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494A -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및 전자 장비 - Google Patents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및 전자 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6494A KR20230006494A KR1020227039720A KR20227039720A KR20230006494A KR 20230006494 A KR20230006494 A KR 20230006494A KR 1020227039720 A KR1020227039720 A KR 1020227039720A KR 20227039720 A KR20227039720 A KR 20227039720A KR 20230006494 A KR20230006494 A KR 202300064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mode
- audio
- audio output
- electronic device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95 specific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4—Interfacing with a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to provide access to telephonic functionalities, e.g. accepting a call, reading or composing a message
- H04M1/724097—Worn on the hea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및 전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은 제1 전자 장비에 적용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와 제2 전자 장비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4월 16일자로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No.202010299922.2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및 전자 장비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고속 발전에 따라, 휴대폰, 태블릿 PC 등 전자 장비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전자 제품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 전자 장비는 일반적으로 무선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어, 사람들의 음성 통화, 동영상 보기 및 음악 듣기와 같은 오락 활동에 편리하다. 하지만, 전자 장비에 무선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변경하려면, 사용자는 먼저 오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무선 이어폰과의 연결을 끊거나 무선 이어폰의 전원을 끈 다음 오디오 재생을 선택해야 하므로, 오디오 출력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자는 여러 조작을 수행해야 한다.
이로부터, 종래의 전자 장비에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전환하는 조작이 비교적 번거로운 문제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및 전자 장비를 제공하여, 종래의 전자 장비에서 오디오 출력 모드를 전환하는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제1 전자 장비에 적용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는 제2 전자 장비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방법은,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다.
제2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비는 제1 전자 장비이며, 상기 제1 전자 장비와 제2 전자 장비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비는,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다.
제3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때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비는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며, 이리하여 제1 전자 장비는 타겟 입력을 기반으로,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1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거나 제2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타겟 입력을 통해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을 완성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이 간소화되고, 오디오 출력 모드에 대한 제1 전자 장비의 전환 동작이 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필요한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도록 하며, 여기에 설명된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도 얻을 수 있음이 분명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a는 도 1에서 제공된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비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전자 장비의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a는 도 1에서 제공된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비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전자 장비의 구조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다른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전자 장비에 적용되며, 상기 제1 전자 장비는 제2 전자 장비와 무선으로 연결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자 장비와 상기 제2 전자 장비는 모두 오디오 재생을 구현할 수 있는 장비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자 장비는 휴대폰이고 상기 제2 전자 장비는 무선 이어폰이다. 또는, 상기 제1 전자 장비는 휴대폰이고 제2 전자 장비는 다른 휴대폰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제1 전자 장비는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자 장비에서 표시된 것이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인 경우, 상기 오디오 정보(11)는 상기 실행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음성 메시지 정보이고, 상기 오디오는 대응되는 음성 콘텐츠이고, 상기 제1 전자 장비에서 표시된 것이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인 경우, 상기 오디오 정보는 음악 애플리케이션 실행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음악 메뉴이고, 상기 오디오는 대응되는 음악이다.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자 장비가 무선 이어폰이고, 제1 전자 장비가 무선 이어폰과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는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다.
단계 102: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입력은 제1 전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어 제1 전자 장비에 대해 작용하는 트리거 조작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타겟 입력은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이다. 또는, 상기 타겟 입력은 제1 전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제2 전자 장비에 대해 작용하는 트리거 조작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타겟 입력은 제2 전자 장비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트리거 조작이다.
