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594A -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594A
KR20230004594A KR1020227039385A KR20227039385A KR20230004594A KR 20230004594 A KR20230004594 A KR 20230004594A KR 1020227039385 A KR1020227039385 A KR 1020227039385A KR 20227039385 A KR20227039385 A KR 20227039385A KR 20230004594 A KR20230004594 A KR 20230004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lvo
biomarker
amount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도아르도 가우드
모샬레스 곤잘로 라드레다
모샬레스 마르코스 라드레다
Original Assignee
폭키트 다이아그로스틱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키트 다이아그로스틱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폭키트 다이아그로스틱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8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coagulating time or factors, or their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75Assays involving growth factors
    • G01N2333/51Bone morphogenetic factor;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inducing fa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78NGF-receptor/TNF-receptor superfamily, e.g. CD27, CD30 CD40 or CD9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45Assays involving non-enzymic blood coagulation factors
    • G01N2333/75Fibrin; Fibrinog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71Cerebrovascular disorders, e.g. stroke, cerebral infarct, cerebral haemorrhage, transient ischemic ev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 구체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이용하여 뇌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 방법
본 발명은 뇌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 구체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이용하여 뇌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관한 것이다.
배경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1,600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들 환자의 30% 이상이 사망하고, 생존자의 90%에서 영구적인 장애가 발생한다. World Health Organisation의 정의에 따르면, 뇌졸중은 증상이 24시간 또는 그 이상 지속되거나, 또는 혈관 기원이 아닌, 명백한 원인 없이 사망에 이르는 증상과 함께, 뇌 기능의 국소적(혼수 상태의 경우 전신적) 장애가 급속하게 발전하는 임상 징후로 구성된 임상 증후군이다. 따라서, 뇌졸중의 정의에서 일과성 허혈 발작(TIA)(뇌졸중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그러나 뇌의 일부로 혈액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24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정의됨); 모방성 뇌졸중(stroke mimics)(뇌졸중을 가장한 신경학적 결손을 나타내는 비-혈관 병태이고, 발작과 발작후-마비가 내포됨); 독성-대사성 장애; 뇌종양; 감염, 그리고 편두통은 배제된다.
뇌졸중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 즉,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이 있다. 각각의 치료법은 병인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당히 다르다.
출혈성 뇌졸중은 뇌의 혈관이 파열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것이다. 출혈성 뇌졸중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뇌내 출혈 (뇌실질 내의 출혈 (뇌 조직 안에서 출혈) 또는 뇌실내의 출혈 (뇌의 심실 시스템내에서 출혈)로 인하여, 뇌 자체내에서 출혈); 그리고 지주막하 출혈, (뇌 조직 외부지만, 그러나 두개골내 출혈; 더 정확하게는, 거미막 뇌막과 연 뇌막 사이에 출혈). 출혈성 뇌졸중은 환자들에서 보이는 뇌졸중의 대략 15%이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의 한 영역으로 가는 혈류의 물리적 차단으로 정의되며, 환자에서 볼 수 있는 뇌졸중의 약 85%를 나타낸다.
허혈성 뇌졸중의 한 유형은 작은 혈관 폐색(SVO, 또한 열공 뇌졸중이라고도 함)으로 인한 뇌졸중이다. SVO 뇌졸중 또는 열공 뇌졸중은 일반적으로, 뇌 구조 깊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작은 혈관의 폐색으로 인해 발생한다.
그러나, 가장 치명적인 유형의 허혈성 뇌졸중은 대혈관 폐색 (LVO)으로 인한 뇌졸중 또는 단순히 LVO 뇌졸중이다. LVO 뇌졸중은 뇌1에서 총경동맥, 기저동맥, 척추동맥, 중뇌동맥, 전뇌동맥, 후뇌동맥, 외경동맥, 내경동맥 및/또는 전뇌동맥을 비롯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혈관의 폐색으로 인하여 발생된다. LVO로 인한 뇌졸중은 뇌졸중-관련된 의존성 및 사망에 불균형적으로 기여한다1.
LVO 뇌졸중으로 고통받거나 또는 고통을 겪었던 것으로 확인된 환자들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법은 기계적 혈전절제술(MT)이다. MT는 사타구니 높이에서 삽입된 프로브를 통해 혈전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수술 절차다. MT는 일반적으로 LVO 뇌졸중 치료에만 유용한데, 그 이유는 다른 유형의 허혈성 뇌졸중(이를 테면, SVO 뇌졸중)에 영향을 받는 혈관들은 뇌 안의 깊이로 인해 기계적 프로브에 도달할 수 없거나, 및/또는 기계적 프로브를 수용하기에 너무 작기 때문이다. MT를 이용한 LVO 환자의 치료는 생존 가능성을 상당히 증가시키고, 뿐만 아니라 장애 정도도 감소시킨다2-4. 기계적 혈전절제술은 뇌졸중 발병 후 24시간까지 LVO 뇌졸중에 대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입증되었고3, 발병 후 몇 시간 이내 LVO 뇌졸중을 감지하면 뇌졸중 치료 경로를 크게 도울 수 있음을 나타낸다. LVO 뇌졸중을 겪거나 또는 겪었던 뇌졸중 증상이 있는 이들 개체의 식별 속도 및/또는 정확성을 개선하는 것은 이들이 MT로 치료받고, 혈관재생 달성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증상을 나타낸다. 추가로, 다른 유형의 허혈성 뇌졸중이 유사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뇌졸중-유사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들은 TIA 또는 모방 뇌졸중으로 고통받을 수 있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병리를 앓을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뇌졸중 유형의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의 진단은 머리를 컴퓨터 단층촬영(CT) 스캔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알아낸다. CT는 뇌출혈의 검출에 매우 정확하지만, 허혈성 뇌졸중, 특히 LVO 뇌졸중의 검출에는 상당히 부정확할 수 있다. 허혈성 뇌졸중 및 허혈성 뇌졸중의 유형 진단을 돕기 위해, MRI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LVO 뇌졸중이 의심되는 경우, 해당 환자는 일반적으로 CT 혈관조영술이라는 추가 절차를 받는다. 그런 다음, LVO 뇌졸중을 진단하기 위해 신경방사선 전문의가 CTA 및/또는 MRI 영상을 검사해야 한다.
따라서, 뇌졸중 증상이 있는 개체의 LVO 뇌졸중 진단 절차가 길어질 수 있으며, 전문가(신경방사선)의 투입이 요구된다. 진단과 치료의 지연은 환자가 얻는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LVO 뇌졸중을 겪은 개체의 식별 또는 식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진단은 이러한 환자의 치료를 가속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사망률 및 장애율을 줄일 수 있다.
여러 연구에서 LVO 뇌졸중 진단에 도움이 되는 환자 증상에 기반한 임상 등급의 능력을 조사했다5-10. 이러한 임상 등급은 일반적으로 널리 적용되는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NIHSS) 시스템의 단순화된 형태를 기반으로 하지만, 이들 중 어느 것도 LVO 뇌졸중 식별을 위한 NIHSS 시스템과 비교하여 향상된 진단 성능을 보여주지 않았다11. NIHSS 시스템은 LVO 뇌졸중의 식별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12, 실제 임상 시나리오에 적용된 컷-오프 값은 저조한 진단 성능을 보였다13. 이는 임상 등급만으로는 LVO 뇌졸중을 진단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여러 문서에서 뇌졸중 하위유형의 감별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측정의 사용을 보고하고 있다. WO2012009567에서 환자가 허혈성 뇌졸중을 앓고 있는 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발현 프로파일의 측정을 설명한다. WO2016087611에서 혈액 바이오마커 패널을 측정하여,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 하위유형을 구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뇌졸중 하위유형을 구별하고, 급성 뇌졸중 진단을 돕는 혈액 바이오마커의 능력을 평가했다. Sharma et al.,은 262개의 단백질을 측정하였고, 5개의 단백질 패널이 임의의 뇌졸중 유형과 유사 뇌졸중를 구별할 수 있음을 발견했지만 14, 그러나 뇌졸중 하위유형 간의 구별을 위한 바이오마커를 제안하지는 못했다. Bustamante et al.,는 뇌졸중과 유사 뇌졸중, 그리고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을 구분하기 위해, 21개의 바이오마커 패널을 테스트했다15. 그들의 연구에서는 시험된 바이오마커가 급성 임상 환경에서 뇌졸중, 또는 뇌졸중 하위유형의 정확한 진단에 충분하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LVO 뇌졸중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를 식별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Wang et al.,는 혈장 용해성 CD40L/P-셀렉틴과 LVO 뇌졸중 환자들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을 발견하였다16. Arenillas와 동료들은 두개내 대동맥 폐쇄성 뇌졸중 환자들에서 혈액 c-반응성 단백질(CRP)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다 17. Chang et al.,는 심장 바이오마커들과 LVO 뇌졸중 간의 연합을 보고하였다 18. 그러나, 현재 LVO로 인한 뇌졸중을 특별히 진단을 위한 수단이 없다.
본 발명의 요약
제 1 측면에 따르면, 대혈관 폐색 (LVO)로 인한 뇌졸중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적어도 2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들)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숙시네이트, 숙신산-글루타티온, N-아세틸-아스파테이트, 프로피오닐-카르니틴, 글루타메이트, 심장 지방산 결합 단백질 (H-FABP), 뇌 지방산 결합 단백질 (B-FABP), Abeta 1-40,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용해성 종양 괴사 인자-유사 자가사멸의 약한 유도자 (sTWEAK), pro-vWF,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RBP4), ADAMTS13, NMDA 수용체 2 펩티드 (NR2 펩티드), 20-HETE, 빌리루빈, 뇌 나트륨이뇨성 펩티드 (BNP),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D-이량체, C-반응성 단백질 (CRP),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9 (MMP9), 인터루킨 6 (IL-6), 오스테오폰틴 (OPN), Troponin I, s100b, 폰 빌레브란트 인자(von Willebrand Factor) (vWF), 또는 P-셀렉틴.
제 2 측면에 따르면, 뇌졸중이 있거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군으로부터, LVO로 인한 뇌졸중을 겪은 개체를 식별해내는 방법이 있고, 이 방법은 각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적어도 2개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는 다음에서 선택된다: 숙시네이트, 숙신산-글루타티온, N-아세틸-아스파테이트, 프로피오닐-카르니틴, 글루타메이트, 심장 지방산 결합 단백질 (H-FABP), 뇌 지방산 결합 단백질 (B-FABP), Abeta 1-40,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용해성 종양 괴사 인자-유사 자가사멸의 약한 유도자 (sTWEAK), pro-vWF,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RBP4), ADAMTS13, NMDA 수용체 2 펩티드 (NR2 펩티드), 20-HETE, 빌리루빈, 뇌 나트륨이뇨성 펩티드 (BNP),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D-이량체, C-반응성 단백질 (CRP),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9 (MMP9), 인터루킨 6 (IL-6), 오스테오폰틴 (OPN), Troponin I, s100b, 폰 빌레브란트 인자 (vWF) 또는 P-셀렉틴.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3개, 적어도 4개, 적어도 5개, 적어도 6개, 적어도 7개, 적어도 8개, 적어도 9개, 적어도 10개, 적어도 11개, 또는 12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각 바이오마커의 양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조군, 양성 표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성 참조 또는 음성 참조에 있는 동일한 바이오마커의 양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정된 바이오마커의 양이 대조군에 있는 동일한 바이오마커의 양과 상이하거나; 또는 양성 표준에 있는 동일한 바이오마커의 양에 필적할 경우, 상기 개체는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진단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서 측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LVO 뇌졸중 점수로 변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들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있는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를 대조군, 또는 양성 표준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에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가 양성 표준의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에 필적할 때; 또는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가 대조군의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와 상이할 때, 상기 개체는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진단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혈액, 혈장, 뇌척수액 또는 타액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바이오마커의 양은 이 바이오마커에 결합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이러한 구체예들중 일부 구체예에서, 바이오마커의 검출 및/또는 바이오마커 양의 정량화는 ELISA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중 일부 구체예에서 바이어마커의 검출 및/또는 바이오마커 양의 정량화는 측면 흐름 분석(lateral flow assay)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가 받았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상 평가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고려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중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임상 평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T 또는 CTA 스캔, MRA 또는 MRI 스캔, 또는 이 개체의 NIHSS, FAST, ABCD, ABCD2 Rosier, TOAST, EMSA, PASS, VAN, RACE, FAST_ED 또는 CPSS 점수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은 이 바이오마커에 결합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때 바이오마커의 양은 ELISA 또는 측면 흐름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24시간 이내에 수행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17시간 이내에 수행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6시간 이내에 수행된다.
제 3 측면에 따르면,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을 검출하기 위한 2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용도를 제공하고,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숙시네이트, 숙신산-글루타티온, N-아세틸-아스파테이트, 프로피오닐-카르니틴, 글루타메이트, 심장 지방산 결합 단백질 (H-FABP), 뇌 지방산 결합 단백질 (B-FABP), Abeta 1-40, OPG, 용해성 종양 괴사 인자-유사 자가사멸의 약한 유도자 (sTWEAK), pro-vWF,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RBP4), ADAMTS13, NMDA 수용체 2 펩티드 (NR2 펩티드), 20-HETE, 빌리루빈, 뇌 나트륨이뇨성 펩티드 (BNP),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D-이량체, C-반응성 단백질 (CRP),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9 (MMP9), 인터루킨 6 (IL-6), 오스테오폰틴 (OPN), Troponin I, s100b, 폰 빌레브란트 인자 (vWF),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또는 P-셀렉틴.
일부 구체예들에서,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을 식별하기 위해, 적어도 3개, 적어도 4개, 적어도 5개, 적어도 6개, 적어도 7개, 적어도 8개, 적어도 9개, 적어도 10개, 적어도 11개, 또는 12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가 이용된다.
제 6 측면에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 또는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키트가 제공되며, 이 키트는 다음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을 담을 용기; 표적 바이오마커(들)의 양을 측정하는 수단; 그리고 표적 바이오마커(들)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제공된 수단과 샘플 간의 반응을 어떻게 수행하는 지에 대한 지침.
상세한 설명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에서 특정 양의 특이적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면,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겪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결정하거나, 또는 이를 알려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제 1 측면에서 제 1 측면에 따르면, 대혈관 폐색 (LVO)로 인한 뇌졸중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적어도 2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숙시네이트, 숙신산-글루타티온, N-아세틸-아스파테이트, 프로피오닐-카르니틴, 글루타메이트, 심장 지방산 결합 단백질 (H-FABP), 뇌 지방산 결합 단백질 (B-FABP), Abeta 1-40, OPG, 용해성 종양 괴사 인자-유사 자가사멸의 약한 유도자 (sTWEAK), pro-vWF,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RBP4), ADAMTS13, NMDA 수용체 2 펩티드 (NR2 펩티드), 20-HETE, 빌리루빈, 뇌 나트륨이뇨성 펩티드 (BNP),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D-이량체, C-반응성 단백질 (CRP),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9 (MMP9), 인터루킨 6 (IL-6), 오스테오폰틴 (OPN), Troponin I, s100b,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또는 P-셀렉틴.
본 명세서에서 'LVO 뇌졸중'이라고도 하는, '대혈관 폐색(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이란 총경동맥, 기저 동맥, 척추 동맥, 중뇌 동맥, 전뇌 동맥, 후뇌 동맥, 외경동맥, 내경동맥 및/또는 전뇌 동맥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의심되는 개체"라는 문구는 뇌졸중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징후 또는 증상을 나타내는 개체를 지칭한다. 여기에는 TIA 또는 모방 뇌졸중을 앓는 개체가 내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 개체"는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진단된 사람이 추가로 뇌졸중과 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징후 또는 증상을 나타내는 개체를 지칭한다.
