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838A -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838A
KR20230006838A KR1020227039732A KR20227039732A KR20230006838A KR 20230006838 A KR20230006838 A KR 20230006838A KR 1020227039732 A KR1020227039732 A KR 1020227039732A KR 20227039732 A KR20227039732 A KR 20227039732A KR 20230006838 A KR20230006838 A KR 20230006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evice
link
frame
inform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 간
단단 량
젠 위
유천 궈
원보 리
쉰 양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 출원은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은 제1 정보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여기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에 대해 학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 버퍼 공간을 관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이 출원은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라는 명칭으로 2020년 4월 14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0292203.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중국 특허 출원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이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1 차세대 Wi-Fi 극도로 높은 스루풋(EHT, extremely high throughput)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초대형(ultra-large) 대역폭은 새로운 주파수 대역 6 GHz 상에서 정보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다수의 불연속적인 링크는 또한, 멀티-링크(multi-link, ML) 협력적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초대형 대역폭을 형성하기 위하여 집성(aggregate)될 수 있다. 멀티-링크 협력적 기술(multi-link cooperative technology)은 더욱 대형의 대역폭을 집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수의 링크 상에서의 MAC 계층의 공유와 같은 멀티-링크 협력적 기술은 메시지 패킷을 신축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또는 동일한 서비스의 메시지 패킷을 동일한 스테이션(station)으로 동시에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차세대 IEEE 802.11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디바이스는 다수의 대역(멀티-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능력을 가진다.
현재, 기존의 청취 메커니즘(listening mechanism)은 제한을 가지고,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전개되는 스테이션이 아니라, 단일-링크 스테이션에만 적용가능하다.
이것을 고려하여, 이 출원은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캐시 서비스(downlink cache service)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 버퍼 공간을 관리하는 것을 돕기 위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통신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먼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은 제1 정보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여기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 다음으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에 대해 학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 버퍼 공간을 관리한다.
제1 스테이션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특수한 멀티-링크 디바이스, 즉, 단일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멀티-링크 디바이스이다.
임의적으로, 제1 스테이션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있고 연관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확립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스테이션이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제2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1 시간 간격을 지시하고, 제1 시간 간격의 단위는 제1 링크 상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간격이다. 다시 말해서, 제1 시간 간격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제3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간격에 관련된다.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1 시간 간격(또는 청취 간격(listen interval)으로서 지칭됨)을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 버퍼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는 주 링크(primary link)로서 지칭될 수 있고, 하나의 제1 링크가 있다.
임의적으로, 제1 스테이션은 제2 스테이션과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임의적으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제1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제1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BSS 파라미터 정보에 대해 학습하기 위하여, 제1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제1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은 비콘 프레임을 통해 다운링크 서비스 지시에 대해 학습하고, 그 다음으로, AP가 다운링크 서비스 전송을 완료하는 것을 최종적으로 돕기 위하여, 전력-절약 폴 프레임(power-saving poll frame)을 통해, 스테이션이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에 있다는 것을 AP에 통지한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시간 간격을 지시하고, 제2 시간 간격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에 관련되고, 여기서, 각각의 비콘 프레임 간격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간격이다.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시간 간격(또는 청취 간격으로서 지칭됨)을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 버퍼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2 시간 간격의 단위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큰 시간 간격이거나,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작은 시간 간격이다. 다시 말해서, 제2 시간 간격의 단위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또는 가장 큰 값일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2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복수의 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BSS 파라미터 정보에 대해 학습하기 위하여, 제2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제1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은 비콘 프레임을 통해 다운링크 서비스 지시에 대해 학습하고, 그 다음으로, AP가 다운링크 서비스 전송을 완료하는 것을 최종적으로 돕기 위하여, 전력-절약 폴 프레임을 통해, 스테이션이 어웨이크 상태에 있다는 것을 AP에 통지한다.
여기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스테이션(즉, 복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모든 스테이션)은 제2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복수의 링크들 각각, 즉, 복수의 링크의 전부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일부 스테이션(즉, 복수의 링크 중의 일부 상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은 제2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복수의 링크의 일부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이 제1 정보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이 첫 번째 프레임을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첫 번째 프레임은 제1 정보를 운반한다. 첫 번째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이다. 그러므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상대적으로 신축적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통신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먼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 다음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에 대해 학습할 수 있고,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어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 버퍼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의 수명(lifetime)을 결정한다.
임의적으로,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캐시(cache)하는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미만일 때,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하는 것을 스킵(skip)한다.
임의적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캐시하는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초과일 때,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첫 번째 프레임은 제1 정보를 운반한다. 첫 번째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이다. 그러므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상대적으로 신축적이다.
제3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통신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먼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은 첫 번째 프레임을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여기서, 첫 번째 프레임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piece)를 포함하고,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들 각각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각각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 다음으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에 대해 학습하고, 이에 의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 버퍼 공간을 관리한다.
임의적으로, 첫 번째 프레임은 복수의 스테이션의 링크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링크 식별자는 제2 정보의 하나의 피스에 대응하고, 링크 식별자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정보의 피스와 스테이션 사이의 대응관계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첫 번째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이다.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를 송신하는 방식은 상대적으로 신축적이다.
제4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통신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먼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고, 여기서, 첫 번째 프레임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를 포함하고,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들 각각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각각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 다음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에 대해 학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 버퍼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첫 번째 프레임은 복수의 스테이션의 링크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링크 식별자는 제2 정보의 하나의 피스에 대응하고, 링크 식별자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정보의 피스와 스테이션 사이의 대응관계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첫 번째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이다.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를 송신하는 방식은 상대적으로 신축적이다.
제5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을 포함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제1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메모리 내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결합된다.
구현예에서, 장치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이다. 장치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일 때, 통신 인터페이스는 트랜시버 또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장치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 칩이다. 장치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 칩일 때, 통신 인터페이스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임의적으로, 트랜시버는 트랜시버 회로일 수 있다. 임의적으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는 입력/출력 회로일 수 있다.
제7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제2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메모리 내의 명령을 판독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결합된다.
구현예에서, 장치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이다. 장치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일 때, 통신 인터페이스는 트랜시버 또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장치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 칩이다. 장치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 칩일 때, 통신 인터페이스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임의적으로, 트랜시버는 트랜시버 회로일 수 있다. 임의적으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는 입력/출력 회로일 수 있다.
제8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가 제공되고, 프로세서는 입력 회로, 출력 회로, 및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입력 회로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회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프로세서는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의 임의의 하나의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프로세서는 칩일 수 있고, 입력 회로는 입력 핀(input pin)일 수 있고, 출력 회로는 출력 핀(output pin)일 수 있고, 프로세싱 회로는 트랜지스터, 게이트 회로, 트리거, 다양한 로직 회로 등일 수 있다. 입력 회로에 의해 수신된 입력 신호는 예를 들어, 수신기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고 입력될 수 있고, 출력 회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는 전송기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전송기로 출력될 수 있고 전송기에 의해 전송될 수 있고, 입력 회로 및 출력 회로는 동일한 회로일 수 있고, 여기서, 회로는 상이한 순간에 입력 회로 및 출력 회로로서 이용된다. 프로세서 및 회로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9 양태에 따르면, 장치가 제공되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의 임의의 하나의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판독하고, 수신기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전송기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있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있다.
