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378A -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378A
KR20230008378A KR1020210088949A KR20210088949A KR20230008378A KR 20230008378 A KR20230008378 A KR 20230008378A KR 1020210088949 A KR1020210088949 A KR 1020210088949A KR 20210088949 A KR20210088949 A KR 20210088949A KR 20230008378 A KR20230008378 A KR 20230008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space
information
adverti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269B1 (ko
Inventor
황성욱
서지안
Original Assignee
애드스팟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드스팟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드스팟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2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광고용 임대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광고 공간의 거래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공간정보를 전송하는 공간주 단말기와, 광고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을 분석한 후 카운팅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광고주 단말기와, 광고 공간에 설치된 광고물의 온라인 접속수단을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공간정보와 광고정보를 저장하고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추출하며 광고정보와 공간정보로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물에 도입하며, 상기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카운팅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광고비 자동 정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주는 벽면, 창문, 테이블 등을 활용해 수익을 얻을 수 있고, 광고주는 광고 공간별로 광고물의 홍보효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운영자는 공간주와 광고주를 온라인상에서 편리하게 연결시켜줄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BROKERAGE SYSTEM AND BROKERAGE METHOD OF OFFLINE ADVERTISING THROUGH ONLINE}
본 발명은 오프라인 광고 공간의 제공자와 광고주를 온라인을 통해 연결해 주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고물을 광고할 오프라인 공간을 설정한 광고주와 오프라인 광고 공간의 제공자를 온라인으로 연결시켜 주며, 상기 광고물을 통해 고객의 광고주 사이트의 접속을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주가 특정 상품이나 아이디어, 서비스를 대중 매체를 이용하여 유료로 소비자에게 알리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가 광고이다.
이러한 광고는 통상적으로 상품, 아이디어,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알리거나 구매를 권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자동차 등 제품 광고에서는 그 제품이 광고 내용이 되고, 정치 광고에서는 후보자나 정당의 정책, 의견 등이 광고 내용이 된다. 이처럼 모든 광고에는 소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게 마련이다.
또한, 광고는 신문이나 잡지, TV, 라디오 등의 매스 미디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 노출될 수도 있고, 옥외에 대형 광고판을 이용하여 소비자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이때, 광고판은 사람의 왕래가 잦은 번화가, 공공장소, 지하철역, 기차역 등에 주로 설치하여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 아이디어 등을 널리 알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오프라인으로 설치되어 있는 광고는 대부분 고가의 광고비용이 사용되기 때문에 광고주는 기업체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또한, 오프라인으로 설치되어 있는 광고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유심히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고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옥외에 설치된 광고판을 통해 이벤트를 실시하기에는 상당한 비용 부담이 따르게 되고, 이벤트 등은 일회성에 그치게 되므로 장기적으로 볼 때 오프라인 광고 효과도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에 힘입어 온라인을 통한 광고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온라인 광고는 웹 사이트의 배너 광고와 같이 특정 영역에 광고를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 팝업 창을 통해 제공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온라인 사이트의 접속자가 배너 광고를 클릭하면 배너 광고에 대한 광고주의 웹 사이트가 노출되고, 광고주는 광고대행사에게 광고료를 지급하는 것이다. 배너 광고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너 광고 역시 배너 광고 자체에 관심이 없는 사용자들이 많아 효과적인 홍보수단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배너 광고 자체에 광고주와 광고 내용이 이미 요약되어 나타나 있어도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대충 보고 지나치기 때문에 기억조차 하지 못하며, 어쩌다 배너 광고를 클릭하여 광고주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어도 바로 해당 웹 사이트를 닫아 버리게 되어, 광고주 입장에서는 클릭으로 인해 광고료만 지급하고 효과적인 광고 수단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2139호로 "오프라인 광고 공간의 거래 시스템"의 발명이 공개되었다.
