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213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213A
KR20230007213A KR1020210132669A KR20210132669A KR20230007213A KR 20230007213 A KR20230007213 A KR 20230007213A KR 1020210132669 A KR1020210132669 A KR 1020210132669A KR 20210132669 A KR20210132669 A KR 20210132669A KR 20230007213 A KR20230007213 A KR 20230007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electrical component
vent fa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원
마재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0884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82506A1/ko
Publication of KR2023000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213A/ko
Priority to US18/531,180 priority patent/US2024010763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조리실이 마련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위치하고, 토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벤트 팬,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전장품 및 상기 벤트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전장품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장품을 둘러싸며 마련되는 전장품 커버 바디를 포함하는 전장품 커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개시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오염 물질로부터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한 전장품 커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Over The Range, OTR),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이 중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OTR)는 주방에서 환기를 담당하는 후드 기능이 병합된 전자레인지로서,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보다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가스레인지나 쿡탑(Cooktop) 등과 같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조리기기 중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후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조리기기 내부로 하부에서 발생하는 유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유증기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한 전장품은 유증기의 접촉으로 쉽게 고장이 날 수 있다. 특히, 유증기와 접촉하는 전장품이 커넥터인 경우에는 화재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조리기기 내부로 이동하는 오염된 공기로부터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조리기기 내부로 유증기가 유입되었을 때, 화재 발생 가능성을 낮춘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전장품을 보호하는 전장품 커버를 설치할 때, 편리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조리실이 마련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위치하고, 토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벤트 팬,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전장품 및 상기 벤트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전장품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장품을 둘러싸며 마련되는 전장품 커버 바디를 포함하는 전장품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 커버 바디는, 상기 벤트 팬의 토출구로부터 상기 전장품을 향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전장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전장품과 상기 벤트 팬의 토출구 사이에 위치하는 차단벽, 상기 전장품 주위를 덮도록 상기 차단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측을 향하여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상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으로의 공기의 흐름이 줄어 들게 하고 상기 전장품이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벤트 팬이 위치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벤트 팬과 전장품 사이에 위치되는 벤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이 상기 전장품에 줄어들도록, 상기 벤트 팬의 토출구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벤트 플레이트는, 상기 벤트 팬의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플레이트 개구 및 상기 벤트 팬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테두리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상기 벤트 플레이트는, 일 측에 상기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개구와 이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타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월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전장품에 접촉하는 것이 줄어들도록,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플레이트 월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벤트 팬은 제1 벤트 팬 및 상기 제1 벤트 팬의 후방에 위치한 제2 벤트 팬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는 상기 제1 벤트 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개구 및 상기 제2 벤트 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벤트 팬과 상기 제2 벤트 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와 직접적인 접촉이 줄어들도록,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제1 플레이트 개구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월은 상기 전장품이 마련되는 위치에 내부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후퇴하는 플레이트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월은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품 커버가 상기 플레이트 월에 결합하도록,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전장품 커버 바디의 상기 플레이트 월을 향하는 일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끝단이 상기 플레이트 끼움 돌기에 수용되는 커버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끼움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 월의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전장품 커버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끼움 지지부 및 상기 커버 플랜지가 상기 플레이트 끼움 돌기에 원활히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 지지부의 끝 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커버 플랜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끼움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상기 플레이트 월은 걸림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품 커버가 상기 플레이트 월에 결합되도록,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걸림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개구에 수용되는 커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돌기는, 상기 걸림 개구에 수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월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지지부, 상기 걸림 개구에 상기 커버 돌기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커버 돌기가 상기 걸림 개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 지지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커버 걸림부가 상기 걸림 개구에 수용이 원활하도록, 상기 커버 걸림부는 상기 걸림 이탈 방지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월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일 측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 월은 상기 내부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절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플레이트 절개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커버 절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절개편과 상기 커버 절개편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내부 하우징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결합 부재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결합 부재가 결합하려는 위치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 절개편의 높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결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은, 하측에 공기를 유입하는 순환 공기 흡입구, 상측에 상기 순환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는 상기 벤트 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순환 공기 배출구, 상기 제1 순환 공기 배출구와 상기 컨트롤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는 상기 벤트 팬으로부터 나온 공기가 상기 제1 순환 공기 배출구 토출되는 제1 순환 유로, 상기 벤트 팬으로부터 나온 공기가 상기 제2 순환 공기 배출구로 토출되는 제2 순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품은 상기 제1 순환 유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제1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와 상기 전장품과 접촉을 줄여주도록 상기 전장품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은 제1 전장품이고, 상기 전장품 커버는 제1 전장품 커버이며,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제2 순환 유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전장품과 상기 제2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와 상기 제2 전장품의 접촉을 줄여주도록 제2 전장품을 둘러싸는 제2 전장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장품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덮개가 상기 커버 본체에 접촉하였을 때 분리가 어렵도록, 상기 커버 덮개는 상기 커버 덮개가 상기 커버 본체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커버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덮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덮개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덮개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덮개를 결합시키는 본체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순환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순환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과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이격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으로 