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087A -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087A
KR20230009087A KR1020210089701A KR20210089701A KR20230009087A KR 20230009087 A KR20230009087 A KR 20230009087A KR 1020210089701 A KR1020210089701 A KR 1020210089701A KR 20210089701 A KR20210089701 A KR 20210089701A KR 20230009087 A KR20230009087 A KR 20230009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ignal
driving
period
pow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식
홍성화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10089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9087A/ko
Priority to CN202210666854.8A priority patent/CN115599236A/zh
Priority to TW111124781A priority patent/TW202303367A/zh
Priority to US17/858,930 priority patent/US11592934B2/en
Publication of KR2023000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펜터치 구동기간에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TOUCH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TOUCH DRIV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를 비롯한 전자기기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소비전력의 최소화이다. 배터리의 용량이 제한되고 전자기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소비전력도 지속적으로 낮아질 필요가 있다. 그래서 소비전력 감소에 대한 연구는 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대부분의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터치디스플레이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에 터치펜 또는 손가락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센싱회로를 추가한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비해 소비전력량이 많다.
TMIC(Touch Modulation Integrated Circuit)로 알려진 터치파워관리회로는 터치디스플레이 내부에서 터치 구동에 필요한 전압신호를 생성해서 터치센싱회로에 공급한다. 따라서, 터치파워관리회로는 터치디스플레이의 다른 구성들에 비해 소비전력량이 많을 수 있다.
최근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가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터치파워관리회로의 소비전력을 최소화시켜서 전자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는 터치파워관리회로의 소비전력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펜터치 구동기간에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펜터치 구동을 위한 업링크 기간에는 상기 펜터치구동신호를 터치전극으로 출력하고, 펜터치 구동을 위한 다운링크 기간에는 직류전압을 상기 터치전극으로 출력하는 구동신호발생부; 및 상기 펜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제1로드프리구동(LFD: Load Free Driving)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일 앰프(Amplifier)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기간에는 상기 일 앰프를 턴온해서 상기 제1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링크 기간에는 상기 일 앰프는 턴오프(Turn-Off)하는 LFD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신호발생부는, 상기 펜터치구동신호보다 신호세기가 작은 핑거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앰프를 포함하고, 핑거터치 구동을 위한 핑거터치 기간에, 상기 다른 앰프를 턴온해서 상기 핑거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립모드에서 터치확인 기간이 도래하면, 상기 다른 앰프를 턴온해서, 상기 핑거터치구동신호보다 신호세기가 작은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LFD신호발생부는, 상기 핑거터치 기간에, 상기 일 앰프를 턴온해서 상기 핑거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제2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LFD신호발생부는,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터치확인 기간이 도래하면, 상기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출력하면서 상기 일 앰프는 턴오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신호발생부는, 다른 앰프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기간에는 상기 다른 앰프를 턴온해서 상기 펜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링크 기간에는 상기 다른 앰프를 턴온해서 터치펜 센싱을 위한 기준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파워관리회로는,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터치동기화신호, 펄스폭변조신호(PWM: Pulse Width Modulation) 및 제1식별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동기화신호 및 상기 제1식별신호 각각의 신호레벨을 확인해서 상기 구동신호발생부와 상기 LFD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이고, 상기 터치동기화신호의 신호레벨이 제2레벨인 경우를 상기 업링크 기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앰프를 턴온시키고, 상기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구동신호발생부에서 상기 펜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LFD신호발생부에서 상기 제1로드프리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식별신호와 상기 터치동기화신호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인 경우를 상기 다운링크 기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앰프는 턴오프시키며, 상기 구동신호발생부에서 상기 공통전극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LFD신호발생부에서 상기 게이트로우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제2식별신호를 더 수신해서 신호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구동신호 및 상기 제1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이 제2레벨이고 상기 제2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립모드에서 터치확인 기간이 도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앰프는 턴오프시키며, 상기 핑거터치구동신호보다 신호세기가 작은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상기 구동신호발생부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LFD신호발생부에서는 상기 게이트로우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전극을 구동하는 터치구동장치; 및 전원관리회로로부터 공통전극전압(VCOM)과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입력받고, 펜터치 구동을 위한 업링크 기간에는 펜터치구동신호와 상기 펜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로드프리구동(LFD: Load Free Driving)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터치구동장치로 출력하고, 펜터치 구동을 위한 다운링크 기간에는 상기 공통전극전압과 상기 게이트로우전압을 상기 터치구동장치로 출력하면서 상기 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앰프(Amplifier)는 턴오프(Turn-Off)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펜터치 구동을 위한 다운링크 기간에서 터치파워관리회로가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해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터치동기화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파워관리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파워관리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반적인 터치파워관리회로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파워관리회로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식별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패널(110), 데이터구동장치(120), 게이트구동장치(130), 데이터처리장치(140), 전원관리회로(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150), 터치 컨트롤러(MCU: Micro Controller, 160), 터치구동장치(170) 및 터치파워관리회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구동장치(120), 게이트구동장치(130), 터치구동장치(160), 전원관리회로(150), 터치파워관리회로(180) 중 하나 이상은 하나의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구동장치(120)와 터치구동장치(160)가 하나의 집적회로에 포함될 수 있고, 데이터구동장치(120)와 터치구동장치(160)를 포함한 집적회로는 소스리드아웃회로(SRIC:Source Readout Integrated Circuit)로 호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110), 터치 컨트롤러(160), 터치구동장치(170) 및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터치구동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화소(P)와 연결되는 데이터라인(DL)을 구동하고, 게이트구동장치(130)는 화소(P)와 연결되는 게이트라인(GL)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구동장치(140)는 패널(110)에 배치되는 터치전극(TE)을 구동할 수 있다.
