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198B1 -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 Google Patents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198B1
KR102040198B1 KR1020170152400A KR20170152400A KR102040198B1 KR 102040198 B1 KR102040198 B1 KR 102040198B1 KR 1020170152400 A KR1020170152400 A KR 1020170152400A KR 20170152400 A KR20170152400 A KR 20170152400A KR 102040198 B1 KR102040198 B1 KR 102040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t
transfer
unit
modul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5555A (en
Inventor
주동성
황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7015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198B1/en
Publication of KR2019005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5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1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7C13/005Voting apparatus operating mechanic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7C13/02Ballot 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프레임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모듈, 상기 베이스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기표된 투표지를 판독하고 이송하는 판독모듈, 상기 베이스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판독모듈에서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투표지를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투표지의 일부를 보관하는 제1분류챔버를 가지는 제1적재유닛 및 상기 제1적제유닛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적재유닛과 함께 상기 투표지가 이송되는 이송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투표지의 나머지를 보관하는 제2분류챔버를 가지는 제2적재유닛을 포함하는 적재모듈 및 상기 베이스모듈에 구비되며 일부가 상기 적재모듈상에 설치되어 상기 판독모듈에서 전달되는 상기 투표지를 상기 이송유로와 상기 제1적재유닛 또는 상기 제2적재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적재유닛 또는 상기 제2적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모듈상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이송유로의 폭을 확장하는 투표지 분류기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frames,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o support the whole, a reading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module to read and transfer the ballots marked therein, and provided in the base module. Classifying the ballo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read by the module, and disposing the first loading unit having a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for storing a portion of the sorted ballot and the first loading uni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ading A loading module including a second loading unit having a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for storing the remaining ballots sorted by the reading module and forming a transfe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ballot is transferred; A part is installed on the loading module and the ballot paper transferred from the reading module is the transfer path and the first loading And a transfer module for transferring the unit or the second loading uni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second loading unit selectively slides on the base module to expand the width of the transfer flow path. A group is disclosed.

Description

이송유로의 확장이 가능한 투표지 분류기{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본 발명은 투표지 분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표가 완료된 투표지를 자동으로 개표하는 투표지 분류기에서 판독이 완료된 투표지를 각각의 분류챔버에 이송하는 과정에서 유로에 잼이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제거 및 보수가 가능한 이송유로의 확장이 가능한 투표지 분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ot classifier, and more particularly, a ballot classifier that automatically counts ballots that have completed ballot counting. To a ballot classifier that can be extended to a possible transfer channel.

우리 나라를 포함하는 의회민주주의국가는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또는 특정 단체들의 대표자를 뽑는 선거 등 많은 선거가 일상화되어 있다. Parliamentary democracies, including ours, have become commonplace in many elections, including presidential elections, parliamentary elections, or elections for representatives of certain groups.

대부분의 종래 투표방식으로는 여러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 및 각 선거에 맞는 소정의 색으로 이루어진 식별 표시가 인쇄된 투표지에 선택하고자 41하는 후보자의 기표부에 도장을 날인하여 투표함에 넣는 방식으로 투표가 진행되었다.Most conventional voting methods include voting by stamping stamps on the candidate's ballots to select on the ballot printed with the names and symbols of the various candidates and the identification marks of the desired color for each election. Progressed.

일예로서, 투표지에는 선거의 종류에 따라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가 표시되며, 유권자가 선거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표지 자체 또는 투표지의 일부에 초록색이나 빨강색 등 선거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는 식별표시가 인쇄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ballot displays the names and symbols of the candidates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ion, and the ballots are colored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election, such as green or red, on the ballot itself or on part of the ballot so that voters can visually identify the type of election. The identification mark is printed.

전술한 방법을 통해 투표가 완료되면 투표시간 완료 후 선거관리인이 투표함을 개방하여 인력으로 집표한다. 그러나 선거관리인이 인력으로서 집표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개표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선거관리인을 채용해야 하므로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After voting is complet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the election manager opens the ballot box and collects the ballot after the voting time is completed. However, when the election manager gathers as a manpower, it takes a long time, and in order to shorten the counti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labor costs increase because more election managers must be employed.

또한, 개표가 완료된 투표지는 개표결과에 다라 별도로 집표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개표결과 및 집표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집표를 다시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거나, 부정투표 의혹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allots that have been counted are coun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counting results. In this process, if the counting results and the contents of the counting do not coinci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unting may occur again or the suspicion of fraudulent voting may occur.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투표지 분류기 방식의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ballot classifier type voting has recently been performed.

즉, 여러 입후보자 또는 정당의 이름과 기호가 인쇄된 기표부 및 각 선거에 맞는 소정의 색으로 이루어진 식별표시가 인쇄된 투표지가 유권자에게 지급되고, 투표지를 지급받은 유권자는 보안이 유지되는 기표소에서 소정의 인주를 이용하여 기표한 후에 투표지를 투표함에 넣는 방식까지는 동일하다. That is, a voter printed with the names and symbols of various candidates or political parties, and a ballot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mark in a predetermined color for each election, and the voter who receives the ballot is prescribed at a secured ballot box. The same procedure is followed when a ballot is used to vote and a ballot is put in the ballot box.

하지만, 개표는 소정의 개표용 스캔장치에 넣어서 진행한다. 이러한 스캔장치는 기표가 된 투표지의 영상을 내부의 스캔모듈을 이용하여 인식하는데, 투표지가 지나가면서 스캔모듈을 이용하여 투표지 전체의 이미지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인식하게 된다. However, the counting count proceeds by putting in a predetermined counting scanning device. Such a scanning device recognizes an image of a voted ballot by using an internal scan module, and recognizes an image of the entire ballot by using a scan module as the ballot passes.

그리고 이와 같이 인식된 이미지는 컴퓨터 등의 제어부를 통하여 그 영상을 분석, 즉, 인주가 기표된 부분의 영상의 위치를 분석하여 투표가 된 후보자를 파악하게 된다. The recognized image is analyzed through the control unit such as a computer, that is, by analyzing the position of the image of the portion where the shares are marked to identify the candidates voted.

이와 같이 판독이 완료된 투표지는 판독 결과에 따라 판독 결과별로 각각의 분류챔버에 선별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적재된다. 이때, 판독된 투표지가 분류챔버로 이송되는 이송유로에 종이나 이물질, 고무줄 등이 유입되어 용지의 끼임이 발생할 수 있다. The ballot paper after the reading is completed is automatically loaded by using the sorting cam in each classification chamber according to the reading result according to the reading result. At this time, paper or foreign matter, rubber bands or the like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veying flow path where the read ballot is transferred to the sorting chamber, thereby causing paper jams.

그러나 일반적으로 투표지가 이송되는 이송유로는 한 장의 종이가 지나갈 정도로 좁게 형성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어려웠다.However, in general, the transfer passage through which the ballots are transported is narrow enough to pass a piece of paper, making it difficul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특히 전자개표장치에서 투표지의 끼임이 발생하는 경우 개표작업 자체가 중단되어 빠른 대응이 필요하지만, 좁은 이송유로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개표작업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ballot is jammed in the electronic ballot counting device, the counting work itself is stopped and a quick response is requir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narrow transfer path, so the counting work takes a long time.

KR1072818 10KR1072818 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표가 완료된 투표지를 자동으로 개표하는 투표지 분류기에서 판독이 완료된 투표지를 각각의 분류챔버로 이송하는 과장에서 이송유로에 이물질이 끼이는 문제의 발생 시 간단하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이송유로의 확장이 가능한 투표지 분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hat the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transfer path in the section for transferring the ballot reading completed to each classification chamber in the ballot classifier that automatically counts the ballot completed ballo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ballot classifier that can be extended to transfer channel to solve this problem easi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투표지 분류기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모듈, 상기 베이스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기표된 투표지를 판독하고 이송하는 판독모듈, 상기 베이스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판독모듈에서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투표지를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투표지의 일부를 보관하는 제1분류챔버를 가지는 제1적재유닛 및 상기 제1적제유닛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적재유닛과 함께 상기 투표지가 이송되는 이송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투표지의 나머지를 보관하는 제2분류챔버를 가지는 제2적재유닛을 포함하는 적재모듈 및 상기 베이스모듈에 구비되며 일부가 상기 적재모듈상에 설치되어 상기 판독모듈에서 전달되는 상기 투표지를 상기 이송유로와 상기 제1적재유닛 또는 상기 제2적재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적재유닛 또는 상기 제2적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모듈상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이송유로의 폭을 확장한다.Ballot classifier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plurality of frames,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base module for supporting the whole,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module to read and transfer the ballots marked A first loading unit and the first loading unit having a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provided in the reading module and the base module to classify the ballot based on the result read by the reading module, and storing a portion of the sorted ballot; groups are arranged spaced apart 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second stacking unit having a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that forms the conveyance passage in which the ballots are transported, stored the rest of the ballot classified by the reading module, with the first loading unit It is provided in the loading module and the base module comprises at the read module part is provided on the loading module The conveyance passage for the ballot that month and the first stacking unit or the second comprises a transfer module for transferring the second stacking unit, at least one of the first stacking unit or the second stacking unit is optional on the base unit Sliding to expand the width of the conveying passage.