상기 발명은 개인이 소유한 오프라인 광고 공간에 대한 이용 권한을 손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광고 공간 판매자와 광고 공간 구매자를 온라인을 통해 연결시켜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었다. 그리고 별다른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던 부동산과 동산의 외형의 표면을 하나의 광고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발명은 광고 공간에 설치된 광고물의 홍보효과를 광고주가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광고 공간 판매자 또한 광고물의 유지관리 정도에 따라 보상이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광고물에 대한 능동적 관리의 유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2139호(2017.03.06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6261호(2012.11.2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7969호(2013.10.0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5639호(2012.07.0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인터넷 기반의 이점인 신속한 정보 전달 능력을 활용하여 오프라인 광고 공간의 제공자와 광고주를 연결시켜 주고, 광고 공간의 제공자가 광고주 사이트의 접속을 유도할 수 있는 광고물을 광고 공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오프라인 광고물을 통해 온라인으로 고객이 접속할 때 광고 공간의 제공자에게 광고비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제2 목적은 광고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광고 공간의 소유자에게 부가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광고주에게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광고 공간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광고효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간주로부터 입력받은 광고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공간주 단말기와, 광고주로부터 입력받은 광고물 이미지, 광고주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광고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 중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접속한 고객을 분석하여 카운팅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카운팅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광고주 단말기와, 상기 광고 공간에 설치된 광고물의 온라인 접속수단을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공간주 단말기와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와 광고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광고정보의 인터넷 주소에 상기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의 식별정보가 부가된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물에 도입하며, 상기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카운팅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운영서버가 광고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공간정보에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광고공간정보 등록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광고주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정보를 등록받는 광고정보 등록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추출하는 매칭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광고정보의 인터넷 주소 및 상기 광고정보와 매칭된 공간정보의 식별정보를 사용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는 인터넷주소 생성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물에 도입하는 컨버전단계와, 상기 광고물에 도입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고객 단말기가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하면, 광고주 단말기가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통해 공간주를 확인하여 카운팅정보를 생성하는 카운팅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로 광고주 단말기의 카운팅정보가 수신되면 운영서버가 상기 카운팅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하는 정산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공간의 제공자와 광고주를 온라인상으로 편리하게 연결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공간 제공자가 유리창, 벽면, 테이블 등을 광고용 공간으로 활용해 광고물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소득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광고주가 광고대상 상품별로 적합한 광고 공간을 선택할 수 있고, 광고 공간별 광고물의 홍보효과를 광고주가 직접 확인할 수 있으므로, 주 고객층에게 노출 빈도가 높은 공간들을 광고주가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 대비 우수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광고매체로 신문이나 방송 대신 유리창, 벽면, 테이블 등을 활용하기 때문에 대기업 위주의 광고에서 벗어나 중소기업, 소상공인, 개인도 상품의 광고를 저렴한 가격에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광고물을 광고 공간에 부착하는 행위도 광고 공간 제공자가 진행하기 때문에 광고물을 설치하는 비용이 별도로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이하, '광고 중개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시스템은 오프라인 광고 공간의 제공자(이하, '공간주'라고 약칭함)와 광고주를 온라인을 통해 연결해 주고 고객이 광고물을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할 때 광고비를 공간주에게 정산해 주는 것으로, 공간주가 소유한 공간주 단말기(100)와, 광고주가 소유한 광고주 단말기(200)와, 광고 공간에 설치된 광고물을 통해 광고 사이트에 접속하는 고객 단말기(300), 및 온라인을 통해 공간주 단말기(100)와 광고주 단말기(200)를 연결시켜 주는 운영서버(4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시스템은 공간주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주 단말기(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400)에 연결된 것으로, 공간주로부터 입력받은 광고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인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 공간주 단말기(100)는 운영서버(400)로부터 광고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개별 식별기호(Identification Number : ID)를 포함한 회원 정보를 공간주로부터 입력받아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회원 정보에는 공간주의 생년월일, 사업자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로그인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간주 단말기(100)는 광고 공간에 광고물이 설치됨을 사진 등으로 입증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 공간주 단말기(100)는 광고물의 설치여부에 대한 증명사진을 운영서버(400)나 광고주 단말기(200)에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이는, 광고물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광고비에 지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공간주 단말기(100)는 운영서버(400)에 원활히 접속하여 운영서버(400)에서 제공하는 광고 중개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주 단말기(100)에 설치된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공간주에 의해 접속인증이 완료된 이후 광고 공간의 정보를 입력받고, 등록된 ID를 이용해 공간주로부터 입력받은 광고물을 설치할 수 있는 광고 공간의 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광고 공간은 광고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부동산과 동산의 외형의 표면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광고 공간의 정보는 광고 공간의 대상(부동산, 동산)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위치가 고정된 부동산과 달리 동산은 공간주에 의해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동산에 설치된 광고물은 동산의 위치와 광고노출 시간에 따라 광고 효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광고 공간을 제공하는 대상이 부동산인 경우, 광고 공간의 정보는 부동산의 위치, 부동산의 종류, 광고 공간의 사진, 광고 공간의 면적, 광고가능기간, 유동인구수, 타겟 연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타겟 연령은 공간주가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입력할 수도 있지만, 운영서버(400)가 부동산의 위치 및 부동산의 종류를 분석하여 타겟 연령을 지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광고 공간을 제공하는 대상이 동산인 경우, 광고 공간의 정보는 동산의 종류, 광고노출 가능지역, 광고노출 가능시간, 광고 공간의 사진, 광고 공간의 면적, 광고가능기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편, 공간주 단말기(100)에 설치된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공간주가 광고 공간에 설치할 광고물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광고 공간이 상가인 경우 상가의 인테리어와 어울리지 않는 광고물을 제외시키며, 상가의 상품 판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광고물도 제외시키기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광고물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광고비가 정산되지 않기 때문에 공간주가 보다 많은 광고비를 정산 받을 가능성이 높은 광고물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서버(400)로부터 광고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광고요청정보를 공간주 단말기(100)에 저장하고, 공간주의 선택에 따라 광고요청정보를 공간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간주 단말기(100)의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서버(400)로부터 광고 공간에 대한 광고요청정보가 수신되면, 공간주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광고요청 중 어느 하나의 광고요청에 대한 공간주 승인을 입력받는 응답페이지를 공간주 단말기(100)의 화면으로 출력한다. 이때,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주의 광고요청에 대한 공간주 승인신호 또는 공간주 거절신호를 공간주로부터 입력받는 승인버튼(예)과 거절버튼(아니오)을 응답페이지에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광고물에 대한 공간주 승인신호를 운영서버(400)로 송신한 후, 운영서버(400)로부터 매칭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매칭승인정보를 공간주 단말기(100)에 저장한다.
