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677A - 연결관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 - Google Patents

연결관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677A
KR20230005677A KR1020210086686A KR20210086686A KR20230005677A KR 20230005677 A KR20230005677 A KR 20230005677A KR 1020210086686 A KR1020210086686 A KR 1020210086686A KR 20210086686 A KR20210086686 A KR 20210086686A KR 20230005677 A KR20230005677 A KR 20230005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part
flange
lower housing
hous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934B1 (ko
Inventor
김성호
현종능
이동영
김성은
박규태
Original Assignee
코스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93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5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는 상면이 개방되고, 실내 공간을 향하는 전면 상단에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전면 삽입부가 형성되고, 실외 공간을 향하는 후면 상단에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후면 삽입부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하면이 개방되고, 실내 공간을 향하는 전면 하단에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전면 삽입부가 형성되고, 실외 공간을 향하는 후면 하단에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후면 삽입부가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과 상하 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하부 하우징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플랜지가 형성되고, 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 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 연결관 및 제4 연결관을 포함하고, 하부 하우징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하부 하우징의 전면의 높이보다 하부 하우징의 후면의 높이가 길어지도록 경사 구간을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상부 하우징의 전면의 높이보다 상부 하우징의 후면의 높이가 짧아지도록 경사 구간을 포함하고, 하부 하우징의 경사 구간 및 상부 하우징의 경사 구간에 의해, 실내 공간을 향하는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은 실외 공간을 향하는 제3 연결관 및 제4 연결관과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관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HEAT EXCHANGER COMPRISING SLIDING COUPLING STRUCTURE OF CONNECTING PIP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연결관에 형성된 결합 구조에 의해 연결관과 하우징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전열 교환기와 관련된다.
전열 교환기는 환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중 하나로서, 펌프 모터를 이용하여 건물의 실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고 실외 공기를 건물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전열 교환기는 환기 중에 실외로부터 급격히 냉기 또는 열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열 교환기는 외부로 배기되는 실내 공기의 열(온열 또는 냉열)을 이용하여 저온의 실외 공기의 온도를 높이거나 고온의 실외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전열 교환기는 필터를 이용하여 실외 공기를 여과하고, 여과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전열 교환기를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신선한 실외 공기로 환기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열 교환기는 케이스 및 공기의 연통을 위한 연결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내부가 비어있고 상면(또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와 판상으로 이루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파이프는 케이스 본체에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케이스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파이프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연결 파이프와 케이스 사이의 공기의 기밀성이 보장될 수 없고, 볼트의 사용으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할 수 있으며, 볼트 결합 작업으로 인해 공정이 복잡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케이스와 연결 파이프를 공기의 기밀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볼트 등과 같은 다른 결합용 부품 없이 간단한 공정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관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는 상면이 개방되고, 실내 공간을 향하는 전면 상단에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전면 삽입부 및 제2 전면 삽입부가 형성되고, 실외 공간을 향하는 후면 상단에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후면 삽입부 및 제2 후면 삽입부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하면이 개방되고, 실내 공간을 향하는 전면 하단에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전면 삽입부 및 제2 전면 삽입부에 각각 대향하는 제3 전면 삽입부 및 제4 전면 삽입부가 형성되고, 실외 공간을 향하는 후면 하단에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후면 삽입부 및 제2 후면 삽입부에 각각 대향하는 제3 후면 삽입부 및 제4 후면 삽입부가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과 상하 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하부 하우징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제1 플랜지는 제1 전면 삽입부 및 제3 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연결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2 플랜지가 형성되고, 제2 플랜지는 제2 전면 삽입부 및 제4 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연결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3 플랜지가 형성되고, 제3 플랜지는 제1 후면 삽입부 및 제3 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 연결관, 및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4 플랜지가 형성되고, 제4 플랜지는 제2 후면 삽입부 및 제4 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4 연결관을 포함하고, 하부 하우징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하부 하우징의 전면의 높이보다 하부 하우징의 후면의 높이가 길어지도록 경사 구간을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상부 하우징의 전면의 높이보다 상부 하우징의 후면의 높이가 짧아지도록 경사 구간을 포함하고, 하부 하우징의 경사 구간 및 상부 하우징의 경사 구간에 의해, 실내 공간을 향하는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은 실외 공간을 향하는 제3 연결관 및 제4 연결관과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은 발포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면 삽입부, 제2 전면 삽입부, 제3 전면 삽입부, 제4 전면 삽입부, 제1 후면 삽입부, 제2 후면 삽입부, 제3 후면 삽입부 및 제4 후면 삽입부 각각의 주변부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 제2 플랜지, 제3 플랜지 및 제4 플랜지 각각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열 교환기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T 형상의 앵커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결관의 플랜지 상반부를 상부 하우징에 플랜지 