또한, 상기 제1적재유닛은 상기 베이스모듈의 일측에 적층형태로 배치되어 상면에 상기 제1분류챔버가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적재유닛은 상기 베이스모듈의 타측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마주보며 동일선상에서 적층형태로 배치되어 상면에 상기 제2분류챔버가 결합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모듈에서 슬라이딩하여 상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oading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frame which is arranged in a stacked form on one side of the base module,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loading unit is the other side of the base module A second support frame having a second support chamb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in a stacked form on the same lin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is the base; The mutual spacing can be adjusted by sliding in the module.

또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투표지를 상기 제1분류챔버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과 이격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투표지를 상기 제1분류챔버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서 각각이 동시에 연결되며, 상호 연동하도록 함께 회전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유닛 및 상기 제1이송유닛 또는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module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ballot to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the first transfer unit is dispos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A secon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ballot to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an interlocking unit for connecting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at the same time, and rotating together so as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It may include a drive mot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fer unit or the second transfer unit to provide a driving force.

또한,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제2분류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상기 투표지를 이송하는 제2투입롤러,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2투입롤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와 상기 연동유닛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달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unit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sorting chamber to rotate and the second feed roller for transporting the ballot, the second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roll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to rotate together And a second transmission belt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the interlocking uni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rotate together.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인접한 하면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frame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adjacent to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protruding in a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또한,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제2회전체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2전달밸트를 가압하는 제1회전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연동유닛 사이에서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전달밸트를 가압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달밸트가 기 설정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unit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for pressing the second transfer belt and between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the interlocking unit;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extension to press the second transfer bel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adjusting unit for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tension of the second transfer belt. have.

또한,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이송유로의 미 확장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경계선상에 상기 제2회전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otating member may be disposed relatively closer than the second rotating member on a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in an unexpanded state of the transfer channel.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제2회전체와 상기 연동유닛 사이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부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전달밸트를 가압하는 제3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adjust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the interlocking unit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the third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extension portion for pressing the second transfer belt further.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이송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및 상기 베이스모듈 내부에서 상기 이송롤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이 각각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동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locking unit is provided on the conveying flow path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the ballot and the conveying roller in the base module, and the first conveying unit and the second conveying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Rotate together and may include an interlocking membe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상기 제1분류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상기 투표지를 이송하는 제1투입롤러,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1투입롤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체 및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연동유닛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전달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unit is provided in the first sorting chamber to rotate and the first feed roller for transporting the ballot, the first connected to the first feed roll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to rotate together 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and a first transmission belt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linkage unit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together.

또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이송유로상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투표지를 판독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분류챔버 또는 상기 제2분류챔버 중 어느 하나로 유도하는 경로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ath control unit which is provided on the transfer flow path and guides the ballot to be transferred to either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or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in response to a reading result.

또한, 상기 경로조절유닛은 상기 투입유로상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송유로 또는 상기 투입유로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h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on the input flow path and selectively rotate to block either the transfer flow path or the input flow path.

또한, 상기 제1분류챔버 또는 상기 제2분류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송유로를 형성하는 면의 일부가 분할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분리편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편의 분리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상기 이송유로가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includes a separation piece in which a part of the surface forming the transfer flow path is divided and selectively separated, an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separation of the separation piece. The transfer passage may be formed to extend.

상기 분리편은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이송유로를 향해 배치되는 면의 일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parating piece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a surface disposed toward the conveying flow path.

또한, 상기 분리편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iece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또한, 상기 제1분류챔버 및 상기 제2분류챔버는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유로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may be configured in plural numbers, respectively, and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conveyance flow direction.

또한, 상기 제1분류챔버 및 상기 제2분류챔버는 상기 이송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투표지가 투입되는 투입유로를 가지며, 각각에 형성된 형성된 상기 투입유로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may have an input flow path branched from the transfer flow path into which the ballot is put, and the input flow paths formed in each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또한,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제1적재유닛 또는 상기 제2적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모듈과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loading unit or the second loading unit and selectively fixed to the base module.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적재모듈상에서 상기 베이스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부 및 상기 베이스모듈에서 상기 승하강부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is formed on the loading module protruding toward the base module and selectively lifting and lowering and the lifting groove formed in the bas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and the lifting groove is inserted into Can be.

또한, 상기 판독모듈은 기표된 투표지가 투입되는 투입부, 일측이 상기 투입부와 연결되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투표지가 판독유로 및 상기 판독유로의 경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지에 기표된 기표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ding module is an input unit into which the ballot to be put is pu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put unit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ballot is provided on the reading flow path and the path of the reading flow ballot information published on the ballot It may include a reading unit for reading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판독이 이루어진 투표지가 이송되는 이송유로에서 이물질이나 종이 등의 끼임으로 인해 jam이 발생하더라도 이송유로를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간단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even if a jam occurs due to a jam of foreign matter or paper in the transport path to which the ballot reads are transferred, there is an effect of selectively removing the foreign matter by selectively expanding the transport path.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적재모듈은 이송유로를 기준으로 제1적재유닛 및 제2적재유닛이 양측에 분할 배치되며, 어느 하나를 베이스모듈에서 슬라이딩 함으로써 간단하게 이송유로를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econdly, the loa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second loading unit are divided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ort flow path, and the transport flow path can be easily expanded by sliding one of the base modules. .

셋째, 복수 개의 분류챔버에서 이송유로를 형성하는 면에서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 이송유로의 확장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Third, since a part of the plurality of sorting chambers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n terms of forming a transport channe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ransport channel can be expan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로의 확장이 가능한 투표지 분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투표지 분류기에서 이송유로를 따라 투표지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투표지 분류기에서, 분류챔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투표지 분류기에서, 이송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전자개표장치에서, 베이스모듈의 내부 및 고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투표지 분류기에서, 복수의 분류챔버가 동시에 슬라이딩하여 이송유로가 확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투표지 분류기에서 제1적재유닛과 제2적재유닛의 슬라이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의 투표지 분류기에서 이송모듈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6의 투표지 분류기에서 제2적재유닛의 슬라이딩에 의해 이송모듈의 배치가 변화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도 1의 이송유로의 확장이 가능한 투표지 분류기에서 분리편이 분리되는 구조에 대해 나타낸 도면.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llot classifier capable of extending a transfer cha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llot moves along a transfer path in the ballot classifier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classification chamber in the ballot classifier of FIG. 1;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fer module in the ballot classifier of FIG.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ide and the fixing unit of the base module in the electronic counting device of FIG.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orting chambers slide at the same time so that a transport flow path is expanded in the ballot classifier of FIG. 1;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liding state of a first loading unit and a second loading unit in the ballot sorter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transfer module in the ballot classifier of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transfer module is changed by the sliding of the second loading unit in the ballot sorter of FIG. And
10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ing piece is separated in the ballot classifier which can be extended to the transfer channel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로의 확장이 가능한 개표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to 5 with respect to the c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extended to the transfer cha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표된 투표지(10)에 대해 기표정보를 수집하고, 기표정보에 대응하여 각각 분류하는 개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베이스모듈(100), 판독모듈(200), 적재모듈(300) 및 이송모듈(40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ot counting device that collects ballot information for each of the ballots (10), and classifies corresponding to the ballot information, and includes a base module (100), a reading module (200), a stacking module (300) and It includes a transfer module 400.

