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046A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046A
KR20230010046A KR1020230001911A KR20230001911A KR20230010046A KR 20230010046 A KR20230010046 A KR 20230010046A KR 1020230001911 A KR1020230001911 A KR 1020230001911A KR 20230001911 A KR20230001911 A KR 20230001911A KR 20230010046 A KR20230010046 A KR 20230010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bobbin
disposed
camera modu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5074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1834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1201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87093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0046A/en
Publication of KR2023001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0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module, which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a lens unit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 actuator unit for fixing the lens unit and adjusting the focus of an imag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lens barrel. Accordingly, the reliability of th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barrel coupled to screwless coupling is improved.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Camera Module {Camera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렌즈 배럴의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having an improved lens barrel structure.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is widely generalize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are commercialized, consumers' demands related to portable terminals are also diversifying.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additional devices are being installed in portable terminals.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Among them, a typical camera module is capable of taking a picture or video of a subject, storing the image data, and then edit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s needed.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small camera modules is increasing for various multimedia fields such as notebook-type personal computers, camera phones, PDAs, smart phones, and toys, and image input devices such as information terminals for surveillance cameras and video tape recorders. .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센서의 픽셀사이즈가 소형화되고 모듈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에 대한 관리와 렌즈 광축의 틸트(tilt)나 시프트(Shift) 등의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As the pixel size of the sensor applied to these camera modules is miniaturized and the height of the module is lowered, mechanical reliability of the camera module such as management of foreign matter inflow and tilt or shift of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is secured The development of a mount structure for this purpose is emerging as a very important topic.

렌즈 배럴과 보빈이 나사산 결합을 하는 카메라 모듈은 포커싱 조정작업시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간의 마찰에 의하여 이물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이물에 의해서 화상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무나사 타입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The camera module in which the lens barrel and the bobbin are screwed together generates foreign matter due to friction between the male screw part and the female screw part during focusing adjustment work, and the foreign matter generated at this time can degrade image quality. Development of the module is in progress.

그런데, 무나사 타입의 렌즈 배럴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랜즈 배럴 조립을 위헤 에폭시 등을 사용함에 있어 렌즈 배럴과 보빈 사이에 침투된 에폭시가 하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화상영역으로 전이됨으로써 이물 불량이 유발될 수 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having a screwless type lens barrel, when epoxy is used to assemble the lens barrel, the epoxy penetrated between the lens barrel and the bobbin continues to move downward and is transferred to the image area, resulting in defective foreign matter. this may cause

(특허문헌 1) KR 10-2007-0026054 A(Patent Document 1) KR 10-2007-0026054 A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나사산 결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 the reliability of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barrel that is threadless.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고, 화상의 초점을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a lens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an actuator for fixing the lens unit and adjusting the focus of an image. The lens unit provides a camera module including a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또한, 상기 렌즈부는 상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s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on the upper side.

또한, 상기 홈은 상기 플랜지부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상기 렌즈부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렌즈부를고정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구비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와 상기 커버캔 내측면 사이에서 상기 코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부를 고정하는 요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tuator unit has a bobbin fasten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to fix the lens unit, a coil unit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unit between the coil un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agnet part provided and a yoke par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to fix the magnet part.

또한, 상기 보빈은 보빈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광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 배럴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bbin forms the upper end of the bobbin, and has an upper end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art, a tapered part extending below the upper end and formed incli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lower end of the taper part. It is formed to be extended and includes a lower end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ens barrel.

또한, 상기 홈은 상기 보빈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렌즈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bobbin.

또한, 상기 홈은 상기 보빈의 테이퍼부에 위치하는 렌즈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located in the tapered portion of the bobbin.

또한, 상기 홈은 반원구의 형상을 갖거나, v자 형상을 갖는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mi-spherical shape or a v-shape.

또한, 상기 홈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are formed.