임의적으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 있거나, 메모리 및 프로세서가 별도로 배치된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메모리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메모리, 예를 들어, 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일 수 있다.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동일한 칩 상에서 집적될 수 있거나, 상이한 칩 상에서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의 유형, 및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배치하는 방식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관련된 데이터 교환 프로세스, 예를 들어, 제1 정보 또는 첫 번째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은 제1 정보 또는 첫 번째 프레임이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프로세스일 수 있고,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프로세서가 입력된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는 전송기로 출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된 데이터는 수신기로부터 나올 수 있다. 전송기 및 수신기는 트랜시버로서 집합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9 양태에서의 장치는 칩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하드웨어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때, 프로세서는 로직 회로, 집적 회로 등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가 소프트웨어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때,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고, 메모리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코드를 판독함으로써 구현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로 통합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실행될 때,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의 임의의 하나의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이 구현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명령이 작동될 때,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의 임의의 하나의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이 구현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명령이 저장되는 통신 칩이 제공된다. 명령이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서 작동될 때, 통신 칩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거나, 통신 칩은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명령이 저장되는 통신 칩이 제공된다. 명령이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서 작동될 때, 통신 칩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거나, 통신 칩은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고,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또 다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통신에 참여하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구조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통신에 참여하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구조의 또 다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안테나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시나리오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시나리오의 또 다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이 출원에서의 통신 방법이 적용되는 예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이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청취 간격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청취 간격의 또 다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WNM 슬립 모드 엘리먼트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기술적 해결책은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Wi-Fi 시스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5 세대(5th generation, 5G) 시스템 또는 뉴 라디오(new radio, NR), 또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또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거나, 또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에, 또 다른 디바이스는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및/또는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기술적 해결책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출원의 이 실시예는 멀티-링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에 적용된다.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 및 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용어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은 "통신(communication)"으로서 지칭될 수 있고, 용어 "통신"은 또한, "데이터 전송", "정보 전송", 또는 "전송"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스테이션(station, STA), 사용자 장비,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원격국(remote station),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cordless phone),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무선 모뎀에 접속된 또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 차량-장착형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미래의 진화형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이것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디바이스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5G에서의 차세대 nodeB(next generation nodeB, gNB), 진화형 노드 B(evolved node B, eNB), 기저대역 유닛(baseband unit, BBU), 전송 및 수신 포인트(transmitting and receiving point, TRP), 전송 포인트(transmitting point, TP), 중계국(relay station)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제어기(radio controller)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 측(air interface side) 상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관리, 및 데이터 압축 및 암호화와 같은 기능을 추가로 담당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TE 또는 NR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전개에서, gNB는 중앙집중형 유닛(centralized unit, CU) 및 분산형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포함할 수 있다. gNB는 능동 안테나 유닛(active antenna unit, AAU)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U는 gNB의 일부 기능을 구현하고, DU는 gNB의 일부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CU는 비-실시간(non-real-time) 프로토콜 및 서비스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담당하고,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의 기능을 구현한다. DU는 물리적 계층 프로토콜 및 실시간 서비스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및 물리적(physical, PHY) 계층의 기능을 구현한다. AAU는 물리적 계층의 일부 프로세싱 기능, 무선 주파수 프로세싱, 및 능동 안테나에 관련된 기능을 구현한다. RRC 계층에서의 정보는 궁극적으로, PHY 계층에서의 정보가 되거나, PHY 계층에서의 정보로부터 변경된다. 그러므로, 이 아키텍처에서, RRC 계층 시그널링과 같은 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또한, DU에 의해 송신되거나 DU 및 AAU에 의해 송신되는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CU 노드, DU 노드, 및 AAU 노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CU는 액세스 네트워크(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것은 이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계층, 하드웨어 계층 위에서 작동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계층,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 계층 위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계층은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 MMU), 및 메모리(또한, 메인 메모리(main memory)로서 지칭됨)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프로세스(process)를 통한 서비스 프로세싱을 구현하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예를 들어, Linux 오퍼레이팅 시스템, Unix 오퍼레이팅 시스템, Android 오퍼레이팅 시스템, iOS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Windows 오퍼레이팅 시스템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브라우저(browser),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워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word processing software), 및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instant messaging software)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엔티티(entity)가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의 코드를 레코딩하는 프로그램을 작동시킬 수 있다면,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엔티티의 구체적인 구조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엔티티는 단말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에 있고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능적 모듈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출원의 양태 또는 특징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공학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 출원에서 이용된 용어 "제품(product)"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적 저장 컴포넌트(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적 테이프),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및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컴포넌트(예를 들어,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key drive))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가적으로, 이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머신-판독가능 매체(machine-readable media)"는,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포함하고,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출원은 멀티-링크 디바이스(multi-link device, MLD)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다음은 멀티-링크 디바이스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MLD는 또한, 멀티-대역 디바이스(multi-band device)로서 지칭된다.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연계된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연계된 스테이션은 논리적 스테이션이다.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연계된 스테이션을 포함한다"는 것은 또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스테이션을 포함한다"는 것으로서 간략하게 설명된다. 연계된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 또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non-access point station, 비-AP STA)일 수 있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이 출원에서, 연계된 스테이션이 AP인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멀티-링크 AP, 멀티-링크 AP 디바이스, 또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AP multi-link device)로서 지칭될 수 있고, 연계된 스테이션이 비-AP STA인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멀티-링크 STA, 멀티-링크 STA 디바이스, 또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STA multi-link device)로서 지칭될 수 있다.
MLD는 802.11 시리즈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예를 들어, 극도로 높은 스루풋(extremely high throughput, EHT)을 준수하는, 또는 802.11be-기반 또는 802.11be-호환가능한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무선 통신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또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디바이스는 멀티-링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아닐 수 있다.
각각의 논리적 스테이션은 하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지만, 복수의 논리적 스테이션은 동일한 링크 상에서 동작하도록 허용된다. 이하에서 언급된 링크 식별자는 하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의 스테이션을 식별한다(또는 나타냄). 다시 말해서, 하나의 링크 상에서 하나 초과의 논리적 스테이션이 있을 경우에, 하나 초과의 링크 식별자는 논리적 스테이션을 식별(또는 나타냄)하도록 요구된다. 이하에서 언급된 링크 식별자는 또한 때때로,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을 지시한다. 데이터 전송이 멀티-링크 디바이스와 또 다른 멀티-링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수행될 경우에, 통신 전에,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또 다른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먼저, 링크 식별자와 링크 또는 링크 상에서의 스테이션 사이의 대응관계에 대해 협상하거나 서로 통신할 수 있거나,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관리 프레임(예를 들어, 비콘(beacon) 프레임)을 통해 링크 식별자와 링크 또는 링크 상에서의 스테이션 사이의 대응관계를 지시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전송 동안에, 링크 또는 링크 상에서의 스테이션을 지시하기 위하여 다량의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할 필요 없이, 링크 식별자가 운반된다. 이것은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를 감소시키고, 전송 효율을 개선시킨다.
다음은 설명을 위하여, 상기한 하나의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이고, 상기한 또 다른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인 예를 이용한다.
예에서, AP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확립할 때,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관리 프레임(예를 들어, 비콘 프레임)은 복수의 링크 식별자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엘리먼트(element)를 운반한다. 각각의 링크 식별자 정보 필드는 링크 식별자와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 사이의 대응관계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각각의 링크 식별자 정보 필드는 링크 식별자를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각각의 링크 식별자 정보 필드는 MAC 어드레스, 동작 클래스(operating class), 및 채널 번호(channel number)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MAC 어드레스, 동작 클래스, 및 채널 번호 중의 하나 이상은 링크, 또는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멀티-링크 연관 프로세스에서,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링크 식별자 정보 필드를 협상한다. 후속 통신에서,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또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링크 식별자를 이용함으로써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을 식별한다(또는 나타냄). 임의적으로, 링크 식별자는 스테이션의 MAC 어드레스, 작동하는 동작 클래스, 및 채널 번호 중의 하나 이상의 속성을 추가로 식별할 수 있다(또는 나타낼 수 있음). 링크 식별자와 스테이션의 하나 이상의 속성 사이에는 대응관계가 있을 수 있다. MAC 어드레스는 또한, 연관된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연관 식별자(association identifier)로 대체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복수의 스테이션이 하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할 경우에, (숫자 ID인) 링크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또는 표현된) 의미는 링크가 위치되는 동작 클래스 및 채널 번호 뿐만 아니라,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의 식별자, 예를 들어, 스테이션의 MAC 어드레스 또는 연관 식별자(association identifier, AID)를 포함한다.