상기 베이스모듈(100)은 상술한 판독모듈(200), 상기 적재모듈(300) 및 상기 이송모듈(400)이 장착되며, 설치면상에서 전체를 지지한다.The base module 100 is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reading module 200, the stacking module 300 and the transfer module 400, and supports the whole on the installation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모듈(100)은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일부를 수용한다.Specifically, the base module 100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accommodation space 110 is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a part thereof.

이때, 상기 베이스모듈(100)의 상부에는 상기 적재모듈(300)이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모듈(100)상에서 위치가 조절된다.At this time, the loading module 300 is seated on the base module 100, the position is adjusted on the base module 100.

여기서, 상기 베이스모듈(100)의 상부면 또는 일측면에 상기 판독모듈(200)이 설치되어 상기 적재모듈(300)과 연속하도록 배치된다.Here, the reading module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r one side of the base module 100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loading module 3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모듈(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의 일측에는 상기 판독모듈(200)이 장착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상기 적재모듈(300)이 분할되어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module 100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the receiving space 110 is formed therein. The reading module 200 is mounted on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and the loading module 300 is dividedly disposed in the remaining area.

상기 수용공간(110)은 내부에 후술하는 상기 이송모듈(400) 및 기타 제어를 위한 부품들이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내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accommodation space 110 is accommodated in the transfer module 400 and other control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interior,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ed inside.

또한, 상기 베이스모듈(100)은 후술하는 상기 적재모듈(300)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거나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해 일측에 도어(120)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module 100 is a door 120 is formed on one side for selectively fixing or maintaining the loading module 3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which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110 can be opened Can be.

한편, 상기 판독모듈(200)은 상기 베이스모듈(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표정보가 표시된 상기 투표지(10)를 판독하고, 이에 대응하여 판독결과를 기록 및 해당 상기 투표지(10)를 상기 적재모듈(300)에 수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ading module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module 100, and read the ballot (10) marked with the ballot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ly record the read result and the corresponding ballot (10) It is accommodated in the loading module 3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판독모듈(200)은 상기 베이스모듈(100)의 상부면 또는 측면상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투표지(10)가 투입되어 이송되는 판독유로(230)가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reading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of the base module 100, the reading passage 230 is formed on one side is transferred to the ballot (10).

그리고 상기 투표지(10)는 상기 판독유로(230)를 따라 이송되며, 기표된 투표결과를 상기 판독모듈(200)에서 기록한다.The ballot 10 is transferred along the reading flow path 230 and records the declared ballot result in the reading module 200.

본 발명에서 상기 판독모듈(200)은, 크게 본체(210), 투입부(220), 판독유로(230) 판독부(240) 및 반송유로(250)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ing module 200 includes a main body 210, an input unit 220, a reading passage 230, a reading unit 240, and a conveying passage 250.

상기 본체(210)는 외관을 이루며, 일측에 상기 투입부(22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투표지(10)가 이송되는 상기 판독유로(230) 및 상기 반송유로(250)가 형성된다.The main body 210 forms an appearance, and the input passage 220 is formed at one side, and the reading passage 230 and the transfer passage 250 are formed to transfer the ballot 10 therein.

그리고 상기 투입부(220)는 상기 판독모듈(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투표지(10)가 적층 형태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투입부(220)는 상기 판독유로(230)의 일측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투표지(10)가 하나씩 투입되도록 구성된다.And the input unit 2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ding module 200, a plurality of the ballot 10 is mounted in a stacked form. In this case, the input unit 2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ding flow path 230, the plurality of ballots 10 is configured to be input one by one.

상기 판독유로(230)는 상기 본체(210) 내부에서 기 설정된 경로를 가지며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투입부(220)와 연결된다.The reading flow path 230 has a predetermined path inside the main body 210 and is formed long, and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input unit 220.

여기서, 상기 판독유로(230)는 내부에서 복수 개의 롤러가 경로를 따라 이격 배치되어 상기 투표지(10)를 이송시키며, 상기 투표지(10)가 상기 판독부(240)를 경유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reading flow path 230 is configured to transport the ballot 10 by a plurality of rollers spaced apart along the path therein, and the ballot 10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reading unit 24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판독유로(230)는 상기 본체(210) 상에서 일부가 상부로 개방 형성되며, 상기 본체(210) 내부에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reading flow path 230 is partially formed to be open upward on the main body 21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side the main body 210.

여기서, 상기 판독유로(230)는 상기 투표지(10)가 상기 판독부(240)를 경유하며, 기표정보를 판독하고 이에 대해 분류하여 상기 적재모듈(300)에 보관하기 위한 구성이며, 일정 수준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재모듈(300)로 이송되는 상기 투표지(10)의 이송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Here, the reading flow path 230 is a configuration for the ballot 10 to pass through the reading unit 240, read the ballot information, classify it and store it in the loading module 300, the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t is formed to have a length can ensure the transfer time of the ballot paper 10 is transferred to the stacking module (300).

이와 같이 상기 판독유로(230)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상기 투입부(220)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상기 적재모듈(300)과 연속하도록 배치된다In this way, the read flow path 2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put unit 220, the other side is disposed to be continuous with the loading module 3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판독부(240)는 상기 판독유로(230)의 경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지(10)에 기표된 기표정보를 판독하는 구성이다.The reading unit 240 is configured on the path of the reading passage 230 to read the ballot information published on the ballot 10.

구체적으로 상기 판독부(240)는 상기 투표지(10)에서 기표된 정보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판단하며, 판단된 정보를 별도로 기록한다.Specifically, the reading unit 24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information declared in the ballot 10, determines this, and separately records the determined information.

이러한 상기 판독부(240)는 일 예로 투표지(10)로 판독을 위한 광을 조사하는 조사모듈 및 조사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투표지(10)에 반사되는 광을 전달받아 투표지(10)를 판독하는 감지모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조사모듈 및 감지모듈로 이루어진 구성은 일 예일 뿐 투표지(10)의 기표 위치를 판독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The readout unit 240 reads the ballot 10 by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allot module 10 and the irradiation module for irradiating light for reading to the ballot 10 and the ballot 10 as an example. It consists of a sensing module. As such, th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the survey module and the sensing module is just an example, and an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the device can read the ballot position of the ballot 10.

이때, 투표지(10)의 명확한 판독을 위하여 조사모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받침부(미도시) 및 가압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롤러는 조사모듈과 받침부 상으로 이송된 투표지(1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조사모듈을 통하여 빛을 조사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감지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투표지(10)를 가압한다. At this time, a support portion (not shown) and a pressure rol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rvey module for clear reading of the ballot 10. The pressure roller presses the ballot 10 so that the light can be irradiated through the irradiation module in the state where the ballot 10 transferred to the irradiation module and the supporting part is completely unfolded.

만약, 상기 투표지(10)의 일부가 휘어지거나 구겨진 상태로 판독모듈(200)에 투입된 경우에는 조사모듈 및 감지모듈에서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투표지(10)를 압착함으로써 투표지(10)를 완전히 펼쳐지도록 하여 판독모듈(200)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f a part of the ballot 10 is bent or crumpled into the reading module 200, since the accurate detection may not be made in the research module and the detection module, the ballot 10 may be crimped using a pressure roller. As a result, the ballot 10 may be completely unfold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eading module 200.

이와 같이 상기 판독부(240)에 의해 판독된 상기 투표지(10)는 상기 적재모듈(300)로 이송되며, 판독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보관된다.In this way, the ballot paper 10 read by the reading unit 240 is transferred to the stacking module 300, and stor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resul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판독모듈(200)은 상기 판독유로(230)에서 일부 분기되며, 상기 적재모듈(300)이 아닌 외부로 상기 투표지(10)를 배출하는 별도의 반송유로(250)가 더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ding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branched from the reading flow path 230, a separate transport flow path 250 for discharging the ballot 10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module 300 is Is formed more.

구체적으로, 상기 반송유로(250)는 상기 판독유로(230)상에서 상기 판독부(240)의 하류에서 분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투표지(10)가 이송되며 외부로 반송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conveying flow path 250 is branched downstream of the reading unit 240 on the reading flow path 230, and selectively allows the ballot 10 to be transported and returned to the outside.

상기 반송유로(250)는 상기 판독부(240)를 경유한 상기 투표지(10) 중 판독결과가 불명확하거나, 올바르게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재모듈(300)로 전달되지 않고 별도의 경로로 이송시킨다.The return flow path 250 transfers the read result of the ballot 10 via the readout unit 240 to a separate path without being transferred to the loading module 300 when the reading result is unclear or not recognized correct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송유로(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독유로(230)에서 분기되어 별도의 경로를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veyance flow path 250 is branched from the read flow path 230 as shown to form a separate path.

