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889A - Locker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 Google Patents

Locker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889A
KR20230007889A KR1020210088761A KR20210088761A KR20230007889A KR 20230007889 A KR20230007889 A KR 20230007889A KR 1020210088761 A KR1020210088761 A KR 1020210088761A KR 20210088761 A KR20210088761 A KR 20210088761A KR 20230007889 A KR20230007889 A KR 2023000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key
door
usn
lock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7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2373B1 (en
Inventor
서민석
김창민
김이석
Original Assignee
서민석
김창민
김이석
김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석, 김창민, 김이석, 김재범 filed Critical 서민석
Priority to KR1020210088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373B1/en
Publication of KR2023000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8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3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2Induction for charging or current trans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er system for allow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er for allowing the USN, which is able to configure a door key, which is used for opening/closing a door by being stored in an inner space of a key holder unit,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urroundings, allow the movement line, location, etc. of a person moving around with the door key after storing articles in a locker to be tracked, easily find a lost child or identify places where many people gather and the like, make big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use the collected big data for various purposes, and realize the USN.

Description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Locker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Locker system enabling USN {Locker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도어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도어키를 주변과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락커에 물품을 보관한 뒤 도어키를 소지하고 이동하는 자의 동선, 위치 등이 추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아를 찾거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를 빅데이터화하며, 수집된 빅데이터를 다양한 곳에 활용함에 따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가 구현되도록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er system enabling USN, and more particularly, a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a key holder unit and used to open and close a door is configur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surroundings, thereby storing items in the locker. After that, by making it possible to track the movement and location of a person carrying a door key and moving, it is easy to find a lost child or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gather, turn it into big data, and transfer the collected big data to various places. As utilized, it relates to a locker system that enables a USN, allow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to be implemented.

락커(Locker)는 보통 의복이나 사물을 넣는 선반을 말하는데,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락커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잠금 장치를 개폐하는데 있어 과거에는 열쇠 구멍에 열쇠를 넣고 돌리는 방식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이를 대체하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A locker usually refers to a shelf for storing clothes or objects, and in most cases, a lock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locker to prevent theft. In opening and closing these locking devices, in the past, a method of inserting and turning a key into a keyhole was used, but recently, various methods replacing this have been used.

일 예로, 잠금 장치의 외측에 텐키(Ten Key) 버튼을 구성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잠금 장치의 개방하는 것이 있다.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opening a lock device by configuring a Ten Key button on the outside of the lock device and inputting a password.

하지만 텐키 버튼 방식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하는 불편이 있으며,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관리자를 호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ten-key button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has to input a password every time the door is opened, and if the password is forgotten, an administrator must be called.

이러한 텐키 버튼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쇠 구멍에 열쇠를 직접 넣고 돌리는 것이 아니라, RF 방식의 비접촉식 열쇠 또는 달라스 칩을 이용한 접촉식 열쇠를 사용해 잠금 장치를 개폐하는 것이 개발되었는데, 이 방식은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일일이 열쇠를 지급하고, 사용 후 다시 열쇠를 반납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발생시켰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ten-key button method, it was developed to open and close the lock using an RF type non-contact key or a contact key using a Dallas chip, rather than inserting and turning the key directly into the keyhole. It caused the hassle of giving keys to users one by one and having to return the keys after use.

그리하여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락커에 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락커 사용을 승인받은 자가 물건을 보관하고 도어를 닫으면 락커로부터 키를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는 락커 시스템(90)이 도입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locker system 90 has been introduced in which a ke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er so that a person authorized to use the locker can store items and remove the key from the locker when the door is closed. .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락커 시스템(90)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3942호(2018.01.25)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락커 시스템(90)은 워터파크, 골프장, 스키장, 호텔, 주민센터 등에서 대량으로 설치되는 개인 물품 보관함의 도어(D)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어(D)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부(91)와, 도어(D)의 외측에 설치되는 키홀더부(93)와, 상기 키홀더부(9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도어키(95)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such a conventional locker system 90,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23942 (2018.01.25). 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locker system 90 is applied to the door D of a personal item locker installed in large quantities in water parks, golf courses, ski resorts, hotels, community centers, etc. It includes a driving part 91 installed inside, a key holder part 93 installed outside the door D, and a door key 95 detachably formed from the key holder part 93.

상기 구동부(91)에는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래치볼트부(911)가 구성되어, 상기 래치볼트부(911)가 구동부(91)의 외측으로 돌출되었을 때 돌출된 상기 래치볼트부(911)가 도어(D)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브라켓 상에 삽입됨으로써 도어(D)가 개방되는 것을 막고, 상기 래치볼트부(911)가 구동부(91)의 내측으로 들어갔을 때에는 상기 래치볼트부(911)가 상기 잠금브라켓 상에 삽입되지 않아 도어(D)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driving part 91 is configured with a latch bolt part 911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and when the latch bolt part 911 protrudes outward from the driving part 91, the protruding latch bolt part 911 The door (D) is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locking bracket formed in the frame of the door (D), and when the latch bolt part 911 enters the driving part 91, the latch bolt part 911 It is not inserted onto the locking bracket so that the door (D) can be opened.

상기 키홀더부(93)에는 상기 도어키(95)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키홀더부(93)는 전후측 방향으로 병진 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키훅부(931)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도어키(95)가 수용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훅부(931)가 상기 키홀더부(91)로부터 돌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도어키(95)를 상기 키홀더부(93)로부터 탈거시킬 수 없으나, 상기 키훅부(931)가 상기 키홀더부(91) 내측으로 들어갔을 때에는 상기 도어키(95)를 상기 키홀더부(93)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An inner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door key 95 is formed in the key holder part 93, and the key holder part 93 includes a key hook part 931 formed to enable translational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the key hook part 931 protrudes from the key holder part 91 as shown in FIG. ), but when the key hook part 931 enters the inside of the key holder part 91, the door key 95 can be removed from the key holder part 93.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락커 시스템(90)은 사용 중이 아닐 때 상기 도어키(95)가 키훅부(931)에 막혀 상기 키홀더부(9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볼트부(911)가 상기 구동부(91)의 내측으로 들어가 있어 도어(D)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므로, 승인을 받지 않은 자가 개방되어 있는 도어(D)를 열어 안쪽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locker system 90, when not in use, the door key 95 is blocked by the key hook part 931 and remains fixed to the key holder part 93, but as shown in FIG. Likewise, since the latch bolt part 911 enters the inside of the driving part 91 and enables the opening of the door D, an unauthorized person can open the door D open and store items inside. made it possible

귀중품이 아닌 옷 등의 경우는 타인이 이를 가져가는 경우가 드물고, 설사 이러한 물품 등을 가져가더라도 그 피해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종래의 락커 시스템(90)에 의하면 사용료를 지불하는 것 없이 개방되어 있는 락커 안에 무단으로 옷가지 등을 넣어두는 행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ase of non-valuable items such as clothes, it is rare for others to take them, and even if such items are taken, the damage is tolerable, so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locker system 90, paying a fee for use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the act of putting clothes etc. in an open locker without permission continued to occur.

전술한 문제는 우선 사용자측에 피해를 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당한 사용료를 지불하고 특정 락커의 사용을 허락받은 자는 관리자가 지정해 준 락커를 찾아 이동한 뒤 지정된 락커의 도어(D)를 열게 될 것인데, 이 때 무단으로 락커를 사용한 자의 물품이 놓여 있을 경우 순간적인 불쾌감이 밀려드는 것은 물론, 이러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다시 관리자를 찾고, 관리자와 함께 해당 락커의 상태를 확인한 뒤, 다시 락커를 재배정 받아야 하는 등의 불편을 겪게 된다.The foregoing problem first damages the user side. Looking at this in detail, a person who pays a fair fee and is allowed to use a specific locker will move to the locker designated by the manager and open the door (D) of the designated locker. If it is placed, momentary displeasure surges, as well as inconvenience such as having to find the manager again to inform of this situation, check the status of the locker with the manager, and then reassign the locker again.

또한 락커 관리자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곧바로 락커 무단 사용자의 물품 전부를 폐기하고 싶어도 차후 물품 폐기와 관련한 분쟁에 휘말릴 것을 우려해 그러지 못하며, 락커 무단 사용자의 물품을 따로 챙겨 보관해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관리자측은 무단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또 다른 공간을 마련해야 함은 물론, 이러한 물품 처리에 불필요한 시간과 노고를 소비하였다.In addition, even if the locker administrator wanted to immediately discard all of the locker unauthorized user's items when this situation occurred, he could not do so for fear of being involved in a dispute related to the item disposal in the future, and had to take care of the locker unauthorized user's items and store them separately. In this process, the administrator had to prepare another space for storing the goods of unauthorized users, and also consumed unnecessary time and effort in handling these goods.

