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434A -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434A
KR20230006434A KR1020220183491A KR20220183491A KR20230006434A KR 20230006434 A KR20230006434 A KR 20230006434A KR 1020220183491 A KR1020220183491 A KR 1020220183491A KR 20220183491 A KR20220183491 A KR 20220183491A KR 20230006434 A KR20230006434 A KR 20230006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gel composition
coating
gel
allant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년
신동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빌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빌드
Publication of KR2023000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52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1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66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물리적인 막을 형성하고 피부 환경에 수분을 유지시켜 화상(1도), 건조한 피부, 삼출물이 적은 창상 등 손상된 부위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겔 형태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로서, 표피 이하의 생체 조직이 노출되지 않은 피부 표면 위에 외용에 적용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GEL COMPOSITION FOR WOUND DRES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저 출력 등으로 인한 화상이나 건조한 피부 등 피부장벽이 손상된 부위에 피부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상(wound)은 사전적으로 예리한 도구에 의하여 다친 상처를 의미하나, 사실 상 외부의 압력에 의해 피부 등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창상이 발생하면, 조직의 파괴된 영역을 통해 외부의 감염원 등이 인체 내부로 침입할 수 있으며, 창상이 오래 열려 있을 경우 감염 등 이차적인 합병증이 올 수 있고 치료기간 동안 통증 및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이 동반되기 때문에 창상을 닫히도록 하면서, 외부 감염원, 수분, 물리적인 자극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염증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상 발생 후 빠른 시간 내 창상이 닫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드레싱(피복)이라고 하며, 최근에는 생체친화 소재의 연구가 활발하고, 신속한 치유나 흉터를 최소화하는 드레싱재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세포활성을 증진시키거나 반흔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많은 드레싱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창상 피복재는 창상 부위의 오염 방지 및 피부 보호, 출혈 또는 체액 손실 방지 등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의료기기로서, 창상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창상과 드레싱제 접촉면이 마르지 않도록 해야 하고 과도한 삼출물은 흡수해야 한다. 외부로부터 세균이 침범할 수 없도록 창상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하며 드레싱 교체 시 창상에 외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해야 하고 통증도 없어야 한다.
창상 피복재의 사용목적에 따라 유형별로 폼 드레싱,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 하이드로파이버 드레싱, 필름 드레싱, 알진 드레싱, 상처 접촉 레이어 드레싱, 콜라겐 드레싱, 하이드로 젤 드레싱, 초 흡수성 드레싱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최근에는 창상 피복 자체의 기능 외에, 창상의 치유 속도를 향상시키거나, 흉터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나, 창상 피복재 사용 부위의 피부 색 변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 기능이 구비된 창상 피복재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350526호는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의 함량 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응집성이 개선된 창상피복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히알루론산과 콜라겐 수용액을 이용하여 겔 타입의 창상피복재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11405호는 하이드로겔 창상피복재로서, 수용성 합성 또는 반합성 고분자, 글리세린 및 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하이드로겔을 폴리우레탄 필름과 소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2층의 라미네이트 필름 위에 넓게 펴서 제조된 하이드로겔 창상 피복재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2-0089166호는 탈지방화 및 탈세포화된 진피 유래 세포외기질을 제 1 생체유래 고분자와 가교시킨 후, 제 2 생체유래 고분자와 물리적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창상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겔형이나 조성물 형태로 되어, 창상 부위에 도포하면 건조되며 필름으로 형성되는 유형이나, 패치, 시트 형태로 되어, 창상 부위에 직접 부탁하는 유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창상 피복재들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창상 피복재는 물리적으로 창상 부위에 도포된 후 건조되어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사용자의 손을 통한 창상 피복재에의 감염원 전달 가능성, 외부 환경에 따라 필름 형성 시의 어려움, 피부 알레르기 유발 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는 바, 여전히 개선된 창상 피복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350526호 (2022.01.0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11405호 (2015.04.0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2-0089166호 (2022.06.28)
