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325A -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 Google Patents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325A
KR20230005325A KR1020227041764A KR20227041764A KR20230005325A KR 20230005325 A KR20230005325 A KR 20230005325A KR 1020227041764 A KR1020227041764 A KR 1020227041764A KR 20227041764 A KR20227041764 A KR 20227041764A KR 20230005325 A KR20230005325 A KR 20230005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reception
downlink
reception
period
uplin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루 리
유민 우
쑤에밍 판
시아오동 순
시아오항 첸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 측의 방법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Description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4월 30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0367082.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의 전송 방식은 스케줄링 기반의 전송 방식이다. 예컨대, 단말은 먼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측 기기가 자신에 대해 할당한 하향링크 수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영역 자원을 획득하고, 그 다음 해당 자원에서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한다.
실제 응용 시나리오에서, 스케줄링 기반의 전송 방식은 가장 효율적인 방식이 아닐 수 있다.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로 예를 들면, XR은 컴퓨터 기술 및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생성된 진실과 가상의 조합 환경 및 인간-컴퓨터 인터랙션을 가리킨다. XR 응용 시나리오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자원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이 네트워크 측 기기의 동적 스케줄링에 따라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할 때 유연성이 부족하고 효율이 낮아, XR 단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잘 충족시키지 못하고, XR 서비스 모델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측 기기의 동적 스케줄링에 따라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할 때 유연성이 부족하고 효율이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로부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제3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제4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제5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양상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양상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양상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8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양상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9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1 양상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0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2 양상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1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에 있어서, 이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양상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2 양상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2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양상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제13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제2 양상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통해 해당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단말의 자원 소모를 줄여 단말의 에너지 절약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단말 햐향링크 수신의 유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XR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XR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때 XR 단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더 잘 충족시킬 수 있고, XR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만 나타내며, 당업자라면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서도 이러한 도면을 기반으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이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X 주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기기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용어 “~을 포함하다” 및 이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한다.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명시된 단계 또는 유닛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명시되지 않았거나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다른 단계 또는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는 “및/또는”을 사용하여 연결된 객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독으로 B를 포함하거나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컨대”와 같은 단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컨대”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 또는 “예컨대”와 같은 단어는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5G시스템 또는 진화된 롱 텀 에볼루션(Evolved Long Term Evolution, eLTE) 시스템 또는 후속 진화된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 및 네트워크 측 기기(12)를 포함하며, 여기서 단말(11)은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기기(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 모바일 통신 기기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11)의 특정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12)는 5G 네트워크 측 기기(예: gNB, 5G NR NB), 4G 네트워크 측 기기(예: eNB) 또는 3G 네트워크 측 기기(예: NB) 또는 후속 진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측 기기 등 일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측 기기(12)의 특정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보다 적절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관련 기술을 소개할 것이다.
1. XR 서비스
XR은 컴퓨터 기술과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생성된 모든 진실과 가상의 조합 환경 및 인간-컴퓨터 인터랙션을 카리키며, 이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매개 현실(Mediated Reality, MR),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등 대표적인 형태, 그리고 이들 사이의 보간 영역을 포함한다. 가상 세계의 레벨은 부분적인 감각 입력으로부터 완전 몰입형 가상 현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XR의 한 핵심 측면은 인간 경험, 특히 존재감(대표적으로 VR) 및 인지 습득(대표적으로 AR)과 관련된 경험의 확장이다.
XR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사용자는 가상 현실 경험 중에 머리 돌리기 등 동작을 통해 새로운 시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XR 사용자의 머리 돌리기 동작은 단말이 하나의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 측 기기에 알려지고,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후 이 XR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한다.
XR(NR light를 배제하지 않음) 응용 시나리오인 경우,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특정 하향링크 수신이 트리거되는 절차가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하향링크 수신이 트리거되는 메커니즘이 지원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단말의 자원 소모가 크고, 단말의 하향링크 수신 유연성이 부족하여 XR 단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잘 충족시키지 못하고, 나아가 XR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잘 충족시키지 못한다.
2.CDRX(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상태의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X 주기는 “On Duration(지속시간)” 및 “Opportunity for DRX(DRX 기회)”로 구성된다. “On Duration” 기간 동안 단말은 PDCCH를 모니터링 및 수신하고, “Opportunity for DRX” 기간 동안 단말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onduration 기간 내에 새로 전송된 PDCCH가 수신되면, PDCCH에 대한 단말의 모니터링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inactivity timer(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되거나 재시작된다.
본 출원에서 언급되는 “타이머”는 또 “타이머”라고도 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본 출원에서 언급되는 “타이머”가 표현하는 의미와 “타이머”가 표현하는 의미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시스템은 상이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단말에 대해 짧은 DRX 주기(short DRX cycle) 또는 긴 DRX 주기(long DRX cycle)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짧은 주기와 긴 주기가 동시에 구성되는 경우, 짧은 주기와 긴 주기는 특정 방식을 통해 전환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하향링크 수신이 트리거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제1 하향링크 수신이 구성되는 것과 같은 절차가 필요 없이,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직접 트리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것은 종래의 하향링크 스케줄링과 하향링크 수신 방식과 다르다.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것은 스케줄링 기반의 전송 방식으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것과 다르다. 예컨대, 종래의 스케줄링 전송 방식에서, 단말은 PDCCH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네트워크 측 기기가 자신에 대해 할당한 하향링크 수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영역 자원을 획득하고, 그 다음 단말은 해당 자원에서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한다.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 및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등 구성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미리 구성되거나,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실려 전될 수 있으므로, 하향링크 수신은 스케줄링 절차가 필요 없이 트리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함으로써, 하향링크 수신의 유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 연관 관계가 존재하고,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에 따라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거나 수신한다.
