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040A -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040A
KR20230009040A KR1020210089607A KR20210089607A KR20230009040A KR 20230009040 A KR20230009040 A KR 20230009040A KR 1020210089607 A KR1020210089607 A KR 1020210089607A KR 20210089607 A KR20210089607 A KR 20210089607A KR 20230009040 A KR20230009040 A KR 20230009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packaging container
waste
tag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득
박재혁
Original Assignee
박상득
박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득, 박재혁 filed Critical 박상득
Priority to KR102021008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9040A/ko
Publication of KR2023000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5/36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formed by applying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4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to be fastened or secured by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e.g. by thermo-adhe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재질이나 분류가 서로 다른 이종의 재활용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배출시켜 재활용 쓰레기의 발생을 억제하고 자연환경을 보호하며 자원을 순환적으로 이용하도록 재활용(再活用)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은, 음료나 식품을 내부에 수용하여 뚜껑으로 개봉 가능한 포장용기; 상기 포장용기의 외면에 부착되는 라벨; 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쓰레기는 상기 포장용기와 상기 포장용기 표면의 라벨을 분리한 후에 상기 포장용기 표면의 라벨 부착면 또는 상기 라벨의 이면에 표시된 QR태그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의 QR태그를 스마트 단말기의 카메라로 인식시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상태를 원거리의 서비스 서버와 무선 통신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장치{On-line service method and service device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recycling waste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packaging containers and labels of different materials,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recyclable waste}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재질이나 분류가 서로 다른 이종의 재활용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배출시켜 재활용 쓰레기의 발생을 억제하고 자연환경을 보호하며 자원을 순환적으로 이용하도록 재활용(再活用)을 촉진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세에 들어, 지구 환경 오염과 자원의 고갈로 세계의 많은 국가는 자연 환경을 보호하고 자원을 절약하여 자원 순환형 사회(쓰고 버리는 쓰레기가 없도록 자원화하는 사회)로 가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불구하고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쓰레기 중에서 30~40%가량만이 재활용되고 있다고 한다. 자원 순환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버리는 자원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것을 생활화해야 하며 쓰레기의 소각과 매립을 최소화하는 자원 순환형 체계를 확립해야만 한다. 이에 국민 개개인이 환경 의식을 가지고 가정이나 직장, 생활 주변에서부터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 쓰레기 중 알루미늄 캔, 플라스틱(PET), 종이, 비닐 등에는 분리 배출 표시 및 재질 분류 표시가 기호로 표시되어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캔이나 페트(PET)병 등)와 라벨(비닐)을 서로 분리시켜 따로 배출해야 하지만, 포장용기와 라벨을 분리하기가 번거롭고 귀찮아서 그대로 배출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재활용 쓰레기 처리 업체에서는 포장용기와 라벨을 분리 및 분류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함은 물론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한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잘하는 기본 적용 원칙 4가지를 살펴보면, 내용물을 비운다. 깨끗하게 세척한다. 다른 재질과 섞지 않는다. 용도에 맞게 분리해서 버린다. 우선 분리배출하는 용기 안에 내용물이 없어야 하고, 재활용이 가능하게 오염되지 않도록 깨끗하게 세척해서 버려주셔야 한다. 그리고 플라스틱과 고철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해서 버려줘야 하며, 빠트리지 말아야할 것은 플라스틱은 플라스틱만 모아서, 비닐은 비닐만 따로 모아서 섞이지 않게 버려주셔야만 한다. 즉, 사용된 플라스틱을 깨끗하게 설거지하고 겉면에 붙어있는 라벨 스티커나 비닐을 제거해서 분리 배출해야 한다.
