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088A - 저장고 - Google Patents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088A
KR20230009088A KR1020210089702A KR20210089702A KR20230009088A KR 20230009088 A KR20230009088 A KR 20230009088A KR 1020210089702 A KR1020210089702 A KR 1020210089702A KR 20210089702 A KR20210089702 A KR 20210089702A KR 20230009088 A KR20230009088 A KR 20230009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storage compartment
storage
wall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진
남윤성
김성욱
김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9088A/ko
Priority to PCT/KR2022/009805 priority patent/WO2023282646A1/en
Priority to EP22837998.8A priority patent/EP4367455A1/en
Publication of KR2023000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plug-i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저장고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2저장실에 동력을 전달하는 결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고 {Storehouse}
본 발명은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저장고는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일례로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의 피냉각물(이하, 편의를 위해 식품이라 칭함)을 차게 하거나 저온에서 보관하여 부패,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동 사이클부품을 포함한다.
냉동 사이클부품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아우터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전면이 개구된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저장실과 열교환실로 구획하는 냉기 토출덕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냉기 토출덕트의 전방에 저장실이 형성되고, 후방에 열교환실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실에는 증발기와 증발팬이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의 외부에 별도의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고, 기계실에 압축기와, 응축기 및 응축팬이 배치될 수 있으며, 기계실 내의 압축기는 열교환실 내의 증발기와 냉매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에는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로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는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첫째, 기계실에 배치된 압축기와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어 냉매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므로, 냉동 사이클부품의 수리가 필요할 때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에 고장을 확인하고 수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증발기가 일체로 구성되고 증발기는 용접등에 의하여 냉장고 본체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냉장고의 제작이 번거롭다. 그리고, 증발기의 제상시, 저장실과 열교환 하여 고내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열교환실이 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열교환실의 크기만큼 냉장고 본체 후벽의 전후방 폭이 커지고, 그에 따라 저장실의 용적이 그만큼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열부와 방열부를 일체로 구성하는 냉각모듈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제안되었다.
공개번호 특2003-0027367 (공개일자 : 2003년 4월 7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물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과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이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벽을 형성하며 제1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교환장치를 저장고 본체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열교환장치와 저장고 본체 사이의 갭(gap)을 유지하여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열교환장치를 저장고 본체에 결합한 이후에는 열교환장치가 상기 저장고 본체에 밀착되도록 하여 실링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교환장치가 저장고 본체측으로 이동하여 저장고 본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장치의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장치는 리프트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저장고 본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교환장치의 저장고 본체에 대한 결합부위가 유체 흡토출구와 간섭되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하는 저장고이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1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2저장실의 제2벽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장치가 장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열교환장치는 저장고 본체의 구획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의 열교환기 케이스는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상기 구획벽으로 이동하며,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제 1 면은 상기 구획벽의 제 2 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제 1 면은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의 제 2 면은 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제 1면에는 열교환장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구획벽의 제 2 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를 상기 구획벽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 장치는 회전 조작되는 조작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가 회전하면 동력 전달장치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는 상기 구획벽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는 상기 구획벽을 향하여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웜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조작 바아와 함께 회전하는 웜 및 상기 웜과 나사 연동하는 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조작 바아와 함께 회전하며, 제 1 나사산을 가지는 웜; 및 상기 제 1 나사산과 연동하는 제 2 나사산을 형성하는 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 휠과 나사 연동하는 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웜 휠에 삽입되며, 상기 웜 휠의 제 3 나사산과 연동하는 제 4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 휠과 나사부가 연동하면, 상기 웜 휠은 상기 나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되는 기어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기어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와 연동하는 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는, 상기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부 본체 및 상기 나사부 본체의 단부에 구비되는 나사부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나사부 헤드는 지면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나사부 헤드는 상기 구획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기어 하우징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상기 기어 하우징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는 지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웜 휠이 이동할 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나사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이동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열교환기 케이스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저장고 본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는 상기 저장고 본체에 밀착되므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은 저장고 본체의 외부에 대하여 실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에서 발생되는 유체는 저장고 본체로 누설없이 공급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저장고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의 하단부에는 냉장고의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바퀴와 함께 냉장고의 전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웜 휠이 회전하면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웜 휠이 회전하면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당겨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저장고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과,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 및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2저장실에 동력을 전달하는 결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는 회전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을 형성하는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는 제2벽 또는 상기 제3벽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조작 바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조작 바아와 연동하는 웜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조작 바아와 함께 회전하며, 제 1 나사산을 가지는 웜; 및 상기 제 1 나사산과 연동하는 제 2 나사산을 형성하는 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기어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기어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와 연동하는 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는, 상기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부 본체 및 상기 나사부 본체의 단부에 구비되는 나사부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 헤드는 지면에 놓여지고,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나사부 헤드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제1,2 저장실의 구획벽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 헤드는 상기 제1,2저장실의 구획벽에 지지되고,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나사부 헤드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르 상기 구획벽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기어 하우징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상기 기어 하우징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의 하측에서 상기 제1저장실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2저장실을 상기 제1저장실을 향하여 상방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저장실은 구획벽에 의하여 단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구획벽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접촉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결합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2저장실이 결합할 때 상기 제1,2저장실 사이의 갭을 줄이도록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저장실이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제1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유체는 제1저장실로 용이하게 공급되며, 제1저장실 내부의 유체는 제2저장실로 용이하게 리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1팬을 설치하여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동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장치를 저장고 본체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열교환장치와 저장고 본체 사이의 갭(gap)을 유지하여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열교환장치를 저장고 본체에 결합한 이후에는 열교환장치가 상기 저장고 본체에 밀착되도록 하여 실링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장치가 저장고 본체측으로 이동하여 저장고 본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장치의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장치의 저장고 본체에 대한 결합부위가 유체 흡토출구와 간섭되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가 장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저장고 본체를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와 지지 플레이트의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웜기어 어셈블리 및 장착 브라켓의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와 지지 플레이트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웜기어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가 장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획벽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가 장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획벽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상태에서 웜기어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열교환기 케이스가 구획벽을 향하여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가 구획벽을 향하여 상승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와 웜기어 어셈블리의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와 구획벽의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웜기어 어셈블리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웜기어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하는 저장고일 수 있다.