하반부를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볼트 등과 같은 결합용 부품 없이 공기의 기밀성이 보장되도록 연결관과 하우징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측면에 경사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전면에 결합되는 연결관과 후면에 결합되는 연결관을 상이한 높이에 배치할 수 있고, 하우징 내부에서 동일한 형상의 펌프 모터를 방향을 달리하여 전면과 후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발포 수지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채용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삽입부 및 후면 삽입부의 주변부를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연결관과 결합된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관 플랜지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연결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T 형상의 앵커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열 교환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에 포함된 연결관의 예시적인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에 포함된 연결관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에 포함된 앵커 결합부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100)는 하부 하우징(110), 상부 하우징(120), 제1 연결관(130), 제2 연결관(140), 제3 연결관(150), 제4 연결관(160) 및 앵커 결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0)은 상면이 개방되고, 전면, 후면, 측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전열 교환기(100)의 설치 시, 하부 하우징(110)의 전면은 실내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하부 하우징(110)의 후면은 실외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0)의 전면 상단에는 제1 전면 삽입부(111) 및 제2 전면 삽입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면 삽입부(111)는 전면 상단 좌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면 삽입부(112)는 전면 상단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면 삽입부(111) 및 제2 전면 삽입부(112)는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면 삽입부(111) 및 제2 전면 삽입부(112)는 각각 제1 연결관(130) 및 제2 연결관(140)의 하반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부분일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0)의 후면 상단에는 제1 후면 삽입부(113) 및 제2 후면 삽입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면 삽입부(113)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후면 상단 좌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면 삽입부(114)는 후면 상단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면 삽입부(113) 및 제2 후면 삽입부(114)는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면 삽입부(113) 및 제2 후면 삽입부(114)는 각각 제3 연결관(150) 및 제4 연결관(160)의 하반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부분일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은 하면이 개방되고, 전면, 후면, 측면 및 상면을 포함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전열 교환기(100)의 설치 시, 상부 하우징(120)의 전면은 실내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부 하우징(120)의 후면은 실외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은 하부 하우징(110)과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이 결합됨으로써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를 이룰 수 있고,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은 전열 교환기(1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펌프 모터, 필터 및 전열 교환 소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의 전면 하단에는 제3 전면 삽입부(121) 및 제4 전면 삽입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전면 삽입부(121)는 전면 하단 좌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4 전면 삽입부(122)는 전면 하단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전면 삽입부(121) 및 제4 전면 삽입부(122)는 각각 제1 전면 삽입부(111) 및 제2 전면 삽입부(112)에 대향할 수 있다. 제3 전면 삽입부(121) 및 제4 전면 삽입부(122)는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면 삽입부(121) 및 제4 전면 삽입부(122)는 각각 제1 연결관(130) 및 제2 연결관(140)의 상반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부분일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이 결합되면 제1 전면 삽입부(111)와 제3 전면 삽입부(121)는 하우징(110, 120)의 좌측에 원형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전면 삽입부(112)와 제4 전면 삽입부(122)는 하우징(110, 120)의 우측에 원형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의 후면 하단에는 제3 후면 삽입부(123) 및 제4 후면 삽입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후면 삽입부(123)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후면 하단 좌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4 후면 삽입부(124)는 후면 하단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후면 삽입부(123) 및 제4 후면 삽입부(124)는 각각 제1 후면 삽입부(113) 및 제2 후면 삽입부(114)에 대향할 수 있다. 제3 후면 삽입부(123) 및 제4 후면 삽입부(124)는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후면 삽입부(123) 및 제4 후면 삽입부(124)는 각각 제3 연결관(150) 및 제4 연결관(160)의 상반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부분일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이 결합되면 제1 후면 삽입부(113)와 제3 후면 삽입부(123)는 하우징(110, 120)의 좌측에 원형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후면 삽입부(114)와 제4 후면 삽입부(124)는 하우징(110, 120)의 우측에 원형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전면 삽입부(111, 112, 121, 122) 및 후면 삽입부(113, 114, 123, 124)의 세부 구조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은 발포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은 EPP(expanded polypropylene), EPE(expanded polyethylene) 또는 EPS(expanded polystyrene) 등과 같은 발포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 120)을 발포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내부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110, 120)이 발포 수지로 이루어진 경우, 사출물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강도가 약할 수 있으므로, 연결관(130, 140, 150, 160)과 결합되는 전면 삽입부(111, 112, 121, 122) 및 후면 삽입부(113, 114, 123, 124)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제1 전면 삽입부(111), 제2 전면 삽입부(112), 제3 전면 삽입부(121), 제4 전면 삽입부(122), 제1 후면 삽입부(113), 제2 후면 삽입부(114), 제3 후면 삽입부(123) 및 제4 후면 삽입부(124) 각각의 주변부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써 하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하우징(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하부 