예컨대,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는, 자원 구성 파라미터 측면에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 연관 관계가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자원 구성 파라미터는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 주파수영역 구성 파라미터 또는 시간-주파수 영역 구성 파라미터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실린 자원 구성 파라미터를 통해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명시적으로 구성하고, 네트워크 측 기기는 수신된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지시하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송신한다. 예컨대,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불연속 수신 모드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제1 하향링크 수신은 다양한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하향링크 수신에 해당하는 자원 구성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단말에 의해 송신된 RACH 또는 BFR과 같은 상향링크 신호에 따라 구성한 하향링크 수신 자원 구성 파라미터와 다르다.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가 미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을 통해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가 미리 합의될 수 있다.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가 미리 설정된 경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연관 관계를 갖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며, 더 구체적으로, 제1 상향링크 신호는 해당 자원 구성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된다.
제1 하향링크 수신은 하나 이상(둘을 포함함)의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하향링크 수신이 다수의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할 때, 각 하향링크 수신은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 유형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하향링크 수신이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할 때, 이 하향링크 수신은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 유형에 대응하거나, 특정 유형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수신, 하향링크 신호 수신,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 수신 및 하향링크 채널 모니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유형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하향링크 신호, 하향링크 데이터 송신 정보 및 하향링크 채널 모니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PDCCH일 수 있고, 이 PDCCH에서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 또는 구성된 스케줄링 RNTI(Configured Scheduling RNTI, CS-RNTI)와 같은 특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의해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예컨대, 이 PDCCH의 DCI format은 DCI 1-1, DCI 0-1, DCI 0-0, DCI 1-0, DCI 1-2, DCI 0-2일 수 있다. 예컨대, 하향링크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CSI 간섭 측정(CSI Interference Measurement, CSI-IM), 추적 기준 신호(Tracking Reference Signals, TRS), 위상 추적 기준 신호(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측위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PRS),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 등일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송신 정보는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의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수신일 수 있다. 하향링크 채널 모니터링은 비스케줄링의 PDCCH, group common PDCCH(그룹 공통 PDCCH)일 수 있다. 기타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도 배제되지 않는다.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은 상향링크 채널의 유형 및 상향링크 채널에 실려 전달되는 시그널링 또는 신호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채널의 유형은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PUSCH(예: 구성된 승인(Configured Grant)의 PUSCH),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예: Msg1, MsgA PRACH, MsgA PUSCH, Msg3)일 수 있다. 전술한 상향링크 채널의 주기성은 주기적, 비주기적, 반지속적일 수 있다. 상향링크 체널에 실려 전달되는 시그널링 유형 또는 신호 유형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CE, 채널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등일 수 있다. 기타 상향링크 채널 또는 상향링크 신호도 배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는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가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시간영역에서의 연관 관계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하향링크 수신은 암시적인 지시 방식에 따라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제1 하향링크 수신은 명시적인 지시 방식에 따라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아래는 암시적인 지시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여기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가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논리채널 및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연관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이한 상향링크 신호 유형을 통해 상이한 하향링크 수신을 연관시킬 수 있고, 상이한 상향링크 신호의 서비스 유형을 통해 상이한 하향링크 수신을 연관시킬 수도 있고, 상이한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논리채널을 통해 상이한 하향링크 수신을 연관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논리채널이 논리채널(1)인 경우, 이 상향링크 신호는 하향링크 수신(1)과 연관된다. 즉, 논리채널(1)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신호는 하향링크 수신(1)을 트리거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이 논리채널(1)에 대응하는 제1 상향링크 신호만 송신하면 하향링크 수신(1)이 암시적으로 트리거되거나 활성화된다. 이 예에서, 제1 상향링크 신호는 논리채널(1)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신호이고, 제1 하향링크 수신은 하향링크 수신(1)이다.
전술한 내용은 제1 하향링크 수신이 암시적인 지시 방식에 따라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는 실시예이다.
아래는 명시적인 지시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식별자 및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예: MAC CE, UCI 등)을 송신할 수 있고, 이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이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활성화되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트리거되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미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규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트리거되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은 RRC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트리거되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은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할 수 있거나, 제1 지시 정보는 다수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N 및 M은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예컨대, RRC에 의해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이 구성되고,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거나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고, 이 M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이거나, 이 M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각각 M개의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M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제1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DCI를 통해 상기 M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K개의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단계 -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상기 K개의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하고, 상기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 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RRC에 의해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이 구성되고,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거나 활성화하는 데 사용된다. 하향링크 수신에서, 다시 DCI를 수신하여 M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K개의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거나 활성화한다.
전술한 내용은 제1 하향링크 수신이 명시적인 지시 방식에 따라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는 실시예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나아가,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의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아래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의 관련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제1 주기 파라미터 - 상기 제1 주기 파라미터는 제1 주기 길이,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기준 시점 - 상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 - ;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기준 시점과 제1 시간간격으로 분리된 시점임 - ;
상기 기준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시간영역 자원 시작 시점 -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기준 시점에 시작됨 - ;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상기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중 하나이다.
여기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이다. 즉,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즉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제1 시점일 수도 있으며, 이 제1 시점과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 간의 시간간격은 제1 시간간격이다. 즉,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제1 시간간격 이후에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시작할 수 있고, 제1 시간간격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다수의 제1 시간간격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고,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제1 시간간격 관련 지시를 실어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시간간격은 PDSCH와 그 HARQ-ACK 피드백의 시간간격 K1과 같을 수 있고, 이 K1의 값 집합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미리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1 시간간격은 BFRQ(빔 실패 복구 요청) 송신과 BFRR(빔 실패 복구 응답) 수신 간의 시간간격과 같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시간간격은 RACH 송신과 RAR 응답 수신 간의 시간간격과 같을 수 있다.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일 수도 있다. 즉,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에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시작할 수 있고,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은 DL subframe(하향링크 서브프레임), DL slot, CORESET를 포함한 DL slot 등일 수 있다.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일 수도 있고, 이 제1 타이머는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에 트리거된다. 즉,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즉시 제1 타이머를 트리거하고,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시작한다.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일 수도 있다. 즉,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제1 시간간격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에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상기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일 수도 있다. 즉,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즉시 제1 타이머를 트리거하고,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에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시작한다.