뇌졸중과 연합된 징후 또는 증상에는 팔 부유(drift), 갑작스런 안면 약화, 얼굴 근육의 편마비 및 약화, 비정상적인 발음 뿐만 아니라 이의 조합, 이를 테면 FAST 테스트, 감각 또는 진동 감각의 감소, 마비, 초기 이완성(저-긴장성), 경련(고-긴장성)으로 대체됨, 강제성 공조(obligatory synergies), 그리고 특히 이들이 신체의 한 쪽(편측)에 나타날때, 후각, 미각, 청력 또는 시각 변화(전체 또는 부분적), 반사과다, 반사의 감소(가령, 말문이 막힘, 연하, 빛에 대한 동공 반응성), 얼굴의 감각 감소 및 근육 약화, 눈꺼풀 처짐(안검하수) 및 안구 근육 약화, 균형 문제 및 안진(nystagmus), 실어증, 구음 장애, 실행증, 호흡 및 심박수 변경, 심방세동, 흉쇄유돌근의 약화-머리를 한쪽으로 돌릴 수 없음, 혀의 쇠약(혀를 내밀 수 없거나 및/또는 좌우로 움직일 수 없음), 시야 결손, 편측-무시(hemineglect), 사고의 붕괴, 기억력 결핍, 혼동, 타인의 통찰력 결여, 일반적으로 뇌졸중-관련된 장애, 운동 조정 변경, 보행의 변화, 현기증, 과도한 성적 행동, 두통 및/또는 불균형이 내포된다.
상기 방법은 생체내,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에서 수행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시험관내에서 수행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3개, 적어도 4개, 적어도 5개, 적어도 6개, 적어도 7개, 적어도 8개, 적어도 9개, 적어도 10개, 적어도 11개, 또는 12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기술되며, 도 2A 및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바이오마커 OPN, OPG, 및 D-이량체가 대혈관 폐색 (LVO)으로 인한 뇌졸중을 대상체가 앓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놀라울 정도로 효과적이하는 것을 처음으로 보여주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이량체, OPN 및 OPG.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이량체, OPN 및 OPG.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D-이량체, OPN 및 OPG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D-이량체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OPN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OPG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의 추가 연구에 따르면, 도 5와 14에서 요약된 바와 같이, 추가 바이오마커인 GFAP가 내포되면 대형 혈관 폐색(LVO)의 결과로 뇌졸중을 진단하는 데 훨씬 더 정확해진다. 연구 결과는 바이오마커 패널에 GFAP가 내포됨으로써, 뇌졸중이 의심되는 환자 집단으로부터 출혈성 뇌졸중을 배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이량체, OPN, OPG 및 GFAP.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이량체, OPN, OPG 및 GFAP.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 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이량체, OPN, OPG 및 GFAP.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이량체, OPN, OPG 및 GFAP.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놀랍게도 D-이량체와 GFAP의 특이적 조합은 90% 이상의 진단 특이도를 갖는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D-이량체 및 GFAP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D-이량체 단백질 서열은 Entrez GeneID: 2243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서열 식별 번호:1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1
[서열 식별 번호:1]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D-이량체는 서열 식별 번호:1로 제시된 실질적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D-이량체는 다음과 같이, 서열 식별 번호:2로 본원에서 제시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인코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서열 식별 번호:2]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D-이량체는 서열 식별 번호:2로 제시된 실질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OPN 단백질 서열은 Entrez GeneID: 6696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서열 식별 번호:3으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4
[서열 식별 번호:3]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OPN은 서열 식별 번호:3으로 제시된 실질적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OPN은 다음과 같이, 서열 식별 번호:4로 본원에서 제시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인코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서열 식별 번호:4]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OPN은 서열 식별 번호:4로 제시된 실질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OPG 단백질 서열은 Entrez GeneID: 4982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서열 식별 번호:5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09
[서열 식별 번호:5]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OPG는 서열 식별 번호:5로 제시된 실질적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OPG는 다음과 같이, 서열 식별 번호:6으로 본원에서 제시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인코드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서열 식별 번호:6]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OPG는 서열 식별 번호:6으로 제시된 실질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GFAP 단백질 서열은 Entrez GeneID: 2670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서열 식별 번호:7로 제공된다:
Figure pct00011
[서열 식별 번호:7]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GFAP는 서열 식별 번호:7로 제시된 실질적인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GFAP는 다음과 같이, 서열 식별 번호:8로 본원에서 제시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인코드될 수 있다.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서열 식별 번호:8]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GFAP는 서열 식별 번호:8로 제시된 실질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언급된 바이오마커의 많은 천연 변이체가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이 방법은 이러한 D-이량체, OPN, OPG 및 GFAP의 자연 발생 변이체 중 하나의 검출로 확장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상기 샘플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또는 유래된 임의의 유체 및/또는 조직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샘플은 세포, 조직, 뇌척수액(CSF), 전혈, 혈청, 혈장, 세포질액, 소변, 대변, 위액, 눈물, 소화액, 타액, 비강 또는 기타 기도액, 질액 또는 정액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개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샘플을 채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일부 구체예들에서, 개체으로부터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샘플을 채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중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샘플은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샘플은 전혈 및 CSF; 타액 및 전혈; 전혈, CSF 및 눈물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혈액, 혈장, 뇌척수액 또는 타액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샘플은 전혈 또는 혈장 샘플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샘플은 혈장 샘플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샘플은 전혈 샘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또는 샘플들은 이 샘플 안에 임의의 바이오마커를 검출 및/또는 정량화시키는 분석에 앞서, 프로세싱된다. 프로세싱의 필요성 및/또는 필요한 샘플의 프로세싱 유형은 검출될 바이오마커 및/또는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데 사용할 분석에 따라 상이하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바이오마커 검출 분석에 적절한 농도를 얻기 위해, 샘플을 예를 들어, 식염수로 희석해야 할 수도 있다.
전혈 샘플은 당업계의 표준 절차를 사용하여, 혈장 및/또는 혈청을 제공하도록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장을 제공하기 위해, 4℃에서 15분 동안 2000g에서 전혈 샘플을 원심분리시킬 수 있고, 그런 다음 바이오마커 검출 분석에 필요에 따라 직접 사용하거나 식염수로 희석시킬 수 있다.
그 다음, 표적 바이오마커(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및/또는 샘플에서 표적 바이오마커(들)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샘플을 분석한다. 개체로부터 2개 이상의 샘플을 채취한 경우, 샘플 분석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 명 이상의 개체로부터 샘플을 동시에 및/또는 동일한 분석으로 분석할 수 있다.
분석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은 ELISA, 측면 흐름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측면 흐름), 방사선면역분석, 방사선분석, 효소 활성 분석, 세포 분석, 웨스턴 블롯, 서던 블롯, 노던 블롯, 면역침전, 면역형광,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양전자방출단층촬영, 질량분석기, RT-PCR, PCR, 질량분석기, 겔전기영동, 질량 감지 BioCD 단백질 어레이, 전기화학적 면역분석, 표면 강화 Raman 분광법, 형광 기반 검출, 유세포 분석, 나노 입자 기반 검출, 양자점 기술 및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분석 기술은 샘플의 바이오마커를 인지하고, 결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제의 사용과 관련된다. 상기 제제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에 결합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제제는 단일클론 항체 또는 다중클론 항체다. 상기 제제는 무손상 항체, 단편(가령, Fab 또는 F(ab')2), 또는 이의 조작된 변이체(가령, sFv)일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임의의 면역글로불린 부류 및 IgG, IgM, IgE, IgA, IgD를 비롯한, 그의 임의의 하위부류일 수 있다. 적합한 항체는 예를 들어, Abcam(Cambridge, UK)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상기 제제는 검출을 허용하도록 라벨이 붙어있을 수 있다. 적합한 탐지가능한 라벨은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로써, 양고추냉이 과산화효소(HRP)와 제제의 콘쥬게이션으로 HRP의 효소 작용에 의해 변형되어 색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적절한 기질을 추가하여 제제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검출가능한 라벨의 다른 예로는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과산화효소, 콜로이드 금, 형광 화합물, 비오틴, 방사성 동위원소, 발광 화합물, 자성 입자 및 기타 효소가 있다. 검출가능한 라벨 및 라벨링 키트는 예를 들어, 영국 Expedeon Ltd, Cambridge, UK에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1차/2차 항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샘플에서 바이오마커의 양을 검출 및/또는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샘플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결합하는 1차 항체와 접촉된다. 이어서, 1차 항체의 종(species) 또는 이소타입(isotype)을 인식하는 적절한 표지가 있는 2차 항체를 샘플과 접촉시킨다. 상기 샘플 안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검출은 2차 항체에 접합된 표지 분자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이한 종에서 생산된 항체는 1차 항체에 의해 결합된 바이오마커의 검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끼에서 생성된 1차 항체; 그리고 토끼에서 생성된 이러한 1차 항체를 인지하고, 이에 결합할 수 있는 2차 항-종(anti-species) 항체.
상기 제제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에 결합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바이오마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기질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체예들에서, 상기 제제는 공간적 겹쳐지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들중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제제는 검출을 허용하도록 차등적으로 라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색상 강도-기반된 라벨을 사용하여 각각의 공간적으로 중첩되게 결합된 바이오마커의 검출 및 정량화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샘플은 적합한 기질, 이를 테면, 물리적 기질, 이를 테면, 니트로셀룰로스 또는 PVDF 막,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단단한 기질, 또는 기타 플라스틱 중합체, 이를 테면, 미량적정 플레이트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 이 기질은 제 1 바이오마커를 특이적으로 인지하고, 이에 결합하는 항체와 접촉될 수 있다. 기질을 세척하면 표적 바이오마커에 항체의 특이적 결합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된다. 항체는 예를 들어, 효소, 형광단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와 같은 검출 가능한 라벨과의 접합을 통해 라벨링될 수 있다. 라벨의 검출 및 결합량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의 정량화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바이오마커-1차 항체 복합체에 결합된 검출가능한 라벨과 콘쥬게이트된 2차 항체를 추가할 수 있고, 이어서 추가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고, 상기 기질 상에 검출가능한 라벨이 존재한다는 것은 이 샘플 안에 측정될 바이오마커가 함유됨을 나타내는 지 확인한다.
대안으로, 바이오마커-특이적 항체는 상기 기질 상에 고정될 수 있고, 그 다음 바이오마커와 접촉되어, 바이오마커 자체가 검출가능한 라벨과 콘쥬게이트된다. 라벨된 바이오마커를 이 항체에 접촉시키면, 이 항체가 상기 라벨된 바이오마커에 결합된다. 그 다음, 상기 샘플은 상기 바이오마커가 이 항체에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기질과 접촉된다. 상기 샘플 안에 상기 바이오마커가 라벨링되지 않기 때문에, 이 항체로부터 라벨링된 바이오마커의 전위로 세척 후 이 기질 상에 검출가능한 라벨의 양이 감소하게 되고, 이는 상기 샘플이 상기 바이오마커를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대체 제제에는 표적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압타머, 효소 또는 소분자가 내포된다. 예를 들면, H-FABP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이용할 수 있다. 압타머는 특정 리간드에 결합하는 핵산-기반 분자다. 특정한 결합 특이도를 갖는 압타머를 만드는 방법은 U.S. 특허 번호. 5,475,096; 5,670,637; 5,696,249; 5,270,163; 5,707,796; 5,595,877; 5,660,985; 5,567,588; 5,683,867; 5,637,459; 그리고 6,011,020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알려져 있다.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을 임의의 적합한 분석을 이용하여 정량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기반 분석, 또는 면역흡착 분석 이를 테면 ELISA, 측면 흐름, 방사능면역분석 또는 면역침전.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분석은 ELISA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분석은 측면 흐름 분석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비-면역원성 분자 또는 화합물, 이를 테면, 대사산물, 이화 산물, 펩티드, 호르몬, 신호 분자, 소분자, 약물 또는 분자(이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형태, 항체에 의해 인지되지 않거나, 또는 결합되지 않을 수 있는)를 검출하기 위해 대안 및/또는 상보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비색법, 효소법,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C) 및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GC-MS),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HPLC-MS), 핵 자기 공명(NMR) 분광법, Raman 분광법이 내포된다. 예를 들면, 적절한 비색 방법은
Figure pct00015
[Journal fur Praktische Chemie, 1904, 70, 19-56 & Journal fur Praktische Chemie, 1904, 69, 105-137]에 의해 원래 기술된 것과 유사한 화학 반응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생체내 바이오마커를 측정하는 기술은 바이오마커를 특이적으로 인지하고, 결합하는 결합제를 환자에게 도입하는 것이 내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을 음성 참조,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성 참조의 것과 비교한다.
음성 참조는 실험실 용액, 이를 테면, 염 용액 또는 완충액이며, 여기에서 상기 표적 바이오마커가 없거나, 또는 이 표적 바이오마커의 양이 검출가능하지 않다. 양성 참조는 실험실 용액, 이를 테면, 공지의 양의 표적 바이오마커를 포함하는 염 용액 또는 완충액이다. 상기 양성 및/또는 음성 참조를 만드는데 이용되는 바이오마커는 단리된 표적 바이오마커, 또는 이의 형태, 이를 테면, 상기 바이오마커의 재조합 또는 합성 형태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은 음성 참조 및/또는 상기 표적 바이오마커의 공지된, 상이한 양을 포함하는 양성 참조와 비교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과 음성 참조 간의 차이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과 음성 참조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과 양성 참조 간의 상관관계는 상기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을 결정하거나, 또는 이러한 양의 존재를 제공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 의 양은 대조군에 있는 동일한 바이오마커의 양과 비교될 수 있다.
