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972A -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972A
KR20230008972A KR1020210089417A KR20210089417A KR20230008972A KR 20230008972 A KR20230008972 A KR 20230008972A KR 1020210089417 A KR1020210089417 A KR 1020210089417A KR 20210089417 A KR20210089417 A KR 20210089417A KR 20230008972 A KR20230008972 A KR 20230008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lution
detailed
unit
techn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058B1 (ko
Inventor
김신종
홍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맵인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맵인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맵인어스
Priority to KR102021008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05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은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 상기 세부기술이 속한 계층적 분류정보 및 상기 세부기술이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가 다중적으로 연계되는 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부; 상기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생성된 상기 데이터객체가 집합된 인벤토리DB가 저장되는 인벤토리DB부;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가 커먼-파라미터(common-parameter)로 포함되며, 상기 세부기술을 실제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솔루션DB를 생성하는 솔루션DB생성부; 및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벤토리DB 또는 상기 솔루션DB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세부기술에 대한 정보 또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FOR IMPROVING RESILIENCE OF URBAN RENEWAL REGION USING LINKING ADAPTION OF COMM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시재생지역의 기반시설, 지리적 특성, 자연환경정보, 재난이력정보 등의 분석 등을 통하여 해당 도시재생지역에 취약한 재난재해정보를 분석하는 프로세싱 및 해당 재난재해를 기준으로 도시재생지역에 대한 회복력 향상의 효용성이 높은 솔루션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프로세싱을 복합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특성에 가장 부합하는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재생사업은 산업구조변화, 신도시 위주의 확장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쇠퇴하고 낙후된 도시재생지역(도시쇠퇴지역)을 대상으로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업으로서 물리적인 시설 보충, 확장, 개선 등은 물론, 사회, 문화, 경제 여건 등을 재활성화시키는 사업을 의미한다.
한편, 지구 환경적 변화에 따른 다양한 자연재해가 대형화 및 빈번화되어 가고, 인간의 정주 공간이 도시로 집중화되는 경향 및 도시공간시설 등의 노후화가 상당 기간 지속되면서 도시 공간 내 재해 또는 재난 발생가능성이 높아짐은 물론, 그에 따른 피해 규모가 더욱 커지고 있음에 반해,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도시의 기반 시설 등의 취약성은 상대적으로 더 커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 환경 및 도시 환경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는 재난 재해는 대규모 인적 및 물적 피해와 직결되므로 도시재생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사업에는 특히 재난재해에 대한 대응력 내지 회복력 향상을 위한 계획, 설계 및 집행에 대한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종래에도 도시재생지역의 활성화 등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방법론은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재난 또는 재해에 대한 분석 및 그에 따른 대응력 내지 회복력 향상 등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대부분 도시재생지역의 경제적 활성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82361호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30519호 등과 같이 도시재생사업을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방법론도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관련 법적 규정, 계획, 집행, 감리 및 점검 과정 등과 같은 사업의 시작과 종료에 이르는 다양한 절차적 프로세스의 내용을 정의하고 확인하는 과정 등을 여러 가지 알고리즘과 데이터 체계로 구현하는 것들이므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관련 프로세스를 시스템적으로 구현한다는 점에서는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으나, 재난재해의 복구 또는 피해 방지 등의 측면에서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자연적 그리고 인위적 환경 요소에 최적화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도시재생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 방법은 특정 사업에만 적용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범용적 적용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본질적인 문제를 가진다.