도 1은 이 출원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는 제1 스테이션(101) 및 제2 스테이션(102)을 포함한다. 복수의 링크는 스루풋(throughput)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제1 스테이션(101)과 제2 스테이션(102) 사이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101)은 멀티-링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2 스테이션(102)은 단일-링크 디바이스, 멀티-링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에서, 제1 스테이션(101)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이고, 제2 스테이션(102)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또는 스테이션(예를 들어, 단일-링크 스테이션)이다. 또 다른 시나리오에서, 제1 스테이션(101)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이고, 제2 스테이션(102)은 AP(예를 들어, 단일-링크 AP) 또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여전히 또 다른 시나리오에서, 제1 스테이션(101)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이고, 제2 스테이션(102)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또는 AP이다. 예를 들어, 여전히 또 다른 시나리오에서, 제1 스테이션(101)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이고, 제2 스테이션(102)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또는 STA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디바이스의 수량 및 유형은 단지 예이고,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도 1에서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는 또 다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통신에 참여하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802.11 표준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모바일 전화 및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802.11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 PHY) 및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파트에 대해 초점을 둔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복수의 AP는 하위 MAC(low MAC) 계층 및 PHY 계층에서 서로에 독립적이고, 또한, 상위 MAC(high MAC) 계층에서 서로에 독립적이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복수의 STA는 하위 MAC(low MAC) 계층 및 PHY 계층에서 서로에 독립적이고, 또한, 상위 MAC(high MAC) 계층에서 서로에 독립적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복수의 AP는 하위 MAC(low MAC) 계층 및 PHY 계층에서 서로에 독립적이고, 상위 MAC(high MAC) 계층을 공유한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복수의 STA는 하위 MAC(low MAC) 계층 및 PHY 계층에서 서로에 독립적이고, 상위 MAC(high MAC) 계층을 공유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이고,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상위 MAC 계층이 서로에 독립적인 구조를 이용할 수 있고,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상위 MAC 계층이 공유되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상위 MAC 계층이 공유되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고,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상위 MAC 계층이 서로에 독립적인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MAC 계층 또는 하위 MAC 계층은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칩 시스템 내의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칩 시스템 내의 상이한 프로세싱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단일-안테나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멀티-안테나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2개 초과의 안테나를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안테나의 수량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멀티-안테나 디바이스이고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단일-안테나 디바이스인 예를 도시한다. 도 4에서의 개략도는 단지 예이고,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액세스 유형의 서비스가 상이한 링크 상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거나, 심지어 동일한 데이터 패킷이 상이한 링크 상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액세스 유형의 서비스가 상이한 링크 상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액세스 유형의 서비스가 상이한 링크 상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은 1 GHz 미만, 2.4 GHz, 5 GHz, 6 GHz, 및 고주파수 60 GHz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예는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을 위하여 이용된다. 도 5 및 도 6은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링크를 통해 또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한다는 것을 도시하는 2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101)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2)와 통신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AP 멀티-링크 디바이스(101)는 연계된 AP(101-1) 및 연계된 AP(101-2)를 포함하고,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2)는 연계된 STA(102-1) 및 연계된 STA(102-2)를 포함하고, AP 멀티-링크 디바이스(101) 및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2)는 링크 1 및 링크 2를 통해 병렬로 통신한다.
도 6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101)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2),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3), 및 STA(104)와 통신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AP 멀티-링크 디바이스(101)는 연계된 AP(101-1) 내지 AP(101-3)를 포함한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2)는 2개의 연계된 STA: STA(102-1) 및 STA(102-2)를 포함한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3)는 2개의 연계된 STA: STA(103-1) 및 STA(103-2)를 포함한다. STA(104)는 단일-링크 디바이스이다. AP 멀티-링크 디바이스(101)는 링크 1 및 링크 3을 통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2)와 별도로 통신할 수 있고, 링크 2 및 링크 3을 통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3)와 통신할 수 있고, 링크 1을 통해 STA(104)와 통신할 수 있다. 예에서, STA(104)는 2.4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한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3)는 STA(103-1) 및 STA(103-2)를 포함하고, 여기서, STA(103-1)는 5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고, STA(103-2)는 6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한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2)는 STA(102-1) 및 STA(102-2)를 포함하고, 여기서, STA(102-1)는 2.4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고, STA(102-2)는 6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한다. AP 멀티-링크 디바이스(101) 내의 2.4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AP(101-1)는 링크 1을 통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2) 내의 STA(104) 및 STA(102-1)와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AP 멀티-링크 디바이스(101) 내의 5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AP(101-2)는 링크 2를 통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3) 내의 5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STA(103-1)와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AP 멀티-링크 디바이스(101) 내의 6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AP(101-3)는 링크 3을 통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2) 내의 6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STA(102-2)와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링크 3을 통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STA(103-2)와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오직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한다는 것을 도시하고, 도 6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3개의 주파수 대역(2.4 GHz, 5 GHz, 및 6 GHz)을 지원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은 하나의 링크에 대응하고, AP 멀티-링크 디바이스(101)는 예시를 위하여 링크 1, 링크 2, 및 링크 3 중의 하나 이상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예를 오직 이용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AP 또는 STA 측 상에서, 링크(링크에 대한 2개의 설명이 있다. 하나의 설명은 (동일한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스테이션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에 의한) 사이트(site)이다. 또 다른 설명은 링크 자체이다.)는 또한,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실제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주파수 대역을 추가로 지원할 수 있고, 즉,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더 많거나 더 적은 링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것은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이고, 장치는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디바이스 상에서 설치된 칩, 프로세싱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칩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이 설치되는 디바이스는 칩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제어 하에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 및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멀티-링크 STA는 무선 트랜시버 기능을 가지고, 802.11 시리즈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고, 멀티-링크 AP, 또 다른 멀티-링크 STA, 또는 단일-링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링크 STA는 사용자가 AP와 통신하고, 궁극적으로, WLAN과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임의의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멀티-링크 STA는 태블릿, 데스크톱, 랩톱, 또는 노트북 컴퓨터, 울트라-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핸드헬드 컴퓨터, 넷북,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모바일 전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에서의 사물 인터넷 노드, 차량 인터넷(internet of vehicles)에서의 차량내 통신 장치 등과 같은,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는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 멀티-링크 STA는 또한, 상기한 단말 내의 칩 및 프로세싱 시스템일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멀티-링크 AP는, 멀티-링크 STA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802.11 시리즈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멀티-링크 AP는 통신 서버,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또는 네트워크 브릿지(network bridge)와 같은 통신 엔티티일 수 있거나, 멀티-링크 AP는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실히, 멀티-링크 AP는 또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 및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 내의 칩 및 프로세싱 시스템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높은-레이트 및 낮은-레이턴시 전송(high-rate and low-latency transmission)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계속적인 진화로,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더 많은 시나리오, 예를 들어, 스마트 시티에서의 센서 노드(예를 들어, 스마트 수도 계량기, 스마트 전기 계량기, 또는 스마트 공기 검출 노드), 스마트 홈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카메라, 프로젝터(projector), 디스플레이 스크린, TV, 스테레오, 냉장고, 세탁기 등), 사물 인터넷에서의 노드, 엔터테인먼트 단말(예를 들어, AR, VR, 또는 또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오피스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프린터, 프로젝터 등), 차량 인터넷에서의 차량 인터넷 디바이스, 또는 일상 생활 시나리오에서의 기반구조(예를 들어, 자동 판매기, 셀프-서비스 내비게이션 콘솔(self-service navigation console), 셀프-체크아웃 디바이스(self-checkout device), 셀프-서비스 식품 기계(self-service food machine) 등)로서 역할을 하는 것에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멀티-링크 STA 및 멀티-링크 AP의 구체적인 형태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을 위한 예에 불과하다. 802.11 시리즈 프로토콜은 802.11be, 802.11ax, 802.11a/b/g/n/a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BSS에서, AP는 복수의 스테이션을 관리한다. AP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AP, 또는 단일 AP일 수 있다. 유사하게, 스테이션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 또는 단일 스테이션일 수 있다.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AP는 하나의 BSS를 독립적으로 확립할 수 있다. 각각의 AP는 비콘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고, 비콘 프레임 간격은 상이할 수 있다.
통합된 설명을 위하여,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통신 방법은 다음의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1) AP가 단일 AP이고, 스테이션이 단일 스테이션이다. (2) AP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의 것이다. (3) 스테이션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의 것이고, AP는 단일 AP이다. (4) AP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의 것이고, 스테이션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의 것이다.
단일 스테이션은 특수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스테이션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특수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하나의 스테이션을 포함하지만, 스테이션은 전송을 위하여 또 다른 링크로 스위칭될 수 있다. 단일 AP는 특수한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의 AP로서 간주될 수 있다. 특수한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하나의 AP를 포함하지만, AP는 전송을 위하여 또 다른 링크로 스위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링크는 또한, 채널로서 이해될 수 있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예로서 이용된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은 스캐닝, 예를 들어, 능동 스캐닝 또는 수동 스캐닝에 의해 주변 AP를 탐지하고, 그 다음으로, 연관을 위한 적절한 AP를 선택하고, 여기서, AP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속한다.
