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824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824A
KR20230007824A KR1020210088610A KR20210088610A KR20230007824A KR 20230007824 A KR20230007824 A KR 20230007824A KR 1020210088610 A KR1020210088610 A KR 1020210088610A KR 20210088610 A KR20210088610 A KR 20210088610A KR 20230007824 A KR20230007824 A KR 20230007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disposed
supply duct
communication hol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훈
김일환
윤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824A/ko
Publication of KR2023000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1Air heat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터브; 외부공기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공급팬;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팬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히터가 배치된 가열덕트; 상기 가열덕트에서 연결되고 상기 가열덕트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터브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및 상기 가열덕트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덕트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 내부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세척, 헹굼, 및 건조과정으로, 식기에 묻은 오염물을 처리하고, 건조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식기를 건조하는 과정은, 식기세척기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식기에 고온의 수증기를 공급하여 진행하여 진행하거나, 외부의 건조한 공기를 터브 내부로 공급하여 진행할 수 있다.
등록특허 KR10-1792513호는 외부의 공기를 히터로 가열하여 터브 내부로 공급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의 구조에서 외기가 유입될 때에는 공급장치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로 공급할 수 있다.
다만, 공급장치가 작동하지 않을때에는,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가 공급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터브로부터 공급장치로 유입된 습한 공기는 응축수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응축수는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나 팬으로 유입되어 히터나 팬 등에 녹을 발생시켜 작동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급장치로 유입되는 습한 공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공급장치 내부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급장치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의 량이 과다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와, 외부공기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공급팬과,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팬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히터가 배치된 가열덕트와, 상기 가열덕트에서 연결되고 상기 가열덕트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터브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와, 상기 가열덕트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덕트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장치를 포함하여, 가열덕트에 배치되는 히터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열덕트에는, 상기 집수장치와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공급팬보다 상기 공급덕트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가열덕트에 배치되는 히터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집수장치의 일측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오버플로우 홀이 형성되어, 집수장치로 유입되는 물이 가열덕트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수장치의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오버플로우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집수장치에 유입되는 응축수의 유입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가열덕트는, 상기 히터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연통홀이 형성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연통홀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1바닥판과, 상기 연통홀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닥판은, 상기 연통홀에 인접할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열덕트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집수장치로 배출시키고, 가열덕트를 유동하는 가열공기가 공급덕트로 안정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의 하측에는 상기 공급덕트로 유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집수장치로 보내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터브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가열덕트로 보내지 않고, 집수장치로 보낼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터브의 측방향에 배치되고 상승유로를 형성하는 제1공급덕트와, 수평유로가 형성된 가열덕트와 상기 제1공급덕트를 연결하도록 밴딩된 형태의 연결유로를 가지는 제2공급덕트와, 상기 제2공급덕트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덕트의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2공급덕트의 하측에 형성되어, 공급덕트를 통해 생성되는 응축술를 집수장치로 보낼 수 있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연결바디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디는, 상기 제2공급덕트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단턱이 형성되어, 공급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가 가열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의 하측에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상류에는 상기 가열덕트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1공급덕트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더가 배치되어, 가열덕트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제1공급덕트로 유동시키고, 제1공급덕트로부터 유동하는 응축수를 집수장치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덕트의 내부에는 밴딩된 형태의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급덕트는, 상기 연결유로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벽과 상기 연결유로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수직벽, 상기 가열덕트와 연결되고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수평벽, 및 상기 어퍼수직벽와 상기 어퍼수평벽을 연결하는 어퍼밴딩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벽은, 상기 어퍼수직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로어수직벽, 상기 어퍼수평벽에 하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로어수평벽, 및 상기 로어수직벽와 상기 로어수평벽을 연결하는 로어밴딩벽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수직벽의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이너돌출리브가 배치되어, 공급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를 공급덕트의 하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돌출리브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나사산의 형태로 하측으로 돌출되어, 이너돌출리브가 공기의 유동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로어수평벽에는 유동가이더가 배치되고, 상기 유동가이더의 하류에는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돌출리브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간격은, 상기 유동가이더의 단부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어, 공급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가 연통홀을 통해 집수장치로 유동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공급장치로 유입되는 습한 공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별도의 공간으로 집수하여 히터나 공급팬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히터나 공급팬을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장치에 오버플로우홀과 수위센서를 높이차를 두고 배치하여 집수장치로 급격한 응축수유입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집수장치에 집수되는 응축수가 가열덕트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터브, 공급장치, 및 배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가열덕트와 집수장치를 구조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측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10), 케이스(10) 내측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식기가 배치되는 세척공간(미도시)을 형성하는 터브(12), 터브(12)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 터브(12)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2)와 사이에 세척수의 처리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14)와, 베이스(14)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하부커버(16)를 포함한다.