패널(110)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라인(GL)이 배치되고, 다수의 화소(P)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110)에는 다수의 터치전극(TE)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패널(1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될 수 있고, 터치패널(TSP: Touch Screen Panel)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과 터치패널은 일부 구성요소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패널의 터치전극(TE)은 디스플레이패널에서 공통전극전압이 공급되는 공통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패널(110)의 각 화소(P)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데이터라인(DL)으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드라이버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드라이버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이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영상데이터 및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영상데이터에서 지시하는 각 화소의 계조(greyscale)값에 따라 데이터전압을 생성하고, 각 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데이터제어신호(DCS)는 하나 이상의 동기화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제어신호(DCS)는 수직동기화신호(VSYNC), 수평동기화신호(HSYN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수직동기화신호(VSYNC)에 따라 프레임을 구분하고, 수직동기화신호(VSYNC)가 지시하는 수직블랭크기간 이외의 기간에서 각 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수평동기화신호(HSYNC)에 따라 수평라인별 영상데이터를 확인하고, 각 수평라인별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구동장치(130)는 각 화소(P)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키기 위해 게이트라인(GL)으로 스캔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게이트구동장치(130)가 패널(110)의 한 측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 방식에 따라 게이트구동장치(130)가 패널(1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게이트구동장치(13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드라이버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테이프 오토메이티드 본딩(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패널(110)의 본딩 패드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또한, 게이트구동장치(130)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게이트구동장치(130)는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게이트제어신호(GCS)를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제어신호(GCS)는 복수의 클럭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구동장치(130)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스캔신호를 생성하고, 스캔신호를 게이트라인(GL)으로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호스트(1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영상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계조값을 조정하거나, 화소(P)들의 특성을 반영해서 영상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가공한 영상데이터를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데이터제어신호(DCS), 게이트제어신호(GCS), 터치동기화신호(TSYNC)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데이터제어신호(DCS)를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송신하고, 게이트제어신호(GCS)를 게이트구동장치(13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40)는 터치동기화신호(TSYNC)를 터치 컨트롤러(16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동기화신호(TSYNC)는 하나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프레임 단위 시간을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기간(DP)과 터치 구동기간(TP)으로 시분할한 신호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프레임 시간이 다수의 디스플레이 구동기간(DP)과 터치 구동기간(TP)으로 시분할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프레임 시간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기간(DP)과 하나의 터치 구동기간(TP)으로 시분할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프레임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구동기간(DP)과 터치 구동기간(TP)으로 시분할되거나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기간(DP)과 하나의 터치 구동기간(TP)으로 시분할될 수 있다.
