 달라져, 신속하고 정확하게 개표 작업이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전체 개표 시간이 오히려 더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t the actual counting site, a certain amount of ballots are continuously added to the loading unit during the input of the ballots so that the supply of ballots can be continuously continued. In this case, if the operation of the sorting means is inadequate Problems such as dropping of ballots out of the slot or collapse of the loaded ballots occur, and most of them require at least two managers to supply ballots, resulting in unnecessary waste of labor.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and time of supplying ballots are different, so that the counting work cannot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the total counting time is rather increased.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091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409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658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658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복수의 투표용지가 이송유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투입모듈에 내부에 복수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복수의 카세트모듈이 거치되어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투표용지가 피딩되어 이송유로에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투표용지의 피딩이 완료되어 내부가 빈 카세트모듈은 회수하여 다시 복수의 투표용지를 적재한 후 투입모듈에 재 거치 시킴으로써, 개표 작업을 위한 투표용지의 투입이 딜레이 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 plurality of cassettes in which a plurality of ballots are loaded inside an input module that allows a plurality of ballots to be sequentially transferred along the progression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As the module is mounted and moved in a certain direction, the ballots are fed so that they can be sequentially discharged into the transport passage, and after feeding of the ballots is completed, the cassette module that is empty inside is collected and a plurality of ballots are loaded again. By re-mounting it in the input module, the purpose is to ensure that the input of the ballot for counting work can be made continuously without delay tim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는, 기표된 복수의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이송유로와, 상기 이송유로의 일단에 구비되어, 내부에 복수의 투표용지가 수용되며, 투표용지가 상기 이송유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배출시키는 투입모듈과, 상기 이송유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모듈에서 전달된 투표용지의 마킹 위치를 스캔하는 스캔모듈과, 상기 스캔모듈에서 스캔된 정보를 전달 받아 투표용지의 기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모듈과, 상기 이송유로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판독모듈에서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투표용지가 분류되어 보관되도록 복수의 분류챔버를 갖는 분류모듈 및 상기 판독모듈의 판독 정보를 전송 받으며, 상기 투입모듈 및 분류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모듈은 각각 복수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복수의 카세트모듈이 거치되어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투표용지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a transfer passag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arked ballots are transferred, and a plurality of ballots are accommodated in one end of the transfer passage. And, an input module for discharging the ballots to be sequentially transferr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channel, and a scanning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channel to scan the marking position of the ballots transferred from the input module, A reading module that receives the scanned information from the scan module and reads the voting information of the ballot, and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s so that the ballot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the result read from the reading modu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channel. A classification module having a chamber and a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read information from the reading modu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put module and the classification module, wherein the input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each loaded with a plurality of ballots. As it is mounted and moved in a certain direction, the ballots are continuously discharged.

이때, 상기 투입모듈은 복수의 상기 카세트모듈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카세트모듈이 안착되어 상기 카세트모듈을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어 오는 상기 카세트모듈에 적재된 투표용지를 순차적으로 상기 이송유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module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are mounted, and the cassette module is mounted on the top to move the cassette modu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It may include a discharge unit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the ballots loaded in the cassette module that is provided and moved by the moving unit to the transfer passage.

이때, 상기 카세트모듈은 상기 이동부에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카세트모듈이 상기 이동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이동부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ssett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moving unit so that the cassette module is not separated from the moving unit while seated on the moving unit and stably moves along the moving unit.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어 오는 상기 카세트모듈에 적재된 투표용지를 압착하여 상기 카세트모듈의 외부로 피딩시키는 피딩롤러 및 상기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되는 투표용지를 전달 받아 상기 이송유로로 배출시키는 배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presses the ballots loaded in the cassette module moved by the moving unit and feeds them to the outside of the cassette module, and the ballots fed by the feeding rollers are delivered to the transfer flow path. It may include a discharge roller that discharges to.

이때, 상기 카세트모듈은 상호 대면하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딩롤러가 상기 카세트모듈을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하는 관통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ssette module may further include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to allow the feeding roller to pass through the cassette module.