결국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 락커 시스템(90)이 대여 전에 잠겨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동부(91)와 상기 키홀더부(93)의 종래 구동 방식에 의하면, 사용 전 락커의 도어(D)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After al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despite the fact that the conventional locker system 90 should be kept locked before rental,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riving method of the drive unit 91 and the key holder unit 93, the locker before use This is because the door D had to remain open all the time.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대여 전에는 래치볼트부(911)에 의해 도어(D)가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락커 사용을 허락받지 않은 자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상기 구동부(91)와 상기 키홀더부(93)의 유기적인 구동으로 정당 사용자가 대여를 시작했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911)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며, 물품을 보관하고 도어(D)를 닫으면 래치볼트부(911)에 의해 도어(D)가 잠기되, 상기 키훅부(931)가 상기 키홀더부(93)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도어키(95)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대여 중 상기 키홀더부(93) 내측에 상기 도어키(95)를 삽입하면 상기 래치볼트부(911)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D)가 열리게 되는 등의 동작이 가능한, 새로운 형식의 락커 시스템(90)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industry, the door D is kept locked by the latch bolt unit 911 before rental to prevent unauthorized use by those not permitted to use the locker, and the drive unit 91 and the key holder unit 93 When a legitimate user starts renting by the organic driving of , the lock by the latch bolt part 911 is released, and when the article is stored and the door (D) is closed, the door (D) is opened by the latch bolt part 911. While locked, the key hook part 931 enters the inside of the key holder part 93 so that the door key 95 can be withdrawn, and the door key 95 is inserted inside the key holder part 93 during rental. When the lock by the latch bolt unit 911 is released, the door (D) is opened, and the like, and the introduction of a new type of locker system 90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3942호(2018.01.25)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23942 (2018.0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도어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도어키가 주변과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ubiquitous sensor network by forming a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and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enabling communication with surrounding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락커에 물품을 보관한 뒤 도어키를 소지하고 이동하는 자의 동선, 위치 등이 추적될 수 있도록 하여, 미아를 찾거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를 빅데이터화하며, 수집된 빅데이터를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track the movement, location, etc. of a person carrying a door key after storing items in a locker, to find a lost child, or to easily identify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gather, It turns this into big data and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the collected big data in various plac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키가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었을 때 도어키의 통신부를 통해 키홀더부의 도어키판독부가 해당 락커에 맞는 적절한 도어키가 키홀더부에 꽂혔는지를 인식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and close the door by recognizing whether a door key reading unit of the key holder unit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key when the door key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to decide whe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키의 내부에 축전부를 구성하여, 도어키의 통신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가 통신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power storage unit inside the door key so that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communication of the door key can be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키의 내부에 축전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해 수신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축전부에 공급하는 전력수신부를 구성하여, 상기 축전부에 전기 에너지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power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unit inside the door key and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the received electrical energy to the power storage unit, thereby facilitating the supply of electrical energy to the power storage unit. so that it can be recharg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키의 전력수신부가 키홀더부에 형성된 무선충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어키를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삽입했을 때,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은 상기 전력수신부가 축전부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door key to wirelessly receive electrical energy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formed in the key holder unit, so that when the door key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It is to enable the power receiving unit to be supplied with energy to charge the power storage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키에 메모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이나 음성이 도어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memory unit in a door key, configure an output unit to be connected to the memory unit, and output video or audio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ke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키가 통신부를 통해 서버부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도 상기 서버부에 접속함으로써 도어키 사용자의 위치, 동선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door key to communicate with a server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so that a door key user's location, movement line, etc. can be easily grasped by accessing the server unit from a remote lo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여 전 락커의 도어가 항상 잠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락커의 사용을 허락받지 않은 자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unauthorized use of a locker by a person not permitted to use the locker by keeping the door of the locker always locked before rent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돌출된 래치볼트부에 의해 도어가 닫혀 열리지 않도록 하고, 돌출된 키훅부에 의해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를 인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closed and opened by the protruding latch bolt part and to prevent the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part from being drawn out by the protruding key hook part in the standby state of use of the locker.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도어의 외측에 위치하는 키홀더부와, 상기 키홀더부에 포함된 내부공간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도어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키는,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holder portion located outside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a door key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included in the key holder portion and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And, the door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en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도어키는, 상기 도어키의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enab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door ke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도어키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door ke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키홀더부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기 도어키를 인식하여, 인식된 도어키가 적법한 경우 도어키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도어키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holder uni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recognizes the door ke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and detects the door key when the recognized door key is legitim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or key read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도어키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통신부에 공급하는 축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ower storage unit for storing electrical energy and supplying the stored electrical energy to th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도어키는, 상기 축전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해 수신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축전부에 공급하는 전력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key includes a power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unit,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the received electrical energy to the power storage unit. to be characteriz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력수신부는, 외부의 전력원과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rece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electrical energy while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키홀더부는, 무선으로 상기 전력수신부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holde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unit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the power receiver wireless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도어키에 대향하는 위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unit is formed on a position facing the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도어키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and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memory unit to output the stored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출력부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includes a video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video data and an audio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udio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는, 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부와 상기 도어키를 통신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unit connects the door key with a server unit that receives and analyzes data and transmits the analyzed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락커 시스템은, 개폐 가능한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치볼트부와, 상기 래치볼트부를 제어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er system includes a drive unit located inside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drive unit includes a latch bolt port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drive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unit for controlling the latch bolt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동력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unit includes a motor unit generating power, a gear unit connected to the motor unit and rotating, and a driving wheel unit engaged with the gear unit and rotating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어부는, 기어부의 회전 중심축인 기어축이 래치볼트부가 병진운동하는 방향에 나란한 운동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휠부는, 상기 기어축과 상기 운동축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ar unit is formed so that the gear shaft,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gear uni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tion axis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tch bolt unit moves in translation, and the drive whee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tween the gear shaft and the motion shaf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구동휠부는, 상기 기어축 및 운동축에 수직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몸체부와, 상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래치볼트부를 상기 구동부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추진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wheel portion, the gear shaft and the body portion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to rotate around the drive shaft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shaft, a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e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and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propel the latch bolt portion toward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driv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래치볼트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래치볼트부의 상측에 함입 형성된 공간인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회전하는 돌출부와 래치볼트부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래치볼트부의 상측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형상의 공간인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연장된 공간인 챔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bolt por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which is a space formed inde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tch bolt portion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portion,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the rotating protrusion and the latch bol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ameter expansion part, which is a space of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s expand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latch bolt part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and a chamber part, which is a space extending while having a certain size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diameter expansion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키홀더부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의 인출을 제어하는 키훅부와, 일측이 구동휠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에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훅부는,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운동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holder part, a key hook part for controlling the withdrawal of the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part and rotat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part and a rotational motion part, wherein the key hook part protrudes or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part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tional motion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wheel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구동휠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추진기어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movement unit is formed to surround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drive wheel portion, a cylind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ortion, thereby rotating the connec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pulsion gear having a shape such that the degree to which the key hook portion is pressed toward the inner space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키홀더부는, 일측이 상기 추진기어치부와 맞물려 상기 회전운동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키훅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형상을 가지는 병진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holder part includes a translational motion part having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engaged with the propulsion gear tooth part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al motion part into the linear motion of the key hook part. to be characteriz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병진운동부는, 상기 실린더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추진기어치부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함입된 안착면을 포함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병진운동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날개부와,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변환부와 상기 키훅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lational motion unit includes a seating surface recessed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propulsion gear tooth while forming a first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ylinder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verting unit, a wing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verting unit to prevent rotation of the translational motion unit, and an extension connecting the converting unit and the key hook while forming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combining and using the above embodiments and configurations to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도어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도어키가 주변과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가 구현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aliz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by forming a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and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urroundings.

본 발명은, 락커에 물품을 보관한 뒤 도어키를 소지하고 이동하는 자의 동선, 위치 등이 추적될 수 있도록 하여, 미아를 찾거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를 빅데이터화하며, 수집된 빅데이터를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fter storing items in a locker, allows the movement and location of a person carrying a door key to be tracked, so that it is easy to find a lost child or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gather, and turn it into big data and derive the effect of using the collected big data in various places.

본 발명은, 도어키가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었을 때 도어키의 통신부를 통해 키홀더부의 도어키판독부가 해당 락커에 맞는 적절한 도어키가 키홀더부에 꽂혔는지를 인식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key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the door key reader of the key hold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key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recognizing whether an appropriate door key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locker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has the effect of

본 발명은, 도어키의 내부에 축전부를 구성하여, 도어키의 통신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가 통신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onfiguring a power storage unit inside the door key so that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communication of the door key can be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은, 도어키의 내부에 축전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해 수신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축전부에 공급하는 전력수신부를 구성하여, 상기 축전부에 전기 에너지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unit inside the door key and configures a power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electrical energy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the received electrical energy to the power storage unit, so that the power storage unit can be easily charged with electric energy. produce an effect that

본 발명은, 도어키의 전력수신부가 키홀더부에 형성된 무선충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어키를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삽입했을 때,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은 상기 전력수신부가 축전부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door key is configured to wirelessly receive electrical energy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formed in the key holder unit, so that when the door key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power receiver to charge the power storage unit.

본 발명은, 도어키에 메모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출력부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이나 음성이 도어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forming a memory unit in a door key and configuring an output unit to be connected to the memory unit so that a video or audio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key.

본 발명은, 도어키가 통신부를 통해 서버부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도 상기 서버부에 접속함으로써 도어키 사용자의 위치, 동선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key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server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so that a door key user's location, movement line, etc. can be easily grasped by accessing the server unit even from a remote location.

본 발명은, 대여 전 락커의 도어가 항상 잠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락커의 사용을 허락받지 않은 자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the locker by a person not permitted to use the locker by keeping the door of the locker always locked before rental.

본 발명은,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돌출된 래치볼트부에 의해 도어가 닫혀 열리지 않도록 하고, 돌출된 키훅부에 의해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를 인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closed and opened by the protruding latch bolt part and preventing the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part from being drawn out by the protruding key hook part in the use standby state of the locker.

도 1은 종래의 락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구동부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래치볼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사용대기 상태의 래치볼트부, 동력부 및 제1탄성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사용승인시의 래치볼트부, 동력부 및 제1탄성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사용승인 상태에서 열린 도어가 닫혔을 때의 래치볼트부, 동력부 및 제1탄성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키홀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몸체부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14는 회전운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회전운동부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16은 회전운동부를 또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병진운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회전운동부와 병진운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회전운동부가 회전하면서 병진운동부를 미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회전운동부의 회전에 의해 병진운동부가 최대로 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핸들부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핸들부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23은 제어부에 연결된 도어키판독부, 입력부 및 도어개폐감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도어키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어에 결합된 락커 시스템을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7은 복수의 락커 도어에 결합된 락커 시스템을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8은 사용대기 상태의 구동부와 키홀더부를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9는 사용승인시의 구동부와 키홀더부를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30은 사용승인 상태에서 열린 도어가 닫혔을 때의 구동부와 키홀더부를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31은 사용종료시의 구동부와 키홀더부를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ocker system;
Figure 2 shows a lock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4 is a view showing a driving unit;
5 is a view showing the driving unit from another viewpoint;
6 is a view showing a latch bolt unit.
7 is a diagram showing a latch bolt unit, a power unit, and a first elastic unit in a ready-to-use state;
8 is a view showing a latch bolt unit, a power unit, and a first elastic unit at the time of use approval;
9 is a view showing a latch bolt unit, a power unit, and a first elastic unit when an open door is closed in a use approval state;
10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Fig. 11 is a view showing a key holder part;
12 is a view showing a body por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body part from another viewpoint;
14 is a view showing a rotation movement unit.
15 is a view showing the rotary motion unit from another viewpoint.
16 is a view showing the rotary motion unit from another viewpoint;
17 is a diagram showing a translation motion unit;
18 is a view showing a rotational movement unit and a translational movement unit;
19 is a view showing that the rotational motion unit pushes the translational motion unit while rotating.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lational motion unit is pushed to the maximum by rotation of the rotational motion unit;
21 is a view showing a handle part;
Fig. 22 is a view showing the handle part from another viewpoint;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oor key reading unit, an input unit, and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connected to a control unit;
24 is a view showing a lock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view showing a door key;
26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locker system coupled to a door.
27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locker system coupled to a plurality of locker doors.
28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rive unit and a key holder unit in a standby state for use.
29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riving unit and a key holder unit at the time of use approval.
30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rive unit and a key holder unit when an open door is closed in a use approval state.
31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rive unit and a key holder unit at the end of u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연결이 가능한 도어키를 포함하는 락커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locker system including a door key capabl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Unless there is a special definition,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f it conflicts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Follow the definitions used in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인 락커 시스템(1)은 대여 전 락커의 도어가 항상 잠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락커의 사용을 허락받지 않은 자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 대기 상태의 락커 도어는 잠겨 있게 되는바, 사용 승인 권한을 받지 않은 자가 락커의 도어를 열어 락커 안쪽에 물품을 넣는 것이 불가능해 진다.The locker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of the locker is always kept locked before rental to prevent unauthorized use of the locker by a person not permitted to use the locker. That is, since the locker door in the ready-to-use state is locked, it is impossible for a person not authorized to open the locker door and put an item inside the lock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커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락커 시스템(1)은, 구동부(10), 키홀더부(20), 입력부(30), 도어개폐감지부(40), 도어키(50), 서버부(60)를 포함한다.2 is a view showing a locker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locker system 1 includes a driving unit 10, a key holder unit 20, an input unit 30, a door open/closed detection unit 40, a door key 50, and a server unit 60.

상기 구동부(10)는, 개폐 가능한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키홀더부(20)가 개폐 가능한 도어의 외측에 위치해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상기 구동부(10)는 후술할 키홀더부(20)와 연결이 되어, 상기 구동부(10)의 작동에 의해 후술할 키홀더부(20)가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0)의 작동은 모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터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0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side the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contrast to the key holder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located outside the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drive unit 10 is connected to the key holder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key holder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operates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10.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0 may be performed by a motor, and although not excluding a plurality of motors, it may preferably be composed of a single motor.

도 4는 구동부(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구동부(10)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구동부(10)는, 래치볼트부(11), 동력부(12), 제1탄성부(13), 제어부(14), 센서부(15)를 포함한다.4 is a view showing the drive unit 10,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drive unit 10 from another viewpoint.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drive unit 10 includes a latch bolt unit ( 11), a power unit 12, a first elastic unit 13, a control unit 14, and a sensor unit 15.

상기 래치볼트부(11)는,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상기 래치볼트부(11)에 의해 닫힌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락커의 사용 승인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닫힌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 내측으로 들어가 도어가 열리게 되면, 열린 도어를 통해 락커 내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열려 있는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 래치볼트부(110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게 된다. 후술할 키훅부(2134)가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은 락커의 사용승인 상태에서,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도어키(50)를 삽입할 경우,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정당한 사용시간 내에는 어느 때나 도어를 자유롭게 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래치볼트부(11)의 병진운동은 후술할 동력부(1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atch bolt part 11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med to be able to protrude outward of the driving part 10 . When the locker is ready for use, the latch bolt part 1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part 10 to prevent the door closed by the protruding latch bolt part 11 from being opened, and when the use of the locker is approved, the latch bolt As the unit 11 enters the inside of the driving unit 10, the closed door can be opened. In addition, when the latch bolt part 11 enters the inside of the drive part 10 and the door is opened, it is possible to store items in the locker through the open door, and then when the user closes the open door, the latch bolt part (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by 110. In the use approved state of the locker in which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part 20, the door key ( 50) is inserted, the latch bolt unit 11 is allow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driving unit 10, so that the door can be freely opened at any time within a legitimate use time. The translational motion of ) may be performed by a power unit 12 to be described later.

도 6은 래치볼트부(11)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래치볼트부(11)는 수용부(111)를 포함한다.FIG. 6 is a view showing the latch bolt part 11. Referring to FIG. 6, the latch bolt part 11 includes the accommodating part 111.

