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581A - Rear lamp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Rear lamp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581A
KR20230005581A KR1020210086469A KR20210086469A KR20230005581A KR 20230005581 A KR20230005581 A KR 20230005581A KR 1020210086469 A KR1020210086469 A KR 1020210086469A KR 20210086469 A KR20210086469 A KR 20210086469A KR 20230005581 A KR20230005581 A KR 20230005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housing
lamp device
rea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기철
라현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5581A/en
Publication of KR2023000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5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which includes: a housing dispos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provided to enable surface light emission; a reflector disposed facing the light emitting unit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ward the opening; and a lens unit which covers the opening and transmi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ormation of a local dark part and improve an external shape.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REAR LAMP APPARATUS FOR VEHICLE}Vehicle rear lamp device {REAR LAMP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정형 간접 반사면 및 면발광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n atypical indirect reflection surface and a surface light emitting module.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vehicles ar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identify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이 중, 리어 램프는 자동차의 후방에 장착되어 야간 주행 시 후방 차량에서 자기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하는 후미등(Tail light)과, 후방 차량에게 자기 차량이 감속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지등(Stop light)의 기능,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진로의 방향을 바꾸고자 운전자가 방향 지시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점멸됨에 따라 후방 차량에게 주행 방향의 변경을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 및 진을 위하여 변속 단을 후진으로 하는 경우, 점등됨에 따라 차량이 후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후진등의 기능을 수행한다.Among these, the rear lamp is a tail light tha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functions to inform the rear vehicle of the vehicle's position during night driving, and a stop light that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decelerating to the rear vehicle. ) function, when the driver manipulates the direction indicator lev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vehicle's driving direction, it blinks to let the rear vehicle recognize the change in driving direction, and to reverse the shift stage for When turned on, it performs the function of a reverse light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backwards.

그러나, 종래의 리어 램프는 LED와 같은 점광원을 이용함에 따라 반사면으로 균일한 조도의 빛을 공급하기가 어렵고, 점광원의 광각 범위를 벗어난 영역에서 암부가 발생되며, LED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램프의 심미감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the conventional rear lamp uses a point light source such as an LED, it is difficult to supply light of uniform illumination to the reflective surface, a dark part is generated in an area outside the wide angle range of the point light source, and as the LED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of impairing the aesthetics of the lamp.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2297호(2013.02.05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램프)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32297 (registered on February 5, 2013, title of the invention: vehicle lamp).

본 발명은 국부적인 암부 형성을 방지하고, 외관 형상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local formation of a dark portion and improving an external shap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는: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면발광 가능하게 구비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개구부로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고,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투과하는 렌즈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vehicle rear lam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disposed at the rear of a vehicl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capable of surface light emission; a reflection unit dispos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unit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ward the opening; and a lens unit that covers the opening and transmi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확산시키는 확산부; 및 상기 커버부에 고정되어 상기 확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the cover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 light source unit installed in the cover unit and receiving power to generate light; a diffusion unit disposed to face the light source unit and diffus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into the housing; and a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cover portion to support the diffusion portion.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확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는 삽입부로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가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에 접해 상기 바디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diffusion portion and inserted into an insertion portion penetrating the cover portion;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guiding insertion of the body portion into the insertion portion; a departure prevention unit extending from the guide unit and contacting the cover unit to prevent the body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unit; and a close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또한, 상기 바디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as a pair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외측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다.In addition, the guide part extends from an end of the body part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at an angle of inclination.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삽입부로 소정 거리 이상 삽입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접촉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unit as the body un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또한, 상기 밀착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반사한다.In addition, the reflecting part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at different angles.