또한, 상기 개표장치는 상기 투입모듈을 통해 내부에 적재된 투표용지가 모두 상기 이송유로로 배출된 상태의 상기 카세트모듈을 회수하는 회수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모듈을 통해 회수된 내부가 빈 상기 카세트모듈에 복수의 투표용지를 다시 적재하고, 상기 투입모듈에 재 거치하여 투표용지에 대한 개표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n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collection module for recovering the cassette module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ballot papers loaded inside through the input module are discharged to the transfer passage, and the inside of the box recovered through the collection module is empty. It is possible to reload a plurality of ballots in the cassette module and re-mount them in the input module so that the ballots are counted continuously.

이때, 상기 카세트모듈은 내부에 복수의 투표용지를 적재 가능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카세트모듈의 내부에 적재된 복수의 투표용지가 무분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ssette module is made in a box shape with one side open so that a plurality of ballots can be loaded therein, bu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prevent the plurality of ballots loaded inside the cassette module from being indiscriminately separated. 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hinged to be coupl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복수의 투표용지가 이송유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투표용지를 배출시키는 투입모듈에 복수의 투표용지가 각각 적재되어 있는 카세트모듈을 거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투표용지가 이송유로 측으로 피딩될 수 있도록 하며, 적재된 투표용지의 피딩이 완료된 빈 카세트모듈은 회수하여 다시 복수의 투표용지를 적재하고 투입모듈에 거치 되도록 함으로써, 개표 작업 간에 투표용지의 투입이 딜레이 시간이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a cassette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llots are loaded is mounted in an input module that discharges ballots so that a plurality of ballots can be transferred sequentially along the transfer channel, and the ballots are moved in a certain direction to the side of the transfer channel. The empty cassette module that has completed feeding of the loaded ballots is collected, and multiple ballots are loaded and placed in the input module, so that the input of ballots between counting operations is carried out continuously without delay tim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be.

둘째, 카세트모듈에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투입모듈에서 카세트모듈을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카세트모듈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cassette modul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ably move the cassette module without shaking by allowing the cassette module to be fitted with a moving part that moves the cassette module in a certain direction by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provided.

셋째, 카세트모듈에는 복수의 투표용지를 적재하기 용이함과 동시에 투표용지의 무분별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투표용지의 피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 cassette modul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load a plurality of ballots and at the same time is provided with a cover that can prevent indiscriminate separation of the ballots, so that feeding of the ballots can be stably performed.

넷째, 복수의 카세트모듈이 거치되어 연속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회수된 빈 카세트모듈에 다시 투표용지를 적재하고 투입모듈에 재 거치 시키는 작업에 시간적 여유가 보장됨에 따라, 관리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투표용지의 재 투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since a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are mounted and moved continuously, time margin is guaranteed for the work of reloading the recovered empty cassette module and re-mounting it in the input module, regardless of the manager's skill level.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nsure that the re-investment of the product can be accurately made.

다섯째, 이에 따라, 투표용지가 이송유로 측으로 투입됨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되지 않아 전체 개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필요 인력에 대한 고용 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fth,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error does not occur in the input of the ballot to the transfer channel, so that the total count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hiring burden on the necessary manpower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에 있어서, 카세트모듈의 구조 및 투표용지가 적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카세트모듈과 이동부, 배출부 및 회수모듈의 연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에 있어서, 카세트모듈과 배출부의 연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and 2 are structural diagrams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allot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ssette module and a state in which ballots are loaded in a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inkage of a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a moving part, a discharge part, and a collection module in the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 cassette module and a discharge unit in a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내부에 복수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복수의 카세트모듈을 투입모듈에 거치 시켜 일정 방향 및 일정 속도로 이동되도록 하며, 피딩이 완료되어 내부의 투표용지가 모두 배출된 카세트모듈은 회수하여 투표용지를 다시 적재하고 재 거치 시킴으로써, 개표를 진행할 투표용지의 투입이 딜레이 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in which a plurality of ballots are loaded are mounted on an input module to move in a certain direction and at a certain speed, and the cassette module in which all of the internal ballots are discharged after feeding is completed is collected and voted. It relates to a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by reloading and reloading the papers so that the input of the ballots to be counted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without delay time.