상기 저장고의 예는, 냉장고, 온장고 등일 수 있다.
상기 물품의 예는 식품, 의료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공간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방식의 예는, 전도에 의한 직접 열교환, 대류 혹은 복사에 의한 간접 열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일 예는, 흡열부, 냉력발생장치, 냉원 (Cold source)로서 제공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냉원의 예는, 제1열교환기, 열전모듈의 흡열부로서 열전소자의 흡열면이나 흡열면에 연결된 콜드싱크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다른 예는, 방열부, 열력발생장치, 열원 (Heat source)으로서 제공되는 열교환기 일 수 있다. 상기 열원의 예는, 응축기, 열전모듈 방열부로서 열전소자의 발열면이나 발열면에 연결된 히트싱크일 수 있다. 상기 유체의 예는, 공기, 물, 냉매 등 액체나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은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은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을 상기 제1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은 상기 제3저장실을 상기 제1저장실 및 상기 제2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2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을 상기 제3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2벽과 상기 제3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3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1벽과 상기 제3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벽은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여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벽은 복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것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2공간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2공간 중 다른 하나로 이동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체의 중앙부는 상기 물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물체를 3등분할 경우에, 상기 3등분된 부분 중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물체의 주변부는 상기 3등분된 부분 중 상기 중앙부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물체의 주변부는 상기 중앙부와 접하는 면과 그 반대편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반대편의 면을 상기 물체의 테두리 혹은 에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가 저장실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유동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제2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3저장실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제3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예는 공기를 흐르게 하는 팬, 물을 흐르게 하는 펌프, 냉매를 흐르게 하는 압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물품과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후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하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상벽에 베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상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3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3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2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에 베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어느 하나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1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의 외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어느 하나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3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실 외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3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3저장실과 함께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3벽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제공된 이후에,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후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후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저장실의 하벽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3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저장실의 하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에는 냉원으로서의 제1열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의 인근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 생성되는 서리를 제거하는 열원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원는 제상 열원일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에는 열원로서의 제1열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의 인근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 발생하는 증기를 제거하는 냉원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원은 제증 냉원일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3벽보다 단열도가 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상 열원의 열(Heat) 혹은 상기 제증 냉원의 유체(cold)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이나 상기 제1저장실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통로와 유동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1통로를 형성하는 벽보다 단열도가 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상 열원의 열(Heat) 혹은 상기 제증 냉원의 유체(cold)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이나 상기 제1저장실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복수의 저장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구획벽, 서랍, 선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사이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상 열원이나 제증 냉원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일부가 열교환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고가 저장고로서 제공될 경우에는 냉각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저장고가 온장고로서 제공될 경우에는 가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첫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을 마주보는 면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마주보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상 열원이나 상기 제증 냉원과 열전달이 저감되게 하기 위한 단열공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로 유체가 유입되는 통공과 상기 제2저장실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통공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로 유체가 유입되는 통공과 상기 제2저장실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통공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의 통공은,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의 통공은,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저장실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저장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의 최상단, 최하단, 최우단, 최좌단, 최후단, 최전단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제1저장칸의 내부의 유체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경유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저장실로 유동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제2저장칸의 내부의 유체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실로 유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이 배치되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제1저장실은 가로방향인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세로방향인 Y축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3저장실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은, 상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저장실은 가로방향인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세로방향인 Y축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3저장실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은 상기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가 배치되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제1열교환기는 길이가 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길이가 짧은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Y축방향으로 길이보다 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상부 혹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공이,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보다 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기의 유동손실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열교환기는 길이가 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길이가 짧은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Y축방향으로 길이보다 짧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방 혹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배치에 대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은 상기 유동발생기의 무게중심, 질량중심, 체적중심, 회전중심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선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선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주변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저장실을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저장실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저장실 모듈설계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저장실에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통로의 내부 및 