상기 제1 시간간격의 값은, 단말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제1 시간간격의 크기를 보고할 수 있거나, 상이한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e, SCS) 레벨에 따라 프로토콜에 의해 제1 시간간격의 크기가 규정될 수 있거나, 단말이 제1 시간간격을 보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제1 시간간격의 값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시간영역 시작 시점 외에,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시작 시점의 위치 정보(예: 하나의 오프셋(offset)이 주어짐)를 포함시키고, 시작 시점 정보에 따라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은 제1 기간 및 제2 타이머 기간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기간으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1 기간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타이머 기간으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타이머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의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이 구성된 경우, 단말은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거나, 단말은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지속적으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이 제1 기간인 경우, 단말은 제1 기간 내에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예컨대,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이 제2 타이머 기간인 경우, 단말은 제2 타이머 기간 내에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거나, 단말은 제2 타이머 기간 내에 지속적으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타이머가 종료된 후, 단말은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종료할 수 있으며, 단말이 제2 타이머 기간 내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및/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송신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은 제2 타이머를 재시작할 수 있다.
단말은 불연속 수신의 방식으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즉, 주기적인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으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한다. 예컨대, 단말은 각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1 주기는 활성 기간 및 비활성 기간을 포함하며, 단말은 활성 기간 내에만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수신하거나 모니터링하면 되고, 비활성 기간 내에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수신하거나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되는 불연속 수신은 단말의 에너지 절약을 진일보 구현할 수 있으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에 대한 바람직한 모니터링 방식이다. 상기 제1 주기는 긴 DRX 주기 또는 짧은 DRX 주기일 수 있다. 상기 제1 주기가 DRX 주기로 구성된 경우, DRX 주기의 관련 timer 및 파라미터는 추가로 하향링크 수신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DRX 주기 내의 DRX-inactivitytimer(DRX 비활성 타이머)이다.
상기 두 가지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법은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은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의 각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이 제1 기간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 방식은 단말이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제1 기간 내의 각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일 수 있고,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이 제2 타이머 기간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 방식은 단말이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제2 타이머 작동 기간 내의 각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이 종료된 후, 단말은 이 주기적인 하향링크 수신 방식을 더 이상 채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상향링크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구성을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L개의 연속적인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Q개의 하향링크 수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1≤Q≤L이고, 상기 L, Q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이 주기적으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경우는 불연속 수신을 채택한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을 가리키며, 단말이 연속적인 L개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및/또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이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종료할 수 있거나, 단말은 이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제1 하향링크 수신을 종료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각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며, 단말이 3개의 연속적인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또는 전부의 하향링크 수신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지한다. 또 예컨대, 단말은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의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며, 단말이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의 3개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전부의 하향링크 수신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지한다.
이 실시예는 단말의 에너지 절약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은 비트맵의 방법으로 지시된다.
전술한 제1 주기의 활성 기간은 지속시간을 통해 지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11000”은 제1 주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각 비트는 2ms를 의미하면, 제1 주기의 전체 길이는 10ms이고, 값이 1인 처음 2개의 비트는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및 활성 기간의 길이가 4ms임을 나타내고, 마지막 3개의 비트는 제1 주기의 비활성 기간을 나타내며, 길이는 6ms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PDCCH의 수신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 파라미터;
PDCCH의 모니터링 주기;
PDCCH의 모니터링 오프셋;
PDCCH의 모니터링 지속시간;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
검색 공간 그룹;
검색 공간;
DCI 포맷;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간의 시간간격;
PDSCH와 상기 PDSCH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확인(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HARQ-ACK) 피드백 간의 시간간격;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간의 시간간격;
PDSCH 처리 지연;
PUSCH 준비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PDCCH 관련 시간간격은 K0, K1, K2를 포함하며, K0, K1, K2는 모두 slot(슬롯)을 단위로 한다. 여기서, K0은 DCI(또는 DCI에 대응하는 PDCCH)가 위치한 slot과 이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가 위치한 slot 간의 시간간격이고, K2는 DCI(또는 DCI에 대응하는 PDCCH)가 위치한 slot과 이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가 위치한 slot 간의 시간간격이다. 예컨대, K0=0은 PDCCH와 이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가 하나의 slot 내에 있음을 나타낸다. K1은 PDSCH가 위치한 slot과 이의 HARQ-ACK 피드백이 위치한 slot 간의 시간간격으로, 몇 개의 slot만큼 오프셋된다.
PDSCH의 처리 지연은 PDSCH가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고, PDSCH를 수신한 시점부터 이 PDSCH에 대응하는 HARQ-ACK 피드백을 송신할 준비를 마친 시점까지의 시간간격을 가리킨다. PDSCH의 처리 지연은 K1과 다르며, K1은 어느 slot에서 HARQ-ACK 피드백을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PDSCH의 처리 지연은 단말이 PDSCH를 수신한 후, HARQ 피드백을 위한 준비를 마치려면 처리 지연이 필요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즉, K1은 반드시 PDSCH의 처리 지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PUSCH의 준비 지연은 PDCCH를 수신한 후, 단말이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를 송신하려면 일정 시간간격이 필요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PUSCH의 준비 지연은 K2와 다르며, K2는 어느 slot에서 PUSCH의 송신을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PUSCH의 준비 지연은 단말이 PDCCH를 수신한 후, PUSCH의 송신을 위한 준비를 마치려면 준비 지연이 필요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즉, K2는 반드시 PUSCH의 처리 지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전술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는 기타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와 함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전술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 지속시간, 제1 주기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는 기타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와 함께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실려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특정 단말, 특정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엔티티, 특정 서비스 유형 및 특정 주파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는 메커니즘은 특정 단말이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특정 MAC 엔티티(예: SCG의 MAC 엔티티, MCG의 MAC 엔티티)가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특정 서비스 유형(예: 특정 논리채널(예: 논리채널(1)))에만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특정 주파수 범위(예: 셀(1), BWP1)에만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영역 범위는 BWP 또는 서빙 셀 또는 구성 반송파일 수 있다. 또한, 각 서비스 유형에 대해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 서비스 유형의 상기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이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는 메커니즘의 관련 구성 파라미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단말의 모든 BWP에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 BWP의 상기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이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는 메커니즘의 관련 구성 파라미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하향링크 수신이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는 메커니즘은 구체적은 요구사항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단말의 하향링크 수신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수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중지 메커니즘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이 현재 수행 중인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또는 전부의 하향링크 수신을 중지시키기 위해 하나의 중지 명령(예: MAC CE command, DCI)을 구성한다. 단말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또는 전부의 하향링크 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측 기기의 지시에 따라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을 중지할 수 있어, 통신 시스템의 작동 성능 및 효율의 향상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수신 주기를 상기 제1 주기에서 제2 주기로 전환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주기와 상기 제1 주기는 주기 길이,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이중 주기 전환 메커니즘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이중 주기 전환 메커니즘은 짧은 DRX 주기(short DRX cycle)와 긴 DRX 주기(long DRX cycle)의 전환 메커니즘과 유사하다. 예컨대, 네트워크 측 기기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의 불연속 수신의 주기를 전환하도록 단말에 지시하기 위해 하나의 전환 명령(예: MAC CE command, DCI)을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2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주기를 제1 주기에서 제2 주기로 전환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단말이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가 제2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병렬로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즉, 제1 하향링크 수신이 종료되지 않음) 단말이 제2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해 다른 하나의 상향링크 신호(즉, 제2 상향링크 신호)를 더 송신한 경우,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 구성은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첫 째, 단말은 다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을 병렬로 수행하거나, 단말은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제2 하향링크 수신에 대해 병렬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각 상향링크 신호는 모두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의 모니터링 구성을 트리거하게 된다. 예컨대, 각 상향링크 신호는 모두 새로운 타이머를 트리거하고, 단말은 임의의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모니터링 구성을 충족해야 한다.