터브(12)의 내측에는 세척공간이 형성된다. 터브(12)의 내측에는 식기가 수납되는 랙(미도시)과, 터브(12)의 내측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터브(1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장치(50)와, 외부공기를 터브(12) 내부의 세척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100)를 포함한다. 배기장치(50)는, 도어(20)에 배치되어, 터브(12) 내부의 공기 또는 터브(12) 내부의 공기와 외기를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공급장치(100)는, 터브(12)의 측면과 하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12)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급장치(100)는, 터브(12)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급팬(102), 공급팬(102)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급팬하우징(104), 공급팬하우징(104) 일측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열덕트(106), 가열덕트(106) 내부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08), 가열덕트(106)에서 연결되고, 가열덕트(106)와 터브(12)의 일측을 연결하는 공급덕트(114), 가열덕트(106) 하측에 배치되고 공급덕트(114)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장치(140)를 포함한다.
도 3를 참조하면, 공급팬하우징(104)은, 터브(12)의 하측에 배치된다. 공급팬하우징(104)은 하측으로 팬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둘레면 일측으로 가열덕트(106)와 연결되는 팬배출구가 형성된다.
가열덕트(106)는, 터브(12)의 하측에 배치된다. 가열덕트(106)는, 공급팬하우징(104)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내부에 히터(108)가 배치된다.
히터(108)는, 가열덕트(106) 내부에서 코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덕트(106)는, 코일형상으로 된 히터(108)의 반경중심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가열덕트(106)는, 코일의 중심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열덕트(106)를 유동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가열덕트(106)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단의 상하좌우 방면에서 고른 온도분포를 가질 수 있다.
히터(108)는 시즈히터타입(Sheath Heater Type)이고, 가열덕트(106) 내에서 공간적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형(Tubular Type)의 형상을 가진다. 가열덕트(106)는, 직선형 유로를 가진다. 가열덕트(106)와 히터(108)는, 센터라인이 일치하여 히터 표면에 균일한 풍속이 인가될 수 있다.
히터(108)는, 가열덕트(106)의 일측에 단자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단자부(110)가 배치되는 가열덕트(106)의 일측은, 동일한 풍속 조건에서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단자부(110)가 배치되는 가열덕트(106)의 일측에는, 히터(108)의 과열여부를 감지하는 서모스탯(thermostat, 112)이 배치될 수 있다. 서모스탯(112)은, 가열덕트(106)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영역에 배치되므로, 서모스탯(112)이 감지하는 히터(108)의 온도범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히터(108)의 비정상작동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공급팬하우징(104)과 가열덕트(106) 사이에는, 유로의 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덕트(105)가 배치될 수 있다. 확장덕트(105)는, 공급팬하우징(104)의 토출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유로의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가열덕트(106)는, 확장덕트(105)에서 확장된 유로의 단면적이 유지될 수 있다.