나아가 이러한 종래 방법에 이용되는 관련 데이터 내지 DB는 방대한 용량을 가지는 단일 체계로 구축되므로 시계열적으로 변동되는 다양한 요소를 유기적으로 반영하기가 어려움은 물론, 다양한 변수와 환경을 고려한 확장 가능성 또한, 극히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82361호(2018.07.18)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30519호(2013.1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시재생지역에 최적화된 솔루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독립되고 이원화된 체계로 구성하되, 이들 사이의 커먼 파라미터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간 유기적 연계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변수, 환경조건, 지표, 조건 등의 변화에 대한 적응성과 확장성 및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도시재생지역의 위험도분석 및 도시재생지역의 특성에 따른 상대적 적응가능성 내지 효용성에 대한 회복력분석 등을 입체적으로 적용하여 도시재생지역마다 특화되는 정확하고 효율성 높은 맞춤형 솔루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은,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 상기 세부기술이 속한 계층적 분류정보 및 상기 세부기술이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가 다중적으로 연계되는 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부; 상기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생성된 상기 데이터객체가 집합된 인벤토리DB가 저장되는 인벤토리DB부;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가 커먼-파라미터(common-parameter)로 포함되며, 상기 세부기술을 실제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솔루션DB를 생성하는 솔루션DB생성부; 및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벤토리DB 또는 상기 솔루션DB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세부기술에 대한 정보 또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대상지역정보가 포함된 리퀘스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포함된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재해이력정보 또는 자연환경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분석하여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재난재해 중 상기 대상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위험도분석모듈; 상기 인벤토리DB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정보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에 적용 가능한 복수 개 세부기술인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제1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솔루션DB 중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인 제1솔루션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은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지역의 회복력 기여에 대한 정량적 분석지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량적 분석지표가 상대적으로 높은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는 회복력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회복력분석모듈은 상기 대상지역에 설치된 기반시설의 특성정보, 설치가능비율, 가동률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세부기술의 실제 적용을 위한 스펙정보 또는 상기 세부기술의 경제성 정보를 포함하는 레퍼런스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정부제공부는 상기 레퍼런스정보 및 상기 레퍼런스정보에 포함되는 개별정보마다 각각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환경을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회복력분석모듈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우선순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솔루션DB생성부는 제1주기를 기준으로 조달청DB에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조달청DB에 등재된 정보 중 텍스트 기반의 제품 정보 및 제품의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품목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상기 품목정보를 로데이터(raw data)로 텍스트 마이닝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방재관련 세부기술 및 이에 해당하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인 기초정보를 생성하는 기초정보생성부; 및 상기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여 생성하는 DB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정보제공부가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제공한 후 상기 솔루션DB가 갱신되는 경우, 상기 갱신된 솔루션DB를 기준으로 후속솔루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후속솔루션정보와 상기 제1솔루션정보 사이의 변동정보인 트래킹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제1솔루션정보가 제공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상기 트래킹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기초정보생성부는 상기 품목정보 중 재난재해정보, 세부기술정보, 기술제품정보 중 둘 이상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제1품목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제1품목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정보를 페어정보로 그룹핑하여 상기 기초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초정보생성부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상기 DB생성부는 기존에 생성된 솔루션DB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여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선별부는 상기 위험도분석모듈에서 생성된 위험도정보에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 모두에 적용 가능한 세부기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해당 도시재생지역에 취약한 재난재해정보 및 이 재난재해정보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되,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특성과 환경 등에 기초한 효용 가능성이 높은 선별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어 도시재생사업의 실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지역에 재난재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더욱 조속한 복구와 피해 최소화를 더욱 실질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솔루션정보 제공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독립되고 이원화된 체계로 구성하고 커먼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들 사이의 상호 연계성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변화되는 다양한 정보, 수치, 변수 등에 대한 적응성과 확장 가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정보에 조달청DB 등에 등재된 실제 제품 정보를 연계시킬 수 있어 특정 제품, 공법, 기술, 프로그램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질적인 기술제품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솔루션정보가 제공된 이후 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의 변화/변동이 발생하더라도 그에 대한 트래킹정보를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어 