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861A -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구성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구성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861A
KR20230008861A KR1020227043314A KR20227043314A KR20230008861A KR 20230008861 A KR20230008861 A KR 20230008861A KR 1020227043314 A KR1020227043314 A KR 1020227043314A KR 20227043314 A KR20227043314 A KR 20227043314A KR 20230008861 A KR20230008861 A KR 2023000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
entity
value
indication information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 리
슈에밍 판
유민 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구성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은 단말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MAC 엔티티가 생성된 MAC PDU를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구성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5월 12일자로 중국에서 출원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No.202010399508.9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구성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의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UL skipping)의 기능을 인에이블링하고 단말의 데이터 메모리에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없을 때, 기지국이 단말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더라도 이 UL skipping 기능은 단말이 기지국의 스케줄링을 무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위의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과 동적 스케줄링된 상향링크 공유 채널 사이에 자원 충돌이 있으면, 단말은 다음과 같이 선택할 수 있다. 1. PUSCH를 생성하지 않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를 PUCCH에서 전송한다. 2. PUSCH를 생성하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를 생성된 PUSCH에서 다중화하여 전송한다. 이렇게 하면 네트워크 측에서의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가 증가되고 단말에서의 UCI 다중화 처리의 복잡도가 증가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를 낮추고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상향링크 공유 채널에서 다중화하기 위한 처리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구성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MAC 엔티티가 생성된 MAC PDU를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의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가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생성된 MAC PDU를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4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단말의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가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지시 모듈을 포함한다.
제5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6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7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제1 양상 및 제2 양상에 의한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MAC 엔티티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스케줄링된 HARQ 엔티티에 대해 MAC PDU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없는 경우 MAC 계층에서 계속하여 데이터 PDU를 생성하고 물리 계층으로 전달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이 MAC PDU에서 다중화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네트워크 측에서의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를 낮추고,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상향링크 공유 채널에서 다중화하기 위한 처리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만 나타내며, 당업자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도면을 기반으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이 분명하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UCI가 PUCCH에서 다중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PUSCH repetition Type A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PUSCH repetition Type B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UL skipping 조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의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의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UCI가 PUSCH에서 다중화되도록 지원하기 위해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MAC 엔티티가 무조건 MAC PDU를 생성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물리 계층이 내부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출원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 순서나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적절한 상황에서 서로 교환되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 외의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의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LTE 어드밴스드(LTE-Advanced, LTE-A)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운반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기타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종종 상호 대체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CDMA2000 및 범용 지상 무선 접속(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에는 광대역 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및 기타 CDMA 변종이 포함된다. TDMA 시스템은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ltraMobile Broadband, UMB), 진화형 UTRA(Evolution-UTRA, E-UTRA),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 