상기 제2통로의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 사이의 거리를 이격할 수 있어서, 유체의 유동 경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드존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가 배치된 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저장실의 용적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팬 및 팬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하우징이 상기 제1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팬하우징이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는 제 1 저장실(15)을 형성하는 저장고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고는 저장고 또는 온장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벽은 전벽, 후벽, 측벽, 상벽 및 하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벽은 다수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고 본체(10)는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저장고 본체(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저장고 본체(10)는 본체 아우터케이스((11)와, 상기 본체 아우터케이스(11)의 내측에 조립되는 본체 이너케이스 및 상기 본체 아우터케이스(11)와 본체 이너케이스(12)의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을 위한 본체 단열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방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에는 식품이 지지되는 선반(23)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선반(23)은 제 1 저장실(1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에는 식품을 수납하는 드로어(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22)는 인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22)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드로어(22)는 제 1 저장실(1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선반(23) 또는 상기 다수의 드로어(22)에 의하여 다수의 저장칸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의 후벽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제 1 저장실(15)을 정의하는 제 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 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 1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상기 다수 개의 드로어(2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에는 제 2 저장실(16)에서 열교환 된 유체가 유동하며, 상기 덕트(30)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로 유체를 배출하는 덕트 토출공(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토출공(35)은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덕트 토출공(35)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전후방향 폭(w)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일정한 폭을 가지는 덕트(30)에 의하여, 상기 다수 개의 드로어(22)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제 1 열교환기(E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저장실(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실(16)은 구획벽(B1)에 의하여 상기 제 1 저장실(15)에 대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제 2 열교환기(E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3 저장실(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제 2 열교환기(E2)는 단열벽(B2)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E1) 및 제 2 열교환기(E2)를 구비하는 열교환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저장고 본체(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제 2 열교환기(E2)는 서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열교환기(E2)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열교환기(E1)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상기 제 2 열교환부(E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에는 2개의 독립된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독립된 유동은 상기 제 1,2 저장실(15,16)을 순환하는 제 1 유동(f1) 및 상기 제 3 저장실(17)의 내부 및 외부를 통과하는 제 2 유동(f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 2 유동(f2)이 통과하는 커버(B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는 상기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는 제 3 저장실(17) 외부의 유체가 상기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커버 유입부 및 상기 제 3 저장실(17)에서 열교환 된 유체가 배출되는 커버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외기는 전방으로부터 상기 커버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되며, 상기 제 3 저장실(17)로부터 상기 커버 배출부를 통하여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외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제 2 유동(f2)은 유동 발생기, 일례로 제2팬에 의하여 발생되며, 상기 커버(B3)의 커버 유입부, 제 3 저장실(17) 및 상기 커버(B3)의 커버 배출부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도어(2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20)의 하단부는 상기 커버(B3)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커버(B3)는 상기 도어(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B3)의 상단부는 상기 도어(2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상기 도어(20)의 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버(B3)와 상기 도어(20)의 상대적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유체가 상기 제 2 저장실(16)로 유입되는 유입부(P1) 및 상기 제 2 저장실(16)에서 열교환된 유체가 상기 덕트(30)로 배출되는 배출부(P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부(P1)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전방부 상측에, 상기 배출부(P2)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후방부 상측에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동(f1)은 상기 유입부(P1), 제 2 저장실(16) 및 배출부(P2)를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열교환기(E1)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열교환기(E2)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E1) 하류측에 배치되어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동 발생기는 제 1 팬(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2 저장실(16)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구획벽(B1)의 내부, 또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팬(F)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의 출구측에 배치된다면 다른 위치에도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유입부(P1) 및 상기 배출부(P2)와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유체의 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유입부(P1)와 상기 배출부(P2)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P1)를 통하여 제 2 저장실(16)로 유입된 유체는 제 1 열교환기(E1)를 거친 후 상기 제 1 팬(F)을 통과하며, 상기 배출부(P2)를 통하여 상기 덕트(30)로 유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가 장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저장고 본체를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는 제 1 저장실(15)을 형성하는 저장고 본체(10) 및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방에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도어 핸들(28) 및 저장고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냉동사이클 부품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1 열교환부로서 제 2 저장실(16)에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장실(15)의 유체는 유동발생기로서 제1팬(310)에 의하여 상기 제 1 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열교환기(220)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유체를 발생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2 열교환부로서 압축기(121), 제2열교환기(123) 및 유동발생기로서 제2팬(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저장실(17) 외부의 유체는 상기 제 2 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열교환기(123)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장치 수용공간(1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제1열교환기(220)가 설치되는 제2저장실(16) 및 제2열교환기(123)가 설치되는 제3저장실(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구획벽(50)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획벽(50)은 본체 이너케이스(1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을 단열하기 위한 벽 단열재(56, 도 1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상기 제1저장실(15)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상기 제1저장실(15)보다 작은 용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에는, 열교환장치(100)의 제2저장실(16)로 제1저장실(15)의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구획벽(50)을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2저장실(16)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저장실(17) 외부의 유체를 도입하는 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50)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커버 본체(151)와, 유체를 상기 제3저장실(17)로 유입시키는 커버 유입부(152) 및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3저장실(17)을 통과한 유체를 배출하는 커버 배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입부(152) 및 상기 커버 배출부(153)는 상기 커버 본체(15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입부(152)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23)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배출부(153)는 상기 압축기(12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입부(152)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2 