정보의 최신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더욱 높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솔루션DB생성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솔루션정보가 제공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외부DB를 이용하여 솔루션DB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벤토리DB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솔루션DB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이하 '솔루션 제공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도시재생지역(도시쇠퇴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재난재해를 분석하고 분석된 재난재해의 방지 또는 피해 복구 등의 관점에서 효용성 높게 적용될 수 있는 세부기술 또는/및 해당 세부기술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전제하는 재난재해는 관련 법규 등에서 정의되어나 인용되는 폭우, 폭염, 폭설, 강풍, 지진, 화재, 폭발, 붕괴와 같은 8대 재난재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반드시 이러한 특정 종류의 재난재해로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세부기술은 재난재해의 방지 또는 피해 복구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 공법, 장치, 구조물 등의 범주 또는 구분기준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투수 포장, 융설 포장, 도로 세척, 염수살포, 대피유도시설, 저류시설, 피난거처시설, 자가 발전, 누전차단, 소화장치, 제연장치, 가스누설감지, 진동감지, 화재감지, 배수시설, 펌프, 차열, 내화, 내진구조, 보강 공법, 단열, 제설 등이 그 구체적인 예들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기술제품은 상술된 세부기술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구체적인 대상으로서 공법(기법, 기술, 서비스), 제품(재료),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장비(시공용, 포설용 등)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실제 시중에서 구매될 수 있는 제품/장비/장치/설비 또는 업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용역 서비스 등이 이에 해당하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해당 기술제품의 판매 내지 제공하는 업체에 관련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도시 등 재개발사업은 계획된 구역이나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모든 것을 새롭게 설계하고 그에 따른 시설, 설비 등을 새롭게 구축하고 건설하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으나 도시재생사업의 경우 이러한 도시 등 재개발사업과는 달리 필요한 시설이나 설비 등을 선택적으로 도시재생지역에 적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미 설치된 시설이나 장비, 설비 등의 설치율, 가동율, 추가 내지 증설 가능여부, 기반시설의 물리적 특성,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지리적 내지 환경적 특성(투수율, 지반강도, 강우량, 강설량, 교통량, 인구 밀도, 인구 노령화 지표), 해당 도시재생지역에 투여될 수 있는 예산 범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효율성 내지 가성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최적의 기술제품 등이 해당 도시재생지역에 적용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후술되어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취약한 재난재해에 대한 위험도를 정확히 분석하고, 취약한 재난재해의 위험 등을 극복 내지 회피할 수 있는 세부기술 범주를 선정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이러한 세부기술 범주 중 도시재생지역의 다양한 변수, 요소,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구축되는 입체적 데이터 구조를 활용하여 해당 도시재생지역에 적용 효율성이 높은 특정 세부기술과 이 특정 세부기술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제품에 대한 솔루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온라인 접속 가능한 웹(web) 기반의 서버 내지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유저 클라이언트(200)와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요청신호나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면 후술되는 본 발명만의 고유한 프로세싱을 통하여 생성되는 솔루션정보를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신속한 정보 공유 내지 알람 정보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 또는 사용자(유저)의 모바일 단말(250)로 해당하는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조달청DB(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달청DB(400)에 등재된 제품 정보, 제품의 설명정보, 해당 제품이 적용되는 세부기술 또는 재난재해 관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품목정보'라 지칭한다)를 추출하고 이를 로데이터(raw data)로 하는 텍스트 마이닝(mining)과 같은 파싱(parsing)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여 솔루션DB 등의 생성 과정에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외부 기관 서버(300)와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시재생지역 등의 맵데이터, GIS 정보 등을 수신받아 GUI 환경 등을 통한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정보 내지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유저 클라이언트(200)는 도시재생지역의 계획입안자, 정책집행자, 지자체 담당자, 사업수행자, 도시재생지역 내 거주자, 관리자 등(이하 '유저(user)' 또는 '사용자'로 지칭한다)이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이 구현된 서버에 온라인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말 구성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클라이언트(200-1, 200-2, 200-k)는 피씨, 노트북, 태블릿,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단말의 형태나 지칭되는 용어 등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200)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온라인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사용자 측의 단말을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지칭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50)는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과 유저 클라이언트(200), 조달청DB(400) 또는 외부 기관 서버(3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으로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면 유선, 무선 등을 구분하지 않으며, TCP/IP, CDMA, WCDMA, LTE, WiFi 등 다양한 프로토콜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싱 과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객체생성부(110), 인벤토리DB부(120), 솔DB생성부(137), 정보제공부(140), 위험도분석모듈(150), 선별부(160), 정보처리부(170) 및 회복력분석모듈(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 및 후술되는 도 3에 도시된 솔루션DB생성부(13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의 일 구성인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10)는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생성되는 데이터객체로서, 세부기술의 명칭 또는 아이디정보와 같은 식별정보, 세부기술이 속한 계층적 분류정보 및 세부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가 다중적 내지 입체적으로 상호 연계된 데이터객체를 생성한다(S400, 도 4 참조).
