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203A - 제품 저장고 및 적어도 하나의 주문 이행 영역을 갖는 주문 이행을 위한 창고 - Google Patents

제품 저장고 및 적어도 하나의 주문 이행 영역을 갖는 주문 이행을 위한 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203A
KR20230008203A KR1020227043198A KR20227043198A KR20230008203A KR 20230008203 A KR20230008203 A KR 20230008203A KR 1020227043198 A KR1020227043198 A KR 1020227043198A KR 20227043198 A KR20227043198 A KR 20227043198A KR 20230008203 A KR20230008203 A KR 20230008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warehouse
bypass
conveyors
pi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야마시타
히로키 시노하라
다니엘 허버트
Original Assignee
데마틱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마틱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마틱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08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fixed commissioning areas remote from the storage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85Check-in, check-ou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피킹 스테이션(2)이 주문을 피킹하기 위해 제품 저장고(3)로부터 물품을 공급받고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문 이행 영역(A)을 갖는 주문 이행을 위한 창고로서, 각 피킹 스테이션(2)은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4)에 의해 물품을 공급받고 수집하며, 상기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4)은 또한 주문 컨테이너를 공급하며 각각의 피킹 스테이션(2)으로부터 빈 제품 컨테이너 및 부분 주문 또는 최종 주문의 배출을 위해 사용되며, 바이패스 컨베이어(40)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4)에 병렬로 배열되어 피킹 스테이션(2)으로 인바운드되고 피킹 스테이션(2)으로부터 아웃바운드되는 제품 및/또는 주문 트래픽은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4)으로부터 오프 로드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 저장고 및 적어도 하나의 주문 이행 영역을 갖는 주문 이행을 위한 창고
본 발명은 주문 이행을 위한 창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창고에는 피킹 스테이션이 배치되어 주문을 피킹하기 위해 제품 저장고로부터 물품을 그리고 또한 주문 컨테이너를 공급받는다. 종종 각 피킹 스테이션은 저장고 및/또는 내부에 주문 이행 영역 및 피킹 스테이션이 있는 주문 버퍼링 및 배송을 하는 다른 작업 영역, 예를 들어 수령, 피킹 구역을 연결하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제품 저장고로부터 물품을 공급받는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저장고 및 주문 이행 영역 사이, 소위 전방 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구역은 전방 구역을 분할하는 저장고의 전방의 길이를 따라 잇는 교차 통로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품이 어디로부터 운반되고(원산지) 어디로 운반되는지(발송됨)에 관계 없이 저장고로부터 주문 이행 영역 및/또는 임의의 운송 시스템으로 상품을 운송하는 컨베이어 루프에 연결될 수 있다.
상품 대 개인 원칙에 따라 피킹을 위한 피킹 스테이션을 운영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주문을 위한 상품이나 물품은 일반적으로 더 큰 랙킹 장치인 저장고로부터 각각의 피킹 스테이션으로 운송되며, 이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컨테이너(토트, 트레이 등)로 운성된다. 해당 위치에서 소위 저장고 또는 제품 컨테이너에서 제거되고 각 주문 리스트의 항목의 리스트를 기반으로 운영자에게 자세히 설명된 주문에 따라 주문의 대응하는 컨테이너, 소위 주문 컨테이너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주문 컨테이너는 주문 컨테이너 유도, 이전 피킹 구역 및/또는 주문 버퍼로부터 이행 영역 또는 피킹 스테이션으로 각각 운송된다.
저장 및 회수 기계(ASRS)의 처리 능력과 피킹 스테이션, 피킹 구역, 주문 버퍼를 포함한 주문 이행 시스템은 기술이 더욱 정교해짐에 따라 성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의 운송은 일반적으로 저장고를 피킹 스테이션 자체에 연결하는 브리징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주문 이행 영역이 저장 통로 바로 앞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포장 영역 및 및 제품 컨베이어 루프 및/또는 주문 컨테이너 유도 영역, 다른 피킹 구역 및 주문 버퍼를 포함하는 각 창고 구역을 연결하는 라우팅 컨베이어 상의 모든 통로를 지나 저장고의 전방 구역의 길이를 잇는 교차 통로 컨베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다.