본 발명에 따른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표된 복수의 투표용지(P)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유로(G)와, 상기 이송유로(G)의 일단, 다시 말해, 상기 이송유로(G)의 전반부에 구비 가능하여 내부에 상기 투표용지(P)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유로(G)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투표용지(P)가 이송될 수 있도록 배출되어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모듈(100)과, 상기 이송유로(G)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투입모듈(100)에서 전달된 상기 투표용지(P)의 마킹 위치를 스캔하는 스캔모듈(300)과, 상기 스캔모듈(300)에서 스캔된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투표용지(P)의 기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모듈(400), 그리고 상기 이송유로(G)의 타단, 다시 말해, 상기 이송유로(G)의 후반부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스캔모듈(300)에서 스캔된 상기 투표용지(P)의 마킹 정보를 판독하는 상기 판독모듈(400)의 판독 결과를 토대로 상기 투표용지(P)가 분류되어 각각 보관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분류챔버를 갖는 분류모듈(500) 및 상기 판독모듈(400)의 판독 정보를 전송 받으며, 상기 투입모듈(100) 및 분류모듈(5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overall structure of the ballot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1 and 2, a transfer passage (G) for transferring a plurality of marked ballots (P) in a certain direction and , One end of the transfer passage (G), that is, it can be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transfer passage (G) so that the ballot (P)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long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G) An input module 100 that sequentially discharges and inputs the ballot paper P to be transferred, and the ballot paper delivered from the input module 100 by be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ssage G A scanning module 300 that scans the marking position of P), a reading module 400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scanned by the scan module 300 and reads the voting information of the ballot P, and the transfer passage Reading of the reading module 400 that can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G), that is, in the second half of the transfer passage (G) and reads the marking information of the ballot (P) scanned by the scanning module (300) Based on the result,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hav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hambers and the reading information of the reading module 400 are transmitted so that the ballot P is classified and stored, and the input module 100 and classific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module 600 that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dule 500.

이때, 상기 투입모듈(100)은 각각 복수의 투표용지(P)가 내부에 적재되는 복수의 카세트모듈(200)이 거치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상기 투입모듈(100)에서 일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내부에 적재된 상기 투표용지(P)가 상기 이송유로(G) 측으로 연속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module 100 may be mounted with a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200, each of which is loaded with a plurality of ballots (P), and such a cassette module 200 is in the input module 100 While sli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ballot paper P loaded in the cassette module 200 may be continuously discharged toward the transfer passage 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상기 투입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와, 이동부(120), 그리고 배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odule 100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110, a moving portion 120, and a discharge portion 130, as shown in FIG. 2. .

상기 거치부(110)는 상기 투입모듈(100)에서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거치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복수의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연속적으로 나열되어 거치 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110 allows the cassette module 200 to be mounted in the input module 100, and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cassette modules 200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mounted is formed. Can be.

또한, 상기 거치부(110)는 거치된 복수의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외측면을 가드할 수 있는 격벽이 형성되되, 복수의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면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partition wall that can guard the outer surface of the cassette module 200 to prevent the plurality of mounted cassette modules 200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facilitate mounting of the cassette module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top surface is made of an open structure.

이때, 상기 거치부(110)의 개방된 상면은 상기 거치부(110)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캡이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110)의 내부에 거치된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상태, 예를 들어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이동 상황 또는 오차의 유무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cap f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interior of the mounting portion 110, the mounting portion (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state of the cassette module 200 mounted inside 110), for example, the moving state of the cassette module 200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rror, etc. may be easily confirm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거치부(110)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거치부(110)에 거치되는 복수의 상기 카세트모듈(200)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part 120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part 110 to move the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200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0 in a certain direction. Can be done.

