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589B1 - Ballot cou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allot cou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589B1
KR101996589B1 KR1020170113812A KR20170113812A KR101996589B1 KR 101996589 B1 KR101996589 B1 KR 101996589B1 KR 1020170113812 A KR1020170113812 A KR 1020170113812A KR 20170113812 A KR20170113812 A KR 20170113812A KR 101996589 B1 KR101996589 B1 KR 101996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t
unit
path
conveying path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7138A (en
Inventor
한동일
Original Assignee
(주)한틀시스템
대한민국(관리부서: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틀시스템, 대한민국(관리부서: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filed Critical (주)한틀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1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589B1/en
Publication of KR2019002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1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5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7C13/005Voting apparatus opera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25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between two se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5Scan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표용지의 투입이 용이한 개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로, 투입유닛, 판독유닛, 배출수단을 구비한 개표 장치에 있어서, 투입유닛을 하나의 이송로를 공유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적재부로 구성하여, 적재부별로 순차적으로 투표용지가 투입되어 하나의 적재부에서 투표용지가 투입되는 동안 다른 적재부에 투표용지를 쉽고 빠르게 적재할 수 있어, 투표용지의 투입이 용이한 개표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icket counting apparatus having a conveying path, an input unit, a reading unit, and a discharging means, wherein the input unit is connected to share one conveying path The ballot can be easily and quickly loaded on the other loading part while the ballot is inputted in one loading part by sequentially loading the ballot for each loading part, ≪ / RTI >

Figure R1020170113812
Figure R1020170113812

Description

투표용지의 투입이 용이한 개표 장치{BALLOT COUNTING APPARATUS}[0001] BALLOT COUNT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투표용지의 투입이 용이한 개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로, 투입유닛, 판독유닛, 배출수단을 구비한 개표 장치에 있어서, 투입유닛을 하나의 이송로를 공유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적재부로 구성하여, 적재부별로 순차적으로 투표용지가 투입되어 하나의 적재부에서 투표용지가 투입되는 동안 다른 적재부에 투표용지를 쉽고 빠르게 적재할 수 있어, 투표용지의 투입이 용이한 개표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icket counting apparatus having a conveying path, an input unit, a reading unit, and a discharging means, wherein the input unit is connected to share one conveying path The ballot can be easily and quickly loaded on the other loading part while the ballot is inputted in one loading part by sequentially loading the ballot for each loading part, ≪ / RTI >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등록특허 제10-1340917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하고,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 5a, 도 5b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4의 도면부호는 서로 무관함.)에는 용지의 투입을 위한 공급유닛(20), 용지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전송하는 스캔유닛(30), 용지를 운반하는 이송유닛(40), 분류 처리된 용지가 수납되는 수납함(스태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표 등에 사용 가능한 용지 분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5A and 5B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and Figs. 5A and 5B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and Figs. 1 to 4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related to each other A feed unit 20 for feeding paper, a scan unit 30 for scanning and transferring an image of the paper, a transfer unit 40 for transferring the paper, a storage box (stacker 50) which is used for counting or the like.

상기 종래기술은 투표결과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가져오면서 투표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하도록 투표결과에 따른 용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류하여 재검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n advantage of quickly and accurately classifying and recounting the paper according to the voting result so as to assure the reliability of the voting result while bringing promptness and accuracy of the voting result.

보다 구체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은 투표용지의 연속적인 투입 및 낱장 분리가 용이하도록 공급유닛(20)에 적재된 투표용지들의 일면을 타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투표용지가 이송부의 투입구에 상시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정렬수단(밀판(21))이 설치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B,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presses one side of the ballot papers loaded on the feeding unit 20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continuous feeding and sheet separation of the ballot papers is facilitated, (A flat plate 21) is provided so as to be regularly arranged at the inlet.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개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공급유닛(20)의 적재부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투표용지를 적재부에 계속하여 적재할 때 상당한 주의를 요하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since only one loading unit of the feeding unit 20 on which a plurality of ballots are stacked is installed, it takes a lot of time and takes a long time when the voting paper is continuously loaded on the loading unit.

즉, 적재부의 투표용지를 모두 소진한 후 다시 일정량의 투표용지를 적재하면 개표 작업이 간헐적으로 중단되어 전체 개표 시간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실제 개표 현장에서는 투표용지의 공급이 끊이지 않고 연속될 수 있도록 투표용지의 투입 중에 소정 양의 투표용지를 적재부에 계속적으로 추가 적재하게 되는데, In other words, if a certain amount of ballots is loaded again after exhausting all the ballots of the loading section, the balloting operation is intermittently interrupted to cause an increase in the total balloting tim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ballot paper is continuously loaded on the loading unit during the input of the ballot,

이때 정렬수단의 조작이 미숙할 경우 투표용지가 투입구에서 이탈하거나 적재된 투표용지가 쓰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대부분 투표용지의 공급 작업에 최소 두 명 이상의 개표자가 필요하여 불필요한 노동력의 낭비를 초래하고,At this time, if the operation of the sorting means is inexperienced, problems such as a ballot paper deviating from a slot or a fallen ballot can be caused. Therefore, at least two votes are required for supplying the ballot paper, And,

이마저도 개표자의 숙련도에 따라 투표용지의 공급 정확도 및 시간이 달라져, 신속하고 정확한 개표 작업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ccuracy and time of supplying the ballot vary depending on the proficiency level of the voter, which hinders quick and accurate balloting work.