여기서,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가 쉽도록 포장용기와 라벨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으로는 (특허문헌 000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4676호(공개일자 2020년01월14일) '피착물로부터 탈착이 용이한 라벨지', (특허문헌 000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89261호(등록일자 2020년03월10일) '분리 배출이 용이한 페트(PET)병의 라벨' 등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4676호(공개일자 2020년01월14일) '피착물로부터 탈착이 용이한 라벨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89261호(등록일자 2020년03월10일) '분리 배출이 용이한 페트(PET)병의 라벨'
관련법령: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약칭: 자원재활용법)
본 발명은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알루미늄 캔, 플라스틱, 비닐 등)를 분류 수거할때, 포장용기(알루미늄 캔 또는 플라스틱 등)와 라벨(비닐 등)을 분리시켜야만 포장용기의 표면(라벨 부착면) 또는 라벨의 이면에 표시되어 가려져 있던 재활용 쓰레기 정보 식별수단(예: QR태그)이 노출되게 하여, 이를 스마트 단말기로 인식시키면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 활동에 대한 활성화 포인트(마일리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은, 음료나 식품을 내부에 수용하여 뚜껑으로 개봉 가능한 포장용기; 상기 포장용기의 외면에 부착되는 라벨; 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쓰레기는 상기 포장용기와 상기 포장용기 표면의 라벨을 분리한 후에 상기 포장용기 표면의 라벨 부착면 또는 상기 라벨의 이면에 표시된 QR태그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의 QR태그를 스마트 단말기의 카메라로 인식시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상태를 원거리의 서비스 서버와 무선 통신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포장용기와 라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장용기는 재활용 가능한 알루미늄 캔, 페트(PET)병, 유리병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라벨은 재활용 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재활용 쓰레기는 상기 포장용기와 상기 라벨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재의 일면에 상기의 QR태그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열부재는 재활용 가능한 종이, 다공질성 스펀지, 엠보싱 비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가 카메라로 재활용 쓰레기의 QR태그를 인식시켜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에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로그인(Log in)하는 제 2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재활용 쓰레기의 태그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는 제 3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입력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태그 식별 정보를 처리하여 보상 포인트를 생성 및 적립하는 제 4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보상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포장용기와 라벨을 분리한 후, 상기 포장용기의 라벨 부착면 또는 상기 라벨의 이면에 표시된 QR태그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카메라로 인식 가능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재활용 쓰레기의 태그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보상 포인트를 생성 및 적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 서비스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재활용 쓰레기에 표시되는 QR태그를 카메라로 인식시킴에 따라 원거리의 서비스 서버에 무선 통신으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에서 상기 포장용기와 상기 포장용기 표면의 라벨을 분리한 후, 상기 포장용기의 라벨 부착면 또는 상기 라벨의 이면에 표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QR태그를 카메라로 인식시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태그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재활용 쓰레기의 태그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보상 포인트를 생성 및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캔 또는 플라스틱와 같은 포장용기에서 표면의 라벨(비닐 등)을 분리시켜야만 재활용 쓰레기 정보 식별수단(예: QR태그)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배출 활동에 대한 활성화 포인트(마일리지)를 서비스 제공받기 위해서 의무적으로 포장용기와 라벨을 분리 배출하게 됨은 물론 재활용 쓰레기를 자연스럽게 종류별로 분류 및 분리 수거 가능하며 자원 순환 사회를 더욱 앞당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배출활동을 포인트(마일리지)로 보상함과 함께 누적 포인트를 일정 금액의 현금 또는 상품권(예: 지방자치단체 발급)으로 환급 제공하여 경제 활동 및 지방상권 활성화를 돕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100)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110)와 라벨(120)을 도시한 도면임.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100)의 포장용기(110)와 라벨(120)을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알루미늄 캔(110a)과 라벨(120)을 분리한 모습, (b)는 페트(PET)병(110b)과 라벨(120)을 분리한 모습, (c)는 알루미늄 캔(110c) 및 라벨(120) 그리고 단열부재(140)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스마트 단말기(200)이고, (b)는 서비스 서버(300)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임.