예컨대,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거치부(11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거치부(110)에 삽입되되 일측면이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 상기 거치부(110)에 거치되는 복수의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안착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ing part 120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10, or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110 and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thereof is exposed, and the mounting on the top By allowing the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200 mounted on the part 110 to be seated, the cassette module 200 can be moved in a certain direction.

이러한 상기 이동부(120)는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벨트나 밴드,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레일, 또는 탄성력에 의해 상부에 안착된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일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동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상부에 안착된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레일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part 120 includes a belt or a band rotated in a certain direction, a rail driven by a motor, or a spring that allows the cassette module 200 seated on the upper part to move in a certain direction by an elastic force. Although it may be made of any one of the same elastic body, it is preferable that a rail method is applied so that the moving speed can be maintained constant, and the position of the cassette module 200 seated on the upper part can be stably moved. Do.

이때, 상기 이동부(120)가 상기 카세트모듈(200)을 이동시키는 속도는 상기 제어모듈(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peed at which the moving unit 120 moves the cassette module 20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600.

또한, 상기 이동부(120)는 적어도 둘 이상이 세트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부에 안착 되는 상기 카세트모듈(2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part 120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form a set, so that the cassette module 200 seated on the upper part can be moved more stably.

예컨대, 상기 이동부(120)가 레일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레일은 일정 간격 이격되되 상호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부에 안착된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이동 간에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ving part 120 is made of a rail type, the rails are formed in a pair that is spaced apart at a certain interval but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cassette module 200 seated on the to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between movements. have.

이때, 상기 이동부(120)의 상부에 안착 되는 상기 카세트모듈(200)은 상기 이동부(120)에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탈방지부(210)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상기 이동부(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이동부(1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ssette module 200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rt 1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ion prevention parts 210 that may be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moving part 120, so that the The cassette module 200 may be stably moved along the moving part 120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cassette module 200 is seated on the moving part 120.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하단면에 길이 방향, 즉, 상기 이동부(120)에 맞물려 상기 이동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한 돌기 또는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120)의 일측에 걸리도록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210 is moved along the moving part 120 by being engaged with the moving part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cassette module 200. It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upled to be caught on one side of the moving part 120 by being provided on a simple protrusion or on the side of the cassette module 200 have.

이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210)는 하나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동부(120)와 맞물려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상기 이동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비틀리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형태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210 is not limited to one type, but the cassette module 200 is engaged with the moving part 120 so that the cassette module 200 moves along the moving part 120. ) Can be applied to any form to prevent it from being twisted or collaps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130)는 상기 투입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10)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이동부(120)에 의해 이동되어 오는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내부에 적재된 복수의 투표용지(P)가 순차적으로 상기 이송유로(G)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art 1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art 110 in the input module 100, and the cassette moved by the moving part 120 A plurality of ballots (P) loaded inside the module 200 may play a role of being sequentially discharged to the transfer passage (G).

이러한 상기 배출부(130)는 상기 이동부(120)에 의해 이동되어 오는 상기 카세트모듈(200)에 적재된 투표용지(P)를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외부로 피딩시키는 피딩롤러(131) 및 상기 피딩롤러(131)에 의해 피딩되는 투표용지(P)를 전달 받아 상기 이송유로(G)로 배출시키는 배출롤러(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카세트모듈(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면하는 양측면에 상기 피딩롤러(131)가 상기 카세트모듈(200)을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홈(220)이 더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딩롤러(131)에 의한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내부에 적재된 투표용지(P)의 피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30 is a feeding roller 131 for feeding the ballot P loaded on the cassette module 200 that is moved by the moving unit 120 to the outside of the cassette module 200 And a discharge roller 132 for receiving the ballot P fed by the feeding roller 131 and discharging it to the transfer passage G, wherein the cassette module 200 is As shown in Fig. 3, by further forming through grooves 220 that allow the feeding roller 131 to pass through the cassette module 200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the feeding roller 131 By this, it may be possible to smoothly feed the ballot P loaded inside the cassette module 200.