대조군은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건강한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에서 생성된 샘플 또는 데이터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건강한 개체"라는 용어는 뇌졸중의 징후 또는 증상이 없고, 뇌졸중의 병력이 없는 개체를 의미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대조군은 TIA, 유사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또는 소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을 앓고 있거나 또는 경험한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또는 샘플에서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TIA, 뇌졸중 모방, 출혈성 뇌졸중 또는 소혈관 폐쇄로 인한 뇌졸중이 있거나 있었던 사람"이라는 용어는 임상 평가에 의해, TIA, 유사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또는 소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을 앓는, 또는 고통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된 개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환자들은 TIA, 뇌졸중 유사, 출혈성 뇌졸중 또는 소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과 관련된 신경학적 증상이 중단될 때까지, 대조군에 내포될 수 있다(즉, 대조군에 내포될 샘플에 기여함). 바람직하게는, LVO 뇌졸중을 앓지 않았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환자로부터 취한 샘플 또는 데이터다. 바람직하게는, 비-LVO 뇌졸중을 앓않았던 환자들로부터 취한 샘플 또는 데이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조군은 허혈성 비-LVO, 출혈성, 및/또는 비-뇌졸중 환자로부터 취한 샘플 또는 데이터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과 대조군 간의 차이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과 대조군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은 양성 표준에 있는 동일한 바이오마커의 양과 비교될 수 있다. 양성 표준은 뇌졸중과 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징후 또는 증상을 가지고 있고, 추가로, LVO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는, 또는 앓았던 것으로 추가 진단을 받았던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또는 데이터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이 양성 표준과 필적되는 양이면, 해당 개체는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이 양성 표준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면, 해당 개체는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비율은 다른 바이오마커 ('참조 바이오마커')의 양에 대한 하나의 바이오마커('표적 바이오마커')의 양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참조 바이오마커는 대조군에서 양성 참조 또는 양성 표준이며; 예를 들면, LVO 뇌졸중을 앓는 것으로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있는 바이오마커의 양의 양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건강한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로부터 생성된 샘플 또는 데이터와 비교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표적과 참조 바이오마커는 동일한 샘플로부터 얻고, 예를 들면, 숙신산염의 양은 LVO 뇌졸중을 앓는 것으로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GFAP의 양과 비교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바이오마커(들)의 수준은 상이한 시점에서 동일한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에서 분석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GFAP의 양은 뇌졸중을 겪기 전과 후에 개체로부터 취한 2개의 샘플에서 비교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양성 비율은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내고, 한편 음성 비율은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이때 "양성 비율"이란 참조 바이오마커와 비교하여 테스트 바이오마커의 양의 증가를 표시하고; 그리고 "음성 비율"이란 참조 바이오마커와 비교하여 테스트 바이오마커의 양의 감소를 표시한다. 중립 비율은 테스트 바이오마커의 양과 참조 바이오마커의 양에 차이가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D-이량체, OPN 및 OPG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의 증가: 건강한 또는 비-LVO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과 비교하였을 때,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D-이량체, OPN 및 OPG로부터 선택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의 증가: 건강한 또는 비-LVO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과 비교하였을 때,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D-이량체, OPN 및 OPG로부터 선택된 바이오마커의 양의 증가: 건강한 또는 비-LVO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과 비교하였을 때,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D-이량체, OPN 및/또는 OPG의 양의 증가: 건강한 또는 비-LVO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과 비교하였을 때,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D-이량체, OPN 및 OPG의 양의 증가: 건강한 또는 비-LVO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과 비교하였을 때,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GFAP의 양의 감소: 건강한 또는 비-LVO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과 비교하였을 때,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건강한 또는 출혈성 뇌졸중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와 비교하였을 때 GFAP의 양의 감소는 해당 개체가 비-출혈성 뇌졸중, 바람직하게는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건강한 또는 비- 출혈성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와 비교하였을 때 GFAP의 양의 증가는 해당 개체가 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D-이량체, OPN 및/또는 OPG의 양의 증가 및/또는 GFAP의 양의 감소: 건강한 또는 비-LVO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과 비교하였을 때,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D-이량체, OPN 및/또는 OPG의 양의 증가 및 GFAP의 양의 감소: 건강한 또는 비-LVO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과 비교하였을 때,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이오마커의 양은 상기 바이오마커 폴리펩티드 서열의 농도와 관련될 수 있다 .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오마커 폴리펩티드 서열의 농도는 전혈에서 상기 바이오마커의 농도와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오마커 폴리펩티드 서열의 농도는 혈장에서 상기 바이오마커의 농도와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μg/ml의 D-이량체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μg/ml의 D-이량체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μg/ml의 D-이량체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μg/ml의 D-이량체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μg/ml의 D-이량체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μg/ml의 D-이량체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pg/ml의 OPG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5pg/ml의 OPG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0pg/ml의 OPG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pg/ml의 OPG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5pg/ml의 OPG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pg/ml의 OPG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pg/ml의 OPG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ng/ml의 OPN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ng/ml의 OPN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ng/ml의 OPN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6ng/ml의 OPN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ng/ml의 OPN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ng/ml의 OPN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ng/ml의 OPN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ng/ml의 OPN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pg/ml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pg/ml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pg/ml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0pg/ml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60pg/ml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65pg/ml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100pg/ml 미만의 GFAP 단백질 농도는 해당 개체가 비-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150pg/ml 미만의 GFAP 단백질 농도는 해당 개체가 비-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00pg/ml 미만의 GFAP 단백질 농도는 해당 개체가 비-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50pg/ml 미만의 GFAP 단백질 농도는 해당 개체가 비-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60pg/ml 미만의 GFAP 단백질 농도는 해당 개체가 비-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65pg/ml 미만의 GFAP 단백질 농도는 해당 개체가 비-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100pg/ml 미만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150pg/ml 미만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00pg/ml 미만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50pg/ml 미만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60pg/ml 미만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65pg/ml 미만의 GFAP 단백질의 농도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샘플 안에서 측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들)을 LVO 뇌졸중 점수로 전환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LVO 뇌졸중 점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과 음성 참조, 양성 참조, 대조군 또는 양성 표준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과 상관관계에 있다. 예를 들면, 0에서 100까지의 LVO 뇌졸중 점수를 설정할 수 있고, 여기에서 0은 대조군에서 상기 바이오마커의 값에 대응하며, 100은 양성 표준에서 상기 바이오마커의 값에 대응한다. 가중치 계수(weight factor)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이오마커는 진단 관련성이 더 높은 바이오마커가 LVO 뇌졸중 점수에 더 많이 기여하도록 가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바이오마커의 양이 LVO가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진단받았던 개체와 대조군 사이에 유의하게 다른 경우, 이 바이오마커는 진단 관련이 더 높을 수 있다. 대조적으로, LVO가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진단받았던 개체에 있는 바이오마커의 양이 대조군과의 차이가 적다면, 이 바이오마커는 진단 관련이 적을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 계수는 LVO 뇌졸중 진단에 대한 바이오마커의 기여도를 조절힌다. 가중치 계수는 예를 들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 단계에서 도입될 수 있고, 또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제제의 결합이 검출 도구, 이를 테면, 광학 판독기와 에서 검출되고 측정될 때, 도입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를 대조군 또는 양성 표준의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와 비교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서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점수가 양성 표준에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점수에 필적하다면, 이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서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점수가 양성 표준에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점수에 통계학적으로 필적하다면, 이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에서 측정된 바이오마커의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점수와 대조군 간의 차이는 해당 개체가 LVO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에서 측정된 바이오마커의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점수와 대조군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해당 개체가 LVO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 및/또는 LVO 뇌졸중 점수에 대해 정의된 값 또는 범위("컷-오프 값")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체예들중 일부 구체예에서, 정의된 값을 초과하는 LVO 뇌졸중 점수 또는 바이오마커의 양은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기타 구체예들에서, 정의된 값 아래에 있는 LVO 뇌졸중 점수 또는 바이오마커의 양은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72 시간 이내, 약 48 시간 이내 또는 약 24 시간 이내에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24시간 이내, 또는 24시간 이내에 수행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17시간 이내, 또는 17시간 이내에 수행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10시간 이내, 또는 10시간 이내에 수행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6시간 이내, 또는 6 시간 이내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24 시간 이내, 또는 24 시간 이내에 수득된 샘플에서 수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17 시간 이내, 또는 17시간 이내에 수득된 샘플에서 수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10 시간 이내, 또는 10 시간 이내에 수득된 샘플에서 수행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6 시간 이내, 또는 6 시간 이내에 수득된 샘플에서 수행된다.
도 9 및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이오마커 발현과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복합하면, 이 방법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상당히 개선시킨다.
따라서,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가 받았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상 평가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고려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임상 평가에는 CT 또는 CTA, MRA, MRI, 확산 가중 영상화 대뇌 혈관 조영술, 심전도, 심방 세동 평가, FAST (얼굴, 팔, 언어 테스트), ABCD, ABCD2 및 캘리포니아 예측 규칙 Rosier (응급실에서 뇌졸중 인지) 뇌졸중 등급, 뇌졸중 규모, 및 TOAST (급성 뇌졸중 치료에서 ORG. 10172 시험) 분류, OCSP (Oxford Community 뇌졸중 프로젝트 분류), 국립 보건원 뇌졸중 척도 (NIHSS), 응급 의료 뇌졸중 평가 (EMSA), 입원-전 급성 뇌졸중 중증도(PASS) 척도, 시각, 실어증, 무시(VAN) 평가, 신속한 동맥 폐색 평가 (RACE), 뇌졸중 긴급 대상 분류 현장 평가 (FAST-ED) 등급, Cincinnati 입원-전 뇌졸중 중증도 긍급 (CPSSS), 도플러 초음파, 경동맥 이중 초음파, 혈관 조영술 또는 동맥 조영술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내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CTA 및/또는 MRA에 의한 혈관조영술 평가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고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의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졸중 중증도 점수는 NIHSS, FAST, FAST-ED, RACE, C-STAT 및 EMSA에서 선택된다. 이러한 점수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이 점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NIHSS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그 이상의 FAST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1, 2, 3, 4 또는 5 또는 그 이상의 FAST-ED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그 이상의 FAST-ED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또는 그 이상의 FAST-ED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또는 그 이상의 FAST-ED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또는 그 이상의 FAST-ED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1, 2, 3, 4, 5, 6 또는 7 또는 그 이상의 RACE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그 이상의 RACE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그 이상의 RACE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3 또는 그 이상의 RACE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3 또는 그 이상의 RACE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4 또는 그 이상의 RACE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5 또는 그 이상의 RACE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6 또는 그 이상의 RACE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7 또는 그 이상의 RACE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그 이상의 C-STAT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그 이상의 C-STAT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3, 4 또는 5 또는 그 이상의 EMSA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3 또는 그 이상의 EMSA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4 또는 그 이상의 EMSA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5 또는 그 이상의 EMSA 점수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졸중 중증도 점수는 NIHSS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졸중 중증도 점수는 FAST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졸중 중증도 점수는 FAST-ED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졸중 중증도 점수는 RACE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졸중 중증도 점수는 C-STAT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졸중 중증도 점수는 EMSA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졸중 중증도 점수는 FAST, FAST-ED 또는 EMSA이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바이오마커는 D-이량체 및 GFAP이며, 상기 뇌졸중 중증도 점수는 FAST, FAST-ED 또는 EMSA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서 측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과 해당 개체에서 얻은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복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서 측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과 해당 개체에서 얻은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복합시켜, LVO 뇌졸중 점수를 얻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얻은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대조군, 또는 양성 표준의 바이오마커 양과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에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중증도 점수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LVO 뇌졸중 점수가 양성 표준에 필적할 때; 또는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중증도 점수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얻은 LVO 뇌졸중 중증도 점수가 대조군의 바이오마커 양과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와 상이할 때, 상기 개체는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진단된다.
상기 LVO 뇌졸중 점수는 선형 회귀, 랜덤 포레스트, 신경망, 지원 벡터 머신, Bayesian 회귀, Bayesian 로지스틱 회귀 또는 부분 최소 자승 회귀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과 해당 개체에서 얻은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처리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VO 뇌졸중 점수는 회귀 모델, 바람직하게는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과 해당 개체에서 얻은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처리함으로써 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VO 뇌졸중 점수는 다음 방정식을 풀어서 결정된다:
Y = a*X1, b*X2, … , n*Xn
여기에서 a, b, … n은 각 바이오마커 또는 뇌졸중 중증도 점수의 곱셈 계수를 나타내며, 이때 X1, X2 … Xn은 환자로부터 측정된 또는 얻은 바이오마커의 값 또는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측정된 각 바이오마커 또는 뇌졸중 중증도 점수의 곱셈 계수는 도 13에 언급되다.
LVO 뇌졸중 점수는 위의 수학식을 풀어서 구한 Y값을 환자별 로지스틱 변환으로 변환시켜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잘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LVO 뇌졸중 점수는 도 17에 인용된 계수 및 임의의 주어진 뇌졸중 의심 환자에 대해 수집된 각 해당 바이오마커 및 뇌졸중 중증도 점수의 측정에 기초하여, 선형 방정식을 풀어서 산출된다.
한 구체예에서, LVO 뇌졸중 점수는 임의의 대상체에 있어서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LVO 환자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LVO 뇌졸중 점수의 역치는 선택된 바이오마커와 뇌졸중 중증도 척도의 조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VO 환자 진단에 사용되는 LVO 뇌졸중 점수의 임계값은 도 14에 인용된 값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의 LVO 뇌졸중 점수는 개체가 LVO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0.24 이상의 LVO 뇌졸중 점수는 개체가 LVO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0.30 이상의 LVO 뇌졸중 점수는 개체가 LVO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0.31, 0.32, 0.33, 0.34, 0.35, 0.36, 0.37, 0.38, 0.39 또는 0.40 이상의 LVO 뇌졸중 점수는 개체가 LVO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3 이상의 LVO 뇌졸중 점수는 개체가 LVO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4 이상의 LVO 뇌졸중 점수는 개체가 LVO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이상의 LVO 뇌졸중 점수는 개체가 LVO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0.39 이상의 LVO 뇌졸중 점수는 개체가 LVO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나타낸다.
CTA는 머리, 목 및/또는 뇌 수준에서 동맥 및 정맥 혈관을 눈으로 볼 수 있는데 사용되는 컴퓨터 재구성 단층 촬영 기술이다. 조영제를 적용함으로써, CTA는 혈관의 막힘, 동맥류, 절개 및 협착을 눈으로 볼 수 있다. 조영제는 전자기 스펙트럼의 X-선 부분을 차단시켜, 계산된 이미지의 불투명 영역을 생성할 수 있는 모든 방사성 밀도 화합물이다.
MRA는 혈관의 막힘, 동맥류, 박리 및 협착을 시각화하기 위해 혈관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자기 공명 영상 기반 진단 기술을 말한다. 조영제, 이를 테면, 가돌리늄 계 조영제를 적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Johnson et al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A review." Academic radiology 5, no. 4 (1998): 289-305.)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거나 또는 겪었던 개체들을 식별해내면, 해당 개체에 대한 적절한 추가 임상 조사 및/또는 치료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측면에 따르면, 뇌졸중이 있거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군으로부터, LVO로 인한 뇌졸중을 겪은 개체를 식별해내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각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적어도 2개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는 다음에서 선택된다: 숙시네이트, 숙신산-글루타티온, N-아세틸-아스파테이트, 프로피오닐-카르니틴, 글루타메이트, 심장 지방산 결합 단백질 (H-FABP), 뇌 지방산 결합 단백질 (B-FABP), Abeta 1-40,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용해성 종양 괴사 인자-유사 자가사멸의 약한 유도자 (sTWEAK), pro-vWF,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RBP4), ADAMTS13, NMDA 수용체 2 펩티드 (NR2 펩티드), 20-HETE, 빌리루빈, 뇌 나트륨이뇨성 펩티드 (BNP),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D-이량체, C-반응성 단백질 (CRP),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9 (MMP9), 인터루킨 6 (IL-6), 오스테오폰틴 (OPN), Troponin I, s100b, 폰 빌레브란트 인자 (vWF) 또는 P-셀렉틴.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측면의 방법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이량체, OPN 및 OPG.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이량체, OPN 및 OPG.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D-이량체, OPN 및 OPG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측면의 방법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이량체, OPN, GFAP 및 OPG.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이량체, OPN, GFAP 및 OPG.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D-이량체, OPN, GFAP 및 OPG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바이오마커, 바이오마커의 양 및 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제1 측면에서 정의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생체내,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에서 수행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시험관내에서 수행된다.
상기 바이오마커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추가로, 바이오마커의 양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3개, 적어도 4개, 적어도 5개, 적어도 6개, 적어도 7개, 적어도 8개, 적어도 9개, 적어도 10개, 적어도 11개, 또는 12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은 제1 측면의 임의의 구체예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존재 및/또는 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측면에 따라 개시된 바와 같이,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각 바이오마커의 양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조군, 양성 표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성 참조 또는 음성 참조에 있는 동일한 바이오마커의 양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일부 구체예들에서, 대조군의 바이오마커의 양과 비교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정된 동일한 바이오마커의 양이 상이한 개체는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일부 구체예들에서, 양성 표준과 비교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정된 바이오마커의 필적되는 양을 가지고 있는 개체는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측면에 따라 개시된 바와 같이,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서 측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LVO 뇌졸중 점수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일부 구체예들에서, 양성 표준에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점수에 필적하는 LVO 점수를 갖는 개체들은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양성 표준에서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점수에 통계적으로 필적하는 LVO 점수를 갖는 개체들은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대조군의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점수와 상이한 LVO 점수를 가지고 있는 개체들은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대조군의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점수와 통계적으로 상이한 LVO 점수를 가지고 있는 개체들은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 측면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해당 개체의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 측면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서 측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과 해당 개체에서 얻은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복합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 측면에 따라 개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개체가 받았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상 평가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고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들중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임상 평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T 또는 CTA, MRA 또는 MRI 스캔, 또는 이 개체의 NIHSS, FAST, ABCD, ABCD2 Rosier, TOAST, EMSA, PASS, VAN, RACE, FAST-ED 또는 CPSS 점수다.