또한 상기 종래기술과 같은 개표 장치에서 투표용지는 회전하는 이송롤러들 사이로 통과되면서 투표용지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바, 외부 요인에 상관없이 투표용지의 이송속도를 균일하고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대부분 상황에 따라 출력을 조절하여 회전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스텝 모터를 사용하는데, 스텝 모터 자체가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고 무거워 개표 장치를 저렴한 가격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balloting apparatu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ballot paper is passed between the rotating conveying rollers, and the ballot paper is fed. In order to control the feeding speed of the ballot paper uniformly and accurately regardless of external factors, The step motor itself is very expensive, and is bulky and heav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iniaturize and weight down the bill counting device at a low cost.

한편 상기 종래기술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표용지의 이송경로 상에 스캔유닛(30)을 설치하여 스캔부로부터 입력된 고해상도 이미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에서 기표별 마킹 여부를 판독하여 개표가 이루어져 개표 결과의 신속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5A, the scan unit 30 is installed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ballot paper to store a high-resolution image input from the scan unit,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mptness and reliability of the result of counting votes.

이때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 투표용지의 이송을 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소형화, 경량화에 유리한 BLDC 모터를 사용할 경우, BLDC 모터의 출력이 일정하여 투입된 투표용지의 개별 두께나 접이 상태, 이송롤러의 작동 이상 등으로 인해 BLDC 모터의 회전속도가 달라져 투표용지의 이송속도가 빠르거나 느려질 수 있는 바, In this case, when the BLDC motor,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advantageous in downsizing and lightweight, is used for feeding the ballot paper in the prior art, the output of the BLDC motor is constant, and the individual thickness, folding state, The speed of rotation of the BLDC motor may be changed and the feeding speed of the ballot paper may be fast or slow,

투표용지의 이송속도 변화에 따라 스캔되는 이미지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게 되어 정확한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canned image may be shortened or elongated due to the change of the feeding speed of the ballot paper, so that accurate reading may not be performed.

즉, 상기 종래기술은 이송중인 투표용지에 대한 스캔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구조 상 라인스캐너가 사용되며, 이때 라인스캐너를 지나가는 투표용지의 속도가 일정해야 정확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스캔하여 판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데, That is,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since the scanning of the ballot paper being conveyed must be performed, the line scanner is used in the construction. At this time, the speed of the ballot passing through the line scanner is constant,

라인스캐너를 지나가는 투표용지의 이송속도가 빨라지면 스캔 완료 전에 투표용지가 통과하여 스캔의 선명도가 떨어지거나 이미지의 일부 중첩 또는 이미지의 일부 잘림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투표용지의 이송속도가 느려지면 스캔 시간의 증가로 인해 이미지가 길게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부정확한 스캔은 이미지에 대한 판독 실패나 오류 내지 잘못된 판독이 발생할 수 있어 개표 결과의 신속성 및 신뢰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feed speed of the ballot passing through the line scanner is increased, the ball will pass through the ballot prior to the completion of the scan, resulting in poor sharpness of the scan, partial overlapping of the image or partial cropping of the image. Conversely, Since an image can be inputted and stored for a long time due to an increase in time, such an inaccurate scan may fail to read an image or cause an error or an erroneous reading, thereby hindering promptness and reliability of a result of a counting resul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투표용지의 투입 중 투표용지의 추가 적재를 한 명의 작업자만으로 실시하여 노동력 낭비를 절감함은 물론, 개표 작업의 중단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투표용지의 공급이 계속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적재부를 하나의 이송로에 공유하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적재부에서 투표용지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동안 투표용지가 소진된 다른 적재부에 투표용지를 추가 적재하여 각 적재부별로 투표용지의 순차적인 투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개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loading of the ballot paper only by one worker during the input of the ballot paper, thereby reducing the waste of the labor force. In addition, in order to supply the ballot paper quickly and accurately without stopping the balloting operation, And the ballot paper is additionally loaded in another loading unit in which the ballot is exhausted during the input of the ballot in one loading unit so that the ballot can be successively inputted sequentially in each loading unit, And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objects.

또한 본 발명은 개표 장치의 제조 단가를 절감하면서 소형화 및 경량화에 에 유리하도록 종래에 사용되는 스텝 모터를 대신하여 BLDC 모터를 사용해 이송로의 이송롤러가 회전 작동하는 개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 counting apparatus in which a conveying roller of a conveying path is rotated by using a BLDC motor in place of a conventional stepping motor so as to be advantageous in downsizing and lightening while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unting apparatus .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BLDC 모터의 사용으로 인해 투표용지의 이송속도가 달라져 판독유닛의 이미지 스캔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투표용지의 이송속도에 따라 스캔한 이미지가 정해진 규격의 크기로 자동으로 보정되는 개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image scanning quality of the reading unit due to the use of the BLDC motor due to the use of the BLDC motor, the image scanned according to the feeding speed of the ball- And the correction amount is corrected by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unit.

아울러 본 발명은 하나의 이송로와 복수개의 적재부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이 쉬우면서 오작동 내지 고장 발생 염려가 없도록, 판독유닛을 경유하여 연결된 제1 이송로의 전단부에 각 적재부의 투입구와 연결된 복수개의 제2 이송로가 병렬 연결되어 있는 개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implify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one conveying path and the plurality of stacking unit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veying path, which is connected via the reading unit,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veying paths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ying path are connected in parall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표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counting votes,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이송로;A transfer path through which the ballot is transferred;

투표용지를 상기 이송로로 투입하는 투입유닛;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ballot sheet into the transfer path;

상기 이송로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이송중인 투표용지를 기표별로 판독하는 판독유닛; 및A reading unit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conveying path and reading the ballot being conveyed on a per-sign; And

상기 이송로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판독 완료된 투표용지를 기표별로 분류하여 이송로에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nd discharging mean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conveying path for sorting the read-out ballots according to the votes and discharging the same from the conveying path,