예컨대, 상호 대면하는 양측면에 상기 피딩롤러(131)가 관통되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관통홈(220)이 형성된 상기 카세트모듈(200)은 상기 이동부(1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부(120)를 따라 상기 거치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투표용지(P)가 배출되어야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기 피딩롤러(131)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어 짐으로써, 상기 피딩롤러(131)가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홈(220)을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내부에 적재된 투표용지(P)를 압착함과 동시에 상기 피딩롤러(131)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투표용지(P)가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외부로 순차적으로 피딩되어 나갈 수 있다.For example, the cassette module 200 having a pair of through holes 220 through which the feeding roller 131 can pass through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rt 120 to move the It moves to the feeding roller 131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art 110 along the part 120 and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llot P is discharged, and the cassette module 200 is By being moved at a speed, the feeding roller 131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s 2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sette module 200 to pass the ballot (P) loaded inside the cassette module 200. Simultaneously with compression, the ballot P may be sequentially fed to the outside of the cassette module 20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eeding roller 131.

그리고 상기 피딩롤러(131)에 의해 상기 카세트모듈(200)에서 순차적으로 피딩되어 나온 상기 투표용지(P)는 상기 이송유로(G)의 전반부에 구비되어 회전하고 있는 상기 배출롤러(132)에 전달되어 상기 이송유로(G)로 정확하게 배출될 수 있다.And the ballot (P) sequentially fed from the cassette module 200 by the feeding roller 131 is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transfer passage (G) and transferred to the rotating discharge roller 132 It can be accurately discharged to the transfer passage (G).

이때, 상기 배출롤러(132)는 일정 간격,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표용지(P)의 양측면이 밀착되어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간격 만큼 이격되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딩롤러(131)에서 피딩되어 전달된 상기 투표용지(P)가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이송유로(G)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배출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roller 132 is made of a pair of rollers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at a certain interval, more specifically, spaced apart by an interval such that both sides of the ballot P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allot P fed and delivered by the feeding roller 131 may be discharged so that it can be stably seated and transported in the transport passage G without falling.

이때, 상기 카세트모듈(200)은 상기 피딩롤러(131)에 의해 압착되어 피딩되는 투표용지(P)가 무분별하게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내부에서 빠져나가거나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ssette module 200 is a cover that prevents the ballot P, which is compressed and fed by the feeding roller 131, indiscriminately slipping out or twisting inside the cassette module 200 230 may be further provided.

즉, 상술한 내용에 나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세트모듈(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의 투표용지(P)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투표용지(P)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일측면, 특히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개방된 상면의 일측에는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커버(23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내부에 적재된 복수의 투표용지(P)가 상기 피딩롤러(131)의 압착에 의해 외부로 무분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assette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bove description is made in a box shape having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ballots (P) can be loaded, as shown in FIG. To facilitate the loading of the paper (P),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in particular, the upper surface of the cassette module 200 is made of an open shape, and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cassette module 200 to selectively By allowing the cover 230 to be opened and closed, a plurality of ballot papers (P) loaded inside the cassette module 200 are prevented from being indiscriminately separated to the outside by compression of the feeding roller 131. I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표장치에는, 상기 투입모듈(100)을 통해 내부에 적재된 투표용지(P)가 모두 상기 이송유로(G)로 배출된 상태의 상기 카세트모듈(200)을 회수할 수 있는 회수모듈(7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unting device, the cassette module 200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ballots (P) loaded inside through the input module 100 are discharged to the transfer passage (G). A recovery module 700 capable of recovering the may be further provided.

예컨대, 상기 투입모듈(100)의 거치부(110)에 일열로 거치 가능하여 상기 이동부(120)를 따라 상기 배출부(130)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는 복수의 상기 카세트모듈(200)은 상기 배출부(130)의 상기 피딩롤러(131)를 통과하여 지나가게 되며,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지나감에 따라 상기 카세트모듈(200)에 형성된 상기 관통홈(220)을 관통하여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내부에 적재된 복수의 투표용지(P)가 압착되어 상기 배출롤러(132)에 전달되고, 상기 배출롤러(132)를 통해 상기 투입모듈(100)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이송유로(G)에 상기 투표용지(P)가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배출되어 상기 이송유로(G)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되게 된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the cassette modules 200 which can be mounted in a row on the mounting part 110 of the input module 100 and moved at a constant spe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rt 130 along the moving part 120 Passes through the feeding roller 131 of the discharge unit 130,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0 formed in the cassette module 200 as the cassette module 200 passes, and the cassette A plurality of ballots (P) loaded inside the module 200 are compressed and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roller 132, and the transfer passag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put module 100 through the discharge roller 132 The ballots (P) are sequentially and accurately discharged to (G) to be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port passage (G).