들어온 공기를 유동시키는 벤트 팬, 상기 벤트 팬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벤트 팬에 연결되는 팬 모터,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전장품 및 상기 벤트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전장품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장품을 둘러싸며 마련되는 제1 전장품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트 팬과 제1 전장품 사이에 위치되는 벤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트 플레이트는, 상기 벤트 팬의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벤트 플레이트의 일 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개구 및 벤트 팬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테두리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가이드, 상기 플레이트 개구와 이격된 타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월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1 전장품에 접촉하는 것이 줄어들도록, 상기 제1 전장품 커버는 상기 플레이트 월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은, 하측에 공기를 유입하는 순환 공기 흡입구, 상측에 상기 순환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는 상기 벤트 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순환 공기 배출구, 상기 제1 순환 공기 배출구와 상기 컨트롤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는 상기 벤트 팬으로부터 나온 공기가 상기 제1 순환 공기 배출구 토출되는 제1 순환 유로, 상기 벤트 팬으로부터 나온 공기가 상기 제2 순환 공기 배출구로 토출되는 제2 순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제1 순환 유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전장품 커버는 상기 제1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와 상기 전장품과 접촉을 줄여주도록 상기 전장품을 커버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제2 순환 유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전장품과 상기 제2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와 상기 제2 전장품의 접촉을 줄여주도록 제2 전장품을 둘러싸는 제2 전장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장품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덮개가 상기 커버 본체에 접촉하였을 때 분리가 어렵도록, 상기 커버 덮개는 상기 커버 덮개가 상기 커버 본체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커버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덮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덮개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덮개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덮개를 결합시키는 본체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시켜 조리하는 가전기기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에서 조리된 음식물에서 형성된 유증기가 유입되는 순환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순환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가전기기에서 조리된 음식물에서 형성된 유증기가 흐르는 곳에 위치한 커넥터, 상기 가전기기에서 조리된 음식물에서 형성된 유증기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보호하도록,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며 마련되는 전장품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 커버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장품을 둘러싸는 전장품 커버를 통하여 조리기기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와 전장품의 접촉을 방지하여,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장품을 둘러싸는 전장품 커버는 조리기기 내부로 유입된 유증기와 전장품을 이격되어 위치하게 함으로써, 화재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조리기기에 설치되는 전장품 커버는 걸림 부재와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조리기기 내측에 결합함으로써, 편리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외부 하우징 커버와 외부 하우징 후면판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유로를 표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리기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X를 확대한 것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리기기를 AA'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조리기기에서 제1 전장품 커버를 분해한 것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리기기에서 제1 전장품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전장품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1 전장품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6의 조리기기에서 제2 전장품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2 전장품 커버에서 BB'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제2 전장품 커버에서 커버 덮개가 커버 본체에 덮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조리기기에서 외부 하우징 커버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조리기기에서 Y를 확대하여 파워 연결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파워 연결부를 위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외관을 구성하는 외부 하우징(10)과 외부 하우징(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외부 하우징(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컨트롤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40)은 도어(30)에 의해 전방이 커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유닛(40)은 도어(30)와 외부 하우징(10) 사이에 배치되도록 외부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의 외부 하우징(10)은 외부 하우징(10)의 상면과 양 측면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커버(11)와 외부 하우징(10)의 하면을 구성하는 하우징 플레이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13)는 외부 하우징 커버(11)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지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13)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측에 별도의 가전기기가 존재하고, 해당 가전기기에서 조리한 음식물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후드 기능을 하는 전자레인지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 되지 않고, 본 개시는 모든 조리기기에 적용되는 사상이다.
본 개시의 조리기기(1)의 하측에서 별도로 음식물이 조리되고 있을 수 있고, 하측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면 유증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본 개시의 조리기기(1)는 후드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조리기기(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한 벤트 팬(110, 도 3)을 작동시킨다면,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통하여 음식물에서 발생한 유증기를 외부 하우징(10)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음식물은 조리기기(1) 하측에서 조리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측에 존재할 수 있는 조리기기(1)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 플레이트(13)에 순환 공기 흡입구(14)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된 유증기는 외부 하우징(10) 내부에서 유동하다 순환 공기 배출구(11a)를 통하여 조리기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13)는 조명 유닛(15)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유닛(15)은 순환 공기 흡입구(14)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유닛(15)은 조리기기(1) 하부에 쿡탑 등이 설치 되는 경우 조리기기(1)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에서 외부 하우징 커버(11)와 외부 하우징 후면판(12b)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0)은 상면과 양 측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 하우징 커버(11)를 형성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 커버(1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각 면을 각각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는 것 보다, 조립 시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 커버(11)는 상면에 순환 공기 배출구(11a)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의 하측에 위치한 하우징 플레이트(13)는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조리기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 하우징(10)의 상면에 위치한 순환 공기 배출구(11a)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조리실(미도시)을 형성하도록 내부 하우징(20)이 배치 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 사이에는 이격 공간(50)이 마련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 공간(50)에는 전장품(100)이 위치하는 전장실(미도시)이 존재할 수 있다. 전장실(미도시)에는 조리기기(1)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전장품(100)이 위치할 수 있다. 전장품(100)에는 마그네트론, 센서, 벤트 팬(110), 커넥터(130), 도선(1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벤트 팬(110)은 전장실(미도시)이 아니더라도 이격 공간(5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 공간(50)에는 벤트 팬(110)이 위치할 수 있다. 벤트 팬(110)은 순환 공기 흡입구(1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순환 공기 흡입구(14)의 상측에 위치한 벤트 팬(110)은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통해 조리기기(1)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 커버(11)가 포함하는 순환 공기 배출구(11a)는 벤트 팬(11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순환 공기 배출구(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순환 공기 배출구(11b)는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순환 공기 배출구(11a)는 제1 순환 공기 배출구(11b)와 컨트롤 유닛(4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순환 공기 배출구(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순환 공기 배출구(11c)는 내부 하우징 상면판(21)의 전방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40)의 상측에는 전장실(미도시) 내측의 전장품(100)을 냉각시키기 위해 공기를 유입하는 냉각 공기 유입구(41)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공기 유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미도시)의 전장품(100)을 냉각 시킬 수 있다.