상기 수용부(111)는, 후술할 돌출부(1232)를 수용하도록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상측에 함입 형성된 공간을 가리킨다. 상기 수용부(111)를 통해, 후술할 구동휠부(123)의 돌출부(1232)가 상기 수용부(111)에 수용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내외측방향으로 밀거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움직이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accommodating portion 111 refers to a space recess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latch bolt portion 11 to accommodate a protruding portion 1232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accommodating part 111, the protruding part 1232 of the drive wheel part 1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1 to push the latch bolt part 11 inward and outward of the driving part 10. Or, at a specific position, the latch bolt part 11 can be supported to maintain its state without moving.

이러한 상기 수용부(111)는, 확경부(1111), 챔버부(1112)를 포함한다.The accommodating part 111 includes a diameter expansion part 1111 and a chamber part 1112.

상기 확경부(1111)는, 회전하는 후술할 돌출부(1232)와 상기 래치볼트부(11)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상측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형상의 공간을 말한다. 상기 확경부(1111)에 의해, 후술할 구동휠부(123)의 돌출부(1232)는 간섭없이 상기 수용부(111)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하고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움직이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diameter expansion part 1111 expand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latch bolt part 11 so that the latch bolt part 1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ng protrusion part 1232 to be described later. It refers to the space of the form that becomes. By the enlarged diameter part 1111, the protruding part 1232 of the driving wheel part 1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easily enter the receiving part 111 without interference and support the latch bolt part 11 without moving. there is.

상기 챔버부(11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경부(111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연장된 공간을 말한다. 상기 챔버부(1112)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챔버부(1112)에 삽입된 후술할 돌출부(1232)가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내외측 방향으로 밀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chamber part 1112 refers to a space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nlarged diameter part 1111 downward while having a certain size. As the chamber part 1112 is configured, the protruding part 1232 inserted into the chamber part 1112 to be described later can push the latch bolt part 11 towar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riving part 10 .

상기 동력부(12)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직선운동시키는 구성으로,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직선운동시키고, 후술할 회전운동부(212)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The power unit 12 is configured to linearly move the latch bolt unit 11 through rotational motion, and linearly moves the latch bolt unit 11 while rotating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from a batter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otational motion unit 212 to be rotated.

도 7은 사용대기 상태의 래치볼트부(11), 동력부(12) 및 제1탄성부(13)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사용승인시의 래치볼트부(11), 동력부(12) 및 제1탄성부(13)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사용승인 상태에서 열린 도어가 닫혔을 때의 래치볼트부(11), 동력부(12) 및 제1탄성부(13)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 내지 9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동력부(12)는, 모터부(121), 기어부(122), 구동휠부(123)을 포함한다.7 is a view showing the latch bolt unit 11, the power unit 12, and the first elastic unit 13 in a use standby state, and FIG. 8 is a view showing the latch bolt unit 11 and the power unit ( 12) and the first elastic part 13 are shown, and FIG. 9 is the latch bolt part 11, the power unit 12 and the first elastic part 13 when the open door is closed in the use approval state. Referring to FIGS. 7 to 9 , the power unit 12 includes a motor unit 121, a gear unit 122, and a drive wheel unit 123.

상기 모터부(121)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모터부(121)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락커의 사용이 승인되면 닫혀 있던 도어를 열 수 있고, 열린 도어를 닫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면서 후술할 키홀더부(20)에 수용되어 있던 도어키(5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도어키(50)를 꽂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있되, 도어키(50)가 꽂힌 도어를 닫으면 도어가 잠기면서 도어키를 인출할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되면 락커가 사용대기 상태로 복귀되는 등의 동작이 단일의 모터부(12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수의 모터부(121)로 락커 시스템(1)이 작동하도록 하여, 제품의 단가, 무게를 낮추고, 제품의 제조, 유지, 보수 등이 용이해 지도록 한다.The motor unit 121 is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and although it is not excluded that the motor unit 121 is composed of a plurality, preferably, when the use of the locker is approved, the closed door can be opened, and the open door is opene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closed door cannot be opened, and the door key 50 accommodated in the key holder part 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withdrawn. When the door key 50 is inserted, the closed door can be opened, but the door key When the door into which (50) is inserted is closed, the door key can be withdrawn while the door is locked, and operations such as returning the locker to a standby state when use is completed can be performed by a single motor unit 121.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ocker system 1 to operate with a single motor unit 121, thereby reducing the unit cost and weight of the product, and facilitating the manufactur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product.

상기 기어부(122)는, 구동수단, 즉, 상기 모터부(12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모터부(121)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로 볼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기어부(1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축(122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기어축(122a)은 후술할 구동휠부(123)의 구동축(123a)과 수직하게 구성된다. 상기 기어축(122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기어부(122)의 회전 정도,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후술할 구동휠부(123)가 구동축(123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고, 그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gear unit 122 is configured to rotate by being connected to a driving means, that is, the motor unit 121, and may be preferably viewed as a worm gear rotated by the motor unit 121. Referring to FIG. 7 , as shown in FIG. 7 , the gear unit 122 rotates around a gear shaft 122a, and the gear shaft 122a is the driving wheel unit 123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onfigured perpendicularly to the drive shaft 123a. By controlling the rotation degree and rotation direction of the gear unit 122 rotating around the gear shaft 122a, the drive wheel unit 123 to be described later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round the drive shaft 123a. It can be rotated clockwise, and the degree of rotation can be adjusted.

상기 구동휠부(123)는, 상기 기어부(122)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모터부(121)에 의해 상기 기어부(12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기어부(122)에 맞물려 있는 상기 구동휠부(123)가 회전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모터부(121)에 의한 상기 기어부(122)의 회전 방향, 회전 정도 등에 따라,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 방향, 회전 정도 등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휠부(123)의 구동축(123a)은 상기 기어부(122)의 기어축(122a)과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운동축(11a)에 수직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움직임이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휠부(123)는 상기 웜기어로 구성되는 기어부(122)에 맞물리는 기어치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웜휠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ive wheel unit 12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gear unit 122 . When the gear part 122 is rotated by the motor part 121, the drive wheel part 123 meshed with the gear part 122 is rotated, and through this,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degree of the gear unit 122,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degree of the driving wheel unit 123 can be determined. The driving shaft 123a of the driving wheel unit 123 is configur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gear shaft 122a of the gear unit 122 and the movement shaft 11a of the latch bolt unit 11, and the driving wheel unit 123 The movement of the latch bolt part 11 may vary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degree of rotation of ). Preferably, the driving wheel part 123 may be composed of a worm wheel having gear teeth engaged with the gear part 122 composed of the worm gear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러한 상기 구동휠부(123)는 몸체부(1231), 돌출부(1232)를 포함한다.The driving wheel part 123 includes a body part 1231 and a protrusion part 1232.

상기 몸체부(1231)는, 상기 기어부(122)의 회전 중심축인 기어축(122a) 및 상기 래치볼트부(11)가 병진운동하는 방향에 나란한 운동축(11a)에 수직한 구동축(123a)을 중심으로 상기 기어부(122)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몸체부(1231)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측면에는 상기 기어부(122)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231) 상에는 연결홈(12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홈(12311) 상에 후술할 연결부(2121)가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홈(123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part 1231 has a driving shaft 123a perpendicular to the gear shaft 122a, which is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gear unit 122, and the motion shaft 11a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tch bolt unit 11 moves in translation. )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gear unit 122 around the center. The body portion 1231 may be configured in a disk shape as shown in FIGS. 7 to 9 , and gear teeth meshing with the gear portion 122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 connection groove 12311 may be formed on the body portion 1231, and a connection portion 2121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2311. Preferably, the connection groove 12311 may be configured as a cross-shaped groove as shown in FIG. 7 .

상기 돌출부(1232)는, 상기 구동축(123a)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231)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추진시키거나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지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몸체부(1231) 상에 상기 돌출부(1232)를 구성하여, 상기 돌출부(1232)의 위치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추진 방향, 추진 여부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11시 방향을 향하고 있는데, 이 때를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로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1232)가 상기 래치볼트부(11)에 어떠한 외력도 가하지 않게 되며, 후술할 제1탄성부(13)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부(11)가 구동부(10)의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닫힌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한다.The protruding portion 1232 protrudes and extends from the body portion 123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e shaft 123a to propel the latch bolt portion 11 inward or outward of the drive portion 10, or Refers to a configuration supporting the latch bolt part 11. Since the protruding part 1232 is formed on the body part 1231, the propulsion direction and whether or not the latch bolt part 11 is propelled may var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part 1232. Referring to FIG. 7 , the protrusion 1232 is directed toward approximately 11 o'clock, and at this time, the locker can be viewed as a ready-to-use state. In this case, the protruding part 1232 does not apply any external force to the latch bolt part 11, and the latch bolt part 11 moves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part 10 by the first elastic part 13 to be described later. While pressurized, prevents opening of closed doors.

도 8에는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5시 방향을 향하고 있는데, 이 때는 락커의 사용이 승인되었을 때를 말한다. 락커의 사용이 승인되면 상기 모터부(121)에 의해 상기 기어부(122)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휠부(1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1232)는 도 7과 같이 대략 11시 방향을 향하고 있다가 도 8과 같이 대략 5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1232)가 상기 수용부(111)에 수용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밀게 되는바, 상기 래치볼트부(11)는 운동축(11a)을 따라 상기 구동부(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FIG. 8 , the protrusion 1232 is directed toward approximately 5 o'clock, which means when the use of the locker is approved. When the use of the locker is approved, the gear part 122 is rotated by the motor part 121, and the drive wheel part 123 rotates counterclockwise. It faces the direction of approximately 11 o'clock and then rotates to face the direction of approximately 5 o'clock as shown in FIG. In this process, the protruding part 1232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1 to push the latch bolt part 11, and the latch bolt part 11 drives the driving part 10 along the movement axis 11a. will move in the inward direction of

락커 사용을 승인받은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시간 중에 열려 있는 락커의 도어를 닫을 경우, 상기 돌출부(1232)는 상기 기어부(122)의 회전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7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1232)는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운동축(11a)을 따라 상기 구동부(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When a user authorized to use the locker closes the door of the locker that is open during the legitimate use time, the protrusion 1232 rotates in the approximately 7 o'clock direction as shown in FIG. 9 by the rotation of the gear unit 122. In this process, the protruding part 1232 moves the latch bolt part 11 outwardly of the driving part 10 along the movement shaft 11a.

상기 제1탄성부(13)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부(12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1232)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미는 상기 돌출부(1232)에 의한 힘이 제거될 경우, 상기 제1탄성부(13)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부(1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elastic part 13 is configured to press the latch bolt part 11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part 10 by an elastic force, and the protruding part 1232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body part 1231. Even if the latch bolt part 11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driving part 10, when the force by the protrusion 1232 pushing the latch bolt part 11 to the inside of the driving part 10 is removed, The latch bolt part 11 ca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first elastic part 13 .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래치볼트부(11)와 후술할 키훅부(2134)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제어부(14)에 의해 상기 모터부(121)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모터부(12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기어부(122)의 회전 방향, 회전 정도 등이 결정되고, 이로 인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돌출부(1232)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부(11) 및 후술할 키훅부(2134)의 움직임이 달라지게 된다.The control unit 14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tch bolt unit 11 and a key hook unit 2134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while the operation of the motor part 121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4, the rotation direction and degree of rotation of the gear part 122 coupled to the motor part 121 and rotating are determined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latch bolt part 11 and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are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protruding part 1232 as shown in FIGS. 7 to 9 .

도 10은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제어부(14)는, 신호수신모듈(141), 사용시작모듈(142), 보관모듈(143), 오픈모듈(144), 사용종료모듈(145)를 포함한다.10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Referring to FIG. 10, the control unit 14 includes a signal receiving module 141, a use start module 142, a storage module 143, and an open module 144. ), and a use end module 145.

상기 신호수신모듈(141)은,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모터부(121)를 제어하여 상기 래치볼트부(11)와 후술할 키훅부(2134)의 움직임이 달라지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The signal receiving module 141 receives various signals and controls the motor unit 121 based on the received signals so that the movements of the latch bolt unit 11 and the key hook unit 2134 to be described later are changed.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도 10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신호수신모듈(141)은 승인신호수신모듈(1411), 개폐신호수신모듈(1412), 삽입신호수신모듈(1413), 종료신호수신모듈(141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 the signal receiving module 141 includes an approval signal receiving module 1411, an opening/closing signal receiving module 1412, an insertion signal receiving module 1413, and an end signal receiving module 1414.

상기 승인신호수신모듈(1411)은, 일측은 후술할 승인신호입력부(31)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사용시작모듈(142)과 연결되어, 승인신호입력부(31)로부터 사용승인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시작모듈(142)을 활성화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The approval signal receiving module 1411 has one side connected to an approval signal input unit 31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a use start module 142 to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s a use approval signal from the approval signal input unit 31. If so,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activates the use start module 142.