이와 같이 각 세부기술을 기준으로 각각 생성되는 데이터객체는 본 발명의 인벤토리DB부(120)에 집합되어 저장된다(S410). 이하 각 세부기술마다 생성되는 데이터객체의 집합체를 '인벤토리DB'라 지칭한다.
계획 수립, 정보 검색, DB 구축 등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데이터객체에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과 같이 규모, 특성, 종류 등을 기준으로 해당 세부기술이 속하는 계층적 분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계층적 분류체계는 후속적으로 추가/수정/보완이 가능한 유연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과 도 8은 특정 세부기술에 대한 데이터객체 즉, 인벤토리DB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세부기술에 대한 데이터객체는 세부기술이 속하는 계층적 분류정보, 정량적 성능, 정성적 성능, 기술 유형, 이미지, 조달청 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데이터 객체(인벤토리DB)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을 위하여 표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해당 세부기술을 정의하거나 설명하는 각 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내용은 디지털 정보가 다차원적으로 연계된 객체 지향적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솔루션DB생성부(130)는 세부기술의 명칭 또는 식별정보가 커먼-파라미터(common parameter)로 포함하며 해당 세부기술을 실제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솔루션DB를 생성 및 저장한다(S420).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솔루션DB에 포함되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는 공법(기법, 기술, 서비스), 제품(재료),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장비(시공용, 포설용 등)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실제 시중에서 구매될 수 있는 제품/장비/장치/설비 또는 업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용역, 서비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생성 및 관리되는 솔루션DB는 자료구분, 세부기술(분류체계), 기술제품명, 세부품명번호, 품명 등 복수 개 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생성되는 DB로서, 앞서 기술된 인벤토리DB(각 세부기술별 데이터객체의 집합체)와 이원화(二元化)된 형태로 독립적으로 생성 및 관리되는 DB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솔루션DB에 수록된 정보로서, 세부기술을 표상하는 명칭 또는 식별정보가 인벤토리DB와의 관계에서 공통 파라미터(common parameter)로 기능하므로 인벤토리DB와 솔루션DB는 각각 개별적으로 생성, 유지, 관리(추가, 삭제, 변경 등)될 수 있으면서도 상호 간의 연계성이 항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인벤토리DB 및 솔루션DB가 생성되는 이러한 전처리 프로세싱은 각 DB를 이루는 개별 요소 또는 데이터/정보의 수정, 변경, 추가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소정 주기 등을 기준으로 개별적 그리고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40)는 본 발명의 I/O부(190)를 통하여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면(S430) 상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세부기술에 대한 정보 또는/및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벤토리DB 또는/및 상기 솔루션DB를 이용하여 추출하고(S440) 추출된 정보를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S45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솔루션정보가 제공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인벤토리DB 및 솔루션DB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전처리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500).
