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567A -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567A
KR20230009567A KR1020210090114A KR20210090114A KR20230009567A KR 20230009567 A KR20230009567 A KR 20230009567A KR 1020210090114 A KR1020210090114 A KR 1020210090114A KR 20210090114 A KR20210090114 A KR 20210090114A KR 20230009567 A KR20230009567 A KR 20230009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urrency
target
remittance
transac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미영
문범우
김재만
이현동
심의석
김동환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009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9567A/ko
Priority to JP2022108353A priority patent/JP2023010647A/ja
Priority to CN202210803221.7A priority patent/CN115601019A/zh
Priority to US17/860,663 priority patent/US20230010607A1/en
Publication of KR2023000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3Payment schemes or models based on the use of peer-to-pee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Abstract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은, 타겟 코인과 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거래 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코인과 상기 지갑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따른 거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COMPUT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O AVOID MISDEPOSIT OF VIRTUAL CURRENCY}
아래의 설명은 가상화폐의 오입금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암호화 기술의 등장에 따라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가상화폐로는 비트코인(BTC)이 있으며, 그 외에도 링크(LN), 이더리움(ETH), 리플(XRP), 라이트코인(LTC), 대시(DASH), 이오스(EOS), 비트코인캐시(BCH) 등이 가상화폐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화폐는 정부나 중앙 은행이 발행하는 일반 화폐와 달리, 처음 고안한 사람이 정한 규칙에 따라 거래되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유통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4601호(공개일 2019년 03월 08일)에는 블록체인을 갖는 암호화폐의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검증하는 서버를 통하여 거래를 인증하고 검증서버의 인증유무에 따라 거래를 확정하는 방식을 통해 URL에 제공되는 개인키로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가상화폐 송금 시 타겟 거래소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가상화폐의 오입금을 방지할 수 있다.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송금 요청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수취인 주소를 별칭으로 관리할 수 있고 별칭을 이용한 주소 자동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송금 요청에 포함된 수취인 주소가 오입금 피해 사례로 등록된 주소인지 확인할 수 있다.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사용자 화면 상에 거래하고자 하는 가상화폐에 대한 워터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거래하고자 하는 가상화폐에 대해 타이핑을 통한 사용자 컨펌(confirm) 후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거래 요청 수량 중 일부 수량을 먼저 송금한 후 해당 송금에 대한 인증 후 나머지 수량을 송금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타겟 코인과 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거래 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코인과 상기 지갑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따른 거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거래소에 속한 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지갑 주소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 종류를 확인하여 상기 타겟 코인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거래소에서 처리 가능한 네트워크 타입을 확인하여 상기 지갑 주소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오입금 피해 사례로 등록된 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지갑 주소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상기 컴퓨터 장치와 연동 가능한 외부 다른 시스템, 또는 거래소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상기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확인하여 상기 타겟 코인과 상기 지갑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거래 요청 수량 중 일부 수량에 대한 일차 송금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일차 송금에 대한 인증을 거쳐 상기 거래 요청 수량 중 나머지 수량에 대한 추가 송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일차 송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대해 랜덤하게 정해진 특이값 만큼의 수량을 송금하고, 상기 추가 송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특이값을 이용한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나머지 수량을 송금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가 송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일차 송금의 트랜잭션을 나타내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한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나머지 수량을 송금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별칭으로 관리되는 주소 목록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사용자 거래 이력을 기초로 주소 목록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코인 또는 상기 타겟 거래소가 먼저 입력된 경우, 상기 지갑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코인 또는 상기 타겟 거래소의 주소 체계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코인이 먼저 입력된 경우, 상기 타겟 거래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코인을 거래하는 거래소 목록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거래소가 먼저 입력된 경우, 상기 타겟 코인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 목록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대한 워터마크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배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코인이 입력된 경우 상기 타겟 코인에 대한 사용자 컨펌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타겟 코인과 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거래 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요청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거래 요청 검증부; 및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따른 거래를 처리하는 거래 처리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송금 요청 정보를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화폐 송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화폐 거래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상화폐 거래 시 오입금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거래 요청에 대해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이용한 검증을 통해 가상화폐의 오입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은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컴퓨터 장치(200)에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클라이언트(client)인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을 대상으로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상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컴퓨터 장치(20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 접속을 통해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에서 오입금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도 4에 따른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제공부(310), 거래 요청 검증부(320), 및 거래 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0)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0)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가 거래 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0)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인터페이스 제공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0)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0)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30)은 도 4에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들(S410 내지 S430)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상화폐 송금을 위해 세가지 정보인 송금하고자 하는 가상화폐(이하, 동일한 의미로 '코인'이라 칭하기도 함)의 종류와 수량, 수취인 지갑 주소가 필요하다. 지갑 주소는 가상화폐 거래소 상의 계좌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가상화폐 거래소에 의해 생성 및 관리될 수 있다. 일례로, 지갑 주소 체계는 가상화폐 거래소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로 구분되어 표현될 수 있다. 주소 체계에 따라서는 거래소 주소와 사용자 태그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체계로 거래소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지갑 주소를 이용하여 가상화폐 거래를 요청할 수 있고, 송금을 위해서는 송금하고자 하는 타겟 코인에 맞는 지갑 주소가 필요하다.