컨트롤 유닛(40)과 순환 공기 배출구(11a)는 이격되어 있을 수 있기에, 순환 공기 배출구(11a)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냉각 공기 유입구(41)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 될 수 있다. 순환 공기 배출구(11a)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조리기기(1) 하측에 위치하는 가전기기에서 조리되는 음식물로부터 형성되는 유증기가 포함되고 온도가 높은 공기일 수 있으므로, 냉각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그러한 공기가 유입되면, 전장실(미도시)의 전장품(100)을 고장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순환 공기 배출구(11a)가 냉각 공기 유입구(41)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전장실(미도시)로 따뜻하고 유증기가 섞인 공기가 유입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벤트 팬(110)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벤트 팬(110)과 인접한 위치에 벤트 팬(110)과 결합된 팬 모터(120)가 마련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 공간(50)의 일 측에는 전장실이 위치하고, 타 측에는 벤트 팬(11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장실을 냉각하는 유동과 벤트 팬(110)을 통하여 조리기기(1) 하측에 위치하는 가전기기로부터 발생한 오염된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유동을 분리할 수 있다.
벤트 팬(110)의 상측에는 전장품(100)이 위치 할 수 있다. 일예로 벤트 팬(110)의 전원을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를 늘이기 위하여 커넥터(130)가 벤트 팬(1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벤트 팬(110)은 여러가지 장치에 사용되는 데, 이러한 장치마다 벤트 팬(110)을 다르게 생산하는 것은 생산 효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벤트 팬(110)의 모델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정해진 벤트 팬(110) 모델으로 전원을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가 짧은 경우, 커넥터(130)를 사용하여 다른 전선을 연결하여 전선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이 때 벤트 팬(110) 모델이 정해져 있으므로, 커넥터(130)가 위치할 수 있는 위치가 한정적일 수 있다. 커넥터(130)는 벤트 팬(110)에 인접하여 위치하여야 하는 경우, 순환 공기 흡입구(14)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지나가는 유로 상에 위치 할 수 있다.
조리기기(1)의 하측에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가전기기가 위치할 수 있고, 가전기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오염된 공기가 조리기기(1) 내로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통하여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벤트 팬(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전장품(100)으로 향할 수 있다.
오염된 공기는 고온의 유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증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전장품(100)에 닿는 경우,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유분이 전장품(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장품(100)은 고장 날 수 있다.
나아가, 전장품(100)이 커넥터(130)인 경우에, 커넥터(130)는 전선을 연결하는 구성이므로, 해당 부분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기기(1)는 벤트 팬(110)에 의하여 유동되는 경로 상에 있는 전장품(100)을 둘러싸며 마련되는 전장품 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 커버(200)는 벤트 팬(11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전장품(100)을 보호하도록 전장품(100)을 둘러싸며 마련되는 전장품 커버 바디(210)(210, 도 8)를 포함할 수 있다.
벤트 팬(110)은 순환 공기 흡입구(14)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토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11)는 벤트 팬(110)에 의하여 유동되는 경로 상에 있는 전장품(100)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장품(100)은 직접적으로 오염된 공기와 닿는 것이 감소할 수 있다. 전장품(100)은 고장날 가능성이 적어질 수 있다.
전장품 커버(200)는 전장품(100)을 둘러싸며 마련될 수 있으므로, 벤트 팬(110)의 토출구(111)와 전장품 커버(200)는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벤트 팬(110)은 도어(30)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는 제1 벤트 팬(110a)을 포함할 수 있다. 벤트 팬(110)은 제1 벤트 팬(110a)의 후방에 제1 벤트 팬(110a)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 벤트 팬(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벤트 팬(110)의 상측에는 벤트 플레이트(300)가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벤트 플레이트(300)의 일측에는 벤트 팬(110)이 위치할 수 있다. 벤트 플레이트(300)의 타측에는 전장품(100)이 위치할 수 있다. 벤트 플레이트(300)는 전장품(100)과 벤트 팬(110)을 구획하여, 벤트 팬(110)에 의하여 유동되는 오염된 공기가 전장품(100)으로 접촉되는 것이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벤트 플레이트(300)는 벤트 팬(110)의 토출구(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플레이트 개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벤트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 개구(311) 내주에 벤트 팬(110)의 토출구(111)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가이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벤트 팬(11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더 나아가서 순환 공기 배출구(11a)를 향하여 유동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전장품(100)은 벤트 팬(110)의 토출구(111)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가이드(312)에 의하여 공기가 가이드 된다면, 직접적으로 전장품(100)을 향하여 오염된 공기가 향하는 것이 어려워 질 수 있다.
플레이트 가이드(312)는 플레이트 개구(311)의 내주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다면 별도의 플레이트 가이드(312)를 만들어 부착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플레이트 개구(311)와 함께 플레이트 가이드(312)를 생산할 수 있어서, 조리기기(1)의 생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벤트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플레이트 개구(311)는 제1 벤트 팬(110a)의 토출구(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 플레이트 개구(311a)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개구(311)는 제2 벤트 팬(110b)의 토출구(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 개구(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개구(311a)와 제2 플레이트 개구(311b) 사이에 전장품(100)이 위치하도록 전장품 커버(200)는 제1 플레이트 개구(311a)와 제2 플레이트 개구(311b) 사이에서 벤트 플레이트(3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장품(100)에 직접적으로 오염된 공기가 접촉하는 것이 감소할 수 있다.
전장품 커버(200)가 보호하는 전장품(100)과 연결되는 도선(140)이 전방의 전장품(100)과 연결되어 있다면, 도선(140)이 꼬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전장품 커버(200)는 상대적으로 제2 플레이트 개구(311b)보다 전방에 위치한 제1 플레이트 개구(311a) 측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벤트 팬(110) 상측에 위치한 전장품(100)을 보호하기 위한 전장품 커버(200)를 제1 전장품 커버(200a)라고 하였을 때, 조리기기(1)는 도어(30) 측에 위치한 전장품(100)을 보호하기 위한 제2 전장품 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가 보호하는 전장품(100)을 제1 전장품(100a, 도 6)이라 할 수 있다. 제2 전장품 커버(500)가 보호하는 전장품(100)을 제2 전장품(100b, 도 6)이라 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가 보호하는 전장품(100)은 커넥터(130) 일 수 있다. 제2 전장품 커버(500)가 보호하는 전장품(100)은 도선(140)일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유로에 관하여 도시한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1)에서 유로를 표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 외부의 공기는 컨트롤 유닛(40) 상측에 위치한 냉각 공기 유입구(41)를 통하여 조리기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 공기 유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내부 하우징(20) 상면 판에 마련되는 절개부(22)를 통하여 전장실(미도시)로 유입될 수 있다.