상기 개폐신호수신모듈(1412)은, 일측은 후술할 도어개폐감지부(40)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보관모듈(143)과 연결되어, 도어개폐감지부(40)로부터 도어감지신호를 수신하다가 도어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변화했음이 감지되었을 때 후술할 보관모듈(143)을 활성화시키는 구성을 말한다.The opening/closing signal receiving module 1412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torage module 143 to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s a door detection signal from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40.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activates the storage module 143 to be described la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has changed from open to closed during reception.

상기 삽입신호수신모듈(1413)은, 일측은 후술할 도어키판독부(23)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오픈모듈(144)과 연결되어, 도어키판독부(23)로부터 도어키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오픈모듈(144)을 활성화시키는 구성을 말한다.The insertion signal receiving module 1413 has one side connected to a door key reading unit 2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an open module 144 to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s a door key detection signal from the door key reading unit 23. This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activates the open module 144.

상기 종료신호수신모듈(1414)은, 일측은 후술할 종료신호입력부(32)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사용종료모듈(145)과 연결되어, 종료신호입력부(32)로부터 사용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종료모듈(145)을 활성화시키는 구성을 말한다.The end signal receiving module 1414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end signal input unit 3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se end module 145 to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s a use end signal from the end signal input unit 32. If so,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activates the end-of-use module 145.

상기 사용시작모듈(142)은, 락커의 사용승인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면서, 후술할 키훅부(2134)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사용시작모듈(142)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12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5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운동축(11a)을 따라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바, 사용자는 잠겨 있던 락커의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지만,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5시 방향을 가리킬 때, 후술할 키훅부(2134)는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는바, 사용자가 내부공간에 삽입된 도어키(50)를 인출할 수는 없다.The use start module 142 allows the latch bolt part 11 to enter the inside of the drive part 10 when the use of the locker is approved, while maintaining the protruding state of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say composi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start-of-use module 142, the protrusion 1232 rotates toward the direction of approximately 5 o'clock as shown in FIG. By moving to the inside of the driving unit 10 along the , the user can open the door of the locked locker.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but when the protruding portion 1232 points to approximately 5 o'clock, the key hook portion 2134 to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portion 20, and the user inserts it into the inner space. The door key 50 cannot be withdrawn.

상기 보관모듈(143)은, 후술할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락커의 사용승인 상태에서, 열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후술할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보관모듈(143)에 의해 상기 모터부(121)가 제어되면, 상기 돌출부(1232)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7시 방향을 가리키게 되고, 이로 인해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가 잠기도록 하며, 후술할 키훅부(2134)는 더이상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있던 도어키(50)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In the storage module 143, when the open door is closed in the use approved state of the locker in which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the latch bolt part 11 is the driving part 10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key hook portion 2134 to be described later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while protruding outward. When the motor part 121 is controlled by the storage module 143, the protruding part 1232 points in the approximately 7 o'clock direction as shown in FIG. (10) The door is locked by protruding outward, and the key hook part 21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no longer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so that the user can withdraw the door key 5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상기 오픈모듈(144)은, 후술할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은 락커의 사용승인 상태에서, 닫힌 도어의 키홀더부(20)에 도어키(5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면서, 후술할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오픈모듈(144)에 의해 상기 모터부(121)가 제어되면, 상기 돌출부(12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대략 5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한 도어키(50)를 뺄 수 없게 되지만, 락커의 도어는 열 수 있게 된다.The open module 144, when the door key 50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part 20 of the closed door in a use approved state of the locker in which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while allowing the latch bolt part 11 to enter the inside of the driving part 10. That is, when the motor part 121 is controlled by the open module 144, the protruding part 1232 rotates again in the approximately 5 o'clock direction as shown in FIG. 8 . Due to this, the user cannot remove the door key 5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but the door of the locker can be opened.

상기 사용종료모듈(145)은, 상기 래치볼트부(11)와 후술할 키훅부(2134)를 상기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시간이 경과했을 때 종료신호가 수신되면서 상기 사용종료모듈(145)이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사용종료모듈(145)에 의해 상기 모터부(121)가 제어되면서, 상기 돌출부(12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1시 방향을 향하게 되는바, 락커의 도어는 잠겨 열 수 없게 되고, 후술할 키훅부(2134)는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도어키(50)를 삽입해 문을 열 수 없도록 한다. 결국 사용시간을 초과한 사용자는 카운터 방문 등을 통해 락커 관리자로부터 추가 요금 결제 등을 해야 락커에 보관된 물품을 찾을 수 있게 된다. 만일 사용시간이 남아 있지만 사용자가 이미 락커의 사용을 마치고 퇴실한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1232)가 도 9와 같이 대략 7시 방향을 향하게 되어, 도어는 잠기되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50)는 인출할 수 있는 상황이 되지만 사용자가 도어키(50)를 인출하지 않고 퇴실한 상태가 되므로, 관리자는 사용자의 퇴실이 확인되었을 때 종료신호를 보내어 상기 돌출부(1232)가 도 7과 같이 대략 11시 방향이 되도록 하거나, 사용시간이 완료되기까지 그대로 두고 사용시간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종료신호가 생성 및 수신되면서 상기 돌출부(1232)가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The end-of-use module 14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returns the latch bolt part 11 and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use standby state of the locker. Specifically, when the use time has elapsed, the use end module 145 can be activated as an end signal is received, and the motor unit 121 is controlled by the use end module 145, and the protruding portion 1232 is directed toward approximately 11 o'clock, as shown in FIG. 7, the door of the locker is locked and cannot be opened, and the key hook portion 2134 to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portion 20 so that the user The door key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so that the door cannot be opened. After all, the user who has exceeded the usage time must pay an additional fee from the locker manager by visiting the counter to find the items stored in the locker. If the use time remains but the user has already finished using the locker and leaves the room, the protrusion 1232 is directed toward approximately 7 o'clock as shown in FIG. The door key 50 can be withdrawn, but the user leaves the room without withdrawing the door key 50, so the administrator sends an end signal when the user confirms that the door key 50 is out, so that the protruding part 1232 can be removed. As shown in 7, the protrusion 1232 may be set to approximately 11 o'clock, or leave it as it is until the use time is completed, and when the use time is completed, the protrusion 1232 may be in a state as shown in FIG. 7 while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receiving an end signal.

상기 센서부(15)는, 상기 구동휠부(123)의 위치를 감지해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 정도를 파악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15)는 상기 구동부(10) 상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5)를 통해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15)는 상기 돌출부(1232)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11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이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도 8과 같이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5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이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도 9와 같이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7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이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driving wheel unit 123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unit 123 . The sensor unit 15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driving unit 10, and control of the latch bolt unit 11 may be more easily performed through the sensor unit 15. Preferably, in order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part 1232, the sensor unit 15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art 1232 when it is facing an approximately 11 o'clock direction as shown in FIG. 8 and As shown in FIG. 9, the protrusion 1232 may be form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when the protrusion 1232 faces approximately 5 o'clock, an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n the protrusion 1232 faces approximately 7 o'clock, respectively. there is.

상기 키홀더부(20)는, 상기 도어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10)와 연결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키홀더부(20)는 크게 몸체부(21)와 핸들부(22)로 구분되며, 이러한 상기 몸체부(21)와 핸들부(22)는 중간에 빈 공간이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공간은 상측이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후술할 도어키(50)를 삽입하거나,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50)를 상측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The key holder part 20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is located outside the door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10 . The key holder part 20 is largely divided into a body part 21 and a handle part 22, and the body part 21 and the handle part 22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n empty space in the middle forming an inner space. Preferably, since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user inserts a door key 50 to be described later into the inner space or withdraws the door key 50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upward. can do.

도 11은 키홀더부(2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키홀더부(20)는 몸체부(21), 핸들부(22), 도어키판독부(23), 무선충전부(24)를 포함한다.FIG. 11 is a view showing the key holder part 20. Referring to FIG. 11, the key holder part 20 includes a body part 21, a handle part 22, a door key reading part 23, a wireless It includes a charging part 24.

상기 몸체부(21)는, 상기 키홀더부(20) 중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핸들부(2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몸체부(21)가 도어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도어에 고정된 상기 몸체부(21)에 후술할 핸들부(22)가 결합되면서, 결국 상기 키홀더부(20)가 상기 도어의 외측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body part 21 is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mong the key holder parts 2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art 22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as the body part 21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handle part 22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body part 21 fixed to the door, eventually the key holder part 20 is installed on the door. It can be firmly fixed on the outside.

도 12는 몸체부(2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몸체부(21)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몸체부(21)는, 하우징부(211), 회전운동부(212), 병진운동부(213), 제2탄성부(214), 하우징캡부(215)를 포함한다.12 is a view showing the body portion 21,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body portion 21 from another viewpoint. Referring to FIGS. 12 and 13, the body portion 21 , A housing part 211, a rotational motion part 212, a translational motion part 213, a second elastic part 214, and a housing cap part 215 are included.

상기 하우징부(211)는, 상기 몸체부(21)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내측 빈 공간에 위치하는 구성들을 감싸 보호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부(211)가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하우징부(211)가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달리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211 forms an outer shape of the body part 21 and forms an empty space inside, and surrounds and protects the elements located in the inner empty space. 12 and 13, the housing portion 211 is illustrated as having a circular shape, but the housing portion 211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

도 1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하우징부(211)는, 하우징컵부(2111), 하우징지지부(21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 the housing part 211 includes a housing cup part 2111 and a housing support part 2112 .

상기 하우징컵부(2111)는, 후술할 병진운동부(213)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전측을 통해 후술할 병진운동부(213)가 상기 하우징컵부(2111)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컵부(2111)의 개방된 전측은 후술할 하우징캡부(215)에 의해 덮히게 된다.The housing cup portion 2111 has a configuration for accommodating a translation motion portion 213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preferably the front side, is opened while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translational movement part 213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cup part 2111 through the open front side, and the open front side of the housing cup part 2111 is covered by a housing cap part 215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는, 상기 하우징컵부(2111)로부터 상기 구동부(10)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운동부(212)를 수용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이 개방된 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의 내측 수용공간은 상기 하우징컵부(2111)의 내측 수용공간과 연통된다.The housing support portion 2112 extends from the housing cup portion 2111 toward the driving portion 10 to accommodate a rotational motion portion 212 to be described later. Referring to FIGS. 12 and 13 , the housing support part 2112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one side open while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support part 2112 is the housing cup part 2111 communicates with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도 12 및 1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는, 관통홀(21121), 회전방지부(21122), 탄성고정부(21123)를 포함한다.12 and 13, the housing support part 2112 includes a through hole 21121, an anti-rotation part 21122, and an elastic fixing part 21123.

상기 관통홀(2112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회전운동부(212)의 연결부(2121)가 상기 구동휠부(123)의 연결홈(12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할 연결부(2121)의 수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말한다. As shown in FIG. 13, the through hole 21121 is a connection part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121 of the rotary motion unit 212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groove 12311 of the driving wheel part 123 ( 2121) refers to a hole penetrating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support part 2112 to the other side.

상기 회전방지부(21122)는, 후술할 병진운동부(213)를 파지해 병진운동부(213)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방지부(211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격벽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는 후술할 회전운동부(212)를 지지하게 되고,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격벽 사이의 공간을 형성해 후술할 병진운동부(213)의 날개부(2132)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병진운동부(213)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The anti-rotation unit 21122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the translation unit 213 from rotating by gripping the translation unit 2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12 , the anti-rotation part 211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rrier ribs radially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cylinder. The central portion supports the rotary motion unit 212 to be described later, and forms a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wings 2132 of the translation motion unit 213 to be described later are accommodated, thereby the translation mo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The rotation of (213) is prevented.

상기 탄성고정부(21123)는, 후술할 키훅부(2134)를 잡아당기는 제2탄성부(214)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탄성고정부(2112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21121)의 상측에 위치하여 후술할 제2탄성부(214)의 일측을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elastic fixing part 21123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214 that pulls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As shown in FIG. 13 , the elastic fixing part 21123 is positioned above the through hole 21121 and is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hooking one side of a second elastic part 21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회전운동부(212)는, 일측이 상기 구동휠부(123)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에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회전운동부(212)는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키훅부(2134)를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시키거나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회전운동부(212)는 상기 하우징부(211)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휠부(123)에 회전에 따라 회전하되, 특정 구간에서는 회전이 계속될수록 후술할 병진운동부(213)를 미는 힘이 이에 비례에 증가하나 다른 특정 구간에서는 회전이 계속될수록 후술할 병진운동부(213)를 미는 힘이 이에 비례에 감소하도록 하는 독특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otary movement unit 212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unit 123 and rotat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unit 123 . The rotational movement unit 212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wheel unit 123 and causes the key hook unit 2134 to be described later to protrude or not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20 . The rotational motion part 212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part 211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wheel part 123. In a specific section, as the rotation continues, the force pushing the translational motion part 213 to be described later is proportional to this. However, in another specific section, as the rotation continues, the force pushing the translation unit 2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have a unique shape that decreases in proportion thereto.