이때, 상기 반송유로(250)의 타측에는 미분류 보관함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올바르게 판독되지 않는 상기 투표지(10)가 적재된다.In this case, an unclassified storage box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yance passage 250, and the ballot 10 which is not read correctly is loaded.

즉, 반송유로(250)는 상기 판독모듈(200)을 경유한 상기 투표지(10) 중 올바르게 인식되지 않은 것들을 별도로 배출 보관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conveyance flow path 250 is configured to separately discharge and store those which are not correctly recognized among the ballots 10 via the reading module 2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판독모듈(200)은 상기 투표지(10)가 투입되며, 기표정보를 판독하여 이를 기록함과 동시에 판독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적재모듈(300)로 상기 투표지(1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ding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allot 10, reads and writes the ballot information and simultaneously transfers the ballot 10 to the loading module 300 in response to the reading result. To be possible.

한편, 상기 적재모듈(300)은, 상기 베이스모듈(100)이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판독모듈(200)에서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투표지(10)를 분류하고, 이를 보관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acking module 300, the base module 100 is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classifies the ballot (10) based on the result read from the reading module 200, and stores this Configur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적재모듈(300)은 크게 제1적재유닛(310), 제2적재유닛(320) 및 이송유로(330)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loading module 300 includes a first loading unit 310, a second loading unit 320, and a transfer passage 330.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적재유닛(310)은 및 상기 제2적재유닛(320)은 각각 복수 개의 분류챔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모듈(100) 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다.In detail, the first loading unit 310 and the second loading unit 320 each have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hambers, and are disposed in a form facing each other on the base module 100.

그리고, 상기 제1적재유닛(310)과 상기 제2적재유닛(320) 사이에 상기 이송유로(330)가 형성되어 상기 판독모듈(200)에서 전달되는 상기 투표지(10)가 이송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passage 3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loading unit 310 and the second loading unit 320 to transfer the ballot paper 10 transferred from the reading module 200.

여기서 상기 제1적재유닛(310) 및 상기 제2적재유닛(320)은 각각 상기 이송유로(330)를 기준으로 양측에 분할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모듈(100) 상에서 상호 이격거리가 조절된다.Here, the first loading unit 310 and the second loading unit 320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transfer passage 330, the mutual separation distance on the base module 100 is adjusted.

즉, 상기 제1적재유닛(310)과 상기 제2적재유닛(320)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유로(330)를 형성하며, 상호 이격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이송유로(330)의 폭이 조절된다.That is, the first loading unit 310 and the second loading unit 32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the transfer passage 330, and the transfer passage 330 as the mutual separation distance is adjusted. The width of is adjus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적재유닛(310) 및 상기 제2적재유닛(320)은 복수 개의 분류챔버를 가지며, 상기 판독모듈(200)에서 판독된 상기 기표정보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로 상기 투표지(10)가 이송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loading unit 310 and the second loading unit 320 have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hambers, and the ballot 10 may be one of the corresponding ballot information read by the reading module 200. ) Is transferred.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1적재유닛(310)은, 상기 베이스모듈(100)의 일측에 적층형태로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314)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투표지(10)가 수용되는 제1분류챔버(312)를 포함한다.Looking in more detail, the first loading unit 310, at least one or mo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rranged in a stacked form on one side of the base module 100 It is provided with a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is accommodated in the ballot (10).

그리고, 상기 제2적재유닛(320)은 상기 제1적재유닛(310)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모듈(100)상에서 적층형태로 배치되는 제2지지프레임(324)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의 상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투표지(10)를 보관하는 제2분류챔버(32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loading unit 320 corresponds to the first loading unit 310,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arranged in a stacked form on the base module 100.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the ballot (10).

여기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은 상호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모듈(100)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며, 이와 함께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1분류챔버(312) 및 상기 제2분류챔버(322)도 함께 슬라이딩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is formed in a similar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base module 100, with each provided with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may also slide together.

이때, 상기 제1분류챔버(312)와 상기 제2분류챔버(322)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로(330)를 형성한다.In this case, the first sorting chamber 312 and the second sorting chamber 3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the transfer passage 330.

이에 따라, 상기 이송유로(330)는 상기 판독모듈(2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투표지(10)를 이송하여 상기 제1분류챔버(312) 또는 상기 제2분류챔버(322)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투표지(10)가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ransfer passage 330 transfers the ballot 10 transferred from the reading module 200 to the one of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or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10) can be deliver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모듈(300)은 상기 제1적재유닛(310)과 상기 제2적재유닛(320)으로 분할되어 상기 베이스모듈(100)의 상면 배치되며,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이송유로(330)를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oading module 300 is divided into the first loading unit 310 and the second loading unit 32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odule 100, each of which is in a form facing each other The transfer passage 330 is formed.

그리고, 상기 판독모듈(200)으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투표지(10)의 판독 결과에 따라서 선별캠에 의해 자동적으로 투표지(10) 해당하는 위치로 이송된다. Then, according to the reading result of the ballot 10 transferred from the reading module 200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llot 10 by the selection cam.

이와 같이, 해당 투표결과에 따라 각각의 분류챔버로 이송된 투표지(10)는 차후에 선거결과의 대조 및 증빙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투표지(10)의 활용 및 보관이 용이하다. As such, the ballot 10 transferred to each classification chamb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voting can be used as a contrast and proof data of the election result later, and thus the ballot 10 can be easily used and stored.

상기 적재모듈(3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1적재유닛(310) 및 상기 제2적재유닛(320) 각각은 상기 제1분류챔버(312) 및 상기 제2분류챔버(322)를 가지며, 추가적으로 후술하는 상기 이송모듈(400)이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로(33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지(10)를 보관한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loading module 300, the first loading unit 310 and the second loading unit 320 each of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And, the transfer module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keep the ballot 10 is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flow path (330).

구체적으로, 상기 제1분류챔버(312)는 복수 개가 상기 이송유로(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적재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투표지(10)를 수용할 수 있다.In detail, a plurality of first classification chambers 312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330, and a loading space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s 3 to accommodate the ballot 10.

여기서, 상기 제1분류챔버(312)는 상기 이송유로(330)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투표지(10)가 유입 가능하도록 투입유로(312c, 322c)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유로(312c, 322c) 및 상기 제1분류챔버(312)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투표지(10)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Here, the first sorting chamber 312 is opened toward the transfer passage 330, the input passages (312c, 322c) is formed so that the ballot 10 can be introduced, the input passages (312c, 322c) and At least one roller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ballot 10.

그리고, 상기 제2분류챔버(322) 역시 상기 제1분류챔버(312)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 개가 상기 이송유로(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상기 투입유로(312c, 322c)가 상기 이송유로(330)와 연동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is also formed in a similar shape to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and a plurality of them ar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ssage 330, and the input passages 312c and 322c are provided. ) Is formed to interlock with the transfer passage 330.

따라서, 상기 제1분류챔버(312) 및 상기 제2분류챔버(322)는 상기 이송유로(330)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Therefore,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passage 330.

이때, 상기 제1분류챔버(312) 및 상기 제2분류챔버(322) 각각에 형성된 제1투입유로(312c) 및 제2투입유로(322c)는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유로(33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투표지(10)가 안정적으로 분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input passage 312c and the second input passage 322c formed in each of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to transfer the transfer passage 330. The ballot 10 to be transported along is formed to be stably branch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류챔버(322)는 내부에 상기 제2투입유로(322c)와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투표지(10)가 안착되는 안착면(322a) 및 상기 안착면(322a)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투표지(10)가 적재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322b)을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second input passage 322c and has a seating surface 322a and the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ballot 10 is seated. It is disposed to face the 322a includes a pressing means 322b for pressing the ballot 10 so as not to be separated in the loaded state.

이때, 상기 안착면(322a)에는 후술하는 제2투입롤러(422)와 연동하여 상기 투표지(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보조이송부가 내장되며, 상기 보조이송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 등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eating surface (322a) has a built-in auxiliary feeder for introducing the ballot 10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feed roller 422 to be described later, the auxiliary feeder is composed of at least one roller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322b)은 탄성을 가지며 상기 안착면(322a)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배치된다.The pressing means 322b is elastic and is arranged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surface 322a.