다음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불필요한 상호작용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하나의 링크 상에서의 스테이션을,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있고 스테이션과 동일한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의 AP와 연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AP와 연관되고, 즉, 각각의 스테이션은 각각의 AP와 별도로 연관될 필요가 없다.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모든 스테이션 또는 AP는 그 자신의 MAC 어드레스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상이한 스테이션(또는 AP)은 상이한 MAC 어드레스를 가진다. 추가적으로, STA(또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공통적인 멀티-링크 MAC 어드레스를 가진다. 공통적인 멀티-링크 MAC 어드레스는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하나의 스테이션(또는 AP)의 MAC 어드레스와 동일할 수 있고, 멀티-링크 MAC 어드레스는 또한,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임의의 스테이션(또는 AP)의 MAC 어드레스와 상이하다. 현재, 연관 확립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프로브 응답 프레임, 인증 요청 프레임/인증 응답 프레임, 연관 요청 프레임/연관 응답 프레임, 및 재연관 요청 프레임/재연관 응답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단일-링크 AP와 단일-링크 스테이션 사이의 연관 확립에 관련된 프레임 상호작용과 구별하기 위하여, 멀티-링크 MAC 어드레스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프로브 응답 프레임, 인증 요청 프레임/인증 응답 프레임, 연관 요청 프레임/연관 응답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재연관 응답 프레임에서 운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와의 연관을 확립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하나의 프레임을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AP로 송신할 때, 프레임 내의 수신 어드레스 필드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위에서 언급된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소유된 공통적인 멀티-링크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MAC 어드레스가 아니라,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AP의 MAC 어드레스이고, 전송 어드레스 필드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위에서 언급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소유된 공통적인 멀티-링크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MAC 어드레스가 아니라,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의 MAC 어드레스인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역방향으로의 통신을 위하여 어드레스 필드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은 유사하고,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멀티-링크 디바이스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해결책이 없다. 이 출원은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청취 간격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STA의 캐시 서비스를 관리할 시에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를 보조하는 것에 도입되는 통신 방법을 제안한다.
다음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 출원에서 제공된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700)의 개략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700)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710: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은 제1 정보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여기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스테이션은 연관 요청을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전력 절약 모드에 대하여, 802.11-2016과 같은 시리즈 프로토콜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2개의 멀티-링크 디바이스로서 이해될 수 있다. 2개의 멀티-링크 디바이스 중 하나의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 다른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이고,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이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다음은 설명을 위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이고,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인 예를 이용한다.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지시"는 "직접적 지시" 또는 "간접적 지시", 또는 "묵시적 지시" 또는 "명시적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첫 번째 프레임을 통해 제1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고, 여기서, 첫 번째 프레임은 제1 정보를 운반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정보는 첫 번째 프레임에서 운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일 수 있다. 연관 요청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의 수신기(예를 들어,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와 연관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다음은 멀티-링크 디바이스 연관 프로세스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이고,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인 예가 설명을 위하여 이용된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STA는 스캐닝에 의해 주변 AP를 탐지하고, 그 다음으로, 연관을 위한 적절한 AP를 선택한다. AP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속한다. 연관의 마지막 국면에서, STA는 연관 요청 프레임을 AP로 송신하고, 여기서, 연관 요청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의 수신기(예를 들어, AP)와 연관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 다음으로, AP는 수신확인(acknowledge, ACK) 프레임으로 답신한다. AP는 연관 응답 프레임을 STA로 반환하고, 여기서, 연관 응답 프레임은 적용된 연관의 결과, 및 AP의 능력 정보, 동작 정보 등과 같은 AP 관련된 정보의 연관 응답 프레임을 수신기(예를 들어, STA)로 통지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AP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능력 엘리먼트(capability element) 및 동작 엘리먼트(operation element))의 구체적인 설명에 대하여, 802.11-2016과 같은 시리즈 프로토콜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연관이 성공적일 경우에, AP는 연관 식별자(AID)를 스테이션에 배정한다.
임의적으로, 제1 정보는 새롭게 추가된 필드를 이용할 수 있거나, 현존하는 필드를 이용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이것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정보가 현존하는 필드를 이용하는 것을 계속할 경우에, 현존하는 필드는 재정의된다. 예를 들어,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에서 청취 간격(listen interval) 필드를 운반하고, 제1 정보는 연관 요청 프레임 내의 청취 간격 필드를 이용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S720: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를 송신하여,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은 전력 절약 모드에 있다.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비콘 프레임을 통해 다운링크 서비스 지시를 획득하고, 다운링크 서비스 지시에 대해 학습하고, 그 다음으로, 전력-절약 폴 프레임을 통해 어웨이크 상태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통지하고, 이것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서비스 전송을 완료하는 것을 돕는다. 제1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를 참조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데이터 버퍼 공간을 관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서 연관 요청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스테이션에 의해 운반된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 값이 너무 작을 경우에(즉, 청취 간격이 상대적으로 큼), 즉,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가 너무 낮을 경우에,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완전히 점유하는 과도하게 긴 시간 동안에,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의 서비스를 캐시한다. 이 경우에,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스테이션의 연관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환된 연관 응답 프레임에서 운반된 스테이터스 코드 필드(status code field)는 Denied(DENIED_LISTEN_INTERVA_TOO_LARGE)로 설정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제1 정보는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이한 구현예에서, 제1 정보에 의해 표현된 내용은 상이하다.
구현예 1: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제2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1 시간 간격을 지시하고, 제1 시간 간격의 단위는 제1 링크 상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간격이다.
다시 말해서, 제1 시간 간격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제3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간격에 관련된다.
구현예 1에서, 제1 링크는 주 링크로서 지칭될 수 있고, 하나의 제1 링크가 있다. 제1 링크를 어떻게 선택할 것인지는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적으로, 제1 링크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AP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연관 요청 및 연관 응답 상호작용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링크일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1 링크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다. 선택 알고리즘은 채널의 혼잡도(busy degree)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링크 상에서 서빙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가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트래픽이 혼잡하지 않은 링크가 제1 링크로서 선택될 수 있다. 제1 링크를 선택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적으로, 제1 링크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특정된다. 예를 들어, AP는 관리 프레임을 통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를 위한 제1 링크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링크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기초하고 있고, 상이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주 링크는 상이할 수 있다. 도 8은 이 출원에서의 통신 방법이 적용되는 예의 개략도이다. 도 8에서의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동작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도 6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2)의 주 링크는 링크 3일 수 있고,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103)의 주 링크는 링크 2일 수 있고, 특수한 멀티-링크 디바이스 STA(104)의 주 링크는 링크 1일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주 링크는 단지 예이고,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8에서의 예는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 대한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이해의 용이함을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 출원의 이 실시예를 이 예에서의 구체적인 시나리오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도 8에서의 예에 따라 다양한 동등한 수정 또는 변경을 분명하게 행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은 또한, 이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 속한다.
임의적으로, 구현예 1에서, S720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제1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트래픽 지시 맵(traffic indication map, TIM) 엘리먼트 또는 멀티-링크 TIM 엘리먼트, 또는 BSS 파라미터 업데이트 지시와 같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BSS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주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비콘 프레임에 대해 청취한다. TIM 엘리먼트 또는 멀티-링크 TIM 엘리먼트는 복수의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스테이션의 다운링크 서비스, 또는 복수의 단일 스테이션의 다운링크 서비스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구현예 2: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시간 간격을 지시하고, 제2 시간 간격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에 관련되고, 여기서, 각각의 비콘 프레임 간격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간격이다.
구현예 2의 실시예에서, 제1 정보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시간 간격을 지시한다는 것은, 제1 정보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링크들 각각 상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시간 간격, 즉, 스테이션이 동작하는 링크 상에서, 각각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시간 간격을 지시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구현예 1과 상이하게, 구현예 2에서 복수의 주 링크가 있을 수 있거나, 구현예 2에서는 주 링크가 없고 복수의 링크 중의 임의의 링크가 AP에 의해 송신된 BSS 파라미터 정보에 대해 청취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복수의 주 링크(또는 복수의 링크)는 복수의 동작하는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링크이다. 동작하는 스테이션은 연관 확립 프로세스에 참여하고 인에이블(Enable)되는 복수의 스테이션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제2 시간 간격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STA가 웨이크업(wake up)하고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간격이다. 임의적으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STA는 전력 절약 모드에 있다. 제2 시간 간격의 단위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복수의 시간 간격에 관련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2 시간 간격의 단위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큰 시간 간격이거나,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작은 시간 간격이다. 다시 말해서, 제2 시간 간격의 단위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또는 가장 큰 값일 수 있다.