본 발명은 레이저 출력 등으로 인한 화상(1도)이나 건조한 피부 등 피부장벽이 손상된 부위에 피부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항암치료 시 조사되는 방사선이나 레이저치료 시 레이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1도 화상 피부에 도포하여 진정 효과를 갖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피부 조직에 얇은 막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 착색 방지와 수분을 공급해 상처가 마르지 않도록 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외부의 환경 변화에도 소정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고, 창상 피복재 필름의 형성 후에도 외부의 환경 변화에 의해 피부에의 부착력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상 부위에 도포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겔 베이스 혼합물 92 내지 96 중량%, 아데노신(Adenosine) 1 내지 3 중량%, 알란토인(Allantoin) 0.01 내지 1 중량%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1 내지 4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은,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은,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80 내지 90 중량%,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5 내지 15 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1 내지 10 중량%,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1 내지 1 중량%, 아데노신 1 내지 2 중량%, 알란토인 0.1 내지 0.5 중량% 및 프로필렌 글리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란토인은 상기 알란토인 전체 중량 중 물의 함량이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표피가 손상된 피부로서, 비개방 창상 부위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점도는 50,000 내지 250,000 cP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pH 4.0 내지 6.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평탄화 보조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 보조제는, 다수의 포어가 표면에 형성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다공성 필라멘트 및 상기 다수의 포어에 담지된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필라멘트는 직경 10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이고, 길이 40 내지 70 ㎛(마이크로미터)이며, 상기 다수의 포어는 직경 50 내지 200 nm(나노미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포어는 상기 포어 내부 표면이 실릴화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겔 베이스 혼합물, 아데노신(Adenosine), 알란토인(Allantoin)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1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1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유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를 거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소분하여 용기에 나눠 담은 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1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유지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거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소분하여 용기에 나눠 담은 후 밀봉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의 밀봉된 용기를 종이 박스에 담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사용방법으로서, 창상 부위의 외주변으로부터 0.5 내지 5 cm 길이만큼 이격된 영역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창상 부위의 상부에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건조시켜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레이저 출력 등으로 인한 화상(1도)이나 건조한 피부 등 피부장벽이 손상된 부위의 피부 부위에 도포하여, 피부를 외부의 자극을 차단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항암치료 시 조사되는 방사선이나 레이저치료 시 레이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1도 화상 피부에 도포하여 진정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화상 피부 조직에 얇은 막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 착색 방지 효과와 수분을 공급해 상처가 마르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세포 자체의 항균 능력을 증가시켜 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가 노출될 수 있는 저온과 고온의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도, 피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며, 외부의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과 무관하게, 평평한 표면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용기에 포장한 사진 및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짜낸 상태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람직한" 또는 "바람직하게는"은 특정 조건에서 특정 장점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 또한 동일 조건 또는 다른 조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가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다른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도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포함한다"는 용어는 본 발명에 유용한 재료, 조성물, 장치, 및 방법들을 나열할 때 사용되며 그 나열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물리적인 막을 형성하고 피부 환경에 수분을 유지시켜 화상(1도), 건조한 피부, 삼출물이 적은 창상 등 손상된 부위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겔 형태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이다.
표피 이하의 생체 조직이 노출되지 않은 피부 표면 위에 도포하여 사용되며, 개방된 창상의 표면이 아닌, 비개방된 창상의 표면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창상 부위의 표면에 도포한 후 이를 건조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하면, 창상을 통해 외부 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한편, 창상 부위에서 조직의 회복 과정을 도울 수 있는 투명 겔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용기에 포장한 사진 및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짜낸 상태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투명 겔 조성물로서, 부유물 등이 포함되지 않아 투명한 겔로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겔 베이스 혼합물 92 내지 96 중량%, 아데노신(Adenosine) 1 내지 3 중량%, 알란토인(Allantoin) 0.01 내지 1 중량%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1 내지 4 중량%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은,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은, 피부에 도포되는 화장료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겔 베이스 조성물을 구성하는 주재료이다.