이와 같이 상기 제2분류챔버(322)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표지(1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uch,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is provided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ballot 10 therei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분류챔버(322)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분류챔버(312) 역시 상기 제2분류챔버(322)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투표지(10)를 수용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has been described as a reference, but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is also formed in a structure similar to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to accommodate the ballot 10. .

이와 같이 상기 제1분류챔버(312) 및 상기 제2분류챔버(322)가 구성되며 각각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의 상면에 분할되어 복수 개가 배치된다.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are di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 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모듈(100)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상호 접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이송유로(330)의 폭이 조절된다.The width of the transfer channel 330 is adjusted by sliding one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4 or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on the base module 100 to be bond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재모듈(300)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은 별도의 연장부(316: 도 8참조)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stacking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frame 314 further includes a separate extension 316 (see FIG. 8).

상기 연장부(316)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의 하부에 적층형태로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extension part 316 is disposed in a stacked shape below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a part of the extension part 316 protrudes towar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316)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의 하면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의 슬라이딩 시 이와 연동하여 함께 위치가 조절된다.In detail, the extension part 316 has a flat plate shape,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position thereof is adjusted together with the sliding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그리고 상기 연장부(316)는 후술하는 이송모듈(400)의 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더라도 상기 이송모듈(400)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316 is disposed in the transfer module 400 even if a portion of the transfer module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is changed. This configuration prevents damage from occurring.

상기 연장부(316)와 상기 이송모듈(4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내용은 후술한다.Details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xtension part 316 and the transfer module 400 will be described later.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적재모듈(300)은 제1적재유닛(310) 또는 상기 제2적재유닛(320)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모듈(100)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유닛(340)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oading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unit 340 provided on the first loading unit 310 or the second loading unit 320 to selectively fix the base module 100. It includes more.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유닛(340)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 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과 상기 베이스모듈(100)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fixing unit 34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314 or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and the base module 1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fix.

이때, 상기 고정유닛(340)은 후크나 걸림되 또는 스크류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승하강하여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unit 340 ma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hooks or hooks or screw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 the form of a part is lifted and inserted as shown in FIG.

상기 고정유닛(340)은 상기 적재모듈(300)상에서 돌출 형성된 승하강부(342) 및 상기 베이스모듈(100)상에서 상기 승하강부(342)가 삽입되는 고정홈(344)을 포함한다.The fixing unit 340 includes a lifting unit 342 protruding from the loading module 300 and a fixing groove 344 into which the lifting unit 342 is inserted on the base module 100.

상기 승하강부(342)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 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과 상기 베이스모듈(100)의 상부면 사이의 경계 위치에 구비되며, 하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하강한다.The elevating part 342 is provided at a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314 or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odule 100, and protrudes downward to control the user. Ascend and descend by

이때, 승하강부(342)는 탄성부재(346)를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하부 돌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fting unit 342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lower protrusion continuously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346.

그리고, 상기 고정홈(344)은 상기 승하강부(342)의 위치에 대응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모듈(100)상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344 is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on the base module 100 so as to be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fting portion 342.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모듈(100)과 상기 적재모듈(300)이 슬라이딩하지 않는 경우 해당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ase module 100 and the loading module 300 do not slide, the corresponding state may be fix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하강부(342)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일부가 횡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모듈(100)과 상기 적재모듈(300)의 고정상태를 조절한다.In this embodiment, the elevating unit 342 is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is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it. As a matter of course,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nd selectively adjusts the fixed state of the base module 100 and the stacking module 300.

다음으로, 상기 이송모듈(400)은 상기 베이스모듈(100)에 구비되며, 일부가 상기 적재모듈(300)에 설치되어, 상기 판독모듈(200)에서 전달되는 상기 투표지(10)를 상기 이송유로(330)와 상기 제1적재유닛(310) 또는 상기 제2적재유닛(320)으로 이송시킨다.Next, the transfer module 400 is provided in the base module 100, a portion of which is installed in the loading module 300, the ballot (10) transferred from the reading module 200 to the transfer passage 330 and the first loading unit 310 or the second loading unit 320 is transferred.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모듈(400)은 상기 이송유로(330) 및 각각의 상기 제1분류챔버(312) 및 상기 제2분류챔버(322)에서 상기 투표지(10)가 이송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크게 제1이송유닛(410), 제2이송유닛(420), 연동유닛(430) 및 구동모터(4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transfer module 400 is configured to allow the ballot 10 to be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passage 330 and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It includes a first transfer unit 410, the second transfer unit 420, the interlocking unit 430 and the drive motor 440.

상기 제1이송유닛(410)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에 결합되어 상기 투표지(10)를 상기 제1분류챔버(312)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모듈(10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된다.The first transfer unit 41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314 to transfer the ballot 10 to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the base formed in the module 100 It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이송유닛(410)은, 상기 제1투입유로(312c)상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지(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투입롤러(412), 상기 제1투입롤러(412)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체(416) 및 상기 제1회전체(416)와 상기 연동유닛(430)을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전달밸트(414)를 포함한다.The first transfer unit 4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first input passage 312c, the first input roller 412, the first input roller (412) for introducing the ballot 10 into the inside ( It is connected to the 412 and the first rotating body 416 to rotate together and the first transmission belt 414 for connecting the first rotating body 416 and the linkage unit 43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rotate together do.

상기 제1투입롤러(412)는 일반적인 롤러 형태로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상기 제1분류챔버(312) 내부에 구비된다.The first injection roller 412 has a predetermined circumference in the form of a general roller, it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이때, 상기 제1투입롤러(412)의 일부는 상기 제1투입유로(312c)에서 노출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을 관통한 형태로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한다.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first injection roller 412 is exposed in the first injection passage 312c, and rotates with a rotation axis in the form passing through the first support frame 314.

그리고 상기 제1회전체(416)는 상기 베이스모듈(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투입유로(312c)와 함께 회전한다.The first rotating body 416 is disposed inside the base module 10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input passage 312c.

구체적으로 상기 제1회전체(416)는 일반적인 풀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을 기준으로 상기 제1투입롤러(412)와 각각 상 하면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투입롤러(412)와 동축상에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투입롤러(412)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In detail, the first rotating body 416 is formed in a general pulley shape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feeding roller 412 based on the first supporting frame 314, respectively. It is coupled coaxially with the one injection roller 412. And it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injection roller 412.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투입롤러(412)와 상기 제1회전체(416)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서로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jection roller 412 and the first rotating body 416 has the same rotation axis and is composed of different members, but differently configured integrally the first support It may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frame 314.

한편, 상기 제1전달밸트(414)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단로써, 상기 제1회전체(416)와 후술하는 상기 연동유닛(430)에 각각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ransfer belt 414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416 and the linkage unit 430 to be described later to rotate together.

구체적으로, 제1전달밸트(414)는 탄성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양측이 각각 상기 연동유닛(430) 및 상기 제1회전체(416)에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체(416)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first transfer belt 414 has elasticity and is formed long so that both sides are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unit 430 and the first rotating body 416, respectively,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416 is performed. It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이와 같이 상기 제1이송유닛(410)은, 상기 연동유닛(430)과 상기 제1투입롤러(412)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상기 구동모터(440)가 연결될 수도 있다.As such, the first transfer unit 410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interlocking unit 430 and the first feeding roller 412, and the driving motor 440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터(440)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달밸트(414)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회전체(416) 및 상기 연동유닛(430)이 함께 회전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motor 440 is installed below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transfer belt 414. The first rotating body 416 and the interlocking unit 430 rotate together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440.

이때, 상기 구동모터(440)는 상기 제1전달밸트(414)에 의해 상기 제1회전체(416) 및 상기 연동유닛(430)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1회전체(416) 또는 상기 연동유닛(430)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더라도 상호 연동하여 동시 회전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driving motor 440 is configured to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416 and the interlocking unit 430 by the first transfer belt 414, unlike the first rotating body ( 416) or even when only one of the interlocking unit 430 is connected to each other is possible to rotate simultaneously.

이와 같이, 상기 제1이송유닛(410)은 상기 구동모터(440)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투입롤러(412)를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연동유닛(430)도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ransfer unit 410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440,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interlocking unit 430 together with the driving of the first feeding roller 412.