본 발명의 위험도분석모듈(150)은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대상지역정보가 포함된 리퀘스트정보가 수신되면(S505)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재난재해 중 상기 대상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 또는/및 해당 재난재해의 위험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정보를 생성한다(S510).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위험도분석모듈(150)은 입력된 대상지역이 도시재생지역이 아닌 경우, 적절한 안내 정보를 회신하는 방식으로 후속 프로세싱이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위험도정보는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포함된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대상지역의 재해이력정보, 자연환경정보, 대상지역에 설치 또는 건축된 건물이나 구조물, 설비 등의 물리적 특성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험도분석모듈(150)은 분석 프로세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 도시재생지역별로 상술된 정보 등을 미리 DB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필요한 경우 외부 기관 서버(300) 또는 해당 지역의 지자체 서버 등으로부터 관련 데이터 등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험도분석모듈(150)은 개별 DB와 자체 구비된 하드웨어 리소스 등을 이용하여 다른 주체 등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구성과는 달리 모듈이라는 명칭이 부가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다른 구성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의 일 구성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위험도분석모듈(150)에서 생성되는 위험도정보에는 고립, 붕괴, 유실, 방재취약, 침수 등과 같은 위험 유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대표 기반시설(공간시설, 방재시설, 공공문화체역시설, 유통공급시설, 환경기초시설, 교통시설, 보건위생시설 등)별 재난재해에 대한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의 정보가 함께 수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험도분석모듈(150)에서 위험도정보(해당 대상지역에 취약한 재난재해정보 포함)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선별부(160)는 상기 인벤토리DB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정보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에 적용 가능한 복수 개 세부기술인 제1세부기술을 선별한다(S515).
대상지역 입력 및 위험도정보 생성을 거쳐 제1세부기술이 생성되는 프로세싱에는 위험도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서 인벤토리DB에 필수로 포함되는 재난재해정보가 커먼-파라미터로 활용된다.
제1세부기술이 선별되면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70)는 상기 제1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솔루션DB에 수록된 정보 중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이하 '제1솔루션정보'라 지칭한다)를 생성한다(S540).
이와 같이 제1솔루션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40)는 상기 리퀘스트정보의 회신으로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S545).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지역의 회복력 기여에 대한 정량적 분석지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량적 분석지표가 상대적으로 높은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 세부기술(이하 '대상세부기술'이라 지칭한다)을 선별하는(S535) 회복력분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복력분석모듈(180)은 대상지역(리퀘스트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에 설치된 기반시설의 특성정보, 설치가능비율, 가동률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세부기술의 실제 적용을 위한 스펙정보 또는 상기 세부기술의 경제성 정보를 포함하는 레퍼런스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대상지역의 경우, 폭우가 위험도가 높은 재난재해(위험도정보)인 경우, 대상지역 내 배수로 시설은 설치비율, 설치 공간 등을 고려할 때, 더 이상 확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폭우를 회피 내지 극복할 수 있는 다른 세부기술인 투수포장 또는/및 배수펌프를 대상세부기술로 선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복력분석모듈(180)은 실질적으로 해당 대상지역(도시재생지역)에서 적용효율성 또는 가동 가성비 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간주되는 세부기술을 특정하게 되므로 해당 대상지역에 최적화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복력분석모듈(180)이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면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70)는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솔루션DB 중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 각각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생성한다(S540).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술제품의 크기, 중량, 가격, 구입 경로, 판매처 등과 같은 기술제품에 대한 특성정보, 우선순위가 높다고 간주되는 세부기술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중점을 두는 주관적 요소가 제2솔루션정보에 반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솔루션정보가 생성된 후, 사용자의 주관적 요소(우선순위 등)를 고려하여 추가적인 솔루션정보가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사용자의 주관적 요소를 미리 반영한 제1솔루션정보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 등이 더욱 높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40)는 레퍼런스정보(대상지역에 설치된 기반시설의 특성정보, 설치가능비율, 가동률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세부기술의 실제 적용을 위한 스펙정보 또는 상기 세부기술의 경제성 정보 등) 및 상기 레퍼런스정보에 포함되는 개별정보다 각각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520).
유저 클라이언트(200)에서 표출되는 인터페이스환경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S525) 우선순위정보가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으로 전송되면(S530) 본 발명의 회복력분석모듈(180)은 상기 입력된 우선순위정보를 가중치 변수 등으로 설정하여 회복력 기여에 대한 정량적 분석지표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이나 함수(function)를 구동시켜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한다(S535).