둘 째, 단말은 어느 하나의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거나, 단말은 어느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모니터링 구성만 유지할 수 있다. 단말은 새로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때마다 현재 수행 중인 하향링크 수신을 중지하고, 새로운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모니터링 구성에 따라 새로운 하향링크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물론, 단말이 새로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 했어도 현재 수행 중인 하향링크 수신을 계속하는 상황도 배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병렬로 수행할 때,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 간에 하나 이상의 자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방법은,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포기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는 단계; 또는,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포기하고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는 단계; 또는,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위치한 논리채널 및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 중에서 수행할 하향링크 수신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원 충돌은 시간영역 자원 충돌 및 주파수영역 자원 충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병렬로 수행할 때,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 간에 하나 이상의 자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과 충돌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포기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에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충돌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에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충돌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포기하고,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과 충돌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위치한 논리채널 및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위치한 논리채널 및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의 충돌하는 하향링크 신호에서 수신할 하향링크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두 하향링크 수신에 하나 이상의 자원 충돌이 발생한 경우, 단말은 늦게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의 하향링크 신호를 우선적으로 수신하고, 일찍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의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수신을 포기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일찍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의 하향링크 신호를 우선적으로 수신하고, 늦게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의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수신을 포기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위치한 논리채널,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수신하려는 하향링크 신호를 결정하거나, 수신을 포기하려는 하향링크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자원 충돌은 시간영역 자원의 충돌, 주파수영역 자원의 충돌, 또는 시간-주파수 영역 자원의 충돌일 수 있다. 자원 충돌은 두 개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이 위치한 시간-주파수 자원이 부분적으로 겹치거나 완전히 겹치는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다양한 선택적인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구현되거나 별도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하기와 같이 세 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
실시예 1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를 미리 구성하며, 암시적인 지시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절차를 완료한다. 상향링크 신호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메커니즘은 각 논리채널에 구성된다. 상향링크 신호는 구성된 승인(CG)의 PUSCH에 의해 트리거되고,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은 짧은 DRX 주기의 불연속 수신 방식을 채택하며, 네트워크는 관련 하향링크 수신의 시작 시점의 제1 타이머를 모니터링 대기 timer(타이머)로, 그리고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delay budget(지연 예산)의 길이로 구성하고, 이 모니터링 대기 timer는 DRX에 구성되어 DRX에서 HARQ 절차와 관련된 재전송 timer와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모든 수행 중인 하향링크 수신은 하나의 MAC CE command에 의해 강제적으로 중지될 수 있다고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를 미리 구성한다. 예컨대, 논리채널(1)은 CG1의 PUSCH에 매핑되고 하향링크 수신(1) 및 하향링크 수신(2)와 연관되고, 논리채널(2)는 CG2의 PUSCH에 매핑되고 하향링크 수신(3)과 연관된다.
하향링크 수신(1)과 하향링크 수신(2)의 구성 정보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동일한 하향링크 수신 시간영역 시작 시점, 하향링크 수신 모니터링 구성(짧은 DRX 주기,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 모니터링 대기 timer와 지속시간 delay budget 세트를 채택함)이다. 여기서, 이 둘은 하향링크 수신 유형이 상이하며, 하향링크 수신(1)은 하나의 반지속적인 SPS PDSCH의 수신이다. 하향링크 수신(2)은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format 1-2 및 0-2이다.
여기서, 모니터링 대기 timer로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timer(유효기간)는 delay budget으로 설정되고, 만료된 후 이번의 상향링크 CG는 즉시 중지된다. 하향링크 수신 관련 모니터링 대기 timer, 지속시간, DRX에서의 DRX-HARQ-RTT-TimerDL(하향링크 DRX-HARQ 왕복 지연 타이머) 및 DRX-RetransmissionTimerDL(하향링크 DRX 재전송 타이머)은 공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을 수신하기 전에 단말은 긴 DRX 주기로 구성된다.
단말은 상향링크 CG1의 PUSCH를 송신한 후 즉시 “모니터링 대기 타이머”를 시작하고, 이 타이머가 만료되면 즉시 짧은 DRX 주기를 시작하고, 하향링크 스케줄링(하향링크 수신(2)) 및 SPS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하향링크 수신(1))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CG1의 하향링크 수신은 DRX-ondurationtimer(DRX 지속시간 타이머) 및 DRX-inactivitytimer(DRX 비활성 타이머) 등과 같은 짧은 DRX 주기 관련 구성을 사용한다.