공급덕트(114)는, 터브(12)의 측방향에 배치되고 상승유로(116a)를 형성하는 제1공급덕트(116)와, 수평유로(106a)가 형성된 가열덕트(106)와 상승유로(116a)가 형성된 제1공급덕트(116)를 연결하도록 밴딩된 형태의 연결유로(118a)를 가지는 제2공급덕트(118)와, 제2공급덕트(118)의 단부에 배치되고 가열덕트(106)의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120a)가 형성된 연결바디(120)를 포함한다. 제2공급덕트(118)는 가열덕트(106)에 배출된 공기를 연결유로(118a)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1공급덕트(116)의 내측에는, 가열덕트(106)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측으로 보내는 상승유로(116a), 상승유로(116a)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하측으로 변경시키는 변경유로(116b), 변경유로(116b)를 유동하는 공기를 하측으로 유동시키는 하강유로(116c)가 형성된다.
하강유로(116c)의 하측단부에서 공급덕트(114)와 터브(12)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2) 내부에서 비산되는 물이 공급덕트(114)로 유입되어 가열덕트(106) 내부의 히터(108)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공급덕트(116)의 내부에는,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117)가 형성될 수 있다.
집수장치(140)는, 가열덕트(106) 하측에 배치된다. 집수장치(140)에는, 가열덕트(106)와 연통하는 연통홀(122)이 형성된다.
연통홀(122)은, 가열덕트(106)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연통홀(122)은, 공급팬하우징(104)보다 공급덕트(11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가열덕트(106)의 바닥판(107)은, 연통홀(122)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에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1바닥판(107a)과 연통홀(122)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바닥판(107b)을 포함한다.
제2바닥판(107b)의 하측에는 연결바디(12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판(121)이 배치된다. 연장판(121)은 집수장치(140)의 상부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집수장치(140)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집수장치(140)의 상측에는 제1바닥판(107a)의 하측에 배치되어 집수장치(140)의 상부일측을 커버하는 집수장치커버(141)가 배치된다. 집수장치커버(141)는 연장판(121)과 이격배치된다. 집수장치커버(141)와 연장판(121) 사이에서 가열덕트(106) 내부와 집수장치(140) 내부를 연통하는 유입홀(146)이 형성된다. 유입홀(146)은 연통홀(122)의 하측에 배치된다.
집수장치(140)의 일측에는, 집수장치(140)에서 저장되는 응축수가 연통홀(122)을 통해 가열덕트(106)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버플로우홀(142)이 형성된다. 집수장치(140)에는, 집수장치(140) 내부로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오버플로우홀(142)보다 높아지는 것을 감지하는 수위센서(144)를 포함한다.
수위센서(144)는, 전극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수위센서(144)는, 오버플로우홀(142)로 배수되는 응축수의 량보다 연통홀(122)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량이 많아, 집수장치(140)에 저장된 물이 가열덕트(106)로 역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144)는, 집수장치(140)의 상단측에 배치되고, 오버플로우홀(142)은 수위센서(144)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열덕트(106)와 집수장치(140)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가열덕트(106)는 바닥판(107)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2바닥판(107b)은 연통홀(122)에 인접할수록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닥판(107b)은, 공급덕트(114)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연통홀(122)을 통해 집수장치(140)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2바닥판(107b)의 단부는, 제1바닥판(107a)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바닥판(107a)과 제2바닥판(107b)의 구조는, 가열덕트(106)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바닥판(107a)과 제2바닥판(107b)의 구조는, 가열덕트(106)로 유입된 응축수를 집수장치(140)로 가이드할 수 있다.
집수장치(140)의 상측판에는 제1바닥판(107a)과 제2바닥판(107b) 사이에 형성되는 연통홀(122)의 하측으로 유입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급덕트(114)와 집수장치(140)를 설명한다.
집수장치(140)는, 가열덕트(106)의 하측에 배치된다. 집수장치(140)는, 가열덕트(106)와 공급덕트(114)의 일부 하측에 배치된다.