이와 같이 우선순위정보 등이 반영되어 제1솔루션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제1솔루션정보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되고(S545) 이 제1솔루션정보는 소정의 GUI 환경 등으로 유저 클라이언트(200)에 표출된다(S550).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부(160)는 위험도분석모듈(150)에서 생성된 위험도정보에 적용 가능한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 위험도분석모듈(150)에서 생성된 위험도정보에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 모두에 적용 가능한 세부기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도록 구성하여 더욱 실질적으로 필요한 세부기술과 이 세부기술에 해당하는 기술제품을 중심으로 솔루션정보(제1솔루션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솔루션DB생성부(13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은 조달청DB(400)와 같은 외부DB를 이용하여 솔루션DB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DB 중 하나인 솔루션DB가 생성되거나 솔루션DB에 추가 정보 등이 반영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솔루션DB생성부(130)는 구체적으로 접속부(131), 정보추출부(133), 기초정보생성부(135), DB생성부(137) 및 갱신처리부(1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솔루션DB생성부(130)의 각 구성요소 또한, 논리적으로 구분된 구성요소임은 물론이다.
솔루션DB생성부(130)의 일 구성인 접속부(131)는 정해진 주기(제1주기)가 되거나 또는 관리자 등의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조달청DB(400)에 접속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600). 오픈 소스(open source) 이외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조달청DB(400)에 접근(access)할 수 있는 권한이 미리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보추출부(133)는 조달청DB(400)에 등재된 다양한 정보 중 텍스트 기반의 제품 정보 및 해당 제품의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하 '품목정보'라 지칭한다)를 추출한다(S610).
이와 같이 텍스트 기반의 품목정보가 추출되면 본 발명의 기초정보생성부(135)는 상기 품목정보를 로데이터(raw data)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같은 파싱(parsing) 프로세싱을 수행하여(S620) 방재 즉, 재난 또는 재해 방지에 관련된 세부기술과 이 세부기술에 해당하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인 기초정보를 생성한다(S630).
상기 기초정보에는 해당 기술제품의 가격, 크기 등과 같은 스펙정보는 물론, 기술제품의 판매업체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기초정보생성부(135)는 상기 품목정보 중 재난재해정보, 세부기술정보, 기술제품정보 중 둘 이상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제1품목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제1품목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정보를 페어정보(pair information)로 그룹핑(grouping)하여 상기 기초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벤토리DB와 솔루션DB와 같이 원화되고 독립된 DB체계를 기반으로 하며 특정 정보 내지 데이터를 커먼 파라미터로 상호 간의 연계성이 항시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그룹핑된 페어정보를 기초정보로 생성하는 경우, 데이터 내지 정보의 연계성을 더욱 명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각 DB 생성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초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DB생성부(137)는 상기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제1주기 등을 기준으로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여 생성한다(S640).
본 발명의 솔루션DB생성부(130)의 일 구성인 갱신처리부(139)는 이와 같이 솔루션DB가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솔루션DB를 기초로 후속 프로세싱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솔루션DB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정보처리부(17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기초정보 생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외부 DB는 조달청DB(400)가 대표적일 수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술적으로 진보된 기술제품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특허공보DB가 보충적으로 또는 병행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특허공보DB 특히, 특허등록공보DB는 기술적으로 진보된 발명을 대상으로 발행되는 공보가 집합된 DB이며, 특허명세서의 특성 상, 기술분야, 특장점, 효과, 구체적 기술 내용 등이 모두 포함되므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재난재해정보 및/또는 세부기술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는 유의미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DB생성부(137)는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초정보에 필요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존에 생성된 솔루션DB에 포함된 정보 또는/및 인벤토리DB에 포함된 정보를 보충적으로 함께 활용하여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품목정보에 재난재해정보 및 세부기술정보만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재난재해정보, 세부기술정보 및 기술제품정보 모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들 정보에 대한 페어정보를 활용하여 인벤토리DB 즉, 각 세부기술별 데이터객체를 갱신(추가, 수정, 변경 등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7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주기, 관리자의 요청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등에 의하여 솔루션DB가 갱신되어 생성되면(S555) 상기 갱신된 솔루션DB를 기준으로 앞서 기술된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후속솔루션정보를 생성하도록(S560)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70)는 먼저 생성된 제1솔루션정보와 후속적으로 생성된 후속솔루션정보 사이의 차이 내지 변동 사항 등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트래킹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65).