지갑 주소는 은행 거래 과정과는 달리, 수취인의 계정 정보에 대한 검증이 어렵다. 때문에, 송금 요청 시 오타나 태그 미입력 등으로 인해 지갑 주소가 잘못 입력된 경우, 타겟 코인에 맞는 지갑 주소가 아닌 경우, 지갑 주소의 거래소에서 타겟 코인을 취급하지 않는 경우, 지갑 주소의 주소 체계를 거래소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 등 여러 상황에서 가상화폐의 오입금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가상화폐의 전송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오입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0)에서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사용자 화면 상에 송금 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가상화폐 송금을 위한 송금 요청 정보로서 송금하고자 하는 타겟 코인의 종류와 수량, 그리고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송금 요청 정보와 함께 수취인 지갑 주소가 존재하는 가상화폐 거래소, 즉 타겟 거래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송금 요청 정보로서 타겟 코인의 종류와 수량,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타겟 거래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정확한 정보 입력을 돕기 위해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천 주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사용자 설정을 통해 별칭으로 등록된 주소 목록을 추천 주소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코인 종류와 지갑 주소 쌍을 사용자가 지정한 별칭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사용자가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하고자 할 때 별칭으로 등록된 주소 목록을 가져와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사용자 거래 이력을 기초로 선정된 주소 목록을 추천 주소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최근 일정 기간 동안 거래한 지갑 주소, 사용자가 일정 횟수나 빈도 이상으로 자주 거래하는 지갑 주소, 사용자가 거래한 지갑 주소 중 거래 이력에 대한 사용자 컨펌으로 검증된 지갑 주소 등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사용자가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하고자 할 때 별도로 관리되고 있는 주소 목록을 가져와 보여줄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정확한 정보 입력을 돕기 위해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소 체계에 대한 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자동 완성 기능과 유사하게 타겟 코인이나 타겟 거래소를 입력한 이후에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타겟 코인을 취급하는 거래소 또는 타겟 거래소에서 지원하는 주소 체계를 추천해 줄 수 있다. 주소 체계에 대한 추천 기능 이외에 먼저 입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다음에 입력할 정보에 대한 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거래소를 먼저 입력한 경우 타겟 코인에 대한 추천으로 타겟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타겟 코인을 먼저 입력한 경우 타겟 거래소에 대한 추천으로 타겟 코인을 취급하는 거래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추천 기능을 위해, 프로세서(220)는 자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물론이고 써드파티 시스템(3rd party system)이나 가상화폐 정보를 제공하는 여러 사이트 등 외부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거래소 별로 각 거래소가 지원하는 주소 체계와 거래 가능한 코인 종류를 수집하여 별도 테이블로 관리하거나 또는 실시간 검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정확한 정보 입력을 돕기 위해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화면 상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한 워터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사용자가 송금하고자 하는 타겟 코인을 입력한 시점부터 해당 코인 종류를 나타내는 워터마크를 화면 배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코인 종류 이외에 송금 요청 정보 중 가장 먼저 입력되는 정보에 대한 워터마크를 화면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취인 지갑 주소가 가장 먼저 입력된 경우 해당 지갑 주소의 별칭을 워터마크로 표시할 수도 있고, 타겟 거래소가 가장 먼저 입력된 경우 거래소명을 워터마크로 표시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음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시점에 워터마크를 바로 이전에 입력된 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코인, 수취인 지갑 주소, 타겟 거래소 순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할 때, 타겟 코인을 입력한 이후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할 때는 타겟 코인에 대한 워터마크를 표시하고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한 이후 타겟 거래소를 입력할 때는 수취인 지갑 주소로 입력된 주소 별칭에 대한 워터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통해 사용자의 송금 요청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사용자가 송금 요청을 위해 입력한 정보를 검증한 후 검증 결과를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라 송금 절차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수취인 지갑 주소가 타겟 거래소에 속한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취인 지갑 주소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사용자가 입력한 타겟 코인이 타겟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타겟 코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내 사용자가 입력한 수취인 지갑 주소의 네트워크 타입이 타겟 거래소에서 