도 14는 회전운동부(212)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회전운동부(212)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회전운동부(212)는, 연결부(2121), 실린더부(2122), 추진기어치부(2123)를 포함한다.14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unit 212,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unit 212 from another viewpoint. Referring to FIGS. 14 and 15, the rotation unit 212 is a connecting unit. 2121, a cylinder portion 2122, and a propulsion gear tooth portion 2123.

상기 연결부(2121)는, 상기 구동휠부(123)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동휠부(123) 중 상기 몸체부(1231)의 전측면에 함입 형성된 연결홈(12311) 상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2121)의 결합면은 상기 연결홈(12311)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121 is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the drive wheel part 123, and specifically, inserted into and fixed into a connection groove 12311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body part 1231 of the drive wheel part 123. It can be. To this en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2121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shape of the connection groove 12311, and preferably has a cross shape as shown in FIG. 13.

상기 실린더부(2122)는, 상기 연결부(2121)로부터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실린더부(2122)의 형상을 어느 한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을 형성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ylinder portion 2122 is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2121, and the shape of the cylinder portion 2122 is not limited to any one shape, but preferably as shown in FIGS. 14 and 15. It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forms a step like this.

도 16은 회전운동부(212)를 또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실린더부(2122)는, 파지홈(21221)을 포함한다.FIG. 16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unit 212 from another viewpoint. Referring to FIG. 16, the cylinder unit 2122 includes a gripping groove 21221.

상기 파지홈(21221)은, 도어의 강제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2122)의 전측면에 함입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부득이하게 도어를 강제로 개폐해야할 경우가 발생하면, 관리자는 상기 파지홈(21221)에 개폐수단을 체결해 도어를 강제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파지홈(21221)이 십자형의 홈을 중심에 두고 그 주변에 원형의 홈이 4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파지홈(21221)의 형상을 이러한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gripping groove 21221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med by being recessed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part 2122 so that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forcefu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an be coupled thereto. When a case inevitably occurs that the door must be forcibly opened or closed, the manager can forcibly open or close the door by fastening an opening/closing means to the gripping groove 21221. Referring to FIG. 16, the gripping groove 21221 is shown as having four circular grooves formed around the cross-shaped groove at the center, but limiting the shape of the gripping groove 21221 to only this shape No,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는, 상기 실린더부(2122)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2121)의 회전 정도에 따라 후술할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는 상기 실린더부(2122)의 중심수직면(2122a)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는 상기 연결부(2121)의 회전 정도에 따라 후술할 키훅부(2134)가 내부공간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여, 일정 회전까지는 키훅부(2134)가 내부공간 측으로 계속 전진하도록 하고, 일전 회전을 넘어서는 키훅부(2134)가 내부공간 반대측으로 후퇴하도록 한다.The propulsion gear teeth 2123 ar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art 2122 so that the degree to which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is pressed toward the inner space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connection part 2121. has a shape that The propulsion gear teeth 2123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vertical surface 2122a of the cylinder portion 2122, respectively. The propulsion gear teeth 2123 allow the degree to which the key hook portion 2134 to be described later is pressed toward the inner space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2121, so that the key hook portion 2134 continues toward the inner space until a certain rotation. It advances, and the key hook portion 2134 beyond the previous rotation retreat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inner space.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는, 하향추진기어치(21231), 상향추진기어치(21232), 연결치(21233)를 포함한다.14 to 16 , the propulsion gear tooth portion 2123 includes a downward propulsion gear tooth 21231, an upward propulsion gear tooth 21232, and a connecting tooth 21233.

상기 하향추진기어치(2123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 수록 면이 90도로 비틀리는 형상을 가지는 비틀림 하향 경사면(212311)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부(2122)의 중심수직면(2122a)에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감기면서 연장되는 구성을 말한다.As shown in FIG. 14, the downward propulsion gear teeth 21231 form a twisted downward inclined surface 212311 having a shape in which the surface is twisted at 90 degrees as it goes downward, so as to form a central vertical surface of the cylinder part 2122 ( 2122a)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extends while winding obliquely downward.

상기 상향추진기어치(21232)는, 비틀림 상향 경사면(212321)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부(2122)의 중심수직면(2122a)에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으로 감기면서 연장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추진기어치(21231)와 상기 상향추진기어치(2123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121) 측의 단부가 서로 만나지 않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 측의 단부가 서로 만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ward propulsion gear 21232 refers to a configuration extending while being obliquely wound upward on the central vertical surface 2122a of the cylinder part 2122 to form a torsion upward inclined surface 212321 . Preferably, the downward propulsion gear 21231 and the upward propulsion gear 21232 do not meet each other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121 as shown in FIG. 15, and as shown in FIG. 14, the inner space side The ends of may be configured to meet each other.

상기 연결치(21233)는,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가 상기 실린더부(2122)의 중심수직면(2122a)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칭 형성되었을 때,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향추진기어치(21231)의 상기 연결부(2121)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그 반대쪽인 상기 상향추진기어치(21232)의 상기 연결부(2121)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The connection teeth 21233 are as shown in FIGS. 14 and 16 when the propulsion gear teeth 2123 are symmetrically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vertical plane 2122a of the cylinder portion 2122, respectively. Similarly, the end of the downward thrust gear 21231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2121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end of the upward thrust gear 21232 on the opposite side is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일측이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와 맞물려 상기 회전운동부(212)의 회전운동을 후술할 키훅부(2134)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형상을 가지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상기 하우징부(211)와 후술할 하우징캡부(215)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translational motion part 213 refers to a configuration having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engaged with the propulsion gear tooth part 2123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al motion part 212 into the linear motion of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The translation unit 213 may be located in a space formed by the housing unit 211 and a housing cap unit 215 to be described later.

도 17은 병진운동부(213)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7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변환부(2131), 날개부(2132), 연장부(2133), 키훅부(2134)를 포함한다.17 is a diagram showing a translational movement unit 213. Referring to FIG. 17, the translational movement unit 213 includes a conversion unit 2131, a wing unit 2132, an extension unit 2133, a key hook unit ( 2134).

상기 변환부(2131)는, 추진기어치부(2123)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변환부(2131)는 상기 실린더부(2122)를 수용하면서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부(2131)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면과 타면이 개방된 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가 위치하는 측에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와 맞물리기 위해 함입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nversion unit 2131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converts rotational motion of the propulsion gear tooth unit 2123 into linear motion. The conversion part 2131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propulsion gear tooth part 2123 can be engaged while accommodating the cylinder part 2122 . Preferably, the conversion unit 2131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 while forming an empty space on the inside, and is engaged with the propulsion gear tooth portion 2123 on the side where the propulsion gear tooth portion 2123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form an indented part for

도 17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변환부(2131)는, 제1수용공간(21311), 안착면(2131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7 , the conversion unit 2131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11 and a seating surface 21312.

상기 제1수용공간(21311)은, 상기 실린더부(2122)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부(212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이러한 상기 실린더부(2122)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수용공간(21311)은 일면과 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11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cylinder portion 2122, and as described above, the cylinder portion 212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the cylinder portion 2122 To accommodat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21311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

상기 안착면(21312)은,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전측 방향을 향해 함입된 구성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면(21312)의 형상은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의 외주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ating surface 21312 is recessed toward the front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propulsion gear teeth 2123, and is formed as shown in FIG. 18 to secure the propulsion gear teeth 2123. will be accepted The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21312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propulsion gear teeth 2123.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안착면(21312)에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가 정확하게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운동부(212)에 의한 상기 병진운동부(213)의 추진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18 , when the propulsion gear teeth 2123 ar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seating surface 21312, the rotational motion part 212 does not propel the translational motion part 213.

하지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가 회전하게 되면, 특이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의 기어치에 의해 상기 병진운동부(213)가 앞쪽으로 밀리게 된다. 이러한 전측 추진은 경사진 상기 상향추진기어치(21232)에 의해 도 20의 상태에 이르기까지 계속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19, when the propulsion gear teeth 2123 rotate, the translational movement part 213 is pushed forward by the gear teeth of the propulsion gear teeth 2123 having a unique shape. . This forward propulsion continues until the state shown in FIG. 20 is reached by the inclined upward propulsion gear 21232.

다만,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후술할 제2탄성부(214)에 의해 전측 추진 방향의 반대방향의 힘을 받게 되므로, 상기 병진운동부(213)를 전측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아지게 되면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후측 방향으로 후퇴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도 18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translation unit 213 receives a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propulsion direction by the second elastic unit 2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force pushing the translation unit 213 forward decreases, the translation The movement part 213 is retrac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and can finally return to the state shown in FIG. 18 .

상기 날개부(2132)는, 상기 변환부(213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병진운동부(213)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날개부(2132)는 전술한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의 회전방지부(21122)에 파지되므로, 상기 회전방지부(21122)에 수용된 상기 날개부(2132)에 의해, 상기 회전운동부(212)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The wing portion 2132 extends downward from the converting portion 2131 to prevent rotation of the translational motion portion 213 . Since the wing part 2132 is gripped by the anti-rotation part 21122 of the housing support part 2112 described above, by the wing part 2132 accommodated in the anti-rotation part 21122, the rotation movement part 212 ) rotates, the translation unit 213 cannot rotate.

상기 연장부(2133)는, 상기 변환부(2131)와 후술할 키훅부(2134)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후술할 제2탄성부(214)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면과 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2133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converting part 2131 and a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and preferably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for a second elastic part 214 to be described later therein. As shown in 17, it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 while forming an empty space therein.

이러한 상기 연장부(2133)는, 제2수용공간(21331)을 포함한다.The extension part 2133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331.

상기 제2수용공간(21331)은, 후술할 제2탄성부(214)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후술할 키훅부(2134)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부(21341)가 돌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331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elastic part 2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located, and a hooking part 2134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key hook part 21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It is the part that forms the space to be.

상기 키훅부(2134)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50)의 인출을 막도록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50)를 인출하지 못하도록 하고, 락커의 사용승인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잠겨 있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지만 상기 키훅부(2134)는 여전히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락커 사용자가 열린 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11)가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도어를 잠그고, 이때 상기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면서 사용자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50)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후술할 도어키(50)를 삽입해 닫혀 있던 도어를 여는 경우에는, 상기 키훅부(2134)가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면서 도어키(50)의 인출을 막는다.The key hook part 2134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med to be able to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to prevent the withdrawal of the door key 50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When the locker is ready for use, the key hook part 2134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to prevent the door key 50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from being withdrawn, and when the use of the locker is approved, the latch bolt part 11 operates as the driving part. While entering the inside of 10, the locked door can be opened, but the key hook part 2134 still maintains a protruding state, and when the locker user closes the opened door, the latch bolt part 11 operates as a driving part ( 10) protrudes outward to lock the door, and at this time, the key hook part 2134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so that the user can withdraw the door key 50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When a door key 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part 20 to open a closed door, the key hook part 2134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and prevents the door key 50 from being drawn out.

상기 키훅부(2134)는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운동부(212)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 hook part 213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or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part 20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tion movement part 21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wheel part 123.

이러한 상기 키훅부(2134)는, 걸림부(21341)를 포함한다.The key hook portion 2134 includes a hooking portion 21341.

상기 걸림부(21341)는, 상기 제2수용공간(21331)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키훅부(2134)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자유단을 형성하는 상기 걸림부(21341)의 타단은 상기 제2수용공간(21331) 상에 위치하는 바, 상기 제2수용공간(21331) 내에 안치되는 후술할 제2탄성부(214)의 일단이 상기 걸림부(2134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341) 상에는 홈이 형성되므로, 상기 홈에 후술할 제2탄성부(214)의 일측을 걸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 hooking part 21341 is configured to protrude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331, and preferably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key hook part 2134 and the other end forming a free end. The other end of the hooking part 21341 forming the free end is located o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331, and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part 214 to be described later plac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331. It may be caught and fixed by the hanging part 21341. Since a groove is formed on the hooking part 21341,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fix it by hanging one 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214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groove.