또한, 상기 반사부는 폴리곤(Polygon) 형태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reflector is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또한, 상기 반사부는 표면에 알루미늄(Al)이 증착된다.In addition, aluminum (Al)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or.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반사성능강화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flection part includes a reflection performance enhancement part extending along the inner sidewall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반사성능강화부는 소정 곡률로 휘어진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flective performance enhancemen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curved surfac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는 발광부가 면발광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암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조명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LED의 직접적인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In the vehicle rear lam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part is provided to enable surface light emis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ark parts formed inside the housing, thereby improving the lighting quality,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by preventing direct exposure of LEDs to the outside. can do.

또한, 본 발명에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는 반사부가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반사할 수 있도록 전방 표면이 비정형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보석감 또는 입체감 등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어 시인성 및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ront surface is formed in an irregular shape so that the reflector can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t different angle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images such as a sense of jewelry or a three-dimensional effect,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and Aesthetics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는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되는 반사성능강화부에 의해 트렁크 도어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인사이드 램프와 아웃사이드 램프의 연결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nse of connection between inside lamps and outside lamps disposed on both sides of a trunk door boundary can be increased by the reflective performance enhanc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의 구성을 서로 다른 시점에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enlarged view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viewpoints.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rear lam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but also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includes (or includes)" other components. It means you can.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lso, like reference numerals may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Even i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a particular drawing, the numerals may be described based on another drawing. In addition, even if there are parts not marked with reference numerals in specific drawings, the parts can be described based on other drawings. In addition, the number, shape, size, and relative difference of the detail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set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limiting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의 구성을 서로 다른 시점에서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show the configuration of a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viewpoints. 4 is an enlarged view,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1)는 하우징(100), 발광부(200), 반사부(300), 렌즈부(400)를 포함한다.1 to 4 , a vehicle rear lamp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light emitting unit 200, a reflecting unit 300, and a lens unit 400. .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1)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발광부(200), 반사부(300), 렌즈부(4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하우징(100)은 차량의 후방 양측에 배치된다. 하우징(10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트렁크 도어(미도시)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트렁크 도어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차량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하우징(100)으로 예시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forms a schematic appearance of the vehicle rear lamp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pports the light emitting part 200, the reflecting part 300, and the lens part 400 as a who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The housing 1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vehicle. The housings 100 ar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installed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boundary line of the trunk door (not shown).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as the housing 100 dispos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boundary line of the trunk door.

하우징(100)은 내부가 비어있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발광부(200) 및 반사부(3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은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 내부 공간은 야간에 후방 차량에게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테일 램프 영역, 차량의 정지 또는 감속 상태를 후방 차량에게 알리는 스톱 램프 영역, 차량의 위치 및 차폭을 알리는 사이드 마커 램프 영역, 차량의 후진 상태를 알리는 후진 램프 영역 및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알리는 턴 시그널 램프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부(200)와 반사부(300)가 하우징(100) 내부의 복수개의 영역 중 테일 램프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1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종류, 디자인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housing 100 has an empty interio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200 and the reflecting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talle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may b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areas. More specifically,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includes a tail lamp area notifying the vehicle's position to a rear vehicle at night, a stop lamp area notifying the vehicle's stop or deceleration state to the rear vehicle, and a side marker lamp notifying the vehicle's location and vehicle width. area, a reverse lamp area notifying the reversing state of the vehicle, and a turn signal lamp area notify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light emitting part 200 and the reflecting part 300 are installed in a tail lamp area among a plurality of areas inside the housing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specific shape of the housing 100 is not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FIGS. 1 to 4 ,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type and design of the vehicle.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발광부(200)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차량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110)는 하우징(100)의 후면을 차량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한다. 개구부(110)의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은 후술하는 렌즈부(400)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An opening 1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0 so that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00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opening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The size and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opening 110 can be variously design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lens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발광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빛을 발생시킨다. 발광부(200)는 면발광 가능하게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부(200)는 후술하는 반사부(300)와 마주보는 면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도로 발광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발광부(200)는 기존 LED와 같은 점광원의 광각 한계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는 암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200)는 LED의 직접적인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generates light.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provided to enable surface light emission. More specifically, th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facing the reflect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capable of emitting light with uniform illumination as a whole.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unit 200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dark part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limit of the wide angle of a point light source such as an existing LED.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200 may improve the appearance by preventing direct exposure of the LED to the outsid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는 커버부(210), 광원부(220), 확산부(230), 지지부(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unit 210, a light source unit 220, a diffusion unit 230, and a support unit 240.