기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의 일부분이다. LTE 및 더 높은 레벨의 LTE(예: LTE-A)는 E-UTRA를 사용하는 새로운 UMTS 버전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라는 조직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라는 조직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은 상기 시스템 및 무선 기술 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NR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고, 아래 대다수의 설명에서 NR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기술은 NR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예시를 제공하며 청구 범위에 명시된 범위, 적용 가능성 또는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논의된 요소의 기능 및 배열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예시에서는 여러 가지 절차나 구성요소를 적당하게 생략, 대체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여기서 설명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11) 및 네트워크 측 장비(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11)은 단말 장비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라고도 하며, 단말(11)은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차량탑재 단말기 등과 같은 단말 측 장비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단말(11)의 특정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측 장비(12)는 기지국 또는 코어망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5G 및 후속 버전의 기지국(예: gNB, 5G NR NB 등)이거나,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예: eNB, WLAN 접속 포인트, 또는 기타 접속 포인트 등)이거나, 위치 서버(예: E-SMLC 또는 LMF(Location Manager Function))일 수 있으며, 여기서, 기지국은 노드 B, 진화된 노드 B, 접속 포인트, 기본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 기지국, 무선 송수신기,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 B 노드, 진화된 B 노드(eNB), 가정용 B 노드, 가정용 진화된 B 노드, WLAN 접속 포인트, WiFi 노드 또는 본 영역에서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릴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한, 상기 기지국은 특정 기술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NR 시스템의 기지국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지국의 특정 유형 및 특정 통신 시스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에서 전송된다. 단말이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원칙적으로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으며, 즉 UCI는 PUCCH에 예약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큐빅 메트릭(Cubic Metric)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더 높은 송신 전력에서 대역외 발사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고, PUSCH와 PUCCH가 동시에 전송될 때 주파수 영역에서의 간격이 크게 하려면(PUCCH는 일반적으로 주파수 대역의 양단에서 송신됨), 이는 무선 주파수(RF)의 구현에 도전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UCI를 전송해야 하는 PUCCH 자원과 PUSCH의 자원이 시간적으로 중첩되게 되고 기지국이 이 PUSCH를 스케줄링할 때 UCI 다중화 처리 시간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보장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CI는 데이터와 함께 PUSCH에서 다중화되어 PUCCH가 동시에 전송되는 것을 피하며, 여기서, DL DCI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이고, PDSCH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이고, one slot는 하나의 슬롯이고, UL grant는 상향링크 승인이고, Multiplex는 다중화이고, UL-SCH는 상향링크 공유 채널이고, DMRS는 복조 참조 신호이고, HARQ-ACK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확인응답이고, CSI part1은 제1 부분의 채널 상태 정보이고, CSI part2는 제2 부분의 채널 상태 정보이다.
관련 통신 프로토콜에서, 반복 전송은 슬롯(slot)을 기반으로 하며, K개의 반복 전송은 K개의 slot을 차지하며, 각 slot에서 데이터 전송이 차지하는 시간 자원(전송의 시작 위치)은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반복 전송의 메커니즘은 PUSCH repetition Type A라고 하며, 여기서 slot boundary는 슬롯의 경계이다.
일부 통신 프로토콜에는 서브 슬롯(sub-slot) 기반의 반복 전송이 도입되고, K개의 명목 반복 전송(nominal repetition)은 하나의 slot에서 ‘백투백’의 연속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명목 전송의 시간 영역 자원이 슬롯(slot)의 경계를 넘어야 하거나 이 시간 영역 자원에 무효, 사용불가의 자원, 부호(예: 하향링크 부호)가 있는 경우, 이 명목 전송은 slot 또는 무효한 자원, 부호에 의해 다수의 실제 반복 전송(actual repetition)으로 분할된다. 이 반복 전송의 메커니즘은 PUSCH repetition Type B라고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일부 통신 프로토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UL skipping)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정의하며, 도 5는 UL skipping 조건의 개략도이다. 다음 조건들이 만족되는 경우, MAC 엔티티는 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생성하지 않는다.
(1) MAC 엔티티에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가 구성되고 이 파라미터의 값이 참(true)으로 설정되며, MAC 엔티티는 상향링크 승인(UL grant)에서 지시되는 HARQ 엔티티를 찾아낸다.
(2) 이 UL grant에 관련 통신 프로토콜에서 규정된 이 PUSCH 전송에 대해 요청된 비주기적 CSI가 없다.
(3) MAC PDU가 0개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을 포함한다.
(4) MAC PDU가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만을 포함하고, 임의의 논리 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 LCG)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MAC PDU가 패딩 BSR만을 포함한다.
단말의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UL skipping)의 기능을 인에이블링하고 단말의 데이터 메모리에 전송해야 할 데이터 전송이 없을 때, 기지국이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더라도 이 UL skipping 기능은 사용자가 기지국의 스케줄링을 무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위의 경우,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과 동적 스케줄링된 상향링크 공유 채널 사이에 자원 충돌이 있으면, 단말은 다음과 같이 선택할 수 있다.