전장실(미도시)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미도시) 내 전장품(100)을 냉각시키고 내부 하우징(20) 내부로 이동하여 도어(30) 측에 마련된 유출구(미도시)를 통하여 조리기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를 냉각 유로(C)라고 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의 하면에 위치한 하우징 플레이트(13)의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통하여 조리기기(1) 하측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 때의 공기는 오염된 공기일 수 있다.
벤트 팬(110)은 이격 공간(50)의 일 측에 위치한 제1 벤트 팬(110a) 및 제2 벤트 팬(110b)을 포함하고, 제1 벤트 팬(110a) 및 제2 벤트 팬(110b)과 이격되어 이격 공간(50)의 타 측에 위치한 제3 벤트 팬(11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벤트 팬(110c)은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내부 하우징(20) 후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3 벤트 팬(110c)에서 내부 하우징(20) 후방으로 공기가 유동될 때, 제3 벤트 팬(110c)의 토출구(111) 측에 인접하게 위치한 리어 브라켓(60)의 연통부(61)를 통하여 내부 하우징(20) 후방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바텀 브라켓(70)과 구획 브라켓(80) 및 순환 디바이더(9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브라켓(70)과 구획 브라켓(80)은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의 사이에 배치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텀 부라켓과 구획 브라켓(80)은 내부 하우징(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바텀 브라켓(70)은 구획 브라켓(80) 하부에 배치되어 구획 브라켓(8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순환 디바이더(90)는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 디바이더(90)는 내부 하우징(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순환 디바이더(90)는 리어 브라켓(60)의 연통부(6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구획 브라켓(80)은 연통홀(81)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홀(81)은 구획 브라켓(8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81)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 브라켓(60)과 바텀 브라켓(70)과 구획 브라켓(80) 및 순환 디바이더(90)는 순환 공기 흡입구(14)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순환 공기 흡입구(14)로 유입된 공기는 제3 벤트 팬(110c)을 통과하고, 리어 브라켓(60)의 연통부(61)를 통과하여 바텀 브라켓(70)과 구획 브라켓(80)의 사이로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순환 디바이더(90)는 개방된 부분이 없이 폐쇄되어 구획 브라켓(80)과 바텀 브라켓(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된 공기는 구획 브라켓(80)의 연통홀(81)을 통해 내부 하우징(20)의 후방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연통홀(81)을 통하여 내부 하우징(20)의 상부로 유동된 공기는 외부 하우징(10)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 제1 순환 공기 배출구(11b)와 제2 순환 공기 배출구(11c)를 통하여 조리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제3 순환 유로(V3)라고 할 수 있다.
순환 디바이더(90)가 폐쇄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제3 벤트 팬(110c)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제1 벤트 팬(110a) 및 제2 벤트 팬(110b)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가 내부 하우징(20)의 하부에서 분리된 상태로 유동하여 상부에서 합쳐질 수 있다.
순환 공기 흡입구(14)로 유입된 공기는 벤트 팬(110)을 지나 벤트 플레이트(300)의 플레이트 개구(311)를 통과할 수 있다. 플레이트 개구(311)를 통과한 공기는 외부 하우징(10)의 제2 순환 공기 배출구(11a)를 통해 조리기기(1)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다. 이를 제2 순환 유로(V2)라 할 수 있다.
순환 공기 흡입구(14)로 유입된 공기는 벤트 팬(110)을 지나고, 벤트 플레이트(300)의 플레이트 개구(311)를 통과하여 외부 하우징(10)의 제1 순환 공기 배출구(11b)를 통해 조리기기(1)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다. 이를 제1 순환 유로(V1)라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 벤트 팬(110b)을 지나 제2 플레이트 개구(311b)를 통과한 공기가 제2 순환 공기 배출구(11c)를 통과하는 유로가 제2 순환 유로(V2)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리고, 제1 벤트 팬(110a)을 지나 제1 벤트 플레이트(300) 개구를 통과한 공기가 제1 순환 공기 배출구(11b)를 통과하는 유로가 제1 순환 유로(V1)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를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제2 벤트 팬(110b)을 통과한 유로도 제1 순환 유로(V1)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벤트 팬(110a)을 통과한 유로도 제2 순환 유로(V2)를 형성할 수 있다.
벤트 플레이트(300)는 벤트 팬(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개구(311)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일 측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벤트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 개구(311)와 이격된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타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월(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 커버(200)는 플레이트 월(320)에 결합할 수 있다. 플레이트 월(320)은 플레이트 개구(311)와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 월(320)에 결합된 전장품 커버(200)가 둘러싸고 있는 전장품(100)은 플레이트 개구(311)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직접적으로 닿기 어렵게 될 수 있다.