한편, 상기 제2이송유닛(420)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에 결합되어 상기 투표지(10)를 상기 제2분류챔버(322)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모듈(10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ransfer unit 420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to transfer the ballot 10 to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formed in the base module 100 It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이송유닛(420)은, 상기 제2투입유로(322c)상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지(10)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2투입롤러(422), 상기 제2투입롤러(422)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체(426) 상기 제2회전체(426)와 상기 연동유닛(430)을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달밸트(424) 및 상기 제2전달밸트(424)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428)를 포함한다.The second transfer unit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second input passage 322c, the second input roller 422 for introducing the ballot 10 into the inside, the second input roller ( A second transfer belt 424 and the second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to connect the second rotating body 426 and the rotating unit together 422 and the rotation unit 430 and the interlocking unit 430 to rotate together. It includes a tension control unit 428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wo transmission belt (424).

상기 제2투입롤러(422)는 상술한 제1투입롤러(412)와 동일한 형태로,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상기 제2분류챔버(322) 내부에 구비된다.The second injection roller 422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injection roller 412 described above, has a predetermined circumference, and is provided in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이때, 상기 제2투입롤러(422)의 일부는 상기 제2투입유로(322c)에서 노출되며,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을 관통한 형태로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한다. At this time, a part of the second injection roller 422 is exposed in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322c, and rotates with a rotation axis in a form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그리고 상기 제2회전체(426)는 상기 베이스모듈(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투입유로(322c)와 함께 회전한다.The second rotating body 426 is disposed inside the base module 10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input passage 322c.

이는 상술한 상기 제1투입롤러(412) 및 상기 제1회전체(41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투입롤러(422)와 상기 제2회전체(426)가 함께 회전한다.It is configur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injection roller 412 and the first rotating body 416 described above, the second injection roller 422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426 rotate together do.

따라서, 상기 제2투입롤러(422)와 상기 제2회전체(426)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동축상에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second feed roller 422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426 are disposed through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it is configured to rotate simultaneously on the coaxial.

한편, 상기 제2전달밸트(424)는 상기 제2회전체(426)와 후술하는 상기 연동유닛(430)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426 and the linkage unit 4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enable simultaneous rotation.

이때, 상기 연동유닛(430)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상에 구비된 상태이며, 상기 제2전달밸트(424)는 상기 일측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상에 구비된 상기 제2회전체(426)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동유닛(430)과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interlocking unit 430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has the one side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It is connected to the two rotating body 426,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unit 430.

즉, 상기 제2전달밸트(424)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That is,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respectively,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상기 장력조절부(428)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 및 상기 연장부(316)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달밸트(42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복수 개로 구성되어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tension adjusting unit 428 is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and the extension part 316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t least a part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구체적으로, 상기 장력조절부(428)는 제1회전부재(428a) 및 제2회전부재(428b)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428a)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전달밸트(424)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tension adjusting unit 428 includes a first rotating member 428a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428b,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428a is rotatable on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Is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그리고 상기 제2회전부재(428b)는 상기 제1회전부재(428a)와 상기 연동유닛(4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316)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회전부재(428b)는 상기 제2회전부재(428b)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전달밸트(424)를 가압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의 접합 시 상기 제2전달밸트(424)는 상기 제1회전부재(428a)와 상기 제2회전부재(428b)에 의해 각각 가압되어 장력을 유지한다.The second rotating member 428b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member 428a and the interlocking unit 430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316. 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ng member 428b presses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rotating member 428b, and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is pressed by the first rotating member 428a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428b to maintain tension when the 324 is joined.

또한,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분리 시 상기 제1회전부재(428a)와 상기 제2회전부재(428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2전달밸트(424)의 장력이 감소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re separated, the first rotating member 428a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428b slide in opposite directions to tension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It is configured to redu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력조절부(4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부재(428a) 및 상기 제2회전부재(428b)와 함께 추가적으로 제3회전부재(428c)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nsion adjusting part 428 further includes a third rotating member 428c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ng member 428a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428b.

상기 제3회전부재(428c)는 상기 제2회전체(426)와 상기 연동유닛(430) 사이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428a)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부(316)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전달밸트(424)를 가압한다.The third rotating member 428c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rotating member 428a between the second rotating member 426 and the interlocking unit 430 and on the extension part 316. Coupled to press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즉 상기 장력조절부(428)재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428a)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428b) 및 상기 제3회전부재(428c)는 상기 연장부(316)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전달밸트(424)의 회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 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first rotation member 428a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in the tension control unit 428,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8b and the third rotation member 428c. )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extension part 316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 the rotation of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and sliding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4 or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The tension can be adjusted in conjunction with.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428a)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이 접합되어 상기 이송유로(330)가 미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의 경계선상에 상기 제2회전부재(428b)보다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배치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otating member 428a is join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so that the first flow path 330 is not expanded. It is disposed relatively closer than the second rotating member 428b on the boundary between the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따라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접합 시 상기 제1회전부재(428a)는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428b)는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 방향으로 배치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supporting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324 are bond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boundary line, the first rotating member 428a is disposed in the second supporting plate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is disposed. 428b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그리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의 분리 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2전달밸트(424)에 작용하는 장력이 감소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유로(330)의 확장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달밸트(424)의 배치가 변형되도록 조절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tension applied to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is reduced by sli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is modifi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extended distanc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이송유닛(420)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 및 상기 연장부(316)에 각각 분할 배치되며, 상기 연장부(316)와 상기 제2투입롤러(422)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transfer unit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and the extension part 316, respectively, and the extension part 316 and the second injection roller 422. )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한편, 상기 연동유닛(430)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상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1전달밸트(414) 및 상기 제2전달밸트(424)가 각각 동축상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유닛(410) 또는 상기 제2이송유닛(420)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나머지 하나에 전달함과 동시에 함께 회전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locking unit 430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rotates, and the first transfer belt 414 and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are respectively coaxially connected. In addition, the rotating force generated in any one of the first transfer unit 410 or the second transfer unit 420 is transmitted to the other one and simultaneously rotates together.

구체적으로 상기 연동유닛(430)은 상기 제1분류챔버(312) 내부에 구비되며 일부가 상기 이송유로(330)에 노출되어 상기 투표지(10)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432) 및 상기 이송롤러 (432)와 함께 상기 제1이송유닛(410) 및 상기 제2이송유닛(420)이 동시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회전력을 상호 전달하는 연동부재(434)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interlocking unit 430 is provided in the first sorting chamber 312 and is partially exposed to the conveying flow path 330 so that the conveying roller 432 and the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the ballot 10. 432 and the first transfer unit 4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420 are connected at the same time includes a linking member 434 to rotate together and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each other.

상기 이송롤러 (4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류챔버(312)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표지(10)를 이송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 (432)는 상기 연동부재(434)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동부재(434)는 상기 제1이송유닛(410) 또는 상기 제2이송유닛(4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The transfer roller 432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as shown, and transfers the ballot (10). In this case, the feed roller 432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interlocking member 434, the interlocking member 434 transfer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410 or the second transfer unit 420 Take it and rotate i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부재(434)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롤러 (432)와 동축상에서 일체로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interlocking member 434 is disposed below the first supporting frame 314 and is integrally formed coaxially with the feed roller 432.

따라서, 상기 연동부재(434)와 상기 이송롤러 (432)는 일체로 동시에 회전하며 상기 이송유로(330)에서 상기 투표지(10)가 이송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interlocking member 434 and the transfer roller 432 are integrally rotated at the same time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ballot 10 from the transfer passage 33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모듈(400)은 상기 제1이송유닛(410) 상기 제2이송유닛(420) 및 상기 연동유닛(430)을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투입롤러(412) 상기 제2투입롤러(422) 및 상기 이송롤러 (432)가 하나의 구동모터(440)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상호 전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modul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transfer unit 410, the second transfer unit 420, and the interlocking unit 430, respectively. The second input roller 422 and the transfer roller 432 transfers the rotational force to rotate at the same time by one drive motor 44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 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하여 상호 이격거리가 변화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장력을 유지하며 연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any one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4 or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is slid, the tens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changes, thereby maintaining a stable tension and maintaining an interlocking stat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모듈(400)은 별도의 경로조절유닛(450)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modul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parate path control unit 450.

상기 경로조절유닛(450)은 상기 이송유로(330)상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투표지(10)의 판독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분류챔버(312) 또는 상기 제2분류챔버(322)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투표지(10)를 유도한다.The path control unit 450 is provided on the transfer passage 330 to correspond to the reading result of the ballot paper 10 to be transported to any one of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or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Induces the ballot 10 into one.