상기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공간주가 입력한 검색 정보에 매칭된 광고정보를 운영서버(400)로부터 수신받아 공간주 단말기(100)의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정보의 입찰요청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송신한 후, 운영서버(400)로부터 광고정보의 매칭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매칭승인정보를 공간주 단말기(100)에 저장하고, 공간주의 선택에 따라 마이 페이지 등에서 매칭승인정보를 공간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간주 단말기(100)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서버(400)로부터 광고비의 정산완료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정산완료 정보를 공간주 단말기(100)에 저장하고, 공간주의 선택에 따라 마이 페이지 등에서 정산완료 정보를 공간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간주 단말기(100)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주 단말기(100)의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서버(400)부터 광고물 수정 이미지가 제공되면, 공간주의 승인에 따라 상기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프린터나 광고물 출력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간주 단말기(100)는 프린터와 광고물 출력장치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광고물 수정 이미지가 프린터를 통해 인쇄되어 광고물이 생성되면 공간주는 광고 공간상에 상기 광고물을 설치하며, 광고물 수정 이미지가 광고 공간상에 설치된 광고물 출력장치로 제공되면 광고물 출력장치가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주 단말기(100)의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서버(400)부터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제공되면, 공간주의 승인에 따라 상기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광고물 출력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광고 공간상에 설치된 광고물 출력장치로 제공되면, 광고물 출력장치는 광고물 이미지를 영상으로 출력고, 자체 내장된 NFC 태그나 RFID 태그로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며, 광고물 출력장치에 접근하는 고객 단말기로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제공한다.
이러한 공간주 단말기(10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광고 공간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 단말기로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갖는 데스크탑 컴퓨터, 통신 단말기, 스마트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공간주 단말기(100)에 설치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오프라인 광고 공간 대신 온라인 광고 공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공간주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광고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는 공간주가 소유한 웹사이트의 인터넷 주소, 웹사이트의 종류, 웹사이트의 주제, 월간 또는 년간 접속자수, 타겟 연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공간주 단말기(100)는 운영서버(400)로부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전송되면,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공간주가 소유한 웹사이트에 업로드 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방문한 고객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나 이에 연계된 광고 이미지를 클릭할 때 팝업창을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시스템은 광고물 출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물 출력장치는 공간주 단말기(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공간주가 소유한 광고 공간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에 광고물 이미지나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또한, 광고물 출력장치는 RFID 태그, NFC 태그 등이 포함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내장하고, 공간주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에 입력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 단말기(300)에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물 출력장치로는 키오스크, 태블릿 PC, 모니터, 스마트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시스템은 광고주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주 단말기(200)는 운영서버(4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광고주로부터 입력받은 광고물 이미지, 광고주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광고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인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광고정보는 광고물의 설치지역, 광고 공간의 종류, 광고노출 가능시간, 광고 공간의 면적, 광고노출 가능기간, 유동인구수, 타겟 연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정보에는 공간정보와 매칭을 위해 공간정보와 동일한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고주 단말기(200)는 광고비 정산을 위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 중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접속한 고객을 분석하여 카운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카운팅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광고주 사이트를 별도의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경우에는 광고주 단말기(200)가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카운팅정보를 수집한다.
필요에 따라, 광고주 단말기(200)는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의 구매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구매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카운팅정보와 함께 구매정보도 공간주에 대해 광고비를 정산하는 기준으로 반영하기 위함이다.
상기 광고주 단말기(200)는 광고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ID를 포함한 회원 정보를 광고주로부터 입력받아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회원 정보에는 광고주의 법인번호, 생년월일, 주소, 전화번호, 로그인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광고주 단말기(200)는 광고 공간의 검색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고주 단말기(200)에 설치된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주에 의해 접속인증이 완료된 이후 광고 공간의 검색 정보를 입력받고, 등록된 ID를 이용해 광고주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주가 입력한 검색 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운영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받아 광고주 단말기(200)의 화면으로 출력한다.