이때, 상기 피딩롤러(131)를 통해 내부에 적재된 복수의 투표용지(P)가 모두 피딩이 완료 된 상기 카세트모듈(200)은 상기 투입모듈(100)의 일측,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이동되는 방향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회수모듈(700)에 안착되어 회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ssette module 200 in which all of the plurality of ballots (P) loaded therein through the feeding roller 131 have been fed is one side of the input module 100, and more specifically, the cassette module ( 200) can be recovered by being seated in the recovery module 700 that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moving direction.

이러한 상기 회수모듈(700)은 상기 투입모듈(100)에서 전달 받은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상기 회수모듈(7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밴드 또는 벨트, 또는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상기 카세트모듈(2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이동부재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투입모듈(100)에서 빠져나온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회수가 보다 여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llection module 700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at least two of the cassette modules 200 can be seated in the cassette module 200 received from the input module 100, and the cassette module 200 A mov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the cassette module 2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band or belt that rotates so that the 2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overy module 700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cassette module 200 to be recovered more easily by allowing it to be provided.

또한, 상기와 같은 회수모듈(700)에 회수된 내부가 빈 상기 카세트모듈(200)은 관리자에 의해 회수되어 내부에 복수의 투표용지(P)가 새롭게 적재될 수 있으며, 새로운 투표용지(P)가 적재된 상기 카세트모듈(200)은 다시 상기 투입모듈(100)에 재 거치 됨으로써, 상기 카세트모듈(200)의 내부에 적재된 복수의 투표용지(P)가 끊임없이(투표용지의 투입 딜레이 시간이 없음을 의미한다.) 연속적으로 상기 이송유로(G)에 투입되어 개표장치의 개표 작업이 멈추지 않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sette module 200 with an empty inside recovered in the collection module 700 as described above is recovered by the administrator and a plurality of ballots (P) can be newly loaded therein, and a new ballot (P) The cassette module 200 in which is loaded is remounted in the input module 100, so that a plurality of ballots (P) loaded inside the cassette module 200 are constantly (the input delay time of the voting papers is It means that there is no.) It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transfer passage (G) so that the counting operation of the billing device can be performed quickly without stopp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투입모듈(100)과 상기 투입모듈(100)에 거치되는 복수의 상기 카세트모듈(200), 그리고 새로운 투표용지(P)가 상기 투입모듈(100)로 연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카세트모듈(200)을 회수하는 상기 회수모듈(700)의 연계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130)를 통해 상기 카세트모듈(200)에 적재된 복수의 투표용지(P)가 순차적으로 피딩되어 상기 배출롤러(132)를 통해 상기 이송유로(G)에 배출되는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put module 10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200 mounted on the input module 100, and a new ballot P are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input module 100 The linking process of the recovery module 700 to recover the cassette module 200 so that it can b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loaded into the cassette module 200 through the discharge unit 130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ballots (P) are sequentially fed and discharged to the transfer passage (G) through the discharge roller (132)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5.

이와 같이, 상기 투입모듈(100)에 복수의 상기 카세트모듈(200)이 거치되어 일정 속도 및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복수의 투표용지(P)가 딜레이 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개표장치는, 상기 투입모듈(100)에서 배출되어 상기 이송유로(G)를 따라 이송되는 투표용지(P)에 기표된 마킹 위치가 상기 스캔모듈(300)에 의해 스캔되고, 스캔된 정보가 상기 판독모듈(400)에 의해 정확히 판독되어 복수의 후보자 중 선택된 후보자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the cassette modules 200 are mounted on the input module 100 to move at a certain speed and in a certain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ballots (P) can be continuously input without delay time. In the counting device, the marking position marked on the ballot P discharged from the input module 100 and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passage G is scanned by the scanning module 300, and the scanned information is read. It is accurately read by the module 400 so that information of a selected candidate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s can be grasped.