하향링크 수신(3)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는 주기적인 CSI-RS이다. 하향링크 수신(1) 및 하향링크 수신(2)과 동일한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 모니터링 대기 timer와 지속시간 delay budget 세트를 채택한다. 또한, 구성된 모니터링 주기(이 주기는 새로 정의된 주기 구성으로 DRX 주기가 아님)에 따라 각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한다. 두 slot을 단위로 비트맵을 통해 활성 기간 위치 및 지속시간 “11000”이 지시되어 처음 4개 slot은 활성 기간이고 마지막 6개 slot은 비활성 기간임을 나타낸다.
단말은 원래 긴 DRX 주기로 구성되었다. 단말은 상향링크 CG1 PUSCH(논리채널(1)의 데이터) 및/또는 CG2 PUSCH(논리채널(2)의 데이터)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송신하며, 본 솔루션에서의 관련 구성과 결합하여,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하향링크 수신이 트리거되는 솔루션의 전형적인 예가 하기와 같이 주어진다.
예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수신 절차는 하나의 CG1 PUSCH에 의해서만 트리거된다. 즉, 단일 CG1 PUSCH에 의해 트리거되는 하향링크 수신 구성이다.
도 4에서, 점선 화살표는 하향링크 수신(1)인 SPS PDSCH 수신을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는 하향링크 수신(2)인 PDCCH 스케줄링을 나타낸다.
예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링크 CG1에 의해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즉, 이번 하향링크 수신이 종료되기 전) 또 다른 하나의 상향링크 CG2가 송신된 경우, 다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는 하향링크 수신 모니터링 구성의 병렬 방식이 채택된다. 네트워크 측 기기는 MAC CE command(MAC CE 시그널링)를 구성하여 현재 수행 중인 하향링크 수신을 중지시킨다. 즉, 다수의 CG PUSCH는 중첩되면, 다수의 하향링크 수신의 구성 세트는 모두 충족되어야 하고, MAC CE command가 구성된다.
도 5에서, 점선 화살표는 하향링크 수신(1)인 SPS PDSCH 수신을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는 하향링크 수신(2)인 PDCCH 스케줄링을 나타내며, 쇄선 화살표는 하향링크 수신(3)인 CSI-RS를 나타낸다.
예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링크 CG1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즉, 이번 하향링크 수신이 종료되기 전) 또 다른 하나의 상향링크 CG2가 송신된 경우, 하나의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는 하향링크 수신 모니터링 구성만 채택된다. 네트워크 측 기기는 MAC CE command를 구성하지 않는다. 즉, 다수의 CG PUSCH가 중첩되면, 이전 하향링크 수신을 중지하고, 새로운 하향링크 수신을 시작하며, MAC CE command가 구성되지 않는다.
도 6에서, 점선 화살표는 하향링크 수신(1)인 SPS PDSCH 수신을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는 하향링크 수신(2)인 PDCCH 스케줄링을 나타내며, 쇄선 화살표는 하향링크 수신(3)인 CSI-RS를 나타낸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에서는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수신 간의 연관 관계 및 명시적인 지시 방법에 초점을 맞춘다.
본 실시예에서,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을 수신하기 전에 단말은 DRX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단말이 MAC CE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송신하되, MAC CE에는 활성화된 하향링크 수신의 ID가 실려 전달된다.
예 1: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는 5개의 하향링크 수신을 갖추고 있으며, 5개의 상향링크 수신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MAC CE를 송신하여 그중 1개의 하향링크 수신인 하향링크 수신(2)을 명시적으로 활성화한다.
예 2: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는 5개의 하향링크 수신을 갖추고 있으며, 5개의 상향링크 수신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MAC CE를 송신하여 그중 3개의 하향링크 수신인 하향링크 수신(2, 3, 4)을 명시적으로 활성화한다. 하향링크 수신이 시작된 후, DCI를 통해 3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1개의 하향링크 수신인 하향링크 수신(2)를 동적으로 지시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수신(2)의 구성 정보는 하향링크 수신 유형이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group common PDCCH(그룹 공통 PDCCH)인 것,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 모니터링 대기 N과 지속시간 timer(타이머) 세트이다. 단말은 상향링크 SR을 송신한 후, N개의 symbol(심볼) 또는 N ms 또는 N개의 slot 이후에 지속시간 타이머를 시작하고 하향링크 스케줄링의 수신을 시작한다. N의 단위가 symbol 또는 slot이면, N의 값은 SCS의 구성과 관련된다. 본 예에서 N=5ms로 설정된다. 지속시간 timer 작동 중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PDCCH를 수신한 후 이 timer를 재시작하고, 이 timer가 만료되면 이번 하향링크 수신을 종료한다.
실시예 3
이 실시예에서는 상향링크 신호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다. 하향링크 수신은 상향링크 시그널링 UCI를 통해 트리거되고 단독적으로 구성되며, 이 상향링크 신호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메커니즘은 특정 BWP1에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향링크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하향링크 수신을 수신하기 전에 단말은 긴 DRX 주기로 구성된다. 단말은 BWP1에서 상향링크 시그널링 UCI를 송신하며, UCI에는 자신에 의해 트리거되는 하향링크 수신의 구성 정보, 즉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 하향링크 수신의 모니터링 구성,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하향링크 수신의 유형이 명시적으로 실린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UCI를 송신한 후의 첫 번째 CORESET를 포함하는 DL slot이다. 하향링크 수신의 모니터링은 짧은 DRX 주기, 주기는 2ms, 오프셋은 0으로 구성된다. 하향링크 수신의 유형은 주기적인 PTRS이다.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은 10ms이다.