구체적으로 상기 경로조절유닛(450)은 상기 이송경로상에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회전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유로(330) 또는 상기 투입유로(312c, 322c)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한다.Specifically, the path control unit 450 is provided on the transfer path to rotate independently and selectively blocks any one of the transfer passage 330 or the input passages 312c and 322c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본 발명에서 상기 경로조절유닛(450)은 상기 이송유로(330)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판독모듈(200)에서 판독된 결과에 대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path control units 4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transfer flow path 330, and are independently driven in response to the results read by the reading module 2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표지 분류기가 구성되며, 상기 제1적재유닛(310) 또는 상기 제2적재유닛(3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베이스모듈(100)상에서 슬라이딩 하여 상기 이송유로(330)의 폭을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ballot class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nd either one of the first loading unit 310 or the second loading unit 320 slides on the base module 100 so that the width of the transfer channel 330 is provided. Can be expanded or collapsed.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적재모듈(300)이 상기 베이스모듈(100)상에서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이송유로(330)가 확장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ubsequently, as the loading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lides on the base module 100, the transfer path 330 is expanded as follows.

도 6을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a)의 경우 상기 이송유로(330)가 L1의 폭을 가지며 미확장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 6의 (b)는 상기 베이스모듈(100)에서 상기 제2적재유닛(320)이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이송유로(330)의 폭이 L2로 확장된 상태이다.Referring to FIG. 6, in the case of FIG. 6A, the transport channel 330 has a width of L1 and is not expanded. 6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width of the transfer channel 330 is extended to L2 by sliding the second loading unit 320 laterally in the base module 100.

이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투표지 분류기의 사용 시 상기 이송유로(330) 내부에서 상기 투표지(10)에 끼임이 발생하거나, 종이가루 등으로 인해 jam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This can be easily solved when the user is jammed due to the ballot 10, the paper powder, etc. in the transfer passage 330 when using the ballot class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종래에는 상기 이송유로(330)의 확장이 어려워 사용자가 핀셋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으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간단하게 상기 이송유로(330)의 폭을 확장할 수 있다.In particular, although the transfer path 330 is difficult to extend, the user removes the foreign matter using tweezers, etc., but the gap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it is adjusted, it is possible to simply expand the width of the transfer channel 330.

뿐만 아니라, 도 8 및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모듈(400)이 상기 적재모듈(300)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부(428)의 일부만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상에 구비된다.8 and 9, the transfer modul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s adjusted in conjunction with the sliding of the loading module 300, the tension adjusting unit as described above Only a portion of the 428 is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그리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314)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24)의 상호 간격이 증가 하더라도, 상기 장력조절부(428)의 배치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제2전달밸트(424)가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을 받거나 길이가 증가하지 않고 단순 배치형태만 변화하여 확장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mutual spacing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314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24 increases, the second transfer belt 424 is at a predetermined level as the arrangement of the tension control unit 428 is adjusted. It can be expanded by changing only the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receiving the above pressure or increasing the length.

따라서, 상기 제1이송유닛(410) 및 상기 제2이송유닛(420) 각각에 상기 구동모터(440)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상기 구동모터(440)만으로도 상기 연동유닛(430)에 의해 동력전달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이송유로(330)의 확장에 능동적으로 변화하여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refore, each of the first transfer unit 4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420 does not include the drive motor 440, but the power transmission by the interlocking unit 430 with only one drive motor 440. This is possible,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figured to actively change in the expansion of the transfer passage 330 so that no damage occurs.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적재모듈(300)에서 분리편(328)이 분리되는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10, a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ing piece 328 is separated from the stacking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분류챔버(312) 또는 상기 제2분류챔버(322)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별도의 분리편(328)이 구비되며, 상기 분리편(328)의 분리에 의해 상기 이송유로(330)가 해당 구간에서 확장 가능하다.At least one of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or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eparation piece 328, and the transfer flow path 330 is separated by separation of the separation piece 328. Expandable in the s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편(328)은 상기 제1분류챔버(312) 또는 상기 제2분류챔버(322)상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유로(330)를 형성하는 면의 일부가 분할 형성되어 분리된다.Specifically, the separation piece 328 is provided on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312 or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a part of the surface forming the transfer flow path 330 is divided and separated. .

이때, 상기 분리편(328)은 상기 이송유로(330)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분리 시 해당 위치가 함몰되어 상기 이송유로(330)가 확장된다.At this time, the separating piece 328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by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transfer passage 330, when the separation is recessed, the transfer passage 330 is expand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이송유로(330)에서 jam이나 용지의 끼임 등 이물질에 의해 끼임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위치에서 상기 분리편(328)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확장 가능하다.Accordingly, even if the user is caught by a foreign material such as jam or paper jam in the transfer flow path 330 can be easily expanded by removing the separation piece 328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편(328)은 상기 제2분류챔버(322)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상기 제2분류챔버(322)에서 커버(326)를 분리한 후 상하방향으로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piece 328 is shown as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as an example, and is configured to be re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fter removing the cover 326 in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322. do.

이때, 상기 분리편(328)은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이송유로(330)를 향해 배치되는 면의 일부가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가 그립 하거나 별도의 기구를 이용해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separating piece 328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art of the surface disposed toward the conveying flow path 330 is recessed so that the user can grip or simply remove it using a separate mechanism.

또한, 상기 분리편(328)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어 해당 위치에서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iece 328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or plastic,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ensure visibility at a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 분리편(328)이 투명한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직접 분리하지 않더라도 해당 위치에서 용지나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분리편(328)을 일일이 분리하여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Since the separation piece 328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paper or foreign matter at a corresponding position even if the separation piece 328 is not directly separated, thereby reducing the trouble of separating and checking the separation piece 328 one by on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표지 분류기에서 용지나 이물질 등에 의해 상기 이송유로(330)에 끼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송유로(330)의 폭을 간단하게 확장함으로써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In this way, even if a jam occurs in the transfer path 330 due to paper or foreign matter in the ballot class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removed by simply expanding the width of the transfer path 33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베이스모듈
110: 수용공간
120: 도어
200: 판독모듈
210: 본체
220: 투입부
230: 판독유로
240: 판독부
250: 반송유로
300: 적재모듈
310: 제1적재유닛
320: 제2적재유닛
330: 이송유로
340: 고정유닛
400: 이송모듈
410: 제1이송유닛
420: 제2이송유닛
430: 연동유닛
440: 구동모터
10: 투표지
100: base module
110: accommodation space
120: door
200: reading module
210: main body
220: input part
230: Euro reading
240: reading unit
250: return flow path
300: loading module
310: first loading unit
320: second loading unit
330: transfer path
340: fixed unit
400: transfer module
410: first transfer unit
420: second transfer unit
430 interlocking unit
440: drive motor
10: ballot

Claims (20)