열교환기 (123) 및 상기 압축기(121)를 거치면서 열교환 하고 상기 커버 배출부(153)를 통하여 저장고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 2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방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 2 열교환기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 2 열교환기(123)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 2 열교환기(123)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팬(125)은 상기 압축기(121)와 상기 제 2 열교환기(1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팬(125)은 축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 1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후방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제 1 열교환기(220) 및 제1팬(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는 제1열교환기(220)를 수용하는 공간(205, 케이스수용부)을 형성하는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제2열교환부와 분리되며, 단열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케이스수용부(205)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제2열교환부의 후방에 제공되는 케이스 본체(2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210)는 상단부가 개방된 다면체, 일례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제1열교환기(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2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단열을 위하여 케이스단열재(213, 도 1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유체는 저장고 본체(10)의 덕트(30)로 유동하며, 덕트 토출공(35)을 통하여 제 1 저장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구획벽(5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구획벽(50)과의 사이 공간에 실링을 수행하기 위한 실링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24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면에 제공되며, 상기 구획벽(50)의 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40)는 가스켓, 오링(O-ring) 또는 사각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케이스상면부(210c)에는 상기 실링부재(240)가 설치되는 실링 홈(210e, 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홈(210e)은 상기 케이스상면부(210c)에서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 홈(210e)은 상기 실링부재(240)의 형상에 대응하여, 4각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제1저장실(15)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실링부재(24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제1저장실(15)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실링부재(240)는 구획벽(50)에 의하여 눌려져 실링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240)의 돌출된 높이는 줄어들거나 없어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베이스(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공용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 1,2 열교환부가 함께 베이스(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2 열교환부는 각각 분리된 베이스에 설치될 수도 있고, 베이스 없이 제 1 열교환부 또는 제 2 열교환부가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110)가 제 1,2 열교환기의 공용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은 상기 제 1,2 열교환기의 설치면을 제공하며, 상기 설치면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23)가 배치되고 상기 설치면의 후방부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면의 전방부에는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2열교환기(123)가 제공된다. 상기 제2팬(125)은 상기 압축기(121)와 상기 제2열교환기(123)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압축기(121)를 지지하는 압축기지지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지지부(121a)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기(121)의 레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바퀴(401,405)를 고정하는 바퀴 플레이트(460, 도 7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의 전방부에는 상기 방열커버(150)와 결합되는 커버브라켓(4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브라켓(114)은 다수 개가 제공되어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커버(150)와 상기 커버브라켓(463)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제1열교환기(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후방부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서 배출되는 유체, 일례로 물이나 수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트레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가 증발기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유체는 응축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는 유체를 포집하는 집수면을 형성하는 트레이 본체(131) 및 상기 집수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유체의 흘러넘침을 방지하는 테두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포집되는 물이나 수증기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저장되게 하는 벽(저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는 상기 트레이 본체(131)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지지벽(13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벽(133)은 상기 트레이 본체(131)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트레이(130)에 설치될 때,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지지벽 (130)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지지벽 (130)에 의하여 지지될 때,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은 상기 트레이 본체(13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제2팬(125)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제2팬안착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팬안착부(134)는 상기 트레이(130)의 테두리부(132) 외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2팬(125)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팬안착부(134)는 생략되고, 상기 제2팬(125)은 상기 베이스(110)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구조물은 팬고정 브라켓(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고정 브라켓(136)은 상기 제2팬안착부(13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제2팬(125)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팬고정 브라켓(136)은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제2열교환기(123)를 지지하기 위한 제2열교환기 안착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 안착부(135)는 상기 트레이(130)의 테두리부(132) 외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123)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열교환기 안착부(135)는 생략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123)는 상기 베이스(110)에 직접 지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2열교환기(123)를 통과하는 방열 유동이 열교환기 케이스(200)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차단 브라켓(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브라켓(137)은 상기 트레이(130)의 테두리부(132) 외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안착부(13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단 브라켓(137)은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 홀(208)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 홀(208)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 바닥면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응축수는 상기 배수 홀(208)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을 통하여 배출된 응축수는 상기 트레이(130)에 집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단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케이스전면부(210a), 상기 케이스전면부(210a)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케이스측면부(210b),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케이스상면부(210c) 및 상기 케이스전면부(210a)와 마주보는 케이스후면부(21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유체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케이스후면부(210d)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팬 어셈블리(300)의 장착위치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리프트 장치의 구성과 반드시 연계되는 특징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다른 예로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하류측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가 아니라, 상기 제1저장실(15)의 내부 또는 덕트(3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케이스후면부(210d)의 내측면에는, 상기 팬 어셈블리(300)가 안착되는 팬 장착부(215)가 형성된다. 상기 팬 장착부(215)는 상기 상기 케이스후면부(210d)의 내측면 일부가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후면부(210d)의 내측면에는, 상기 팬 어셈블리(300)의 팬 모터가 안착되는 모터 안착부(2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안착부(215a)는 상기 팬 장착부(215)에서 조금 더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의 일부분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덕트(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는 제1팬(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310)은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1팬(310)이 설치되며,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쉬라우드(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쉬라우드(320)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를 거친 유체가 유입되는 쉬라우드 유입부(323) 및 상기 제1팬(310)을 거친 유체가 배출되는 쉬라우드 배출부(326)를 포함한다.