또한,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can forming the appear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나사산 결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barrel coupled to a screwless coupling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나사산 결합하는 렌즈부와 보빈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의 확대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의 확대도.
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amera module having a lens unit and a bobbin coupled to a screwless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2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f a term used in this specification conflicts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 definit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all apply.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owever,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amera module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나사산 결합하는 렌즈부와 보빈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이며,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 부분의 확대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provided with a lens unit and a bobbin for screwless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3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크게 렌즈부(130), 액추에이터부(140), 이미지 센서(160) 및 인쇄회로기판(1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camera module 100 largely includes a lens unit 130, an actuator unit 140, an image sensor 16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70.

또한,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130) 및 액추에이터부(140)를 수용하며, 카메라 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캔(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캔(110)은 카메라 내부의 수용환경에 따라 외관의 형상이 가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can 110 accommodating the lens unit 130 and the actuator unit 140 and forming an exterior of the camera module 100 . It is obvious that the outer shape of the cover can 110 may vary according to the accommodation environment inside the camera.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의 하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70)에는 카메라 모듈(100)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자가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부(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에 인가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is provided below the actuator unit 140 . Various devices for driving the camera module 100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 and power for driving the actuator unit 140 is applied to the actuator unit 140 .

상기 이미지 센서(160)는 상기 렌즈부(130)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렌즈와 광축 방향(O)을 따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7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대상물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The image sensor 160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so as to be positioned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with one or more lenses accommodated in the lens unit 130 . The image sensor 160 converts an optical signal of an object incident through a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렌즈부(130)는 렌즈 배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가 렌즈 배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lens unit 130 may be a lens barr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holder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a lens. In the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lens unit is a lens barre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렌즈부(130)는 상기 커버캔(110)에 수용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1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부(130)는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를 수용한다.The lens unit 130 is accommodated in the cover can 11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160 . The lens unit 130 accommodates one or more lenses (not shown).

상기 액추에이터부(140)는 상기 렌즈부(130)를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렌즈부(130)를 이동시켜 화상의 초점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추에이터부(140)는 상기 렌즈부(130) 외주면과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130)를 고정하는 보빈(144)과, 상기 보빈(144)의 외주면에 구비된 코일부(142)와, 상기 코일부(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마그넷부(141)와, 상기 마그넷부(141)를 고정하는 요크부(143)를 포함한다.The actuator unit 140 fixes the lens unit 130 inside and adjusts the focus of an image by moving the lens unit 130 . Specifically, the actuator unit 140 includes a bobbin 144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to fix the lens unit 130, and a coil unit 142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44. and a magnet part 141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part 142, and a yoke part 143 fixing the magnet part 141.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부(140)를 수용하는 별도의 커버캔(11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렌즈부(130) 및 액추에이터부(140)는 모두 커버캔(11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cover can 110 accommodating the actuator unit 14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is case, both the lens unit 130 and the actuator unit 140 cover the cover can 110 ) can be located on the insid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의해 인가된 구동신호로써 상기 코일부(141)에 전류가 인가되고, 이러한 코일부(141)와 상호 작용하는 마그넷부(141)에 의해 상기 렌즈부(130)가 고정된 보빈(144)이 광축 방향(O)을 따라 상, 하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state,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unit 141 as a driving signal applied by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and the lens unit is operated by the magnet unit 141 interacting with the coil unit 141. The bobbin 144 to which 130 is fixed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이러한 액추에이터부(140)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적용한 A.F(Auto Focusing) 액추에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시된 것과 달리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타입에 실시예가 적용되거나, 또는 엑추에이터부가 없는 고정 초점(Fixed Focusing) 타입의 카메라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 초점 타입의 카메라 모듈의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부(140) 대신에 상기 렌즈부(130)를 수용할 수 있는 렌즈 홀더부를 구비하여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렌즈 홀더부의 내주면과 렌즈부(130)의 결합구조를 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The actuator unit 140 may be an AF (Auto Focusing) actuator to which a voice coil motor is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mbodiment is applied to an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type unlike the one shown, Alternatively, a camera module of a fixed focusing type without an actuator unit may be applied. In the case of a fixed focus type camera module, an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by including a lens holder unit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ens unit 130 instead of the actuator unit 140 . That i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and the lens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in the embodiment.