따라서 이 교차 통로 컨베이어는 사전 구역 또는 전방 구역, 즉 저장고와 피킹 스테이션을 갖는 주문 이행 영역 사이의 영역을 나눈다. 이러한 의미에서 연결 컨베이어는 주문 이행 영역에 액세스하기 위해 브릿지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교환을 위해서는 교차 통로 컨베이어에도 연결되어야 한다.
교차 통로 컨베이어는 물품을 주문 이행 영역으로 운송하고 저장 랙킹의 대응하는 통로의 바로 반대편에서 주문을 배출할 뿐만 아니라 저장고 및 주문 이행 영역의 상이한 구역에서 물품과 부분 주문을 분배한다.
결과적으로 그리고 생성된 높은 부하로 인해 교차 통로 컨베이어는 시스템의 확장성을 제한하는 병목 현상이 된다.
US 2012/0282068 A1은 서로의 상부에 배열된 여러 선반 레벨을 갖는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 저장 시스템을 개시한다. 각 선반 레벨은 제품을 위한 저장 공간이 있는 선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운송 통로를 갖는다. 운송 통로에는 저장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레벨 작동 장치가 제공된다. 최소 2 대의 리프트가 제품을 선반 레벨로 가져가 그곳으로부터 가져온다. 컨베이어는 제품을 리프트를 향해 그리고 그들로부터 멀어지게 운송한다. 각각의 경우에 리프트는 공급 컨베이어와 제거 컨베이어 모두에 연결되므로 각각의 경우 컨베이어로부터 제품을 수령하고 이러한 제품을 선반 레벨로 공급하고 선반 레벨로부터 제품을 제거하고 컨베이어 상에 이들 제품을 운송하기 위해 설계된다. 특수 설계는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수직으로 서로의 위에 위치됨으로써 동시에 상이한 레벨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복 화물 플랫폼을 갖는 리프트를 포함한다.
DE 10 2018 114 026 A1은 물품의 2 단계 피킹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제어 장치를 갖는 창고 및 피킹 시스템을 개시하며, 2 단계 피킹은 제1 물품 배향 피킹 스테이지 및 제2 주문 배향 피킹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지속적으로 작동되는 루프 형상의 메인 섹션을 포함하는 분류기는 저장고 및 주문 이행 영역 사이, 즉 전방 구역에 위치된다. 각각의 보조 섹션이 바람직하게는 메쉬 형상 방식으로 메인 섹션에 결합되고 불연속적으로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섹션; 및 각각의 트레이가 섹션을 따라 이동되고 메인 섹션의 내외로 공급되도록 설계되는 복수의 분류기 트레이; 하나 이상의 분리 스테이션이 개시된다. 각각의 분리 스테이션은 보저 섹션 중 하나를 통해 메인 섹션에 결합되고 창고 컨테이너를 공급받기 위해 창고에 결합된다. 또한 제1 피킹 단계에서 각 물품을 주문 라인 기준으로 및/또는 하나의 보조 섹션 상에 위치된 트레이 중 하나로 개별적으로 운송하기 위해 창고 컨테이너에서 트레이로 물품을 운송하도록 설계된다. 제2 피킹 단계를 위한 복수의 자동 및/또는 수동 작동 타겟 지점이 포함되며, 타겟 지점 각각은 보조 섹션 중 하나에 결합되고/되거나 메인 섹션에 직접 결합된다.
전방 구역 교차 통로 컨베이어의 처리량 성능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부분적으로 그 이유는 각 AS/RS 통로에는 주어진 공간 내에서, 일반적으로 저장고의 단일 통로 폭 내에서 교차 통로 컨베이어에서 전환/통합되어야 하는 적어도 한 쌍의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컨베이어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30/45도 병합 및/또는 전환과 같은 고속 병합/전환 메커니즘을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각 피킹 스테이션(GTP)은 종종 GTP 서브 시스템의 통합 부분으로 전방 구역 컨베이어에 연결된다. 이는 또한 화물을 피킹 스테이션으로 전환하고 주어진 공간 내에서, 일반적으로 AS/RS 단일 통로 폭 내에서(위와 같이) 매우 집중적으로 교차 통로 컨베이어로 다시 병합해야 한다. 이는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컨베이어에 동일한 시스템 설계 필요성을 제공한다. 또한, GTP 인피드 및 아웃피드 라인은 종종 저장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컨베이어 라인에 정렬되어 AS/RS로부터/로 GTP 스테이션으로/으로부터 통과하는 운반 흐름을 제공한다.