처리 가능한 주소 타입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취인 지갑 주소에 대한 추가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수취인 지갑 주소가 오입금 피해 사례로 등록된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취인 지갑 주소에 대한 추가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수취인 지갑 주소와 타겟 코인에 대한 검증 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되는 시스템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혹은 컴퓨터 장치(200)와 연동 가능한 외부 다른 시스템을 통해 타겟 거래소에 대한 정보를 가져와 검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거래소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타겟 거래소의 시스템과 직접 연동하여 검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한 검증 방식 중 하나를 적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검증 방식을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타겟 거래소에서 실제 거래 가능한 환경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송금하고자 하는 타겟 코인과 수취인 지갑 주소를 검증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거래 처리부(330)는 사용자의 송금 요청 정보에 따른 송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거래 처리부(330)는 단계(S420)를 통해 검증된 송금 요청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송금 절차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송금 요청 정보에 따른 송금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일례로, 거래 처리부(330)는 안전 거래를 위해 사용자가 송금 요청한 전체 수량 중 일부 수량을 먼저 송금하는 일차 송금 절차를 진행한 후 일차 송금 내역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면 나머지 수량에 대한 추가 송금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일차 송금 수량은 송금 가능한 최소 단위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때 최소 송금 단위는 코인 종류 별로 사전에 정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송금 시마다 랜덤하게 정해지는 특이값으로 일차 송금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거래 처리부(330)는 특이값 만큼의 수량을 일차 송금하고 일차 송금 수량의 특이값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뒤 세 자리 숫자)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일차 송금 내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거래 처리부(330)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일차 송금 수량으로 정해진 특이값과 일치하는 경우 나머지 수량에 대한 추가 송금을 진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이값을 대신하여 개별 트랜잭션을 구분하는 트랜잭션 아이디(TXID; 네트워크 아이디)를 이용하여 일차 송금 내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최소값 또는 특이값 만큼의 수량을 일차 송금하고 해당 송금 내역에 포함된 트랜잭션 아이디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값의 적어도 일부가 일차 송금 내역의 트랜잭션 아이디의 적어도 일부와 일치하는 경우 나머지 수량에 대한 추가 송금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송금 요청 정보를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사용자의 송금 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취인 지갑 주소가 사용자가 지정한 타겟 거래소에 속한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1).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단계(S501)의 판단결과 수취인 지갑 주소가 타겟 거래소에 속한 주소가 아닌 경우 수취인 지갑 주소에 대한 재입력을 안내할 수 있다(S502).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단계(S501)의 판단결과 수취인 지갑 주소가 타겟 거래소에 속한 주소인 경우 사용자의 송금 요청 정보에 포함된 타겟 코인이 타겟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종류의 코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3).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단계(S503)의 판단결과 타겟 코인이 타겟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이 아닌 경우 타겟 코인에 대한 재입력을 안내할 수 있다(S502).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단계(S503)의 판단결과 타겟 코인이 타겟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인 경우 수취인 지갑 주소의 네트워크 타입이 타겟 거래소에서 처리 가능한 네트워크 타입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4).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단계(S504)의 판단결과 수취인 지갑 주소의 네트워크 타입이 타겟 거래소에서 처리 가능한 네트워크 타입이 아닌 경우 수취인 지갑 주소에 대한 재입력을 안내할 수 있다(S502).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단계(S504)의 판단결과 수취인 지갑 주소의 네트워크 타입이 타겟 거래소에서 처리 가능한 네트워크 타입인 경우 수취인 지갑 주소가 오입금 피해 사례로 등록된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5).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단계(S505)의 판단결과 수취인 지갑 주소가 오입금 피해 사례로 등록된 주소인 경우 경고 안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한 송금 취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6).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단계(S506)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송금 취소를 요청한 경우 송금 절차를 중단한다.