상기 광고주 단말기(200)에 설치된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서버(400)로부터 입찰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찰요청정보를 광고주 단말기(200)에 저장하고, 광고주의 선택에 따라 마이 페이지 등에서 입찰요청정보를 광고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광고주 단말기(200)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서버(400)로부터 입찰요청정보가 수신되면, 광고주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입찰요청 중 어느 하나의 입찰요청에 대한 광고주 승인을 입력받는 응답페이지를 광고주 단말기(200)의 화면으로 출력한다. 이때,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공간주의 입찰요청에 대한 광고주 승인신호 또는 광고주 거절신호를 광고주로부터 입력받는 승인버튼(예)과 거절버튼(아니오)을 응답페이지에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입찰요청정보에 대한 광고주 승인신호를 운영서버(400)로 송신한 후, 운영서버(400)로부터 매칭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매칭승인정보를 광고주 단말기(200)에 저장한다.
한편, 광고주 단말기(200)에 설치된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주가 홍보가 필요한 광고물의 광고 공간을 수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주 단말기(200)에 설치된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주에 의해 접속인증이 완료된 이후 광고정보를 입력받고, 등록된 ID를 이용해 광고주로부터 입력받은 광고정보와 광고요청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운영서버(400)로부터 수신받아 광고주 단말기(200)의 화면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공간정보에 대한 광고요청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송신한 후, 운영서버(400)로부터 매칭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매칭승인정보를 광고주 단말기(200)에 저장한다.
이러한 광고주 단말기(200)로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통신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광고주 단말기(200)에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 단말기(300)는 광고 공간에 방문한 고객이 소유한 단말기로, 광고 공간에 설치된 광고물의 온라인 접속수단을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다.
이를 위해, 고객 단말기(300)에는 광고물의 온라인 접속수단으로부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수집하여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고객 단말기(300)에는 온라인 접속수단으로부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수집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 및 QR코드 스캔앱, QR코드 스캐너, RFID 리더기, NFC 리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고객 단말기(300)는 QR코드 스캔앱을 실행시킨 후 광고물이나 광고물 출력장치에 표시된 QR코드를 인식시켜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수집하고,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다.
또한, 고객 단말기(300)는 광고물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수집하고,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다.
아울러, 고객 단말기(300)는 광고물 출력장치에 내장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수집하고,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다.
이러한 고객 단말기(300)로는 온라인 접속수단을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어떤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객 단말기(300)는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후 고객의 선택에 따라 광고주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시스템은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는 운영서버(400)의 요청에 따라 광고물을 제작하여 공간주에게 배송해 주는 광고물 제작자가 소유한 단말기로, 광고물 제작과 배송을 위해 운영서버(400)로부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정보의 공간주소를 수신받는다.
여기서, 광고물 제작자는 상기 광고물 이미지와 온라인 접속수단이 포함된 광고물을 제작하는 개인 또는 단체이다. 또한, 온라인 접속수단으로는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입력된 QR코드, 바코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는 RFID 태그, NFC 태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는 운영서버(400)가 공간주로 배송된 광고물의 배송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광고물 이미지와 온라인 접속수단이 포함된 광고물을 상기 공간주소로 배송하는 배송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제공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로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정보의 공간주소가 전송되면, 광고물 제작자는 광고물 이미지가 프린트된 광고물을 제작하고,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입력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제작하며, 상기 광고물과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상기 공간주소로 배송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로 광고물 수정 이미지 및 공간정보의 공간주소가 전송되면, 광고물 제작자는 광고물 수정 이미지가 프린트된 광고물을 제작하고, 상기 광고물을 상기 공간주소로 배송한다.
이와 같이, 광고물 제작자가 공간주에게 제공한 배송품에는 바코드나 QR코드가 드러난 광고물이 포함되거나, 바코드나 QR코드가 드러나지 않은 광고물과 RFID 태그나 NFC 태그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시스템은 운영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공간주 단말기(100)와 광고주 단말기(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공간주 단말기(100)와 광고주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와 광고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광고정보의 인터넷 주소와 상기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의 식별정보를 사용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물에 도입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광고주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카운팅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한다. 필요에 따라, 운영서버(400)는 광고주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구매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한다. 다시 말해, 운영서버(400)는 광고주 단말기(200)로부터 카운팅정보와 구매정보가 제공되면, 카운팅정보와 구매정보를 기준으로 광고비를 공간주에게 정산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공간주 단말기(100)와 광고주 단말기(200)의 응답에 따라 공간주와 광고주의 매칭이 성사되면 매칭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칭승인정보를 공간주 단말기(100)와 광고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400)는 광고 공간에 설치할 광고물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광고주 단말기(200)와 매칭된 공간주 단말기(100)로 광고물 이미지에 온라인 접속수단이 도시된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전송한다. 이때, 온라인 접속수단으로는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바코드나 QR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라인 접속수단이 도시된 광고물 수정 이미지가 공간주 단말기(100)로 제공되면,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공간주의 승인에 따라 프린터로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제공하거나, 광고물 출력장치로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 경우, 공간주가 소유한 광고 공간상에는 광고물 수정 이미지가 프린트된 광고물이 설치될 수도 있고, 광고물 출력장치를 통해 광고물 수정 이미지가 영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400)는 광고 공간에 설치할 광고물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광고주 단말기(200)와 매칭된 공간주 단말기(100)로 광고물 이미지와,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광고물 이미지와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공간주 단말기(100)로 제공되면,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은 공간주의 승인에 따라 광고물 출력장치로 광고물 이미지와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제공한다.