플레이트 월(320)은 내부 하우징(20)을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 월(321)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월(320)은 제1 플레이트 월(321)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도어(30)를 마주보는 제2 플레이트 월(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제1 플레이트 월(321)에 결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 순환 유로(V2)는 내부 하우징(20)의 일 측에 위치한 벤트 팬(110)으로부터 외부 하우징(10)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순환 공기 유출구(110c)를 통하는 유로이기 때문에, 내부 하우징(20) 측면을 지나가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내부 하우징(20) 측면에 위치한 제1 플레이트 월(32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주로 제2 순환 유로(V2)를 지나는 오염된 공기로부터 전장품(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전장품 커버(500)는 제2 플레이트 월(32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순환 유로(V1)는 플레이트 개구(311)로부터 제1 순환 공기 배출구(11b)를 통하는 유로이기 때문에, 도어(30) 측을 지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장품 커버(500)는 도어(30) 측에 위치한 제2 플레이트 월(32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전장품 커버(500)는 주로 제1 순환 유로(V1)를 지나는 오염된 공기로부터 전장품(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내부에 커넥터(130)가 위치할 수 있고, 제1 순환 유로(V1)보다 제2 순환 유로(V2)를 통하는 경우, 전장품 커버(200) 까지 유증기가 이동하는 거리가 짧으므로, 제2 순환 유로(V2) 상에 흐르는 오염된 공기는 온도가 높고 많은 양의 유증기를 함유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제1 전장품 커버(200a) 내부의 전장품(100)에서 화재 발생의 가능성이 높다.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확산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장품 커버(500)는 내부에 도선(140)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의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제2 전장품 커버(5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리기기(1)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순환 유로(V1)는 외부 하우징(10) 하측에 위치하는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로 형성될 수 있다.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지난 공기는 벤트 팬(110)을 지나 플레이트 개구(311)를 통하여 벤트 플레이트(300)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동한 공기는 외부 하우징(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11a)를 통하여 배출 될 수 있다.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조리기기(1)에서 X를 확대한 것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플레이트(30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벤트 팬(110)과 연결되는 도선(140)이 통과하는 커넥터 홀(36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360)은 제1 플레이트 개구(311a)와 제2 플레이트 개구(311b)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플레이트 개구(311)를 통과하는 오염된 공기와 커넥터 홀(360)을 통과하는 도선(140)의 접촉이 줄어들 수 있다.
플레이트 월(320)은 전장품(100)이 마련되는 위치에 내부 하우징(20)을 향하는 방향으로 후퇴하는 플레이트 리세스(3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플레이트 월(321)은 플레이트 리세스(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월(321)에서 내부 하우징(20)을 향하는 방향으로 후퇴한다는 것은 플레이트 개구(311)를 향하는 방향과 멀어진다는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의하여 플레이트 개구(311)를 통과하는 오염된 공기와 제1 전장품 커버(200a)가 보호하려는 전장품(100)이 멀어져서, 오염된 공기와 전장품(100)의 접촉이 감소할 수 있다.
제2 전장품 커버(500)는 도어(30) 측에 위치한 전장품(100)을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하면, 도어(30) 측에 위치한 외부 하우징(10)인 외부 하우징 전면판(12a)과 인접하여 제2 전장품 커버(50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조리기기(1)를 AA'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전장품 커버 바디(210)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커버 절개편(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월(321)은 제1 전장품 커버(200a)의 커버 절개편(2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플레이트 절개편(35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커버 절개편(250)과 플레이트 절개편(350)을 관통하여 제1 전장품 커버(200a)와 제1 플레이트 월(321)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절개편(250)은 내부 하우징(2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 부재(400)가 커버 절개편(250)과 플레이트 절개편(350)을 관통할 때, 결합 부재(400)가 내부 하우징(20)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월(321)은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끼움 돌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끼움 돌기(330)는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전장품 커버 바디(210)의 플레이트 월(320)을 향하는 일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끝 단이 플레이트 끼움 돌기(330)에 수용되는 커버 플랜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 플랜지(230)은 전장품 커버 바디(210)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플랜지(230)는 플레이트 끼움 돌기(30)에 끼워짐으로써 제1 전장품 커버(200a)가 제1 플레이트 월(321)에 고정되게 하므로, 추가적인 결합 부재(400)의 체결 없이 전장품 커버(200)를 플레이트 월(320)에 결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결합 부재(400)를 사용하면 결합 부재(400)를 체결하는 공정이 조리기기(1)의 생산 시 추가되므로, 공정시간의 단축을 위하여는 체결되는 결합 부재(400)의 수를 줄이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커버 플랜지(230)가 플레이트 끼움 돌기(330)에 끼워짐으로써 전장품 커버(200)가 고정되므로, 커버 플랜지(230)와 플레이트 끼움 돌기(330)에 의하여 조리기기(1)의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커버 절개편(250)과 플레이트 절개편(350)을 관통하는 결합 부재(40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조리기기(1)에서 제1 전장품 커버(200a)를 분해한 것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절개편(250)은 커버 절개편 홀(251)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절개편(350)은 플레이트 절개편 홀(35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400)는 커버 절개편 홀(251)과 플레이트 절개편 홀(351)을 관통하여 제1 전장품 커버(200a) 바디와 제1 플레이트 월(32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결합 부재(400)의 결합을 가이드 하도록, 결합 부재(400)가 결합하려는 위치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플레이트 절개편(350)의 높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결합 가이드(25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가이드(252)는 커버 플랜지(23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가이드(252)는 커버 절개편(250)의 양 측에 위치 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를 제1 플레이트 월(32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커버 절개편 홀(251)을 플레이트 절개편 홀(351)과 대응시키려 할 때, 결합 가이드(252)가 플레이트 절개편(350)의 측면에 닿게 되므로 정확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플레이트 끼움 돌기(330)는 플레이트 월(320)의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되고, 전장품 커버(2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끼움 지지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끼움 지지부(331)는 내부 하우징(20)을 향하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레이트 끼움 돌기(330)는 끼움 지지부(33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커버 플랜지(23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끼움 이탈 방지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끼움 이탈 방지부(332)는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끼움 이탈 방지부(332)는 제1 플레이트 월(3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연장 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플랜지(230)가 끼움 이탈 방지부(332) 측으로 삽입될 때 원활히 수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월(321)은 걸림 개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걸림 개구(3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걸림 개구(340)에 수용되는 커버 돌기(240)(240, 도 9)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돌기(240)(240, 도9)가 걸림 개구(340)에 걸림으로써 제1 전장품 커버(200a)가 제1 플레이트 월(321) 측에 고정되므로, 추가적인 결합 부재(400)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아, 조리기기(1)의 생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으로 결합 부재(400)를 체결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도 9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측면에 도선(14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전장품 홀(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 측면 전부가 개방 되어 있을 때 보다 제1 전장품 홀(260)을 마련하였을 때가 전장품(100)으로 오염된 공기가 더 적게 유입될 수 있다.