거래 요청 검증부(320)는 단계(S505)의 판단결과 수취인 지갑 주소가 오입금 피해 사례로 등록된 주소가 아니거나 단계(S506)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송금 진행을 요청한 경우 거래 처리부(330)로 사용자의 송금 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검증 과정(S501 내지 S506)은 도 5에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검증 과정(S501 내지 S506)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화폐 송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거래 처리부(330)는 사용자의 송금 요청 정보에 포함된 타겟 코인의 수량, 즉 송금 요청 수량 중 최소값 또는 특이값 만큼의 수량을 일차 송금으로 처리할 수 있다(S601). 이때, 최소값은 송금 가능한 최소 단위의 수량을 의미하고, 특이값은 송금 요청에 대해 랜덤하게 정해지는 수량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차 송금 수량을 사용자가 송금 요청한 수량의 일부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자산을 대신하여 거래소가 소유한 자산을 이용하여 일차 송금 절차를 진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거래 처리부(330)는 사용자의 송금 요청 정보에 대해 일차 송금이 완료된 후 일차 송금 내역을 이용한 인증 절차에 따라 일차 송금에 대한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02). 일례로, 일차 송금에 따른 트랜잭션 아이디(TXID; 네트워크 아이디)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방식으로 일차 송금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특이값을 이용한 송금의 경우 트랜잭션 아이디 대신 특이값을 이용하여 일차 송금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거래 처리부(330)는 단계(S602)의 인증 결과 일차 송금 인증을 성공하면 송금 요청 수량 중 나머지 수량에 대한 추가 송금을 진행할 수 있다(S603).
거래 처리부(330)는 단계(S602)의 인증 결과 일차 송금 인증을 실패하면 나머지 수량에 대한 송금을 취소할 수 있다(S604).
상기한 송금 처리 과정(S601 내지 S604)은 도 6에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검증 과정(S601 내지 S604)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화폐 거래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가상화폐 출금 화면(700)을 나타내고 있고, 도 11 내지 도 12는 가상화폐 입금 화면(1100)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상화폐 출금 화면(700)은 가상화폐 송금을 위한 사용자 화면으로, 송금 요청 정보와 함께 타겟 거래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폐 출금 화면(700)은 송금 요청 정보로서 송금하고자 하는 타겟 코인의 종류를 입력하기 위한 코인 종류 입력 인터페이스(710), 송금하고자 하는 타겟 코인의 수량을 입력하기 위한 코인 수량 입력 인터페이스(720), 송금하고자 하는 타겟 주소인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주소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상화폐 출금 화면(700)은 오입금 방지를 위한 목적에서 타겟 거래소를 입력하기 위한 거래소 입력 인터페이스(7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거래소 입력 인터페이스(740)를 통해 입력된 타겟 거래소는 송금 요청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타겟 거래소의 실제 거래 환경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주소나 코인이 유효한 것인지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화폐 출금 화면(700) 상에 보다 정확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몇몇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주소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통해 추천 주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별칭 주소 테이블(800)을 통해 코인 종류와 지갑 주소 쌍을 사용자가 지정한 별칭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주소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통해 수취인 지갑 주소를 입력하고자 할 때 별칭 목록(931)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별칭 목록(931)에서 특정 별칭을 선택하면 해당 별칭의 지갑 주소를 주소 입력 인터페이스(730)에 자동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칭 목록(931)에서 별칭 'ABC'를 선택한 경우 별칭 주소 테이블(800)에 저장된 별칭 'ABC'의 지갑 주소인 '1Abcdef2GHIJK3lmnopq789CC'가 주소 입력 인터페이스(730)에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코인 종류 입력 인터페이스(710)에 타겟 코인의 종류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별칭에 대한 정보로 별칭 목록(931)을 제공하고, 타겟 코인의 종류가 먼저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코인 종류에 해당하는 별칭 주소를 선별하여 별칭 목록(931)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별칭을 이용하지 않고 수취인 지갑 주소를 직접 입력하고자 할 때 주소 체계에 대한 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갑 주소의 경우 거래소나 코인 종류에 따라 규칙적인 주소 체계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거래소나 코인 종류 별로 공통된 주소 체계를 관리할 수 있고, 코인 종류 입력 인터페이스(710)에 입력된 타겟 코인이나 거래소 입력 인터페이스(740)에 입력된 타겟 거래소와 매칭되는 주소 체계를 추천해 줄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220)는 지갑 주소 전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더라도 공통된 주소 체계를 자동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세서(220)는 정보 입력 과정에서 사용자 스스로 자신이 입력한 정보가 무엇인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한 워터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코인 종류 입력 인터페이스(710)에 타겟 코인의 종류가 입력된 시점부터 가상화폐 출금 화면(700) 상에 코인 종류 입력 인터페이스(710)에 입력된 코인 종류를 워터마크(1001)로 보여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상화폐 입금 화면(1100)은 가상화폐 입금을 위한 사용자 화면으로, 입금 요청 정보로서 입금하고자 하는 타겟 코인의 종류를 입력하기 위한 코인 종류 입력 인터페이스(1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폐 입금 화면(1100)에는 입금을 위한 사용자 지갑 주소(1120)가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가상화폐 출금 화면(700) 뿐 아니라 가상화폐 입금 화면(1100)에서도 정확한 정보 입력을 돕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한 워터마크(1101)를 표시할 수 있다. 