비콘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 연관 응답 프레임, 또는 또 다른 관리 프레임은 비콘 프레임의 파라미터를 운반한다. 예를 들어, 비콘 프레임의 파라미터는 비콘 프레임 간격을 포함하고, 각각의 링크의 비콘 프레임 간격은 멀티-링크 엘리먼트 내의 각각의 링크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 필드에서 운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멀티-링크 엘리먼트는 다음의 필드: 멀티-링크 제어 필드, 공통 필드, 및 하나 이상의 링크 정보 필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 필드에 대한 세부사항에 대하여, 표준 802.11be 초안 0.4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AP가 비콘 프레임을 송신할 때, 비콘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 연관 응답 프레임, 또는 또 다른 관리 프레임은 동일한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다른 AP에 의해 송신된 비콘 프레임의 파라미터, 예를 들어, 비콘 프레임 간격을 추가로 운반한다.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AP는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시된 주-링크 AP 후보 세트일 수 있다.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주-링크 AP 후보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링크를 주 링크로서 선택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구현예 2에서, S720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2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복수의 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스테이션(즉, 복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모든 스테이션)은 제2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복수의 링크들 각각, 즉, 복수의 링크의 전부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일부 스테이션(즉, 복수의 링크 중의 일부 상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은 제2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복수의 링크의 일부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청취 간격(예를 들어, 제1 시간 간격 또는 제2 시간 간격)의 값이 0일 경우에,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임의의 스테이션은 슬립 모드(sleep mode)에 진입하지 않고, 즉, 스테이션은 항상 어웨이크 상태에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정보가 청취 간격 필드를 이용하는 것을 계속할 경우에, 청취 간격 필드는 2개의 바이트(byte)이고, 비콘 프레임 주기는 기본 단위(basic unit)로서 이용된다.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STA에 의해 송신된 연관 요청 프레임에서 운반된 청취 간격 필드를 이용함으로써,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의 수명을 관리한다.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의 수명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STA는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고, 청취 간격 파라미터 및 ReceiveDTIM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다. 비콘 프레임은 AP에 의해 또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수한 클래스의 DTIM 비콘 프레임을 포함한다. DTIM 비콘 프레임 간격은 비콘 프레임 간격의 정수배이다. ReceiveDTIMs가 참(true)일 경우에, STA는 웨이크업하고 모든 DTIM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다. ReceiveDTIMs가 거짓(false)일 경우에, STA는 웨이크업하고 각각의 DTIM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STA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AP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중요한 BSS 파라미터 정보, 예를 들어, TIM을 획득한다. TIM은 AP가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다운링크 서비스를 가지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웨이크업된 STA가 AP에 의해 송신된 비콘 프레임 내의 TIM 엘리먼트가 AP가 STA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 서비스를 가진다는 지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할 경우에, STA는 STA가 어웨이크 상태에 있다는 것을 AP에 통지하기 위하여, 전력-절약 폴(power-saving poll)(PS-폴) 프레임을 AP로 송신한다. 이 경우에, AP는 다운링크 데이터 서비스를 STA로 송신할 수 있다. 전력 절약 모드인 STA는 충분히 일찍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어서, 제1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간은 이전 비콘 프레임의 전송 시간과 함께 시작하는 청취 간격 내에 속한다. STA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다운링크 서비스 지시에 대해 학습하고, 그 다음으로, AP가 다운링크 서비스 전송을 완료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전력-절약 폴 프레임을 통해, STA가 어웨이크 상태에 있다는 것을 AP에 통지한다.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송신한다.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제1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캐시 서비스의 효과적인 관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1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의 수명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캐시하는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미만일 때,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하는 것을 스킵한다. 임의적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캐시하는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이상일 때,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한다. 또 다른 방식에서, 임의적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캐시하는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초과일 때,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한다.
캐시 서비스를 폐기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한 조건은 단지 예이고,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결정된 청취 간격의 개요이다(예를 들어, 청취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도 7에서 도시된 상기한 구현예 1 또는 구현예 2를 참조하고,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다시 설명되지 않음; 또는 다음의 방법(900)에서 결정된 청취간격).
"서비스를 캐시하기 위한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인" 경우, 및 "서비스를 캐시하기 위한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초과인" 경우는 설명을 위하여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지만, 이것은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서비스를 캐시하기 위한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인" 경우 및 "서비스를 캐시하기 위한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미만인" 경우는 대안적으로, 하나의 카테고리로서 분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캐시하는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이하일 때,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하는 것을 스킵한다".
예를 들어,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캐시 서비스를 폐기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연령 함수(age function)를 이용한다. 연령 함수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령 함수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STA에 의해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에서 운반된 청취 간격 파라미터(예를 들어, 제1 시간 간격 또는 제2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AP는 제1 시간 간격 또는 제2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STA의 데이터 서비스를 캐시하기 위한 수명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데이터 버퍼 공간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출원은 또 다른 통신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첫 번째 프레임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를 운반하여,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도 9는 이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9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900)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910: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은 첫 번째 프레임을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여기서, 첫 번째 프레임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를 포함하고,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들 각각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에 따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1 스테이션이 동작하는 링크 상에서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한다.
구현예에서,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개개의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첫 번째 프레임의 관련된 설명에 대하여, 상기한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스테이션의 관련된 설명에 대하여, 상기한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관련된 설명에 대하여, 상기한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의 수량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스테이션의 수량과 동일하다.
임의적으로, 제2 정보는 새롭게 추가된 필드를 이용할 수 있거나, 현존하는 필드를 이용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이것은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방식에서, 제2 정보는 현존하는 필드를 이용하는 것을 계속하고, 현존하는 필드는 재정의된다. 예를 들어,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에서 청취 간격(listen interval) 필드를 운반하고, 제2 정보는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 내의 청취 간격 필드를 이용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청취 간격은 전력 절약 모드인 제1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청취 간격은 제1 스테이션이 동작하는 링크 상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간격의 단위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테이션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 이외의 전력 절약 모드인 복수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개개의 주파수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통지하기 위하여, 연관 요청 프레임에서 복수의 청취 간격 필드를 추가로 운반할 수 있다. 복수의 청취 간격 필드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 이외의 전력 절약 모드인 복수의 스테이션이 동작하는 링크 상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간격의 단위로 되어 있다. 임의적으로,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은 청취 간격 또는 링크 식별자의 수량을 지시하기 위한 필드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방식에서, 제2 정보는 새롭게 추가된 필드를 이용할 수 있고, 제1 스테이션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복수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개개의 주파수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통지하기 위하여,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에서 복수의 청취 간격 필드를 운반할 수 있다. 복수의 청취 간격 필드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 이외의 전력 절약 모드인 복수의 스테이션이 동작하는 링크 상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간격의 단위로 되어 있다. 임의적으로,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은 청취 간격 또는 링크 식별자의 수량을 지시하기 위한 필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설명은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들)을 예로서 이용함으로써 설명된다. 임의적으로,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들)은 스테이션(들)으로서 직접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적으로, 첫 번째 프레임은 복수의 스테이션의 링크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링크 식별자는 제2 정보의 하나의 피스에 대응하고, 링크 식별자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링크 식별자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서 하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을 식별할 수 있거나(또는 나타냄), 스테이션이 동작하는 링크를 식별할 수 있다(또는 나타냄). 임의적으로, 통신 전에,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및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먼저, 링크 식별자와 링크 또는 링크 상에서의 스테이션 사이의 대응관계에 대해 협상하거나 서로 통신할 수 있거나,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관리 프레임(예를 들어, 비콘(beacon) 프레임)을 통해 링크 식별자와 링크 또는 링크 상에서의 스테이션 사이의 대응관계를 지시한다. 여기서, 다량의 시그널링 정보는 링크 또는 링크 상에서의 스테이션을 지시하기 위하여 전송될 필요가 없고, 링크 식별자가 운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전송 효율이 개선된다. 링크 식별자의 설명에 대하여, 상기한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920: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복수의 청취 간격)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여기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캐시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식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연령 함수에 기초하여,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에서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연령 함수는 복수의 청취 간격 필드에 의해 결정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청취 간격의 필드 길이의 바이트의 수량은 고정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하나 이상의 청취 간격의 길이는 2 바이트일 수 있거나, 다른 길이의 바이트, 예를 들어, 3, 4, 또는 5 바이트일 수 있다. 도 10은 청취 간격 필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청취 간격은 2 바이트를 점유한다.
청취 간격은 최대 (216-1) 단위 간격의 길이를 갖는 청취 기간을 지원한다. 단위 간격은 제1 스테이션이 동작하는 링크 상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비콘 프레임 간격이거나(위의 도 7에서 도시된 구현예 1), 복수의 링크 상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큰 값 또는 가장 작은 값이다(위의 도 7에서 도시된 구현예 2). 대안적으로, 단위 간격은 복수의 청취 간격들 각각의 단위 간격 길이에 대응하는 하나의 링크 상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비콘 프레임 간격이다(위의 도 9에서 도시된 방식). 더 긴 슬립 시간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 출원은 청취 간격을 재정의하도록 제안한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청취 간격은 14-비트 비정규화된 간격(non-normalized interval) 및 2-비트 통합된 정규화 인자(unified normalization factor)를 포함한다.