상기 투입유닛은 각각 다수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며 각 투입구가 하나의 상기 이송로를 공유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적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나의 적재부에서 투표용지의 투입 중에 다른 적재부에 소진된 투표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oading units each of which is loaded with a plurality of balloons and each of the input ports is connected to share one of the transfer paths, Can be load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개표 장치는,In the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송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BLDC 모터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provided on the conveying path, and conveying means including a BLDC motor for rotating the conveying rol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표 장치에서,Further, in the c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판독유닛은 이송중인 투표용지를 스캔하는 스캔부와, 스캔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된 이미지를 기표별로 판독하는 판독부와, 투표용지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를 포함하되,The reading unit includes a scanning unit for scanning the ballot being conveye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canned image, a reading unit for reading the stored image for each sign, and a speed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ballot,

상기 저장부는 상기 속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송속도에 따라 스캔한 이미지를 정해진 규격의 크기에 맞게 보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torage unit may correct the scanned image according to the size of a predetermined standard according to the conveyance speed sensed by the speed sensing unit.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개표 장치에서,Further, in the c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송로는 상기 판독유닛을 경유하여 상기 배출수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1 이송로와, 일단이 상기 제1 이송로의 전단부에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각 적재부의 투입구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 이송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nveying path includes one first conveying path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means via the reading unit and a second conveying path having 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veying pat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put port of each load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본 발명에 따른 개표 장치는, In the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수개의 적재부를 이용해 투표용지의 추가 적재를 쉽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어 한 명의 개표자만으로 투표용지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노동력 절감 및 개표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고,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additional loading of the ballot paper easily and quickly by using a plurality of loading parts, so that the supply of the ballot paper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by only one ballot person,

BLDC 모터의 사용으로 개표 장치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By using BLDC motors,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and lighten the counting device at comparatively low price,

BLDC 모터의 사용으로 인해 투표용지의 이송속도가 달라지더라도 스캔된 이미지의 보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판독 오류나 오작동 내지 오판독을 방지하여 개표의 신뢰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The use of the BLDC motor automatically corrects the scanned image even if the conveying speed of the ballot paper is changed, thereby preventing reading error, malfunction or erroneous reading,

각 적재부의 투입구를 하나의 제1 이송로에 병렬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 이송로를 통해 투표용지의 연속 투입 구조를 간소화시켜 제작이 편리하면서 개표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tinuous feeding structure of the ballot paper through a plurality of second conveyance paths connecting the input ports of the respective loading sections in parallel to one first conveyance path,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the counting apparatus from being caused,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표 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표 장치의 부분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이송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a, 도 5b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ures 2 and 3 are partial top views of the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irculating transport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투표용지의 투입이 용이한 개표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방향(화살표 표시 참고.)을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In describing the balloting apparatus in which the ballot pap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y to input, when it is specified by reference to Fig. 1 that the rough direction reference is not rigid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llot papers are fed And the directions ar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ese standard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claims related to other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표용지의 투입이 용이한 개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allo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표 장치는 크게, 이송로(10), 투입유닛(20), 이송수단(30), 판독유닛(40), 배출수단(배출 안내부재(50)), 수납유닛(60)을 포함한다.1 to 4, the c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ughly includes a conveying path 10, an input unit 20, a conveying means 30, a reading unit 40, a discharging means (50), and a housing unit (60).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본체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한 각 구성들을 배치하고, 이송로(10)가 세로 방향으로 각 구성들을 경유하도록 연결되어 투표용지 역시 이송로(10)에 세로 방향으로 세워져 이송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constitutions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conveying path 10 is connected so as to pass through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ballot is also conve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onveying path 10 Although an example is shown,

상기한 각 구성들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할 경우 투표용지가 가로 방향으로 눕혀져 이송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constitution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allot paper can be transported while being laid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먼저 상기 이송로(10)는 투입된 투표용지가 판독유닛(40)을 거쳐 수납유닛(6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동 경로로써, 이송수단(30)을 구성하는 이송롤러(31)가 이송로(10)를 따라 이송로(10)의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이송롤러(31)들의 회전을 통해 투표용지가 이송롤러(31)들 사이를 통과하여 전진 이송된다.The conveying path 10 is a moving path for allowing the inputted ballot to be discharged to the accommodating unit 60 through the reading unit 40. The conveying roller 31 constituting the conveying means 30 is moved along the conveying path 10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conveying path 10 so that the ballot paper is passed through the conveying rollers 31 and forward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rollers 31. [

이러한 이송로(10)는 투표용지의 판독 및 분류 배출의 기능적 구분에 따라 제1-1 이송로(12)와 제1-2 이송로(13)를 구분할 수 있다. The conveying path 10 can distinguish the 1-1 conveying path 12 and the 1-2 conveying path 13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the reading and sorting and discharging of the ballot paper.

상기 제1-1 이송로(12)는 전단부가 투입유닛(20)의 투입구(22)와 연결되고 후단부가 제1-2 이송로(13)와 연결되며, 이때 제1-1 이송로(12)의 후단부에는 제1-2 이송로(13)와 별도의 경로로 분기되어 연결된 배출로(12A)가 연결된다.The front end of the 1-1 conveying path 12 is connected to the inlet 22 of the input unit 20 and the rear end of the 1-1 conveying path 12 is connected to the 1-2 conveying path 13. At this time,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ath 12A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transfer path 13 by a separate path.