LVO의 결과로 뇌졸중을 앓거나 겪은 것으로 확인된 개체에 대한 적절한 추가 임상 조사에는 컴퓨터 단층촬영 혈관조영술 및/또는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이 내포된다. LVO의 결과로 뇌졸중을 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겪었던 개체들을 위한 적절한 치료 경로에는 항혈전제 및/또는 기계적 혈전절제술을 사용한 치료가 내포될 수 있다.
제 3 측면에 따르면,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을 진단하기 위한 2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용도를 제공하고,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숙시네이트, 숙신산-글루타티온, N-아세틸-아스파테이트, 프로피오닐-카르니틴, 글루타메이트, 심장 지방산 결합 단백질 (H-FABP), 뇌 지방산 결합 단백질 (B-FABP), Abeta 1-40,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용해성 종양 괴사 인자-유사 자가사멸의 약한 유도자 (sTWEAK), pro-vWF,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RBP4), ADAMTS13, NMDA 수용체 2 펩티드 (NR2 펩티드), 20-HETE, 빌리루빈, 뇌 나트륨이뇨성 펩티드 (BNP),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D-이량체, C-반응성 단백질 (CRP),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9 (MMP9), 인터루킨 6 (IL-6), 오스테오폰틴 (OPN), Troponin I, s100b, 폰 빌레브란트 인자 (vWF), 또는 P-셀렉틴.
상기 바이오마커와 바이오마커의 농도는 상기 제1 측면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특정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을 식별하기 위해, 적어도 3개, 적어도 4개, 적어도 5개, 적어도 6개, 적어도 7개, 적어도 8개, 적어도 9개, 적어도 10개, 적어도 11개, 또는 12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가 이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바이오마커는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있다. 상기 바이오마커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추가로, 바이오마커의 양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과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진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고도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갖는 바이오마커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서, 대혈관 폐색 (LVO)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사용되는 D-이량체, OPN, OPG 및/또는 GFAP가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대혈관 폐색 (LVO)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사용되는 D-이량체가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LVO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사용되는 OPN이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LVO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사용되는 OPN이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LVO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사용되는 GFAP가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LVO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사용되는 D-이량체 및 GFAP가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LVO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사용되는 D-이량체, OPN 및 OPG가 제공된다.
상기 바이오마커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추가로, 바이오마커들의 양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VO로 인한 뇌졸중과 연합된 바이오마커, 이 바이오마커의 양, 농도의 결정 및 상기 샘플은 상기 제1 측면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서, 출혈성 뇌졸중 진단에 사용을 위한 GFAP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LVO로 인한 뇌졸중과 연합된 GFAP, 이의 양, 농도의 결정 및 상기 샘플은 상기 제1 측면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제 6 측면에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1 측면, 제 2 측면, 및 제 3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키트가 또한 제공된다. 상기 키트는 다음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을 담을 용기; 표적 바이오마커(들)의 양을 측정하는 수단; 그리고 지침, 이를 테면, 표적 바이오마커(들)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제공된 수단과 샘플 간의 반응을 어떻게 수행하는 지에 대한 인쇄된 지침.
일부 구체예들에서, 표적 바이오마커(들)의 양을 결정하는 수단은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들)은 항체일 수 있다. 상기 제제는 기질 상에 고정될 수 있거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가능한 라벨로 라벨링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각 제제는 검출가능한 상이한 라벨로 라벨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LVO로 인한 뇌졸중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빠르고, 쉽게 식별하내고, 적절한 치료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 7 측면에서, 대혈관 폐색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고 있는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a) 각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결정하고,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는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D-이량체 및 오스테오폰틴 (OPN)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바이오마커의 양은 해당 개체가 대혈관 폐색 (LVO)으로 인한 뇌졸중을 앓고 있음을 암시하고; 그리고
b) 대혈관 폐색 (LVO)으로 이한 뇌졸중을 치료하는 치료요법적 제제를 해당 개체에게 투여하거나, 또는 투여하였다.
상기 바이오마커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추가로, 바이오마커의 양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VO로 인한 뇌졸중과 연합된 바이오마커, 이 바이오마커의 양, 바이오마커의 농도의 결정 및 상기 샘플은 상기 제1 측면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는 기계적 혈전절제술 (MT) 및/또는 정맥내 또는 동맥내 혈전용해 치료를 포함한다.
임의의 이론에 결부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있는 특이적 바이오마커 또는 특이적 바이오마커들의 조합의 특정 양의 검출, 또는 LVO로 인한 뇌졸중을 일으키는 생물학적 변화의 결과로 변경된 수준의 검출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LVO로 인한 뇌졸중의 검출 정확성이 상승되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마커들은 뇌 허혈 및/또는 뇌 세포의 사멸과 관련이 있으며, 둘 다 다른 유형의 뇌졸중과 비교하여 LVO에서 증가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허혈은 손상된 세포 또는 조직 자체, 또는 손상된 세포와 소통하는 조직 또는 세포로부터 바이오마커의 방출 및/또는 상향조절을 초래하는 조직 및 세포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들은 뇌졸중 LVO로 인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앓었던 뇌졸중 환자를 식별하거나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키트 및 용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체예들은 개선된 정확성 및/또는 속도로 그러한 개체들을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로 인하여 해당 개체에 대한 치료 경로를 개선시킨다.
본 발명은 임의의 핵산 또는 펩티드 또는 그의 변이체, 유도체 또는 유사체로 확장되며, 이들은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아미노산 또는 핵산, 그리고 이의 변이체 또는 이의 단편들의 실질적인 서열을 포함한다. 용어 "실질적으로 아미노산/뉴클레오티드/펩티드 서열", "변이체" 및 "단편"은 본원에서 언급된 임의의 하나의 아미노산/뉴클레오티드/펩티드 서열에 대해 적어도 4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서열, 예를 들면, 서열 식별 번호: 1 ~ 8로 확인된 서열에 대해 40% 동일성을 갖는 서열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일 수 있다.
임의의 언급된 서열에 대해 65% 이상의 서열 동일성,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서열 동일성,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의 서열 동일성, 그리고 여전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아미노산/폴리뉴클레오티드/폴리펩티드 서열 또한 기획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미노산/폴리뉴클레오티드/폴리펩티드 서열은 본원에서 언급된 임의의 서열에 대해 적어도 85% 동일성,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동일성,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2% 동일성,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동일성,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7% 동일성,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동일성,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원에서 언급된 임의의 서열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성을 갖는다.
당업자는 두 개 아미노산/폴리뉴클레오티드/폴리펩티드 서열 간에 동일성 백분율을 어떻게 산출하는 지 인지할 것이다. 두 개 아미노산/폴리뉴클레오티드/폴리펩티드 서열 간에 동일성 백분율을 산출해내기 위해, 두 서열의 정렬이 먼저 준비되어야 하고, 그 다음에 서열 동일성 값이 계산되어야 한다. 두 개 서열에 대한 백분율 동일성은 다음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i) 서열 정렬에 이용된 방법, 이를 테면, ClustalW, BLAST, FASTA, Smith-Waterman(다른 프로그램에서 구현됨) 또는 3D 비교의 구조적 정렬; 그리고 (ii) 정렬 방법에 사용되는 매개변수, 예를 들어, 국소 대비 전역 정렬, 사용된 페어-점수 매트릭스(가령, BLOSUM62, PAM250, Gonnet 등등,) 및 갭 페널티 가령, 기능적 형태와 상수.
정렬을 수행한 후, 두 서열 간의 백분율 동일성을 산출해내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동일성의 수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i) 가장 짧은 서열의 길이; (ii) 정렬 길이; (iii) 서열의 평균 길이; (iv) 넌-갭(non-gap) 위치의 수; 또는 (v) 오버행을 제외한 등가 위치의 수. 더욱이, 백분율 동일성은 또한 길이 의존적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서열 쌍이 짧을수록 우연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서열 동일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단백질 또는 DNA 서열의 정확한 정렬은 복잡한 과정임을 이해할 것이다. 대중적인 다중 정렬 프로그램 ClustalW(Thompson et al., 1994, Nucleic Acids Research, 22, 4673-4680; Thompson et al., 1997, Nucleic Acids Research, 24, 4876-488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DNA의 다중 정렬을 생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이다. ClustalW에 적합한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DNA 정렬의 경우: 갭 오픈 패널티 = 15.0, 갭 연장 패널피 = 6.66, 그리고 매트릭스 = 동일성. 단백질 정렬의 경우: 갭 오픈 패널티 = 10.0, 갭 연장 패널피 = 0.2, 그리고 매트릭스 = Gonnet. DNA 및 단백질 정렬의 경우: ENDGAP = -1, 그리고 GAPDIST = 4. 당업자는 최적의 서열 정렬을 위해 이러한 매개변수 및 기타 매개변수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아미노산/폴리뉴클레오티드/폴리펩티드 서열 사이의 동일성 백분율의 산출은 (N/T)*100과 같은 정렬로부터 산출될 수 있는데, 여기서 N은 서열이 동일한 잔기를 공유하는 위치의 번호이고, T는 갭이 내포되며, 오버행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외하는 비교된 총 위치 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오버행들은 이러한 계산에 내포된다. 따라서, 두 서열 사이의 동일성 백분율을 계산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i)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대로 적절한 매개변수 세트를 사용하여 Clustal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열 정렬 준비; 그리고 (ii) N과 T의 값을 다음 공식에 대입:- 서열 동일성 = (N/T)*100.
유사한 서열을 확인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유사한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엄격한 조건 하에 DNA 서열 또는 그의 상보체에 혼성화하는 서열에 의해 코딩될 것이다. 엄격한 조건에 의해, 본 발명자들은 뉴클레오티드가 대략 45℃에서 3x 염화나트륨/시트르산나트륨(SSC)에서 필터-결합된 DNA 또는 RNA에 혼성화된 후, 대략 20-65℃에서 0.2x SSC/0.1% SDS에서 적어도 한 번 세척됨을 의미한다. 대안으로, 실질적으로 유사한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면, 서열 식별 번호: 1 ~ 8에 나타낸 서열로부터 적어도 1개, 그러나 5, 10, 20, 50 또는 100개 미만의 아미노산이 상이할 수 있다.
유전자 코드의 축중성으로 인해,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핵산 서열은 이에 의해 인코딩되는 단백질의 서열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변적이되거나 또는 변경되어, 그의 기능적 변이체를 제공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적합한 뉴클레오티드 변이체들은 해당 서열 내에서 동일한 아미노산을 인코딩하는 상이한 코돈들의 치환에 의해 변경된 서열을 갖고, 따라서 침묵(유사한) 변화가 생성된다. 다른 적합한 변이체들은 상동성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지만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변이체들이며, 이때 변이체들은 보존적 변화를 생성하기 위해 치환될 아미노산과 유사한 생물물리학적 특성의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을 인코딩하는 상이한 코돈의 치환에 의해 변경된다. 예를 들면, 작은 비-극성 소수성 아미노산에는 글리신, 알라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프롤린 및 메티오닌이 내포된다. 큰 비-극성 소수성 아미노산에는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티로신이 내포된다. 극성 중성 아미노산에는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이 내포된다. 양으로 전하된(염기성) 아미노산에는 라이신, 아르기닌 및 히스티딘이 내포된다. 음으로 하전된(산성) 아미노산에는 아스파르트산과 글루탐산이 내포된다. 따라서, 어떤 아미노산이 유사한 생물물리학적 특성을 갖는 아미노산으로 대체될 수 있는지 이해될 것이며, 숙련된 당업자는 이러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알고 있을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모든 특징들 (임의의 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을 포함) 및/또는 이렇게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들은 이러한 특징들 중 적어도 상호 배타적인 일부의 조합을 제외하고, 상기 기술된 측면들중 임의의 것과 조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그리고 동일한 실시예가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이제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LVO 환자들 및 비-LVO 뇌졸중 환자들에서 44개 임상 변수에 대한 단변량(univariate) 분석을 보여준다. 각 변수는 분포 정규성을 기반으로 분석되었다. 정규 분포 변수의 경우, 평균 및 표준 편차(SD)가 보고된다. 정규 분포가 아닌 변수의 경우, 중앙값 및 사분위수 범위(IQR)가 보고된다. P-값은 Student의 t(정규 분포 연속형 변수) Wilcoxon/Mann-Whitney(정규 분포 연속형 변수가 아님) 또는 카이-제곱(Chi-square) 검정(범주형 변수)에서 얻었고, Benjamini-Hochberg 방법으로 다중 비교를 위해 조정되었다. NIHSS: 국립 건강 뇌졸중 중증도 연구소. SBP: 수축기 혈압. APTT: 활성화된 부분적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PT: 프로트롬빈 시간. DBP: 이완기 혈압. RBC: 적혈구 세포. CRP: C-반응성 단백질. NLR: 호중구 대 림프구 비율. OBT: 뇌졸중 개시부터 혈액 수집 시간. MCV: 평균 혈구 용적. MCH: 평균 혈구 헤모글로빈. WBC: 백혈구 세포. * 및 ***는 차례로 p 값이 < 0.05 및 0.001을 나타낸다.
도 2의 A) LVO 환자들과 비-LVO 뇌졸중 환자들에서 측정된 혈액 바이오마커의 혈장 농도를 보여준다. B) 출혈성 뇌졸중 환자와 비-출혈성 뇌졸중 환자들에서 측정된 GFAP의 혈장 농도를 보여준다. ** 및 ***는 Wilcoxon-Mann-Whitney 차례로 p-값 < 0.01 및 p-값 < 0.001을 나타내며; n.s.는 p-값 > 0.05을 나타낸다.
도 3은 LVO 뇌졸증과 비-LVO 뇌졸중 간의 구별을 위해,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진 개별 바이오마커로 얻은 수용체 작동 특징적 (ROC) 곡선을 보여준다. 각 로지스틱 모델의 ROC 곡선 아래 영역(AUC)이 표시된다.
도 4는 단일 바이오마커 D-이량체, OPN 및 OPG에 구축된 로지스틱 모델의 진단 성능을 보여준다. ROC 곡선 분석으로 추정된 농도 컷-오프 값은 각 바이오마커 모델에 대해 보고된다. 진단 성능 측정값의 값이 표시되며, 괄호 안에 95% 신뢰 구간이 보고된다. P-값은 각 모델의 분할 행렬에 대한 Fisher의 정확한 검정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LR+: 양성 유사 비율; LR-: 음성 유사 비율; OR: 교차(odds) 비율.
도 5는 D-이량체, OPN, OPG 기반의 다변수 물류 모델과 GFAP, OPN, OPG, D-이량체 기반의 다변수 로지스틱 모델의 비교를 보여준다. 두 모델을 Akaike Information Criteorion(AIC), 모델 편차, 수신 작동 특성 곡선 아래 면적(AUC) 및 우도비(LR) 테스트와 비교한다. Df = LR 테스트의 자유도. P-값 < 0.05는 유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도 6는 뇌졸중 발병부터 혈액 수집 시간(OBT)까지에 따른 혈액 바이오마커 수준의 변화가 없음을 보여준다. 환자 코호트를 OBT 사분위수로 나누고, 차이를 분산 분석으로 평가했다. N.S. = 유의적이지 않음
도 7은 LVO 예측에 대한 단변량 회귀를 나타낸다. p-값은 관련 모델에서 공변량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D-이량체, OPN, OPG, 및 ADAMTS13의 수준은 로그 변환되었고, 한편 vWF 수준은 이차 변환을 겪었고; GFAP 수준에는 변환이 적용되지 않았다. D-이량체는 LVO에 대해 가장 유의한 예측값을 보였다 (OR 1.13, 95% CI 1.07 ~ 1.20; p-값<0.001).