전술한 세 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설명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통해 해당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단말의 자원 소모를 줄여 단말의 에너지 절약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단말 햐향링크 수신의 유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XR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XR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때 XR 단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더 잘 충족시킬 수 있고, XR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기기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단말로부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는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N 및 M은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제1 주기 파라미터 - 상기 제1 주기 파라미터는 제1 주기 길이,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기준 시점 - 상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 - ;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기준 시점과 제1 시간간격으로 분리된 시점임 - ;
상기 기준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시간영역 자원 시작 시점 -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기준 시점에 시작됨 - ;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상기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중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은 제1 기간 및 제2 타이머 기간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의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은 비트맵을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수신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 파라미터;
PDCCH의 모니터링 주기;
PDCCH의 모니터링 오프셋;
PDCCH의 모니터링 지속시간;
제어 자원 세트(CORESET);
검색 공간 그룹;
검색 공간;
DCI 포맷;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간의 시간간격;
PDSCH와 상기 PDSCH의 HARQ-ACK 피드백 간의 시간간격;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 링크 공유 채널(PUSCH) 사이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지연;
PUSCH 준비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특정 단말, 특정 매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특정 서비스 유형 및 특정 주파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은 상향링크 채널의 유형 및 상향링크 채널에 실려 전달되는 신호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수신, 하향링크 신호 수신,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 수신 및 하향링크 채널 모니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수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수신 주기를 상기 제1 주기에서 제2 주기로 전환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주기와 상기 제1 주기는 주기 길이,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다수의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하고, 각 하향링크 수신은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 유형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실시예로서, 구체적인 실시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동일하고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400)은,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401)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는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단말(400)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논리채널 및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연관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제1 트리거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N 및 M은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M이 1보다 큰 경우, 단말(400)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제1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DCI를 통해 상기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K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제2 트리거 모듈 - 상기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제1 주기 파라미터 - 상기 제1 주기 파라미터는 제1 주기 길이,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기준 시점 - 상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 - ;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기준 시점과 제1 시간간격으로 분리된 시점임 - ;
상기 기준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시간영역 자원 시작 시점 -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기준 시점에 시작됨 - ;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상기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중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은 제1 기간 및 제2 타이머 기간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의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400)은,
L개의 연속적인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Q개의 하향링크 수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지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중지 모듈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1≤Q≤L이고, 상기 L, Q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은 비트맵을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수신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 파라미터;
PDCCH의 모니터링 주기;
PDCCH의 모니터링 오프셋;
PDCCH의 모니터링 지속시간;
제어 자원 세트(CORESET);
검색 공간 그룹;
검색 공간;
DCI 포맷;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간의 시간간격;
PDSCH와 상기 PDSCH의 HARQ-ACK 피드백 간의 시간간격;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 링크 공유 채널(PUSCH) 사이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지연;
PUSCH 준비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특정 단말, 특정 매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특정 서비스 유형 및 특정 주파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수신, 하향링크 신호 수신,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 수신 및 하향링크 채널 모니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유형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하향링크 신호, 하향링크 데이터 송신 정보 및 하향링크 채널 모니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400)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수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400)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3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수신 주기를 상기 제1 주기에서 제2 주기로 전환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주기와 상기 제1 주기는 주기 길이,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단말이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가 제2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단말(400)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병렬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향링크 수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하향링크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병렬로 수행할 때,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 간에 하나 이상의 자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은,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포기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3 하향링크 수신 모듈; 또는,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포기하고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4 하향링크 수신 모듈; 또는,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위치한 논리채널 및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 중에서 수행할 하향링크 수신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다수의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하고, 각 하향링크 수신은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 유형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400)은 방법 실시예에서 임의의 실시 방법의 단말일 수 있으며,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의 임의의 실시 방법은 모두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단말(4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동일하고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기기의 구성도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기기(500)는,
단말로부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501)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는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N 및 M은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제1 주기 파라미터 - 상기 제1 주기 파라미터는 제1 주기 길이,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기준 시점 - 상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 - ;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기준 시점과 제1 시간간격으로 분리된 시점임 - ;
상기 기준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시간영역 자원 시작 시점 -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기준 시점에 시작됨 - ;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상기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중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은 제1 기간 및 제2 타이머 기간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의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은 비트맵을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수신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 파라미터;
PDCCH의 모니터링 주기;
PDCCH의 모니터링 오프셋;
PDCCH의 모니터링 지속시간;
제어 자원 세트(CORESET);
검색 공간 그룹;
검색 공간;
DCI 포맷;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간의 시간간격;
PDSCH와 상기 PDSCH의 HARQ-ACK 피드백 간의 시간간격;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 링크 공유 채널(PUSCH) 사이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지연;
PUSCH 준비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특정 단말, 특정 매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특정 서비스 유형 및 특정 주파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은 상향링크 채널의 유형 및 상향링크 채널에 실려 전달되는 신호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수신, 하향링크 신호 수신,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 수신 및 하향링크 채널 모니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500)는,
상기 단말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수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500)는,
상기 단말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수신 주기를 제1 주기에서 제2 주기로 전환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주기와 상기 제1 주기는 주기 길이,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다수의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하고, 각 하향링크 수신은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 유형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500)는 방법 실시예에서 임의의 실시 방법의 네트워크 측 기기일 수 있으며,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의 임의의 실시 방법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5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동일하고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며, 상기 단말(900)은 무선 주파수 장치(901), 네트워크 모듈(902), 오디오 출력 장치(903), 입력 장치(904), 센서(905), 표시 장치(906), 사용자 입력 장치(907), 인터페이스 장치(908), 메모리(909), 프로세서(910) 및 전원(911) 등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도 13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가 단말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 장치(901)는,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는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901) 또는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논리채널 및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연관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N 및 M은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M이 1보다 큰 경우, 무선 주파수 장치(901)는 또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제1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주파수 장치(901) 또는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제1 DCI를 통해 상기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K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제1 주기 파라미터 - 상기 제1 주기 파라미터는 제1 주기 길이,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기준 시점 - 상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 - ;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기준 시점과 제1 시간간격으로 분리된 시점임 - ;