커버부(2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광원부(220), 확산부(230), 지지부(24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10)는 대략 "ㄱ"자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커버부(210)는 볼팅, 끼움 결합 등에 의해 하우징(100)에 조립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The cover part 210 is fix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supports the light source part 220, the diffusion part 230, and the support part 240 as a whole. The cover par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L” cross section and is disposed above the housing 100 . The cover part 210 may be assembled to the housing 100 by bolting, fitting, or the like and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100 .

커버부(210)에는 후술하는 지지부(240)가 삽입되는 삽입부(2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211)는 커버부(210)의 상,하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커버부(210)의 좌우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삽입부(210)의 단면 형상, 크기는 후술하는 지지부(24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An insertion portion 211 into which a support portion 2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over portion 210 . The insertion part 2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of a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part 210 . Insertion units 210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cover unit 210 .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size of the insertion part 210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240 to be described later.

광원부(220)는 커버부(210)에 설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220)는 커버부(210)에 의해 지지되고, 전원 회로 또는 제어 회로 등이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점등 또는 소등되는 LED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220)는 후술하는 확산부(230)로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커버부(210)의 하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광원부(220)는 차량의 ECU와 연결되어 점등 여부 또는 조도 등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220 is installed on the cover unit 210 and receives power to generate light. The light source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cover unit 2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CB) provided with a power circuit or control circui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turn on or It may include an LED light source that is turned off. The light source unit 220 is installed to emit ligh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over unit 210 so that the light can be incident to the diffusion unit 230 to be described later. The light source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ECU of the vehicle and selectively control lighting or illumination.

확산부(230)는 광원부(220)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광원부(2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하우징(100)의 내부로 확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230)는 평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면이 커버부(210)의 하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확산부(230)의 형상은 커버부(210) 또는 하우징(100)의 상부 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확산부(230)는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산부(230)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부(230)는 내부에 탄산칼슘, 황산 바륨, 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유리, 탈크, 마이커, 화이트 카본, 산화마그네슘, 산화 아연 등의 무기계 확산제 또는 스티린계 중합체 입자, 아크릴계 중합체 입자, 실록산계 중합체 등의 유기계 확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ffusion unit 230 is disposed to face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diffuses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0 into the housing 100 . The diffusion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flat plate shape, and the upper surface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unit 210 . The shape of the diffusion part 230 is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space of the cover part 210 or the housing 100 . The diffusion part 230 may include a resin material. More specifically, the diffusion unit 230 may include a polycarbonate resin, a polystyrene-based resin, a polyolefin-based resin, or a fluorine-based resin. Diffusion unit 230 has an inorganic diffusion agent such as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titanium oxide, aluminum hydroxide, silica, glass, talc, micer, white carbon, magnesium oxide, zinc oxide, styrenic polymer particles, or acrylic polymer. An organic diffusion agent such as particle or siloxane polymer may be included.

지지부(240)는 확산부(230)로부터 연장되고, 커버부(210)에 고정되어 커버부(210)에 대해 확산부(230)를 지지한다. The support portion 240 extends from the diffusion portion 230 and is fixed to the cover portion 210 to support the diffusion portion 230 relative to the cover portion 21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40)는 바디부(241), 가이드부(242), 이탈방지부(243), 밀착부(24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support par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241, a guide part 242,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243, and a contact part 244.