먼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은, 음료나 식품을 내부에 수용하여 뚜껑으로 개봉 가능한 포장용기(110); 상기 포장용기(110)의 외면에 부착되는 라벨(120); 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쓰레기(100)는 상기 포장용기(110)와 상기 포장용기(110) 표면의 라벨(120)을 분리한 후에 상기 포장용기(110) 표면의 라벨 부착면 또는 상기 라벨(120)의 이면에 표시된 QR태그(130)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의 QR태그(130)를 스마트 단말기(200)의 카메라로 인식시켜 상기 재활용 쓰레기(100)의 분리 수거 상태를 원거리의 서비스 서버(300)와 무선 통신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200)가 카메라로 재활용 쓰레기(100)의 QR태그(130)를 인식시켜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서비스 서버(300)에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로그인(Log in)하는 제 2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300)에 송신하는 제 3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300)가 입력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처리하여 보상 포인트를 생성 및 적립하는 제 4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300)가 보상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쓰레기(100)의 포장용기(110)와 라벨(120)을 분리한 후, 상기 포장용기(110)의 라벨(120) 부착면 또는 상기 라벨(120)의 이면에 표시된 QR태그(130)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카메라로 인식 가능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를 통해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보상 포인트를 생성 및 적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 서비스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재활용 쓰레기(100)에 표시되는 QR태그(130)를 카메라로 인식시킴에 따라 원거리의 서비스 서버(300)에 무선 통신으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200);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정보(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300);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100)에서 상기 포장용기(110)와 상기 포장용기(110) 표면의 라벨(120)을 분리한 후, 상기 포장용기(110)의 라벨 부착면 또는 상기 라벨(120)의 이면에 표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QR태그(130)를 카메라로 인식시켜 상기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300)에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보상 포인트를 생성 및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100)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110)와 라벨(12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배출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100)를 분리 배출시, 포장용기(110) 또는 라벨(120)에 표시된 재활용 쓰레기(100) 고유의 태그 식별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200)로 인식시키게 되면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 활성화에 따른 보상 포인트(마일리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포장용기(110)와 포장용기(110) 표면의 라벨(120)을 분리해야만 QR태그(130)가 노출할 수 있으며, 재활용 쓰레기(100, 포장용기(110)와 라벨(120)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QR태그(13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즉, QR태그(130)는 포장용기(110) 표면의 라벨 부착면 또는 포장용기(110)로부터 분리되는 라벨(120)의 이면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포장용기(110)와 라벨(120)을 분리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포장용기(110)는 사용후 버려지지 않고 재사용(재활용) 가능한 재활용품을 의미하며, 예컨대, 각종 물이나 음료와 같은 식품이나 물건이나 상품을 수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알루미늄 캔, 플라스틱 용기, 페트(PET)병, 유리병 등을 포함한다. 라벨(120)은 상표·상품명·제조 회사명 따위를 표시하기 위하여 포장용기(110)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비닐이나 종, 천 조각을 포함한다.