상기 쉬라우드 유입부(323)는 상기 쉬라우드(32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팬(310)은 상기 쉬라우드 유입부(323)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 배출부(326)는 상기 쉬라우드(3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 유입부(323)를 통하여 상기 제1팬(31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팬(310)을 거친 후 상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쉬라우드 배출부(326)를 통하여 상기 쉬라우드(3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320)에서 배출된 유체는 상기 팬 어셈블리(300)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덕트(30)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와 상기 팬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케이스 수용부(20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221) 및 상기 냉매관(221)에 결합되는 핀(222)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관(221)은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매관(221)의 양측은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핀(222)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다수 개의 핀(222)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핀(22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핀(222)의 열교환면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좌우 내측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는 냉매관(221) 및 핀(222)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수용부(205)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은 상기 케이스수용부(205)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은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 홀(208)에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좌측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배수 홀(208)에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우측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외면을 형성하는 아우터케이스(211, 도 13 참조)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케이스(212, 도 13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와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사이에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단열을 위한 케이스단열재(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저장고 본체(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401,4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401,405)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401,405)는 저장고 본체(10)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제 1 바퀴(401) 및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제 2 바퀴(4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401,405)는 바퀴 플레이트(46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는 장치 수용공간(18)의 하부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바퀴(401)는 1개의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바퀴(405)는 2개 이상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롤러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저장고(1)는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지지하고 리프트 장치가 구동할 때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이동시키는 지지 플레이트(4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는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웜기어 어셈블리(420,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43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43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제 1 어셈블리(420) 및 저장고 본체(1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제 2 어셈블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43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 양측에 구비되므로, 일례로 총 4개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430)는 바퀴(401,405)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어셈블리(420)는 상기 제 1,2 바퀴(401,405)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어셈블리(430)는 상기 제 2 바퀴(40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430)와 연동하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바아(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 바아(440)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 바아(440)와 웜기어 어셈블리(420,430)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440)는 상기 제 1 어셈블리(420) 및 상기 제 2 어셈블리(4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440)는 상기 제 1 어셈블리(420)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어셈블리(430)에 결합하는 바아 몸체(4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아 몸체(44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43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43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장착 브라켓(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450)은 상기 저장실(15)을 형성하는 저장고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으나, 상기 장착 브라켓(450)의 외측에는, 저장고 본체(10)의 깔끔한 외관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와 지지 플레이트의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웜기어 어셈블리 및 장착 브라켓의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와 지지 플레이트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지지 플레이트(410)에 의하여 지지되며,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저장고 본체(1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 및 지지 플레이트(410)는 구획벽(50)을 향하여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구획벽(5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본체(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본체(411)에는 웜기어 어셈블리(420,4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본체(411)에는, 웜기어 어셈블리(420,430)의 나사부(470)가 관통하는 관통홀(4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18)은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418)은 제 1 어셈블리(420)의 나사부(470)가 결합되는 제 1 관통홀 및 제 2 어셈블리(430)의 나사부(470)가 결합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411)로부터 장치 수용공간(18)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하는 케이스안착부(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안착부(412)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41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저장고 본체(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401,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401,405)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퀴(401,405)는 바퀴 브라켓(4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퀴(401,405)는 상기 바퀴 브라켓(402)에 축 결합되어 롤링될 수 있다. 상기 바퀴 브라켓(402)은 상기 바퀴(401,405)의 양측을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퀴(401,405)의 축은 상기 바퀴 브라켓(402)의 양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바퀴(401,405)가 지지되는 바퀴 플레이트(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는 상기 장착 브라켓(4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450)은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측면부를 구성하는 브라켓 본체(4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451)의 본체 결합부(452)는 상기 구획벽(50)의 측방에 위치하는 저장고 본체(10)의 일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결합부(452)는 상기 브라켓 본체(451)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451)의 하단부는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퀴 브라켓(402)은 상기 장착 브라켓(45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퀴 브라켓(402)은 상기 장착 브라켓(450)에 체결되는 브라켓체결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체결부(403)는 상기 장착 브라켓(45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바퀴 결합부(45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퀴 브라켓(402)의 상부는 상기 바퀴(401,405)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체결부(403)는 상기 바퀴 브라켓(402)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 브라켓(402)은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2개의 사이드 파트(461) 및 상기 2개의 사이드 파트(461)의 후단을 연결하는 리어 파트(4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사이드 파트(461) 및 리어 파트(462)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는 전단부가 개방된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퀴 플레이트(460)의 전단부 양측에는, 방열 커버(150)에 체결되는 커버브라켓(4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트 장치는 웜기어 어셈블리(420,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2 어셈블리(420,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어셈블리(430)는 상기 제 1 어셈블리(420)의 후방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어셈블리(420,430)는 조작 바아(440)에 의하여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440)는 제 1 어셈블리(42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어셈블리(4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440)가 회전하면, 상기 제 1,2 어셈블리(420,430)는 연동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상승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440)의 전방부는 상기 제 1 어셈블리(4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43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어셈블리(420)와 제 2 어셈블리(43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제 1 어셈블리(420)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제 2 어셈블리(430)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는 조작 바아(440)와 함께 회전하는 웜(442) 및 상기 웜(442)과 기어 결합하며, 상기 웜(442)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웜 휠(4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442)은 상기 조작 바아(4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웜(442)은 상기 조작 바아(440)와 동심을 가지고 전후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바아(4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웜(442)은 상기 조작 바아(4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웜(442)은 제 1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는 상기 웜(442)과 기어 연동하는 웜 휠(4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 휠(425)은 상하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웜(442)의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웜 휠(425)은 나사부(470)가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웜 휠(425)은 상기 웜(442)의 제 1 나사산(442a)과 연동하는 제 2 나사산(425a)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나사산은 상기 웜 휠(425)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는 상기 웜 휠(425)과 기어 연동하는 나사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470)는 지면에 고정된 구성이다.