한편, 상기 이미지 센서(160)와 상기 렌즈부(130) 사이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filter, 1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IR 필터(180)는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이나, 예를 들어,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an IR filter 18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mage sensor 160 and the lens unit 130, and the IR filter 180 may be an infrared ray filter or, for example, an infrared ray filter.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f a film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and an infrared blocking coating material or the like may be disposed on a flat optical filter such as a cover glass or cover glass for protecting an imaging surface.

이러한 IR 필터(180)를 위치시키기 위해, 카메라 모듈(100)에는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와 인쇄회로기판(170) 사이에는 베이스(112)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IR 필터(180)는 상기 베이스(112)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2)는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의 구성을 이루는 부품으로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부(140)와 별도로 상기 이미지 센서(160)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하는 베이스일 수 있다.In order to position the IR filter 180, the base 11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ctuator unit 1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in the camera module 100, and the IR filter 180 It can be mounted in the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112. Here, the base 112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actuator unit 140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ctuator unit 140 . Alternatively, it may be a base that functions as a sensor holder that protects the image sensor 160 separately from the actuator unit 140 .

또한, 상기 IR 필터(180)는 센서홀더 또는 액추에이터부(14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R filter 180 may be disposed on the sensor holder or the actuator unit 140 and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실시예는 F.F(Fixed Focusing) 타입의 카메라 모듈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렌즈부(130)를 이동시킬 액추에이터부(140)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베이스(112)의 상측에는 상기 렌즈부(130)를 고정하기 위한 원통형의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12) 상측에는 도시된 보빈(144)과 같은 원통형의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is also applicable to F.F (Fixed Focusing) type camera modules, and in this case, since the actuator unit 140 to move the lens unit 130 is not required, the base 112 A cylindrical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lens unit 1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 That is, a cylindrical fixing part such as the bobbin 144 show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2 .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130)과 보빈(144)을 무나사산 결합한다. 고성능의 카메라 모듈을 요구하는 추세에 따라, 광축(O) 정렬의 오차범위가 더욱 엄격하게 요구되므로 나사산 결합 방식보다 무나사산 결합방식이 더욱 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unit 130 and the bobbin 144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no threads. This is because the non-thread coupling method can be more efficient than the screw thread coupling method since the error range of alignment of the optical axis (O) is more strictly required according to the trend of requiring a high-performance camera module.

이러한 무나사산 결합 방식은 상기 보빈(144)의 중공부에 상기 렌즈부(130)를 상측 또는 하측에서 삽입하여 상기 렌즈부(130)를 상기 보빈(144)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접촉면 사이에 접착물질(190)을 도포하여 상기 보빈(144)과 상기 렌즈부(130)를 견고히 고정하는 방식이다.This non-thread coupling method fixes the lens unit 130 to the bobbin 144 by inserting the lens unit 130 into the hollow part of the bobbin 144 from the upper or lower side. That is, the bobbin 144 and the lens unit 130 are firmly fixed by applying the adhesive material 190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obbin 144 and the lens unit 130 .

이러한 접착물질(190)은 열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또는 UV의 노출에 의해 경화된다. 다만, 열경화성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를 오븐에 이동하여 또는 직접 열을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며, UV(자외선)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접착물질(190)에 UV(자외선)를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접착물질은 열경화와 UV(자외선)경화가 혼용될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으며, 열경화나 UV(자외선)경화 모두 가능하여 이중에 어느 한가지로 선택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다. 상기 접착물질은 상기 에폭시에 한하지 않으며 접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하다.The adhesive material 190 may be implemented as a thermosetting epoxy or UV epoxy, and is cured by exposure to heat or UV. However, if a thermosetting epoxy is used, the bobbin 144 and the lens unit 130 are moved to an oven or cured by direct application of heat, and if a UV (ultraviolet) epoxy is used, the adhesive material 190 is cured by UV It is a method of curing by applying (ultraviolet rays). In addition, the adhesive material may be an epoxy capable of both thermal curing and UV (ultraviolet ray) curing, and may be an epoxy that can be cur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two. The adhesive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epoxy, and any adhesive material can be substituted.