QR태그(130, Quick Response tag)는 사각형 이미지 코드(정보무늬)의 이차원 바코드로 정보를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사진 및 동영상, 지도, 명함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고속 인식이 특징이다. QR태그(130)는 재활용 쓰레기(100)의 고유 정보 이외에 부가 정보를 QR태그(130)에 추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합관리센터(서비스 서버)의 운영 사이트에 적속하기 위한 URL 정보, 재활용 쓰레기(100)의 종류(명칭), 포장용기(110) 또는 라벨(120)의 재질, 색상, 특기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100)의 포장용기(110)와 라벨(120)을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원터치 개방형 음료용 캔을 사용한 후, 알루미늄 재질의 캔(110a)에서 라벨(120)을 분리하면 알루미늄 캔(110a)의 표면(라벨의 부착면) 또는 라벨(120)의 이면에 표시되어 있는 QR태그(130)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도 2의 (b)는 음료수 병을 사용한 후, 플라스틱 재질의 페트(PET)병(110b)에서 라벨(120)을 분리시켜 페트(PET)병(110b)의 표면(라벨의 부착면) 또는 라벨(120)의 이면에 표시되어 있는 QR태그(130)를 노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c)는 단열부재를 가지는 음료용 캔을 사용한 후, 알루미늄 캔(110c)에서 라벨(120)을 분리하면 알루미늄 캔(110c)의 표면(라벨의 부착면) 또는 라벨(120)의 이면 그리고 단열부재(140)의 표면에 표시되어 있는 QR태그(130)를 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재활용 쓰레기(100)는 상기 포장용기(110c)와 상기 라벨(120)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14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재(140)의 일면에 상기의 QR태그(130)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c)에서 도시한 바대로, 차가운 음료(아이스 아메리카노, 쥬스 등) 또는 뜨거운 음료(커피 등)를 담는 포장용기(110c)와 같이 포장용기(110c)의 둘레면이 단열부재(140)로 감싸져 있는 재활용 쓰레기(100)의 경우, 서로 다른 재질의 포장용기(l10c)와 단열부재(140) 그리고 라벨(120)을 별도 분리 배출해야만 한다. 단열부재(140)는 포장용기(110c)와 라벨(120) 사이에 투입하여 외부의 충격을 흡수 완화하여 내용물을 보호하거나 또는 포장용기(l10c)에 담긴 내용물의 온도(고온 또는 저온)로 인해 손이 느끼는 거부감(차가움)이나 부상(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편의성, 안전성을 제공하며, 포장용기(110c)와는 다른 재질(소재)로 별도 분리 배출해야 하는 것이다. 단열부재(140)는 일면에 QR태그(130)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열부재(140)는 재활용 가능한 종이, 다공질성 스펀지, 엠보싱 비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열부재(140)는 종이는 판지의 한 면 또는 2장의 판지 사이에 골이 진 얇은 종이를 덧붙인 골판지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스마트 단말기(200)이고, (b)는 서비스 서버(300)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대로, 스마트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장치로서, 전면 카메라를 통해 QR태그(130)에 태깅하여 재활용 쓰레기(100) 고유의 태그 식별 정보를 획득 가능하고 통합관리센터의 서비스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정보(데이터)를 처리하는 단말 정보 처리부(210),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태그 정보 입력부(220), 처리결과를 알려주는 정보 출력부(230),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 통신부(240),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메모리), 디스플레이(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통상의 공지기술로 이루어진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서비스 프로그램'이라 함)을 탑재하거나 또는 다운로드 및 설치 가능한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단말 정보 처리부(210)는 입력된 재활용 쓰레기 고유의 태그 식별 정보(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데이터)를 정보 출력부(23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고 또 데이터 저방부(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태그 정보 입력부(220)는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QR태그(130) 형태의 이미지 코드를 태그(Tag)로 태깅할 수 있다. 태그 정보 입력부(220)는 재활용 쓰레기(100)에 표시된 QR태그(130)를 카메라에 태깅하여 태그 식별 정보를 인식시킴에 따라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태깅(Taging)이라 함은 예컨대, 도 3에서처럼, 포장용기(110) 또는 라벨(120) 등에 표시된 QR태그(130)를 스마트 단말기(200)의 전면 카메라에 비추어 태그 정보 입력부(220)를 통해 인식되게 함을 의미한다.
정보 출력부(2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태그 정보) 또는 단말 정보 처리부(210)에서 처리된 결과(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또 태그 정보 출력부(240)는 단말 정보 처리부(210)에서 처리된 결과(데이터)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단말 통신부(240)는 서비스 서버(300)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QR태그(130) 태깅을 통해 획득한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무선(이동) 통신을 통해 원거리의 서비스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 서비스 서버(300)에서 생성된 포인트(마일리지) 정보 등의 처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240)는 와이파이(WI-FI), 무선 이동 통신(3G, 4G, 5G 등), 인터넷 통신(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300)는 태그 식별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 정보 처리부(320),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저장부(320), 스마트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330)로 구성된다.