도 8은 바이오마커 D-이량체 및 GFAP, 뇌졸중 점수 및 뇌졸중 점수와 바이오마커의 조합에 대한 LVO 예측을 위한 단변수 및 다변수 회귀 모델을 보여준다. 다변수 분석에서 LVO 예측을 위한 최적의 혈액 바이오마커 세트는 D-이량체(OR 15.44, 95% CI 4.91 ~ 57.6; p-값<0.0011) 및 GFAP (OR 0.83, 95% CI 0.5 ~ 0.99; p-값=0.03)이었음을 알아내었다.
도 9는 각 척도 단독, 또는 추가된 바이오마커와 함께, 로지스틱 회귀 모델 요약을 보여주는데, 이는 수신기 작동 특성 곡선(AUC) 아래 영역을 추정하여 LVO를 예측하는 정확도에 대해 비교되며, CIs는 95%로 표시된다. TLVO를 예측할 때, 각 뇌졸중 척도에 혈액 바이오마커들을 내포시킴으로써 부가된 값을 평가하기 위해, LR 테스트는 각 뇌졸중 척도 단독 모델과 바이오마커가 추가된 모델을 비교하여 수행되었다. D-이량체 및 GFAP의 추가는 뇌졸중 척도만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테스트된 각 뇌졸중 척도에 대해 개선된 적합도(즉, 더 낮은 AIC), LVO 예측(즉, 더 높은 AUC) 및 유의미한 LR 테스트를 가져왔다. FAST-ED 또는 EMSA를 이용한 D-이량체 및 GFAP의 조합은 LVO 예측에 대해 최고 LR+ (22.6, 95% CI 8.58 ~ 59.51 및 17.22, 95% CI 7.22 ~ 41.04, 차계로), LR-은 0.09 (95% CI 0.02 ~ 0.34) 또는 0.14 (95% CI 0.05 ~ 0.39), 민감도 91% (95% CI 71 ~ 98) 또는 86 (95% CI 66 ~ 97), 그리고 특이도 95% (95% CI 89 ~ 98) 또는 94% (95% CI 88 ~ 98)를 초래하였다 LR p-값은 뇌졸중 척도만 있는 모델과 바이오마커가 추가된 해당 모델 간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10은 바이오마커를 추가하거나, 또는 추가하지 않은 뇌졸중 규모 모델의 ROC 곡선을 보여준다. D-이량체 및 GFAP의 추가는 뇌졸중 척도만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테스트된 각 뇌졸중 척도에 대해 개선된 적합도(즉, 더 낮은 AIC), LVO 예측(즉, 더 높은 AUC) 및 유의미한 LR 테스트를 가져왔다.
도 11은 LVO 환자들 및 비-LVO 환자들의 혈장에서 D-이량체, OPN, OPG, vWF, ADAMTS13 및 GFAP의 혈장 농도 요약을 보여준다. 본 발명자들은 다음 혈액 바이오마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했다: D-이량체 (차례로, 1.31±2.0 및 0.42±0.45 μg/mL, p-값 < 0.001); OPN (차례로, 1.71±1.05 및 1.16±1.09 ng/mL, p-값 < 0.01); OPG (차례로,125.24±60.96 및 97.96±54.29 pg/mL, p-값 < 0.01). 중앙값(pg/mL)이 보고되며, IQR 값은 괄호 안에 표시된다. Wilcoxon-Mann Whitney p-값을 나타낸다.
도 12은 LVO 환자 및 비-LVO 환자에서 뇌졸중 중증도 점수 평가 요약을 제공한다. 모든 환자, LVO 및 비-LVO 환자에 대해 얻은 뇌졸중 중증도 척도의 중앙값. IQR 값은 괄호 안에 표시된다. Wilcoxon-Mann Whitney는 p-값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었다.
도 13은 서로 다른 조합(즉, 모델)에서 사용될 때 각 바이오마커 및 뇌졸중 중증도 점수와 관련된 방정식 계수를 보여준다. 모든 모델에는 항상 "Intercept" 계수가 있지만, 각 바이오마커의 계수는 바이오마커가 모델에 내포된 날씨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보고된 계수는 LVO 뇌졸중 점수를 계산할 때 사용된다.
도 14는 뇌졸중 점수와 바이오마커의 다양한 조합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양성 가능도 비율(LR+) 및 음성 가능도 비율(LR-)의 측정을 요약한다. 각 모델에 대해, 검정력 분석에 따라 최소 특이도 수준을 90%로 유지하면서 LVO 예측에 대한 특이도를 최대화하여 차단점(cut-off point)을 선택했다. 낙관적 예측에 대한 수정은 2000개의 리샘플(resample)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CI로 표시되었다. FAST-ED 또는 EMSA를 이용한 D-이량체 및 GFAP의 조합은 LVO 예측에 대해 최고 LR+ (22.6, 95% CI 8.58 ~ 59.51 및 17.22, 95% CI 7.22 ~ 41.04, spectively), LR-은 0.09 (95% CI 0.02 ~ 0.34) 또는 0.14 (95% CI 0.05 ~ 0.39), 민감도 91% (95% CI 71 ~ 98) 또는 86 (95% CI 66 ~ 97), 그리고 특이도 95% (95% CI 89 ~ 98) 또는 94% (95% CI 88 ~ 98)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1A: 샘플 준비
정맥 천자를 통해 인간 대상체로부터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EDTA 나트륨이 들어 있는 튜브에 수집하고, 즉시 얼음 위에 놓을 수 있다. 대안으로, CSF 샘플은 요추 천자로 얻을 수 있다.
바이오마커 검출 전 시료 처리의 필요성 및 처리 유형은 검출될 바이오마커 및/또는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데 사용할 분석에 따라 달라진다.
분석을 위해 전혈이 필요한 경우, 채취한 샘플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샘플은 식염수로 희석하여, 필요한 유형의 바이오마커 검출 분석과 호환되는 적절한 농도의 바이오마커를 얻을 수 있다.
분석에 혈장이 필요한 경우, 전혈 샘플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얻을 수 있다(가령, 4℃에서 2000g에서 15분 동안). 그런 다음, 혈장을 빼내어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바이오마커 검출 분석에 필요한 식염수로 희석할 수 있다.
실시예 1b: 상기 분석의 최적화
토끼 단일클론 항체는 Abcam, Cambridge UK에서 구입했다. 알려진 농도의 단리된 항체 또는 재조합 항체가 표적 바이오마커를 인지하고, 결합하는 항체의 특이도를 결정하기 위해, 예비 분석을 한다. 항체의 최적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간접 ELISA가 수행되는데, 이때 상기 단리된 또는 재조합 바이오마커 단백질은 ELISA 미량적정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토끼 단일클론 항-인간 바이오마커 항체를 미량적정 플레이트에 코팅시켜, 최대 신호를 얻는 데 필요한 항체 농도를 결정하며, 각 항체에 대한 간접 ELISA 검출의 하한을 결정할 수 있다. 희석된 샘플을 토끼 단일클론 항-인간 바이오마커 항체와 2 시간 동안 항온처리 및 적절한 세척을 실행한 후, 그 다음 바이오틴 라벨된 단일클론 항-인간 바이오마커 항체를 추가하고, 포획된 바이오마커와 함께 항온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여러 단계의 세척을 수행한 후, 스트렙타비딘과 결합된 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를 첨가한다. 시약을 1시간 동안 항온처리한 후, 다른 세척 단계를 수행한 후, 생성된 접합체를 과산화수소 테트라메틸 벤자딘과 접촉시키면 황색 생성물이 생성된다. 이 반응은 산성 용액을 추가하여 중단시키고, 450 나노미터에서의 흡광도에서 반응 신호는 잘못-측정된 것이며, 흡광도는 바이오마커의 농도에 비례한다. 알려진 바이오마커 농도에서 샘플에서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의 함수로서 흡광도 값을 플로팅하여 표준 곡선을 얻는다. 그런 다음,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미지의 샘플에서 표적 바이오마커의 양을 결정한다.
실시예 1C: 바이오마커 분석을 위한 재료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예시적인 시약에는 다음이 내포된다: 중탄산염나트륨 (Sigma Cat #: C-3041), 차단 완충액 (Startingblock T20-TBS) (Pierce Cat#: 37543), Tris 완충된 염과 Tween 20 (TBST; Sigma Cat #: T-9039). 인산염 완충된 염 (PBS; Sigma Cat #: P-3813); Tween 20 (Sigma Cat #: P5927); Ultra TMB ELISA (Pierce Cat #: 34028); 그리고 Nunc maxisorp ELISA 플레이트 (Fisher). 심장 지방산 결합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다중클론 항체 (H-FABP), 뇌 지방산 결합 단백질 (B-FABP), Abeta 1-40, OPG, 용해성 종양 괴사 인자-유사 자가사멸의 약한 유도자 (sTWEAK), pro-vWF,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RBP4), ADAMTS13, NMDA 수용체 2 펩티드 (NR2 펩티드), 20-HETE, 뇌 나트륨이뇨성 펩티드 (BNP),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D-이량체, C-반응성 단백질 (CRP),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9 (MMP9), 인터루킨 6 (IL-6), 오스테오폰틴 (OPN), Troponin I, s100b, 폰 빌레브란트 인자 (vWF), P-셀렉틴은 Abcam, Cambridge, UK로부터 구입했다. 수많은 서브타입의 항체에 대한 라벨은 Expedeon Ltd, Cambridge, UK에서 입수할 수 있다. 샘플의 단백질 농도는 알부민 표준과 함께 비신코닌산 미세단백질 분석(Pierce Inc., Rockford, IL, USA)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다른 모든 필요한 시약 및 재료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빌리루빈, 숙시네이트, N-아세틸아스파르테이트, 프로피오닐-L-카르니틴, 글루타메이트에 대한 비색 분석 키트는 Abcam, Cambridge, UK 및 Biovision Inc, Milpitas, CA에서 입수할 수 있다.
실시예 2
방법
환자 모집 및 샘플 처리
"최종적으로 잘 알려진 이후" 18시간 이내에 의심되는 뇌졸중 환자는 프Freeman hospital and of the Royal Victoria Infirmary hospital at Newcastle upon-Tyne (UK)에 도착한 후 소급하여 모집되었다. 도착 후 30분 이내에 4mL의 정맥혈 샘플 1개를 채취하여, 처리할 때까지 즉시 +4℃의 암실에서 보관했다. 혈액 혈장은 +4℃에서 15분 동안 2000 x g에서 전혈을 원심분리하여 얻었다. 샘플 처리 후, 혈장 샘플은 바이오마커 측정 전까지 -80℃에서 즉시 동결되었다.
진단의 판정
뇌졸중이 의심되는 170명의 환자를 구급차 구급대원과 ED 임상의에 의해 확인하였다. 뇌졸중 하위 유형, 유사 뇌졸중 또는 TIA 진단의 판단은 뇌 영상 결과 및 신경과 전문의 보고서를 기반으로 했다. 출혈성 뇌졸중의 진단은 컴퓨터 단층 촬영(CT) 뇌 스캔의 결과를 기반으로 했으며, 유사 뇌졸중 또는 일과성 허혈 발작(TIA)의 판정은 신경과 전문의 보고서를 기반으로 했다. 허혈성 뇌졸중 환자는 신경과 전문의 보고서, CT 혈관 조영술(CTA) 영상 및 NIHSS 점수에 따라 3가지 범주로 세분화되었다. "알 수 없음"으로 표시된 허혈성 뇌졸중 환자들은 진단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후속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23명의 "알려지지 않은" 허혈성 뇌졸중을 제외하고, 면역분석 검사를 위해 19개 샘플을 사용하여 128명의 뇌졸중 의심 환자로 구성된 최종 환자 코호트가 바이오마커 측정 및 통계 분석에 제출되었다.
NIHSS 점수에서 병원 전-뇌졸중 척도 도출
FAST 점수는 임의의 안면 마비가 있는 경우 1점(NIHSS 항목 4), 팔의 힘이 없는 경우 1점(NIHSS 항목 5a/b), 언어 장애에 대해 1점(NIHSS 항목 9)을 할당하여 산출되었다. FAST-ED는 Lima et al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산출되었고5, RACE 점수는 Perez de la Ossa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산출되었고7, CPSS는 Katz et al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산출되었고19, 그리고 EMSA는 Gropen et al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산출되었다10.
혈액 바이오마커의 측정
혈장 바이오마커는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상업용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LISA)으로 측정되었다. ELISA 키트 또는 일치하는 항체 쌍은 Abcam(Cambridge, UK)에서 구입했다: D-이량체 (제품 번호: ab196269), OPN (제품 번호: ab100618), OPG (제품 번호: ab100617), GFAP (제품 번호: ab222279), vWF (제품 번호: ab223864), 그리고 ADAMTS13 (제품 번호: ab234559). 각 바이오마커의 검출을 위한 혈장 샘플 희석액은 다음과 같다: D-이량체 (1:80), OPN (1:2), OPG (1:6), GFAP (1:2), vWF (1:4000), ADAMTS13 (1:800). 샘플을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희석 완충액에 희석시켰다. 모든 샘플을 이중으로 분석하였고, 평균값을 정량화에 사용했다. 모든 바이오마커에 대해 평균 변동 계수는 <10% 미만이었다. 바이오마커 정량화는 각 분석물의 알려진 농도로 얻은 보정 곡선에 대해 선형 또는 2차 다항식 보간법(polynomial interpolation)에 의해 수행되었다. GraphPad Prism 버전 8.4.3은 바이오마커 정량화에 사용되었다.
통계학적 분석
개별 혈액 바이오마커 또는 임상 변수의 단변량 분석을 위해 Shapiro-Wilk 테스트를 통해 분포의 정규성을 평가했다. 연속 변수의 경우, 정규 분포(Shapiro-Wilk p-값 > 0.1)를 Student's t-test로 분석하였고, 평균 및 표준 편차(SD) 값을 제시되며, 한편 비-정규 분포가 있는 변수의 경우 Wilcoxon-Mann-Whitney U 테스트가 사용되었으며, 중위수 및 사분위수 범위(IQR)가 보고된다. 그룹 간 차이는 범주형 변수에 대한 Pearson의 카이-제곱 검정으로 평가되었다. >10개 변수를 동시에 테스트할 때 Benjamini-Hochberg 방법으로 다중 가설 수정을 수행했다. 모든 혈액 바이오마커와 의심되는 뇌졸중의 하위유형 간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분산 분석이 사용되었다. 전반적인 유의미성이 확인된다면, Tukey의 검정으로 쌍대 비교(pairwise comparisons)를 수행했다.
LVO 예측을 위한 최적의 혈액 바이오마커 패널을 식별해내기 위해, 우리는 진단(LVO 대비 비-LVO)을 결과 변수로 사용하고, D-이량체, GFAP, OPN, OPG, vWF 및 ADAMTS13의 혈장 수준을 탐색적으로 사용하는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를 사용했다. Akaike 정보 기준(AIC) 수준을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단계적 제거가 모델 선택에 사용되었다. 예측 변수와 결과 측정 간의 선형성은 대수(ogarithmic) 및 이차 변환(quadratic transformation)을 통해 평가되었다. 변환은 AIC를 기반으로 선택되었다.