전원관리회로(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하기 위한 전압(전력)들을 생성해서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관리회로(150)는 공통전극전압(VCOM)을 생성해서 패널(11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관리장치(150)는 게이트로우전압(VGL)과 게이트하이전압(VGH)을 생성해서 게이트구동장치(130)로 출력하고, 전원전압을 생성해서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전압은 AVDD, AVSS, PVDD, NVDD, VDD, VS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관리회로(150)는 공통전극전압(VCOM)과 게이트로우전압(VGL)을 터치파워관리회로(180)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MCU: Micro Controller Unit, 160)는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터치동기화신호(TSYNC)를 수신하고, 터치동기화신호(TSYNC)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동기간(DP)과 터치 구동기간(TP)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컨트롤러(160)는 기설정된 설정 정보에 따라 터치 구동기간(TP)을 핑거터치 구동기간과 펜터치 구동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컨트롤러(160)는 기설정된 설정 정보에 따라 펜터치 구동기간을 업링크 기간과 다운링크 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기간은 터치구동장치(170)가 펜터치구동신호를 터치전극(TE)에 공급하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고, 다운링크 기간은 터치구동장치(170)가 터치전극(TE)을 통해 액티브펜(10)의 다운링크신호를 수신하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슬립모드로 전환됐을 때, 터치 컨트롤러(160)는 터치동기화신호(TSYNC)에 따라 슬립모드에서의 터치확인 기간(도 6 또는 도 8 또는 도 9의 S_TP 참조)과 블랭크 기간(도 6 또는 도 8 또는 도 9의 S_BP 참조)을 식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터치확인 기간(S_TP)은 슬립모드에서 터치구동장치(170)가 터치입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구동하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고, 블랭크 기간(S_BP)은 슬립모드에서 터치구동장치(170)가 구동하지 않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슬립모드에서 블랭크 기간(S_BP)은 도 10과 같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1~N Frame)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터치확인 기간(S_TP)이 도래하는 주기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단위 시간일 수 있다.
위와 같이 터치 컨트롤러(160)는 터치동기화신호(TSYNC)를 내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컨트롤러(160)는 터치동기화신호(TSYNC)를 터치파워관리회로(TMIC: Touch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180)와 터치구동장치(170)로 송신할 수 있다.
터치 구동기간(TP)에, 터치 컨트롤러(160)는 펄스폭변조신호(PWM: Pulse Width Modulation)를 생성해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컨트롤러(160)는 핑거터치 구동기간(도 7의 TP_Finger 참조), 업링크 기간(도 7의 TP_U-LINK 참조)에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생성해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립모드에서의 터치확인 기간(도 7의 S_TP 참조)에도 펄스폭변조신호(PWM)신호를 생성해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로 송신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160)는 디스플레이 구동기간(DP)과 슬립모드에서의 블랭크 기간(S_BP)에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터치 구동기간(TP) 중에서 다운링크 기간(도 7의 TP_D-LINK 참조)에도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터치 컨트롤러(160)는 터치파워관리회로(180)에서 업링크 기간(TP_U-LINK)과 다운링크 기간(TP_D-LINK)을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신호(도 7의 TPEN 참조)를 추가로 생성해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컨트롤러(160)는 터치파워관리회로(180)에서 터치확인 기간(S_TP)을 식별하기 위한 제2식별신호(도 7의 S3)도 추가로 생성해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로 송신할 수 있다.
기존에 터치 컨트롤러(160)는 터치파워관리회로(180)에 터치동기화신호(TSYNC)와 펄스폭변조신호(PWM)만 송신했기 때문에 터치 컨트롤러(160)와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두개의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두개의 신호라인을 통해서 터치동기화신호(TSYNC)와 펄스폭변조신호(PWM)를 개별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 컨트롤러(160)가 제1식별신호(TPEN)와 제2식별신호(S3) 중 하나 이상을 터치파워관리회로(180)에 추가로 송신하기 때문에 터치 컨트롤러(160)와 터치파워관리회로(180) 간에 하나 이상의 신호라인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컨트롤러(160)와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제1신호라인 내지 제3신호라인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고, 터치동기화신호(TSYNC)는 제1신호라인을 통해서 송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펄스폭변조신호(PWM)는 제2신호라인을 통해서 송수신될 수 있고, 제1식별신호(TPEN)는 제3신호라인을 통해서 송수신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160)가 제2식별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경우, 터치 컨트롤러(160)와 터치파워관리회로(180) 간에 제4신호라인이 더 연결될 수 있고, 제2식별신호(S3)는 제4신호라인을 통해서 송수신될 수 있다.
터치구동장치(170)는 터치 구동기간(TP)에 터치구동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전극(TE)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구동장치(170)는 액티브펜(10)을 사용한 펜터치와 핑거(20)를 사용한 핑거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구동장치(170)는 펜터치 구동을 위한 업링크 기간(TP_U-LINK)에 펜터치구동신호를 터치전극(TE)에 공급하거나, 핑거터치 구동기간(TP_Finger)에 핑거터치구동신호를 터치전극(TE)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펜터치구동신호는 액티브펜(10)의 각종 동작제어정보를 포함한 비콘신호이거나, 다운링크신호의 동기화를 위한 핑(Ping)신호일 수 있다.