바디부(241)는 확산부(230)로부터 연장되고, 후술하는 가이드부(242), 이탈방지부(243), 밀착부(244)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바디부(241)는 커버부(2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부(211)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241)는 확산부(23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막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24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바디부(241)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body part 241 extends from the diffusion part 230 and supports the guide part 242,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243, and the close contact part 24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ody part 24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11 formed through the cover part 210 . The body part 2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rod shap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ffusion part 230 . The body parts 241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ace each other. The pair of body parts 241 are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가이드부(242)는 바디부(241)로부터 연장되고, 바디부(241)가 삽입부(211)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42)는 바디부(241)의 상단부로부터 바디부(241)의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다. 가이드부(242)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바디부(241)의 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가이드부(241)는 바디부(241)가 삽입부(211)로 삽입됨에 따라 삽입부(211)의 내측면에 접해 한 쌍의 바디부(241)를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41)는 바디부(241)가 커버부(210)의 하면에 간섭되지 않고 삽입부(211)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242 extends from the body portion 241 and guides insertion of the body portion 241 into the insertion portion 211 . The guide part 2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241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body part 241 at an angle of inclination. The guide parts 242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ends of the pair of body parts 241 . As the body part 24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11, the guide part 24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211 and deforms the pair of body parts 241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brought together. Accordingly, the guide portion 241 may guide the body portion 241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11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10 .

이탈방지부(243)는 가이드부(242)로부터 연장되고, 커버부(210)에 접해 바디부(241)가 커버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243)는 가이드부(242)의 단부로부터 바디부(241)의 측면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단턱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243)는 바디부(241)가 삽입부(211)로 소정 거리 이상 삽입됨에 따라 커버부(210)의 상부로 돌출되고, 하면이 커버부(210)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243)는 바디부(242)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며 커버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243)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242)의 단부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243 extends from the guide portion 242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ver portion 210 to prevent the body portion 24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portion 210 .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24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stepped shap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end of the guide part 242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241 . As the body part 24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243 protrudes upward from the cover part 210, and the lower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210. Accordingly, the detachment prevention unit 243 may prevent the body portion 242 from being moved downward from the cover portion 210 by its own weight.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s 243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individually extend from the ends of the pair of guide parts 242 .

밀착부(244)는 이탈방지부(243)로부터 연장되고, 삽입부(21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밀착부(244)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밀착부(244)는 이탈방지부(243)가 커버부(210)의 상면에 접한 경우, 자체적인 탄성복원력에 의해 삽입부(21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밀착부(244)는 지지부(240)의 커버부(210)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고, 하우징(100)의 다른 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이 삽입부(211)의 틈새를 통해 확산부(2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부(244)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이탈방지부(243)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lose contact portion 244 extends from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243 and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11 . The contact portion 244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The close contact part 2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211 by its own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24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210 . Accordingly, the close contact part 244 can strengthen the fixing force of the support part 240 to the cover part 210, and light emitted from other areas of the housing 100 passes through the gap of the insertion part 211 to the diffusion part ( 230) can be prevented. The close contact parts 244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individually extend from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parts 24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244)는 밀착부몸체(244a), 밀착부재(244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se contact part 24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lose contact body 244a and a close contact member 244b.

밀착부몸체(244a)는 이탈방지부(243)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평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몸체(244a)는 외측면이 삽입부(211)의 내측면과 나란하게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밀착부몸체(244a) 사이의 간격은 삽입부(211)의 폭에 대응되는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lose contact body 244a may be formed to have a flat plate shap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243 . The out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body 244a is dispose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211 in parallel. A gap between the pair of close contact bodies 244a may be formed to have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insertion part 211 .

밀착부재(244b)는 밀착부몸체(244a)로부터 삽입부(211)의 내측면을 향해 소정 각도 절개되는 막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재(244b)는 밀착부몸체(244a)와의 연결 지점을 축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밀착부재(244b)는 밀착부몸체(244a)가 삽입부(211)의 내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경우, 자체적인 탄성복원력에 의해 삽입부(21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The contact member 244b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of a bar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contact body 244a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211 . The contact member 244b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round a connection point with the contact body 244a. When the close contact body 244a is disposed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211, the contact member 244b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211 by its own elastic restoring force.