1. PUSCH를 생성하지 않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가 PUCCH에서 전송된다.
2. PUSCH를 생성하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가 생성된 PUSCH에서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UCI가 PUSCH에서 다중화되도록 지원하기 위해 MAC PDU를 생성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한다. (1) 네트워크 측이 UCI가 PUCCH에서 송신되는지 또는 PUSCH에서 송신되는지 여부를 블라인드 검출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측에서의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UL skipping으로 인해 UCI가 PUCCH에서 송신되는 확률이 UL 승인을 놓치는 때보다 훨씬 크다. (2) 단말에서 UCI 다중화를 처리하는 복잡도를 증가시킨다.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르면, 단말이 PUSCH에서 UCI를 다중화하기 위한 조건은 PUCCH와 PUSCH 사이에 자원 중첩이 존재하는 것이고 UL skipping 인에이블링이 고려되지 않으므로, 단말의 MAC PDU 생성 여부에 대한 판단이 추가된다면 단말이 자원 중첩 외에 또 다른 조건을 확인해야 함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새로운 동작이 도입되어야 하고 사용자가 UCI 다중화를 처리하는 복잡도가 증가된다.
또한, 기존의 MAC 계층 프로토콜에서, 물리 계층 PUCCH와 PUSCH 간의 자원 중첩은 MAC 계층에 대해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MAC 계층은 단말 데이터 메모리에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 및 UL skipping이 인에이블링되는 경우 MAC PDU를 생성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구성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여,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고 생성된 MAC PDU를 물리 계층 엔티티(MAC PDU는 PUSCH가 됨)로 전달함으로써 UCI가 PUSCH에서 다중화되도록 지원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 상기 단말의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한다.
단계 102: 상기 MAC 엔티티가 생성된 MAC PDU를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로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MAC 엔티티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스케줄링된 HARQ 엔티티에 대해 MAC PDU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없는 경우 MAC 계층에서 계속하여 데이터 PDU를 생성하고 물리 계층으로 전달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이 MAC PDU에서 다중화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네트워크 측에서의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를 낮추고,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상향링크 공유 채널에서 다중화하기 위한 처리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는 동적 스케줄링 정보로서, 어떤 조건에 따라 UL-SCH를 생성하는지, 또는 UL-SCH를 생성할지 여부, 또는 단말에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해야 함을 명확하게 지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UL-SCH를 생성하는 것은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실릴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format(s), 즉 이번의 PUSCH 전송에 대해 UL-SCH(데이터)가 생성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UL grant에 x bit(s)(x는 자연수이고 1과 같을 수 있음)를 도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다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한다.
즉 해당 x bit(s)는 UL grant에서 독립적인 필드를 차지하거나 기존의 필드와 공동 인코딩되거나 기존의 필드를 다중화할 수 있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며,
상기 제1 지시 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지시 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된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참(true)으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이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는 UCI 다중화 필드(UCI Multiplexing field)일 수 있으며, 크기는 1비트이다.
일 구체적인 예시에서, UCI Multiplexing field의 값이 1일 때, 조건 및 상황에 관계없이 단말이 항상 PUSCH에서 UL-SCH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UCI Multiplexing field의 값이 0인 경우 예약값이다.
다른 구체적인 예시에서, UCI Multiplexing field의 값이 1일 때, 조건 및 상황에 관계없이 단말이 항상 PUSCH에서 UL-SCH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UCI Multiplexing field의 값이 0일 때, skipUplinkTxDynamic이 true로 설정되고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UL skipping)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UL-SCH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여기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되는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MAC 엔티티가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HARQ 엔티티를 찾아낸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가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하지 않은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할당된 자원이 전송할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과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지 않는 것;
상기 MAC PDU가 0개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포함하는 것;
상기 MAC PDU가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BSR)만을 포함하고 논리 채널 그룹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MAC PDU가 패딩 BSR만을 포함하는 것; 을 모두 포함한다.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3 값일 때, 채널 상태 정보(CSI) 요청이 전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4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5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된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어, 이 xbit(여기서, x는 자연수이고 1과 같을 수 있음)와 기존의 1bit의 UL-SCH 지시(indicator) 필드는 (x+1)bit의 UCI Multiplexing field로 공동 인코딩되며, 이 공동 인코딩된 필드의 code-point 및 의미에 대한 정의는 아래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
UCI Multiplexing field 설명(description)
00 UL-SCH는 CSI 요청이 전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PUSCH에서 전송되어야 함(UL-SCH shall be transmitted on the PUSCH when CSI request is not set to all zero(s))
01 UL-SCH는 조건 및/또는 상황에 관계없이 항상 PUSCH에서 전송되어야 함(UL-SCH shall always be transmitted on the PUSCH)
10 UL-SCH는 skipUplinkTxDynamic이 true로 설정되고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PUSCH에서 전송되지 않아야 함(UL-SCH shall not be transmitted on the PUSCH when skipUplinkTxDynamic is set to true)
11 예약(Reserved)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하고,