한편, 터치구동장치(170)는 펜터치 구동을 위한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액티브펜(10)이 터치전극(TE)으로 송신한 다운링크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구동장치(170)는 펜터치 또는 핑거터치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터치 컨트롤러(16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구동장치(170)는 다운링크신호를 터치 컨트롤러(160)로 송신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160)는 터치구동장치(170)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통해 터치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컨트롤러(160)는 감지신호를 통해 터치좌표를 계산할 수도 있다.
터치구동장치(170)는 터치 컨트롤러(160)로부터 터치제어신호(TCS)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제어신호(TCS)는 터치동기화신호(TSYNC)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구동장치(160)는 터치동기화신호(TSYNC)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동기간(DP)과 터치 구동기간(TP)을 구분할 수 있다.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터치 컨트롤러(160)로부터 터치동기화신호(TSYNC)와 펄스폭변조신호(PWM)를 를 수신하고, 터치동기화신호(TSYNC)와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이용해서 터치전극(TE)의 구동에 필요한 터치구동신호를 터치구동장치(170)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구동장치(170)로 출력된 터치구동신호는 터치전극(TE)들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구동신호는 펜터치 구동을 위한 펜터치구동신호와 핑거터치 구동을 위한 핑거터치구동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터치구동신호를 터치구동장치(170)로 출력하면서, 로드프리구동(LFD: Load Free Driving)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로드프리구동신호는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된 터치전극(TE)들의 주변 다른 전극들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전극(TE)들에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될 때에 로드프리구동신호는 터치전극(TE)들 주변에 위치한 데이터라인(DL)에 공급되거나, 게이트라인(GL)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지 않은 터치전극(TE)들에 로드프리구동신호가 공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로드프리구동신호의 위상 및 진폭은 터치구동신호의 위상 및 진폭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로드프리구동신호는 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할 수 있다.
로드프리구동신호가 데이터라인(DL)으로 공급될 경우, 로드프리구동신호는 터치구동장치(170)를 경유할 수 있다. 그리고 로드프리구동신호가 게이트라인(GL)으로 공급될 경우, 로드프리구동신호는 게이트구동장치(130)를 경유할 수 있다.
이러한 로드프리구동신호는 펜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제1로드프리구동신호 및 핑거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제2로드프리구동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터치 컨트롤러(160)로부터 제1식별신호(TPEN)를 더 수신할 수 있다.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터치동기화신호(TSYNC)와 제1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을 확인해서 업링크 기간(TP_U-LINK)과 다운링크 기간(TP_D-LINK)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도 7과 같이 터치동기화신호(TSYNC)와 제1식별신호(TPEN의 신호레벨이 상이한 경우를 업링크 기간으로 식별하고, 터치동기화신호(TSYNC)와 제1식별신호(TPEN)의 신호레벨이 동일한 경우를 다운링크 기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펜터치 구동을 위한 업링크 기간에는 펜터치구동신호와 펜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제1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해서 터치구동장치(170)로 출력할 수 있다.
펜터치 구동을 위한 다운링크 기간에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공통전극전압(VOCM)과 게이트로우전압(VGL)을 터치구동장치(170)로 출력하면서, 제1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앰프(Amplifier)는 턴오프(Turn-Off)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앰프로 공급되는 전원전압 및 바이어스 전압 중 하나 이상을 다운링크 기간에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전원관리회로(150)로부터 공통전극전압(VOCM)과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터치 컨트롤러(160)로부터 제2식별신호도 더 수신할 수 있다.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제2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을 확인해서 슬립모드에서 터치확인 기간(S_TP)이 도래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제2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예를 들어, 도 7의 하이(H)레벨)인 경우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슬립모드에서 터치확인 기간이 도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에 터치구동신호(TSYNC)와 제1식별신호(TPEN)의 신호레벨은 도 7과 같이 제2레벨(예를 들어, 로우(L)레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터치확인 기간(S_TP)에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터치확인 기간(S_TP)에 핑거터치구동신호보다 신호세기가 작은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해서 터치구동장치(17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게이트로우전압을 터치구동장치(170)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하고, 슬립모드에서의 터치확인 기간(S_TP)에도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하기 위한 터치파워관리회로(180)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파워관리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파워관리회로의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파워관리회로(180)는 도 3과 같이 구동신호발생부(310), LFD신호발생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신호발생부(310)는 도 4와 같이 펜터치구동신호 또는 펜터치구동신호보다 신호세기가 작은 핑거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앰프(312) 및 제2앰프(3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신호발생부(310)는 제1앰프(312), 제2앰프(314), VCOM입력라인(IL1)에 하나씩 연결된 스위치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앰프(312)의 출력측과 제2앰프(314)의 출력측에는 외부보상회로(RC1, RC2)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신호발생부(310)는 펜터치 구동을 위한 업링크 기간(TP_U-LINK)에 제1앰프(312) 및 제2앰프(314)를 턴온(Turn-On)해서 펜터치구동신호를 생성 및 제1출력단(M_VCOM)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앰프(312)에 연결된 스위치회로와 제2앰프(314)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온 또는 턴오프를 교번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VCOM입력라인(IL1)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펜터치 구동을 위한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구동신호발생부(3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공통전극전압(VCOM)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전극전압(VCOM)은 전원관리회로(15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일반적인 터치파워관리회로(미도시)는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도 5와 같이 제2레벨(예를 들어, 로우(L)레벨)로 지속되는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입력받았다. 이로 인해 일반적인 구동신호발생부(미도시)에서는 도 6과 같이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핑거터치구동신호의 저전압(도 6의 VCOM_L)을 출력했었다.