상기 나사부(470)는 상기 웜 휠(425)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나사부 본체(4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 본체(471)는 바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웜 휠(425)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 본체(471)의 외주면에는, 상기 웜 휠(425)의 제 3 나사산(425b)과 기어 결합되는 제 4 나사산(47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 나사산(425b)은 상기 웜 휠(42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웜 휠(425)이 회전하면, 상기 제 3 나사산(425b)과 상기 제 4 나사산(472)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웜 휠(425)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470)는 상기 나사부 본체(47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나사부 헤드(4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 헤드(473)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사부 헤드(473)는 저장고 본체(10)가 놓여지는 지면(E)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420)는 상기 웜(442)과 웜 휠(425)을 내부에 수용하는 기어 하우징(4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421)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421)에는, 상기 조작 바아(440)가 관통하는 바아 관통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아 관통부(422)는 상기 기어 하우징(421)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아 관통부(422)는 상기 조작 바아(440)가 상기 기어 하우징(421)을 관통하여 상기 기어 하우징(421)의 양측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어 하우징(42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421)은 상기 기어 하우징(421)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플랜지(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랜지(423)는 상기 기어 하우징(421)의 본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절곡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랜지(423)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 즉, 플레이트 본체(411)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랜지(423)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의 사이에는, 플레이트 서포터(48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서포터(48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와 상기 기어 하우징(421)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와 상기 기어 하우징(42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플레이트 서포터(480)는 고무 재질,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와, 상기 플레이트 서포터(480) 및 상기 기어 하우징(421)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공(4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서포터(480) 및 상기 기어 하우징(421)에도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421)에는 상기 나사부(470)가 관통하는 나사 관통부(424a,42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 관통부(424a,424b)는 상기 기어 하우징(42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부(424a) 및 제 2 관통부(424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관통부(424a)는 상기 기어 하우징(421)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부(424b)는 상기 기어 하우징(42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470)의 상단부는 상기 제 1 관통부(424a)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나사부(470)의 하단부 즉, 나사부 헤드(473)는 상기 제 2 관통부(424b)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42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나사부(470)는 상기 기어 하우징(421)이 흔들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가이드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웜기어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가 장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획벽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가 장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획벽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상태에서 웜기어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열교환기 케이스가 구획벽을 향하여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가 구획벽을 향하여 상승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지지 플레이트(4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저장고 본체(1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열교환기 케이스(200)에서 발생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는 외부에 대하여 실링될 수 있다.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도 3의 위치에서 장치 수용공간(18)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에 삽입되면,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도 6과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트레이(130)의 지지벽(133)에 지지된 상태에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지지 플레이트(410)에 간섭되지 않고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은 케이스안착부(412)보다 설정거리(S1)만큼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삽입된 후 사용자는 회저 바아(4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4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웜(442)은 상기 조작 바아(440)와 함께 전후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웜(442)은 상기 조작 바아(44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조작 바아(4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웜(442)은 웜 휠(425)과 연동하며, 동력 전달방향이 변환되어 상기 웜 휠(425)은 상하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웜 휠(425)이 회전하면, 상기 웜 휠(425)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3 나사산(425b)와 상기 나사부(470)의 제 4 나사산(472)이 연동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470)는 고정된 구성이므로, 상기 제 3,4 나사산(425b,472)의 연동에 따라 상기 웜 휠(425)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웜 휠(425)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작 바아(440), 웜(442), 웜 휠(425) 및 기어 하우징(421)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b 참조).