제1 전장품 홀(260)은 내주에 전장품 커버(200)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홀 돌기(2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 돌기(261)는 제1 전장품 커버(200a) 홀의 내주에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전장품 홀(260)을 통과하는 도선(140)에 상처가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조리기기(1)에서 제1 전장품 커버(200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전장품 커버(200a)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1 전장품 커버(200a)의 정면도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품 커버(20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전장품 커버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 커버 바디(210)는 내측에 위치한 전장품(100)과 벤트 팬(110)의 토출구(111) 사이에 위치하는 차단벽(213)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벽(213)이 전장품(100)과 순환 유로(V1, V2, V3)로 흐르는 오염된 공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차단벽(213)은 벤트 팬(110)의 토출구(111)로부터 전장품(100)을 향해 배출된 공기가 전장품(10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전장품 커버 바디(210)은 차단벽(213)으로부터 전장품의 주위를 덮도록, 차단벽(213)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211, 212, 21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211, 212, 214)은 상측에 마련되는 상측벽(211), 하측에 마련되는 하측벽(212), 좌우 양측에 마련되는 양측벽(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 커버 바디(210)의 상측벽(211)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2 순환 유로(V2)가 내부 하우징(20)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음을 고려하면, 제2 순환 유로(V2)를 따라 공기가 이동할 때, 기울어진 전장품 커버 바디(210)의 상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측벽(211)은 벤트 팬(11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상측을 향하여 각도를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전장품 커버 바디(210)의 상측벽(211)의 끝 단에서 절곡되어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커버 플랜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랜지(230)는 전장품 커버 바디(210) 상측벽(2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가이드(252)는 커버 절개편(250)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커버 플랜지(230)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전장품 커버 바디(210)의 하측벽(212)의 끝 단에서 절곡되어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걸림 플랜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플랜지(220)는 전장품 커버 바디(210) 하측벽(2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걸림 플랜지(220)의 끝 단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커버 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돌기(240)는 제1 플레이트 월(321)에 형성된 걸림 개구(340)에 수용되어 제1 전장품 커버(200a)를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 돌기(240)는 걸림 플랜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돌기(240)는 걸림 플랜지(220)의 양 측에 한 개씩 마련될 수 있다. 커버 돌기(240)가 마련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제1 플레이트 월(321)에 걸림 개구(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전장품 커버(200a)는 좌우 방향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 돌기(240)는 걸림 개구(340)에 수용되도록, 제1 플레이트 월(3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지지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돌기(240)는 걸림 개구(340)에 커버 돌기(240)가 수용되었을 때 커버 돌기(240)가 걸림 개구(34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 지지부(24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 이탈 방지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돌기(240)는 커버 걸림부가 걸림 개구(340)에 수용이 원활하도록, 걸림 이탈 방지부(242)의 끝단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향하여 연장되는 걸림 삽입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삽입부(243)는 제1 플레이트 월(321)을 향하여 각도를 가지고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걸림 개구(340)에 수용하기가 원활해 질 수 있다.
전장품 커버 바디(210)의 양측벽(214) 상에 도선이 통과하는 제1 전장품 홀(260)과 제1 홀 돌기(261)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2는 도 6의 조리기기(1)에서 제2 전장품 커버(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2 전장품 커버(500)에서 BB'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제2 전장품 커버(500)에서 커버 덮개(520)가 커버 본체(510)에 덮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장품 커버(500)는 본체를 형성하는 커버 본체(510)와 커버 본체(510)를 덮을 수 있는 커버 덮개(5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덮개(520)와 커버 본체(510) 사이에 덮개 힌지(530)가 마련될 수 있다. 덮개 힌지(530)의 일측에는 커버 덮개(52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커버 본체(510)가 결합될 수 있다. 덮개 힌지(530)는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덮개 힌지(530)는 내측에 힌지 홈(531)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홈(531)에 의하여 덮개 힌지(530)는 홈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덮개 힌지(530)와 결합된 커버 덮개(520)을 개폐할 수 있다.
커버 덮개(520)는 덮개 플레이트(522)와 덮개 플레이트(522)로부터 돌출된 덮개 접촉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접촉부(521)는 본체에 마련된 본체 접촉부(511)와 접촉하면서, 커버 본체(51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커버 본체(510)는 본체 접촉부(511)의 하측에 본체 지지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지지부(512)는 본체 접촉부(51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덮개(520)가 본체 접촉부(511)에 닿을 때 까지만 커버 본체(510)의 상측을 덮을 수 있게 하여 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커버 덮개(520)가 움직일 수 있는 각도를 한정하여 줄 수 있다.
커버 덮개(520)는 커버 본체(510)와 결합된 측의 타측에 마련되는 덮개 핸들(52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덮개 핸들(524)을 파지하여 커버 덮개(520)를 개폐할 수 있다.
덮개 핸들(524)은 덮개 접촉부(521)에서 절곡되어 덮개 플레이트(522)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덮개 핸들 연장부(524a)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핸들(524)은 덮개 핸들 연장부(524a)의 끝단에서 덮개 플레이트(522)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덮개 핸들 파지부(524b)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는 커버 덮개(520)가 커버 본체(510)의 상측을 닫았을 때도 제2 전장품 커버(5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덮개 핸들(524)을 쉽게 잡을 수 있게 하여 줄 수 있다.