여기서,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일반적인 구동신호발생부(미도시)에서 출력하는 핑거터치구동신호의 저전압은 펜터치 구동에 불필요한 전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터치파워관리회로(180)의 제어부(330)가 도 7과 같이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입력받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신호발생부(310)는 도 9와 같이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공통전극전압(VCOM)을 제1출력단(M_VCOM)으로 출력해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할 수 있다.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공통전극전압(VCOM)을 제1출력단(M_VCOM)으로 출력하기 위해, 제1앰프(312)의 출력측과 제2앰프(314)의 출력측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VCOM입력라인(IL1)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온(Turn-on)될 수 있다.
한편,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구동신호발생부(310)는 도 7과 같이 제1앰프(312) 및 제2앰프(314)를 턴온해서 터치펜 센싱을 위한 기준전압을 별도의 출력단(미도시)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전압은 터치전극(TE)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핑거터치 구동을 위한 핑거터치 기간에, 구동신호발생부(310)는 제1앰프(312)와 제2앰프(314)를 턴온해서 핑거터치구동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핑거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도 9의 V2)는 펜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도 9의 V1)에 비해 작을 수 있고, 제1앰프(312)에 연결된 스위치회로와 제2앰프(314)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온 또는 턴오프를 교번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VCOM입력라인(IL1)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슬립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터치확인 기간(S_TP)이 도래하면, 구동신호발생부(310)는 제1앰프(312)와 제2앰프(314)를 턴온해서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생성 및 제1출력단(M_VCOM)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도 9의 V3)는 펜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도 9의 V2)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일반적인 터치파워관리회로(미도시)에서는 도 5와 같이 터치동기화신호(TSYNC)와 펄스폭변조신호(PWM)를 통해 디스플레이 구동기간(DP)과 터치 구동기간(PWM)만을 식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구동신호발생부(미도시)는 슬립모드의 터치확인 기간(S_TP)에도 핑거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도 6의 V2)와 동일한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하였다.
여기서,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슬립모드에서 터치 컨트롤러(160)가 핑거터치에 대한 터치유무를 판단할 때에 이용되는 신호이기 때문에 핑거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도 6 또는 도 9의 V2)보다 작아도 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파워관리회로(180)의 제어부(330)가 제1식별신호(TPEN)와 제2식별신호(S3)를 수신해서 터치확인 기간(S_TP)이 도래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신호발생부(310)는 도 9와 같이 터치확인 기간(S_TP)에 핑거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도 9의 V2)보다 작은 신호세기(도 9의 V3)를 가지는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해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확인 기간(S_TP)이 도래한 것을 식별한 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해 구동신호발생부(310)의 제1앰프(312)와 제2앰프(314)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신호발생부(310)는 핑거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보다 작은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앰프(312)에 연결된 스위치회로와 제2앰프(314)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온 또는 턴오프를 교번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VCOM입력라인(IL1)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LFD신호발생부(320)는 도 4와 같이 펜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제1로드프리구동신호 또는 핑거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제2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3앰프(3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FD신호발생부(320)는 제3앰프(322)와 VGL입력라인(IL2)에 하나씩 연결되는 스위치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앰프(322)의 출력측에는 외부보상회로(RC3)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LFD신호발생부(320)는 업링크 기간(TP_U-LINK)에 제3앰프(322)를 턴온해서 제1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 및 제2출력단(M_VGL)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앰프(322)에 연결된 스위치회로와 VGL입력라인(IN2)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온 또는 턴오프를 교번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LFD신호발생부(3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출력하면서, 제3앰프(322)는 턴오프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로우전압(VGL)은 전원관리회로(150)로부터 입력될 수 있고, 제3앰프(322)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오프될 수 있다.