단계 103: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다.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가 제1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인 경우, 오디오 정보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스와이프 조작과 같은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전자 장비는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가 제2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인 경우,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1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서,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때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비는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며, 이리하여 제1 전자 장비는 타겟 입력을 기반으로,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1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거나 제2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타겟 입력을 통해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을 완성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이 간소화되고, 오디오 출력 모드에 대한 제1 전자 장비의 전환 동작이 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전자 장비가 무선 이어폰이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가 상기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모드인 경우, 상기 단계 102는,
상기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하나에 대해 작용하는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좌측 이어폰 및 상기 우측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는 미착용 상태이고,
상기 단계 103은,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비가 무선 이어폰과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제1 전자 장비의 오디오는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된다. 무선 이어폰은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한쪽 이어폰(예: 좌측 이어폰)을 벗으면, 좌측 이어폰은 미착용 상태이고, 이때 사용자가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타겟 입력(예: 더블 탭)을 수행하면, 무선 이어폰은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타겟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제1 전자 장비는 수신된 타겟 명령에 따라, 무선 이어폰에 대해 작용한 사용자의 타겟 입력을 획득하게 되고, 나아가 제1 전자 장비는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며, 이에 따라 무선 이어폰에서는 더 이상 오디오가 출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타겟 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는 미착용 상태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타겟 입력을 수행하기 전 또는 타겟 입력 수행 중에 좌측 이어폰을 벗거나,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을 모두 벗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비는 또한 무선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타겟 입력을 기반으로,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비가 화면 꺼짐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먼저 제1 전자 장비에 대해 화면 켜기 조작을 수행해야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구현 방식에 따른 솔루션에서는, 제1 전자 장비가 화면 꺼짐 상태인 경우에도 제1 전자 장비는 무선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타겟 입력을 기반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조작이 효과적으로 간소화되고, 제1 전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절차가 더 빠르고 편리해진다.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이 미착용 상태이나, 타겟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면, 제1 전자 장비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구현 방식은,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이 미착용 상태이고,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타겟 입력이 수신될 때,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이로써,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이 장기간 미착용 상태일 때 발생하는 잘못된 트리거를 피할 수 있어, 제1 전자 장비에서 수행되는 오디오 출력 모드 전환 동작의 정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킨다.
나아가, 제1 전자 장비가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한 후,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하나가 여전히 미착용 상태이고,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상기 타겟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비는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한다. 이로써, 제1 전자 장비는 무선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타겟 입력을 기반으로 무선 이어폰과 스피커 사이에서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어, 오디오 출력 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은 적외선 센서, 중력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인 검출 원리는 관련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계 103은,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고, 제1 타겟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에서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타겟 컨트롤은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된 후에 표시되거나, 오디오의 출력 모드 전환되기 전, 사용자가 타겟 입력을 수행하는 동안에 제1 전자 장비의 화면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자 장비에서 표시된 것이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오디오 정보(11)는 상기 실행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음성 메시지 정보이고, 상기 타겟 입력은 상기 음성 메시지 정보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스와이프 입력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스와이프 입력을 수행하는 동안, 제1 전자 장비는 현재 실행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타겟 컨트롤(12)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타겟 컨트롤(12)은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무선 이어폰에서 스피커로 전환함을 지시한다. 이로써, 타겟 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제1 전자 장비가 어느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할지를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타겟 입력을 수행하는 데 보다 직관적인 참조를 제공하고, 제1 전자 장비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일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계 103은,
상기 타겟 입력이 제1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계 102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입력이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은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비는 타겟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입력이 제1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제1 전자 장비는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을 기반으로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에서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타겟 입력이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제1 전자 장비는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여전히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제어하며, 즉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전환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비가 표시한 것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오디오 정보는 상기 실행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음성 메시지 정보이고, 제1 전자 장비는 현재 무선 이어폰을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 정보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제1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비는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 정보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다시 좌측으로의 제2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비는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전환하지 않고, 제1 전자 장비는 여전히 무선 이어폰을 통해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로써, 제1 전자 장비는 타겟 입력의 상이한 스와이프 궤적에 따라 상이한 응답을 수행하여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전환하거나 또는 전환하지 않는다. 이로써 오디오 출력 모드에 대한 제1 전자 장비의 제어가 보다 유연해지고,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사용 경험을 가져다준다.
상기 타겟 입력이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단계 102는,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제2 스와이프 입력을 수신하고, 제2 타겟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겟 컨트롤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즉, 사용자가 제2 스와이프 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1 전자 장비는 화면 인터페이스에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여전히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제2 타겟 컨트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현재의 제2 스와이프 입력이 제1 전자 장비가 오디오 출력 방식의 전환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지 않음을 보다 직관적이고 명백하게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프롬프트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조작 경험을 가져다주고, 사용자의 오조작을 피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이어폰에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1: 제1 전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파일을 획득한 경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상기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무선 이어폰에 적용되며, 블루투스 이어폰은 제1 전자 장비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이어폰과 제1 전자 장비가 무선 연결을 확립한 경우, 제1 전자 장비의 오디오는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된다.