커버 덮개(520)는 덮개 접촉부(521)로부터 커버 덮개(52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덮개 돌기(52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510)는 본체 접촉부(511)로부터 커버 본체(5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본체 돌기(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커버 덮개(520)가 커버 본체(510)에 접촉하여 완전히 커버 본체(510)의 상측을 닫았을 때, 커버 덮개(520)가 커버 본체(510)로부터 분리가 어렵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 덮개(520)가 커버 본체(510)의 상측을 닫았을 때 덮개 돌기(523)가 본체 돌기(513)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커버 덮개(520)가 커버 본체(510)로부터 분리가 어렵도록 할 수 있다.
커버 덮개(520)는 커버 덮개(520)가 커버 본체(510)에 접촉하였을 때, 커버 본체(510)를 향하여 돌출되는 덮개 돌기(523)를 포함하고, 커버 본체(510)는 덮개 돌기(52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커버 덮개(520)를 향하여 돌출되는 본체 돌기(51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510)는 도선(140)이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제2 전장품 홀(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장품 홀(540)의 내주에는 커버 본체(5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홀 돌기(5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 돌기(541)에 의하여 제2 전장품 홀(540)의 내주면의 면적이 넓어지므로, 도선(140)이 제2 전장품 홀(540)의 내주면에 쓸려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전자품 커버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강도를 갖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장품 커버(500)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 본체(510)는 바닥면에서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 리브(5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리브(514)는 커버 본체(510)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체 리브(514)가 형성됨에 따라 커버 본체(510)의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본체 리브(514)는 커버 본체(5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본체(510)는 외면에 본체 입구 리세스(5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입구 리세스(515)가 형성됨에 따라 커버 본체(510)의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본체 입구 리세스(515)는 커버 본체(510)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돌기(513)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조리기기(1)에서 외부 하우징 커버(11)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의 후방에는 파워 연결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 파워 연결부(600) 측으로 물이 들어가게 되는 경우 그 하측에 위치할 수 있는 전장품(100)에 물이 새어 들어갈 수 있다. 전장품(100)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고장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에 관하여 아래에 후술한다.
도 16은 도 15의 조리기기(1)에서 Y를 확대하여 파워 연결부(600)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파워 연결부(600)를 위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연결부(600)는 내부 하우징 상면판(21)의 후방에 마련되는 물받이 플레이트(61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 플레이트(610)는 하측에 위치하는 전장품(1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물받이 플레이트(610) 하측으로 전장품(100)과 연결되는 도선(140)이 연결될 수 있다. 물받이 플레이트(610)에는 도선(140)이 지나가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으로 물이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받이 플레이트(610)는 도선(140)이 지나가는 위치에 마련되는 물받이 돌기(6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 돌기(6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물받이 돌기(620)를 제1 물받이 돌기(621), 제2 물받이 돌기(622)라고 할 수 있다.
물받이 플레이트(610)는 하측으로 후퇴하는 물받이 리세스(6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 플레이트(610)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물받이 리세스(630)에 물이 고이게 되므로, 물받이 플레이트(610) 하측에 위치하는 전장품(100)에 물이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조리기기: 1
외부 하우징: 10
외부 하우징 커버: 11
순환 공기 배출구: 11a
제1 순환 공기 배출구: 11b
제2 순환 공기 배출구: 11c
순환 공기 흡입구: 14
내부 하우징: 20
도어: 30
이격 공간: 50
전장품: 100
벤트 팬: 110
제1 벤트 팬: 110a
제2 벤트 팬: 110b
제3 벤트 팬: 110c
토출구: 111
제1 순환 유로: V1
제2 순환 유로: V2
제3 순환 유로: V3
냉각 유로: C
팬 모터: 120
커넥터: 130
도선: 140
전장품 커버: 200
제1 전장품 커버: 200a
전장품 커버 바디: 210
걸림 플랜지: 220
커버 플랜지: 230
커버 돌기: 240
걸림 지지부: 241
걸림 이탈 방지부: 242
걸림 삽입부: 243
커버 절개편: 250
결합 가이드: 252
벤트 플레이트: 300
베이스 플레이트: 310
플레이트 개구: 311
제1 플레이트 개구: 311a
제2 플레이트 개구: 311b
플레이트 가이드: 312
플레이트 월: 320
제1 플레이트 월: 321
제2 플레이트 월: 322
플레이트 리세스: 323
플레이트 끼움 돌기: 330
끼움 지지부: 331
끼움 이탈 방지부: 332
걸림 개구: 340
플레이트 절개편: 350
결합 부재: 400
제2 전장품 커버: 500
커버 본체: 510
본체 돌기: 513
커버 덮개: 520
덮개 돌기: 523

Claims (20)

  1.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조리실이 마련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위치하고, 토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벤트 팬;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전장품; 및
    상기 벤트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전장품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장품을 둘러싸며 마련되는 전장품 커버 바디를 포함하는 전장품 커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커버 바디는,
    상기 벤트 팬의 토출구로부터 상기 전장품을 향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전장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전장품과 상기 벤트 팬의 토출구 사이에 위치하는 차단벽; 및
    상기 전장품 주위를 덮도록 상기 차단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측을 향하여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상측벽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으로의 공기의 흐름이 줄어 들게 하고 상기 전장품이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벤트 팬이 위치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벤트 팬과 전장품 사이에 위치되는 벤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접촉이 상기 전장품에 줄어들도록, 상기 벤트 팬의 토출구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벤트 플레이트는,
    상기 벤트 팬의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플레이트 개구; 및
    상기 벤트 팬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테두리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플레이트는, 일 측에 상기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개구와 이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타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월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전장품에 접촉하는 것이 줄어들도록,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플레이트 월과 결합하는 조리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팬은 제1 벤트 팬 및 상기 제1 벤트 팬의 후방에 위치한 제2 벤트 팬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는 상기 제1 벤트 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개구 및 상기 제2 벤트 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벤트 팬과 상기 제2 벤트 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와 직접적인 접촉이 줄어들도록,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제1 플레이트 개구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조리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월은 상기 전장품이 마련되는 위치에 내부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후퇴하는 플레이트 리세스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월은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품 커버가 상기 플레이트 월에 결합하도록,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전장품 커버 바디의 상기 플레이트 월을 향하는 일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끝단이 상기 플레이트 끼움 돌기에 수용되는 커버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끼움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 월의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전장품 커버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끼움 지지부; 및
    상기 커버 플랜지가 상기 플레이트 끼움 돌기에 원활히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 지지부의 끝 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커버 플랜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끼움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월은 걸림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품 커버가 상기 플레이트 월에 결합되도록,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걸림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개구에 수용되는 커버 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돌기는,