상기 기준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시간영역 자원 시작 시점 -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기준 시점에 시작됨 - ;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상기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중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은 제1 기간 및 제2 타이머 기간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의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901) 또는 프로세서(910)는 또한,
L개의 연속적인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Q개의 하향링크 수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지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1≤Q≤L이고, 상기 L, Q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은 비트맵을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수신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 파라미터;
PDCCH의 모니터링 주기;
PDCCH의 모니터링 오프셋;
PDCCH의 모니터링 지속시간;
제어 자원 세트(CORESET);
검색 공간 그룹;
검색 공간;
DCI 포맷;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간의 시간간격;
PDSCH와 상기 PDSCH의 HARQ-ACK 피드백 간의 시간간격;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 링크 공유 채널(PUSCH) 사이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지연;
PUSCH 준비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특정 단말, 특정 매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특정 서비스 유형 및 특정 주파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은 상향링크 채널의 유형 및 상향링크 채널에 실려 전달되는 신호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수신, 하향링크 신호 수신,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 수신 및 하향링크 채널 모니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901)는 또한,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수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901)는 또한,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수신 주기를 상기 제1 주기에서 제2 주기로 전환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주기와 상기 제1 주기는 주기 길이,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단말이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가 제2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무선 주파수 장치(901) 또는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병렬로 수행하고; 또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병렬로 수행할 때,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 간에 하나 이상의 자원 충돌이 발생한 경우, 무선 주파수 장치(901) 또는 프로세서(910)는 또한,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포기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고; 또는,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포기하고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고; 또는,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위치한 논리채널 및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 중에서 수행할 하향링크 수신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다수의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하고, 각 하향링크 수신은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 유형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900)은 방법 실시예에서 임의의 실시 방법의 단말일 수 있으며,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의 임의 실시 방법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단말(9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동일하고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9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9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9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9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도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902)을 통해 사용자를 위해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탐색, 스트리밍 미디어 접속 등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속를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903)는 무선 주파수 장치(901) 또는 네트워크 모듈(902)에서 수신하거나 메모리(9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903)는 단말(900)이 실행하는 특정 기능(예: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903)는 스피커, 버저,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9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장치(90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9041)와 마이크로폰(9042)이 포함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장치(9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장치(9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9041)에서 처리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9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901) 또는 네트워크 모듈(902)을 거쳐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90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9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900)은 또한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다른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90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표시 패널(9061)의 밝기를 조절하고, 근접 센서는 단말(900)이 귀쪽으로 움직일 때 표시 패널(9061) 및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인 가속도계 센서는 다양한 방향(일반적으로 3 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에서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자세 식별(수평 및 수직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보수계, 태핑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90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장치(906)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시 장치(906)는 표시 패널(9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906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9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907)는 터치 패널(9071) 및 기타 입력 장치(9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9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9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9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9071)은 터치 감지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9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9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9071)은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90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907)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9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9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음량 조절 키, 스위치 키 등), 트랙 볼, 마우스, 조종 레버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는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9071)은 표시 패널(90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9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910)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9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9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3에서 터치 패널(9071)과 표시 패널(9061)이 두 개의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사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9071)과 표시 패널(9061)이 통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908)는 외부 장치와 단말(90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와 연결하도록 구성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포트, 비디오 I/O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9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예: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900)의 하나 이상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단말(90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9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9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9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910)는 단말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통해 단말의 모든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 메모리(9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9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9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910)에 통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며,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9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900)에는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911)(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9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9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9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또한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910), 메모리(909) 및 메모리(909)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9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900)은 방법 실시예에서 임의의 실시 방법의 단말일 수 있으며,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의 임의 실시 방법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단말(9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동일하고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기기(700)는 프로세서(701), 송수신기(702), 메모리(703),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기(702)는,
단말로부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는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N 및 M은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제1 주기 파라미터 - 상기 제1 주기 파라미터는 제1 주기 길이,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기준 시점 - 상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 - ;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기준 시점과 제1 시간간격으로 분리된 시점임 - ;
상기 기준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시간영역 자원 시작 시점 -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기준 시점에 시작됨 - ;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상기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중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은 제1 기간 및 제2 타이머 기간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의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은 비트맵을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수신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 파라미터;
PDCCH의 모니터링 주기;
PDCCH의 모니터링 오프셋;
PDCCH의 모니터링 지속시간;
제어 자원 세트(CORESET);
검색 공간 그룹;
검색 공간;
DCI 포맷;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간의 시간간격;
PDSCH와 상기 PDSCH의 HARQ-ACK 피드백 간의 시간간격;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 링크 공유 채널(PUSCH) 사이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지연;
PUSCH 준비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관 관계는 특정 단말, 특정 매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특정 서비스 유형 및 특정 주파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은 상향링크 채널의 유형 및 상향링크 채널에 실려 전달되는 신호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수신, 하향링크 신호 수신,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 수신 및 하향링크 채널 모니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702)는 또한,
상기 단말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수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702)는 또한,
상기 단말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수신 주기를 제1 주기에서 제2 주기로 전환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주기와 상기 제1 주기는 주기 길이,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다수의 하향링크 수신을 포함하고, 각 하향링크 수신은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 유형에 대응한다.