청취 간격의 기간은 비정규화된 간격 * 정규화 인자 * 단위 간격 길이이고, 여기서, "*"는 승산 연산을 나타내고, 정규화 인자의 값은 표 1에서 도시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서, 상이한 통합된 정규화 인자에 대응하는 정규화 인자는 상이한 값을 가진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청취 간격의 단위는 (비콘 프레임 간격의 단위, 또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큰 값 또는 가장 작은 값의 단위인) 비콘 프레임 간격에 관련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청취 간격의 단위는 또한, 다른 특정된 브로드캐스트 관리 프레임의 전송 간격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청취 간격은 주 링크 상에서 브로드캐스팅된 관리 프레임의 전송 간격의 단위, 복수의 링크 상에서 브로드캐스팅된 관리 프레임의 복수의 전송 간격 중 가장 큰 값 또는 가장 작은 값의 단위, 또는 링크 식별자 필드에 의해 식별된 링크 상에서 브로드캐스팅된 관리 프레임의 전송 간격의 단위로 되어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청취 간격의 의미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청취 간격은 또 다른 의미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수한 전력 절약 모드, 예를 들어, 비-트래픽 지시 맵(Non-traffic indication map, Non-TIM) 모드인 스테이션에 대하여,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에서는,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 청취 간격은 STA 멀티-링크 내의 스테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연관된 AP로 송신하는 간격을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프레임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어웨이크 상태에 있다는 것을 연관된 AP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통지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어서(프레임은 PS-폴 프레임과 유사함), 연관된 AP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서비스를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하나의 청취 간격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청취 간격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위의 도 7에서 도시된 구현예 1 또는 구현예 2를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복수의 청취 간격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청취 간격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위의 도 9에서 도시된 구현예를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방법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WNM) 슬립 모드인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하여 추가로 적용가능하다. WNM 슬립 모드인 스테이션은 각각의 DTIM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다. 다음은 AP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WNM 슬립 모드인 스테이션의 캐시 서비스를 관리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설명한다. 다음의 방식에서, WNM 슬립 간격 필드는 상기한 설명에서의 청취 간격 필드와 유사할 수 있고, 즉, 청취 간격 필드의 상기한 실시예는 또한, WNM 슬립 간격 필드에 적용가능하다.
방식 1: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은 WNM 슬립 요청 프레임 및 WNM 슬립 응답 프레임을 통해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AP와 각각 상호작용하여,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은 WNM 슬립 모드에 별도로 진입한다.
구체적으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은 WNM 슬립 요청 프레임을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AP로 송신하고, 여기서, WNM 슬립 요청 프레임은 WNM 슬립 모드 엘리먼트를 운반하고, WNM 슬립 모드 엘리먼트는 엘리먼트 ID 필드, 길이 필드, 액션 유형 필드, WNM 슬립 모드 응답 스테이터스 필드, 및 WNM 슬립 간격 필드를 포함한다. 도 12는 WNM 슬립 모드 엘리먼트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WNM 슬립 모드 엘리먼트는 엘리먼트 ID 필드, 길이 필드, 액션 유형 필드, WNM 슬립 모드 응답 스테이터스 필드, 및 WNM 슬립 간격 필드를 포함한다. WNM 슬립 모드 엘리먼트 내의 WNM 슬립 간격 필드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WNM 슬립 상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간격을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WNM 슬립 간격의 단위는 DTIM 비콘 프레임 간격이다. 값 0을 갖는 WNM 슬립 간격 필드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WNM 슬립 상태인 스테이션이 임의의 특정된 간격으로 웨이크업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한다.
방식 2: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하나의 스테이션은 WNM 슬립 요청 프레임 및 WNM 슬립 응답 프레임을 통해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하나의 AP와 상호작용하여,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일부 또는 모든 스테이션이 WNM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구체적으로,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은 WNM 슬립 요청 프레임을 AP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AP로 송신하고, 여기서, WNM 슬립 요청 프레임은 WNM 슬립 모드 엘리먼트를 운반하고, WNM 슬립 모드 엘리먼트는 엘리먼트 ID 필드, 길이 필드, 액션 유형 필드, WNM 슬립 모드 응답 스테이터스 필드, 및 WNM 슬립 간격 필드를 포함한다. WNM 슬립 모드 엘리먼트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한다. WNM 슬립 간격 필드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WNM 슬립 상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간격을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WNM 슬립 간격의 단위는 DTIM 비콘 프레임 간격이다. 값 0을 갖는 WNM 슬립 간격 필드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WNM 슬립 상태인 스테이션이 임의의 특정된 간격으로 웨이크업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한다.
방식 2에서는, STA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하나의 WNM 슬립 간격이 있을 수 있다. 청취 간격이 WNM 슬립 간격으로 대체되고, 청취 간격의 단위가 비콘 프레임 간격에 관련된다는 것이 WNM 슬립 간격의 단위가 DTIM 비콘 프레임 간격에 관련된다는 것으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구체적인 방법은 위의 도 7에서 도시된 구현예 1 또는 구현예 2와 유사하다. 다른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방식 2에서는, 스테이션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복수의 WNM 슬립 간격이 있을 수 있다. 청취 간격이 WNM 슬립 간격으로 대체되고, 청취 간격의 단위가 비콘 프레임 간격에 관련된다는 것이 WNM 슬립 간격의 단위가 DTIM 비콘 프레임 간격에 관련된다는 것으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9에서 도시된 구현예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WNM 슬립 간격은 주 링크 상에서의 DTIM 비콘 프레임 간격의 단위, 복수의 링크 상에서의 복수의 DTIM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큰 값 또는 가장 작은 값의 단위, 또는 링크 식별자 필드에 의해 식별된 링크 상에서의 DTIM 비콘 프레임의 간격의 단위로 되어 있다. 다른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고, 예를 들어, WNM 슬립 엘리먼트는 복수의 WNM 슬립 간격 및 복수의 링크 식별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WNM 슬립 간격은 링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테이션의 WNM 슬립 간격을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하나의 링크 식별자에 대응한다. 임의적으로, WNM 슬립 엘리먼트는 WNM 슬립 간격 필드 또는 링크 식별자 필드의 수량을 지시하기 위한 필드를 더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현존하는 "WNM 슬립 모드 진입" 및 "WNM 슬립 모드 탈출"과 구별하기 위하여,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WNM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것" 및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WNM 슬립 모드를 탈출하는 것"은 액션 유형에 추가된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일부 임의적인 특징은 또 다른 특징, 예를 들어, 대응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 대응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적인 특징이 현재 기초하고 있는 해결책에 종속되지 않으면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시나리오에서, 임의적인 특징은 요건에 기초하여 다른 특징과 조합된다. 이에 따라,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장치는 또한, 이 특징 또는 기능을 대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해결책은 이용을 위하여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의 용어의 기재 또는 설명은 실시예에서 상호적으로 참조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한 프로세스의 시퀀스 번호는 이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실행 시퀀스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시퀀스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로직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한 프로세스에서의 번호 또는 시퀀스 번호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한 구별을 위하여 단지 이용되고, 이 출원의 실시예의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구성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에 대응하여, 이 출원의 실시예는 대응하는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장치는 상기한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모듈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일 수 있다.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또한, 다음의 장치 실시예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도 13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는 송신 유닛(1010)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통신 장치는 수신 유닛(1020) 및 프로세싱 유닛(10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통신 장치(1000)는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MLD, 또는 MLD에서 배치된 칩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신 유닛(1010)은 제1 정보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수신 유닛(1020)은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제1 스테이션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에 있고 연관 요청을 확립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스테이션이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제2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1 시간 간격을 지시하고, 제1 시간 간격의 단위는 제1 링크 상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간격이다.
임의적으로, 제1 스테이션은 제2 스테이션과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임의적으로, 수신 유닛(1020)이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제1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제1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시간 간격을 지시하고, 제2 시간 간격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에 관련되고, 여기서, 각각의 비콘 프레임 간격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간격이다.
임의적으로, 제2 시간 간격의 단위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큰 시간 간격이거나,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작은 시간 간격이다.
임의적으로, 수신 유닛(1020)이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은, 제2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복수의 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1010)이 제1 정보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첫 번째 프레임을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첫 번째 프레임은 제1 정보를 운반한다. 첫 번째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이다.