이와 함께,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하나의 균일한 제형의 겔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의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함량보다 과다한 경우에는, 창상 치유 속도가 더딘 문제가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창상 부위에 도포하여 필름 형태로 형성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함량범위 내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갖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80 내지 90 중량%,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5 내지 15 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1 내지 10 중량%,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1 내지 1 중량%, 아데노신 1 내지 2 중량%, 알란토인 0.1 내지 0.5 중량% 및 프로필렌 글리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함량보다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에는, 겔의 건조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필름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유연성이 떨어지고 표면 경도가 증가하여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그 외,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의 함량이 과다하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겔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도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건조하여 필름으로 형성된 후 피부와의 부착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알란토인은 상기 알란토인 전체 중량 중 물의 함량이 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알란토인은 무취의 백색 분말로서, 화장품, 의약품 및 의약외품 등에 사용하여 피부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제품에 적용하여 사용된다. 피부의 치유를 촉진하고 진정시키는 성분으로 알려져 피부 보호체, 피부 컨디셔닝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물의 함량이 상기 함량범위 내로 포함되지 않고 과다하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피부 치유 및 진정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함량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점도는 50,000 내지 250,000 cP일 수 있다. 이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 적절한 발림성과 건조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요구되는 물성이다.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pH 4.0 내지 6.0일 수 있으며, 이 또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로 활용하기에 요구되는 물성으로서, 상기 범위 내로 만족함으로써, 인체의 피부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평탄화 보조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 보조제는, 다수의 포어가 표면에 형성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다공성 필라멘트 및 상기 다수의 포어에 담지된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한다.
이는 창상 부위에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필름을 형성할 때, 필름의 표면이 매끈하게 형성되고 불필요한 요철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제로서, 초기에 겔 조성물을 창상 부위에 도포하고 여러 회 문질러 펴 바르고, 이를 건조시키는 과정 및 건조된 상태에서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다공성 포어 내에 담지된 성분이 방출되어 필름 표면의 평탄화를 조력한다.
포어에서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가 방출되면, 필름에 유연성이 생기고 잠시 반유체 상태로 유연화되면서, 필름의 외주변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일부 두껍게 도포된 영역에서 요철처럼 형성된 부분이 연질화된 상태에서 다시 유동하여 두께가 균일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포어는 포어 내부 표면이 실릴화될 수 있으며, 실릴화되는 경우에는,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가 포어 내부에 담지되는 것이 유리해지고, 담지 후에 쉽게 방출되지 않고, 체온에 가까운 온도에서만 방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도로서, 이하에서, 도 3 및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1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1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유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를 거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소분하여 용기에 나눠 담은 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도 3을 참고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1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유지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거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소분하여 용기에 나눠 담은 후 밀봉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의 밀봉된 용기를 종이 박스에 담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0)이다. 이 과정을 통해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주재를 구성하는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제조된 겔 베이스 혼합물과 다른 구성 성분을 혼합하는 단계(S20)이다.
상기 혼합단계는 그 수단을 불문하고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방법이나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c) 단계는, 제조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저온에서 유지하는 과정(S30)이다. 일정 시간 동안 저온에서 유지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각 구성성분이 혼합된 상태에서 더 이상 추가로 혼합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평탄화 보조제와 같은 성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저온에서 유지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저온에서의 도막 형성 효과가 우수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d) 단계는 제조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소분하여 밀봉 포장하는 단계이다. 밀봉 포장을 하여, 외부의 요인들, 오염물들에 의한 겔 조성물의 변성을 방지하고, 장기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용기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내장하고 있는 중에 어떠한 변형이나 유해물질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겔 조성물의 특성 상 용기가 필요에 따라 쉽게 변형되어 외부의 변형에 의한 내부 압력 증가로 내부의 겔 조성물이 외부로 도출될 수 있는 재질과,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만족하는 것이면 그 재질이나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저밀도폴리에틸렌 혼합물로 제조된 튜브형태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공정 상 포함되는 과정으로서, 밀봉된 용기를 박스에 담아 포장하는 최종 과정을 통해, 제품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발명은 또한, 창상 부위의 외주변으로부터 0.5 내지 5 cm 길이만큼 이격된 영역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창상 부위의 상부에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건조시켜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활용하여 창상 부위 표면에 필름을 형성하고, 쉽게 자극에 의해 피부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창상 치유 효과가 우수하며, 외부의 자극과 오염물이 창상 부위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서 사용자에게 우수한 촉감을 부여하는 창상 보호 피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표 1 내지 2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에 개시된 겔 베이스 혼합물에 포함될 제조 성분을 넣고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한다. 제조된 겔 베이스 혼합물과 표 1의 성분을 함께 넣고 혼합하여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용기(폴리에틸렌 튜브형 용기)에 담아 밀봉하였다.