하우징(110)의 전면의 높이보다 하부 하우징(110)의 후면의 높이가 길어지도록 경사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부 하우징(1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상부 하우징(120)의 전면의 높이보다 상부 하우징(120)의 후면의 높이가 짧아지도록 경사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0)의 경사 구간은 하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이 결합 가능하도록 상부 하우징(120)의 경사 구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열 교환기(100)는 4개의 연결관(130, 140, 150, 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관(13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관(130)의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1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는 제1 전면 삽입부(111) 및 제3 전면 삽입부(121)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관(14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관(140)의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2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는 제2 전면 삽입부(112) 및 제4 전면 삽입부(122)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관(140)은 제1 연결관(13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연결관(15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연결관(150)의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3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플랜지는 제1 후면 삽입부(113) 및 제3 후면 삽입부(123)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제3 연결관(150)은 제1 연결관(130) 및 제2 연결관(140)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연결관(16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연결관(160)의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4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플랜지는 제2 후면 삽입부(114) 및 제4 후면 삽입부(124)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제4 연결관(160)은 제3 연결관(15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관(130) 내지 제4 연결관(160)의 세부 구조 및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은 경사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하우징(110)의 경사 구간 및 상부 하우징(120)의 경사 구간에 의해, 실내 공간을 향하는 제1 연결관(130) 및 제2 연결관(140)은 실외 공간을 향하는 제3 연결관(150) 및 제4 연결관(160)과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연결관(130)과 제2 연결관(140)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제3 연결관(150)과 제4 연결관(160)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잇다. 제3 연결관(150)과 제4 연결관(160)은 제1 연결관(130)과 제2 연결관(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관(140) 및 제4 연결관(160)은 각각 하우징(110, 1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동일한 형상의 펌프 모터(도 2에서 파선으로 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펌프 모터의 흡입구의 위치로 인해, 제2 연결관(140)과 제4 연결관(160)이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경우, 전열 교환기(100)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다른 형상의 펌프 모터(서로 좌우 대칭 형태의 펌프 모터)를 활용해야 하므로, 제조 단가가 높아질 수 있다. 제2 연결관(140)과 제4 연결관(160)의 높이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동일한 형상의 2개의 펌프 모터를 활용할 수 있어, 전열 교환기(100)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4개의 앵커 결합부(170)는 상부 하우징(120) 및 하부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앵커 결합부(170)는 하우징(110, 120)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앵커 결합부(170)는 하우징(110, 120)의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앵커 결합부(170)는 상부 하우징(120) 및 하부 하우징(110)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앵커 결합부(170)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T 형상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앵커 결합부(170)를 채용함으로써, 전열 교환기(100)를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앵커 결합부(170)의 세부 구조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에 포함된 연결관의 예시적인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는 하부 하우징(110), 상부 하우징(120) 및 제1 연결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0)은 제1 전면 삽입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면 삽입부(111)는 하부 하우징(110)의 전면 상단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면 삽입부(111)는 하부 하우징(110)의 모서리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면 삽입부(111)의 내주면을 따라 반원형으로 제1 그루브(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면 삽입부(111)의 주변부(111b)는 강도 보완을 위해 하부 하우징(11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은 제3 전면 삽입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면 삽입부(121)는 상부 하우징(120)의 전면 하단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전면 삽입부(121)는 상부 하우징(120)의 모서리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전면 삽입부(121)의 내주면을 따라 반원형으로 제3 그루브(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전면 삽입부(121)의 주변부(121b)는 강도 보완을 위해 상부 하우징(12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관(13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관(130)의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1 플랜지(131)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 120)이 발포 수지로 이루어진 경우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할 수 있으므로, 연결관(130)의 플랜지(131)를 환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연결관(130)에 가해지는 힘이 하우징(110, 120)으로 전달될 때 힘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플랜지(131)의 하반부는 제1 전면 삽입부(111)에 형성된 제1 그루브(111a)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1 플랜지(131)의 상반부는 제3 전면 삽입부(121)에 형성된 제3 그루브(121a)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31)가 환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반부가 상부 하우징(120)에 삽입되고, 하반부가 하부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31)가 제1 그루브(111a) 및 제3 그루브(121a)에 삽입됨으로써, 제1 연결관(130)이 하우징(110, 12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0)의 제2 전면 삽입부는 제1 전면 삽입부(111)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 하우징(120)의 제4 전면 삽입부는 제3 전면 삽입부(121)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4개의 후면 삽입부는 