아울러 제1-1 이송로(12), 제1-2 이송로(13), 배출로(12A)의 연결부에는 제1-1 이송로(12)에서 이송되는 투표용지를 제1-2 이송로(13) 또는 배출로(12A)로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재(15)가 구비되며, 이러한 경로 안내부재는 후술하는 배출수단의 배출 안내부재(50)와 동일한 구조 및 작동 방식을 갖는다.In addition, a balloon fed from the 1-1 feed path 12 is f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1-1 feed path 12, the 1-2 feed path 13, and the discharge path 12A, And a path guide member 15 for guiding the path guide member 15 to the discharge path 13 or the discharge path 12A. The path guide member has the same structure and operation as the discharge guide member 50 of the discharge means described later.

상기 경로 안내부재(15)는 투표용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투표용지를 제1-2 이송로(13)로 안내하거나, 판독 불능 등의 투표용지를 배출로(12A)로 안내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path guide member 15 changes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ballot paper so as to guide the ballot paper to the 1-2 feeding path 13 or guide the ballot paper such as the unreadable ballot to the ejection path 12A .

그리고 상기 제1-2 이송로(13)는 수납유닛(60)에 구비되어 입구측과 출구측이 하나로 연결된 순환 이송로(10)로 이루어져 상기 제1-1 이송로(1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바,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1-2 conveying path 13 comprises a circulating conveying path 10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60 and having an inlet side and an outlet sid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1-1 conveying path 12 The conne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미설명 도면부호 19는 이송로(10) 상에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투표용지의 정상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Reference numeral 19 denotes a sensor which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conveying path 10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ballot paper is normally fed.

상기 투입유닛(20)은 투표용지를 상기 이송로(10)로 투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투입유닛(20)은 각각 다수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며 각 투입구(22)가 하나의 상기 이송로(10)(보다 엄밀하게는 상기 제1-1 이송로(12))를 공유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적재부(21)(도면에서는 총 2개의 적재부(21)가 도시되어 있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나의 적재부(21)에서 투표용지의 투입 중에 다른 적재부(21)에 소진된 투표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put unit 20 feeds a ballot to the feed path 10 so that the input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aded with a plurality of ballots and each input port 22 is connected to one feed path A plurality of stacking portions 21 (a total of two stacking portions 21 are shown in the figure) connected so as to share the stacking portion 10 (more precisely, the 1-1st conveying path 12) , The balloon consumed in the other loading unit (21) can be loaded while the ballot is loaded in one loading unit (21).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투표용지가 투입되기 위해 대기하는 적재부(21)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어, 정렬수단(미도시)으로 인해 투표용지가 투입되는 중에 투표용지의 추가 적재를 한 명의 개표자만으로 실시하기 매우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only one loading unit 21 waiting for the ballot paper to be inserted is installed, and the additional loading of the ballot paper during the inputting of the ballot paper due to the aligning means (not show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o carry out only by the vote counter,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적재부(21)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적재부(21)에서 투표용지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적재부(21)에 소진된 투표용지를 쉽게 추가 적재 가능하여, 각 적재부(21)별로 투표용지의 순차적인 투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lurality of stacking units 21, it is possible to easily load additional stacked ballots into different stacking units 21 during the inputting of the ballots in one stacking unit 21,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n be solved because the ballots are sequentially injected by the ball 21 continuously.

이때 각 적재부(21)의 투입구(22)들과 제1-1 이송로(12)의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한데(예를 들어 제1-1 이송로(12)에 대하여 적재부(21)들을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적재부(21)들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제1-1 이송로(12)에 하나의 적재부(21)가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1 이송로(12)에 연결된 않은 다른 적재부(21)에 투표용지를 추가 적재하는 등),At this time, the connection of the inlet ports 22 of each loading section 21 and the 1-1 conveying path 12 can be realiz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loading section 21 And one loading unit 21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1-1 conveying path 12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loading units 21, (For example, loading additional ballots to another loading section 21 not connected to the loading section 12)

투입유닛(20)의 설치 및 이송로(10)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시켜 제작이 편리하면서 각 적재부(21)별 투표용지의 투입이 간단하여 오작동 내지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sertion unit 20 and the conveying path 10 so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the inputting of the ballot paper for each loading unit 21 is simple so that a malfunction or a trouble can be prevented,

상기 이송로(10)는 상기 판독유닛(40)을 경유하여 상기 배출수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1 이송로(11)(보다 엄밀하게는 제1-1 이송로(12))와, 일단이 상기 제1 이송로(11)의 전단부에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각 적재부(21)의 투입구(22)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 이송로(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veying path 10 includes one first conveying path 11 (more strictly, a 1-1 conveying path 12)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means via the reading unit 4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veyance paths (14) connected in parallel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veyance path (1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put port (22) of each loading part (21).

따라서 각 적재부(21)에 구비된 투입롤러의 작동 on/off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면 하나의 적재부(21)에서 투입롤러에 의해 투표용지가 투입되는 동안, 다른 적재부(21)의 투입롤러가 정지된 상태에서 투표용지를 추가 적재할 수 있으며, 센서에 의해 하나의 적재부(21)에서 투표용지의 소진이 감지되면 바로 연속하여 다른 적재부(21)의 투입롤러가 작동하여 투표용지의 투입이 중단되지 않고 바로 재개되어 개표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loading rollers provided in the respective loading portions 21 is controlled individually, while the balloons are loaded by the loading rollers in one loading portion 21, And when the sensor detects the exhaustion of the ballot paper in one loading unit 21, the input rollers of the other loading unit 21 are continuously operated to continuously feed the ballot paper The input can be resumed without interruption and the counting can be made.