다만,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되, 혼합하여 얻어진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3 내지 5℃의 온도로 유지되며, 내부에 질소 기체로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으로 채워진 챔버 내에 넣고 5시간 동안 유지하는 과정을 더 거친 후, 이를 용기(폴리에틸렌 튜브형 용기)에 담아 밀봉하였다.
번호 원재료명 또는 성분명 분량(%)
실시예1 외 비교예5 비교예6
1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혼합물 94.5 90 97
2 Adenosine 2 3 2
3 Allantoin(99%, 물 1%) 0.5 1 0.5
4 Propylene Glycol (99.8%) 3 6 0.5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혼합물 조성 CAS No. 분량(중량%)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541-02-6 83 79 91 83 83
Dimethyl.Methylhydrogen siloxane
reaction product with vinyl-terminated
dimethyl siloxanes
156065-02-0 7 10 5 3 12
Siloxanes and silicone, di-Me 63148-62-9 5 6 1 9 1
DL-α-Tocopherol acetate 7695-91-2 0.5 0.5 0.5 0.5 0.5
adenosine free base; 6-Amino-9-(beta-D-ribofuranosyl)9H-purine; 9-alpha-D-lyxofuranosyl-9H-purin-6-amine; AR 58-61-7 1.2 1.2 1 1.2 1.2
(2,5-Dioxo-4-imidazolidinyl)urea; Allantoin, 5-Ureidohydantoin, Cordianine, Psoralon 97-59-6 0.3 0.3 0.2 0.3 0.3
프로필렌 글리콜 57-55-6 3 3 1.3 3 2
합계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3
i) 평탄화 보조제의 제조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진공 챔버에 넣고 질소 가스를 대기압의 1.5배로 주입하고 대기압의 2배까지 압력을 높이며 2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챔버 내에서 방사하여 직경 0.01 mm의 연속사 형태로 제조한 후, 즉시 진공 챔버로 이동시켜 다수의 포어를 갖는 연속사를 제조하였다. 연속사를 0.04 내지 0.05 mm의 길이로 잘라 다공성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이의 표면와 내부 포어를 실란화시킨다. 실란화된 다공성 필라멘트는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가 내부에 담지되도록 공정을 거쳐, 최종 평탄화 보조제를 제조하였다.
ii)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프로필렌 글리콜을 3 중량%로 포함하는 대신, 프로필렌 글리콜 2 중량%와 상기 i)에서 제조된 평탄화 보조제를 1 중량%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방법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하여 표 3의 시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번호 시험항목 시험기준 시험방법
1 성상 투명의 점조성이 있는 크림제형의 액체이며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육안으로 관찰한다.
2 pH 4.0~6.0 이어야 한다. 대한민국약전 일반시험법 중 pH측정법에 따라 시험한다.
3 점도 50,000~250,000cp 이어야 한다. 대한민국약전 일반시험법 중 점도측정법에 따라 시험한다.
(RV-06, 1.0 rmp, 25℃)
4 미생물 한도 -총 호기성 미생물수: 100 CFU/g 이하
-총 진균수: 100 CFU/g 이하

- 병원성 세균: 불검출(대장균, 살모넬라,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대한약전에 일반시험법 중 미생물한도 시험법에 따라 시험한다.
5 도막형성시험1 시료의 변형(흘러내림, 떨어짐)이 관찰되지 않아야 한다.
(도막이 형성으로 판정)
시료 1g을 유리판 위에 6 x 6 cm로 도포하여 상온에서 5분간 건조한다.
시료가 상온에서 6시간동안 수직(90°) 및 뒤집힌(180°) 상태로 유지시킨 후 육안으로 관찰한다.
6 도막형성시험2 시료의 변형(흘러내림, 떨어짐)이 관찰되지 않아야 한다.
(도막이 형성으로 판정)
시료 1g을 유리판 위에 6 x 6 cm로 도포하여 상온에서 5분간 건조한다.
시료를 상온에서 1시간, -20℃에서 1시간 두는 것을 한 사이클로 하여 총 3사이클을 수행하여, 사이클 수행하는 동안 수직(90°) 및 뒤집힌(180°) 상태로 유지시킨 후 육안으로 관찰한다.