대안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유닛(1010)은 첫 번째 프레임을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첫 번째 프레임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를 포함하고,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들 각각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수신 유닛(1020)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첫 번째 프레임은 복수의 스테이션의 링크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링크 식별자는 제2 정보의 하나의 피스에 대응하고, 링크 식별자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첫 번째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이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000)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방법(700) 또는 방법(900)에서의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통신 장치(1000)는 도 7에서의 방법(700) 또는 도 9에서의 방법 중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 장치(1000)에서의 각각의 유닛 및 상기한 다른 동작 또는 기능은 도 7에서의 방법(700) 또는 도 9에서의 방법(900)에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절차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 이용된다.
통신 장치(1000)가 도 14에서 도시된 통신 장치일 때, 통신 장치(1000)에서의 송신 유닛(1010)은 도 14에서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수신 유닛(1020)은 도 14에서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통신 장치(1000)에서의 프로세싱 유닛(1030)은 도 14에서 도시된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1020)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송신 유닛(1010)은 제1 정보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030)은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의 수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030)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캐시하는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미만일 때,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하는 것을 스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030)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캐시하는 시간이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초과일 때,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수신 유닛(1020)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첫 번째 프레임은 제1 정보를 운반한다. 첫 번째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이다.
대안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1020)은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첫 번째 프레임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를 포함하고,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들 각각은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 다음으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는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송신한다.
임의적으로, 첫 번째 프레임은 복수의 스테이션의 링크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링크 식별자는 제2 정보의 하나의 피스에 대응하고, 링크 식별자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첫 번째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이다.
각각의 유닛이 상기한 대응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간결함을 위하여,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1000)가 도 15에서 도시된 통신 장치일 때, 통신 장치(1000)에서의 송신 유닛(1010)은 도 15에서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수신 유닛(1020)은 도 15에서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통신 장치(1000)에서의 프로세싱 유닛(1030)은 도 15에서 도시된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임의적으로, 통신 장치(1000)는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저장 유닛은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은 대응하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저장 유닛 내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유닛은 도 15에서의 메모리에 대응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0)가 MLD에서 배치된 칩일 때, 통신 장치(1000)에서의 송신 유닛(1010)은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일 수 있고, 수신 유닛(1020)은 입력 인터페이스 회로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모듈로의 분할은 예이고,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고, 실제적인 구현 동안에 다른 분할이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적 모듈은 하나의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거나, 모듈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모듈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적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40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1400)는 상기한 방법에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와의 정합 시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서 설치될 수 있다.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또 다른 개별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400)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에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2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정보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고 -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됨 -;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2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첫 번째 프레임을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고 - 첫 번째 프레임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를 포함하고, 제2 정보의 각각의 피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됨 -;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장치(1400)는 프로그램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30)는 프로세서(1420)에 결합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결합은 장치, 유닛, 또는 모듈 사이의 정보 교환을 위한 장치, 유닛, 또는 모듈 사이의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이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메모리(1430)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메모리(143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중의 적어도 하나는 프로세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장치(1400)는 전송 매체를 통해 또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1410)를 더 포함할 수 있어서, 장치(1400) 내의 장치는 또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트랜시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트랜시버, 인터페이스, 버스, 회로, 핀,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디바이스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통신 인터페이스(1410)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고, 도 7 또는 도 9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410), 프로세서(1420), 및 메모리(1430) 사이의 구체적인 접속 매체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는, 도 14에서, 메모리(1430), 프로세서(1420), 및 통신 인터페이스(1410)가 버스(1440)를 통해 접속된다. 버스는 도 14에서 굵은 라인에 의해 표현된다. 다른 컴포넌트 사이의 접속 방식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이고,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버스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하여, 오직 하나의 두꺼운 라인은 도 14에서의 버스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되지만, 이것은 오직 하나의 버스 또는 오직 하나의 유형의 버스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4에서 도시된 통신 장치는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방법, 예를 들어, 도 7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통신 장치에서의 모듈의 동작 및/또는 기능은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절차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 이용된다. 세부사항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반복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적절하게 생략된다.
도 14에서 도시된 통신 장치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가능한 아키텍처에 불과하고, 이 출원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구성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5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0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1500)는 상기한 방법에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와의 정합 시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서 설치될 수 있다.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또 다른 개별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500)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에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5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2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 제1 정보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됨 -; 비콘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2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 첫 번째 프레임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를 포함하고, 제2 정보의 각각의 피스는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됨 -; 비콘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장치(1500)는 프로그램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프로세서(1520)에 결합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결합은 장치, 유닛, 또는 모듈 사이의 정보 교환을 위한 장치, 유닛, 또는 모듈 사이의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이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1520)는 메모리(1530)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520)는 메모리(153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중의 적어도 하나는 프로세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장치(1500)는 전송 매체를 통해 또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1510)를 더 포함할 수 있어서, 장치(1500) 내의 장치는 또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트랜시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트랜시버, 인터페이스, 버스, 회로, 핀,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디바이스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서(1520)는 통신 인터페이스(1510)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고, 도 7 또는 도 9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510), 프로세서(1520), 및 메모리(1530) 사이의 구체적인 접속 매체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는, 도 15에서, 메모리(1530), 프로세서(1520), 및 통신 인터페이스(1510)가 버스(1540)를 통해 접속된다. 버스는 도 15에서 굵은 라인에 의해 표현된다. 다른 컴포넌트 사이의 접속 방식은 단지 예로서 설명되고,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버스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하여, 오직 하나의 두꺼운 라인은 도 15에서의 버스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되지만, 이것은 오직 하나의 버스 또는 오직 하나의 유형의 버스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5에서 도시된 통신 장치는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방법, 예를 들어, 도 7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통신 장치에서의 모듈의 동작 및/또는 기능은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절차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 이용된다. 세부사항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반복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적절하게 생략된다.
도 15에서 도시된 통신 장치는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가능한 아키텍처에 불과하고, 이 출원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구성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임의적으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통신 장치는 통신 서버, 라우터,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 브릿지와 같은 AP 디바이스, 및 모바일 전화,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TV와 같은 비-AP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에 따르면, 이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상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는 도 7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에 따르면, 이 출원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에 따르면, 이 출원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상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는 도 7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상기한 방법 실시예 중의 임의의 하나에서의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열거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 및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이해할 수 있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의 설계 요건에 종속된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구현예는 이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초월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 프로세싱 능력을 가진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계는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집적된 로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인 명령을 이용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또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or unit, 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회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마이크로 제어기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 프로그래밍가능 제어기(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또는 또 다른 집적된 칩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방법, 단계, 및 논리적 블록도를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적으로 수행되고 완료될 수 있거나,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되고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완숙된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register)에서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서 위치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상기한 방법에서의 단계를 완료한다.
이 출원에서 설명된 기술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기술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을 위하여,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단말,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칩) 상에서 이 기술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범용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ASIC,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FPGA,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그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임의적으로, 범용 프로세서는 대안적으로 임의의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state machine)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대안적으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코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고, 외부 캐시로서 이용된다. 제한적인 설명이 아니라 예를 통해, 많은 형태의 RAM,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date SDRAM, DDR SDRAM), 증대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가 이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에서의 메모리는 이 메모리 및 또 다른 적절한 유형의 임의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상기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용될 때,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이 컴퓨터 상에서 로딩되고 실행될 때,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또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거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또 다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은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라인(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또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용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고밀도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일 수 있다.
전체 명세서에서 언급된 "실시예"는 실시예에 관련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이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전체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는 아니다. 추가적으로, 이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조합될 수 있다. 상기한 프로세스의 시퀀스 번호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실행 시퀀스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시퀀스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로직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하고, 이 출원의 실시예의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임의의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 출원에서, "~때" 및 "~경우"는 UE 또는 기지국이 목적 상황에서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시간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UE 또는 기지국은 구현 동안에 결정 액션을 가지도록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고, 임의의 다른 제한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 출원에서의 제1, 제2, 및 다양한 참조 번호가 편리한 설명을 위하여 단지 구별되고, 이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이용되지는 않고, 순서를 또한 지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출원에서, 이와 다르게 특정되지 않으면, 단수 형태로 표현된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만, "하나 및 오직 하나"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 출원에서, 이와 다르게 특정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을 나타내도록 의도되고, "복수의~"는 "2개 이상"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이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가능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고, 3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3개의 경우: 오직 A가 존재하는 것, A 및 B의 둘 모두가 존재하는 것, 및 오직 B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A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고, B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문자 "/"는 통상적으로, 연관된 객체 사이의 "또는(or)" 관계를 나타낸다.