공급덕트(114)의 하측에는 응축수를 집수장치(140)로 보내는 연통홀(122)이 형성된다. 공급덕트(114)는 가열덕트(106)와 연결되는 하단부에 연통홀(122)이 형성된다. 집수장치(140)는 공급덕트(114)의 하측에 배치되고, 연통홀(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유입홀(146)이 형성된다.
공급덕트(114)는, 터브(12)의 측방향에 배치되고 상승유로(116a)를 형성하는 제1공급덕트(116)와, 수평유로(106a)가 형성된 가열덕트(106)와 상승유로(116a)가 형성된 제1공급덕트(116)를 연결하도록 밴딩된 형태의 연결유로(118a)를 가지는 제2공급덕트(118)와, 제2공급덕트(118)의 단부에 배치되고 가열덕트(106)의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120a)가 형성된 연결바디(120)를 포함한다.
연통홀(122)은 제2공급덕트(118)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122)은 연결바디(12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급덕트(118)에서 연결바디(120)로 이어지는 영역은 단턱(120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공급덕트(118)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는 응축수가 가열덕트(106)로 유동하지 못하고, 연통홀(122)을 통해 집수장치(140)로 유동할 수 있다.
집수장치(140)는, 공급덕트(114)와 가열덕트(106)의 하측에 배치되어, 연통홀(122)을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응축수가 히터(108)가 배치되는 가열덕트(106)로 유동하지 않아, 히터(108)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급덕트(114)와 집수장치(140)를 설명한다.
공급덕트(114)는, 터브(12)의 측방향에 배치되고 상승유로(116a)를 형성하는 제1공급덕트(116)와, 수평유로(106a)가 형성된 가열덕트(106)와 상승유로(116a)가 형성된 제1공급덕트(116)를 연결하도록 밴딩된 형태의 연결유로(118a)를 가지는 제2공급덕트(118)와, 제2공급덕트(118)의 단부에 배치되고 가열덕트(106)의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120a)가 형성된 연결바디(120)를 포함한다.
제2공급덕트(118)의 하측에는 연통홀(122)이 형성된다. 연통홀(122)의 상류에는, 가열덕트(106)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제1공급덕트(116)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더(124)가 배치된다.
유동가이더(124)는 제2공급덕트(118)의 하부에 배치된다. 유동가이더(124)의 하류에는 연통홀(122)이 형성된다. 유동가이더(124)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진다. 유동가이더(124)의 하류단(124a)은 제2공급덕트(118)가 형성되는 면과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급덕트(118)의 내부에는 밴딩된 형태의 연결유로(118a)가 형성된다. 제2공급덕트(118)는, 연결유로(118a)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벽(130)과 연결유로(118a)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벽(132)과 연결유로(118a)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양측벽(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벽(130)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수직벽(130a), 가열덕트(106)와 연결되고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수평벽(130b), 어퍼수직벽(130a)와 어퍼수평벽(130b)을 연결하는 어퍼밴딩벽(130c)을 포함한다. 하부벽(132)은, 어퍼수직벽(130a)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로어수직벽(132a), 어퍼수평벽(130b)에 하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로어수평벽(132b), 로어수직벽(132a)와 로어수평벽(132b)을 연결하는 로어밴딩벽(132c)을 포함한다.
로어수평벽(132b)에는 연통홀(122)이 형성된다. 로어수평벽(132b)에는, 유동가이더(124)가 배치된다.