상기 제2탄성부(214)는, 일측이 상기 걸림부(21341)에 걸린 상태로 상기 제2수용공간(21331) 내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상기 키훅부(2134)를 탄성력에 의해 돌출 전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키훅부(2134)를 잡아당기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연장부(2133)의 상기 제2수용공간(21331) 상에 상기 제2탄성부(214)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2탄성부(214)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의 상기 탄성고정부(21123)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2탄성부(214)의 타단은 상기 제2수용공간(21331)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21341)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탄성부(214)의 탄성력보다 강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 후술할 키훅부(2134)가 키훅수용홀(2151)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탄성부(214)의 탄성력에 의해 키훅부(213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The second elastic part 214 protrudes the key hook part 2134, which is loc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331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in a state where one side is caught on the hooking part 21341, by an elastic force. This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key hook part 2134 is pulled to return to the previous state. The second elastic part 214 is positioned o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331 of the extension part 2133, and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part 214 is the elastic high part of the housing support part 2112. The second elastic part 214 is fixed to the top part 2112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art 214 is fixed to the hooking part 21341 protruding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331. When an external force stronger than the elastic force acts, the key hook part 2134 to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through the key hook receiving hole 2151, and when the external force does not act, the key hook part 2134 is cau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part 214. 2134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하우징캡부(215)는, 상기 하우징부(211)를 덮는 구성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캡부(215)는 상기 하우징부(211)의 개방된 일측을 덮어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부(211)와 상기 하우징캡부(215)가 형성하는 내측 빈 공간에 수용된 상기 회전운동부(212), 상기 병진운동부(213), 상기 제2탄성부(214)를 보호한다.The housing cap portion 215 covers the housing portion 211, and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housing cap portion 215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 while forming an empty space therein. The housing cap part 215 covers and closes one open side of the housing part 211, so that the rotation movement part 212 accommodated in the inner empty space formed by the housing part 211 and the housing cap part 215, The translation movement part 213 and the second elastic part 214 are protected.

도 12 및 1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하우징캡부(215)는, 키훅수용홀(2151), 파지홈연통홀(2152), 핸들결합홀(2153)을 포함한다.12 and 13 , the housing cap part 215 includes a key hook receiving hole 2151, a grip groove communication hole 2152, and a handle coupling hole 2153.

상기 키훅수용홀(2151)은, 상기 키훅부(2134)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관통 형성된 홀로, 상기 키훅부(2134)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키훅수용홀(2151)에 의해 상기 키훅부(2134)는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key hook accommodating hole 2151 is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hook portion 2134 and is formed to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key hook portion 2134 . The key hook part 2134 may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part 20 by the key hook receiving hole 2151 .

상기 파지홈연통홀(2152)은, 상기 회전운동부(212)에 포함된 파지홈(21221)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관통 형성된 홀을 말한다. 상기 하우징캡부(215) 상에 상기 파지홈연통홀(2152)을 형성하여, 상기 파지홈연통홀(2152)을 통해 개폐수단을 삽입해 상기 개폐수단이 상기 실린더부(2122)의 파지홈(212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파지홈(21221)에 결합된 상기 개폐수단을 회전시켜 필요시 도어를 강제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파지홈연통홀(2152)은 상기 키훅수용홀(215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gripping groove communication hole 2152 refers to a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ipping groove 21221 included in the rotary motion unit 212 through. The gripping groove communication hole 2152 is formed on the housing cap part 215, and an opening/closing means is inserted through the gripping groove communication hole 2152 so that the opening/clos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groove 21221 of the cylinder part 2122. ), and by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coupled to the gripping groove 21221, the door can be forcibly opened and closed when necessary. The gripping groove communication hole 2152 may be formed below the key hook receiving hole 2151 .

상기 핸들결합홀(2153)은, 상기 핸들부(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홀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핸들결합홀(2153)에 의해 후술할 핸들지지부(221)의 연장결합부(2212)가 상기 몸체부(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handle coupling hole 2153 is a hole through which the handle unit 22 can be coupled, and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The extension coupling part 2212 of 22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21 .

상기 핸들부(22)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몸체부(21)에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21)와 상기 핸들부(22)가 결합되었을 때 중앙에는 후술할 핸들지지부(221)의 연장결합부(2212)에 의해 상측에 개방된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part 22 refers to a configuration coupled to the body part 21 while forming the inner space. Specifically, when the body portion 21 and the handle portion 22 are coupled, the inner space opened to the upper sid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by an extension coupling portion 2212 of the handle support portion 221 to be described later. .

도 21은 핸들부(22)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핸들부(22)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핸들부(22)는, 핸들지지부(221), 핸들커버부(222)를 포함한다.21 is a view showing the handle part 22, and FIG. 22 is a view showing the handle part 22 from another viewpoint. Referring to FIGS. 21 and 22, the handle part 22 is a handle It includes a support part 221 and a handle cover part 222.

상기 핸들지지부(221)는, 상기 핸들부(22)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핸들부(22) 중 상기 몸체부(21)에 결합되는 부분을 말한다. 상기 핸들지지부(221)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키홀더부(20)의 중앙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support part 221 forms the base of the handle part 22 and refers to a portion of the handle part 22 coupled to the body part 21 . Although the shape of the handle support part 221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shap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pe capable of forming an inner space in the central part of the key holder part 20 .

이러한 상기 핸들지지부(221)는, 베이스부(2211), 연장결합부(2212)를 포함한다.The handle support part 221 includes a base part 2211 and an extension coupling part 2212.

상기 베이스부(2211)는,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할 핸들커버부(222)는 상기 베이스부(2211)의 개방된 전측면을 덮는 것인바, 상기 베이스부(2211)의 개방된 전측면은 후술할 핸들커버부(222)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base part 2211 is configured to close one side of the inner space, and as shown in FIG. 21, it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front sid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handle cover part 222 to be described later covers the open front side of the base part 2211, and the open front side of the base part 2211 is complementary to the shape of the handle cover part 222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o be composed of a shape.

도 21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2211)는, 강제개폐홀(22111), 커버결합홀(2211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1 , the base portion 2211 includes a forced opening/closing hole 22111 and a cover coupling hole 22112.

상기 강제개폐홀(22111)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회전운동부(212)의 파지홈(21221)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관통 형성된 홀인 파지홈연통홀(2152)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관통 형성된 홀을 말한다. 상기 핸들지지부(221)의 베이스부(2211) 상에 상기 강제개폐홀(22111)을 형성하여, 상기 핸들부(22)의 핸들커버부(222)를 분리시켜 상기 강제개폐홀(22111)이 노출되면, 상기 강제개폐홀(22111)로 개폐수단을 삽입해 내부공간을 지나 상기 하우징캡부(215)에 형성된 상기 파지홈연통홀(2152)을 통과한 상기 개폐수단이 파지홈(21221)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forcible opening/closing hole 22111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and penetrat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ipping groove communication hole 2152, which is a hole formed through a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ipping groove 21221 of the rotary motion unit 212. hole formed. The forced opening/closing hole 22111 is formed on the base part 2211 of the handle support part 221, and the handle cover part 222 of the handle part 22 is separated so that the forced opening/closing hole 22111 is exposed. Then, the opening/clos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forcible opening/closing hole 22111,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space and passing through the gripping groove communication hole 2152 formed in the housing cap 215, and the opening/closing means is fastened to the gripping groove 21221. make it possible

상기 커버결합홀(22112)은, 상기 핸들커버부(222)를 상기 핸들지지부(22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커버고정수단(2221)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관통 형성된 홀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커버결합홀(22112)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211)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후술할 핸들커버부(2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할 커버고정수단(2221)이 체결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coupling hole 22112 refers to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fixing means 2221 formed to detachably fix the handle cover part 222 to the handle support part 221 . As shown in FIG. 21, a plurality of cover coupling holes 22112 may be formed on the base portion 2211, and a cover fix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a handle cover portion 222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2221)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that can be fastened.

상기 연장결합부(2212)는, 상기 베이스부(2211)로부터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1)에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결합부(2212)는 상기 핸들결합홀(215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extension coupling part 2212 refers to a configuration extending from the base part 2211 toward the inner space and coupled to the body part 21 . As described above, the extension coupling part 221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hole 2153 .

상기 핸들커버부(222)는, 상기 핸들지지부(2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핸들커버부(222)를 원반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핸들커버부(222)는 상기 핸들지지부(221)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지지부(221)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것인바, 그 형상은 상기 핸들지지부(221)의 개방된 전측면과의 관계에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cover part 22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support part 221, and as shown in FIG. 22, the handle cover part 222 is shown in a disk shape, but is limited to this shape. It is not,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However, the handle cover part 222 is coupled to the handle support part 221 to cover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handle support part 221, and its shape is related to the open front side surface of the handle support part 221. It is preferable to be determined in

이러한 상기 핸들커버부(222)는, 커버고정수단(2221)을 포함한다.The handle cover part 222 includes a cover fixing means 2221.

상기 커버고정수단(2221)은, 상기 핸들커버부(222)를 상기 핸들지지부(22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고정수단(2221)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결합홀(22112)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2211)에 형성된 커버결합홀(2211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fixing means 2221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med to detachably fix the handle cover part 222 to the handle support part 221 . Preferably, the cover fixing means 2221 is formed in a hook shape as shown in FIG. 22 and can be fastened to the cover coupling hole 22112, and the cover coupling hole 22112 formed in the base portion 2211 ) It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도 23은 상기 제어부(14)에 연결된 도어키판독부(23), 입력부(30) 및 도어개폐감지부(4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23을 참고하도록 한다.FIG. 23 is a view showing the door key reading unit 23, the input unit 30, and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4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4.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23 hereinafter.

상기 도어키판독부(23)는,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후술할 도어키(50)를 인식하여 인식된 도어키(50)가 적법한 경우 도어키감지신호를 생성해 상기 제어부(14)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도어키판독부(23)는 후술할 도어키(50)의 통신부(51)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도어키(50)를 인식하여, 인식된 도어키(50)가 적법한 경우 도어키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도어키판독부(23)를 통해 해당 락커에 맞는 적절한 도어키(50)가 상기 키홀더부(20)에 꽂혔는지를 인식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The door key reading unit 23 recognizes a door key 5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20 and generates a door key detection signal when the recognized door key 50 is legitimate, thereby generating the control unit. It refers to the configuration to be transmitted to (14). That is, the door key reading unit 23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51 of the door key 50 to be described later, recognizes the door key 5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20, and recognizes the door key 50. When the door key 50 is legal, it can be seen as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door key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door key reading unit 2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recognizing whether an appropriate door key 50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locker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unit 20.

상기 무선충전부(24)는, 무선으로 후술할 전력수신부(53)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무선충전부(24)는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후술할 도어키(50)에 대향하는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도어키(50)의 전력수신부(53)가 상기 무선충전부(24)로부터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어키(50)를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삽입했을 때, 상기 무선충전부(24)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은 전력수신부(53)가 후술할 축전부(52)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24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wirelessly supplies electrical energy to the power receiving unit 53 to be described later. The wireless charging unit 24 may be formed on a position facing the door key 50 to be described later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20 . When the power receiver 53 of the door key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figured to wirelessly receive electrical energy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24, the door key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20. At this time, the power receiver 53 receiving electric energy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24 can charge the power storage unit 52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입력부(30)는, 신호를 입력해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어부(14)의 신호수신모듈(141)에 수신되도록 함으로써, 락커의 사용을 승인하거나, 락커의 사용을 종료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30)는 락커 관리자가 있는 카운터 등에 위치할 수 있다.The input unit 30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 of the locker is approved or the use of the locker is terminated by inputting a signal and allowing the input signal to be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module 141 of the control unit 14. Preferably, the input unit 30 may be located at a counter with a locker manager.

도 2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입력부(30)는, 승인신호입력부(31), 종료신호입력부(3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3 , the input unit 30 includes an approval signal input unit 31 and an end signal input unit 32 .

상기 승인신호입력부(31)는, 락커의 사용을 승인하는 사용승인신호를 생성해 상기 제어부(14)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승인신호입력부(3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의 승인신호수신모듈(1411)과 연결이 되는바, 관리자 등이 사용승인신호를 생성했을 때, 해당 신호가 상기 승인신호수신모듈(1411)에 수신되면서 상기 사용시작모듈(142)이 활성화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한다.The approval signal input unit 31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generates a use approval signal for approving use of the lock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4 . As shown in FIG. 23, the approval signal input unit 31 is connected to the approval signal receiving module 1411 of the control unit 14, and when a manager or the like generates a use approval signal, the corresponding signal sends the approval When the signal receiving module 1411 receives the start-of-use module 142 is activated, the latch bolt part 11 goes inside the driving part 10 and opens the door.