서비스 서버(300)는 서버 정보 처리부(320)에서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데이터)를 서비스 정보 저장부(320)에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서버 정보 처리부(320)에서 처리된 서비스 정보(데이터)를 서버 통신부(330)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저장부(340)는 회원 정보, 태그 식별 정보(데이터) 및 포인트(마일리지), 위치 정보 등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재활용 쓰레기(100) 태그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재활용 쓰레기(100)의 보상 포인트(마일리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300)는 각 재활용 쓰레기(100) 고유의 태그 식별 정보를 확인하기 때문에 하나의 재활용 쓰레기(100)로 중복해서 반복적으로 태깅하여 포인트를 적립하는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300)는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진행중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배출 활동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공공기관이나 지자체 등에서 지역별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장치를 통해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회원 가입해야 한다. 회원 가입을 위해서는 스마트 단말기(200)로 서비스 프로그램(에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설치 및 실행하거나, 또는 컴퓨터로 운영 사이트에 접속한 후, 개인 신상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 아이디(ID) 및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회원 가입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대로, 스마트 단말기(200)가 전면( 또는 후면) 카메라로 재활용 쓰레기(100)의 QR태그(130)에 태킹(인식)하여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 즉, 재활용 쓰레기(100)를 분리 수거시, 포장용기(110)와 포장용기(110) 표면의 라벨(120)을 분리한 후에야 비로소 포장용기(110) 또는 라벨(120)의 표면에 노출되는 QR태그(포장용기 표면의 라벨 부착면 또는 라벨의 이면에 표시)를 스마트 단말기(200)로 스캔하여 식별 태그 정보를 읽어내서 입력시킬 수 있다.
다음, 스마트 단말기(200)가 서비스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무선 통신으로 자동 접속할 수 있다.(S2) 이어 서비스 서버(300)가 사용자(스마트 단말기)의 회원 정보(전화번호 등)를 인증하여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용 운영 사이트에 사용자 로그인(Log in)할 수 있다.(S3)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200)가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하여 운영 사이트에 업로드(Up load)할 수 있다.(S4. S5)
이후, 서비스 서버(300)가 입력된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처리하여 보상 포인트(마일리지)를 생성 및 적립할 수 있다.(S6) 다음, 서비스 서버(300)가 포인트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S7) 이에 스마트 단말기(200)의 화면(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처리 결과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S8)
다시 말해, 재활용 쓰레기(100)를 포장용기(110)와 상기 라벨(120)을 분리한 후, 포장용기(110)의 라벨 부착면 또는 라벨(120)의 이면에 표시된 QR태그(130)를 스마트 단말기(200)의 카메라로 인식 가능함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0)를 통해 재활용 쓰레기(100)의 태그 식별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재활용 쓰레기(100)의 분리 배출 활동에 대한 보상 포인트(마일리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은 재활용 쓰레기(100)의 포장용기(110)와 라벨(120), 단열부재(140) 등을 서로 분리 수거함에 따른 보상 포인트를 사용자에 지급함으로써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를 촉진하고 지속적으로 장려할 수 있다.