이는 각진 전환/병합의 사용을 막는다.
따라서 높은 처리량을 제공하는 단순한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 존재한다.
목적은 제1항에 표시된 창고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 컨베이어가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에 병렬로 배치되어 피킹 스테이션으로 인바운드 및 피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아웃바운드되는 제품 및/또는 주문 트래픽이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으로부터 오프로드될 수 있는 경우,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이 완화되고 동시에 처리량이 증가할 수 있다.
즉,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과 병렬로 연결된 컨베이어 라인이 존재한다면, 이러한 트래픽을 바이패스 컨베이어로 오프로드함으로써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이 이끄는 특정 구역이나 영역에서 필요하지 않은 운송된 화물을 라우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트래픽 또는 재료 흐름은 피킹 주문을 위한 제품 저장고로부터 물품의 공급 및/또는 배출 및 주문 컨테이너의 공급 및/또는 배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주문 이행 영역으로부터 발송된 완료된 주문에 해당된다.
즉, 주문 컨테이너의 공급, 라우팅 및 테이크 아웃뿐만 아니라 수령 영역으로부터 제품 도너(donor)로서 새 물품을 공급(피킹 스테이션으로)하고 빈 제품 컨테이너를(피킹 스테이션으로부터) 테이크 아웃하는 작업은 모두 바이페스 컨베이어로 오프로드될 수 있다.
부분 주문 컨테이너는 이전의 사전 피킹, 예를 들어 다른 피킹 스테이션, 상이한 피킹 구역, 수동 피킹 영역 등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품 저장고 및 주문 이행 영역 및 그 내부의 피킹 스테이션 사이에서 배열된 컨베이어 시스템이다.
이는 소위 전방 구역에서 연결 컨베이어의 배열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을 배치하여 제품이 어디로부터 운반되고(원산지) 어디로 운반되는지(발송됨)에 관계 없이 저장고로부터 주문 이행 영역 및/또는 임의의 추가 운반 시스템으로 제품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루프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은 사전 구역(전방 구역)을 분할하는 저장고의 전방의 길이를 잇는 교차 통로 컨베이어이다.
일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의 아래 또는 위에, 가능하게는 바로 아래 또는 바로 위에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의 아래 또는 위에, 가능하게는 대각선 아래 또는 위에 위치된다.
다음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의 아래 또는 위에, 가능하게는 바로 그리고 대각선 아래 또는 위에 위치된다.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특히 간격을 두고 상승 또는 하강 컨베이어, 경사로(ramp) 또는 리프트에 의해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에 연결된다.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직각 운송, 기울어진 컨베이어 메커니즘 및/또는 각진 병합/전환 메커니즘에 의해 상승 및 하강 컨베이어와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는 단일 사이클링 또는 탠덤(tandem) 사이클링 리프트일 수 있다.
다시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고 이들 두 컨베이어 사이에서 90도 각도로 이어지는 연결 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병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에 리프트, 예를 들어 단일 사이클링 또는 탠덤 사이클링 리프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저장고의 단부와 제1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컨베이어와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는 동일한 또는 반대의 이송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요약하면,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및/또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컨베이어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컨베이어로부터의 화물의 도입 및/또는 배출은 상승 및 하강 컨베이어, 탠덤 사이클링 리프트, 경사진 컨베이어 또는 직각 이송(RAT)을 통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세부사항은 이하의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참조를 위해 2 개의 피킹 스테이션이 있는 피킹 영역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고의 전방 구역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 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 구성 및 피킹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a, 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 구성 및 피킹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 구성 및 피킹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의 연결 영역의 사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 구성 및 피킹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 구성 및 피킹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a, 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 구성 및 피킹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의 연결 영역의 사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9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 구성 및 피킹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 구성 및 피킹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 구성 및 피킹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는 주문 이행 레벨 A에서 컨베이어(4)에 의해 랙킹(3)에 연결된 2 개의 피킹 스테이션(2)을 갖는 피킹 영역(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각 피킹 스테이션(2)은 사이에 통로(5)에 인접한 랙(6)이 있는 랙킹(3)의 통로(5)에 해당하며 컨베이어(4)를 통해 전방 단부에서 각 렉(6)의 공간(footprint) 내에 배치된 화물 캐리어 수직 컨베이어(7)(예를 들어, 리프트 또는 엘리베이터)에 연결된다. 랙은 수직 컨베이어(7)에 화물을 떨어트리는 도시되지 않은 ASRS 기계, 예를 들어 셔틀에 의해 서비스된다.