단계 202: 상기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하나가 미착용 상태인 경우,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타겟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203: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타겟 명령을 송신하되, 상기 타겟 명령은 상기 제1 전자 장비가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무선 이어폰은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한쪽 이어폰(예: 좌측 이어폰)을 벗으면, 좌측 이어폰은 미착용 상태이고, 이때 사용자가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대해 타겟 입력(예: 더블 탭)을 수행하면, 무선 이어폰은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타겟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제1 전자 장비는 수신된 타겟 명령에 따라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며, 이에 따라 무선 이어폰에서는 더 이상 오디오가 출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로써, 무선 이어폰은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이 미착용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타겟 입력을 기반으로 제1 전자 장비에 타겟 명령을 송신하여, 제1 전자 장비가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비가 화면 꺼짐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먼저 제1 전자 장비에 대해 화면 켜기 조작을 수행해야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구현 방식에 따른 솔루션에서는, 제1 전자 장비가 화면 꺼짐 상태인 경우에도 제1 전자 장비는 무선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타겟 입력을 기반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조작이 효과적으로 간소화되고, 제1 전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절차가 더 빠르고 편리해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 202는,
상기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하나가 미착용 상태인 경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이 사용자에 의해 벗겨지고,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타겟 입력이 수신되면, 무선 이어폰은 제1 전자 장비에 타겟 명령을 송신하여, 제1 전자 장비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이로써,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이 장기간 미착용 상태일 때 발생하는 잘못된 트리거를 피할 수 있어, 제1 전자 장비에서 수행되는 오디오 출력 모드 전환 동작의 정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킨다.
나아가, 제1 전자 장비가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한 후,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하나가 여전히 미착용 상태이고,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대해 작용하는 사용자의 상기 타겟 입력이 다시 수신되면, 무선 이어폰은 제1 전자 장비에 제2 타겟 명령을 송신하여, 제1 전자 장비가 상기 제2 타겟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이로써, 무선 이어폰은 사용자의 타겟 입력을 기반으로 제1 전자 장비에 서로 다른 명령을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제1 전자 장비는 무선 이어폰과 스피커 사이에서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어, 오디오 출력 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은 적외선 센서, 중력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인 검출 원리는 관련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의 구조도이며, 상기 전자 장비는 제1 전자 장비이며, 상기 제1 전자 장비와 제2 전자 장비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비(300)는,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301);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302);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듈(303)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환 모듈(303)은 또한,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고, 제1 타겟 컨트롤을 표시하되,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에서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환 모듈(303)은 또한,
상기 타겟 입력이 제1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자 장비(300)는,
상기 타겟 입력이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은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입력이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듈(302)은 또한,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제2 스와이프 입력을 수신하고, 제2 타겟 컨트롤을 표시하되, 상기 제2 타겟 컨트롤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전자 장비가 무선 이어폰이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가 상기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듈(302)은 또한,
상기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하나에 대해 작용하는 타겟 입력을 수신하되, 여기서 상기 좌측 이어폰 및 상기 우측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는 미착용 상태이다.
전자 장비(300)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비(300)는 제1 전자 장비이고,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때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비는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며, 이리하여 제1 전자 장비는 타겟 입력을 기반으로,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1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거나 제2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타겟 입력을 통해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을 완성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이 간소화되고, 오디오 출력 모드에 대한 전자 장비(300)의 전환 동작이 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전자 장비의 구조도이며, 전자 장비(400)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비(40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401), 네트워크 모듈(402), 오디오 출력 장치(403), 입력 장치(404), 센서(405), 표시 장치(406), 사용자 입력 장치(407), 인터페이스 장치(408), 메모리(409), 프로세서(410) 및 전원(411) 등 부품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비의 구조가 전자 장비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전자 장비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비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406)는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403)는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407)는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고,
프로세서(410)는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410)는 또한,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고, 표시 장치(406)가 제1 타겟 컨트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에서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410)는 또한,
상기 타겟 입력이 제1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타겟 입력이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제어하되,
여기서,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은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입력은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사용자 입력 장치(407)는 또한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제2 스와이프 입력을 수신하고, 표시 장치(406)는 또한 제2 타겟 컨트롤을 표시하되, 상기 제2 타겟 컨트롤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전자 장비가 무선 이어폰이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가 상기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모드인 경우, 사용자 입력 장치(407)는 또한,