반사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발광부(200) 및 개구부(11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반사부(300)는 발광부(20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개구부(110)로 향해 반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300)는 발광부(200) 및 개구부(11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전방 표면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구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300)는 하우징(100)에 볼팅, 끼움 결합 등에 의해 고정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The reflector 30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is dispos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the opening 110 . The reflector 300 reflec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200 toward the opening 110 . The reflect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spherical shape in which a front surface dispos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the opening 110 is concavely depressed. The reflector 300 may be fixed to the housing 100 by bolting or fitting and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100 .

반사부(300)는 발광부(20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반사할 수 있도록 전방 표면이 비정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부(300)의 전방 표면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단위 반사면이 서로 다른 각도로 배열되는 폴리곤(Polygon)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부(300)는 발광부(200)로부터 발산되는 빛에 보석감 또는 입체감 등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어 시인성 및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of the reflector 300 may be formed in an irregular shape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200 at different angles. More specifically, the front surface of the reflector 300 may be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in which unit reflection surfaces having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s are arranged at different angles. Accordingly, the reflector 300 can implement an image such as a sense of jewelry or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00,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and aesthetics.

반사부(3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반사부(300)는 사출 성형 된 후 발광부(200)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반사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전방 표면에 알루미늄(Al)이 증착될 수 있다.The reflector 30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fter the reflector 300 is injection molded, aluminum (Al) may be deposited on the front surface to increase reflecta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00 .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300)는 반사성능강화부(3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reflect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lector performance enhancing unit 310 .

반사성능강화부(310)는 반사부(300)의 양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반사성능강화부(310)는 하우징(100)의 내부 측벽을 따라 연장되어 반사부(300)의 반사 가능 영역을 하우징(100)의 측벽 위치까지 확장시킨다. 이에 따라 반사성능강화부(310)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선에 형성되는 광학적 무효부의 발생을 방지하여 트렁크 도어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인아웃 램프 사이의 연결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반사성능강화부(310)는 소정 곡률로 휘어진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성능강화부(310)는 하우징(100)의 코너 영역 즉, 반사성능강화부(310)가 하우징(100)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기 시작하는 경계 영역에 과도한 꺾임 구조가 형성됨에 따른 암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flective performance enhancing unit 310 forms the appearance of both ends of the reflecting unit 300 . The reflective performance enhancing portion 310 extends along the inner sidewall of the housing 100 to extend the reflective area of the reflecting portion 300 to a position on the sidewall of the housing 100 . Accordingly, the reflective performance enhancing unit 310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optically invalid portion formed at the boundary of the trunk door, thereby increasing a sense of connection between the in-out lamp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unk door boundary. The reflective performance enhancing unit 3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urved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flective performance enhancing unit 310 is formed in the corner region of the housing 100, that is, the boundary region where the reflective performance enhancing unit 310 starts to extend along the sidewall of the housing 100. occurrence can be prevented.

렌즈부(400)는 개구부(110)를 커버하여 외부의 이물질 또는 충격 등으로부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부(200) 또는 반사부(300)를 보호한다. 렌즈부(400)는 외부로부터 내부가 투영되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반사부(300)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하우징(100)의 외부로 투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400)는 개구부(110)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배치되는 이너렌즈(410) 및 아우터렌즈(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렌즈(410) 및 아우터렌즈(42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구부(11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The lens unit 400 covers the opening 110 to protect the light source unit 200 or the reflector 30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from external foreign substances or shocks. The lens unit 4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the inside is projected from the outside, and is provided to transmit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30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The lens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ner lens 410 and an outer lens 420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opening 110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The specific shapes of the inner lens 410 and the outer lens 420 are not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FIG. 1 ,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pening 110 and the lik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 :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100 : 하우징
110 : 개구부 200 : 발광부
210 : 커버부 220 : 광원부
230 : 확산부 240 : 지지부
241 : 바디부 242 : 가이드부
243 : 이탈방지부 244 : 밀착부
244a : 밀착부몸체 244b : 밀착부재
300 : 반사부 310 : 반사성능강화부
400 : 렌즈부 410 : 이너렌즈
420 : 아우터렌즈
1: vehicle rear lamp device 100: housing
110: opening 200: light emitting part
210: cover part 220: light source part
230: diffusion unit 240: support unit
241: body part 242: guide part
243: departure prevention part 244: close contact part
244a: close contact body 244b: close contact member
300: reflection part 310: reflection performance enhancement part
400: lens unit 410: inner lens
420: outer lens