도 14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01)로 대표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703)로 대표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안정기,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당업계에 공지된 내용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02)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비와 통신을 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7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703)에는 프로세서(701)에 의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700)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 실시예에서 임의의 실시 방법의 네트워크 측 기기일 수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의 임의의 실시 방법은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7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동일하고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또는 네트워크 측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칩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칩은 시스템 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등이라고 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하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솔루션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구상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43)

  1. 단말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는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논리채널 및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연관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N 및 M은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제1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DCI를 통해 상기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K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제1 주기 파라미터 - 상기 제1 주기 파라미터는 제1 주기 길이,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시작 시점은,
    기준 시점 - 상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가 위치한 시간영역 자원의 종료 시점 - ;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기준 시점과 제1 시간간격으로 분리된 시점임 - ;
    상기 기준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시간영역 자원 시작 시점 - 상기 제1 타이머는 상기 기준 시점에 시작됨 - ;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상기 제1 타이머가 종료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시간영역 자원의 시작 시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은 제1 기간 및 제2 타이머 기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모니터링 방식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의 각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L개의 연속적인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 내에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Q개의 하향링크 수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1≤Q≤L이고, 상기 L, Q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기의 활성 기간은 비트맵을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15.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에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수신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영역 구성 파라미터는,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 파라미터;
    PDCCH의 모니터링 주기;
    PDCCH의 모니터링 오프셋;
    PDCCH의 모니터링 지속시간;
    제어 자원 세트(CORESET);
    검색 공간 그룹;
    검색 공간;
    DCI 포맷;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간의 시간간격;
    PDSCH와 상기 PDSCH의 HARQ-ACK 피드백 간의 시간간격;
    PDCCH와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상향 링크 공유 채널(PUSCH) 사이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지연;
    PUSCH 준비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특정 단말, 특정 매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특정 서비스 유형 및 특정 주파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1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은 상향링크 채널의 유형 및 상향링크 채널에 실려 전달되는 신호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수신, 하향링크 신호 수신,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 수신 및 하향링크 채널 모니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수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0. 제9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수신 주기를 상기 제1 주기에서 제2 주기로 전환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주기와 상기 제1 주기는 주기 길이,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지속시간 내에 상기 단말이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가 제2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병렬로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병렬로 수행할 때,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 간에 하나 이상의 자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방법은,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포기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는 단계; 또는,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을 포기하고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만 수행하는 단계; 또는,
    충돌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의 유형, 위치한 논리채널 및 서비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수신 중에서 수행할 하향링크 수신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3. 네트워크 측 기기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는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N 및 M은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수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의 수신 주기를 제1 주기에서 제2 주기로 전환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주기와 상기 제1 주기는 주기 길이, 주기의 활성 기간 및 주기의 활성 기간 시작 위치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29. 단말에 있어서,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는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N 및 M은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3. 네트워크 측 기기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제1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수신 간에는 시간영역 상의 연관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N개의 하향링크 수신 중 M개의 제1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N개의 하향링크 수신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N 및 M은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37.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8.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39.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 또는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
  40.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1.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2.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3.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KR1020227041764A 2020-04-30 2021-04-25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KR202300053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67082.9 2020-04-30
CN202010367082.9A CN113597002B (zh) 2020-04-30 2020-04-30 下行接收触发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PCT/CN2021/089550 WO2021218842A1 (zh) 2020-04-30 2021-04-25 下行接收触发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325A true KR20230005325A (ko) 2023-01-09

Family

ID=7823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764A KR20230005325A (ko) 2020-04-30 2021-04-25 하향링크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48312A1 (ko)
EP (1) EP4145742A4 (ko)
JP (1) JP7407970B2 (ko)
KR (1) KR20230005325A (ko)
CN (1) CN113597002B (ko)
BR (1) BR112022021924A2 (ko)
CA (1) CA3179183A1 (ko)
WO (1) WO2021218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7652A1 (en) * 2022-03-28 2023-10-05 Lenovo (Singapore) Pte. Ltd. A configuration based on configured grant uplink control information
KR20230148726A (ko) * 2022-04-18 2023-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반 영구 스케줄링 구성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할당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85295A (zh) * 2005-06-02 2008-05-21 摩托罗拉公司 网状网络中的信道接入方法
CN101873704A (zh) * 2009-04-24 2010-10-2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长期演进系统中资源调度方法、系统及设备
CN101932103B (zh) * 2009-06-19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中继节点接入的方法
CN101938841B (zh) * 2009-06-30 2016-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资源获取方法、调度方法、装置及系统
CN103404200B (zh) * 2011-04-27 2016-08-24 富士通株式会社 延迟调度请求的方法、终端设备及通信系统
AU2012319347B2 (en) * 2011-10-04 2017-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system and a method of configuring radio access network parameters for a user equipment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system
US20130272222A1 (en) * 2012-04-17 2013-10-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cheduling Based on UE Probing
CN104104467B (zh) * 2013-04-03 2019-06-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数据的传输、传输处理方法及装置
CN104378830B (zh) * 2013-08-15 2018-07-2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调度请求资源的分配方法和系统
US10568028B2 (en) 2015-08-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6782393A (zh) * 2016-08-12 2023-09-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系统信息发送方法及装置
CN109417782B (zh) * 2016-09-22 2021-03-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通信装置、通信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616999B (zh) * 2017-01-04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8809493B (zh) * 2017-05-05 2022-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发送和接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922525B (zh) * 2017-12-12 2022-08-23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通信的列车控制系统cbtc业务调度方法和装置
DK3866376T3 (da) * 2018-01-09 2022-10-1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Fremgangsmåder med fysisk lag og mac-lag i en trådløs indretning
US10834777B2 (en) * 2018-01-11 2020-11-10 Ofinnon, LLC Discontinuous reception and CSI
CN110035541B (zh) * 2018-01-11 2021-05-2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调度请求的发送和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基站
CN110035524B (zh) * 2018-01-12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上行资源确定方法
CN110557839A (zh) * 2018-05-30 2019-12-1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调度请求的处理方法、配置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5664612A (zh) * 2019-10-15 2023-01-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传输方法、装置、第一通信节点、第二通信节点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48312A1 (en) 2023-02-16
EP4145742A1 (en) 2023-03-08
CA3179183A1 (en) 2021-11-04
JP2023523636A (ja) 2023-06-06
CN113597002B (zh) 2023-10-20
CN113597002A (zh) 2021-11-02
JP7407970B2 (ja) 2024-01-04
WO2021218842A1 (zh) 2021-11-04
BR112022021924A2 (pt) 2022-12-13
EP4145742A4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5959B2 (ja) チャネルモニタリング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KR102308106B1 (ko) 시간-주파수 동기화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
CN112533232B (zh) 一种节能信号监听时刻的确定方法、配置方法及相关设备
JP7285972B2 (ja) Pdcchモニタリング方法と端末
CN113038634B (zh) 唤醒信号配置方法、唤醒信号处理方法及相关设备
JP7317949B2 (ja) 伝送方法および関連装置
US20230048312A1 (en) Downlink reception trigger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US20230051346A1 (en) Downlink reception trigger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CN111600692B (zh) 一种信道监听方法、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EP4054249A1 (en) Wake up signal processing method, wake up signal configur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1050422B (zh) 一种非连续接收的控制方法及终端
CN112543082B (zh) 监听方法、发送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1036649A1 (zh) 模式切换方法、终端和网络设备
JP2022517837A (ja) 情報伝送方法及び端末
CN113543291A (zh) 节能模式切换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3301601A (zh) 信息上报方法、用户设备及网络侧设备
CN112584536B (zh) 上行传输方法、资源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2566281B (zh) 一种信息上报、接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5696457A (zh) 数据接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