상기 종료신호입력부(32)는, 락커의 사용을 종료시키는 사용종료신호를 생성해 상기 제어부(14)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일 예로, 사용시간이 도과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기 종료신호입력부(32)가 활성화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후술할 키훅부(2134)를 내부공간으로 돌출시키면서 사용대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바, 사용 시간을 넘은 부정 사용이 방지될 수 있으며, 락커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인력, 시간, 노고, 비용 등은 최소화될 수 있다.The termination signal input unit 32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generates a use termination signal for ending use of the lock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4 . For example, when the usage time elapses, the end signal input unit 32 is automatically activated to protrude the latch bolt unit 11 to the outside of the drive unit 10 and insert a key hook unit 2134 to be described later into the interior. By protruding into the space and returning to the standby state, illegal use beyond the use time can be prevented, and manpower, time, effort, cost, etc. required to manage the locker can be minimized.

상기 도어개폐감지부(40)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신호를 생성해 상기 제어부(14)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40)에 의해 후술할 도어키(50)가 삽입되어 있는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래치볼트부(11)가 돌출되면서 도어가 잠기게 되고, 동시에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었던 상기 키훅부(2134)가 들어가게 되면서 도어키(5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40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generates a door detection signal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4 . For example, when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40 detects that the door into which the door key 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s closed, the latch bolt 11 protrudes and the door is lock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side As the key hook part 2134 protrudes into the space, it allows the door key 50 to be withdrawn.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커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통신 가능한 도어키(50)가 추가된 특징이 있다.24 is a view showing a locker system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oor key 50 capable of communication is added.

상기 도어키(50)는, 상기 키홀더부(20)에 포함된 내부공간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도어키(50)는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도어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도어키(50)가 주변과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가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락커에 물품을 보관한 뒤 도어키를 소지하고 이동하는 자의 동선, 위치 등이 추적될 수 있도록 하여, 미아를 찾거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를 빅데이터화하며, 수집된 빅데이터를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door key 50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ncluded in the key holder part 20 and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and the door key 50 is formed to en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Since the door key 50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20 and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is form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surroundings, a ubiquitous sensor network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is, after storing items in a locker, the movement and location of a person holding a door key and moving can be tracked, so that a lost child can be easily identified or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gather, making it big data, Collected big data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도 25는 도어키(5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도어키(50)는, 통신부(51), 축전부(52), 전력수신부(53), 메모리부(54), 출력부(55)를 포함한다.25 is a view showing a door key 50, and the door key 5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51, a power storage unit 52, a power receiving unit 53, a memory unit 54, and an output unit 55 ).

상기 통신부(51)는, 상기 도어키(50)의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키(5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51)는, 디지털 통신 기기를 위한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 산업 표준으로,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하는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5 표준을 기반으로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여 통신하기 위한 표준 기술인 지그비(ZigBee), 13.56MHz의 대역을 가지며 아주 가까운 거리의 무선 통신을 위한 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51)는 상기 도어키(50)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바, 상기 도어키(50)를 가지고 이동하는 락커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후술할 서버부(60)에 수집되어 빅데이터화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51 is configured to en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door key 50, and preferably enabl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door key 50.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51 is a personal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ndustry standard for digital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Bluetooth and IEEE 802.15 standards using the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ISM) frequency band of 2400 to 2483.5 MHz. ZigBee, a standard technology for communication by configuring a 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 technology for wireless communication at a very short distance with a band of 13.56 MHz, and RFID (Radio-Frequency), which identifies IDs using frequencies. Identification) to enabl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51 allows the door key 50 to be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ker user who moves with the door key 50 is collected by the server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data can be made.

상기 축전부(52)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51)와 연결되어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통신부(51)에 공급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통신부(51)에 의한 상기 도어키(50)의 통신 연결을 위해서는 전력 공급이 필요한바, 상기 도어키(50)의 내부에는 상기 축전부(52)가 구성되어 전기 에너지가 저장 및 공급될 수 있다.The power storage unit 52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stores electrical energy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51 to supply the stored electrical energy to the communication unit 51 . To connect the door key 5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51, power supply is required, and the power storage unit 52 is configured inside the door key 50 so that electrical energy can be stored and supplied. there is.

상기 전력수신부(53)는, 상기 축전부(52)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해 수신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축전부(52)에 공급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수신부(53)는 외부의 전력원과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홀더부(20)에는 상기 무선충전부(24)가 구성되는바, 상기 도어키(50)가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전력수신부(53)가 상기 무선충전부(24)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축전부(52)에 전기 에너지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receiving unit 53 is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unit 52 and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receives electrical energy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the received electrical energy to the power storage unit 52 . Preferably, the power receiver 53 can receive electrical energy while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More preferably, the wireless charging unit 24 is configured in the key holder unit 20, and when the door key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20, the power receiver 53 Receives electrical energy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24 so that the electrical storage unit 52 can be charged with electrical energy.

상기 메모리부(54)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도어키(50)의 출력부(55)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메모리부(54)는 SD 카드 등과 같이 상기 도어키(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키(50)로부터 분리된 상기 메모리부(54)를 다른 단말기에 연결시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메모리부(54)를 다시 상기 도어키(50)에 결합시켜 저장된 데이터를 후술할 출력부(5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54 is a configuration for storing data, and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 storing various data so that various contents can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55 of the door key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memory unit 5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key 50, such as an SD card, and connects the memory unit 54 separated from the door key 50 to another terminal to receive data from the connected terminal. After being downloaded, the memory unit 54 in which the downloaded data is stored may be coupled to the door key 50 again to output the stored data through an output unit 55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출력부(55)는, 상기 메모리부(54)에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출력부(55)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54)에 저장된 영상이나 음성은 도어키(5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출력부(55)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모듈(551), 음성출력모듈(552)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출력모듈(551)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출력모듈(552)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어키(50)에 출력부(55)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도어키(50)를 문을 열기 위한 수단만이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5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memory unit 54 and outputs stored data. The video or audio stored in the memory unit 54 by the output unit 55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key 50 . As shown in FIG. 25, the output unit 55 includes a video output module 551 and an audio output module 552. The video output module 551 may be a display for outputting video data, and the audio output module 552 may be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data. By configuring the output unit 55 in the door key 50, the door key 50 can be used not only as a means for opening a door, but also as a device for viewing various contents.

상기 서버부(60)는, 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도어키(50)의 통신부(51)는 상기 서버부(60)와 상기 도어키(50)를 통신 연결시킨다. 상기 도어키(50)가 통신부(51)를 통해 상기 서버부(60)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도 단말(T)이 상기 서버부(60)에 접속함으로써 도어키(50) 사용자의 위치, 동선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파악된 정보는 미아를 찾는 등에 활용될 수 있다.The server unit 60 is configured to receive, analyze, and transmit data, and the communication unit 51 of the door key 50 communicates the server unit 60 and the door key 50. connect The door key 5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erver unit 6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1 so that the terminal T accesses the server unit 60 even in a remote location, thereby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of the door key 50, It is easy to grasp the movement line and the like. The identified information can be used to find lost childre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6은 도어(D)에 결합된 락커 시스템(1)을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락커 시스템(1)은 구동부(10), 키홀더부(20), 도어키(50)를 포함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가 도어(D)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키홀더부(20)가 상기 도어(D)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키홀더부(20)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 도어키(50)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D)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0)와 상기 키홀더부(20)가 도어(D)에 형성된 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26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locker system 1 coupled to the door D. Referring to FIG. 26, the locker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10, a key holder unit 20, and a door key 50, an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10 is located inside the door D. , the key holder part 20 is formed outside the door D, and the door key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formed in the key holder part 20 . Preferably, a hole is formed in the door (D) so that the driving unit 10 and the key holder unit 2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door (D).

도 27은 복수의 락커 도어(D)에 결합된 락커 시스템(1)을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도 2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락커 시스템(1)에 의하면, 사용대기 상태의 락커 도어(D)는 항상 닫혀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정당한 락커 사용 권한을 얻지 못한자가 도어(D)를 열고 도어(D) 안쪽 공간에 무단으로 물건을 적치해 두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특정인이 관리자로부터 락커의 사용을 승인받거나, 키오스크 등을 이용한 결제를 통해 락커 사용을 승인받을 경우, 상기 입력부(30)를 통한 사용승인신호가 구동부(10)의 제어부(14) 측으로 전송되고, 사용승인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4)에 의해 상기 모터부(14)가 동작하게 되면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어 해당 사용자는 배정받은 특정 락커의 도어(D)를 열 수 있게 된다.27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locker system 1 coupled to a plurality of locker doors D. Referring to FIG. 27, according to the locker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er door is in a standby state for use (D) is always kept closed and locked, so that a person who has not obtained the right to use the locker can open the door (D) and put things in the space inside the door (D) without permission in advance to prevent the problem. do. If a specific person is approved to use the locker by a manager or through payment using a kiosk, a use approv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4 of the driving unit 10 through the input unit 30, As the motor part 14 is operated by the control part 14 receiving the use approval signal, the latch bolt part 11 enters the inside of the driving part 10, and the user is assigned to the door of the specific locker ( D) can be open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11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에 어떠한 외력도 가하지 않게 된다. 상기 래치볼트부(11)는 상기 제1탄성부(13)에 의해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밀려 도어 플레임에 형성된 수용홀에 걸리게 되는바, 사용자는 락커의 도어를 열 수 없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휠부(12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운동부(212)가 상기 병진운동부(213)를 도어의 외측으로 최대한 밀어 상기 키훅부(2134)를 내부공간(S)으로 돌출시키므로, 상기 내부공간(S)에 수용된 도어키는 밖으로 빠질 수 없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ready-to-use state, as shown in FIG. 28 , the protruding portion 1232 is positioned at approximately 11 o'clock, so that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bolt portion 11 . The latch bolt part 11 is pushed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part 10 by the first elastic part 13 and is caught in the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door frame, so the user cannot open the door of the locker. In this state, the rotational motion part 212 coupled to the driving wheel part 123 and rotating pushes the translational motion part 213 outward of the door as much as possible to protrude the key hook part 2134 into the inner space (S). , The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 is unable to fall out.

이 후 락커의 사용승인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돌출부(1232)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5시 방향을 가리키도록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안쪽으로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락커 도어를 열어 내부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구동휠부(12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운동부(212)는 상기 병진운동부(213)를 최대한 바깥쪽으로 밀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여전히 상기 내부공간(S)에 수용된 도어키를 밖으로 인출할 수 없다.Then, when approval for use of the locker is made, the protrusion 1232 is rotated to point in the approximately 5 o'clock direction as shown in FIG. It is pushed inward, which allows the user to open the locker door and store items inside. Even in this case, since the rotary motion part 212 coupled to the drive wheel part 123 and rotating is in a state of pushing the translational motion part 213 outward as much as possible, even in this state, the user is still in the inner space (S). The accepted door key cannot be withdrawn outside.

락커 내부에 물건을 넣은 사용자가 열린 도어를 닫으면, 상기 돌출부(1232)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7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에 위치해 있던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밀게 되면서, 도어는 잠기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부(12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병진운동부(213)를 바깥쪽으로 밀고 있던 힘이 없어지게 되면서 상기 병진운동부(213)를 잡아 당기고 있던 제2탄성부(214)에 의해 상기 병진운동부(21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키훅부(2134)가 내부공간(S)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바, 사용자는 상기 내부공간(S)에 삽입되어 있던 도어키를 꺼낼 수 있게 된다.When a user who puts an object inside the locker closes the open door, the protruding part 1232 rotates toward the 7 o'clock direction as shown in FIG. As the latch bolt part 11 is pushed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part 10, the door is locked. Further, the rotation of the protrusion 1232 removes the force pushing the translational motion part 213 outward, and the translational motion part 213 is caused by the second elastic part 214 pulling the translational motion part 213. )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s a result, the key hook part 2134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S),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the door ke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S).