각각 4개의 전면 삽입부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관 내지 제4 연결관은 제1 연결관(130)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유사한 방식으로 하우징(110, 12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관에 포함된 제2 플랜지의 하반부는 제2 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2 플랜지의 상반부는 제4 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제3 연결관에 포함된 제3 플랜지의 하반부는 제1 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3 플랜지의 상반부는 제3 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제4 연결관에 포함된 제4 플랜지의 하반부는 제2 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4 플랜지의 상반부는 제4 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연결관(130)의 플랜지 상반부를 상부 하우징(120)에 플랜지 하반부를 하부 하우징(110)에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볼트 등과 같은 결합용 부품 없이 공기의 기밀성이 보장되도록 연결관(130)과 하우징(110, 120)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에 포함된 연결관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관(13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관(130)의 말단에는 외부 방향으로 환형의 플랜지(131)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31)는 연결관(130)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관(130) 및 플랜지(131)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하우징에 결합되는 경우 연결관(130)이 회전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관(43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관(430)의 말단에는 외부 방향으로 환형의 플랜지(431)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431)의 외주면에는 2개의 돌출부(432, 4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2개의 돌출부(432, 43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1개 이상의 임의의 개수의 돌출부가 연결관(430)에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하부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의 삽입부(예: 4개의 전면 삽입부 및 4개의 후면 삽입부) 각각에는 플랜지(431) 및 돌출부(432, 433)의 형상에 대응하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431)의 외주면에 돌출부(432, 433)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에 결합된 후 연결관(4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연결관(430)이 도시되었으나, 전열 교환기에 포함되는 4개의 연결관 각각은 플랜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에 포함된 앵커 결합부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는 하우징(예: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앵커 결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 결합부(170)는 하우징의 측면에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앵커 결합부(170)는 상단부(171), 하단부(172) 및 연결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171)는 상부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 하우징의 측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하단부(172)는 하부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의 측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연결부(173)는 상단부(171)와 하단부(172)를 연결하는 T 형상의 관통로일 수 있다. 연결부(173)에 앵커가 삽입됨으로써, 전열 교환기가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앵커 결합부(170)가 도시되었으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개수의 앵커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연결관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실내 공간을 향하는 전면 상단에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전면 삽입부 및 제2 전면 삽입부가 형성되고, 실외 공간을 향하는 후면 상단에 상기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후면 삽입부 및 제2 후면 삽입부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하면이 개방되고, 상기 실내 공간을 향하는 전면 하단에 상기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면 삽입부 및 상기 제2 전면 삽입부에 각각 대향하는 제3 전면 삽입부 및 제4 전면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외 공간을 향하는 후면 하단에 상기 반원형 요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후면 삽입부 및 상기 제2 후면 삽입부에 각각 대향하는 제3 후면 삽입부 및 제4 후면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하 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 하우징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단부를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전면 삽입부 및 상기 제3 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연결관;
    상기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단부를 따라 상기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2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제2 전면 삽입부 및 상기 제4 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연결관;
    상기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단부를 따라 상기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3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플랜지는 상기 제1 후면 삽입부 및 상기 제3 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 연결관; 및
    상기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단부를 따라 상기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4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4 플랜지는 상기 제2 후면 삽입부 및 상기 제4 후면 삽입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직접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4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전면의 높이보다 상기 하부 하우징의 후면의 높이가 길어지도록 경사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전면의 높이보다 상기 상부 하우징의 후면의 높이가 짧아지도록 경사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경사 구간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경사 구간에 의해, 상기 실내 공간을 향하는 상기 제1 연결관 및 상기 제2 연결관은 상기 실외 공간을 향하는 상기 제3 연결관 및 상기 제4 연결관과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은 발포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 삽입부, 상기 제2 전면 삽입부, 상기 제3 전면 삽입부, 상기 제4 전면 삽입부, 상기 제1 후면 삽입부, 상기 제2 후면 삽입부, 상기 제3 후면 삽입부 및 상기 제4 후면 삽입부 각각의 주변부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교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 상기 제2 플랜지, 상기 제3 플랜지 및 상기 제4 플랜지 각각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교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T 형상의 앵커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교환기.