컨베이어(4c)는 모든 통로(5)를 가로질러 랙킹(3)의 전방의 길이를 잇고 가능하면 도시되지 않은 포장 영역까지 잇는 교차 통로 컨베이어 형태의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이다.
컨베이어(4a, 4b)는 인바운드 주문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9a, 9b) 및 공통 테이크 아웃 배출 컨베이어(10)에 연결되는 피킹 스테이션(2) 및 랙킹(3)을 브릿지한다. 로드 캐리어 자체는 표준 컨테이너 또는 트레이가 될 수 있다.
인바운드 제품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8)는 통로 방향의 연장부에서 스테이션으로 이어지는 제1 컨베이어 섹션(8a) 및 제품을 작업자(11)로부터 픽하는 로드 캐리어의 제공을 위해 스테이션 내에서 실제 운송 시스템을 형성하는 그에 90도로 배향된 제2 컨베이어 섹션(8b)을 갖는다.
인바운드 주문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9)는 통로 방향의 연장부에서 스테이션으로 이어지는 제1 인바운드 컨베이어 섹션(9a) 및 직각 이송(RAT)(9c)에 의해 연결된 그에 평행하게 배열된 제2 컨베이어 섹션(9b)을 갖는다.
제품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 섹션(8b)과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 섹션(9b)은 서로 교차하며 작업자와 교차점(14)을 위한 작업 위치(13)를 형성한다. 교차점은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60 내지 120도, 바람직하게는 90도일 것이다.
공통 테이크 아웃 배출 컨베이어(10)는 주문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 섹션(9b)의 직접 연장부에 배치되고 제품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 섹션(8b)과의 교차점(14)에서 시작한다.
각각의 피킹 스테이션(2)은 작업자(11)의 정보 및 제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제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또한 픽 바이 보이스(pick-by-voice) 및 가상 현실 등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피킹 스테이션은 그러한 수단이 없을 수도 있으며 “종이”를 기반으로 피킹이 수행될 수 있다.
제품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 섹션(8b)은 전체적으로 작업 위치(13)를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제공과 관련된 다른 최적화는 픽 및/또는 풋 위치(put position)를 기울이는 것일 수 있다.
도너 위치의 기울임은 제품 화물 캐리어가 8a 에서 8b로 이송될 때 기울어질 수 있도록 컨베이어(8b) 자체를 기울임으로써 이루어진다. 주문 위치의 기울임은 활성 기울기 메커니즘, 예를 들어 기울어진 RAT(직각 이송)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풋 위치만이 기울어질 수 있으며(적응형 기울기) 작업자는 피킹된 항목을 놓을 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컨베이어는 컨트롤러(15)에 의해 제어되어 주문 이행을 위한 요구에 따라 개별 컨베이어(8, 9 및 10) 상의 피킹 스테이션(2)을 통해 제품 및 주문 캐리어의 동시 및 연속 이송 흐름을 제공하고, 이는 주문 추적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고 인터페이싱하는 전체 창고 관리 시스템(WMS)에 의해 차례로 관리된다. 분명히 컨트롤러는 랙킹(3 및 5) 내에서 그리고 거기에서 피킹 스테이션(2 및 3)으로의 전체 재료 흐름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의 개략도 2 - 1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사한 피킹 스테이션(2)의 설계 및 작동의 변형예가 특히 바이패스 컨베이어의 사용 및 교차 통로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의 연결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2에서 주문 이행 영역 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도시된다. 랙킹(3)은 개략적으로 3으로 표시되며 피킹 스테이션(2)은 수동 또는 로봇으로 작동된다. 교차 통로 컨베이어(4c)가 있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4)은 모든 통로(5)를 가로질러 랙킹(3)의 전방의 길이를 잇고 가능하면 인바운드 제품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8a, b) 및 인바운드 주문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9a, b) 및 공통 테이크 아웃 배출 컨베이어(10)에 연결하는 랙킹(3)과 피킹 스테이션(2)을 브릿지하는 컨베이어(4a, b)가 있는 도시되지 않은 포장 영역까지 잇는다.