또한, 상기 스캔모듈(300) 및 상기 판독모듈(400)에 의해 정확히 판독된 기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모듈(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류모듈(500)에 구비되는 복수의 분류챔버에 동일한 기표가 이루어진 투표용지(P)들이 분류되어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투표 이후 개표작업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marking information accurately read by the scan module 300 and the reading module 400, the same for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hambers provided in the classification module 5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600 By allowing the ballots (P) on which the votes were made to be sorted and loaded, the counting work after voting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quick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is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투입모듈 110 : 거치부
120 : 이동부 130 : 배출부
131 : 피딩롤러 132 : 배출롤러
200 : 카세트모듈 210 : 이탈방지부
220 : 관통홈 230 : 커버
300 : 스캔모듈 400 : 판독모듈
500 : 분류모듈 600 : 제어모듈
700 : 회수모듈
G : 이송유로 P : 투표용지
100: input module 110: mounting part
120: moving unit 130: discharge unit
131: feeding roller 132: discharge roller
200: cassette module 210: separation prevention unit
220: through hole 230: cover
300: scan module 400: read module
500: classification module 600: control module
700: recovery module
G: Transfer route P: Ballot

Claims (7)

기표된 복수의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이송유로;
상기 이송유로의 일단에 구비되어, 내부에 복수의 투표용지가 수용되며, 투표용지가 상기 이송유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배출시키는 투입모듈;
상기 이송유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모듈에서 전달된 투표용지의 마킹 위치를 스캔하는 스캔모듈;
상기 스캔모듈에서 스캔된 정보를 전달 받아 투표용지의 기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모듈;
상기 이송유로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판독모듈에서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투표용지가 분류되어 보관되도록 복수의 분류챔버를 갖는 분류모듈; 및
상기 판독모듈의 판독 정보를 전송 받으며, 상기 투입모듈 및 분류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모듈은,
각각 복수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복수의 카세트모듈이 거치되어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투표용지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
A transfer passag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arked ballots are transferred;
An input module tha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passage, accommodates a plurality of ballots therein, and discharges the ballots so that they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A scanning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ssage and scanning a marking position of the ballot delivered from the input module;
A reading module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scanned by the scan module and reads the voting information of the ballot;
A classification modu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assage and hav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hambers so that ballots are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a result read by the reading module; And
A control module receiving read information of the read module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input module and the classification module;
Including,
The input module,
A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so that a plurality of cassette modules, each of which are loaded with a plurality of ballots, are mounted and moved in a certain direction to continuously discharge the ballo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모듈은,
복수의 상기 카세트모듈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카세트모듈이 안착되어 상기 카세트모듈을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어 오는 상기 카세트모듈에 적재된 투표용지를 순차적으로 상기 이송유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를 포함하는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module,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 plurality of the cassette modules are mounted;
A moving part provided in the mounting part, and having the cassette module mounted thereon to move the cassette modu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discharge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unit and sequentially discharging the ballots loaded in the cassette module moved by the moving unit into the transfer passage;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includ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모듈은,
상기 이동부에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카세트모듈이 상기 이동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이동부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assette module,
A detachment preventing unit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moving unit so that the cassette module is stably moved along the moving unit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oving unit;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furth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어 오는 상기 카세트모듈에 적재된 투표용지를 압착하여 상기 카세트모듈의 외부로 피딩시키는 피딩롤러; 및
상기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되는 투표용지를 전달 받아 상기 이송유로로 배출시키는 배출롤러;
를 포함하는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charge unit,
A feeding roller for compressing and feeding the ballot paper loaded on the cassette module moved by the mov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cassette module; And
A discharge roller receiving the ballots fed by the feeding roller and discharging them to the transfer passage;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includ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모듈은,
상호 대면하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딩롤러가 상기 카세트모듈을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하는 관통홈;
을 더 포함하는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assette module,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to allow the feeding roller to pass through the cassette module;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표장치는,
상기 투입모듈을 통해 내부에 적재된 투표용지가 모두 상기 이송유로로 배출된 상태의 상기 카세트모듈을 회수하는 회수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모듈을 통해 회수된 내부가 빈 상기 카세트모듈에 복수의 투표용지를 다시 적재하고, 상기 투입모듈에 재 거치하여 투표용지에 대한 개표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illing device,
A collection module for recovering the cassette module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ballots loaded inside through the input module are discharged to the transfer passage;
It further includes,
A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which reloads a plurality of ballots in the empty cassette module recovered through the collection module, and reloads them in the input module to continuously count the ballot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모듈은,
내부에 복수의 투표용지를 적재 가능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카세트모듈의 내부에 적재된 복수의 투표용지가 무분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는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sette module,
A cover that is hinged to open and close to prevent the plurality of ballots loaded in the cassette module from being indiscriminately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box shape so as to be able to load a plurality of ballots therein;
Cou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feeding of ballots further comprising a.
KR1020200155295A 2020-11-19 2020-11-19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KR102205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295A KR102205378B1 (en) 2020-11-19 2020-11-19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295A KR102205378B1 (en) 2020-11-19 2020-11-19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378B1 true KR102205378B1 (en) 2021-01-20