(이동 시,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이 없도록, 고정된 환경에서 온도만을 변화시킴)
7 필름 평탄화시험 표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어야 한다. 상기 도막형성시험1에서 적합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시험을 진행하며, 도막형성시험1 진행 후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와 다른 유리판을 상부에 천천히 접촉시킨 상태에서 최초 접촉 시의 면적을 기준으로 평가를 진행한다.
(우수:◎, 양호:O, 부적합:X)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성상 적합 적합 적합 부적합 부적합 적합 적합 적합 부적합
pH 5.6 5.7 5.4 6.0 6.2 5.5 5.3 5.9 5.8
점도 100,000 120,000 110,000 100,000 150,000 300,000 100,000 130,000 200,000
미생물
한도
적합 적합 적합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적합 적합
도막형성시험1 적합 적합 적합 부적합 적합 부적합 적합 적합 적합
도막형성시험2 양호 적합 양호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평탄
화시험
O O X O X O X X
창상 치유 효과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5의 조성물들을 사용하여, 생쥐의 창상 모델에 적용하여 창상 치유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샘플 당 수컷 10마리를 선별하고, 아침 8시와 저녁 8시 매일 2회씩 창상부위에 도포하되, 창상부위의 외주변으로부터 1 cm 이격된 영역까지 샘플을 적용하여 14 일간 창상치유를 관찰하면서 하면서, 상처 치유에 대해 확인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서 시판 중인 멸균 필름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 참고예로서 시중에 판매 중인 창상 치유 겔을 사용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라, 창상부위의 크기(면적)을 측정하여 창상 수축률을 확인하고, 최종 14일 경과 후에는 육안으로 창상 부위의 수복여부를 평가하였다(우수: ◎, 양호:O, 미미: △).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5 대조군 참고예
창상수축률(%) 4일 61 51 49 41 40 50
9일 82 79 73 59 68 80
14일 85 82 79 76 77 84
창상부위 수복여부
표 4 및 5를 참고하면, 실시예의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창상 부위에 적용하여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오염물이나 자극으로부터 창상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창상 치유 효과를 갖는 한편, 창상 부위에서 염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유지하여 창상 치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모두에서 '양호'한 수준 이상으로 저온 및 상온에서의 도막형성이 용이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 3과 같이 평탄화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표면의 요철이 없이 매끈한 형태의 필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를 창상 부위에 사용하여 피복해둔 상태에서 외부와의 마찰에 의해 피복이 탈락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필름 상단부에 매끈한 촉감을 부여하여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창상 부위에 도포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로서,
    겔 베이스 혼합물 92 내지 96 중량%, 아데노신(Adenosine) 1 내지 3 중량%, 알란토인(Allantoin) 0.01 내지 1 중량%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1 내지 4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은,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은,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80 내지 90 중량%,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5 내지 15 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1 내지 10 중량%,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1 내지 1 중량%, 아데노신 1 내지 2 중량%, 알란토인 0.1 내지 0.5 중량% 및 프로필렌 글리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란토인은 상기 알란토인 전체 중량 중 물의 함량이 1 중량% 이하로 포함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표피가 손상된 피부로서, 비개방 창상 부위에 적용되는 것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점도는 50,000 내지 250,000 cP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pH 4.0 내지 6.0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은, 평탄화 보조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 보조제는, 다수의 포어가 표면에 형성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다공성 필라멘트 및 상기 다수의 포어에 담지된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라멘트는 직경 10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이고, 길이 40 내지 70 ㎛(마이크로미터)이며,
    상기 다수의 포어는 직경 50 내지 200 nm(나노미터)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포어는 상기 포어 내부 표면이 실릴화된 것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10. 겔 베이스 혼합물, 아데노신(Adenosine), 알란토인(Allantoin)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겔 베이스 혼합물, 아데노신(Adenosine), 알란토인(Allantoin)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1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겔 베이스 혼합물, 아데노신(Adenosine), 알란토인(Allantoin)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1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유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를 거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소분하여 용기에 나눠 담은 후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겔 베이스 혼합물, 아데노신(Adenosine), 알란토인(Allantoin)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베이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겔 베이스 혼합물과 아데노신, 알란토인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1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유지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거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소분하여 용기에 나눠 담은 후 밀봉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의 밀봉된 용기를 종이 박스에 담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사용방법으로서,
    창상 부위의 외주변으로부터 0.5 내지 5 cm 길이만큼 이격된 영역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창상 부위의 상부에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을 건조시켜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의 사용방법.