KR1020210086686A 2021-07-01 2021-07-01 연결관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 KR102539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686A KR102539934B1 (ko) 2021-07-01 2021-07-01 연결관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686A KR102539934B1 (ko) 2021-07-01 2021-07-01 연결관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677A true KR20230005677A (ko) 2023-01-10
KR102539934B1 KR102539934B1 (ko) 2023-06-05

Family

ID=8489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686A KR102539934B1 (ko) 2021-07-01 2021-07-01 연결관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9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239A (ja) * 1995-12-27 1997-07-11 Showa Alum Corp 換気兼熱交換装置
KR101217605B1 (ko) * 2012-08-07 2013-01-02 (주)진성이알브이 유로 라인에 따른 유동적 설치가 용이한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KR101294247B1 (ko) * 2012-12-28 2013-08-16 박병규 블럭 조립식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KR101514998B1 (ko) * 2014-07-28 2015-05-20 (주)진성이알브이 전열교환기
KR101554013B1 (ko) * 2014-05-21 2015-09-17 홍현성 조립성과 작업성이 개선된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KR20170020625A (ko) * 2015-08-13 2017-02-23 (주) 에이텍 전열교환기용 급배기구 조인트 플랜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20190108742A (ko) * 2018-03-15 2019-09-2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환기용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239A (ja) * 1995-12-27 1997-07-11 Showa Alum Corp 換気兼熱交換装置
KR101217605B1 (ko) * 2012-08-07 2013-01-02 (주)진성이알브이 유로 라인에 따른 유동적 설치가 용이한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KR101294247B1 (ko) * 2012-12-28 2013-08-16 박병규 블럭 조립식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KR101554013B1 (ko) * 2014-05-21 2015-09-17 홍현성 조립성과 작업성이 개선된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KR101514998B1 (ko) * 2014-07-28 2015-05-20 (주)진성이알브이 전열교환기
KR20170020625A (ko) * 2015-08-13 2017-02-23 (주) 에이텍 전열교환기용 급배기구 조인트 플랜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20190108742A (ko) * 2018-03-15 2019-09-2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환기용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934B1 (ko)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3414A (ko) 열교환기 및 그 격판
US10710427B2 (en) High flow rate ductwork for a recreational vehicle
KR102539934B1 (ko) 연결관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전열 교환기
CN109210238A (zh) 流量控制装置
CN208204057U (zh) 流量控制装置
CA2328312C (en) Heat exchanger
CN211400071U (zh) 窗式空调器
KR102073002B1 (ko) 공기조화기
KR101294247B1 (ko) 블럭 조립식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JPH09112966A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並びに室外機の脚
JP7345662B2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型換気装置
JP2020517902A (ja) 送風ダクトコネクタ及び空冷式冷蔵庫
JP3795336B2 (ja) エアコン冷媒管の分岐部保護カバー、及び分岐部保護カバー装置
TWI575202B (zh) 氣流交換裝置之氣流交換組件
CN109210236A (zh) 流量控制装置
KR102148712B1 (ko) 차량용 축열기
CN210035681U (zh) 太阳能供暖器内外循环转接件
JP2017089937A (ja) 熱交換器
JP5998693B2 (ja) 蓄熱ボックス
KR102499847B1 (ko) 공기조화기 모듈의 단열 프레임
KR20160123447A (ko) 공기조화기의 단열효과 및 누기율 최소화 프레임
CN114877598B (zh) 导风结构及组合式冰箱
KR101367178B1 (ko) 열손실 최적형 공기조화기
CN112577234B (zh) 一种便携式制冷设备及并联式斯特林制冷系统
KR102174363B1 (ko) 분리타입 직교류 슬림형 냉각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