또한, 상기 접착물질(190)은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접촉부 전체에 환형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을 두고 점 조직 형태, 라인 형태 등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이렇게 도포된 상기 접착물질(190)은 경화되어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는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material 190 may be applied in an annular shape to the entire contact portion of the bobbin 144 and the lens unit 130, or may be applied in a dotted or lined form at regular intervals. The adhesive material 190 thus applied is hardened so that the bobbin 144 and the lens unit 130 may be fixed.

이렇게 상기 보빈(144)의 중공부에 렌즈부(130)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과 상기 보빈(144)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세한 갭(gap)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도포된 접착물질(190)은 상기 갭 사이로 유동하여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틈새를 따라 화상영역, 즉, 베이스(112) 측에 구비된 IR 필터(180), 이미지 센서(160) 등에 전이됨으로써 이물 불량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100)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When the lens unit 130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of the bobbin 144, a fine gap may exist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44. In this structure, the applied adhesive material 190 flows between the gaps to form an image area along the gap between the bobbin 144 and the lens unit 130, that is, the IR filter 180 provided on the base 112 side. ), the image sensor 160, etc., which can cause foreign matter defects, thereby degrading the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상기 렌즈부(130)는 접착물질(19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홈(132)은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32)은 상기 접착물질(190)을 트랩할 수 있는 리세스 형태 일 수 있다Therefore, the lens unit 130 of the camer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groove 132 to prevent the flow of the adhesive material 190 . In short, the groove 132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 The groove 132 may have a recess shape capable of trapping the adhesive material 19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보빈(144)의 홀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30)의 외주면은 제1면(131a)과, 렌즈부(130)의 제1면(131a)보다 돌출되는 플랜지부(131)와, 렌즈부(130)의 제1면(131a)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플랜지부(131)와 렌즈부(130)의 제1면(131a) 사이에 배치되는 홈(132a)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는 렌즈부(130)의 제1면(131a)과 평행한 제2면(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물질(190)의 적어도 일부는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의 제2면(131b)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부(130)의 외주면은 플랜지부(131)의 위에 배치되고 위로 갈수록 내측으로 함몰되는 경사면(131c)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30)의 경사면(131c)은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의 제2면(131b)과 이격될 수 있다. 렌즈부(130)의 경사면(131c)과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의 제2면(131b)은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의 제2면(131b)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3면(131e)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렌즈부(130)의 외주면은 플랜지부(131)의 제2면(131b)과 렌즈부(131)의 홈(132a)을 연결하고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와 마주보는 테이퍼면(131d)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의 표면과 렌즈부(130)의 테이퍼면(131d)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접착물질(190)의 적어도 일부는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와 렌즈부(130)의 테이퍼면(131d)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s unit 130 may includ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of the bobbin 144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includes a first surface 131a, a flange portion 131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131a of the lens unit 130, and a first surface 131a of the lens unit 130. It may include a groove 132a that is recessed from and dispos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131 and the first surface 131a of the lens portion 130 . The flange portion 131 of the lens unit 130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131b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131a of the lens unit 130 .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material 19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131b of the flange portion 131 of the lens unit 130 .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131c disposed on the flange unit 131 and recessed inward as it goes upward. The inclined surface 131c of the lens unit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rface 131b of the flange unit 131 of the lens unit 130 . The inclined surface 131c of the lens unit 130 and the second surface 131b of the flange unit 131 of the lens unit 130 ar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urface 131b of the flange unit 131 of the lens unit 130. I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third surface (131e) exte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connects the second surface 131b of the flange unit 131 and the groove 132a of the lens unit 131 and has a tapered surface facing the tapered portion 144b of the bobbin 144 ( 131d). The surface of the tapered portion 144b of the bobbin 144 and the tapered surface 131d of the lens portion 130 are spaced apart to form a spac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material 190 is disposed on the tapered portion 144b of the bobbin 144. ) and the tapered surface 131d of the lens unit 130.