혈액 바이오마커의 추가가 LVO 식별을 위한 뇌졸중 중증도 척도의 정확도를 개선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우리는 진단을 결과 변수로 사용하고 최적 패널과 뇌졸중 중증도 척도 중 하나(FAST, FAST-ED, RACE, C-STAT 또는 EMSA)를 탐색 변수로 사용하는 두 번째 다변수 로지스틱을 사용했다. 척도의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에 이 접근 방식을 사용했고, 다양한 중증도 척도를 비교하는 것은 이 작업의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이 접근 방식은 모델의 공선성(collinearity) 수준을 감소시켰다.
혈액 바이오마커 패널과 뇌졸중 척도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우도비 검정(LR)과 AIC를 사용하였다. 95% CI를 갖는 수신기 작동 특성 곡선(AUC) 아래의 면적을 식별의 척도로 사용했다. 선택된 컷-오프 포인트에서, 민감도, 특이도, 양성 우도비(LR+) 및 음성 우도비(LR-)도 평가되었다. 각 모델에 대해, 우리의 검정력 분석에 따라 최소 특이도 수준을 90%로 유지하면서 LVO 예측에 대한 특이도를 최대화하여 차단점(cut-off point)을 선택했다. 낙관적 예측에 대한 수정은 2000개의 리샘플(resample)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신뢰 구간(CI)으로 표시되었다.
모든 분석은 nnet, ROCR, caret, tintyverse, oddsratio, lmtest 및 OptimalCutpoints 패키지를 사용하여 RStudio 버전 1.2.5033의 도움으로 R 버전 3.6.2에서 수행되었다.
실시예 2A: 코호트 설명 및 임상 변수 분석
본 연구에서, 발명자들은 뇌졸중이 의심되는 170명의 환자를 소급적으로 모집했다. 진단 판정(방법) 후, 본 발명자들은 하기 뇌졸중 하위유형으로 구성된 128명의 뇌졸중 의심 환자의 최종 코호트를 얻었다: 출혈성 뇌졸중 (n=16, 12.5%), LVO 허혈성 뇌졸중 (n=23, 18%), 비-LVO 허혈성 뇌졸중 (n=42, 33%), 유사 뇌졸중 (n=31, 24%), 일과성 허혈성 발작 (n=16, 12.5%). 코호트의 중앙 뇌졸중 발병에서 혈액 수집 시간(OBT)은 158분(IQR = 161.5분)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각 환자와 관련된 42개의 임상 변수의 LVO와 비-LVO 환자(허혈성 비-LVO, 출혈성 뇌졸중 및 비-뇌졸중 환자를 비롯하여) 간의 차이를 평가했다 (도 1). 다중 가설 테스트를 위한 조정 후, 본 발명자들은 NIHSS 점수에서 상당한 차이를 발견했다 (p-값 = 7.04e-08; 정중 LVO vs 비-LVO: 18 vs 3; IQR LVO vs 비-LVO: 8.5 vs 5), 심방 세동의 존재 (p-값 = 0.0002; 부재/존재 LVO vs 비-LVO: 11/12 vs 94/11), 그리고 수축기 혈압 (p-값 = 0.033; 평균 LVO vs 비-LVO: 140 vs 157; SD LVO vs 비-LVO: 22 vs 29). 우리 코호트에서, 연령과 성별은 LVO 진단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참고로, 우리는 LVO 환자 대 비-LVO 환자에서 뇌졸중 발병부터 혈액 회수까지의 시간에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다.
실시예 2B: LVO 식별을 위한 혈액 바이오마커
그런 다음, 본 발명자들은 환자 코호트에서 혈액 단백질 패널의 수준을 조사하기 시작했고, 발명자들은 LVO 환자 및 비-LVO 환자의 혈장에서 D-이량체, 오스테오폰틴 (OPN),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von-Willebrand factor (vWF), 트롬보스폰딘 유형 I 모티프를 갖는 디스인테그린 및 메탈로프로테이나제, 구성원 13 (ADAMTS13), 그리고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의 수준을 측정했다 (도 2A, 7 및 11). 본 발명자들은 다음 혈액 바이오마커에 대해 LVO 환자 대비 비-LVO 환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했다: D-이량체 (p-값 < 0.001; 평균 LVO vs 비-LVO: 1.31 vs 0.42 μg/mL; SD LVO vs 비-LVO: 2.00 vs 0.45 μg/mL), OPN (p-값 < 0.01; 평균 LVO vs 비-LVO: 1.71 vs 1.16 ng/mL; SD LVO vs 비-LVO: 1.05 vs 1.09 ng/mL), 및 OPG (p-값 < 0.01; 평균 LVO vs 비-LVO: 125.24 vs 97.96 pg/mL; SD LVO vs 비-LVO: 60.96 vs 54.29 pg/mL). 특정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본 발명자들은 이 데이터가 패널에서 테스트된 바이오마커 중에서 D-이량체, OPN 및 OPG가 LVO 뇌졸중의 식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믿는다.
그런 다음,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중요한 바이오마커의 수준에 기초하여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구축했다. 발명자들은 각 모델의 ROC 곡선 아래 면적을 추정하였고, D-이량체가 0.80의 AUC를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OPN 및 OPG와 관련된 AUC는 각각 0.66 및 0.67이었다 (도 2). ROC 곡선 분석을 통해 우리는 50%의 최소 민감도 수준을 유지하면서 LVO 식별을 위한 진단 특이도를 최대화하여, D-이량체, OPN 및 OPG에 대한 컷-오프 수준을 추정했다(표 2). 3가지 바이오마커 모두 LVO 식별에 대해 >70%의 특이도를 달성했으며, D-이량체는 거의 90%의 특이도를 달성했다 (도 4). 특히, D-이량체, OPN, 및 OPG는 LVO 상태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고, 차례로 OR 10.34(CI 95%: 4.65-20), 3.05(CI 95%: 1.48-5.63) 및 3.36(CI 95%: 1.68-6.32)이었다.
GFAP는 출혈성 뇌졸중과의 알려진 연관성으로 인해 발명가 패널에 내포되었다20-22. 이 가설에 따라, GFAP 수준은 비출혈성 뇌졸중 환자 및 비-뇌졸중 환자에 비해 출혈성 뇌졸중에서 증가했다 (도 1B; p-값 = 0.007; 평균 출혈성 vs 비-출혈성/비-뇌졸중: 1043.46 vs 66.10 pg/mL; SD 출혈성 vs 비-출혈성: 2581.28 vs 127.24 pg/mL). 본 발명자들은 우리 코호트에서 출혈성 뇌졸중의 식별을 위해 GFAP 혈장 수준을 기반으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구축했다. ROC 곡선 분석을 적용하여, GFAP 수준에서 265pg/mL의 컷-오프 값이 88%의 정확도, 30%의 민감도 및 96%의 특이도로 출혈 환자를 식별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265pg/mL보다 높은 GFAP 수치는 우리 코호트에서 출혈성 뇌졸중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 (OR: 12.27; CI 95%: 2.87-52.52; p-값 = 0.0015).
본 발명자의 발견은 OPN, OPG 및 D-이량체(OOD)로 구성된 바이오마커 패널이 LVO의 식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자들은 OOD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기반으로 로지스틱 모델을 구축하였고, ROC 곡선 분석을 적용하여 LVO 식별을 위한 가장 높은 정확도로 로지스틱 모델 임계값을 추정했다 (도 5). 본 발명자들은 0.69의 모델 임계값이 LVO 환자를 정확도 83%(CI 95%: 79-88%), 민감도 57%(CI 95%: 42-71%), 특이도 90%(CI 95%: 86-93%), 양성 가능성 비율 5.7 (CI 95%: 3.47-9.39) 및 음의 가능성 비율 0.48(CI 95%: 0.32-0.64)로 식별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참고로, 모델 값이 0.69 미만인 환자들은 모델 값이 더 높은 환자들에 비해, LVO 뇌졸중을 겪을 확률이 12배 이상 높았다 (OR 12.56; CI 95%: 5.48-27.71). 이러한 발견은 OPN, OPG 및 D-이량체(OOD)로 구성된 바이오마커 패널이 LVO의 식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추가로, 본 발명자의 발견은 바이오마커 패널에 GFAP를 포함하는 것이 의심되는 뇌졸중 환자 집단에서 출혈성 뇌졸중을 배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잠재적으로 LVO 식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GFAP, OPN, OPG 및 D-이량체(GOOD)로 구성된 바이오마커 패널의 LVO 진단 성능을 추정하였고, 그 성능을 OOD 모델과 비교했다 (도 5). ROC 곡선 분석으로 정확도 극대화로 LVO 환자 식별이 가능한 0.59의 로지스틱 모델 임계값을 정확도 86%(CI 95%: 82-90%), 민감도 52%(CI 95%: 38-67%), 특이도 94%(CI 95%: 91-97%), 양성 가능성 비율 10.14(CI 95%: 5.09-21.67) 및 음의 가능성 비율 0.51(CI 95%: 0.35-0.66)로 추정하였다. 특히, OOD 패널에 GFAP를 포함시키면 LVO 환자가 양성 반응을 보일 확률이 거의 두 배가 되었다(OR 21.06; CI 95%: 8.17-50). 가장 높은 예측 정확도(컷-오프=0.59)로 로지스틱 모델 임계값을 적용하여 다음 범위의 바이오마커 수준을 가진 환자를 식별했다: GFAP: 17.43-184.27 pg/mL; OPN: 0.71-1.86 ng/mL; OPG: 73.34-205.47 pg/mL; D-이량체: 2.42-4.65 μg/mL.
본 발명자들은 GOOD 바이오마커 모델의 로지스틱 모델 역치를 변화시켜 얻은 다양한 수준의 진단 성능을 추정했다 (도 6). 본 발명자들은 모델 값 분포를 십분위로 나누었고, 처음 두 십분위수(로지스틱 모델 값: 0.18-0.71)는 LVO 식별에 가장 중요함을 알았다. 또한, 로지스틱 모델 임계값이 각각 첫 번째 및 두 번째 십분위수에 설정되었을 때, LVO 환자가 양성 반응을 보일 교차비(odds ratio)는 차례로 16.67(CI 95%: 5.44-51.4, p-값 = 0.00011) 및 5.55(CI 95%: 2.11-12.50, p-값 = 0.0129)이었다(도 6).
이러한 데이터는 GFAP, OPN, OPG 및 D-이량체(GOOD)로 구성된 바이오마커 패널이 입원 전 뇌졸중 의심 환자 집단에서 LVO를 식별하기 위한 매우 구체적인 도구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추가적인 다변수 분석을 수행하였고, 놀랍게도 LVO 예측을 위한 최적의 혈액 바이오마커 세트는 D-이량체(OR 15.44, 95% CI 4.91 ~ 57.6; p-값<0.0011) 및 GFAP (OR 0.83, 95% CI 0.5 ~ 0.99; p-값=0.03, 도 10)이었음을 알아내었다. LVO 예측을 위한 D-이량체 및 GFAP가 있는 모델의 AUC는 81%(95% CI 74~88%; (도 9))이고, 정확도는 85%(95% CI 81~89%, 표 5)였다. 본 발명자들은 특이도를 최대화하여 모델 임계값을 추정하였고, 민감도 수준 56% (95% CI 34 ~ 76%), 특이도 91% (95% CI 84 ~ 96%), LR+ of 6.99 (95% CI 3.29 ~ 14.88), 그리고 LR- 0.47 (95% CI 0.3 to 0.76)을 얻었다: (도 14).
실시예 2D - 필드 스트로크 스케일과 바이오마커의 통합
현장에서 LVO 뇌졸중의 식별을 위해 환자 증상을 기반으로 하는 몇 가지 입원-전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LVO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진단 민감도를 나타내었지만, 그러나 진단 특이도이 부족하다5,7,10,19,23. 본 발명자의 발견은 GOOD 바이오마커 패널이 LVO 식별을 위한 매우 구체적인 도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혈액 바이오마커 패널의 포함이 LVO 병원 전 뇌졸중 척도의 진단 특이도를 개선할 수 있는지 여부를 가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NIHSS 점수 항목을 사용하여 뇌졸중 척도 FAST, FAST-ED, RACE, CPSS 및 EMSA를 도출하였고, 설정된 척도 임계값에서 진단 성능을 추정했다 (도 7). 이 코호트에서, FAST-ED와 RACE는 차례로, 84%(CI 95%: 80-89) 및 86%(CI 95%: 82-91)의 정확도, 그리고 OR이 각각 32.11(12.86-81.4) 및 24.54(10.73-52.78)이다.
그런 다음, 본 발명자들은 혈액 바이오마커를 입원-전 뇌졸중 척도에 결합하였고, GOOD 패널이 시험된 모든 뇌졸중 척도의 진단 성능을 개선함을 발견했다(도 8 및 14 ). GOOD와 FAST-ED의 조합으로 LVO 예측에 대한 최고의 진단 성능을 얻었고, 정확도 96%(CI 95%: 94-98), 민감도 91%(CI 95%: 83-100), 특이도 97%(CI 95%: 95-99)를 달성했다. 이 모델에 따르면, LVO 환자는 비-LVO 환자에 비해 양성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39배(CI 95%: 18.2-96.09)배 더 높았다. 본 발명자들은 우리의 바이오마커와 FAST-ED 척도 사이에 상당한 연관성을 발견했지만 (GFAP: p-값 = 0.00139; OPN: p-값 = 0.01321; OPG: p-값 = 0.04144; D-이량체: p-값 = 0.00002), GOOD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구축된 로지스틱 모델은 이러한 연관성을 조정한 후에도 여전히 매우 중요했다(Fisher의 정확도 p-값 = 6.53e-12).
본 발명자들에 의한 추가 분석에서 D-이량체 및 GFAP의 추가는 뇌졸중 척도만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테스트된 각 뇌졸중 척도에 대해 개선된 적합도(즉, 더 낮은 AIC), LVO 예측(즉, 더 높은 AUC) 및 유의미한 LR 테스트를 가져왔다 (도 9, 10 및 14). FAST-ED 또는 EMSA를 이용한 D-이량체 및 GFAP의 조합은 LVO 예측에 대해 최고 LR+ (22.6, 95% CI 8.58 ~ 59.51 및 17.22, 95% CI 7.22 ~ 41.04, 차례로), LR-은 0.09 (95% CI 0.02 ~ 0.34) 또는 0.14 (95% CI 0.05 ~ 0.39), 민감도 91% (95% CI 71 ~ 98) 또는 86 (95% CI 66 ~ 97), 그리고 특이도 95% (95% CI 89 ~ 98) 또는 94% (95% CI 88 ~ 98)를 초래하였다.
어떤 특정한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본 발명자의 발견은 D-이량체, OPN, OPG 및 GFAP, 특히 D-이량체 및 GFAP와 병원 전 뇌졸중 척도의 조합이 매우 정확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고, LVO 뇌졸중의 식별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논의
본 발명자들은 처음으로 LVO 뇌졸중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 OPN, OPG 및 D-이량체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GFAP, OPN, OPG 및 D-이량체(GOOD)로 구성된 바이오마커 패널이 대혈관 폐색(LVO)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고도로 특이적인(94%) 식별을 위한 귀중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음을 또한 입증했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GOOD 바이오마커 패널을 환자 증상에 기초하여, 입원-전 뇌졸중 척도와 조합하는 것이 LVO 식별을 위한 전례 없는 진단 정확도(>95%)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자들은 뇌졸중이 의심되는 환자 128명의 혈장을 분석했다. 확인된 모든 허혈성 뇌졸중과 비교하여, LVO 뇌졸중의 관찰된 비율은 32%로 이전 보고서와 일치한다1. 추가로, 우리가 관찰한 유사 뇌졸중 비율(29%)은 다른 연구와 비슷하다67.