이 경우, 공간주가 소유한 광고 공간상에는 광고물 출력장치를 통해 광고물 이미지가 영상으로 출력되며, 광고물 출력장치에 구비된 NFC 태그나 RFID 태그를 통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고객 단말기로 제공된다.
제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400)는 광고 공간에 설치할 광고물을 제작하여 공간주에게 제공할 수 있게 광고주 단말기(200)와 매칭된 공간주 단말기(100)로 광고물 수정 이미지나 광고물 이미지를 전송하는 대신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정보의 공간주소를 외부인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운영서버(400)는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로 광고물 이미지 대신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정보의 공간주소가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로 제공되면, 광고물 제작자에 의해 광고물이 제작된 후 공간주에게 우편이나 택배 등을 통해 배송된다.
이 경우, 공간주가 소유한 광고 공간상에는 광고물 제작자로부터 배송된 광고물이 설치된다.
한편, 운영서버(400)는 공간주 DB, 광고주 DB, 공간정보 DB, 광고정보 DB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중간관리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회원 정보를 취합하여 공간주 DB와 광고주 DB에 저장하고, 공간주 단말기(100)의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된 광고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취합하여 공간정보 DB에 저장한다. 그리고 운영서버(400)는 광고주 단말기(200)의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된 광고정보를 취합하여 광고정보 DB에 저장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제1 광고주 단말기(200)의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검색요청정보가 제공되면, 공간정보 DB를 검색하여 상기 제1 광고주 단말기(200)가 제공한 광고정보에 매칭된 한 개 이상의 공간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공간정보를 해당 광고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광고주는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광고주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영서버(400)는 상기 제1 광고주 단말기(200)의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공간정보에 대한 광고요청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광고요청정보를 중간관리 DB에 저장하고, 선택된 공간정보를 제공한 제1 공간주 단말기(100)로 광고요청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운영서버(400)는 광고요청정보를 송신한 제1 공간주 단말기(100)로부터 공간주 승인신호가 제공되면, 매칭승인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광고주 단말기(200)와 제1 공간주 단말기(100)에 매칭승인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제2 공간주 단말기(100)의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검색요청정보가 제공되면, 광고정보 DB를 검색하여 상기 제2 공간주 단말기(100)가 제공한 공간정보에 매칭된 한 개 이상의 광고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광고정보를 해당 공간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공간주는 공간정보에 매칭된 광고정보를 공간주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영서버(400)는 상기 제2 공간주 단말기(100)의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광고정보에 대한 입찰요청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입찰요청정보를 중간관리 DB에 저장하고, 선택된 광고정보를 제공한 제2 광고주 단말기(200)로 입찰요청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운영서버(400)는 광고요청정보를 송신한 제2 광고주 단말기(200)로부터 광고주 승인신호가 제공되면, 매칭승인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광고주 단말기(200)와 제2 공간주 단말기(100)에 매칭승인신호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공간주는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인증을 수행한 후, 자신의 회원 계정으로 제공된 광고요청정보를 공간주 단말기(100)의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광고주는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인증을 수행한 후, 자신의 회원 계정으로 제공된 입찰요청정보를 광고주 단말기(200)의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단일의 광고 공간에 대해 광고요청정보가 복수개로 전송되거나, 단일의 광고물에 대한 입찰요청정보가 복수개로 전송되면, 중간관리 DB에 광고요청정보와 입찰요청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운영서버(400)는 선택요청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요청 리스트를 상기 단일의 광고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업로드 한 공간주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또한, 운영서버(400)는 선택요청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요청 리스트를 상기 단일의 광고물에 대한 광고정보를 업로드 한 광고주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다시 말해, 공간주는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인증을 수행한 후, 자신의 회원 계정으로 제공된 선택요청 리스트를 공간주 단말기(100)의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고주는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인증을 수행한 후, 자신의 회원 계정으로 제공된 선택요청 리스트를 광고주 단말기(200)의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광고주 단말기(200)에 설치된 광고 중개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결제정보가 전송된 경우, 중간관리 DB에 결제정보를 저장하고, 광고주의 회원 계정에 결제정보에 상응하는 마일리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운영서버(400)는 광고주 단말기(200)로부터 카운팅정보가 제공되면, 카운팅정보에 포함된 공간주별 카운팅 횟수를 추출하고, 공간주별로 카운팅 횟수에 따라 광고비를 정산하며, 정산된 광고비를 상기 마일리지에서 차감한다.