싱기 기어 하우징(421)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도 함께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지지하여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에 접촉할 때까지, 즉 구획벽(50)에 접촉할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구획벽(50)을 향하여 제 1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케이스지지부(133)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와 구획벽(50) 사이의 갭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 구비되는 실링부재(24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와 구획벽(50)에 접촉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재(240)에 의하여 상기 갭은 실링되어 열교환기 케이스(200) 내의 유체가 덕트(3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실(15)의 유체는 구획벽(50)의 유입부(51)를 통하여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한다. 유체는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를 거친 유체는 제1팬(31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어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며, 상기 제1팬(310)을 거친 유체는 쉬라우드 배출부(326)를 통하여 팬 어셈블리(300)로부터 배출되며, 덕트(30)로 유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열교환기 케이스를 저장고 본체에 결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와 웜기어 어셈블리의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와 구획벽의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웜기어 어셈블리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웜기어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a)는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웜기어 어셈블리(520,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520,53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제 1 어셈블리(520) 및 저장고 본체(1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제 2 어셈블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어셈블리(530)는 상기 제 1 어셈블리(420)의 후방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520,530)는 상기 구획벽(50)의 하단부 양측에 구비되므로, 일례로 총 4개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a)는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지지하고, 저장고 본체(10)에 접촉하도록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이동시키는 지지 플레이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본체(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본체(511)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511)의 상단부를 형성하며, 웜기어 어셈블리(530,540)와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부(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상부(512)에는, 웜기어 어셈블리(520,530)의 나사부(570)가 관통하는 관통홀(5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518)은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518)은 제 1 어셈블리(520)의 나사부(570)가 결합되는 제 1 관통홀 및 제 2 어셈블리(530)의 나사부(570)가 결합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511)의 하단부로부터 장치 수용공간(18)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레이트 하부(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하부(513)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51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a)는 저장고 본체(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401,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401,405)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퀴(401,405)의 구성 및 저장고 본체(10)에 결합되는 구조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구획벽(50)은 웜기어 어셈블리(520,530)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58)는 상기 구획벽(50)의 저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58)는 상기 구획벽(5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구획벽(50)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58)는 나사부 헤드(573)를 수용하는 헤드 삽입부(58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58a)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58)의 저면에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 본체(571)는 상기 삽입부(58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어셈블리(520,530)는 조작 바아(540)에 의하여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540)는 제 1 어셈블리(52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어셈블리(5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540)가 회전하면, 상기 제 1,2 어셈블리(520,530)는 연동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상승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540)의 전방부는 상기 제 1 어셈블리(5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520,53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어셈블리(520)와 제 2 어셈블리(53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제 1 어셈블리(520)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제 2 어셈블리(530)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520)는 조작 바아(540)와 함께 회전하는 웜(542) 및 상기 웜(542)과 기어 결합하며, 상기 웜(442)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웜 휠(5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542)은 상기 조작 바아(5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웜(542)은 상기 조작 바아(540)와 동심을 가지고 전후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바아(5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웜(542)은 상기 조작 바아(5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웜(542)은 제 1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520)는 상기 웜(542)과 기어 연동하는 웜 휠(5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 휠(525)은 상하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웜(542)의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웜 휠(525)은 나사부(570)가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웜 휠(525)은 상기 웜(542)의 제 1 나사산과 연동하는 제 2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나사산은 상기 웜 휠(525)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520)는 상기 웜 휠(425)과 기어 연동하는 나사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57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58)에 고정된 구성이다.
상기 나사부(570)는 상기 웜 휠(525)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나사부 본체(5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 본체(571)는 바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웜 휠(525)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 본체(571)의 외주면에는, 상기 웜 휠(525)의 제 3 나사산과 기어 결합되는 제 4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 나사산은 상기 웜 휠(52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웜 휠(525)이 회전하면, 상기 제 3 나사산과 상기 제 4 나사산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웜 휠(525)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570)는 상기 나사부 본체(57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나사부 헤드(5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 헤드(573)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사부 헤드(573)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58)의 헤드 삽입부(58)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58)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520)는 상기 웜(542)과 웜 휠(525)을 내부에 수용하는 기어 하우징(5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521)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521)에는, 상기 조작 바아(440)가 관통하는 바아 관통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아 관통부(522)는 상기 기어 하우징(521)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아 관통부(522)는 상기 조작 바아(540)가 상기 기어 하우징(521)을 관통하여 상기 기어 하우징(521)의 양측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어 하우징(52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521)은 상기 기어 하우징(52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플랜지(5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랜지(523)는 상기 기어 하우징(521)의 본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절곡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521)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 플랜지(523)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 즉, 플레이트 본체(51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랜지(523)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의 사이에는, 플레이트 서포터(58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서포터(58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와 상기 기어 하우징(521)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와 상기 기어 하우징(52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플레이트 서포터(580)는 고무 재질,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 서포터(580) 및 상기 기어 하우징(521)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521)에는 상기 나사부(570)가 관통하는 나사 관통부(524a,52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 관통부(524a,524b)는 상기 기어 하우징(52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부(524a) 및 제 2 관통부(524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관통부(524a)는 상기 기어 하우징(521)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부(524b)는 상기 기어 하우징(52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570)의 상단부 즉, 나사부 헤드(573)는 상기 제 2 관통부(524b)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나사부(570)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관통부(524a)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52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나사부(570)는 상기 기어 하우징(521)이 흔들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가이드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지지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저장고 본체(1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열교환기 케이스(200)에서 발생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는 외부에 대하여 실링될 수 있다.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장치 수용공간(18)에 삽입되면,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지지 플레이트(510)에 간섭되지 않고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은 플레이트 하부(513)보다 설정거리만큼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삽입된 후 사용자는 조작 바아(5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 바아(5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웜(542)은 상기 조작 바아(540)와 함께 전후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웜(542)은 웜 휠(525)과 연동하며, 동력 전달방향이 변환되어 상기 웜 휠(525)은 상하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웜 휠(525)이 회전하면, 상기 웜 휠(525)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3 나사산과 상기 나사부(570)의 제 4 나사산이 연동하며, 상기 웜 휠(525)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웜 휠(525)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작 바아(540), 웜(542), 웜 휠(525) 및 기어 하우징(521)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0b 참조).