이러한 홈(132)은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미세하게 침투되어 유동될 수 있는 접착물질(190)의 점성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물질(190)을 상기 홈(132)에 가둠으로써 상기 접착물질(190)의 침투로 인한 카메라 모듈(100)의 이물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UV(자외선경화)에폭시의 점성 및 흐름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갭 사이로 유동하여 침투된 상기 접착물질(190)이 상기 홈에 멈추고, 자연 경화되어 화상영역으로의 침범을 방지할 수 있다.The groove 132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and the adhesive material 190 is applied to the groove 132 by using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material 190 that can penetrate and flow finely. By confine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erial defects of the camera module 100 due to penetration of the adhesive material 190 . That is, by using the viscosity and flow characteristics of UV (ultraviolet ray curing) epoxy, the adhesive material 190 flowing and penetrating through the gap stops at the groove and is naturally cured to prevent invasion into the image area.

따라서, 도면에는 비록 한 개의 홈(132)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의 홈(132)은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물질(190)이 상기 보빈(144)과 렌즈 배럴(130)의 접촉부에 전체에 환형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점 조직 형태, 라인 형태 등으로 도포될 수도 있는데, 그에 대응하여 상기 홈(132)도 상기 렌즈배럴 외주면의 일부에 전체 환형으로 형성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라인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although one groove 132 is shown in the drawing, one or more grooves 132 in the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adhesive material 190 may be applied in an annular shape to the entire contact portion of the bobbin 144 and the lens barrel 130, or may be applied in a dotted or lined form at regular intervals, Correspondingly, the groove 132 may also be formed in an entire annular shape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or may be formed in a line shape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상기 렌즈부(130)는 상측에 외측으로, 또는 상기 렌즈부(130)의 상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131)는 렌즈부(130)에 형성되어 상기 접착물질(19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 확보로 인해 상기 갭으로의 내부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광축(O)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30)는 상기 플랜지부(131) 상측으로 광축(O)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후술할 테이퍼부(144b)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접촉물질(190)의 경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ens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unit 131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side or from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 The flange portion 131 may be formed on the lens portion 130 to provide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adhesive material 190 . In addition, the secur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may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an inflow into the gap, and also facilitate alignment of the optical axis O of the bobbin 144 and the lens unit 130. In addition, the lens unit 130 may additionally form a tapered portion 144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131, which is to cure the contact material 190. can facilitate

또한, 상기 렌즈부(130)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131)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렌즈부(130) 상부에 상기 접착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부영역이 도피되어 상기 렌즈부(130) 상부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unit 130 may not have a flange unit 131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is case, the upper part of the lens unit 130 In order to secure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adhesive material, a partial area may be escaped to form a ste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

이 역시,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32)은 접착물질을 트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30)는 단차부 상측으로 광축(O)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테이퍼부(144b)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접촉물질의 경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lso, the groove 132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 The groove 132 may trap an adhesive material. In addition, the lens unit 130 may additionally form a tapered portion 144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tepped portion, which may facilitate hardening of the contact material.