코인 종류 입력 인터페이스(1110)를 통해 입금을 위한 타겟 코인의 종류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가상화폐 입금 화면(1100) 상에 해당 코인 종류를 워터마크(1101)로 보여줄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입금 요청을 위한 정보 입력 과정에서 사용자 스스로 자신이 입력한 타겟 코인의 종류가 무엇인지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타이핑을 통한 사용자 컨펌 후에 가상화폐 입금 화면(1100) 상에 사용자 지갑 주소(1120)를 노출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에는 가상화폐 입금 화면(1100) 상에 사용자 지갑 주소(1120)를 비노출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입력한 타겟 코인의 종류를 다시 한번 타이핑하도록 유도하여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1201)를 통한 타이핑 내용이 코인 종류 입력 인터페이스(1110)에 입력된 타겟 코인의 종류와 일치하면 사용자 지갑 주소(1120)를 노출할 수 있다.
사용자 지갑 주소(1120)가 비노출된 상태에서는 입금 요청이 불가하고 타이핑을 통한 최종 확인을 거쳐 사용자 지갑 주소(1120)가 노출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입금 절차 진행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래 요청 정보와 함께 입력된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이용하여 거래 요청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래 요청을 위한 정보 입력 과정에서 자동 입력을 위한 추천 기능, 워터마크 또는 컨펌용 타이핑 등을 통해 보다 정확한 정보가 입력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타겟 코인과 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거래 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코인과 상기 지갑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따른 거래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거래소에 속한 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지갑 주소를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 종류를 확인하여 상기 타겟 코인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거래소에서 처리 가능한 네트워크 타입을 확인하여 상기 지갑 주소를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오입금 피해 사례로 등록된 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지갑 주소를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상기 컴퓨터 장치와 연동 가능한 외부 다른 시스템, 또는 거래소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상기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확인하여 상기 타겟 코인과 상기 지갑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거래 요청 수량 중 일부 수량에 대한 일차 송금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일차 송금에 대한 인증을 거쳐 상기 거래 요청 수량 중 나머지 수량에 대한 추가 송금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송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대해 랜덤하게 정해진 특이값 만큼의 수량을 송금하고,
    상기 추가 송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특이값을 이용한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나머지 수량을 송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송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일차 송금의 트랜잭션을 나타내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한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나머지 수량을 송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별칭으로 관리되는 주소 목록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사용자 거래 이력을 기초로 주소 목록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코인 또는 상기 타겟 거래소가 먼저 입력된 경우, 상기 지갑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코인 또는 상기 타겟 거래소의 주소 체계를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코인이 먼저 입력된 경우, 상기 타겟 거래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코인을 거래하는 거래소 목록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거래소가 먼저 입력된 경우, 상기 타겟 코인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 목록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대한 워터마크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배경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코인이 입력된 경우 상기 타겟 코인에 대한 사용자 컨펌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 방법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타겟 코인과 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거래 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 타겟 거래소의 거래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요청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거래 요청 검증부; 및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따른 거래를 처리하는 거래 처리부
    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요청 검증부는,
    상기 타겟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 종류를 확인하여 상기 타겟 코인을 검증하거나, 또는 상기 타겟 거래소에 속한 주소와 상기 타겟 거래소에서 처리 가능한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상기 지갑 주소를 검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처리부는,