상기 제3 지시 필드의 값이 제6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지시 필드의 값이 제7 값일 때, skipUplinkTxDynamic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UL-SCH indicator field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UL-SCH indicator field의 값이 0일 때, UL-SCH가 항상 무조건 PUSCH에서 전송되어야 함을 지시하며(UL-SCH shall always be transmitted on the PUSCH without conditions), UL-SCH indicator field의 값이 1일 때, UL-SCH가 skipUplinkTxDynamic이 true로 설정되고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PUSCH에서 전송되지 않아야 함을 지시한다(UL-SCH shall not be transmitted on the PUSCH when skipUplinkTxDynamic is set to true).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은,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되는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MAC 엔티티가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HARQ 엔티티를 찾아낸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가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하지 않은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할당된 자원이 전송할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과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지 않는 것;
상기 MAC PDU가 0개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포함하는 것;
상기 MAC PDU가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BSR)만을 포함하고 논리 채널 그룹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MAC PDU가 패딩 BSR만을 포함하는 것; 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는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복조된 후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는 경우, 스케줄링된 PUSCH가 K번의 전송을 반복하도록 구성되거나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지시될 때, 이에 대응하여 상기 MAC 엔티티는 다수의 반복되는 MAC PDU를 생성하고,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내부 물리 계층에서 MAC 계층까지의 계층간(inter-layer) 시그널링, 즉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가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과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된다고 결정하는 경우, 물리 계층 엔티티는 MAC 엔티티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된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면 상기 MAC 엔티티가 항상 MAC PDU를 생성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2 지시 정보는 다음 조건들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MAC 엔티티가 HARQ 엔티티에 대해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더 지시할 수 있다.
MAC 엔티티의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가 true로 설정되고, HARQ 엔티티에 지시된 승인이 C-RNTI로 주소 지정되거나 HARQ 엔티티에 지시된 승인이 구성된 상향링크 승인인 것(the MAC entity is configured with skipUplinkTxDynamic with value true and the grant indicated to the HARQ entity was addressed to a C-RNTI, or the grant indicated to the HARQ entity is a configured uplink grant);
PUSCH 전송에 대해 요청된 비주기적 CSI가 없는 것(there is no aperiodic CSI requested for this PUSCH transmission);
하위 계층으로부터 ‘UCI 다중화’(또는 ‘UL-SCH 생성’), ‘UCI 다중화’(또는 ‘UL-SCH’)의 알림이 수신되지 않은 것(if the notification of ‘UCI multiplexing’ (or ‘UL-SCH generation’) ‘UCI multiplexing’ (or ‘UL-SCH’) has not been received from lower layers);
상기 MAC PDU가 0개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포함하는 것(the MAC PDU includes zero MAC SDUs);
상기 MAC PDU가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BSR)만을 포함하고, 논리 채널 그룹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MAC PDU가 패딩 BSR만을 포함하는 것(the MAC PDU includes only the periodic BSR and there is no data available for any LCG, or the MAC PDU includes only the padding BSR).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는 경우, 스케줄링된 PUSCH가 K번의 전송을 반복하도록 구성되거나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지시될 때, 물리 계층 엔티티가 MAC 엔티티로 전달하는 내부 시그널링은,
무조건 K개의 동일한 MAC PDU를 생성하는 것; 또는
무조건 K개 중 M개의 MAC PDU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1≤M≤K이고, M은 중첩되는 PUCCH 자원과 PUSCH 자원의 개수이고, K는 1보가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M은 1보다 크거나 같고 K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MAC 엔티티는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K개 또는 M개의 반복되는 MAC PDU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반복 전송 유형이 B인 경우, 반복되는 상기 MAC PDU는 명목 반복 전송 또는 PUCCH 자원과 중첩되는 첫 번째 또는 마지막의 실제 반복 전송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단말 내부의 시그널링을 정의할 필요 없이, 직접 MAC 계층에서 관련된 MAC PDU 생성 조건을 정의하여 물리 계층 PUCCH와 PUSCH 전송 자원의 중첩이 MAC 계층에 대해 공개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어느 하나의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가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은,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되는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MAC 엔티티가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HARQ 엔티티를 찾아낸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가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하지 않은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할당된 자원이 전송할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과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지 않는 것;
상기 MAC PDU가 0개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포함하는 것;
상기 MAC PDU가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BSR)만을 포함하고 논리 채널 그룹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MAC PDU가 패딩 BSR만을 포함하는 것; 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모든 조건이 만족되면 MAC 엔티티는 HARQ 엔티티에 대해 MAC PDU를 생성하지 않으며; 상기 조건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지 않으면 MAC 엔티티는 MAC PDU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는 경우, 스케줄링된 PUSCH가 K번의 전송을 반복하도록 구성되거나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지시될 때, 상기 MAC 엔티티는 다수의 반복되는 MAC PDU를 생성하고,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단말의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가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는 동적 스케줄링 정보로서, 어떤 조건에 따라 UL-SCH를 생성하는지, 또는 UL-SCH를 생성할지 여부, 또는 단말에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해야 함을 명확하게 지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UL-SCH를 생성하는 것은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실릴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format(s), 즉 이번의 PUSCH 전송에 대해 UL-SCH(데이터)가 생성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UL grant에 x bit(s)(x는 자연수이고 1과 같을 수 있음)를 도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다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한다.
즉 해당 x bit(s)는 UL grant에서 독립적인 필드를 차지하거나 기존의 필드와 공동 인코딩되거나 기존의 필드를 다중화할 수 있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며,