상기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하나에 대해 작용하는 타겟 입력을 수신하되, 여기서 상기 좌측 이어폰 및 상기 우측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는 미착용 상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비(400)는 제1 전자 장비이고,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때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전자 장비는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며, 이리하여 제1 전자 장비는 타겟 입력을 기반으로,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1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하거나 제2 전자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타겟 입력을 통해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을 완성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이 간소화되고, 오디오 출력 모드에 대한 전자 장비(400)의 전환 동작이 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4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4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4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 외에, 무선 주파수 장치(4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장비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비(400)는 네트워크 모듈(4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403)는 무선 주파수 장치(401) 또는 네트워크 모듈(402)에 의해 수신되거나 메모리(4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403)는 전자 장비(400)에 의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 호출 신호 수신음, 메세지 수신음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403)는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4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장치(404)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4041)와 마이크로폰(4042)을 포함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장치(4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및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장치(4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4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4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401) 또는 네트워크 모듈(402)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4042)은 소리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4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전자 장비(400)는 또한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다른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40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주변광 센서는 주변광의 밝기에 따라 표시 패널(4061)의 밝기를 조절하고, 근접 센서는 전자 장비(400)가 귓가로 움직일 때 표시 패널(4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일종의 모션 센서로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비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예: 계보기, 두드리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4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장치(406)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 장치(406)는 표시 패널(4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406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4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전자 장비(400)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407)는 터치 패널(4071) 및 기타 입력 장치(4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4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그 위에서나 근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예: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4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4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4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4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4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4071)은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4071) 외에도, 사용자 입력 장치(407)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4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4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4071)은 표시 패널(4061)의 위에 장착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4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검출한 후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프로세서(410)로 전송하며, 이어서 프로세서(410)는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40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4에서 터치 패널(4071)과 표시 패널(4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사용되어 전자 장비(4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4071)과 표시 패널(4061)이 통합되어 전자 장비(4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408)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비(400)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와 연결하도록 구성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4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을 전자 장비(400) 내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전자 장비(40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메모리(409)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4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비(400)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이용하여 전자 장비(400)의 모든 구성요소에 연결되며, 메모리(4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4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전자 장비(4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전자 장비(400)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410)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410)에 통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4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전자 장비(400)에는 모든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11)(예: 배터리)이 포함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4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4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자 장비(40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 장비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이들의 다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는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인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되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이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가 개시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구상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14)
-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장비에 적용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와 제2 전자 장비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고, 제1 타겟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에서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입력이 제1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입력이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은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입력이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제2 스와이프 입력을 수신하고, 제2 타겟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타겟 컨트롤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비가 무선 이어폰이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가 상기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모드인 경우,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하나에 대해 작용하는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좌측 이어폰 및 상기 우측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는 미착용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 전자 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비는 제1 전자 장비이고, 상기 제1 전자 장비와 제2 전자 장비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비는,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고,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를 통해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타겟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및 상기 제2 전자 장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출력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고, 제1 타겟 컨트롤을 표시하되,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에서 상기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입력이 제1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제2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자 장비는,