Claims (12)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면발광 가능하게 구비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개구부로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고,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투과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 housing dispos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capable of surface light emission;
a reflection unit dispos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unit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ward the opening; and
and a lens unit covering the opening and transmit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ing uni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확산시키는 확산부; 및
상기 커버부에 고정되어 상기 확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part,
a cover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 light source unit installed in the cover unit and receiving power to generate light;
a diffusion unit disposed to face the light source unit and diffus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into the housing; and
and a support part fixed to the cover part to support the diffusion pa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확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는 삽입부로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가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에 접해 상기 바디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diffusion portion and inserted into an insertion portion penetrating the cover portion;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guiding insertion of the body portion into the insertion portion;
a departure prevention unit extending from the guide unit and contacting the cover unit to prevent the body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unit; and
and a conta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and closely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arts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외측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art extends from an end of the body part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삽입부로 소정 거리 이상 삽입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vehicle rear lamp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contacts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s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ing part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at different ang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폴리곤(Polygon)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or is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표면에 알루미늄(Al)이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vehicle rear 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luminum (Al)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반사성능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reflection part includes a reflection performance enhancing part extending along an inner sidewall of the housing.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성능강화부는 소정 곡률로 휘어진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rear lamp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ive performance enhancing part is formed in the form of a curved surfac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KR1020210086469A 2021-07-01 2021-07-01 Rear lamp apparatus for vehicle KR202300055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469A KR20230005581A (en) 2021-07-01 2021-07-01 Rear lamp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469A KR20230005581A (en) 2021-07-01 2021-07-01 Rear lamp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581A true KR20230005581A (en) 2023-01-10

Family

ID=8489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469A KR20230005581A (en) 2021-07-01 2021-07-01 Rear lamp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55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511B2 (en) Door mirror with turn lamp
EP2990720B1 (en) Vehicle lighting unit
US8845156B2 (en) Vehicle lamp
JP2006236588A (en) Optical llumination device and vehicular lighting fixture
JP2014175199A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and rear panel of vehicle
CN108692285B (en) Welcome lamp and welcome marker lamp
US7635209B2 (en) Lamp for vehicle and lamp-mounted vehicle
US9452707B1 (en) Vehicle light apparatus
KR101804311B1 (en) Back light unit
KR101684117B1 (en) Mood lamp for vehicle
JP2012064533A (en) Lamp fitting for vehicle
US9541703B2 (en) Lamp
JP2012064535A (en) Lamp fitting for vehicle
KR102564889B1 (en) Rear lamp module of vehicle and rear combination lamp having the same
EP3929034B1 (en) Vehicle lamp with a light guide
JP4733064B2 (en) Vehicle lamp
JP2012064534A (en) Vehicle lighting fixture
KR20230005581A (en) Rear lamp apparatus for vehicle
JP2021017179A (en) Ambient light
US11453341B2 (en) Vehicle mirror device and illuminatable mirror display device
US10883688B2 (en) Lamp device for vehicle
JP7483586B2 (en) Vehicle lighting fixtures
JP2010105426A (en) License plate lamp
CN210123136U (en) Vehicle lamp and vehicle
KR20230134325A (en) Lamp apparatus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