상기 제1 지시 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지시 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된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참(true)으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이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는 UCI 다중화 필드(UCI Multiplexing field)일 수 있으며, 크기는 1비트이다.
일 구체적인 예시에서, UCI Multiplexing field의 값이 1일 때, 조건 및 상황에 관계없이 단말이 항상 PUSCH에서 UL-SCH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UCI Multiplexing field의 값이 0인 경우 예약값이다.
다른 구체적인 예시에서, UCI Multiplexing field의 값이 1일 때, 조건 및 상황에 관계없이 단말이 항상 PUSCH에서 UL-SCH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며; UCI Multiplexing field의 값이 0일 때, skipUplinkTxDynamic이 true로 설정되고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UL skipping)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UL-SCH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여기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되는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MAC 엔티티가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HARQ 엔티티를 찾아낸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가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하지 않은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할당된 자원이 전송할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과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지 않는 것;
상기 MAC PDU가 0개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포함하는 것;
상기 MAC PDU가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BSR)만을 포함하고 논리 채널 그룹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MAC PDU가 패딩 BSR만을 포함하는 것; 을 모두 포함한다.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3 값일 때, 채널 상태 정보(CSI) 요청이 전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4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5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된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어, 이 xbit(여기서, x는 자연수이고 1과 같을 수 있음)와 기존의 1bit의 UL-SCH 지시(indicator) 필드는 (x+1)bit의 UCI Multiplexing field로 공동 인코딩되며, 이 공동 인코딩된 필드의 code-point 및 의미에 대한 정의는 아래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
UCI Multiplexing field 설명(description)
00 UL-SCH는 CSI 요청이 전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PUSCH에서 전송되어야 함(UL-SCH shall be transmitted on the PUSCH when CSI request is not set to all zero(s))
01 UL-SCH는 조건 및/또는 상황에 관계없이 항상 PUSCH에서 전송되어야 함(UL-SCH shall always be transmitted on the PUSCH)
10 UL-SCH는 skipUplinkTxDynamic이 true로 설정되고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PUSCH에서 전송되지 않아야 함(UL-SCH shall not be transmitted on the PUSCH when skipUplinkTxDynamic is set to true)
11 예약(Reserved)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하고,
상기 제3 지시 필드의 값이 제6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지시 필드의 값이 제7 값일 때, skipUplinkTxDynamic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UL-SCH indicator field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UL-SCH indicator field의 값이 0일 때, UL-SCH가 항상 무조건 PUSCH에서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며(UL-SCH shall always be transmitted on the PUSCH without conditions), UL-SCH indicator field의 값이 1일 때, UL-SCH가 skipUplinkTxDynamic이 true로 설정되고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PUSCH에서 전송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UL-SCH shall not be transmitted on the PUSCH when skipUplinkTxDynamic is set to true).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은,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되는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MAC 엔티티가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HARQ 엔티티를 찾아낸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가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하지 않은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할당된 자원이 전송할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과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지 않는 것;
상기 MAC PDU가 0개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포함하는 것;
상기 MAC PDU가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BSR)만을 포함하고 논리 채널 그룹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MAC PDU가 패딩 BSR만을 포함하는 것; 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는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복조된 후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는 경우, 스케줄링된 PUSCH가 K번의 전송을 반복하도록 구성되거나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지시될 때, 이에 대응하여 상기 MAC 엔티티는 다수의 반복되는 MAC PDU를 생성하고,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및/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네트워크 측에서 값이 true인 skipUplinkTxDynamic을 구성하고, 스케줄링된 PUSCH의 자원과 PUCCH 자원이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즉 UCI가 PUCCH에서 전송되는지 PUSCH에서 전송되는지를 판단함)를 낮추기 위하여, 네트워크 측은 UL grant에서의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관련 필드에서 조건에 관계없이 UL-SCH가 항상 PUSCH에서 전송되도록 지시해야 한다.
단말 및/또는 사용자 측에서, 단말의 물리 계층 엔티티는 UL grant를 복조하고, UL grant에서 수신된 정보를 MAC 엔티티로 전달하고, 단말의 MAC 엔티티는 UL grant에서의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필드(field)에 따라 MAC PDU를 생성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다음 조건들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MAC 엔티티는 HARQ 엔티티에 대해 MAC PDU를 생성하지 않는다.
MAC 엔티티의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가 true로 설정되고, HARQ 엔티티에 지시된 승인이 C-RNTI로 주소 지정되거나 HARQ 엔티티에 지시된 승인이 구성된 상향링크 승인인 것(the MAC entity is configured with skipUplinkTxDynamic with value true and the grant indicated to the HARQ entity was addressed to a C-RNTI, or the grant indicated to the HARQ entity is a configured uplink grant);
PUSCH 전송에 대해 요청된 비주기적 CSI가 없는 것(there is no aperiodic CSI requested for this PUSCH transmission);
PUSCH 전송에 대한 ‘UCI 다중화’(또는 ‘UL-SCH’) 요청이 없는 것(there is no ‘UCI multiplexing’ (or ‘UL-SCH’) requested for this PUSCH transmission);
상기 MAC PDU가 0개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포함하는 것(the MAC PDU includes zero MAC SDUs);