본 발명자들은 GFAP 수준에 대한 265pg/mL의 컷오프 값이 30%의 민감도 및 96%의 특이도로 출혈 환자를 식별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자들이 아는 한, LVO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진단 도구로서 GFAP 측정의 능력을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없었다. 추가로, 이전 연구에서는 LVO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혈장 GFAP 측정의 능력을 다루지 않았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 다른 혈액 바이오마커로 측정했을 때, GFAP는 의심되는 뇌졸중 집단에서 출혈 환자를 배제함으로써, LVO 식별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증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혈장 GFAP의 측정이 LVO 환자를 진단하고 분류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첫 번째 증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의 결과는 OPN 및 OPG가 비-LVO 환자들과 비교하여, LVO에서 개별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또한 보여주며, 뿐만 아니라 두 바이오마커는 개별적으로, 또는 본 발명자의 바이오마커 패널에서 결합될 때, LVO 식별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전에 발표된 연구는 허혈성 뇌졸중의 하위 유형 또는 허혈성 뇌졸중과 대조군 사이의 D-이량체 수준을 비교하는 데 중점을 두었지만, 본 발명자들의 연구는 출혈성 뇌졸중, 비-LVO 허혈성 뇌졸중, 유사 뇌졸중 및 TIA를 포함하는 이질적인 뇌졸중 의심 환자 그룹과 비교하여, LVO 환자의 D-이량체 수준을 평가했고, 따라서 이로써 현실적인 임상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한다.
본 발명자들이 아는 한, 이것은 입원-전 환경에서 발견된 것과 매우 유사한 뇌졸중 의심 환자 집단과 비교하여, LVO 환자에서 증가된 D-이량체 수준의 첫 번째 증거다.
본 발명자들은 다중 바이오마커를 패널로 조합하는 것이 개별 바이오마커의 사용과 비교하여 LVO 식별을 위한 더 높은 진단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서, GFAP, OPN, OPG 및 D-이량체의 조합은 86% 정확도로 LVO 뇌졸중을 식별할 수 있게 하고, 이는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개별 바이오마커 (가량, D-이량체)와 비교하여 더 높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바이오마커 단독 측정은 여전히 LVO 뇌졸중을 진단하는 정확한 수단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D-이량체는 단독으로 83%의 진단 정확도를 보였고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준의 특이도와 민감도(각각 89% 및 52%)를 보였고, D-이량체와 GFAP의 조합은 각각 91% 및 56%의 특이도 및 감도로 훨씬 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발견들은 비록 더 복잡한 바이오마커 패널이 LVO 뇌졸중의 더 정확한 식별을 허용하지만, 바이오마커, 특히 D-이량체의 단독 측정은 특정 임상 시나리오, 예를 들어, 혈액 샘플링 기술로 많은 양의 혈액을 수집할 수 없는 시나리오(가령, 현장에서 손가락으로 찌르는 샘플링) 또는 테스트 단순성과 신속성이 우선인 경우(가령, 구급차)에서 선택될 수 있다.
입원-전 환경에서, LVO 뇌졸중 환자를 식별하기 위해 환자 증상에 기반한 여러 뇌졸중 척도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LVO 입원-전 뇌졸중 척도 FAST-ED, RACE, CPSS 및 EMSA를 도출했다. 추가로, 현재 가장 널리 적용되는 입원-전 척도인 FAST 점수를 도출했다. 본 발명자들은 LVO 식별을 위해 이러한 척도의 진단 척도를 추정하고, 이전 연구에 비해 예측 성능이 더 높다는 것을 관찰했다.5-10. 이는 훈련된 구급대원이 아닌 전문 신경과 전문의가 취한 각 환자의 NIHSS 점수에서 이러한 뇌졸중 척도를 도출했기 때문일 수 있다.
현장에서 LVO 환자를 식별하는 전반적인 목표는 전문 기능을 갖춘 뇌졸중 센터로 뇌졸중 의심 환자를 이송하는 방향으로 구급차 직원의 결정을 도우는 것이다. LVO 뇌졸중 환자는 혈관내 혈전 절제술(EVT)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이러한 환자를 식별하면 가장 가까운 뇌졸중 센터가 아니더라도 EVT 가능 센터로 이송할 수 있다. LVO 환자를 EVT 가능 센터로 직접 이송하면, 병원 간 이송에 비해 치료 및 환자 결과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4.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병원 전 뇌졸중 척도의 사용은 국가에 흩어져 있으며, 그 임상적 가치는 여전히 검증되고 확인되어야 한다. 이것은 이전에 제안된 바와 같이25, 지금까지 입증된 LVO에 대한 제한된 진단 특이도 때문일 수 있다. 실제로, 교통에서 가장 가까운 뇌졸중 센터, 가장 가까운 EVT 가능 센터로의 구급차 여정을 수정하려면 높은 수준의 특이도(또는 양성 예측값)이 필요하다.26.
이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LVO의 식별을 위해 입원-전 뇌졸중 척도와 혈액 바이오마커의 조합을 제안한다. 본 발명자들은 LVO 뇌졸중에 대한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확인했으며, 입원-전 뇌졸중 척도와 함께 GOOD 바이오마커 패널에 구축된 모델이 혈액 바이오마커, 뇌졸중 척도의 사용과 비교하여 LVO에 대한 훨씬 더 높은 예측 능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입증했다. 본 발명자들은 GOOD 바이오마커 패널과 FAST-ED의 조합이 LVO에 대한 최고의 진단 정확도(96%)를 초래한다는 것을 관찰했고, 한편으로 RACE와의 조합이 가장 높은 감도(81%)로 이어졌다. 참고로, GOOD 패널을 FAST 또는 EMSA와 결합할 때 가장 높은 진단 특이도(98%)를 얻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발견은 바이오마커 패널을 병원 전 뇌졸중 척도와 결합하면 현장에서 자신 있게 LVO 환자를 분류하는 데 꼭 필요한 진단 성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 전체는 청구된 발명(들)이 실시될 수 있고 큰 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에 대한 우수한 진단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체예들을 예시로서 보여준다. 본 개시 내용의 장점 및 특징은 실시예의 대표적인 샘플일 뿐이며, 소모적이거나 및/또는 배타적이지 않다. 예시들은 주장된 기능을 이해하고, 교시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용도로만 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구체예, 실시예, 기능, 특징, 구조 및/또는 기타 측면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 또는 청구범위와 균등물에 대한 제한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체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구체예들은 개시된 요소, 구성요소, 특징, 부품, 단계, 수단 등의 다양한 조합을 적절하게 포함하거나, 구성되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는 현재 청구되지 않았지만, 미래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이 내포될 수 있다.
참조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SEQUENCE LISTING <110> PockiT Diagnostics Ltd <120> Method for Diagnosing Stroke caused by Large Vessel Occlusion <130> 87271PCT1 <150> 2005632.1 <151> 2020-04-17 <160> 8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86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Phe Ser Met Arg Ile Val Cys Leu Val Leu Ser Val Val Gly Thr 1 5 10 15 Ala Trp Thr Ala Asp Ser Gly Glu Gly Asp Phe Leu Ala Glu Gly Gly 20 25 30 Gly Val Arg Gly Pro Arg Val Val Glu Arg His Gln Ser Ala Cys Lys 35 40 45 Asp Ser Asp Trp Pro Phe Cys Ser Asp Glu Asp Trp Asn Tyr Lys Cys 50 55 60 Pro Ser Gly Cys Arg Met Lys Gly Leu Ile Asp Glu Val Asn Gln Asp 65 70 75 80 Phe Thr Asn Arg Ile Asn Lys Leu Lys Asn Ser Leu Phe Glu Tyr Gln 85 90 95 Lys Asn Asn Lys Asp Ser His Ser Leu Thr Thr Asn Ile Met Glu Ile 100 105 110 Leu Arg Gly Asp Phe Ser Ser Ala Asn Asn Arg Asp Asn Thr Tyr Asn 115 120 125 Arg Val Ser Glu Asp Leu Arg Ser Arg Ile Glu Val Leu Lys Arg Lys 130 135 140 Val Ile Glu Lys Val Gln His Ile Gln Leu Leu Gln Lys Asn Val Arg 145 150 155 160 Ala Gln Leu Val Asp Met Lys Arg Leu Glu Val Asp Ile Asp Ile Lys 165 170 175 Ile Arg Ser Cys Arg Gly Ser Cys Ser Arg Ala Leu Ala Arg Glu Val 180 185 190 Asp Leu Lys Asp Tyr Glu Asp Gln Gln Lys Gln Leu Glu Gln Val Ile 195 200 205 Ala Lys Asp Leu Leu Pro Ser Arg Asp Arg Gln His Leu Pro Leu Ile 210 215 220 Lys Met Lys Pro Val Pro Asp Leu Val Pro Gly Asn Phe Lys Ser Gln 225 230 235 240 Leu Gln Lys Val Pro Pro Glu Trp Lys Ala Leu Thr Asp Met Pro Gln 245 250 255 Met Arg Met Glu Leu Glu Arg Pro Gly Gly Asn Glu Ile Thr Arg Gly 260 265 270 Gly Ser Thr Ser Tyr Gly Thr Gly Ser Glu Thr Glu Ser Pro Arg Asn 275 280 285 Pro Ser Ser Ala Gly Ser Trp Asn Ser Gly Ser Ser Gly Pro Gly Ser 290 295 300 Thr Gly Asn Arg Asn Pro Gly Ser Ser Gly Thr Gly Gly Thr Ala Thr 305 310 315 320 Trp Lys Pro Gly Ser Ser Gly Pro Gly Ser Thr Gly Ser Trp Asn Ser 325 330 335 Gly Ser Ser Gly Thr Gly Ser Thr Gly Asn Gln Asn Pro Gly Ser Pro 340 345 350 Arg Pro Gly Ser Thr Gly Thr Trp Asn Pro Gly Ser Ser Glu Arg Gly 355 360 365 Ser Ala Gly His Trp Thr Ser Glu Ser Ser Val Ser Gly Ser Thr Gly 370 375 380 Gln Trp His Ser Glu Ser Gly Ser Phe Arg Pro Asp Ser Pro Gly Ser 385 390 395 400 Gly Asn Ala Arg Pro Asn Asn Pro Asp Trp Gly Thr Phe Glu Glu Val 405 410 415 Ser Gly Asn Val Ser Pro Gly Thr Arg Arg Glu Tyr His Thr Glu Lys 420 425 430 Leu Val Thr Ser Lys Gly Asp Lys Glu Leu Arg Thr Gly Lys Glu Lys 435 440 445 Val Thr Ser Gly Ser Thr Thr Thr Thr Arg Arg Ser Cys Ser Lys Thr 450 455 460 Val Thr Lys Thr Val Ile Gly Pro Asp Gly His Lys Glu Val Thr Lys 465 470 475 480 Glu Val Val Thr Ser Glu Asp Gly Ser Asp Cys Pro Glu Ala Met Asp 485 490 495 Leu Gly Thr Leu Ser Gly Ile Gly Thr Leu Asp Gly Phe Arg His Arg 500 505 510 His Pro Asp Glu Ala Ala Phe Phe Asp Thr Ala Ser Thr Gly Lys Thr 515 520 525 Phe Pro Gly Phe Phe Ser Pro Met Leu Gly Glu Phe Val Ser Glu Thr 530 535 540 Glu Ser Arg Gly Ser Glu Ser Gly Ile Phe Thr Asn Thr Lys Glu Ser 545 550 555 560 Ser Ser His His Pro Gly Ile Ala Glu Phe Pro Ser Arg Gly Lys Ser 565 570 575 Ser Ser Tyr Ser Lys Gln Phe Thr Ser Ser Thr Ser Tyr Asn Arg Gly 580 585 590 Asp Ser Thr Phe Glu Ser Lys Ser Tyr Lys Met Ala Asp Glu Ala Gly 595 600 605 Ser Glu Ala Asp His Glu Gly Thr His Ser Thr Lys Arg Gly His Ala 610 615 620 Lys Ser Arg Pro Val Arg Asp Cys Asp Asp Val Leu Gln Thr His Pro 625 630 635 640 Ser Gly Thr Gln Ser Gly Ile Phe Asn Ile Lys Leu Pro Gly Ser Ser 645 650 655 Lys Ile Phe Ser Val Tyr Cys Asp Gln Glu Thr Ser Leu Gly Gly Trp 660 665 670 Leu Leu Ile Gln Gln Arg Met Asp Gly Ser Leu Asn Phe Asn Arg Thr 675 680 685 Trp Gln Asp Tyr Lys Arg Gly Phe Gly Ser Leu Asn Asp Glu Gly Glu 690 695 700 Gly Glu Phe Trp Leu Gly Asn Asp Tyr Leu His Leu Leu Thr Gln Arg 705 710 715 720 Gly Ser Val Leu Arg Val Glu Leu Glu Asp Trp Ala Gly Asn Glu Ala 725 730 735 Tyr Ala Glu Tyr His Phe Arg Val Gly Ser Glu Ala Glu Gly Tyr Ala 740 745 750 Leu Gln Val Ser Ser Tyr Glu Gly Thr Ala Gly Asp Ala Leu Ile Glu 755 760 765 Gly Ser Val Glu Glu Gly Ala Glu Tyr Thr Ser His Asn Asn Met Gln 770 775 780 Phe Ser Thr Phe Asp Arg Asp Ala Asp Gln Trp Glu Glu Asn Cys Ala 785 790 795 800 Glu Val Tyr Gly Gly Gly Trp Trp Tyr Asn Asn Cys Gln Ala Ala Asn 805 810 815 Leu Asn Gly Ile Tyr Tyr Pro Gly Gly Ser Tyr Asp Pro Arg Asn Asn 820 825 830 Ser Pro Tyr Glu Ile Glu Asn Gly Val Val Trp Val Ser Phe Arg Gly 835 840 845 Ala Asp Tyr Ser Leu Arg Ala Val Arg Met Lys Ile Arg Pro Leu Val 850 855 860 Thr Gln 865 <210> 2 <211> 3654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2 aatcctttct ttcagctgga gtgctcctca ggagccagcc ccacccttag aaaagatgtt 60 ttccatgagg atcgtctgcc tggtcctaag tgtggtgggc acagcatgga ctgcagatag 120 tggtgaaggt gactttctag ctgaaggagg aggcgtgcgt ggcccaaggg ttgtggaaag 180 acatcaatct gcctgcaaag attcagactg gcccttctgc tctgatgaag actggaacta 240 caaatgccct tctggctgca ggatgaaagg gttgattgat gaagtcaatc aagattttac 300 aaacagaata aataagctca aaaattcact atttgaatat cagaagaaca ataaggattc 360 tcattcgttg accactaata taatggaaat tttgagaggc gatttttcct cagccaataa 420 ccgtgataat acctacaacc gagtgtcaga ggatctgaga agcagaattg aagtcctgaa 480 gcgcaaagtc atagaaaaag tacagcatat ccagcttctg cagaaaaatg ttagagctca 540 gttggttgat atgaaacgac tggaggtgga cattgatatt aagatccgat cttgtcgagg 600 gtcatgcagt agggctttag ctcgtgaagt agatctgaag gactatgaag atcagcagaa 660 gcaacttgaa caggtcattg ccaaagactt acttccctct agagataggc aacacttacc 720 actgataaaa atgaaaccag ttccagactt ggttcccgga aattttaaga gccagcttca 780 gaaggtaccc ccagagtgga aggcattaac agacatgccg cagatgagaa tggagttaga 840 gagacctggt ggaaatgaga ttactcgagg aggctccacc tcttatggaa ccggatcaga 900 gacggaaagc cccaggaacc ctagcagtgc tggaagctgg aactctggga gctctggacc 960 