이밖에 각 적재부(21)의 투표용지들을 투입구(22)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정렬수단, 투표용지를 낱장별로 분리하여 투입되도록 하는 분리수단, 각종 센서 등과 관련된 구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는 연관성이 적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lignment means for aligning the ballot papers of each loading unit 21 in the direction of the loading port 22,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and inputting the ballot sheets one by one, various sensors and the like are related to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이송로(10)에 설치된 복수개의 이송롤러(31)와, 상기 이송롤러(31)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개표 장치에 사용되는 스텝 모터가 아닌 BLDC 모터(42)를 사용하여, 개표 장치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veying means 30 comprises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1 provided on the conveying path 10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conveying roller 31. In particular, The BLDC motor 42, which is not a stepping motor, can be used to make the bill counting apparatus smaller and lighter at a relatively low cost.

이때 이송롤러(31)를 회전시키는 BLDC 모터(42)의 개수 및 배치 형태 등에 제한이 없으나, 도면과 같이 하나의 BLDC 모터(42)를 이송롤러(31)들의 일부에 연결하고, 이송롤러(31)들이 부분적으로 타이밍 벨트나 체인, 또는 각종 기어나 축으로 상호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하나의 BLDC 모터(42)만으로 모든 이송롤러(31)들이 연동하여 함께 회전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BLDC motors 42 for rotating the conveying rollers 31 are not limited. As shown in the figure, one BLDC motor 42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conveying rollers 31, Are partially interconnected by a timing belt, a chain, or various gears or shafts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so that all of the conveying rollers 31 are rotated together with one BLDC motor 42 alone.

이어서 상기 판독유닛(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나(예를 들어 광 조사를 통해 마킹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 등), The reading unit 4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mark by light irradiation)

본 발명은 스캔 방식의 판독유닛(40)을 구비하여 개표 결과의 신속성 및 정확성 향상을 도모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canning type reading unit (40) to improve the promptness and accuracy of counting result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판독유닛(40)은, 이송중인 투표용지를 스캔하는 스캔부(41)와, 스캔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42)와, 저장된 이미지를 기표별로 판독하는 판독부(43)와, 투표용지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44)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ading uni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nning unit 41 for scanning the ballot being fed, a storage unit 42 for storing the scanned image, and a reading unit 43 And a speed sensing unit 44 for sensing the feeding speed of the ballot paper.

상기 스캔부(41)는 상기 제1-1 이송로(12)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투표용지를 라인 스캐너 방식으로 스캔하고, 상기 저장부(42)와 판독부(43)는 본체와 별도로 연결된 데스크톱 PC나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저장부(42)에 저장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판독부(43)가 각 기표란의 마킹 유무를 판별하여 투표용지에 대한 판독이 이루어진다.The scan unit 41 scans the ballot paper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1-1 feed path 12 in a line scanner manner and the storage unit 42 and the read unit 43 ar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Based on th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 the readout unit 43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marked column has been marked with an application program (program) installed on a desktop PC, a notebook PC, or a tablet PC.

이때 본 발명은 이송수단(30)으로써 스텝 모터를 대신하여 하나의 BLDC 모터(42)를 사용하는 바, 앞서 설명한 각종 외부 요인 등 인해 이송중인 투표용지의 이송속도가 달라질 수 있는 바, 이러한 투표용지의 이송속도 변화는 잘못된 스캔 이미지의 저장으로 판독 오류 내지 오작동 또는 오판독 등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one BLDC motor 42 is used as the feeding means 30 instead of the step motor, the feeding speed of the ballot being fed can be changed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described above, A reading error, a malfunction or a misreading may occur due to the storage of a wrong scan image.

이에 본 발명의 저장부(42)는 상기 속도 감지부(44)에서 감지된 이송속도에 따라 스캔한 이미지를 정해진 규격의 크기에 맞게 보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storage unit 4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ct the scanned image according to the size of a predetermined standard according to the conveyance speed sensed by the speed sensing unit 44, and store the scanned image.

즉, 예를 들어 스캔된 이미지 일부가 중첩되거나 잘릴 경우 스캔된 시간 순서에 맞게 스캔되는 디지털 신호를 다시 정렬하고, 스캔된 이미지가 짧거나 길 경우 정상 스캔 시간을 기준으로 실제 스캔이 이루어진 시간을 비교하여 이미지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여서, 스캔된 이미지가 정상 이미지의 본래 규격에 맞도록 보정하여, 보정된 스캔 이미지를 기반으로 판독이 이루어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That is, for example, when a part of the scanned image is overlapped or truncated, the digital signals to be scanned a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canned time, and when the scanned image is short or long, The length of the image is increased or decreased so that the scanned image is corrected to conform to the original standard of the normal image and the read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corrected scanned image to solve the above problem.

이러한 스캔 이미지의 보정을 위한 투표용지의 이송속도 감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예를 들어 광센서를 이용한 속도 감지 등), The detection of the conveying speed of the ballot for the correction of such a scanned image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speed detection using an optical sensor)

본 발명은 투표용지의 이송속도 변화를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속도 감지부(44)로써, 상기 제1-1 이송로(12)를 기준으로 상기 스캔부(41)의 타측 반대편에 설치되며, 스캔부(41)를 지나가는 투표용지가 접촉하여 회전하는 감지롤러(44a)와, 상기 감지롤러(44a)의 회전 시 발생하는 펄스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투표용지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인코더(44b)를 도입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eed sensing unit 44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can unit 41 with respect to the 1-1 conveyance path 12, A sensing roller 44a which rotates the ballot passing through the scanning unit 41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ballot, and an encoder 44a for sensing the velocity of the ballot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pulse value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sensing roller 44a (44b).