    상기 걸림 개구에 수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월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지지부;
    상기 걸림 개구에 상기 커버 돌기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커버 돌기가 상기 걸림 개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 지지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커버 걸림부가 상기 걸림 개구에 수용이 원활하도록, 상기 커버 걸림부는 상기 걸림 이탈 방지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삽입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월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일 측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 월은 상기 내부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절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플레이트 절개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커버 절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절개편과 상기 커버 절개편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내부 하우징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결합 부재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결합 부재가 결합하려는 위치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 절개편의 높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결합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하측에 공기를 유입하는 순환 공기 흡입구;
    상측에 상기 순환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는 상기 벤트 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순환 공기 배출구;
    상기 제1 순환 공기 배출구와 상기 컨트롤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는 상기 벤트 팬으로부터 나온 공기가 상기 제1 순환 공기 배출구 토출되는 제1 순환 유로;
    상기 벤트 팬으로부터 나온 공기가 상기 제2 순환 공기 배출구로 토출되는 제2 순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품은 상기 제1 순환 유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장품 커버는 상기 제1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와 상기 전장품과 접촉을 줄여주도록 상기 전장품을 커버하는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제1 전장품이고, 상기 전장품 커버는 제1 전장품 커버이며,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제2 순환 유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전장품과 상기 제2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와 상기 제2 전장품의 접촉을 줄여주도록 제2 전장품을 둘러싸는 제2 전장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장품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덮개가 상기 커버 본체에 접촉하였을 때 분리가 어렵도록, 상기 커버 덮개는 상기 커버 덮개가 상기 커버 본체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커버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덮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덮개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덮개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덮개를 결합시키는 본체 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6. 순환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순환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과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이격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으로 들어온 공기를 유동시키는 벤트 팬;
    상기 벤트 팬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벤트 팬에 연결되는 팬 모터;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전장품; 및
    상기 벤트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전장품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장품을 둘러싸며 마련되는 제1 전장품 커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팬과 제1 전장품 사이에 위치되는 벤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트 플레이트는,
    상기 벤트 팬의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벤트 플레이트의 일 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개구; 및
    벤트 팬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테두리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가이드;
    상기 플레이트 개구와 이격된 타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레이트 월;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1 전장품에 접촉하는 것이 줄어들도록, 상기 제1 전장품 커버는 상기 플레이트 월과 결합하는 조리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하측에 공기를 유입하는 순환 공기 흡입구;
    상측에 상기 순환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공기 배출구는 상기 벤트 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순환 공기 배출구;
    상기 제1 순환 공기 배출구와 상기 컨트롤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는 상기 벤트 팬으로부터 나온 공기가 상기 제1 순환 공기 배출구 토출되는 제1 순환 유로;
    상기 벤트 팬으로부터 나온 공기가 상기 제2 순환 공기 배출구로 토출되는 제2 순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장품은 상기 제1 순환 유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전장품 커버는 상기 제1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와 상기 전장품과 접촉을 줄여주도록 상기 전장품을 커버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제2 순환 유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전장품과 상기 제2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와 상기 제2 전장품의 접촉을 줄여주도록 제2 전장품을 둘러싸는 제2 전장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장품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덮개가 상기 커버 본체에 접촉하였을 때 분리가 어렵도록, 상기 커버 덮개는 상기 커버 덮개가 상기 커버 본체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커버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덮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덮개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덮개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덮개를 결합시키는 본체 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9. 음식물을 가열시켜 조리하는 가전기기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에서 조리된 음식물에서 형성된 유증기가 유입되는 순환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순환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순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가전기기에서 조리된 음식물에서 형성된 유증기가 흐르는 곳에 위치한 커넥터;
    상기 가전기기에서 조리된 음식물에서 형성된 유증기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보호하도록,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며 마련되는 전장품 커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커버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210132669A 2021-07-05 2021-10-06 조리기기 KR20230007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8845 WO2023282506A1 (ko) 2021-07-05 2022-06-22 조리기기
US18/531,180 US20240107637A1 (en) 2021-07-05 2023-12-19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97 2021-07-05
KR20210087597 2021-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213A true KR20230007213A (ko) 2023-01-12

Family

ID=8492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669A KR20230007213A (ko) 2021-07-05 2021-10-0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2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201B1 (ko) 조리기기
US8847133B2 (en) Door for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KR102549151B1 (ko) 조리기기
US11852347B2 (en) Cooking appliance having cooling system
US8471185B2 (en) Microwave oven
US8698057B2 (en)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KR101878048B1 (ko) 쿡탑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230007213A (ko) 조리기기
US20230003392A1 (en) Cooking apparatus
US20240107637A1 (en) Cooking apparatus
JP492213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40052325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EP1649220B1 (en) Air flow system in an oven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US20100170895A1 (en)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KR102403973B1 (ko) 공기토출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밥솥
US20220390120A1 (en) Cooking apparatus
US20240099508A1 (en) Cooking apparatus
US20240060652A1 (en) Cooking equipment
KR20230006359A (ko) 조리 기기
US20240015859A1 (en) Cooking device
KR20220163837A (ko) 조리 기기
KR20230006358A (ko) 조리 기기
US20240077209A1 (en) Cooking appliance
KR20230103499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