KR1020220183491A 2022-10-28 2022-12-23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064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636 2022-10-28
KR20220141636 2022-10-28
KR1020220142171 2022-10-31
KR20220142171 2022-10-31
KR1020220143379A KR102482537B1 (ko) 2022-10-28 2022-11-01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379A Division KR102482537B1 (ko) 2022-10-28 2022-11-01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434A true KR20230006434A (ko) 2023-01-10

Family

ID=8453887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379A KR102482537B1 (ko) 2022-10-28 2022-11-01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0183491A KR20230006434A (ko) 2022-10-28 2022-12-23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0183486A KR20230006433A (ko) 2022-10-28 2022-12-23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379A KR102482537B1 (ko) 2022-10-28 2022-11-01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3486A KR20230006433A (ko) 2022-10-28 2022-12-23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482537B1 (ko)
WO (1) WO2024090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537B1 (ko) * 2022-10-28 2022-12-30 주식회사 코빌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405B1 (ko) 2008-02-25 2015-04-15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하이드로겔 창상피복재
KR102350526B1 (ko) 2018-08-16 2022-01-17 (주)메디제이 응집성이 개선된 창상피복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20089166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엘앤씨바이오 진피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3988B2 (ja) * 1995-06-01 2004-01-06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US9492368B2 (en) * 2011-02-01 2016-11-15 Hayashibara Co., Lt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US10137073B2 (en) * 2016-01-02 2018-11-27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ceramides and cholesterol
KR20190118789A (ko) * 2018-04-11 2019-10-21 (주) 화승엑스윌 실리콘 겔 연고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실리콘 겔 연고
KR102285696B1 (ko) * 2019-06-13 2021-08-04 신신제약 주식회사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72680A (ko) * 2020-11-25 2022-06-02 윤가람 항균 효능을 함유한 천연오존오일 뷰티소재를 이용한 동결건조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2537B1 (ko) * 2022-10-28 2022-12-30 주식회사 코빌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405B1 (ko) 2008-02-25 2015-04-15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하이드로겔 창상피복재
KR102350526B1 (ko) 2018-08-16 2022-01-17 (주)메디제이 응집성이 개선된 창상피복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20089166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엘앤씨바이오 진피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537B1 (ko) 2022-12-30
WO2024090820A1 (ko) 2024-05-02
KR20230006433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khill et al. Synthetic hydrogels VI. Hydrogel composites as wound dressings and implant materials
RU2535013C2 (ru) Антимикробные гели
US4393048A (en) Protective gel composition for wounds
Singh et al. Sterculia crosslinked PVA and PVA-poly (AAm) hydrogel wound dressings for slow drug delivery: mechanical, mucoadhesive, biocompatible and permeability properties
EP3052140B1 (en) Non-self-adherent coating materials
Mukherjee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based hydrogels as wound dressing materials
US6635272B2 (en) Wound dressing and drug delivery system
ES2441375T3 (es) Parche para el tratamiento del herpes labial
US20110086077A1 (en) Silicone hydrogels for tissue adhesives and tissue dressing applications
Jodar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hydrogel containing silver sulfadiazine for antimicrobial topical applications
JPH0566147B2 (ko)
KR102482537B1 (ko)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3368B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JP2018522701A (ja) アレキシジンを含む創傷ケア製品
ES2691407T3 (es) Vendajes adhesivos antimicrobianos
KR20040085646A (ko) 상처치료용 드레싱 또는 팩제로 이용할 수 있는 수화겔드레싱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4003844A1 (en) Biocompatible polyacryla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160338969A1 (en) Biocompatible polyacryla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2008073287A (ja) ハイドロゲル創傷被覆材
EP3824005A1 (en) Liquid wound dressing composition
Szycher et al. Spandra®: A Sustained Release Battlefield Wound Dressing
AU2014264976B2 (en) Sheet for cutaneous application containing vitamin E or an ester thereof
AU750719B2 (en) Silver-bas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Gomes Layer-by-Layer deposition of bioactive polyelectrolytes with incorporation of antimicrobial agents as a new strategy to develop bioactive textiles
Rethikala P Novel Antimicrobial and Growth Factor Releasing Hydrogel Systems For Burn Wound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