상기 기어 하우징(521)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도 함께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지지하여 상방으로 끌어 당기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에 접촉할 때까지, 즉 구획벽(50)에 접촉할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와 구획벽(50) 사이의 갭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 구비되는 실링부재(24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와 구획벽(50)에 접촉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재(240)에 의하여 상기 갭은 실링되어 열교환기 케이스(200) 내의 유체가 덕트(3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저장고 본체 15,16,17 : 제1~3저장실
18 : 장치 수용공간 20 : 도어
50 : 구획벽 51 : 유입부
58 : 배출부 121 : 압축기
123 : 제2열교환기 125 : 제2팬
200 : 열교환기 케이스 220 : 제1열교환기

Claims (16)

  1.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 및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2저장실에 동력을 전달하는 결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 바아를 포함하는 저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바아는 회전 바아를 포함하는 저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실을 형성하는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는 제2벽 또는 상기 제3벽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저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조작 바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장치를 포함하는 저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조작 바아와 연동하는 웜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저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조작 바아와 함께 회전하며, 제 1 나사산을 가지는 웜; 및
    상기 제 1 나사산과 연동하는 제 2 나사산을 형성하는 웜 휠을 포함하는 저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기어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저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기어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와 연동하는 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는, 상기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부 본체 및 상기 나사부 본체의 단부에 구비되는 나사부 헤드를 포함하는 저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 헤드는 지면에 놓여지고,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나사부 헤드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제1,2 저장실의 구획벽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구성되는 저장고.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 헤드는 상기 제1,2저장실의 구획벽에 지지되고,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나사부 헤드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르 상기 구획벽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저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기어 하우징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상기 기어 하우징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저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의 하측에서 상기 제1저장실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2저장실을 상기 제1저장실을 향하여 상방 이동시키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저장실은 구획벽에 의하여 단열 분리되는 저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구획벽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저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접촉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결합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2저장실이 결합할 때 상기 제1,2저장실 사이의 갭을 줄이도록 변형하는 저장고.
KR1020210089702A 2021-07-08 2021-07-08 저장고 KR20230009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02A KR20230009088A (ko) 2021-07-08 2021-07-08 저장고
PCT/KR2022/009805 WO2023282646A1 (en) 2021-07-08 2022-07-06 Storehouse
EP22837998.8A EP4367455A1 (en) 2021-07-08 2022-07-06 Store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02A KR20230009088A (ko) 2021-07-08 2021-07-08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088A true KR20230009088A (ko) 2023-01-17

Family

ID=8480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702A KR20230009088A (ko) 2021-07-08 2021-07-08 저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67455A1 (ko)
KR (1) KR20230009088A (ko)
WO (1) WO202328264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67A (ko)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0498B2 (ja) * 1997-04-16 2005-04-20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パススルー型冷蔵庫
JP4190461B2 (ja) * 2004-05-27 2008-12-03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KR101291209B1 (ko) * 2008-06-05 201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선반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223959B1 (ko) * 2012-08-06 2013-01-2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엔씨 다단 스크류를 이용한 리프트장치
KR102615054B1 (ko) * 2018-12-19 202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67A (ko)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646A1 (en) 2023-01-12
EP4367455A1 (en) 202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6264B1 (en) Refrigerator having centrifugal fan with volute
KR101829222B1 (ko) 냉장고
EP3745059B1 (en) Built-in refrigerator
KR102469206B1 (ko) 냉장고
CN110411121B (zh) 冰箱
US20050172654A1 (en) Modular refrigeration unit
US20150272345A1 (en) Cooling Cassette For a Refrigerated Merchandiser
CN110686437B (zh) 冰箱
KR20230009088A (ko) 저장고
JP2014077615A (ja) 冷蔵庫
KR20230009080A (ko) 저장고
JP5340587B2 (ja) ショーケース
KR20230009082A (ko) 저장고
KR20230009086A (ko) 저장고
US20240175622A1 (en) Storehouse
KR20230009089A (ko) 저장고
KR20230009078A (ko) 저장고
KR20230009079A (ko) 저장고
KR20230009092A (ko) 저장고
KR20230009083A (ko) 저장고
JP5514037B2 (ja) 冷蔵庫
KR20230101192A (ko) 저장고
KR20230009081A (ko) 저장고
US20240175623A1 (en) Storehouse
KR20230009091A (ko) 저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