이와 같이 트래킹정보 등이 생성되면 유저 클라이언트(200)에서 GUI 환경 등으로 트래킹 정보 등이 표출되도록(S575)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40)는 제1솔루션정보가 제공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상기 트래킹정보 또는 후속솔루션정보를 제공한다(S570).
실시형태에 따라서 솔루션DB가 갱신되어 트래킹정보 등이 생성되는 경우 해당 내용에 대한 안내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5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트래킹정보 또는 후속솔루션정보가 유저 클라이언트(200) 등을 통하여 더욱 신속하게 확인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새로운 기술제품이 시장에 출시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거나 또는 위험도정보 생성의 근거가 되는 데이터(정보) 그리고 회복력 기여에 대한 정량적 분석지표의 생성에 기초하는 데이터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최신의 업데이트된 솔루션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솔루션 제공시스템 200 : 유저 클라이언트
300 : 외부 기관 서버 400 : 조달청DB
110 : 객체생성부 120 : 인벤토리DB부
130 : 솔루션DB생성부
131 : 접속부 133 : 정보추출부
135 : 기초정보생성부 137 : DB생성부
139 : 갱신처리부
140 : 정보제공부 150 : 위험도분석모듈
160 : 선별부 170 : 정보처리부
180 : 회복력분석모듈 190 : I/O부

Claims (9)

  1.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 상기 세부기술이 속한 계층적 분류정보 및 상기 세부기술이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가 다중적으로 연계되는 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부;
    상기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생성된 상기 데이터객체가 집합된 인벤토리DB가 저장되는 인벤토리DB부;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가 커먼-파라미터(common-parameter)로 포함되며, 상기 세부기술을 실제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솔루션DB를 생성하는 솔루션DB생성부; 및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벤토리DB 또는 상기 솔루션DB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세부기술에 대한 정보 또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대상지역정보가 포함된 리퀘스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포함된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재해이력정보 또는 자연환경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분석하여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재난재해 중 상기 대상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위험도분석모듈;
    상기 인벤토리DB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정보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에 적용 가능한 복수 개 세부기술인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제1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솔루션DB 중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인 제1솔루션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리퀘스트정보의 회신으로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지역의 회복력 기여에 대한 정량적 분석지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량적 분석지표가 상대적으로 높은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는 회복력분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력분석모듈은,
    상기 대상지역에 설치된 기반시설의 특성정보, 설치가능비율, 가동률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세부기술의 실제 적용을 위한 스펙정보 또는 상기 세부기술의 경제성 정보를 포함하는 레퍼런스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부제공부는,
    상기 레퍼런스정보 및 상기 레퍼런스정보에 포함되는 개별정보마다 각각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환경을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고,
    상기 회복력분석모듈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우선순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DB생성부는,
    제1주기를 기준으로 조달청DB에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조달청DB에 등재된 정보 중 텍스트 기반의 제품 정보 및 제품의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품목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상기 품목정보를 로데이터(raw data)로 텍스트 마이닝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방재관련 세부기술 및 이에 해당하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인 기초정보를 생성하는 기초정보생성부; 및
    상기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여 생성하는 DB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정보제공부가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제공한 후 상기 솔루션DB가 갱신되는 경우, 상기 갱신된 솔루션DB를 기준으로 후속솔루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후속솔루션정보와 상기 제1솔루션정보 사이의 변동정보인 트래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제1솔루션정보가 제공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상기 트래킹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생성부는,
    상기 품목정보 중 재난재해정보, 세부기술정보, 기술제품정보 중 둘 이상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제1품목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제1품목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정보를 페어정보로 그룹핑하여 상기 기초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DB생성부는 기존에 생성된 솔루션DB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위험도분석모듈에서 생성된 위험도정보에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 모두에 적용 가능한 세부기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KR1020210089417A 2021-07-08 2021-07-08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KR10255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417A KR102552058B1 (ko) 2021-07-08 2021-07-08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417A KR102552058B1 (ko) 2021-07-08 2021-07-08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972A true KR20230008972A (ko) 2023-01-17