100: 재활용 쓰레기 110: 포장용기
120: 라벨 130: QR태그
140: 단열부재 200: 스마트 단말기
210: 단말 정보 처리부 220: 단말 통신부
230: 정보 출력부 300: 서비스 서버
310: 서버 정보 처리부 320: 서비스 정보 저장부
330: 서버 통신부

Claims (7)

  1.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에 있어서,
    음료나 식품을 내부에 수용하여 뚜껑으로 개봉 가능한 포장용기;
    상기 포장용기의 외면에 부착되는 라벨; 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쓰레기는 상기 포장용기와 상기 포장용기 표면의 라벨을 분리한 후에 상기 포장용기 표면의 라벨 부착면 또는 상기 라벨의 이면에 표시된 QR태그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의 QR태그를 스마트 단말기의 카메라로 인식시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상태를 원거리의 서비스 서버와 무선 통신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포장용기와 라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재활용 가능한 알루미늄 캔, 페트(PET)병, 유리병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포장용기와 라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재활용 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쓰레기는 상기 포장용기와 상기 라벨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재의 일면에 상기의 QR태그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포장용기와 라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재활용 가능한 종이, 다공질성 스펀지, 엠보싱 비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6. 스마트 단말기가 카메라로 재활용 쓰레기의 QR태그를 인식시켜 태그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에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로그인(Log in)하는 제 2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재활용 쓰레기의 태그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는 제 3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입력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태그 식별 정보를 처리하여 보상 포인트를 생성 및 적립하는 제 4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보상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포장용기와 라벨을 분리한 후, 상기 포장용기의 라벨 부착면 또는 상기 라벨의 이면에 표시된 QR태그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카메라로 인식 가능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재활용 쓰레기의 태그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보상 포인트를 생성 및 적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7.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 서비스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재활용 쓰레기에 표시되는 QR태그를 카메라로 인식시킴에 따라 원거리의 서비스 서버에 무선 통신으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에서 상기 포장용기와 상기 포장용기 표면의 라벨을 분리한 후, 상기 포장용기의 라벨 부착면 또는 상기 라벨의 이면에 표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QR태그를 카메라로 인식시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태그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재활용 쓰레기의 태그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보상 포인트를 생성 및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장치.
KR1020210089607A 2021-07-08 2021-07-08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장치 KR20230009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07A KR20230009040A (ko) 2021-07-08 2021-07-08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07A KR20230009040A (ko) 2021-07-08 2021-07-08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040A true KR20230009040A (ko) 2023-01-17

Family

ID=8511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607A KR20230009040A (ko) 2021-07-08 2021-07-08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90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08B1 (ko) * 2023-07-10 2024-02-14 주식회사 에스제이이노비전 재활용 포장용기를 위한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리워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676A (ko)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백스코 피착물로부터 탈착이 용이한 라벨지
KR102089261B1 (ko) 2019-07-23 2020-03-16 김동영 분리 배출이 용이한 페트병의 라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676A (ko)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백스코 피착물로부터 탈착이 용이한 라벨지
KR102089261B1 (ko) 2019-07-23 2020-03-16 김동영 분리 배출이 용이한 페트병의 라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관련법령: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약칭: 자원재활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08B1 (ko) * 2023-07-10 2024-02-14 주식회사 에스제이이노비전 재활용 포장용기를 위한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리워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87686A1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5193900A1 (en) Recycling system
US20100063887A1 (en) Method of reusing shipping and packing materials
US20190378145A1 (en) Hazardous material information system using diamond placard
Rajeshkumar An overview of green marketing
JP6795446B2 (ja) ごみ収集システム
CN104778615A (zh) 电子票据生成方法、打印设备及移动终端应用软件
KR20230009040A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이종 재질의 포장용기와 라벨 및 이종 재질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 배출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장치
Lai et al. Toward sustainable express deliveries for online shopping: Reusing packaging materials through reverse logistics
Thomas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RFID
WO2022237085A1 (zh) 一种酒类产品的代驾防伪/追溯方法
KR100995091B1 (ko)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US20170178146A1 (en) Hazardous material handling reference system
JP2009025857A (ja) ゴミ分類方法案内携帯端末、サーバー、及びゴミ分類方法案内システム
CN102054187A (zh) Rfid名片系统
CN102800151A (zh) 一种智能化容器回收系统和容器自助回收终端
US20140052646A1 (en) Closed-Loop Recycling Process
KR20210028038A (ko) 재활용 용기용 라벨 및 이를 구비한 재활용 용기 및 재활용 시스템
Choi et al. The Circular Economy, Responsible Consumption and the Consumer
CN11050316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电商纸箱回收系统
WO2019226066A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сонализированного учета сортировки отходов
TWM565614U (zh) 可重複使用之物體及重複利用該物體之收集裝置
TW201120792A (en) Waste storage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aste in waste storage
Bickford Recycling, Packaging
WO2022060819A9 (en) Computer-enabled platform for delivering products tamper-p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