이러한 모든 설비는 기본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 컨베이어(40)는 동일한 흐름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교차 통로 컨베이어(4c)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컨베이어(40)는 도 5에 상세히 설명된 연결 설비(60)에 의해 연결 영역(50)에서 교차 통로 컨베이어(4c)에 연결된다.
연결 설비(60)는 피킹 스테이션(20)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승 컨베이어 경사로(61) 및 저장고(3)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하강 컨베이어 경사로(62)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 모두 교차 통로 컨베이어(4c)에서 시작한다. 화물은 연결 영역(50)(미도시)에 내장된 RAT에 의해 경사로(61, 62) 및 교차 통로 컨베이어(4c) 사이에서 전달된다.
경사로(61 및 62)는 직각 이송 또는 기울어진 컨베이어 메커니즘(63/64)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40)에서 종료하는 추가 컨베이어 섹션(65/66)(도 5 참조)에 의해 바이패스 컨베이어(40)와 연결된다. 화물도 연결 영역(미도시)에 내장된 RAT 또는 기울어진 컨베이어에 의해 섹션(65, 66) 및 바이패스 컨베이어(40) 사이에서 전달된다.
도 3에서 대응하는 피킹 스테이션(2)은 이를 나타내기 위해 해시된 바이패스 컨베이어(40)의 여러 가능한 설비 버전과 함께 도시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컨베이어(40)는 연결 컨베이어(4c)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컨베이어(40)를 연결 컨베이어(4c) 아래 또는 위에 대각선 배열로, 즉 서로 일직선이 되는 각각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갖지 않고 오히려 평행하기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2 개의 바이패스 컨베이어(40 및 40*)가 대응하는 연결 컨베이어(4c 및 4c*)의 위와 아래에 하나씩 존재한다는 점에서 바이패스 컨베이어(40)가 연결 컨베이어(4c) 바로 위 또는 아래에 있는 도 3의 상황과 상이하다.
이 배열은 도 2의 배열과 유사하게,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 주문 이행 레벨 A 및 추가적으로 모두 주문 이행 레벨 A위에 수직으로 이격된 추가 피킹 스테이션(20) 및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4c*)을 포함하는 가상 주문 이행 레벨 B을 포함하는 주문 이행 영역(1000)이 도시되므로 유리하다.
도 1에서와 동일하게, 주문 이행 레벨 A는 주문 이행 레벨 A에서 컨베이어(4a, b)에 의해 랙킹(미도시)에 연결되는 피킹 스테이션(2)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주문 이행 레벨 B는 가상 주문 이행 레벨 B의 컨베이어(4*a)에 의해 랙킹(미도시)에 연결되는 피킹 스테이션(20)을 포함한다.
위의 도 1과 같이, 각 피킹 스테이션은 사이에 통로(5)(도 1 참조)에 인접한 랙(6)(도 1)을 갖는 랙킹(3)(도 1 참조)의 통로(5)(도 1 참조)에 대응하며 컨베이어(4, 40)를 통한 전방 단부에서 각 랙(6)의 공간 내에 배열된 화물 캐리어 수직 컨베이어(7)(도 1 참조)(예를 들어, 리프트 또는 엘리베이터)에 연결된다. 랙은 도시되지 않은 ASRS 기계, 예를 들어 수직 컨베이어(7)로 화물을 떨어트리는 셔틀에 의해 서비스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상 주문 이행 레벨 B는 주문 이행 레벨 A와 다소 유사하며 그 위에 배치된다.
이를 허용하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될 몇 가지 추가 설비 및 변경이 구현되었다.
컨베이어(4*c)는 컨베이어가 모든 통로(5)를 가로질러 랙킹(3)의 전방의 길이를 잇고 가능하면 컨베이어(4c) 위에 배열된 도시되지 않은 포장 영역까지 잇는 연결 컨베이어이다.
컨베이어(4*a, b)는 인바운드 제품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80a, b)와 인바운드 주문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90a, b) 및 공통 테이크 아웃 배출 컨베이어(100)에 연결하는 피킹 스테이션(20) 및 랙킹을 브릿지한다. 이들은 바로 위의 공역을 사용하여 레벨 A에서 각각의 요소 위에 배열된다.