도 30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내부공간(S)에 도어키를 삽입할 경우, 대략 7시 방향을 가리키고 있던 상기 돌출부(12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략 5시 방향에서 멈추게 되므로, 사용자는 락커 도어를 열 수 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키훅부(2134)는 상기 내부공간(S)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도어키 인출을 막는다. 사용자가 필요한 물건을 꺼내거나 보관이 필요한 추가적인 물건을 락커 내에 넣는 등의 행위를 한 뒤 다시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 락커 시스템(1)은 도 30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승인받은 사용시간 내 락커의 도어를 얼마든지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In the state of FIG. 30, when the user inserts the door key into the inner space (S), the protruding portion 1232, which was pointing at about 7 o'clock,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stops at about 5 o'clock, so the user The locker door can be opened, and in this process, the key hook part 2134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S) to prevent the user from withdrawing the door key.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again after taking out a necessary item or putting an additional item that needs to be stored into the locker, the locker system 1 enters the state shown in FIG. 30 . Therefore, the user can freely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locker within the approved use time.

사용시간이 완료될 경우, 상기 돌출부(1232)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1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상기 키훅부(2134)는 상기 내부공간(S)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상기 내부공간(S) 수용된 도어키의 인출을 막게 된다. 결국, 사용이 종료되면 락커 시스템(1)은 사용대기 상태(도 28 참조)로 복귀하게 되므로, 정당한 사용 승인을 얻지 못한 자의 락커 무단 사용은 여전히 차단될 수 있다.When the use time is completed, the protruding part 1232 is rotated toward the direction of approximately 11 o'clock as shown in FIG. 31, and by this rotation, the key hook part 2134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S). In this state, withdrawal of the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 is prevented. After all, when the use ends, the locker system 1 returns to the use standby state (see FIG. 28), so unauthorized use of the locker by those who have not obtained legitimate use approval can still be blocked.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written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cope of skill or knowledge in the art. The written embodiment describes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the specific application field and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Therefore,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cover other embodiments as well.

1: 락커 시스템
10: 구동부
11: 래치볼트부
11a: 운동축
111: 수용부
1111: 확경부
1112: 챔버부
12: 동력부
121: 모터부
122: 기어부
122a: 기어축
123: 구동휠부
123a: 구동축
1231: 몸체부
12311: 연결홈
1232: 돌출부
13: 제1탄성부
14: 제어부
141: 신호수신모듈
1411: 승인신호수신모듈
1412: 개폐신호수신모듈
1413: 삽입신호수신모듈
1414: 종료신호수신모듈
142: 사용시작모듈
143: 보관모듈
144: 오픈모듈
145: 사용종료모듈
15: 센서부
20: 키홀더부
21: 몸체부
211: 하우징부
2111: 하우징컵부
2112: 하우징지지부
21121: 관통홀
21122: 회전방지부
21123: 탄성고정부
212: 회전운동부
2121: 연결부
2122: 실린더부
2122a: 중심수직면
21221: 파지홈
2123: 추진기어치부
21231: 하향추진기어치
212311: 비틀림 하향 경사면
21232: 상향추진기어치
212321: 비틀림 상향 경사면
21233: 연결치
213: 병진운동부
2131: 변환부
21311: 제1수용공간
21312: 안착면
2132: 날개부
2133: 연장부
21331: 제2수용공간
2134: 키훅부
21341: 걸림부
214: 제2탄성부
215: 하우징캡부
2151: 키훅수용홀
2152: 파지홈연통홀
2153: 핸들결합홀
22: 핸들부
221: 핸들지지부
2211: 베이스부
22111: 강제개폐홀
22112: 커버결합홀
2212: 연장결합부
222: 핸들커버부
2221: 커버고정수단
23: 도어키판독부
24: 무선충전부
30: 입력부
31: 승인신호입력부
32: 종료신호입력부
40: 도어개폐감지부
50: 도어키
51: 통신부
52: 축전부
53: 전력수신부
54: 메모리부
55: 출력부
551: 영상출력모듈
552: 음성출력모듈
60: 서버부
D: 도어
S: 내부공간
1: Locker system
10: driving unit
11: latch bolt part
11a: movement axis
111: receiving part
1111: expansion department
1112: chamber part
12: power unit
121: motor unit
122: gear unit
122a: gear shaft
123: drive wheel unit
123a: drive shaft
1231: body part
12311: connecting groove
1232: protrusion
13: first elastic part
14: control unit
141: signal receiving module
1411: approval signal receiving module
1412: open/close signal receiving module
1413: insertion signal receiving module
1414: termination signal receiving module
142: use start module
143: storage module
144: open module
145: end of use module
15: sensor unit
20: key holder part
21: body part
211: housing part
2111: housing cup part
2112: housing support
21121: through hole
21122: anti-rotation part
21123: elastic fixing part
212: rotary motion unit
2121: connection
2122: cylinder part
2122a: central vertical plane
21221: phage home
2123: propulsion gear attachment
21231: Downward thrust gear
212311: Torsion downhill
21232: up thrust gear
212321: Torsional upslope
21233: connection value
213: translational movement unit
2131: conversion unit
21311: first receiving space
21312: seating surface
2132: wing part
2133: extension
21331: Second receiving space
2134: key hook part
21341: hanging part
214: second elastic part
215: housing cap part
2151: key hook receiving hole
2152: grip groove communication hole
2153: handle coupling hole
22: handle part
221: handle support
2211: base part
22111: Forced opening/closing hole
22112: cover coupling hole
2212: extension joint
222: handle cover part
2221: cover fixing means
23: door key reading unit
24: wireless charging unit
30: input unit
31: approval signal input unit
32: end signal input unit
40: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50: door key
51: Communication department
52: power storage unit
53: power receiving unit
54: memory unit
55: output unit
551: video output module
552: audio output module
60: server unit
D: door
S: interior space

Claims (21)

개폐 가능한 도어의 외측에 위치하는 키홀더부와,
상기 키홀더부에 포함된 내부공간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도어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키는,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 key holder located outside the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 door key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included in the key holder unit and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door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en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locker system enabling US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키는, 상기 도어키의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key is a locker system enabling US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enab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door ke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도어키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enabl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door key, locker system enabling US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더부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기 도어키를 인식하여, 인식된 도어키가 적법한 경우 도어키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도어키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key holder unit includes a door key reading unit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recognizes the door ke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unit, and generates a door key detection signal when the recognized door key is legitimate. , a locker system that enables US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키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통신부에 공급하는 축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locker system enabling USN,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key includes a power storage unit that stores electrical energy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supply the stored electrical energy to the communication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키는, 상기 축전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해 수신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축전부에 공급하는 전력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door key is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the received electrical energy to the power storage unit, locker system enabling US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신부는, 외부의 전력원과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power rece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electrical energy in a wirelessly connected state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a locker system enabling US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더부는, 무선으로 상기 전력수신부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key hold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less charging unit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the power receiving unit wirelessly, locker system enabling US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도어키에 대향하는 위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wireless charg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a position opposite to the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locker system enabling US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키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er system enabling USN,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key includes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and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memory unit to output the stored dat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locker system enabling US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unit includes a video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video data and an audio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udio dat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부와 상기 도어키를 통신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mmunication unit is a locker system that enables US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unit connects the door key with a server unit that receives and analyzes data and transmits the analyzed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 시스템은, 개폐 가능한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치볼트부와, 상기 래치볼트부를 제어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er system includes a drive unit located inside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dri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tch bolt port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drive unit, and a power unit for controlling the latch bolt portion, locker system enabling the US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3,
The power unit includes a motor unit generating power, a gear unit connected to the motor unit to rotate, and a driving wheel unit engaged with the gear unit to rotate, the locker system enabling the US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기어부의 회전 중심축인 기어축이 래치볼트부가 병진운동하는 방향에 나란한 운동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휠부는, 상기 기어축과 상기 운동축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4,
The gear unit is formed so that a gear shaft, which is a rotational axis of the gear uni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motion axis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atch bolt unit moves in translation,
The drive wheel unit,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tween the gear shaft and the movement shaft, the locker system enabling the US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부는, 상기 기어축 및 운동축에 수직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몸체부와, 상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래치볼트부를 상기 구동부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추진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5,
The drive wheel unit includes a body portion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and rotating around a drive shaft perpendicular to the gear shaft and the movement axis, and protruding and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e shaft, so that the latch bolt is attached to the drive unit. A locker system enabling a US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for propelling inward or outward of th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래치볼트부의 상측에 함입 형성된 공간인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회전하는 돌출부와 래치볼트부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래치볼트부의 상측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형상의 공간인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연장된 공간인 챔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The latch bolt part includes a receiving part that is a space formed inde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tch bolt part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part,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diameter expansion part, which is a spac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s expand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latch bolt part so that the rotating protrusion part and the latch bolt part do not interfere, and a chamber part, which is a space extending from the diameter expansion part downward while having a certain size. A locker system enabling US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더부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의 인출을 제어하는 키훅부와, 일측이 구동휠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에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훅부는,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운동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3,
The key holder part includes a key hook part for controlling withdrawal of a door ke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a rotary motion part connected to a driving wheel part and rot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part,
The key hook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ry motion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part, protrudes or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key holder part, locker system enabling US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구동휠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추진기어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8,
The rotational movement unit includes a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drive wheel unit, a cylinder unit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unit, and form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unit, so that the degree to which the key hook unit is pressed toward the inner spa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determined. A locker system that enables a US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pulsion gear tooth having a shape to be differen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더부는, 일측이 상기 추진기어치부와 맞물려 상기 회전운동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키훅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형상을 가지는 병진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8,
The key holder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lational movement part having a shape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al motion part into the linear motion of the key hook part by engaging with the propulsion gear tooth part, Locker system enabling US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운동부는, 상기 실린더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추진기어치부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함입된 안착면을 포함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병진운동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날개부와,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변환부와 상기 키훅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0,
The translation unit includes a conversion unit including a seating surface recessed in a shape complementary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propulsion gear tooth while forming a first accommodation space accommodating the cylinder unit,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version unit to A locker system enabling a US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ing portion preventing rotation of the translational motion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connecting the converting portion and the key hook portion while forming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KR1020210088761A 2021-07-06 2021-07-06 Locker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KR1026023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761A KR102602373B1 (en) 2021-07-06 2021-07-06 Locker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761A KR102602373B1 (en) 2021-07-06 2021-07-06 Locker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889A true KR20230007889A (en) 2023-01-13
KR102602373B1 KR102602373B1 (en) 2023-11-15

Family

ID=8490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761A KR102602373B1 (en) 2021-07-06 2021-07-06 Locker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37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258A (en) * 2008-12-01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mart key of vehicle having button starting system
KR20160018023A (en) * 2014-08-07 2016-02-17 패스테크 주식회사 A locking system comprising wireless power transfer and recharge technology
KR101823942B1 (en) 2017-06-09 2018-01-31 주식회사 마그마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for locker
KR20190109088A (en)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에이프테크놀로지 Digital door lock
KR102048159B1 (en) * 2018-11-05 2019-11-22 전욱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locker ke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258A (en) * 2008-12-01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mart key of vehicle having button starting system
KR20160018023A (en) * 2014-08-07 2016-02-17 패스테크 주식회사 A locking system comprising wireless power transfer and recharge technology
KR101823942B1 (en) 2017-06-09 2018-01-31 주식회사 마그마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for locker
KR20190109088A (en)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에이프테크놀로지 Digital door lock
KR102048159B1 (en) * 2018-11-05 2019-11-22 전욱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locker k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373B1 (en)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239B2 (en) Tool box locking mechanisms for remote activation
US11369222B2 (en) Secure package delivery container and method
JP6806564B2 (en) How to operate the locking system, locking system, and tubular safe
WO2015101210A1 (en) Keys and locks
CN107461080B (en) Intelligent thing interlocking
US20080150684A1 (en) Portable entry system and method
US20140104771A1 (en) Universal Keyless Entry System
US10329830B2 (en) Portable security box with a solar panel and improved lock that attaches to a fixed object to secure valuables
EP2376727A2 (en) Security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chanism
KR102519419B1 (en) Locker System
KR102519421B1 (en) Locker System
KR20230007889A (en) Locker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CN107545655A (en) The self-service application method of intelligent lock and system of fixing point
CN209908166U (en) Intelligent padlock
KR20090124616A (en) Complex door safe furniture control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CN212027435U (en) Locking device for parcel box
JP4742646B2 (en) Lock system
CN103615152B (en) Lock core
KR101966757B1 (en) System for safekeeping goods supporting multiple authentication
CN206448643U (en) Omnipotent exchange smart lock
CN110400425A (en) A kind of explains device rents the control method of cabinet
KR20190039047A (en) System for safekeeping goods supporting multiple authentication
JP7373835B2 (en) Goods storage system
CN217404930U (en) Unlocking structure and automatic vending machine adopting same
CN220975172U (en) Turnover basket capable of being remotely unlock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