한편, 상기 보빈(144)은 상기 렌즈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큰 내경을 갖는 상단부(144a)와, 상기 상단부(144a)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144b)와, 상기 테이퍼부(144b)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렌즈부(13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큰 내경을 갖는 하단부(14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144)은 상기 테이퍼부(144b) 없이 상기 렌즈부(130)를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보빈(144)의 내주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빈(144)에 테이퍼부(144b)가 있다면 상기 접착물질이 상기 갭으로 유입될 경우 상기 접착물질을 상기 홈으로 유도하거나, 상기 접착물질의 점성을 이용하여 자연 경화되어 화상영역으로 침범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44)의 상단부 모서리에는 경사부(144d)가 더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접착물질(190)의 경화를 더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bobbin 144 forms an upper e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s part 130 and has an upper end part 144a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art 131 of the lens part 130, A tapered portion 144b extending below the upper end portion 144a and incli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and extending below the tapered portion 144b, the lens unit ( 130) may include a lower end portion 144c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In addition, the bobbin 144 may have an inner diameter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ens part 130 without the tapered part 144b,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4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f the bobbin 144 has a tapered portion 144b, when the adhesive material flows into the gap, the adhesive material is guided to the groove or cured naturally using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material to prevent invasion into the image area can be effective in In addition, an inclined portion 144d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bobbin 144, which is to facilitate the curing of the adhesive material 190.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30)는 상기 보빈(144)의 상단부에 유입되어 하측 이동되며, 최종적으로 하단부(144c)에 수용된다. 상기 렌즈부(130)의 하측 이동은 상기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에 상기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가 걸리게 되어 제한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the lens unit 130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end of the bobbin 144, moved downward, and is finally accommodated in the lower end 144c.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ens unit 130 may be restricted because the flange portion 131 of the lens unit 130 is caught by the tapered portion 144b of the bobbin 144 .

즉, 상기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와 상기 렌즈부(130)의 플랜지부(131)는 상기 렌즈부(130)가 상기 보빈(144)에 조립될 때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접착물질(190)의 내부 유입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보빈(144)이 테이퍼부(144b)가 없는 경우, 상기 렌즈부(130)를 상기 보빈(144)의 고정위치에 위치시켜 바로 경화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상기 플랜지부(131)가 걸릴수 있는 스토퍼는 없을 수 있다.That is, the tapered portion 144b of the bobbin 144 and the flange portion 131 of the lens portion 130 have a stopper function to limit downward movement when the lens portion 130 is assembled to the bobbin 144 and limits the inflow of the adhesive material 190. In addition, when the bobbin 144 does not have a tapered portion 144b, the lens portion 130 may be positioned at a fixed position of the bobbin 144 to be directly cured. In this case, the flange portion 131 may be caught. A stopper may not be present.

또한, 도면에는 상기 홈(132)이 상기 보빈(144)의 테이퍼부(144b)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홈(132)은 상기 보빈(144)의 하단부(144c)에 위치에서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groove 132 is shown in the drawing as being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pered portion 144b of the bobbin 144, the groove 132 is the bobbin ( 144)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at the lower end 144c.

도 2a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132a)의 절단면 형상은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반원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132a)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부(131) 상측에 도포된 접착물질(190)은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접촉면을 따라 하측으로 침투하여 유입되다가 홈(132a) 내부로 유도되어 더 이상의 유동이 제한된다.Referring to FIG. 2A , the cut surface shape of the groove 132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for ease of manufacturing. Due to this groove 132a, the adhesive material 190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part 131 penetrates downward alo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obbin 144 and the lens part 130,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groove 132a is induced to restrict further flow.

도 2b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132b)의 절단면은 v자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에서는 일면이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서 수직 절곡되고, 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v자형 홈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양 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v자형 홈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홈(132b)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부(131) 상측에 도포된 접착물질(190)은 상기 보빈(144)과 렌즈부(130)의 접촉면을 따라 하측으로 침투하여 유입되다가 홈(132b) 내부로 흡수되어 더 이상의 유동이 제한된다.Referring to FIG. 2B , the cut surface of the groove 132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 v-shaped groove. Although FIG. 2B shows a v-shaped groove in which one surface is vertically ben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and the other surface is inclined, it may be a v-shaped groove in which both sides are inclined. Due to this groove 132b, the adhesive material 190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part 131 penetrates downward alo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obbin 144 and the lens part 130, and then flows into the groove 132b. is absorbed, limiting further flow.

또한 상기 렌즈부(130)에서의 상기 홈(132)의 위치는 상기 렌즈부(130)의 외주면에 어느 곳이나 형성 가능하며,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13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groove 132 in the lens unit 130 can be formed anywhe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and the embodiment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30.