이때, 광고주 단말기(200)는 광고비 정산을 위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 중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접속한 고객을 분석하여 카운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카운팅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한편, 운영서버(400)는 공간주의 오프라인 광고 공간 대신 온라인 광고 공간을 이용하는 경우, 광고정보의 인터넷 주소와 상기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의 식별정보를 사용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공간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방법은 공간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공간정보에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광고공간정보 등록단계(S100)와, 광고주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정보를 등록받는 광고정보 등록단계(S200)와,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추출하는 매칭단계(S300)와,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는 인터넷주소 생성단계(S400)와,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물에 도입하는 컨버전단계(S500)와,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통해 광고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을 확인하여 카운팅정보를 생성하는 카운팅단계(S600), 및 상기 카운팅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공간주에게 정산하는 정산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공간정보 등록단계(S100)에서는 운영서버(400)가 광고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공간정보에 식별정보를 부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공간정보 등록단계(S100)에서는 공간주 단말기(100)가 운영서버(400)에 접속하여 운영서버(400)에 광고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등록하면, 운영서버(400)는 상기 공간정보에 식별정보를 부여하며, 식별정보가 부여된 공간정보를 운영서버(400)에 저장한다.
상기 광고정보 등록단계(S200)에서는 운영서버(400)가 광고주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정보를 등록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정보 등록단계(S200)에서는 광고주 단말기(200)가 운영서버(400)에 접속하여 운영서버(400)에 광고주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정보를 등록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광고정보를 운영서버(400)에 저장한다.
상기 매칭단계(S300)에서는 운영서버(400)가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매칭단계(S300)에서는 광고주 단말기(200)의 검색 요청에 따라 운영서버(400)가 저장된 공간정보 중 상기 광고주 단말기(200)가 제공한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상기 인터넷주소 생성단계(S400)에서는 고객 단말기(300)가 광고물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를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할 때 상기 인터넷 주소를 홍보한 공간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인터넷주소 생성단계에서는 운영서버(400)가 광고주 단말기(200)가 제공한 광고정보의 인터넷 주소와, 상기 광고정보와 매칭된 공간정보의 식별정보를 사용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넷주소 생성단계(S400)에서는 운영서버(400)가 광고주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광고주 단말기(200)가 제공한 광고정보로부터 광고주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인터넷 주소와 식별정보를 사용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한다.
상기 컨버전단계(S500)에서는 광고물을 통해 고객 단말기(300)가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광고물에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도입한다. 이를 위해, 컨버전단계에서는 운영서버(400)가 인터넷주소 생성단계를 통해 생성된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물에 도입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컨버전단계(S500)는 온라인 접속수단으로 QR코드가 도시된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광고물 생성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버전단계(S500)는 광고물 생성과정 이후에 광고물 전송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물 전송과정에서는 공간주가 직접 광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운영서버(400)가 광고물 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공간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컨버전단계(S500)는 상기 광고물 생성과정 이후에 제1 광고물 제작의뢰과정, 및 광고물 배송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고물 제작의뢰과정에서는 운영서버(400)가 공간주 대신 광고물 제작자가 광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상기 광고물 수정 이미지와 공간정보의 공간주소를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광고물 배송과정에서는 공간주가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가 광고물 수정 이미지로 생산된 광고물을 공간정보의 공간주소로 배송한 배송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운영서버(400)는 공간주 단말기(100)와 광고주 단말기(200)에 광고물에 대한 배송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컨버전단계(S500)는 제2 광고물 제작의뢰과정, 및 광고물 배송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광고물 제작의뢰과정에서는 운영서버(400)가 공간주 대신 광고물 제작자가 광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정보의 공간주소를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운영서버(400)는 광고물에 QR코드 대신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적용하기 위해 광고물 수정 이미지 대신 광고물 이미지를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상기 광고물 배송과정에서는 공간주가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가 광고물 이미지와 근거리 무선통신형 온라인 접속수단으로 생산된 광고물을 공간정보의 공간주소로 배송한 배송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형 온라인 접속수단으로는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저장된 RFID 태그나 NFC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운팅단계(S600)에서는 광고물에 도입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통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고객 단말기(300)가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하면, 광고주 단말기(200)가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통해 공간주를 확인하여 카운팅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광고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에는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 이외에 공간주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기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광고주 단말기(200)는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분석하면 고객 단말기(300)의 접속 경로인 광고물을 홍보한 공간주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식별기호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이들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카운팅단계(S600)에서는 광고주 단말기(200)가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의 상품 구매에 따라 구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주 단말기(200)는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의 활동을 추척하고, 상기 고객이 광고주 사이트 내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구매정보를 생성한 후 운영서버(400)로 구매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정산단계(S700)에서는 운영서버(400)로 광고주 단말기(200)의 카운팅정보가 수신되면 운영서버(400)가 상기 카운팅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한다. 이때, 운영서버(400)는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 중 미리 지정된 비율로 운영비용을 제외하여 보상비용을 결정하고, 상기 보상비용으로 공간주에게 광고비를 정산한다.