Family

ID=7430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295A KR102205378B1 (en) 2020-11-19 2020-11-19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37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17B1 (en) 2012-03-08 2014-01-03 (주)한틀시스템 Sorting apparatus for sheet
KR20190027138A (en) * 2017-09-06 2019-03-14 대한민국(관리부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Ballot counting apparatus
KR20190027298A (en) * 2017-09-06 2019-03-14 대한민국(관리부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Ballot counting apparatus
JP2019061424A (en) * 2017-09-26 2019-04-18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Classification device for referendum ballot paper
KR20190055555A (en)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17B1 (en) 2012-03-08 2014-01-03 (주)한틀시스템 Sorting apparatus for sheet
KR20190027138A (en) * 2017-09-06 2019-03-14 대한민국(관리부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Ballot counting apparatus
KR20190027298A (en) * 2017-09-06 2019-03-14 대한민국(관리부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Ballot counting apparatus
KR101996589B1 (en) 2017-09-06 2019-07-04 (주)한틀시스템 Ballot counting apparatus
JP2019061424A (en) * 2017-09-26 2019-04-18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Classification device for referendum ballot paper
KR20190055555A (en)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6112B2 (en)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US6726205B1 (en) Inspection of playing cards
US4554444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DE60027945T2 (en) Bill arranger
US9799157B2 (en) Sheets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s processing method
EP2131334A1 (en) Coin handling method and coin handling device
KR102040198B1 (en)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CN100520836C (en) Banknote handling device
JP2008250955A (en)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device, and method, and partition card
US4357528A (en) Machine and method for counting and reconciling paper money
KR20100082649A (en) Device for scanning sheet for vote
KR102205378B1 (en)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US8498736B2 (en) Coin handling machine
CN101379531B (en) Coin receiving/dispensing machine
JP4121311B2 (en) Thin piece storage device
KR102315085B1 (en) Ballot paper sorting device capable of double storage
KR102315082B1 (en) Ballot paper sorting device having temporary storage module
KR101523604B1 (en) Electro-Vote Apparatus With Classification Chamber Having Guide Unit Module
JP2008299406A (en) Coin acceptance machine
KR20230010090A (en) Classification device with multiple paths through which ballots are transferred
KR20170016206A (en) Coun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Separable Stack Module
JPH0755652Y2 (en) Bill validator
KR20230010089A (en) Classification device having a roller module that can selectively contac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allot paper
KR20100068140A (en) Sheet for vote and device for scanning the same
KR20180112956A (en) Device of ballot count including stamp modul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