화물 캐리어 자체는 예를 들어 표준 컨테이너 또는 트레이일 수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4 및 4*)을 동시에 서비스하기 위해, 특히 랙킹에 연결되는 컨베이어(4a, b(도 1 참조) 및 40a, b)를 서비스하기 위해, 화물 캐리어 수직 컨베이어 또는 AS/RS(7)가 동시에 두 레벨에서 물품을 배출 및/또는 수령할 수 있기 위해 2 개의 주문 이행 레벨 A, B와 정렬되도록 수직으로 이격된 중복된 화물 처리 플랫폼을 갖는 실시예(미도시)에서 사용될 수 있다.
피킹 스테이션(20)은 수동(11) 또는 로봇식(R)으로 작동된다. 각 주문 이행 레벨에서 하나씩 2 개의 피킹 스테이션(2, 20)도 많은 피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조밀하게 포장된 이행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밀접한 수평 관계로 그룹화된다(수동 피킹 스테이션(2, 20)의 각 그룹을 보여주는 도 4 참조).
수직 간격은 기둥, 상승된 플랫폼 등을 사용하여 가상 주문 이행 레벨의 모든 요소를 높임으로써 실현된다.
수직 오프셋의 양은 컨베이어 높이 및 컨베이어와 화물 캐리어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화물 캐리어로 사용되는 컨테이너의 높이보다 약간 더 크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피킹 스테이션(20)의 작동 위치(130)는 예를 들어 플랫폼(30)을 사용하여 상승된다.
작업자(11)가 플랫폼(30) 각각의 작동위치(13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바운드 제품 화물 캐리어 컨베이어(8a)의 섹션이 도 4b에서 가장 잘 보이는 것처럼 들어올릴 수 있거나 8a가 올라가지 않으면 스텝 오버(step over)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로봇식으로 작동되는 스테이션(20R)에는 필요하지 않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가상 주문 이행 레벨 B는 주문 이행 레벨 A와 독립적이다. 공역만 공유되며 컨베이어 시스템은 없다. 따라서 2 개의 바이패스 컨베이어(40, 40*)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교차 통로 컨베이어(4c)와 연결 설비(60)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RAT 또는 기울어진 컨베이어만을 사용하는 도 5와 대조적으로, 도 6 및 7은 더 높은 성능 및 더 매끄러운 화물의 처리를 갖는 각진 병합 및 전환 메커니즘(71, 72, 73, 74) 및 상기 각진 병합 및 전환 메커니즘(71, 74)과 RAT 또는 기울어진 컨베이어를 갖는 상승 및 하강 컨베이어 경사로(61, 62)의 조합을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화물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병합부(73 및 71)는 (바로 아래에 있는) 바이패스 컨베이어(4) 및 교차 통로 컨베이어(4c)로 흐르고 전환부(72 및 74)는 바이패스 컨베이어(40) 및 교차 통로 컨베이어(4c)로부터 배출된다.
각진 병합 및 전환 메커니즘(71, 72, 73, 74)은 도 5에 도시된 컨베이어 섹션(61-66)과 유사한 컨베이어 섹션에 의해 연결된다.
도 7의 버전에서 각진 전환부(72) 및 병합부(74)만이 대응하는 바이패스 컨베이어(40)(바로 아래) 및 교차 통로 컨베이어(4c)의 RAT 또는 기울어진 컨베이어(80)를 갖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로 및 컨베이어 섹션(61-66)과 조합하여 사용된다.
도 8은 연결 영역(50)에서 연결 설비(60)로서 리프트, 특히 탠덤 사이클링 리프트(90)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리프트(90)는 하나 내지 다수의 화물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 즉 (도 8b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화물을 떨어트리고 화물을 픽업하기 위해 공간에 기초하여 롤러 컨베이어를 갖는 플랫폼(91)을 갖는다.