또한, 광고비는 공간주의 회원 계정에 마일리지로 지급하거나, 공간주가 지정된 은행 계좌에 계좌이체로 지급할 수 있다.
아울러, 정산단계(S700)에서는 운영서버(400)로 광고주 단말기(200)의 구매정보가 수신되면, 운영서버(400)가 상기 구매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한다.
이러한 광고공간정보 등록단계(S100), 광고정보 등록단계(S200), 매칭단계(S300), 인터넷주소 생성단계(S400), 컨버전단계(S500), 카운팅단계(S600), 및 정산단계(S700)에서는 전술한 광고 중개 시스템에 포함된 세부구성(공간주 단말기(100), 광고주 단말기(200), 고객 단말기(300), 운영서버(400))들이 사용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공간주 단말기 200 : 광고주 단말기
300 : 고객 단말기 400 : 운영서버

Claims (13)

  1. 공간주로부터 입력받은 광고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공간주 단말기;
    광고주로부터 입력받은 광고물 이미지, 광고주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광고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 중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접속한 고객을 분석하여 카운팅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카운팅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광고주 단말기;
    상기 광고 공간에 설치된 광고물의 온라인 접속수단을 통해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공간주 단말기와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와 광고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광고정보의 인터넷 주소와 상기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의 식별정보를 사용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물에 도입하며, 상기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카운팅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광고물 이미지에 온라인 접속수단이 도시된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상기 공간주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접속수단은 QR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정보의 공간주소를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정보의 공간주소를 수신받으며, 상기 광고물 이미지와 온라인 접속수단이 포함된 광고물을 상기 공간주소로 배송하는 배송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접속수단은 QR코드, RFID 태그, NFC 태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 단말기는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의 구매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구매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구매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7. 운영서버가 광고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공간정보에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광고공간정보 등록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광고주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정보를 등록받는 광고정보 등록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광고정보에 매칭된 공간정보를 추출하는 매칭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광고정보의 인터넷 주소 및 상기 광고정보와 매칭된 공간정보의 식별정보를 사용해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는 인터넷주소 생성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광고물에 도입하는 컨버전단계;
    상기 광고물에 도입된 온라인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고객 단말기가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하면, 광고주 단말기가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를 통해 공간주를 확인하여 카운팅정보를 생성하는 카운팅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로 광고주 단말기의 카운팅정보가 수신되면 운영서버가 상기 카운팅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하는 정산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전단계는
    온라인 접속수단으로 QR코드가 도시된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광고물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전단계는
    상기 광고물 생성과정 이후에 공간주가 직접 광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광고물 수정 이미지를 공간주 단말기로 전송하는 광고물 전송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전단계는
    상기 광고물 생성과정 이후에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광고물 수정 이미지와 공간정보의 공간주소를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광고물 제작의뢰과정, 및
    공간주가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가 광고물 수정 이미지로 생산된 광고물을 상기 공간주소로 배송한 배송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광고물 배송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전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와 광고물 이미지 및 공간정보의 공간주소를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광고물 제작의뢰과정, 및
    공간주가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광고물 제작자 단말기가 광고물 이미지와 근거리 무선통신형 온라인 접속수단으로 생산된 광고물을 상기 공간주소로 배송한 배송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광고물 배송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비 자동 정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형 온라인 접속수단은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가 저장된 RFID 태그나 NFC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방법.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단계는 공간주 확인용 인터넷 주소로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의 상품 구매에 따라 구매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정산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로 광고주 단말기의 구매정보가 수신되면 운영서버가 상기 구매정보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지급된 광고비를 광고 공간에 광고물을 설치한 공간주에게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방법.