상기 MAC PDU가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BSR)만을 포함하고, 논리 채널 그룹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MAC PDU가 패딩 BSR만을 포함하는 것(the MAC PDU includes only the periodic BSR and there is no data available for any LCG, or the MAC PDU includes only the padding BSR).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내부 물리 계층에서 MAC 계층까지의 inter-layer 시그널링을 정의하고, 단말의 물리 계층이 스케줄링된 PUSCH와 PUCCH의 자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된다는 것을 인지할 때, 선택적으로, 이 단말에 값이 true인 skipUplinkTxDynamic이 구성되면, 단말의 물리 계층은 현재 스케줄링된 HARQ 엔티티에 대해 무조건 MAC PDU를 생성하도록 MAC 계층에 알린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의 실행 주체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일 수 있거나, 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을 로딩 및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을 로딩 및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는 단말(300)에 적용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310);
생성된 MAC PDU를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320); 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다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어느 하나의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가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가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과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된다고 결정하는 경우 송신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는 장치일 수 있거나 단말의 부품, 집적회로 또는 칩일 수 있다. 이 장치는 모바일 전자기기 또는 비모바일 전자기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포켓 PC, 차량탑재 전자기기, 웨어러블 기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등일 수 있고, 비모바일 전자기기는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또는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는 운영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이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 ios 운영체제 또는 다른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는 도 6의 방법 실시예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의 실행 주체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일 수 있거나, 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을 로딩 및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을 로딩 및 수행하는 것으로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는 네트워크 측 장비(400)에 적용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단말의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가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지시 모듈(41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다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는 장치일 수 있거나 단말의 부품, 집적회로 또는 칩일 수 있다. 이 장치는 모바일 전자기기 또는 비모바일 전자기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포켓 PC, 차량탑재 전자기기, 웨어러블 기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등일 수 있고, 비모바일 전자기기는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또는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는 운영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이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 ios 운영체제 또는 다른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는 도 7의 방법 실시예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포함하며,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 및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와 비모바일 전자기기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기기는 단말일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며, 상기 단말(50)은 무선 주파수 유닛(51), 네트워크 모듈(52), 오디오 출력 유닛(53), 입력 유닛(54), 센서(55), 표시 유닛(56), 사용자 입력 유닛(57), 인터페이스 유닛(58), 메모리(59), 프로세서(510) 및 전원(511) 등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도 12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가 단말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팜탑 컴퓨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계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51)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510)로 전달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5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유닛(5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비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5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5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주소록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10)는 단말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사용하여 단말 전체의 각 구성 요소를 연결하며, 메모리(5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모리(5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 전체를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510)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510)에 통합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5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단말(50)에는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511)(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5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5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5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전자기기는 또한 네트워크 측 장비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장비(600)는 안테나(61), 무선 주파수 장치(62), 베이스 밴드 장치(63)를 포함한다. 안테나(61)는 무선 주파수 장치(62)에 연결된다. 상향링크 방향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62)는 안테나(61)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 밴드 장치(63)로 송신한다. 하향링크 방향에서, 베이스 밴드 장치(63)는 송신할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무선 주파수 장치(62)로 송신하고, 무선 주파수 장치(62)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한 후 안테나(61)를 통해 송신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베이스 밴드 장치(63)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베이스 밴드 장치(63)는 프로세서(64) 및 메모리(65)를 포함한다.
베이스 밴드 장치(63)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밴드 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베이스 밴드 보드에는 다수의 칩이 설정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중 하나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64)로서 메모리(65)에 연결되어 메모리(65)의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측 장비의 동작을 수행한다.