상기 감지롤러(44a)는 투표용지가 스캔부(41)를 통과할 때 물리적 접촉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The detection roller 44a rotates in one direction by physical contact when the ballot paper passes through the scan unit 41. [

그리고 상기 인코더(44b)는 상기 감지롤러(44a)의 회전에 따른 펄스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투표용지의 실제 이송속도를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이송속도에 대한 디지털신호가 실시간으로 상기 저장부(42)로 전달되어 투표용지의 이송속도 변화를 기반으로 스캔 이미지의 보정 후 저장이 이루어진다.The encoder 44b senses a change in the pulse value due to the rotation of the sensing roller 44a to measure the actual feeding speed of the ballot paper, and outputs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feeding speed to the storage unit 42, so that the correction of the scan image is performed based on the change of the conveying speed of the ballot paper.

다음으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제1-2 이송로(13)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판독유닛(40)의 판독 결과에 따라 투표용지의 이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배출 안내부재(50)를 포함한다.Next, the discharging means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1-2 conveying path 13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guide members (not show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nveying path of the ballot paper in accordance with the reading result of the reading unit 40 (50).

상기 배출 안내부재(50)는 상기 제1-2 이송로(13)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좌우 회동을 통해 배출 안내부재(50)의 끝단부가 제1-2 이송로(13)를 선택적으로 개폐 하는 것으로,The discharge guide member 50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1-2 transport path 13 so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guide member 50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left- However,

배출 안내부재(50)가 일측으로 회동하여 제1-2 이송로(13)가 개방되면서 수납함(61)의 배출구(62)가 폐쇄되면 이송되는 투표용지는 배출되지 않고 계속 전진 이송하며,When the discharge guide member 50 rotates to one side and the discharge port 62 of the storage box 61 is closed while the 1-2 transfer path 13 is opened, the fed ballot is continuously discharged without discharging,

배출 안내부재(50)가 타측으로 회동하여 제1-2 이송로(13)가 폐쇄되면서 수납함(61)의 배출구(62)가 개방되면 이송되는 투표용지는 배출 안내부재(50)에 접촉하여 개방된 배출구(62)로 전진 이송되어 제1-2 이송로(13)에서 배출된다.When the discharging guide member 50 is rotated to the other side to close the 1-2 conveying path 13 and the discharging port 62 of the storage box 61 is opened, the fed ballo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scharging guide member 50 to open And is discharged from the first-second conveyance path 13.

물론 이러한 배출 안내부재(50)(및 경로 안내부재(15))의 구체적인 구조 내지 작동 방식은 공지된 개표 장치의 다양한 기술로 변경될 수 있다.Of course, the specific structure or operation of such discharge guide member 50 (and the path guide member 15) can be changed by various techniques of a known counting device.

이어서 상기 수납유닛(60)은 상기 이송로(10)(보다 엄밀하게는 제1-2 이송로(13))의 후단부를 따라 각각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로(10)에서 배출되는 기표별 투표용지가 각각 저장되는 복수개의 수납함(61)으로 이루어진다.The accommodating unit 60 is connected in parallel along the rear end of the conveying path 10 (more strictly, the 1-2 conveying path 13) And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61 in which sheets of paper are stored, respectively.

상기 수납함(61)은 배출구(62)가 제1-2 이송로(13)에 병렬 연결되어 다수의 투표용지를 수납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 안내부재(50)의 개폐 작동에 따라 각 수납함(61)에 맞는 기표별 투표용지가 배출구(62)로 배출되어 수납함(61)에 저장된다.The discharge box 61 is connected to the 1-2 conveying path 13 in parallel so as to store and store a plurality of balloons, )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62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box 61.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판독유닛(40)의 저장부(42)와 판독부(43)는 별도의 PC(또는 단말기)에 구비되는 바, 스캔부(41)와 PC 간의 디지털신호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링(buffering)이나 랙(lag), PC 자체의 처리 속도 저하 등, 개표 장치와 무관한 이유로 판독부(43)의 판독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unit 42 and the read unit 43 of the reading unit 40 are provided in separate PCs (or terminals) The reading time of the reading unit 43 may be delayed for reasons unrelated to the counting apparatus, such as buffering, racking, or the processing speed of the PC itself.

이때 상기 제1-2 이송로(13)가 일방향으로만 구비될 경우, 판독 결과의 미수신으로 인해 배출 안내부재(50)가 정상 작동하지 않아 판독이 지연된 미판독 투표용지가 기표에 맞는 수납함(61)에 저장되지 않고 계속 이송되어 제1-2 이송로(13)의 끝단부에 정체(또는 배출)되는 등의 오작동 등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1-2 conveying path 13 is provided only in one direction, the ejection guide member 50 is not operated normally due to the non-receipt of the readout result, (Or exhausted) to the end of the first-second conveyance path 13, and the like.

이에 투표용지가 제1-2 이송로(13)에 진입한 시점 이후에도 판독 결과의 수신이 지연될 경우, 미판독 투표용지가 상기 수납함(61)으로 배출되지 않고 계속 순환하면서 회전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로(10)는 입구측과 출구측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순환 이송로(1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When the reception of the readout result is delayed even after the ballot enters the 1-2 conveying path 13, the unloaded ballot is rotated so as to be continuously circulated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storage box 61, The furnace 10 includes a circulating conveyance path 13A having an inlet side and an outlet side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상기 순환 이송로(13A)는 제1-1 이송로(12)와 연결된, 제1-2 이송로(12)의 일측 입구측과 입구측의 반대편인 타측 출구측이 서로 연결되어 일종의 순환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투표용지의 판독 결과 수신이 지연될 경우 미판독 투표용지가 계속 이송되면서 배출 대기된 상태에서 해당 투표용지를 제외한 다른 투표용지의 배출이 정상 작동하도록 하여 개표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circulating conveying path 13A is connected to the one-side inlet side of the 1-2 conveying path 12, which is connected to the 1-1 conveying path 12, and the other outlet side opposite to the inlet side, By forming the loop, if the reception of the reading result of the ballot paper is delayed, the ballot paper is continuously conveyed, and the discharge of other ballot paper except for the ballot paper is normally operated in a state of waiting for ejection, can do.