어퍼수직벽(130a)의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이너돌출리브(136)가 배치된다. 이너돌출리브(136)는, 어퍼수직벽(130a)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돌출리브(136)는 양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이너돌출리브(136)는 가열덕트(106)로부터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도록 나사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너돌출리브(136)가 개구부(120a)로부터 이격된 간격(L1)은, 유동가이더(124)의 단부(124a)가 개구부(120a)로부터 이격된 간격(L2)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너돌출리브(136)를 통해 낙하되는 응축수는, 유동가이더(124)보다 하류측으로 낙하되어 연통홀(122)로 유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식기세척기 10 : 케이스
12 : 터브 14 : 베이스
100 : 공급장치 102 : 공급팬
104 : 공급팬하우징 105 : 확장덕트
106 : 가열덕트 107 : 바닥판
108 : 히터 114 : 공급덕트
116 : 제1공급덕트 118 : 제2공급덕트
120 : 연결바디 122 : 연통홀
140 : 집수장치 142 : 오버플로우홀
144 : 수위센서 146 : 유입홀

Claims (12)

  1. 터브;
    외부공기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공급팬;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팬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히터가 배치된 가열덕트;
    상기 가열덕트에서 연결되고 상기 가열덕트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터브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가열덕트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덕트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덕트에는, 상기 집수장치와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공급팬보다 상기 공급덕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장치의 일측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오버플로우 홀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장치의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오버플로우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덕트는, 상기 히터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연통홀이 형성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연통홀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1바닥판과, 상기 연통홀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닥판은, 상기 연통홀에 인접할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덕트의 하측에는 상기 공급덕트로 유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집수장치로 보내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터브의 측방향에 배치되고 상승유로를 형성하는 제1공급덕트와, 수평유로가 형성된 가열덕트와 상기 제1공급덕트를 연결하도록 밴딩된 형태의 연결유로를 가지는 제2공급덕트와, 상기 제2공급덕트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덕트의 내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2공급덕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연결바디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디는, 상기 제2공급덕트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단턱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덕트의 하측에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상류에는 상기 가열덕트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1공급덕트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더가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덕트의 내부에는 밴딩된 형태의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급덕트는, 상기 연결유로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벽과 상기 연결유로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수직벽, 상기 가열덕트와 연결되고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수평벽, 및 상기 어퍼수직벽와 상기 어퍼수평벽을 연결하는 어퍼밴딩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벽은, 상기 어퍼수직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로어수직벽, 상기 어퍼수평벽에 하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로어수평벽, 및 상기 로어수직벽와 상기 로어수평벽을 연결하는 로어밴딩벽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수직벽의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이너돌출리브가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돌출리브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나사산의 형태로 하측으로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수평벽에는 유동가이더가 배치되고, 상기 유동가이더의 하류에는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돌출리브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간격은, 상기 유동가이더의 단부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088610A 2021-07-06 2021-07-06 식기세척기 KR20230007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610A KR20230007824A (ko) 2021-07-06 2021-07-06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610A KR20230007824A (ko) 2021-07-06 2021-07-06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824A true KR20230007824A (ko) 2023-01-13

Family

ID=8490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610A KR20230007824A (ko) 2021-07-06 2021-07-06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8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5650B1 (en) Appliance with a liquid guiding device
EP3725939B1 (en) Home appliance with a liquid guiding device
RU2650071C1 (ru) Сушилка для одежды
EP2691567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KR101588137B1 (ko) 배수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CN102293620B (zh) 具有干燥管的家用电器
KR101806241B1 (ko)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JP2006015118A (ja) サイクロン凝縮装置およびこのサイクロン凝縮装置を備えた洗濯乾燥機
KR20160146091A (ko)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KR101180532B1 (ko) 응축수 저장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EP3476995B1 (en) Laundry dryer
RU2314372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оборудованная конденсирующим каналом (варианты)
CN101570933A (zh) 衣物处理机
KR101825448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KR20230007824A (ko) 식기세척기
KR20190096727A (ko) 식기세척기
KR20190096726A (ko) 식기세척기
KR101825449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CN107558091B (zh) 衣物烘干装置
CN111321567B (zh) 干衣机
CN218345744U (zh) 风道组件和衣物处理设备
KR100662567B1 (ko) 세탁기
CN220665750U (zh) 冷凝器及衣物处理设备
KR20230130908A (ko) 식기세척기
KR20220083341A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