도 9 및 도 10은 바이패스 컨베이어(40, 40*)가 리프트와 함께 배치되는 방식과 바이패스 컨베이어(40, 40*)의 위치 지정, 운송 방향 및 사용되는 바이패스 컨베이어(40, 40*)의 수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9a에서 교차 통로 컨베이어(4c)는 2 개의 바이패스 컨베이어(40 및 40*)에 의해 보충된다. 바이패스 컨베이어(40)는 제1 섹션(AA) 및 그 옆에 병렬로 있는 바이패스 컨베이어(40*)에서 교차 통로 컨베이어(4c) 아래로 이어진다. 바이패스 컨베이어(40*)는 제2 섹션(BB) 및 그 옆에 병렬로 있는 바이패스 컨베이어(40)에서 교차 통로 컨베이어(4c) 아래로 이어진다.
리프트(90*)는 섹션 AA에서 바이패스 컨베이어(40*)와 교차 통로 컨베이어(4c)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하는 반면 리프트(90)는 섹션 BB에서 40과 4c에서 인터페이싱한다.
이는 각 리프트(90 및 90*)가 전용 바이패스 컨베이어와 인터페이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9b는 4c의 하부 또는 상부 레벨에 위치된 바이패스 컨베이어 레이아웃을 도시하며, 40, 40* 및 4c는 동일한 운송 방향을 갖는다.
도 9c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이패스 컨베이어(40, 40*)의 운송 방향이 교차 통로 컨베이어(4c)의 운송 방향과 반대라는 점에서 다르다.
도 10a, b, c에서 하나의 바이패스 컨베이어(40)는 교차 통로 컨베이어(4c)를 보충한다. 바이패스 컨베이어(40)는 아래로 이어지지만 교차 통로 컨베이어(4c) 옆에서 대각선으로 이어지며 이송 섹션(41)이 구부러지고 리프트(90)와 인터페이싱한 다음 바이패스 컨베이어(40)로 병합된다. 이는 각각의 리프트(90)가 공유된 바이패스 컨베이어와 인터페이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시된 바와 같이 공유된 바이패스 컨베이어(40)는 동일한 운송 방향 또는 반대 운송 방향을 가질 수 있다(C 참조).
도 11은 바이패스 컨베이어(40)가 저장고(3)와 교차 통로 컨베이어(4c)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는 운송 방향이 같거나 반대이다. 상승/하강 컨베이어 그룹(42)(해시된 원의 세부사항 참조) 및/또는 리프트는 이러한 컨베이어 레벨을 연결하는 단일 레벨 바이패스 컨베이어 레벨이 하나 초과인 경우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5)

  1. 피킹 스테이션이 주문을 피킹하기 위해 제품 저장고로부터 물품을 공급받고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문 이행 영역을 갖는 주문 이행을 위한 창고로서,
    각 피킹 스테이션은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물품을 공급받으며, 상기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은 또한 주문 컨테이너를 공급 및 회수하며 각각의 피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빈 제품 컨테이너 및 부분 주문 또는 최종 주문의 배출을 위해 사용되며,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에 병렬로 배열되어 피킹 스테이션/제품 저장고로 인바운드되고 피킹 스테이션/제품 저장고로부터 아웃바운드되는 제품 및/또는 주문 트래픽은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으로부터 오프 로드될 수 있는,
    창고.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품 저장고 및 주문 이행 영역 및 그 내부의 피킹 스테이션 사이에 배열되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인,
    창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은 사전 구역을 분리시키는 저장고의 전방의 길이를 잇는 교차 통로 컨베이어인,
    창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의 아래 또는 위에, 가능하면 바로 아래 또는 바로 위에 위치되는,
    창고.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의 아래 또는 위에, 가능하면 대각선 아래 또는 위에 위치되는,
    창고.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의 아래 또는 위에, 가능하면 바로 대각선 아래 또는 위에 위치되는,
    창고.
  7. 제3항,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특히 간격을 두고 상승 또는 하강 컨베이어, 경사로 또는 리프트에 의해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창고.
  8. 제5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며 이들 2 개의 컨베이어 사이에 90도로 이어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연결 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창고.
  9. 제7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직각 이송 또는 기울어진 컨베이어 메커니즘 및/또는 각진 병합/전환 메커니즘에 의해 상승 및 하강 컨베이어와 연결되는,
    창고.
  10. 제7항에 있어서,
    리프트는 단일 사이클링 또는 탠덤(tandem) 사이클링 리프트인,
    창고.
  11.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병렬로 이어지며 리프트에 의해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창고.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프트는 전용 바이패스 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창고.
  13.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리프트는 공유된 바이패스 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창고.