일반적인 LFD신호발생부(미도시)는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3앰프를 턴온한 상태에서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출력했었다.
여기서,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제3앰프는 턴오프되도 무관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터치파워관리회로(미도시)에서는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제3앰프가 불필요하게 턴온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발생하였다.
일 실시예에서는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터치파워관리회로(180)의 제어부(330)가 도 7과 같이 제1식별신호(TPEN)를 수신해서 업링크 기간(TP_U-LINK)과 다운링크 기간(TP_D-LINK)을 식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LFD신호발생부(320)는 도 9와 같이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제3앰프(322)를 턴오프해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 실시예에서는 다운링크 기간(TP_D-LINK)을 식별한 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해 LFD신호발생부(320)의 제3앰프(322)가 턴오프될 수 있다.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제2출력단(M_VGL)으로 출력하기 위해, 제3앰프(322)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VGL입력라인(IL2)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온(Turn-on)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핑거터치 구동을 위한 핑거터치 기간에, LFD신호발생부(320)는 제3앰프를 턴온해서 제2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 및 제2출력단(M_VGL)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슬립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터치확인 기간(S_TP)이 도래하면, LFD신호발생부(320)는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출력하면서 제3앰프(322)는 턴오프할 수 있다.
일반적인 터치파워관리회로(미도시)에서는 슬립모드의 터치확인 기간(S_TP)에도 핑거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도 6의 V2)와 동일한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하였다. 따라서, 터치확인 기간(S_TP)에 일반적인 LFD신호발생부(미도시)도 제3앰프를 턴온해서 도 6과 같은 제2로드프리구동신호를 출력하였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도 9의 V3)는 핑거터치구동신호의 신호세기(도 9의 V2)보다 작기 때문에 로드프리구동신호가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LFD신호발생부(3210)는 도 9와 같이 터치확인 기간(S_TP)에 제3앰프(322)를 턴오프한 상태에서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제2출력단(M_VGL)으로 출력해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확인 기간(S_TP)이 도래한 것을 식별한 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해 LFD신호발생부(320)의 제3앰프(322)가 턴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앰프(322)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오프되고, VGL입력라인(IL2)에 연결된 스위치회로는 턴온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터치 컨트롤러(160)로부터 터치동기화신호(TSYNC), 펄스폭변조신호(PWM) 및 제1식별신호(TPEN)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터치동기화신호(TSYNC) 및 제1식별신호(TPEN)의 신호레벨을 확인해서 구동신호발생부(310)와 LFD신호발생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도 8과 같이 제1식별신호(TPEN)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예를 들어, 하이레벨)이고, 터치동기화신호(SYNC)의 신호레벨이 제2레벨(예를 들어, 로우레벨)인 경우를 업링크 기간(TP_U-LINK)으로 식별할 수 있다.
터치 구동기간을 펜터치 구동을 위한 업링크 기간(TP_U-LINK)으로 식별한 제어부(330)는 구동신호발생부(310)에서 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LFD신호발생부(320)에서 제1로드프리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330)는 도 7 및 도 9와 같이 제1앰프(312), 제2앰프(314) 및 제3앰프(322)를 턴온시키고,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이용해서 구동신호발생부(310)에서 펜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LFD신호발생부(320)에서 제1로드프리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도 8과 같이 제1식별신호(TPEN)와 터치동기화신호(SYNC)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예를 들어, 하이레벨)인 경우를 다운링크 기간(TP_D-LINK)으로 식별할 수 있다.