요컨대, 본 발명은 홈(132)을 구비하여 접착물질(190)의 유동을 제한하므로, 화상영역, 즉, 베이스(112) 측에 구비된 IR 필터(180), 이미지 센서(160) 등에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short,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groove 132 to limit the flow of the adhesive material 190, the image area, that is, the IR filter 180 provided on the base 112 side, the image sensor 160, etc. Reliability of the camera module 100 may be improved by preventing this.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112)의 상측에는 상기 렌즈부(130)를 고정하기 위한 원통형의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원통형의 고정부는 상기 보빈(144)을 대체할 수 있으며, 상기 보빈(144)에 형성된 상단부(144a), 테이퍼부(144b), 하단부(144c) 및 경사부(144d)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베이스(112)의 특징은 전술한 보빈(144)에 형성된 상단부(144a), 테이퍼부(144b), 하단부(144c) 및 경사부(144d)의 구조적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so, as described above, a cylindrical fixing part (not shown) for fixing the lens part 1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2 . In this case, the cylindrical fixing part can replace the bobbin 144, and the upper end 144a, the tapered part 144b, the lower end 144c, and the inclined part 144d formed on the bobbin 144 are formed. can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e 112 may be formed by structural features of the upper end 144a, the tapered part 144b, the lower end 144c, and the inclined part 144d formed on the bobbin 144 described above.

이처럼,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고 화상의 초점을 조정하는 액츄에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에는 접착물질을 트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렌즈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는 상측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홈은 상기 플랜지부 하측에 형성된 리세스일 수 있다.As such, the embodiment i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image sensor is mounted; a lens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an actuator unit fixing the lens unit and adjusting a focus of an image. A groove capable of trapping an adhesive material may be formed in the lens unit. The groove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and the lens unit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portion formed on an upper side. In this case, the groove may be a recess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claims It must be determined by the scope and its equivalent scope.

100: 카메라 모듈 110: 커버캔
112: 베이스 130: 렌즈부
131: 플랜지부 132: 홈
140: 액추에이터부 141: 마그넷부
142: 코일부 143: 요크부
144: 마그넷부 144a: 상단부
144b: 테이퍼부 144c: 하단부
160: 이미지 센서 170: 인쇄회로기판
180: IR 필터 190: 접착물질
100: camera module 110: cover can
112: base 130: lens unit
131: flange portion 132: groove
140: actuator unit 141: magnet unit
142: coil part 143: yoke part
144: magnet part 144a: upper part
144b: tapered portion 144c: lower portion
160: image sensor 170: printed circuit board
180: IR filter 190: adhesive material