복수 개의 프레임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모듈;
상기 베이스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기표된 투표지를 판독하고 이송하는 판독모듈;
상기 베이스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판독모듈에서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투표지를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투표지의 일부를 보관하는 제1분류챔버를 가지는 제1적재유닛 및 상기 제1적재유닛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적재유닛과 함께 상기 투표지가 이송되는 이송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투표지의 나머지를 보관하는 제2분류챔버를 가지는 제2적재유닛을 포함하는 적재모듈; 및
상기 베이스모듈에 구비되며 일부가 상기 적재모듈상에 설치되어 상기 판독모듈에서 전달되는 상기 투표지를 상기 이송유로와 상기 제1적재유닛 또는 상기 제2적재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적재유닛은 상기 베이스모듈의 일측에 적층형태로 배치되어 상면에 상기 제1분류챔버가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적재유닛은 상기 베이스모듈의 타측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마주보며 동일선상에서 적층형태로 배치되어 상면에 상기 제2분류챔버가 결합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모듈에서 슬라이딩하며 상호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제1적재유닛과 상기 제2적재유닛 사이에 위치한 상기 이송유로의 폭을 선택적으로 확장하는 투표지 분류기.
A base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frames,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o support the whole;
A reading modu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se module to read and transfer the ballots which have been declared;
A first loading unit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first loading unit having a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configured to be provided in the base module to classify the ballot based on the result read by the reading module and to store a portion of the sorted ballot. And a second loading unit having a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for storing the remainder of the ballot classified by the reading module, the transfer passag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transfe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ballot is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first loading unit. module; And
A transfer module provided in the base module and partially installed on the loading module to transfer the ballot paper transferred from the reading module to the transfer channel and the first loading unit or the second loading unit; Including;
The first loading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frame which is arranged in a stacked form on one side of the base module,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loading unit includes a second support frame in which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module in a stacked form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module facing the first support frame.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 frame or the second support frame slides in the base module and is mutually adjusted so as to selectively expand the width of the transfer channel located between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second loading unit. Ballot classifi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투표지를 상기 제1분류챔버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과 이격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투표지를 상기 제1분류챔버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서 각각이 동시에 연결되며, 상호 연동하도록 함께 회전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유닛: 및
상기 제1이송유닛 또는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module,
A first transfer unit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to transfer the ballot to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A second transfer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the second transfer unit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to transfer the ballot to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Interlocking units eac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at the same time, and rotates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And
A driving mot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to provide a driving force;
Ballot classifi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제2분류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상기 투표지를 이송하는 제2투입롤러;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제2투입롤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와 상기 연동유닛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달밸트;
를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transfer unit,
A second injection roller provided inside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to rotate and transfer the ballot;
A second rotating body connected to the second feeding roller and rotating together in the second supporting frame; And
A second transfer belt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the interlocking unit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together;
Ballot classifi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인접한 하면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upport frame,
The ballot classifier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adjacent to the second support frame, the ballot sorter including an extension part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제2회전체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2전달밸트를 가압하는 제1회전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연동유닛 사이에서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전달밸트를 가압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달밸트가 기 설정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transfer unit,
A first rotary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rotary member and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between the first rotary member and the interlocking unit to press the second transfer belt;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configured to press the second transfer bel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ng me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maintain the predetermined tension in the second transfer bel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이송유로의 미 확장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경계선상에 상기 제2회전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a ballot sorter disposed relatively closer than the second rotating member on a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in the unexpanded state of the transfer channe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제2회전체와 상기 연동유닛 사이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부상 결합되어 상기 제2전달밸트를 가압하는 제3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tension control unit,
And a third rotating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rotating member between the second rotating member and the interlocking unit, the third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extension to press the second transfer bel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이송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및
상기 베이스모듈 내부에서 상기 이송롤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이 각각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동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부재;
를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interlocking unit,
A conveying roller provided on the conveying flow path to convey the ballot; And
An interlocking member connected to the transfer roller in the base module to rotate together,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to rotate together, and simultaneously transmit a rotational force;
Ballot classifi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상기 제1분류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상기 투표지를 이송하는 제1투입롤러,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제1투입롤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체; 및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연동유닛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전달밸트;
를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transfer unit,
A first feeding roller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and rotates to transfer the ballot;
A first rotating body connected to the first feeding roller and rotating together in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A first transmission belt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interlocking uni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rotate together;
Ballot classifi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이송유로상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투표지를 판독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분류챔버 또는 상기 제2분류챔버 중 어느 하나로 유도하는 경로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transfer module,
And a path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conveying flow path to guide the ballot to be transferred to either the first sorting chamber or the second sorting chamber in response to a reading resul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조절유닛은,
상기 이송유로상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송유로 또는 상기 이송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분류챔버 및 상기 제2분류챔버로 상기 투표지가 투입되는 투입유로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path control unit,
And a ballot classifier provided on the transfer channel and selectively rotating to branch off the transfer channel or the transfer channel to block any one of the input passages through which the ballot is inserted into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류챔버 또는 상기 제2분류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송유로를 형성하는 면의 일부가 분할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분리편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편의 분리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상기 이송유로가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Part of the surface forming the conveying flow path is divided into and comprises a separation piece that is selectively separated,
Ballot classifiers are formed so that the transfer flow path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the separation of the separation pie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편은,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이송유로를 향해 배치되는 면의 일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paration piece,
The ballot sor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art of the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disposed toward the conveying flow path.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편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paration piece,
Ballot class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류챔버 및 상기 제2분류챔버는,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유로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And a ballot classifier disposed in succession along the conveyance flow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류챔버 및 상기 제2분류챔버는,
상기 이송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투표지가 투입되는 투입유로를 가지며, 각각에 형성된 상기 투입유로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lassification chamber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chamber,
And a ballot flower branched from the transfer flow path, into which the ballot is put, and the input flow paths formed in each of the ballot sorters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제1적재유닛 또는 상기 제2적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모듈과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cking module,
And a fixed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second loading unit to be selectively fixed to the base modul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적재모듈상에서 상기 베이스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부; 및
상기 베이스모듈에서 상기 승하강부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부가 삽입되는 고정홈;
을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xed unit,
An elev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tacked module toward the base module and selectively elevating; And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base module in a de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elevating portion and into which the elevating portion is inserted;
Ballot classifi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모듈은,
기표된 투표지가 투입되는 투입부, 일측이 상기 투입부와 연결되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투표지가 판독유로 및 상기 판독유로의 경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지에 기표된 기표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투표지 분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ding module,
An input unit into which a voted ballot is input,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put unit and has a preset length, and the ballot is provided on a reading passage and a path of the reading passage to read the ballot information marked on the ballot. Ballot classifier.
KR1020170152400A 2017-11-15 2017-11-15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KR102040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00A KR102040198B1 (en) 2017-11-15 2017-11-15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00A KR102040198B1 (en) 2017-11-15 2017-11-15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555A KR20190055555A (en) 2019-05-23
KR102040198B1 true KR102040198B1 (en) 2019-11-05

Family

ID=6668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400A KR102040198B1 (en) 2017-11-15 2017-11-15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19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568A (en) 2020-03-10 2021-09-24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Ballot paper sorting device having temporary storage module
KR20230010090A (en) 2021-07-08 2023-01-18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Classification device with multiple paths through which ballots are transferred
KR20230010088A (en) 2021-07-08 2023-01-18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378B1 (en) * 2020-11-19 2021-01-20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005A (en) * 2007-06-06 2008-12-18 Canon Inc Sheet convey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604B1 (en) * 2013-06-10 2015-05-29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Electro-Vote Apparatus With Classification Chamber Having Guide Unit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005A (en) * 2007-06-06 2008-12-18 Canon Inc Sheet convey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568A (en) 2020-03-10 2021-09-24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Ballot paper sorting device having temporary storage module
KR102315082B1 (en) 2020-03-10 2021-10-22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Ballot paper sorting device having temporary storage module
KR20230010090A (en) 2021-07-08 2023-01-18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Classification device with multiple paths through which ballots are transferred
KR20230010088A (en) 2021-07-08 2023-01-18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Classification device with one-to-many branch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555A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198B1 (en) Ballot Classifier With Expansion of Conveying Passage
AU778379B2 (en) Passpor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US9786112B2 (en)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US8925448B2 (en) Accumulating and strapping apparatus
CN108622687A (en) Paper-advance unit and the image formation system for having it
KR20100082649A (en) Device for scanning sheet for vote
KR101031335B1 (en) Electronic ticketing device
KR101653220B1 (en) Apparatus for Scanning Ballot Paper
KR101523604B1 (en) Electro-Vote Apparatus With Classification Chamber Having Guide Unit Module
KR102205378B1 (en) A counting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feeding of ballot paper
UA73732C2 (en) Method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nominal value, and wear and tear of bank notes; device for sorting and counting bank notes
CN115003425A (en) Waste plastic material determination device, material determination method, and material determination program
KR20180112956A (en) Device of ballot count including stamp module and method thereof
KR101584969B1 (en) Electro-Vote Apparatus Having Discharge Function by Detecting Double Paper Fee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15085B1 (en) Ballot paper sorting device capable of double storage
KR102315082B1 (en) Ballot paper sorting device having temporary storage module
CN210605874U (en) Paper separating mechanism, ticket box and ticket processing device
US7658381B1 (en) Retractable document handling mechanism for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KR101460750B1 (en) Electro-Vote Apparatus Wiht Each Classification Chamber Having Conting Unit
KR20230010090A (en) Classification device with multiple paths through which ballots are transferred
JP2010122744A (en) Paper sheet processor, paper sheet processing method, and paper sheet processing program
KR101674371B1 (en) Coun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n Unrecognized-Stack Box within Stack Module
KR101686984B1 (en) System for managing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US7722038B1 (en) Retractable image camera mechanism for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JPS647415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