이러한 순환 이송로(13A)는 수납함(61)들의 배치 모양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irculating conveyance path 13A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storage boxes 61. [

다만 개표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경로(13a)와 제2 경로(13b)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제1, 제2 경로(13a)(13b)의 양측 끝단부가 서로 연결된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투표용지의 순환 이송 시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띠 형상의 벨트와 벨트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롤러로 순환 이송로(13A)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first path 13a and the second path 13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aths 13a and 13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elliptical shape 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the circulation conveying path 13A by the belt-shaped belt and the idle roll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elt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balloon can be easily changed when circulating the ballot paper.

또한 상기 수납유닛(60)은 복수개의 상기 수납함(61)으로 이루어진 일측 제1 수납부(60A)와, 복수개의 상기 수납함(61)으로 이루어진 타측 제2 수납부(60B)가 서로 대칭하도록 배열되고,The storage unit 60 is arranged so that one side first storage portion 60A made up of a plurality of the storage boxes 61 and the other second storage portion 60B made up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61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

상기 제1 수납부(60A)와 상기 제2 수납부(60B) 사이에 상기 순환 이송로(13A)가 각 수납부의 투표용지 배출구(62)들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The circulation transfer path 13A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orage portion 60A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60B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ballot paper discharge ports 62 of the respective storage portions.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체 크기를 최대한 소형화하면서 보다 많은 수의 수납함(61)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larger number of storage boxes 61 while minimizing the overall size.

이때 하나의 순환 이송로(13A)를 설치하여 제1, 제2 경로(13a)(13b)에 각각 제1, 제2 수납부(60A)(60B)의 배출구(62)들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나,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hat a single circulating transfer path 13A is provided to connect the discharge ports 62 of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portions 60A and 60B to the first and second paths 13a and 13b, respectively ,

순환 이송로(13A)를 이용해 투표용지의 판독 결과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시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In order to maximize the time for enabling the circulation path 13A to receive the read result of the ballot paper,

제1 경로(13a)를 공유하면서 각각의 제2 경로(13b)에 제1, 제2 수납부(60A)(60B)의 배출구(62)들이 연결된 한 쌍의 순환 이송로(13A)(13B)가 제1, 제2 수납부(60A)(60B) 사이에 설치되어, 각 순환 이송로(13A)(13B)에서 투표용지가 순환하는 회전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A pair of circulating conveying paths 13A and 13B connected to the outlets 62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60A and 60B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econd paths 13b while sharing the first path 13a.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60A and 60B so that the rotation conveying directions in which the ballot paper is circulated in the circulating conveying paths 13A and 13B are form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은 판독 결과를 수신하면 제1 경로(13a)의 출구측에 구비된 경로 안내부재(16)가 작동하여 해당 투표용지를 기표에 맞는 수납함(61)으로 안내하여 배출시키고,Accordingly, when the reading result is received, the path guide member 16 provided at the exit side of the first path 13a operates to guide the ballot sheet to the storage box 61 corresponding to the ballot,

판독 결과의 수신이 지연될 경우 해당 투표용지는 배출되지 않고 제2 경로(13b)를 지나 다시 제1 경로(13a)로 순환 이송된 후 수신한 판독 결과에 맞는 수납함(61)으로 배출되며,When the reception of the reading result is delayed, the corresponding ballot is circulated to the first path 13a again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th 13b, and is discharged to the storage box 61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ading result,

만약 해당 투표용지가 판독 불능이면 경로 안내부재(15)가 작동하여 제2 경로(13b)를 지난 투표용지가 배출로(12A)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If the ballot can not be read, the path guide member 15 operates to cause the ballot past the second path 13b to be ejec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ejection path 12A.

이때 미판독 투표용지의 순환 이송은 순환 이송로(13A)(13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배출로(12A)와 연결된 제1 순환 이송로(13A)만을 사용해 투표용지를 순환시켜 분류 대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irculating conveyance of the unread ballot can use any one or all of the circulating conveying paths 13A and 13B, but circulating the ballot paper using only the first circulating conveying path 13A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path 12A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orting standby state is maintained.

이는 미판독 투표용지가 판독 불능일 경우 투표용지를 배출로(12A)로 배출시켜야 하는데, 제2 순환 이송로(13B)를 따라 투표용지가 순환 이송되면, 해당 투표용지가 제2 순환 이송로(13B)를 지나 제1 순환 이송로(13A)를 따라 이송된 후 배출되어야 하므로 배출에 필요한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If the unreadable ballot can not be read, the ballot sheet must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th 12A. When the ballot is circulated along the second circulation path 13B, the ballot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irculation path 13B, and then discharged along the first circulation path 13A, so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discharge.

아울러 투표용지가 배출로(12A)로 배출되지 않고 계속 순환할 경우, 투표용지의 순환 이송은 일정 시간(대략 10~12초)이 지나면 이송수단(30)의 작동이 멈춰 강제로 정지된다. 이는 미판독 투표용지가 장시간 반복하여 순환 이송될 경우 정상 판독된 후속 투표용지와 겹치면서 개표 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the ballot paper continues to circulate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th 12A, the conveying means 30 is stopped and forcedly stopp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pproximately 10 to 12 seconds) This is because if the unread ballot is repeatedly circul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may overlap the normally read subsequent ballot, resulting in malfunction of the balloting device.