상기 타겟 입력이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은 상기 제1 스와이프 입력의 스와이프 궤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입력이 상기 제2 스와이프 입력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한 제2 스와이프 입력을 수신하고, 제2 타겟 컨트롤을 표시하되, 상기 제2 타겟 컨트롤은 상기 오디오의 출력 모드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비가 무선 이어폰이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모드가 상기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무선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하나에 대해 작용하는 타겟 입력을 수신하되, 상기 좌측 이어폰 및 우측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는 미착용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 전자 장비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전자 장비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10299922.2 | 2020-04-16 | ||
CN202010299922.2A CN111526248B (zh) | 2020-04-16 | 2020-04-16 | 音频输出方式的切换方法及电子设备 |
PCT/CN2021/086845 WO2021208893A1 (zh) | 2020-04-16 | 2021-04-13 | 音频输出方式的切换方法及电子设备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6494A true KR20230006494A (ko) | 2023-01-10 |
Family
ID=7191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39720A KR20230006494A (ko) | 2020-04-16 | 2021-04-13 | 오디오 출력 모드의 전환 방법 및 전자 장비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037238A1 (ko) |
EP (1) | EP4138375A4 (ko) |
JP (1) | JP7526810B2 (ko) |
KR (1) | KR20230006494A (ko) |
CN (1) | CN111526248B (ko) |
WO (1) | WO20212088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08969A (zh) * | 2020-01-03 | 2020-05-29 |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声音输出设备的选择控制方法及显示设备 |
CN111526248B (zh) * | 2020-04-16 | 2021-08-2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音频输出方式的切换方法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30007B2 (en) * | 2006-06-02 | 2011-04-19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Audio output device selec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JP2012209766A (ja) * | 2011-03-30 | 2012-10-25 | Yamaha Corp | コントローラー |
JP6043545B2 (ja) | 2012-08-24 | 2016-12-14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 |
CN103593127A (zh) * | 2013-11-25 | 2014-02-19 | 华为终端有限公司 | 音频输出设备的选择方法与终端 |
CN104793991B (zh) * | 2014-01-20 | 2019-11-05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音频输出设备切换方法及装置 |
US20170075468A1 (en) * | 2014-03-28 | 2017-03-16 | Spotify Ab | System and method for playback of media content with support for force-sensitive touch input |
CN104572008A (zh) * | 2014-12-17 | 2015-04-29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目标内容输出方法及其终端 |
CN104935990B (zh) * | 2015-06-01 | 2018-04-10 |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 一种切换频道的控制方法及装置 |
CN111522525B (zh) | 2015-06-05 | 2023-08-29 | 苹果公司 | 基于可佩戴设备的状态改变伴随通信设备行为 |
CN105244048B (zh) | 2015-09-25 | 2017-12-05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音频播放控制方法和装置 |
US10601373B2 (en) * | 2016-03-31 | 2020-03-24 | Tymphany Hk Limited | Booster circuit including dynamically sliding power supply unit |
CN107959903A (zh) * | 2016-10-18 | 2018-04-24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音频输出切换方法、反馈耳机佩戴状态方法、装置及耳机 |
CN107479849A (zh) * | 2017-06-28 | 2017-12-15 |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 一种移动设备、具有存储功能的装置及音频输出方法 |
CN107426443A (zh) * | 2017-09-22 | 2017-12-01 |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 音频输出切换方法、设备、移动终端以及计算机存储介质 |
CN109274828B (zh) * | 2018-09-30 | 2021-01-1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生成截图的方法、控制方法及电子设备 |
CN110995930B (zh) * | 2019-12-06 | 2021-06-15 | 联想(北京)有限公司 | 音频设备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
CN111526248B (zh) * | 2020-04-16 | 2021-08-2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音频输出方式的切换方法及电子设备 |
-
2020
- 2020-04-16 CN CN202010299922.2A patent/CN111526248B/zh active Active
-
2021
- 2021-04-13 WO PCT/CN2021/086845 patent/WO2021208893A1/zh unknown
- 2021-04-13 JP JP2022562637A patent/JP7526810B2/ja active Active
- 2021-04-13 KR KR1020227039720A patent/KR202300064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04-13 EP EP21789137.3A patent/EP4138375A4/en active Pending
-
2022
- 2022-10-14 US US17/966,764 patent/US20230037238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521882A (ja) | 2023-05-25 |
US20230037238A1 (en) | 2023-02-02 |
WO2021208893A1 (zh) | 2021-10-21 |
CN111526248A (zh) | 2020-08-11 |
JP7526810B2 (ja) | 2024-08-01 |
EP4138375A4 (en) | 2023-10-25 |
CN111526248B (zh) | 2021-08-24 |
EP4138375A1 (en) | 2023-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9196707A1 (zh) |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移动终端 | |
JP7403648B2 (ja) | 同期方法及び電子機器 | |
US11635939B2 (en) | Promp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WO2021204045A1 (zh) | 音频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 |
CN108712577B (zh) | 一种通话模式切换方法及终端设备 | |
JP7301956B2 (ja) | 情報処理方法および端末 | |
WO2019201271A1 (zh) | 通话处理方法及移动终端 | |
CN110730260B (zh) | 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 |
WO2019154182A1 (zh) | 应用程序的音量设置方法及移动终端 | |
WO2019196864A1 (zh) | 一种虚拟按键控制方法及移动终端 | |
CN110471559B (zh) | 一种防误触方法及移动终端 | |
CN111432071B (zh) | 通话控制方法及电子设备 | |
CN108446156B (zh) |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终端 | |
CN109889757B (zh) | 一种视频通话方法及终端设备 | |
WO2021077908A1 (zh) | 参数调节方法和电子设备 | |
WO2020238445A1 (zh) | 屏幕录制方法及终端 | |
WO2020024770A1 (zh) | 确定通讯对象的方法及移动终端 | |
WO2021037074A1 (zh) | 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 |
US20230037238A1 (en) | Audio output mode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CN111078186A (zh) | 一种播放方法及电子设备 | |
US12120261B2 (en) |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CN110769303A (zh) | 播放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 |
WO2021063239A1 (zh) | 应用控制方法和终端 | |
CN111352566B (zh) | 一种参数调节方法及电子设备 | |
CN110673761B (zh) | 一种触摸按键的检测方法及其终端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