KR1020210088949A 2021-07-07 2021-07-07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57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49A KR102576269B1 (ko) 2021-07-07 2021-07-07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49A KR102576269B1 (ko) 2021-07-07 2021-07-07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378A true KR20230008378A (ko) 2023-01-16
KR102576269B1 KR102576269B1 (ko) 2023-09-08

Family

ID=8510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949A KR102576269B1 (ko) 2021-07-07 2021-07-07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269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771U (ja) * 2006-05-29 2006-08-31 株式会社大英グループ 広告ベースプレートを用いた広告立地マッチングシステム(パラメーター変動式)処理手順及び記録媒体
KR20120075639A (ko) 2010-12-20 2012-07-09 강현석 큐알코드를 이용한 지역기반 전자상거래 방법
KR20120126261A (ko) 2011-05-11 2012-11-21 (주)맥스카드시스템즈 고유코드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30035151A (ko) * 2011-09-29 2013-04-08 (주)유앤아이미디어 옥외 광고에서 차등적으로 광고비를 과금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07969A (ko) 2012-03-23 2013-10-02 (주) 앱디스코 광고중개서버 및 광고중개방법
KR20140021133A (ko) * 2012-08-08 2014-02-20 이희섭 광고 제공 시스템 및 큐알 코드 광고비용 결정방법
KR20160149379A (ko) * 2015-06-17 2016-12-28 배재광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광고 과금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1690167B1 (ko) * 2016-05-04 2017-01-02 주식회사 텐핑 콘텐츠 수용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마케터별로 광고비를 배분하는 바이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2640A (ko) * 2015-08-21 2017-03-02 서예원 오프라인 광고 공간의 거래 시스템
KR20170123129A (ko) * 2016-04-28 2017-11-07 손창민 자동차를 이용한 광고에 대한 온라인 보상 시스템 및 보상 방법
KR20180116642A (ko) * 2017-04-17 2018-10-25 전병일 광고주와 차량 소유자간의 온-오프라인 광고 중개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36610A (ko) * 2019-05-28 2020-12-08 김동재 Qr 코드를 이용한 광고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마케터 단말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771U (ja) * 2006-05-29 2006-08-31 株式会社大英グループ 広告ベースプレートを用いた広告立地マッチングシステム(パラメーター変動式)処理手順及び記録媒体
KR20120075639A (ko) 2010-12-20 2012-07-09 강현석 큐알코드를 이용한 지역기반 전자상거래 방법
KR20120126261A (ko) 2011-05-11 2012-11-21 (주)맥스카드시스템즈 고유코드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30035151A (ko) * 2011-09-29 2013-04-08 (주)유앤아이미디어 옥외 광고에서 차등적으로 광고비를 과금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07969A (ko) 2012-03-23 2013-10-02 (주) 앱디스코 광고중개서버 및 광고중개방법
KR20140021133A (ko) * 2012-08-08 2014-02-20 이희섭 광고 제공 시스템 및 큐알 코드 광고비용 결정방법
KR20160149379A (ko) * 2015-06-17 2016-12-28 배재광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광고 과금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170022640A (ko) * 2015-08-21 2017-03-02 서예원 오프라인 광고 공간의 거래 시스템
KR101712139B1 (ko) 2015-08-21 2017-03-06 서예원 오프라인 광고 공간의 거래 시스템
KR20170123129A (ko) * 2016-04-28 2017-11-07 손창민 자동차를 이용한 광고에 대한 온라인 보상 시스템 및 보상 방법
KR101690167B1 (ko) * 2016-05-04 2017-01-02 주식회사 텐핑 콘텐츠 수용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마케터별로 광고비를 배분하는 바이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6642A (ko) * 2017-04-17 2018-10-25 전병일 광고주와 차량 소유자간의 온-오프라인 광고 중개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36610A (ko) * 2019-05-28 2020-12-08 김동재 Qr 코드를 이용한 광고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마케터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269B1 (ko)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7171B2 (ja) 広報用サンプル製品の受領システム及び方法{Receipt system and method of sample products to promote a goods}
US200600364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keting community-oriented advertising opportunities
US20020120554A1 (en) Auction, imagery and retaining engine systems for services and service providers
US20120089461A1 (en) Method for improved advertising on a mobile device
CN101661592A (zh) 一种利用真实社交网络发布广告的方法
WO2014098039A1 (ja) 電子商取引支援システム、電子商取引支援方法および広告媒体
US200801835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tadata use in advertising
KR100841149B1 (ko) 전자상거래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010106187A (ko) 가맹점 홍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50038803A (ko)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150018737A (ko) 광고주와 가맹점을 매칭하여 소비자에게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20941A (ko)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인터액션 광고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KR20190112896A (ko) 오프라인 광고 매체 커머스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에스크로 거래 방법
US80555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ternet related revenue
KR100637332B1 (ko) 모바일 실시간 리서치와 그 결과에 근거한 즉시마케팅시스템 및 방법
US20130238452A1 (en) Consumer opt-in to information sharing at point of sale
CN114041158A (zh) 基于标签的广告服务系统
KR101712139B1 (ko) 오프라인 광고 공간의 거래 시스템
KR101556345B1 (ko) 광고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102576269B1 (ko)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2006244201A (ja) 金銭的特典情報返還システム、サーバ、クライアント及び金銭的特典情報返還プログラム
KR100570561B1 (ko) 오프라인상의 광고 공간에 대한 분양 사이트의 운영 방법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00059165A (ko)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을 병행한 부동산 및 부대 서비스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1341B1 (ko)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439077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