Claims (20)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을 고정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빈의 상기 홀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제1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bobbin including a hole and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lens barrel disposed in the hole of the bobbin;
a lens disposed within the lens barrel; and
An adhesive for fixing the lens barrel and the bobbin,
The lens barrel has a first surface at least partially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of the bobbin,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and a groove concavely formed in the first surfac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flange portion. A camera modu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is dis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lens barrel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면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제2면과, 상기 제2면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 wherein the flange portion of the lens barrel includes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rface, and a tapered surface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second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3,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is in contact with the tapered surface of the lens barr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2면과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3,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lens barr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의 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is disposed on the flange portion of the lens barr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과 상기 테이퍼면은 둔각을 형성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3,
The camera module wherein the second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tapered surface form an obtuse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렌즈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제1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영역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은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barrel includes a first region disposed between the lens and the bobb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The lens is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of the lens barrel;
The first surface of the lens barrel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of the lens barr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렌즈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보빈에 무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lange portion of the lens barrel is disposed between the lens and the bobb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The lens barrel is a camera module coupled to the bobbin in a threadless man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플랜지부의 위에 배치되고 위로 갈수록 내측으로 함몰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면을 통해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3,
The lens barrel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disposed on the flange portion and recessed inward as it goes upward;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ens barrel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lange part are connected through a third surfac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flange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홀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4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면과 마주보는 제5면과, 상기 제4면과 상기 제5면 사이에 배치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3,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of the bobbin includes a fourth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of the lens barrel, a fifth surface fac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lens barrel, and the fourth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lens barrel. A camera module including a tapered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ifth surf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테이퍼면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테이퍼면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1,
The tapered surface of the bobbin and the tapered surface of the lens barrel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is disposed between the tapered surface of the bobbin and the tapered surface of the lens barr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테이퍼면은 평행한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1,
The tapered surface of the bobbin and the tapered surface of the lens barrel are parallel to the camer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빈과 광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lens barrel overlaps the bobbin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켜 초점을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보빈, 코일, 및 상기 코일과 마주보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n actuator for adjusting the focus by moving the lens barrel;
The actuator includes a bobbin, a coil, and a magnet facing the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커버캔;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커버캔 내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커버캔 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bas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cover can disposed on the base;
a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nd
A magnet disposed in the cover can and facing the coil,
The camera module wherein the bobbin is disposed within the cover ca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은 원기둥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면은 무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하단은 상기 코일의 하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6,
The first surface of the lens barrel is formed as a cylindrical surface,
The first surface of the lens barrel is formed as a threadless thread,
A lower end of the lens barrel is disposed lower than a lower end of the coil.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을 고정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빈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제1면보다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플랜지부는 광축방향으로 상기 보빈과 중첩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bobbin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lens barrel disposed on the bobbin;
a lens disposed in the lens barrel; and
An adhesive for fixing the lens barrel and the bobbin,
The lens barrel includes a first surface at least partially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groove concavely formed in the first surface,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groove,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flange portion of the lens barrel overlaps the bobbin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bobbin including a hole and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lens barrel disposed in the hole of the bobbin;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disposed in the lens barrel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KR1020230001911A 2020-04-27 2023-01-05 Camera Module KR202300100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911A KR20230010046A (en) 2020-04-27 2023-01-05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749A KR102211834B1 (en) 2020-04-27 2020-04-27 Camera Module
KR1020210012608A KR102358701B1 (en) 2020-04-27 2021-01-28 Camera Module
KR1020220012015A KR102487093B1 (en) 2021-01-28 2022-01-27 Camera Module
KR1020230001911A KR20230010046A (en) 2020-04-27 2023-01-05 Camera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015A Division KR102487093B1 (en) 2020-04-27 2022-01-27 Camera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046A true KR20230010046A (en) 2023-01-17

Family

ID=802525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608A KR102358701B1 (en) 2020-04-27 2021-01-28 Camera Module
KR1020230001911A KR20230010046A (en) 2020-04-27 2023-01-05 Camera Modu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608A KR102358701B1 (en) 2020-04-27 2021-01-28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8701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5058A (en) * 2005-08-29 2007-03-15 Alps Electric Co Ltd Camera module
KR101611457B1 (en) * 2009-09-03 2016-04-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283A (en) 2021-02-03
KR102358701B1 (en)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7988B2 (en) Camera module
JP6723923B2 (en) Lens drive motor
CN110430352B (en) Camera module
KR102152863B1 (en) Camera module
KR102258080B1 (en) Camera Module
KR102653487B1 (en) Camera Module
KR20160009866A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174068B1 (en) Camera Module
KR102145803B1 (en) Camera Module
KR102145831B1 (en) Camera module
KR20230025847A (en) Camera module
KR102107017B1 (en) Camera Module
US20230341653A1 (en) Optical system
KR20150071354A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487093B1 (en) Camera Module
KR102358701B1 (en) Camera Module
KR102211834B1 (en) Camera Module
KR20110024878A (en) Camera module
KR102122306B1 (en) Camera Module
KR20110016155A (en) Camera module
KR102471211B1 (en) Camera Module
KR102444349B1 (en) Camera Module
KR102245305B1 (en) Camera Module
KR102144506B1 (en) Camera Module
KR20160042852A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