베이스 밴드 장치(63)는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62)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6)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 인터페이스는 공용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다수의 처리 구성요소의 총칭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CPU 또는 ASIC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집적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DSP) 또는 하나 이상의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일 수 있다. 저장 소자는 메모리일 수 있고, 다수의 저장 소자의 총칭일 수 있다.
메모리(65)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삭제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자 삭제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증강된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 등과 같은 수많은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다. 본 출원에서 설명된 메모리(65)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 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칩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 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급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으로 불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하나의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 방법에서의 방법 및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따라 기본적으로 동시적인 방식 또는 역순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설명된 방법은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 부분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되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특정 실시예들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주지 및 청구범위에 따른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32)

  1. 단말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MAC 엔티티가 생성된 MAC PDU를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다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면,
    상기 제1 지시 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지시 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된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참(true)으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면,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3 값일 때, 채널 상태 정보(CSI) 요청이 전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4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5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된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하면,
    상기 제3 지시 필드의 값이 제6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지시 필드의 값이 제7 값일 때, skipUplinkTxDynamic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는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복조된 후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어느 하나의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는 경우, 스케줄링된 PUSCH가 K번의 전송을 반복하도록 구성되거나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지시될 때, 상기 MAC 엔티티는 다수의 반복되는 MAC PDU를 생성하고,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10. 제4항, 제5항,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은,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되는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MAC 엔티티가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HARQ 엔티티를 찾아낸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가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하지 않은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할당된 자원이 전송할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과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지 않는 것;
    상기 MAC PDU가 0개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포함하는 것;
    상기 MAC PDU가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BSR)만을 포함하고 논리 채널 그룹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MAC PDU가 패딩 BSR만을 포함하는 것; 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가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과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된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면 상기 MAC 엔티티가 항상 MAC PDU를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는 경우, 스케줄링된 PUSCH가 K번의 전송을 반복하도록 구성되거나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지시될 때, 상기 MAC 엔티티는 K개 또는 M개의 반복되는 MAC PDU를 생성하고, M은 중첩되는 PUCCH 자원과 PUSCH 자원의 개수이고,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M은 1보다 크거나 같고 K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반복 전송 유형이 B인 경우, 반복되는 상기 MAC PDU는 명목 반복 전송 또는 PUCCH 자원과 중첩되는 첫 번째 또는 마지막의 실제 반복 전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15.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의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가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다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면,
    상기 제1 지시 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지시 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된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참(true)으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으로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면,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3 값일 때, 채널 상태 정보(CSI) 요청이 전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4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2 지시 필드의 값이 제5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된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하면,
    상기 제3 지시 필드의 값이 제6 값일 때,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항상 생성하도록 지시하며; 및/또는
    상기 제3 지시 필드의 값이 제7 값일 때, skipUplinkTxDynamic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은,
    상기 MAC 엔티티에 구성되는 skipUplinkTxDynamic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설정되고, 상기 MAC 엔티티가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HARQ 엔티티를 찾아낸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가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하지 않은 것;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할당된 자원이 전송할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과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지 않는 것;
    상기 MAC PDU가 0개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포함하는 것;
    상기 MAC PDU가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BSR)만을 포함하고 논리 채널 그룹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MAC PDU가 패딩 BSR만을 포함하는 것; 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방법.