이 명세서에서의 용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열거된 항목의 전부 또는 임의의 조합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다음의 6개의 경우: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 C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 A 및 B가 공존하는 것, B 및 C가 공존하는 것, 및 A, B, 및 C가 공존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A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고, B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고, C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A에 대응하는 B"는 B가 A와 연관되고, B는 A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B에 따라 A를 결정하는 것은, B가 오직 A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 즉, B가 A 및/또는 다른 정보에 따라 또한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와 조합하여,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기술적 해결책의 설계 제약 조건에 종속된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이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구현예는 이 출원의 범위를 초월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상기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한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이 출원에서 제공된 몇몇 실시예에서는,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이다. 예를 들어, 유닛으로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고, 실제적인 구현 동안에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또 다른 시스템으로 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사이의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별도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디스플레이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거나, 하나의 위치에서 위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서 분산될 수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에서의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제적인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적인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유닛들의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이용될 때, 기능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이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필수적으로, 또는 현재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되고,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 중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것을 (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는) 컴퓨터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몇몇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예를 들어, USB 플래시 드라이브, 분리가능한 하드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를 포함한다.
상기한 설명은 단지 이 출원의 구체적인 구현예이지만, 이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 출원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된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이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에 종속될 것이다.

Claims (25)

  1.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제1 정보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됨 -; 및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제2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1 시간 간격을 지시하고, 상기 제1 시간 간격의 단위는 상기 제1 링크 상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간격인,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스테이션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통신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제1 링크 상에서, 상기 제1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복수의 링크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시간 간격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에 관련되고, 각각의 비콘 프레임 간격은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이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간격인,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간격의 단위는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링크 상에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상기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큰 시간 간격이거나, 상기 복수의 비콘 프레임 간격 중 가장 작은 시간 간격인, 통신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 간격의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제1 정보를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첫 번째 프레임을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은 상기 제1 정보를 운반하는,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인, 통신 방법.
  10. 통신 방법으로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됨 -; 및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의 수명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캐시(cache)하는 시간이 상기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미만일 때,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하는 것을 스킵(skip)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캐시하는 시간이 상기 제1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초과일 때,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의 캐시 서비스를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은 상기 제1 정보를 운반하는,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인, 통신 방법.
  16.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첫 번째 프레임을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piec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들 각각은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됨 -; 및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에 기초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은 복수의 스테이션의 링크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링크 식별자는 제2 정보의 하나의 피스에 대응하고, 상기 링크 식별자는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통신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인, 통신 방법.
  19. 통신 방법으로서,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로부터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은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들 각각은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전력 절약 모드인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주파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됨 -; 및
    상기 제2 멀티-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정보의 복수의 피스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은 복수의 스테이션의 링크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링크 식별자는 제2 정보의 하나의 피스에 대응하고, 상기 링크 식별자는 상기 제1 멀티-링크 디바이스 내의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통신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인, 통신 방법.
  22. 프로세싱 회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제1항 내지 제9항, 제10항 내지 제15항, 제16항 내지 제18항, 또는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
  23.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명령이 작동될 때, 제1항 내지 제9항, 제10항 내지 제15항, 제16항 내지 제18항, 또는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통신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1항 내지 제9항, 제10항 내지 제15항, 제16항 내지 제18항, 또는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
  25.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명령이 작동될 때, 제1항 내지 제9항, 제10항 내지 제15항, 제16항 내지 제18항, 또는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통신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39732A 2020-04-14 2021-04-13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230006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92203.8A CN113541890A (zh) 2020-04-14 2020-04-14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202010292203.8 2020-04-14
PCT/CN2021/086883 WO2021208903A1 (zh) 2020-04-14 2021-04-13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838A true KR20230006838A (ko) 2023-01-11

Family

ID=7808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732A KR20230006838A (ko) 2020-04-14 2021-04-13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882514B2 (ko)
EP (1) EP4131829A4 (ko)
JP (1) JP7439299B2 (ko)
KR (1) KR20230006838A (ko)
CN (3) CN115765950B (ko)
AU (1) AU2021256154B2 (ko)
BR (1) BR112022020827A2 (ko)
WO (1) WO2021208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7183A (zh) * 2021-10-27 2024-04-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多链路连接的建立方法、装置、设备及介质
WO2023206579A1 (zh) * 2022-04-29 2023-11-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6045B (zh) * 2007-10-11 2011-03-23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及其接入方法、接入装置
US8542620B2 (en) * 2009-05-05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energy saving mechanism for access points
US8942221B2 (en) * 2011-11-10 2015-01-27 Blackberry Limited Caching network discovery responses in wireless networks
RU2619271C2 (ru) * 2012-04-18 2017-05-1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сигнала станции, работающей в режиме экономии энерги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JP6317364B2 (ja) * 2012-12-03 2018-04-2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多重帯域スキャニング方法及び装置
CN107006014B (zh) * 2014-12-10 2020-12-08 意大利电信股份公司 具有与用户平面解耦和的控制平面的多频带蜂窝网络
US10609647B2 (en) * 2016-09-29 2020-03-31 Intel IP Corporation Multi-band link-aggregation pre-negotiated power save modes
US10856203B2 (en) 2017-01-19 2020-12-0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or link aggregation setup and reconfiguration
CN108541047B (zh) * 2017-03-03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业务数据的指示方法和设备
EP3677073A4 (en) * 2017-08-30 2020-09-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0267287B (zh) 2018-03-12 2022-10-14 苏州速通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在高效无线局域网的twt服务区间执行全双工通信的方法
US11202286B2 (en) * 2018-07-11 2021-12-14 Intel Corporation Methods for multi-link setup between a multi-link access point (AP) logical entity and a multi-link non-AP logical entity
WO2020040589A1 (ko) * 2018-08-23 2020-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040587A1 (ko) * 2018-08-23 2020-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링크에 관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50648A1 (ko) * 2018-09-05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G10201809503RA (en) * 2018-10-26 2020-05-28 Panasonic Ip Corp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Band Transmission
US11751134B2 (en) * 2019-05-24 2023-09-05 Marvell Asia Pte Ltd Power save and group-addressed frames in WLAN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links
US20200137683A1 (en) * 2019-10-28 2020-04-30 Laurent Cariou Traffic indication map piggybacking
US11743834B2 (en) * 2019-10-28 2023-08-29 Intel Corporation Enhanced multi-band power sav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1672038B2 (en) * 2019-11-11 2023-06-06 Nxp Us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link communications
US11641660B2 (en) * 2019-11-12 2023-05-02 Nxp Usa, Inc. Multi-antenna processing in multi-link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723113B2 (en) * 2020-01-04 2023-08-08 Nxp Us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nd disabling links in multi-link communication systems
US11595884B2 (en) * 2020-02-12 2023-02-28 Mediatek Singapo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EHT multi-link BBS parameter update
US11743709B2 (en) * 2020-04-08 2023-08-29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updates for multi-link devices
US11778645B2 (en) * 2020-04-08 2023-10-03 Qualcomm Incorporated Early critical update indications for multi-link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41890A (zh) 2021-10-22
CN115765951A (zh) 2023-03-07
AU2021256154B2 (en) 2024-02-01
BR112022020827A2 (pt) 2022-11-29
CN115765950A (zh) 2023-03-07
EP4131829A4 (en) 2023-10-11
US20240163772A1 (en) 2024-05-16
WO2021208903A1 (zh) 2021-10-21
AU2021256154A1 (en) 2022-12-01
US20230050803A1 (en) 2023-02-16
JP2023526581A (ja) 2023-06-22
EP4131829A1 (en) 2023-02-08
US11882514B2 (en) 2024-01-23
CN115765950B (zh) 2023-12-29
JP7439299B2 (ja)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132B2 (en) Paging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JP7246394B2 (ja) 低電力高速スマートスキャニングのための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1032770B2 (en) Wake-up-radio discovery frame
US2022036128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882514B2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20210392582A1 (en) Reference Signal Receiving Method, Reference Signal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0034218A1 (zh) 非连续传输的方法和设备
WO2021249001A1 (zh) 一种小区测量方法及装置
US20220408349A1 (en) Beacon and Probe-Response Frame Type Information for Out-Of-Band Discovery
US11770796B2 (en) Paging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203381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itial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US11363650B2 (en) Fifth generation (5G) global unique temporary identity (GUTI) reallocation for cellular-internet of things (CIOT)
US20240015699A1 (en) Pag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154426B1 (ko) 웨이크-업 라디오 탐색 프레임
WO2022022340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14117731A1 (zh) 降低干扰的方法和设备
WO2022206745A1 (zh) 寻呼指示方法及装置
WO202320174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sour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WO2021244580A1 (zh) 一种测量配置方法及通信装置
WO2021203370A1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6782152A (zh) 一种多链路数据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5175314A (zh) 寻呼指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