터치 구동기간을 다운링크 기간(TP_D-LINK)으로 식별한 제어부(330)는 구동신호발생부(310)에서 공통전극전압(VCOM)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LFD신호발생부(320)에서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도 7 및 도 9와 같이 제1앰프(312) 및 제2앰프(314)를 턴온시키고 제3앰프(322)는 턴오프시킬 수 있다. 다운링크 기간(TP_D-LINK)에 제어부(330)는 터치 컨트롤러(160)로부터 펄스폭변조신호(PWM)를 미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30)는 터치 컨트롤러(160)로부터 제2식별신호(S3)를 더 수신해서 신호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제2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예를 들어, 하이레벨)인 경우, 제어부(33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슬립모드에서 터치확인 기간(S_TP)이 도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터치확인 기간(S_TP)에서 제어부(330)는 도 7 및 도 9와 같이 구동신호발생부(310)에서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는 LFD신호발생부(320)에서 게이트로우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제1앰프(312) 및 제2앰프(314)는 턴온시키고, 제3앰프(322)는 턴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제1앰프(312) 및 제2앰프(314)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330)는 제1앰프(312) 및 제2앰프(314)의 출력을 핑거터치 기간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3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터치동기화신호(TSYNC), 제1식별신호(TPEN), 제2식별신호(S3)의 신호레벨이 제2레벨(예를 들어, 로우레벨)이고, 펄스폭변조신호(PWM)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핑거터치 기간(TP_Finger)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핑거터치 기간(TP_Finger)에서, 제어부(330)는 도 7 및 도 9와 같이 구동신호발생부(310)에서 핑거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LFD신호발생부(320)에서 제2로드프리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제1앰프(312), 제2앰프(314) 및 제3앰프(322)를 턴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파워관리회로(180)가 터치 컨트롤러(160)로부터 제1식별신호(TPEN)를 추가로 수신해서 펜터치 구동을 위한 다운링크 기간을 식별할 수 있고, 다운링크 기간에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가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파워관리회로(180)가 터치 컨트롤러(160)로부터 제2식별신호(S3)도 추가로 수신해서 슬립모드에서의 터치확인 기간을 식별할 수 있고, 터치확인 기간에서 터치파워관리회로(180)가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Claims (18)

  1. 펜터치 구동을 위한 업링크 기간에는 상기 펜터치구동신호를 터치전극으로 출력하고, 펜터치 구동을 위한 다운링크 기간에는 직류전압을 상기 터치전극으로 출력하는 구동신호발생부; 및
    상기 펜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제1로드프리구동(LFD: Load Free Driving)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일 앰프(Amplifier)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기간에는 상기 일 앰프를 턴온해서 상기 제1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링크 기간에는 상기 일 앰프는 턴오프(Turn-Off)하는 LFD신호발생부
    를 포함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발생부는,
    상기 펜터치구동신호보다 신호세기가 작은 핑거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앰프를 포함하고,
    핑거터치 구동을 위한 핑거터치 기간에, 상기 다른 앰프를 턴온해서 상기 핑거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립모드에서 터치확인 기간이 도래하면, 상기 다른 앰프를 턴온해서, 상기 핑거터치구동신호보다 신호세기가 작은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FD신호발생부는,
    상기 핑거터치 기간에, 상기 일 앰프를 턴온해서 상기 핑거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제2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FD신호발생부는,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터치확인 기간이 도래하면, 상기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출력하면서 상기 일 앰프는 턴오프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발생부는,
    다른 앰프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기간에는 상기 다른 앰프를 턴온해서 상기 펜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링크 기간에는 상기 다른 앰프를 턴온해서 터치펜 센싱을 위한 기준전압을 출력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터치동기화신호, 펄스폭변조신호(PWM: Pulse Width Modulation) 및 제1식별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동기화신호 및 상기 제1식별신호 각각의 신호레벨을 확인해서 상기 구동신호발생부와 상기 LFD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이고, 상기 터치동기화신호의 신호레벨이 제2레벨인 경우를 상기 업링크 기간으로 식별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앰프를 턴온시키고, 상기 펄스폭변조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구동신호발생부에서 상기 펜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LFD신호발생부에서 상기 제1로드프리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식별신호와 상기 터치동기화신호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인 경우를 상기 다운링크 기간으로 식별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앰프는 턴오프시키며, 상기 구동신호발생부에서 상기 공통전극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LFD신호발생부에서 상기 게이트로우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제2식별신호를 더 수신해서 신호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구동신호 및 상기 제1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이 제2레벨이고 상기 제2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립모드에서 터치확인 기간이 도래한 것으로 식별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앰프는 턴오프시키며, 상기 핑거터치구동신호보다 신호세기가 작은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상기 구동신호발생부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LFD신호발생부에서는 상기 게이트로우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13. 디스플레이장치의 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전극을 구동하는 터치구동장치; 및
    전원관리회로로부터 공통전극전압(VCOM)과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입력받고,
    펜터치 구동을 위한 업링크 기간에는 펜터치구동신호와 상기 펜터치구동신호에 상응하는 로드프리구동(LFD: Load Free Driving)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터치구동장치로 출력하고, 펜터치 구동을 위한 다운링크 기간에는 상기 공통전극전압과 상기 게이트로우전압을 상기 터치구동장치로 출력하면서 상기 로드프리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앰프(Amplifier)는 턴오프(Turn-Off)하는 터치파워관리회로
    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파워관리회로는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터치동기화신호 및 제1식별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동기화신호 및 상기 제1식별신호 각각의 신호레벨을 확인해서 상기 업링크 기간과 상기 다운링크 기간을 식별하는 터치구동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파워관리회로는 상기 터치동기화신호 및 상기 제1식별신호 각각의 신호레벨이 상이한 경우를 상기 업링크 기간으로 식별하고, 상기 터치동기화신호 및 상기 제1식별신호 각각의 신호레벨이 동일한 경우를 상기 다운링크 기간으로 식별하는 터치구동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파워관리회로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제2식별신호를 더 수신해서 신호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구동신호 및 상기 제1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이 제2레벨이고 상기 제2식별신호의 신호레벨이 제1레벨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립모드에서 터치확인 기간이 도래한 것으로 식별하는 터치구동시스템.