    거래 요청 수량 중 일부 수량에 대한 일차 송금을 수행하고,
    상기 일차 송금에 대한 인증을 거쳐 상기 거래 요청 수량 중 나머지 수량에 대한 추가 송금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10090114A 2021-07-09 2021-07-09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09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14A KR20230009567A (ko) 2021-07-09 2021-07-09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2108353A JP2023010647A (ja) 2021-07-09 2022-07-05 仮想通貨誤入金防止方法、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02210803221.7A CN115601019A (zh) 2021-07-09 2022-07-07 用于防止误存虚拟货币的方法、计算机装置及记录介质
US17/860,663 US20230010607A1 (en) 2021-07-09 2022-07-08 Method, computer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avoid misdeposit of virtual curr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14A KR20230009567A (ko) 2021-07-09 2021-07-09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567A true KR20230009567A (ko) 2023-01-17

Family

ID=8479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114A KR20230009567A (ko) 2021-07-09 2021-07-09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10607A1 (ko)
JP (1) JP2023010647A (ko)
KR (1) KR20230009567A (ko)
CN (1) CN115601019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91503A1 (en) * 2015-07-14 2018-07-05 Fmr Llc Asynchronous Crypto Asset Transfer and Social Aggregating, Fractionally Efficient Transfer Guidance, Conditional Triggered Transaction, Datastructures,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10528947B2 (en) * 2016-09-18 2020-01-07 Howard H Sheerin Locking an online account based on a public cryptocurrency address
US20190164150A1 (en) * 2017-11-29 2019-05-3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Using Blockchain Ledger for Selectively Allocating Transactions to User Accounts
WO2019169378A1 (en) * 2018-03-02 2019-09-06 Griffith Nicholas B Central registry system for cryptocurrencies
KR20210041404A (ko) * 2019-10-07 2021-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이용한 블록체인 주소 관리 방법
KR20210007928A (ko) * 2020-08-26 2021-01-20 넷마블 주식회사 암호화폐의 거래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0607A1 (en) 2023-01-12
CN115601019A (zh) 2023-01-13
JP2023010647A (ja)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3429B (zh) 使用数字令牌和安全账本数据库的安全离线交易系统
JP7204231B2 (ja) 信頼度が低い、または信頼度が皆無の当事者間での価値転送を円滑化する装置、システム、または方法
US11182842B2 (en) No authentication payment and seamless authentication
US10885522B1 (en) Updating merchant location for cardless payment transactions
US9648451B1 (en) Multiple merchants in cardless payment transactions and multiple customers in cardless payment transactions
US202002581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age of cryptocurrencies and transactions thereof
US20170293898A1 (en) Static ctyptographic currency value
US10290044B2 (en) Simplified orders using words or phrases
US20220130005A1 (en) Digital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1972432B2 (en) Risk determination enabled crypto currency transaction system
KR20210022463A (ko) 가상화폐의 최적화 거래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06168A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간편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1406A (ko) 1차 지불 수단의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00044756A (ko) 메신저 서비스를 기반으로 공동계좌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09567A (ko) 가상화폐 오입금 방지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3280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interactions with dynamically varying digital resources linked to resource distribution devices
JP6338564B2 (ja) Atm予約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082949B1 (ko) 선택적 결제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선택적 결제 요청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93767A (ko) 거래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308463B2 (en) Secure transmission-pairing database system
KR20190051113A (ko)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하는 출금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383017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622354B1 (ko) 결제 방법 및 시스템
US20220084103A1 (en) No authentication payment and seamless authentication
KR102664346B1 (ko)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