  22. 단말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1 지시 정보, 물리 계층 엔티티에 의해 상기 MAC 엔티티로 송신된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생성된 MAC PDU를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다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어느 하나의 상향링크 전송 스키핑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MAC 엔티티가 MAC 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물리 계층 엔티티가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과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장치.
  26.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단말의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가 현재 스케줄링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엔티티에 대해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지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독립적인 제1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지시 정보와 공동 인코딩되어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의 제2 지시 필드를 차지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다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필드를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장치.
  28. 전자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9.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칩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3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2.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227043314A 2020-05-12 2021-05-1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구성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KR20230008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99508.9A CN113660692B (zh) 2020-05-12 2020-05-12 协议数据单元生成方法、配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202010399508.9 2020-05-12
PCT/CN2021/093016 WO2021228077A1 (zh) 2020-05-12 2021-05-11 协议数据单元生成方法、配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861A true KR20230008861A (ko) 2023-01-16

Family

ID=7847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314A KR20230008861A (ko) 2020-05-12 2021-05-1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구성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62421A1 (ko)
EP (1) EP4152870A4 (ko)
JP (1) JP2023525145A (ko)
KR (1) KR20230008861A (ko)
CN (2) CN113660692B (ko)
WO (1) WO2021228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6208A (zh) * 2021-12-23 2023-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信息传输指示方法、装置及终端
CN117915474A (zh) * 2022-10-18 2024-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uwb的调度方法和相关产品
CN115696528B (zh) * 2022-10-31 2023-07-04 上海新基讯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5g nr系统的物理层调度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398A1 (ko) * 2015-04-28 2016-11-0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쟁 기반 자원을 이용한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750532B2 (en) * 2016-12-07 2020-08-18 Ofinno, Llc Semi-persistent scheduling transmission selection
JP2020098946A (ja) * 2017-04-07 2020-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60692B (zh) 2024-04-26
CN113660692A (zh) 2021-11-16
WO2021228077A1 (zh) 2021-11-18
EP4152870A1 (en) 2023-03-22
JP2023525145A (ja) 2023-06-14
US20230062421A1 (en) 2023-03-02
EP4152870A4 (en) 2023-10-18
CN118075813A (zh)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3435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76570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hip, and system
KR20230008861A (ko)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구성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KR102303022B1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단말 장치
JP2019503620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3764579B1 (en) Uplink sounding signal triggering method and system, and apparatus
WO2019051806A1 (zh)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083472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445111B1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equipment, and terminal equipment
CN109560946B (zh) 数据传输失败的处理方法及装置
CN112272388B (zh) 传输信息的方法和设备
EP3637892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0061958A1 (zh) 接收信息、发送信息的方法和设备
JP2021512518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端末装置
US2019023924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09792312A (zh) 一种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20045141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저장 매체
JP7080904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JPWO2021228077A5 (ko)
JP6895505B2 (ja) 基地局、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11107646B (zh) 信息传输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