  17. 제 13 항에 있어서,
    핑거터치 구동을 위한 핑거터치 기간에, 상기 터치파워관리회로는 핑거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터치구동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립모드에서 터치확인 기간이 도래하면, 상기 터치파워관리회로는 상기 핑거터치구동신호보다 신호세기가 작은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터치구동장치로 출력하는 터치구동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확인 기간에, 상기 터치파워관리회로는 상기 슬립모드용 터치구동신호를 상기 터치구동장치로 출력하면서 상기 게이트로우전압을 상기 터치구동장치로 출력하는 터치구동시스템.
KR1020210089701A 2021-07-08 2021-07-08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 KR20230009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01A KR20230009087A (ko) 2021-07-08 2021-07-08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
CN202210666854.8A CN115599236A (zh) 2021-07-08 2022-06-13 触摸电力管理电路和包括该电路的触摸驱动系统
TW111124781A TW202303367A (zh) 2021-07-08 2022-07-01 觸摸電力管理電路和包括該電路的觸摸驅動系統
US17/858,930 US11592934B2 (en) 2021-07-08 2022-07-06 Touch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touch driv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01A KR20230009087A (ko) 2021-07-08 2021-07-08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087A true KR20230009087A (ko) 2023-01-17

Family

ID=8479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701A KR20230009087A (ko) 2021-07-08 2021-07-08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92934B2 (ko)
KR (1) KR20230009087A (ko)
CN (1) CN115599236A (ko)
TW (1) TW202303367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347B1 (ko) * 2018-12-28 202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터치센싱회로
KR20210059961A (ko)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표시장치
KR20210080981A (ko)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슬립모드를 구현하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8655A1 (en) 2023-01-12
CN115599236A (zh) 2023-01-13
TW202303367A (zh) 2023-01-16
US11592934B2 (en)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03802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8970645B2 (en) Display device, drive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295343A1 (en) Low Power Consumption Display Device
EP3156885A1 (en) Signal control circuit, power control circuit, drive circuit, timing controller, touch system, and touch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19961B1 (ko) 터치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KR20140128775A (ko)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하 공유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
US20180188865A1 (en) Touch power circuit having operational amplifier and touch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1593481A (zh) 显示器及其信号传输方法与源极驱动器的驱动方法
US9196218B2 (en) Display device having driving control circuit operating as master or slave
KR101533520B1 (ko)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
US10775931B2 (en) Touch display device having a power output circuit, controller, and touch display panel
KR102126549B1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5869586A (zh) 半导体装置以及便携式终端
US10163400B2 (en) Display driving apparatus
KR20230009087A (ko) 터치파워관리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구동시스템
KR102540315B1 (ko) 액정 표시 장치
TW202303564A (zh) 顯示裝置和用於向顯示裝置供電的電力管理裝置
KR102283377B1 (ko) 표시장치와 그 게이트 구동 회로
US11693517B2 (en) Touch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touch driv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1868564B2 (en) Touch controller, touch sensing system, and touch display device that does not output a system clock during data communication
KR20140112819A (ko)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그것의 대기전력 절감 방법
KR102265939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65513B1 (ko) 표시 장치
CN114677951A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及装置、显示面板和显示设备
CN115482768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