KR102552058B1 KR102552058B1 (ko) 2023-07-06

Family

ID=8511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417A KR102552058B1 (ko) 2021-07-08 2021-07-08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0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434A (ko) * 2011-09-19 2013-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상에 게재된 웹 문서 기반 상권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30519B1 (ko) 2013-05-02 2013-11-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심재생 종합 사업관리 시스템
KR20160017115A (ko) * 2014-07-14 2016-02-1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공통 파라미터 인터페이스 생성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 판독 프로그램
KR20180082361A (ko) 2017-01-10 2018-07-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도시재생사업 사전평가 지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434A (ko) * 2011-09-19 2013-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상에 게재된 웹 문서 기반 상권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30519B1 (ko) 2013-05-02 2013-11-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심재생 종합 사업관리 시스템
KR20160017115A (ko) * 2014-07-14 2016-02-1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공통 파라미터 인터페이스 생성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 판독 프로그램
KR20180082361A (ko) 2017-01-10 2018-07-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도시재생사업 사전평가 지원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신용현 외 4명, '쇠퇴지역 도시공간 종합진단 모델 개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2021.02.27. *
정승현, ‘재난재해대응 도시 리질리언스 강화방향’,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0.08.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058B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307757B (zh) 一种数据智能交互方法、交互系统、计算机设备及应用
US20230205947A1 (en) Multi-layer cyber-physical systems simulation platform
CN105843942B (zh) 一种基于大数据技术的城市防汛决策支持方法
Xu et al. Improving repair sequence scheduling methods for postdisaster critical infrastructure systems
Nelson A framework for the future of urban underground engineering
Morreale et al. A gree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risk identification
KR102191763B1 (ko) 시나리오 기반의 재난 확산 예측 방법, 재난 확산 예측 장치 및 재난 확산 예측 시스템
Thornton et al. Skilful seasonal prediction of winter gas demand
Bøhler et al. Providing multi-modal access to environmental data—customizable information services for disseminating urban air quality information in APNEE
Badidi et al. Towards a Platform for Urban Data Management, Integration and Processing.
KR102552058B1 (ko)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Wang et al. Urban ecological risk assessment management platform
Royer et al. Rapid evaluation and response to impacts on critical end-use loads following natural hazard-driven power outages: A modular and responsive geospatial technology
Gomes et al. Molines-towards a responsive web platform for flood forecasting and risk mitigation
Fischer et al. From earthquake detection to traffic surveillance–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for smart cities
Larsson et al. Data use and data needs in critical infrastructure risk analysis
KR102219233B1 (ko) 적설위험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재난예보를 지원하는 기상위험정보 시스템
Kumar et al. Spatial data mining: recent trends and techniques
Elhadary et al.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Discriminant Analysis in Modelling Urban Spatial Growth: An Example from Seberang Perai Region, Penang State, Malaysia
Brovelli et al. Improving the Monitoring of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 Through Web Geo‐services: The Example of Large Structures Supervision
Kar et al. RePOWERD: Restoration of Power Outage from Wide-area Severe Weather Disruptions
Baklanov et al. From urban meteorology, climate and environment research to urban integrated services
Rosato et al. Risk analysis and crisis scenario evaluation in critical infrastructures protection
Treinish et al. Implementation of mesoscale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for weather-sensitive business operations
Sfakianaki et al. A spatial framework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route optimi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