이렇게 미판독 투표용지에 대한 배출 대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판독 지연에 의해 전체 개표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개표의 신속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In this way, by keeping the waiting state for discharging the unread ballo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hole counting operation from being interrupted by the reading delay, thereby assuring promptness and reliability of counting.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투표용지의 투입이 용이한 개표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precise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11, 12, 13, 14 : 이송로 13A : 순환 이송로
13a, 13b : 경로 15, 16 : 경로 안내부재
19 : 센서
20 : 투입유닛 21 : 적재부
22 : 투입구
30 : 이송유닛 31 : 이송롤러
32 : BLDC 모터
40 : 판독유닛 41 : 스캔부
42 : 저장부 43 : 판독부
44 : 속도 감지부 44a : 감지롤러
44b : 인코더
50 : 배출 안내부재
60 : 수납유닛 60A, 60B : 수납부
61 : 수납함 62 : 배출구
10, 11, 12, 13, 14: conveying path 13A: circulating conveying path
13a, 13b: path 15, 16: path guide member
19: Sensor
20: input unit 21:
22: Inlet
30: feed unit 31: feed roller
32: BLDC motor
40: Reading unit 41:
42: storage unit 43:
44: speed sensing unit 44a: sensing roller
44b: Encoder
50: discharge guide member
60: storage unit 60A, 60B:
61: storage box 62: outlet

Claims (4)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이송로;
투표용지를 상기 이송로로 투입하는 투입유닛;
상기 이송로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이송중인 투표용지를 기표별로 판독하는 판독유닛; 및
상기 이송로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판독 완료된 투표용지를 기표별로 분류하여 이송로에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투입유닛은 각각 다수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며 각 투입구가 하나의 상기 이송로를 공유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적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나의 적재부에서 투표용지의 투입 중에 다른 적재부에 소진된 투표용지를 적재할 수 있고,

상기 이송로는 상기 판독유닛을 경유하여 상기 배출수단에 연결된 하나의 제1 이송로와, 일단이 상기 제1 이송로의 전단부에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각 적재부의 투입구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 이송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표 장치.
A transfer path through which the ballot is transferre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ballot sheet into the transfer path;
A reading unit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conveying path and reading the ballot being conveyed on a per-sign; And
And discharging mean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conveying path for sorting the read-out ballots according to the votes and discharging the same from the conveying path,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oading units each of which is loaded with a plurality of balloons and each of the input ports is connected to share one of the transfer paths, Lt; / RTI >

Wherein the conveying path includes one first conveying path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means via the reading unit and a second conveying path having one e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veying pat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put port of each loading por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BLDC 모터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conveying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provided on the conveying path and a BLDC motor for rotating the conveying roll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유닛은 이송중인 투표용지를 스캔하는 스캔부와, 스캔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된 이미지를 기표별로 판독하는 판독부와, 투표용지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상기 속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송속도에 따라 스캔한 이미지를 정해진 규격의 크기에 맞게 보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ading unit includes a scanning unit for scanning the ballot being conveye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canned image, a reading unit for reading the stored image for each sign, and a speed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ballot,
Wherein the storage unit corrects the scanned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 to the conveyance speed sensed by the speed sensing unit, and stores the corrected image.


삭제delete
KR1020170113812A 2017-09-06 2017-09-06 Ballot counting apparatus KR1019965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12A KR101996589B1 (en) 2017-09-06 2017-09-06 Ballot cou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12A KR101996589B1 (en) 2017-09-06 2017-09-06 Ballot coun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38A KR20190027138A (en) 2019-03-14
KR101996589B1 true KR101996589B1 (en) 2019-07-04

Family

ID=6575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12A KR101996589B1 (en) 2017-09-06 2017-09-06 Ballot cou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5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378B1 (en) 2020-11-19 2021-01-20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98B1 (en) * 2007-01-05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An complex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40917B1 (en) * 2012-03-08 2014-01-03 (주)한틀시스템 Sorting apparatus for she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378B1 (en) 2020-11-19 2021-01-20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38A (en)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109B2 (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edia having printed magnetic ink characters
ES2923636T3 (en) Circulation type banknote/check deposit/withdrawal apparatus using side deposit/withdrawal scheme and banknote and check handling method applied thereto
US8239060B2 (en) Sheet processing system and checking method of the same
CN101794476B (en) Bill processing machine
JP2006350820A (en) Paper sheet identification device
KR101996589B1 (en) Ballot counting apparatus
KR101340917B1 (en) Sorting apparatus for sheet
KR101986689B1 (en) Ballot counting apparatus
KR20100082649A (en) Device for scanning sheet for vote
US7424942B2 (en) Banknote handling apparatus
US8485520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with skew value sensor for sheet stack designation
JP2009187487A (en) Paper sheet processor and paper sheet processing method
JP2009094669A (en) Image reading method for sheet media, sheet media processor, and sheet media processing system
US9370953B1 (en) Printer apparatus
JP6080589B2 (en) Voting paper sorting machine and voting paper sorting method
KR100935756B1 (en) Paper media provi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584969B1 (en) Electro-Vote Apparatus Having Discharge Function by Detecting Double Paper Fee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S58202249A (en) Sheet transport device
JP5999636B2 (en) Ballot sorting machine
JP5984209B2 (en) Ballot sorting machine
JP6002539B2 (en) Ballot paper sorting machine and ballot paper sorting method
EP1742183A2 (en) Banknote handling apparatus
KR101472067B1 (en) Bundle pickup device for media paper processing machine
JP2002133484A (en) Medium reader
JP6002535B2 (en) Ballot paper reading method, ballot paper reader, and ballot paper s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