  14.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컨베이어는 저장고의 단부 및 제1 교차 통로 컨베이어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창고.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컨베이어 및 연결 컨베이어 시스템, 특히 교차 통로 컨베이어는 동일한 또는 반대의 운송 방향을 갖는,
    창고.
KR1020227043198A 2020-05-08 2020-05-08 제품 저장고 및 적어도 하나의 주문 이행 영역을 갖는 주문 이행을 위한 창고 KR20230008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20/062891 WO2021223885A1 (en) 2020-05-08 2020-05-08 Warehouse for order fulfilment with a product storage and at least one order fulfillment ar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203A true KR20230008203A (ko) 2023-01-13

Family

ID=7068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198A KR20230008203A (ko) 2020-05-08 2020-05-08 제품 저장고 및 적어도 하나의 주문 이행 영역을 갖는 주문 이행을 위한 창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02760A1 (ko)
EP (1) EP4146570A1 (ko)
JP (1) JP2023524775A (ko)
KR (1) KR20230008203A (ko)
AU (1) AU2020446353A1 (ko)
CA (1) CA3181185A1 (ko)
WO (1) WO2021223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6482B (zh) * 2022-03-24 2022-12-20 深圳市海柔创新科技有限公司 料箱运送控制方法、装置、设备、系统、介质及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5744C2 (de) * 1982-04-28 1985-05-09 Gebhardt Fördertechnik GmbH, 6920 Sinsheim Verteilförderanlage für Stückgut
JPH0753017A (ja) * 1993-08-16 1995-02-28 Nippon Denki Factory Eng Kk 配膳ピッキングシステム
ES2219466T3 (es) * 2000-08-10 2004-1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mercancias para la expedicion.
AT509294B1 (de) 2010-01-14 2011-10-15 Knapp Ag Regallagersystem
FR3031510B1 (fr) * 2015-01-13 2019-04-19 Savoye Systeme et procede de sequencement pour au moins un poste de preparation
JP6652086B2 (ja) * 2017-02-10 2020-02-19 株式会社ダイフク 仕分け設備
FR3068682B1 (fr) * 2017-07-07 2020-10-23 Savoye Systeme d'acheminement de charges entre une pluralite d'unites de stockage et une pluralite de postes de preparation, via un reseau de drainage de charges reparti sur deux plans horizontaux
FR3068681B1 (fr) * 2017-07-07 2021-03-12 Savoye Systeme d'acheminement de charges entre une pluralite d'unites de stockage et une pluralite de postes de preparation, via un reseau horizontal de drainage de charges
DE102018114026B4 (de) 2018-06-12 2020-08-13 Ssi Schäfer Automation Gmbh Zweistufige Kommissionierung mittels Sorter mit hochdynamischen Sorterschalen
AT521359B1 (de) * 2018-12-07 2020-01-15 Tgw Mechanics Gmbh Regallagersystem mit verbesserter Ladegut-Manipulations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446353A1 (en) 2022-11-24
CA3181185A1 (en) 2021-11-11
JP2023524775A (ja) 2023-06-13
WO2021223885A1 (en) 2021-11-11
US20230202760A1 (en) 2023-06-29
EP4146570A1 (en)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7918C (en) Method of order fulfilling by preparing storage units at a picking station
JP6612747B2 (ja) 注文調達及び保管ユニットの補充の方法
US7991506B2 (en) Automated order-picking system having an integrated sorting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EP3022134B1 (en) Method of order fulfilling by preparing storage units at a picking station
US8827619B2 (en) Rack warehouse and order-picking method
EP2949604B1 (en) Method of commissioning in a storage facility having a plurality of lifts
AU2016371666B2 (en) Method of order fulfilling by making storage units available from a storage facility in a desired sequence at a picking station
EP2949605B1 (en) Method of order fulfilling by making storage units available from a storage facility at a picking station
CN112074470A (zh) 拣选系统
CN112020469A (zh) 通过在包装站按所需顺序从储存设施获得储存单元来履行订单的方法
KR20230008203A (ko) 제품 저장고 및 적어도 하나의 주문 이행 영역을 갖는 주문 이행을 위한 창고
CN114144370B (zh) 用于订单履行的仓库
WO2024114890A1 (en) Warehouse for order fulfillment with a product storage and at least one order fulfillment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