tggaagtact ggaaaccgaa accctgggag ctctgggact ggagggactg caacctggaa 1020 acctgggagc tctggacctg gaagtactgg aagctggaac tctgggagct ctggaactgg 1080 aagtactgga aaccaaaacc ctgggagccc tagacctggt agtaccggaa cctggaatcc 1140 tggcagctct gaacgcggaa gtgctgggca ctggacctct gagagctctg tatctggtag 1200 tactggacaa tggcactctg aatctggaag ttttaggcca gatagcccag gctctgggaa 1260 cgcgaggcct aacaacccag actggggcac atttgaagag gtgtcaggaa atgtaagtcc 1320 agggacaagg agagagtacc acacagaaaa actggtcact tctaaaggag ataaagagct 1380 caggactggt aaagagaagg tcacctctgg tagcacaacc accacgcgtc gttcatgctc 1440 taaaaccgtt actaagactg ttattggtcc tgatggtcac aaagaagtta ccaaagaagt 1500 ggtgacctcc gaagatggtt ctgactgtcc cgaggcaatg gatttaggca cattgtctgg 1560 cataggtact ctggatgggt tccgccatag gcaccctgat gaagctgcct tcttcgacac 1620 tgcctcaact ggaaaaacat tcccaggttt cttctcacct atgttaggag agtttgtcag 1680 tgagactgag tctaggggct cagaatctgg catcttcaca aatacaaagg aatccagttc 1740 tcatcaccct gggatagctg aattcccttc ccgtggtaaa tcttcaagtt acagcaaaca 1800 atttactagt agcacgagtt acaacagagg agactccaca tttgaaagca agagctataa 1860 aatggcagat gaggccggaa gtgaagccga tcatgaagga acacatagca ccaagagagg 1920 ccatgctaaa tctcgccctg tcagagactg tgatgatgtc ctccaaacac atccttcagg 1980 tacccaaagt ggcattttca atatcaagct accgggatcc agtaagattt tttctgttta 2040 ttgcgatcaa gagaccagtt tgggaggatg gcttttgatc cagcaaagaa tggatggatc 2100 actgaatttt aaccggacct ggcaagacta caagagaggt ttcggcagcc tgaatgacga 2160 gggggaagga gaattctggc taggcaatga ctacctccac ttactaaccc aaaggggctc 2220 tgttcttagg gttgaattag aggactgggc tgggaatgaa gcttatgcag aatatcactt 2280 ccgggtaggc tctgaggctg aaggctatgc cctccaagtc tcctcctatg aaggcactgc 2340 gggtgatgct ctgattgagg gttccgtaga ggaaggggca gagtacacct ctcacaacaa 2400 catgcagttc agcacctttg acagggatgc agaccagtgg gaagagaact gtgcagaagt 2460 ctatggggga ggctggtggt ataataactg ccaagcagcc aatctcaatg gaatctacta 2520 ccctgggggc tcctatgacc caaggaataa cagtccttat gagattgaga atggagtggt 2580 ctgggtttcc tttagagggg cagattattc cctcagggct gttcgcatga aaattaggcc 2640 ccttgtgacc caataggctg aagaagtggg aatgggagca ctctgtcttc tttgctagag 2700 aagtggagag aaaatacaaa aggtaaagca gttgagattc tctacaacct aaaaaattcc 2760 taggtgctat tttcttatcc tttgtactgt agctaaatgt acctgagaca tattagtctt 2820 tgaaaaataa agttatgtaa ggtttttttt atctttaaat agctctgtgg gttttaacat 2880 ttttataaag atataccaag ggccattcag tacatcagga aagtggcaga cagaagcttc 2940 tctctgcaac cttgaagact attggtttga gaacttctct tcccatacca cccaaaatca 3000 taatgccatt ggaaagcaaa aagttgtttt atccatttga tttgaattgt tttaagccaa 3060 tattttaagg taaaactcac tgaatctaac catagctgac ctttgtagta gaatttacaa 3120 cttataatta caatgcacaa tttataatta caatatgtat ttatgtcttt tgctatggag 3180 caaatccagg aaggcaagag aaacattctt tcctaaatat aaatgaaaat ctatccttta 3240 aactcttcca ctagacgttg taatgcacac ttattttttt cccaaggagt aaccaatttc 3300 tttctaaaac acatttaaaa ttttaaaact atttatgaat attaaaaaaa gacataattc 3360 acacattaat aaacaatctc ccaagtattg atttaacttc atttttctaa taatcataaa 3420 ctatattctg tgacatgcta attattatta aatgtaagtc gttagttcga aagcctctca 3480 ctaagtatga tctatgctat attcaaaatt caacccattt actttggtca atatttgatc 3540 taagttgcat ctttaatcct ggtggtcttg ccttctgatt tttaatttgt atccttttct 3600 attaagatat atttgtcatt ttctcttgaa tatgtattaa aatatcccaa gcaa 3654 <210> 3 <211> 31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Met Arg Ile Ala Val Ile Cys Phe Cys Leu Leu Gly Ile Thr Cys Ala 1 5 10 15 Ile Pro Val Lys Gln Ala Asp Ser Gly Ser Ser Glu Glu Lys Gln Leu 20 25 30 Tyr Asn Lys Tyr Pro Asp Ala Val Ala Thr Trp Leu Asn Pro Asp Pro 35 40 45 Ser Gln Lys Gln Asn Leu Leu Ala Pro Gln Asn Ala Val Ser Ser Glu 50 55 60 Glu Thr Asn Asp Phe Lys Gln Glu Thr Leu Pro Ser Lys Ser Asn Glu 65 70 75 80 Ser His Asp His Met Asp Asp Met Asp Asp Glu Asp Asp Asp Asp His 85 90 95 Val Asp Ser Gln Asp Ser Ile Asp Ser Asn Asp Ser Asp Asp Val Asp 100 105 110 Asp Thr Asp Asp Ser His Gln Ser Asp Glu Ser His His Ser Asp Glu 115 120 125 Ser Asp Glu Leu Val Thr Asp Phe Pro Thr Asp Leu Pro Ala Thr Glu 130 135 140 Val Phe Thr Pro Val Val Pro Thr Val Asp Thr Tyr Asp Gly Arg Gly 145 150 155 160 Asp Ser Val Val Tyr Gly Leu Arg Ser Lys Ser Lys Lys Phe Arg Arg 165 170 175 Pro Asp Ile Gln Tyr Pro Asp Ala Thr Asp Glu Asp Ile Thr Ser His 180 185 190 Met Glu Ser Glu Glu Leu Asn Gly Ala Tyr Lys Ala Ile Pro Val Ala 195 200 205 Gln Asp Leu Asn Ala Pro Ser Asp Trp Asp Ser Arg Gly Lys Asp Ser 210 215 220 Tyr Glu Thr Ser Gln Leu Asp Asp Gln Ser Ala Glu Thr His Ser His 225 230 235 240 Lys Gln Ser Arg Leu Tyr Lys Arg Lys Ala Asn Asp Glu Ser Asn Glu 245 250 255 His Ser Asp Val Ile Asp Ser Gln Glu Leu Ser Lys Val Ser Arg Glu 260 265 270 Phe His Ser His Glu Phe His Ser His Glu Asp Met Leu Val Val Asp 275 280 285 Pro Lys Ser Lys Glu Glu Asp Lys His Leu Lys Phe Arg Ile Ser His 290 295 300 Glu Leu Asp Ser Ala Ser Ser Glu Val Asn 305 310 <210> 4 <211> 7698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4 agcagcagga ggaggcagag cacagcatcg tcgggaccag actcgtctca ggccagttgc 60 agccttctca gccaaacgcc gaccaaggta cagcttcagt ttgctactgg gttgtgcatt 120 cagctgaatt tcatggggaa gtccaaattc taaggaaaaa tatttttaat tgtaatgctg 180 ttaaacagac ttaaattttc tagccttttt aataagcaga ttagatacat tgcaggtctc 240 ctggaacaaa ggtgtctaga tattttgaat gccaatcaaa tttaaaactt aaaaatactt 300 ccactgggtc ctcaaaagaa cggaaaccac cgatgctaat cagaaaatag taaaattaaa 360 ttcccctttg gaataattat acctatataa ttttcagtgg gtgactgtgc aggaatttaa 420 aagaaaaggg atcttttatg ctaattaaac caattacaat gctatttttt aaatgatgta 480 tctcactttt aaggggaaga aaaccctttc tgaatatgcc actgctaaat ttagctgtta 540 aaatattcac caagatacct gtatgacact gtgtaggctt attattacaa atagaaaagc 600 tgttggctat tttcaatgtt ttcctttgaa tttcaaattt ttagaacatc ttacttaaat 660 aacaaatttc agagatagtt tgatttcacc taagtagcac ctacttgata attaagctaa 720 aagtcacatt taaagtacat gttggaaaaa tggataaagc aaattttttt catttttttc 780 tgtgagtttt ttcttctcta aaaaatattc ccatactagc ttattaatat aattaagtta 840 ctgttgatct gtttgtaggt ttagagagct agatatataa ggtagtaatg gtataatttc 900 tggaactcta aattttaaag ttgaataaat acagacttgc aaaatttccc tttcccttgc 960 ctaatagtga aagatggata ataggtggca atataaatat taacttgaaa gactataata 1020 ctaaaaagaa aaggcatctc taagaagtag aaaagattct atagaaaata tattttattt 1080 gtgatcattt tgtaatgtgg tagtataaaa aggtatcact gttgtaacct atgaagatgt 1140 cagctattcc ttatgaaata ttttgcagga aaactcacta ccatgagaat tgcagtgatt 1200 tgcttttgcc tcctaggcat cacctgtgcc ataccagtga gtacagttgc atcttaaaga 1260 aaattcctga aaataactga attgtgtgct tccatgtgct aggaggacat tcttgtaatc 1320 tttcttcatc ttttctgttt ctaaggttaa acaggctgat tctggaagtt ctgaggaaaa 1380 gcaggtaagc atcttttatg tttttatata gttaaatcat ttactcaatt atggcgagag 1440 gtgcaagaaa cgtatttgct gcgatattac ttatcttctc agtcaaatcc attggtttac 1500 aagtattgat tgactgcctg ctatgaatct aggccagtac caagcacagt atagttttta 1560 ataaatataa gtttataaaa ccaacccaga tattttaaat ataataatat ctaggcatgt 1620 atgatgagtt atcgcatgta agataagtta tatgaagttg tgtgactttt tttccattag 1680 tccacatact gatctaaaag cagaaaattc cagcttttgc tttgtttagt ggattgctaa 1740 gtttaaaatt cacattggat attagtcaga actgtttgta tgaccataat attcacaata 1800 ttgtctgaga tattagctga gaagcccatt gtgaaaagaa agtctatgtg tgctgtttgt 1860 atctattgtg attgtcagct gatgttagat cacattttct aaccaaacat aagaccaacc 1920 aaactcttta ttataattat ttgaccagca ctaaagatgt acctacccct ccacaacaga 1980 tgaaactgtg ccagccaaac aacaaatggg cattgtcccc agaagcttgg acaaaaaggc 2040 acacagagtt caattccagt tgaacagaat aaaggccaaa atagagctgc cttgggggtc 2100 actgcaatta gactgcttaa tgaagacatt aaaagaagta ttctgtgttc gtttgtgtgt 2160 ggaggggtgt gtgtgtctgt ttttcaactg atttgaaaat acaggtgttg aatcctaata 2220 ataaaccaga aaaattaaca tctccagaga agatagaggt catactattt gaggcaagaa 2280 ttagcgtctt tttaataaac gaaaatatgg caaagatgca ttttagaagg cacgtggagc 2340 tataacaatt taagaaatac gtgaagagct caaggctcag ccttctagaa tcccagaaac 2400 ttaaagctag taaaaaattg gggaagtctc taaggatata tgcctgaaaa tacacactgg 2460 ttatctgtga gtgttaggat tactgggtgg tttttagtct attcattttg cttaccttta 2520 ttttcttcat attagttttt aaaaattata aatgtaactt atacatccat tctctctgag 2580 cctgtattac atgtgtcatg agaatagata gatagatatg aaaaagtgaa gagaaaaact 2640 ctgaactcat ctggtctcac tgtttttccg ccttcttttt tttttttttt tttttttttt 2700 gagacggagt ctcgctccgt cgcccaggct ggagtgcagt ggtgtgatct cggctcactg 2760 caagctccgc ctcccaggtt caccccattc tcctgagtag ctgggactac aggcgcccgc 2820 caccacgccc ggataatttt ttgtattttt agtagagacg gggtttcacc gtgttagcca 2880 ggatggtctc catctcctga cctcgtgatc caccctcctt ggcctcccaa agtgctggga 2940 ttacaggcgt gagccactgc gcccggctgt tttttcatct tcttaaagca aggaacccct 3000 tctttcagca aaacctttcg gagaagccca atactaagct cctctggtta gagccagcca 3060 tgagagaaac tccaagtact tctgactggt tctctctcta ctcatccacc ccttaggtgg 3120 ctgcagaagg aactctgtgc aacccccaga gttctcattc tcagtgacag ggaaatgtaa 3180 tgattggccc tggatgattc agcagatcag atgatactta ctcagagcaa tttccactcc 3240 tttgcagtag catattatca gtattttcca gataaataac ttggctaaag aaaaatccat 3300 ttcatttaca tctttggcac cttacagcaa tagaactttt gtgcaatgat tttaatatta 3360 tatttctaca ttggctgata agatacatat ggctattgag cactcaaaat gtgggctagt 3420 gcaactgagg aactgaattt ttatcttctt tttttttttt tttttttttg agatggagtc 3480 ttgctctgtc acccaggctg gagtgcagtg gcgcaatctt ggctcactgc aagctctgcc 3540 tcctgggttc acgccattct cttgcctcag cctccccagt agctgggggt acaggtgcct 3600 gccaccacgc ccggctattt ttttttattt ttattttttt tagtagaaac ggggtttcac 3660 tgtgttagcc aggatgttct cgatctcctg acctcgtgat ccgcctgcct cggcctccca 3720 aagtgctggg attacagggg tgagccaccg tgcctagcca tttcatttta attaacttaa 3780 atttaaatag ctccatgtgg ttagaggata ctgaattagc acagtcttag agagttcctt 3840 cttgttccat ggactggaca caatgaagat taacagtaat taaggtcact tctggtttag 3900 atgtgcttta tctgagagga aaattcagcc agcaaacata caaaaagaaa gcacagtgtg 3960 aagttcggtg ttaagagcta gtttgcctgc gtttgaaccc tgcctggctc tgccatttcc 4020 taccacttaa ctgcactgtg gctgagtttt ctgatctgta aggtgggaat aataatgata 4080 cctatctcat aggggaatga aaggatcaaa tgagttcata tttgtaaagc aatttgaaag 4140 agtgcctagc ccacagtaag tgctacataa gagtttgtta aatgaatctg caaaaaaaaa 4200 aaaattacaa aaaggtacct aagggtccgg gtgactatat gcttccatca agactagtga 4260 agaatggttg ttttttccat tcatccctac atttcttttt ttaataatga taaacatgca 4320 acttttttgt agctttacaa caaataccca gatgctgtgg ccacatggct aaaccctgac 4380 ccatctcaga agcagaatct cctagcccca caggtatttt taaacttctc ataattaaac 4440 tacagtgatg aaagatagcc acactcaggc catttgggct gctcagatga atcctgcctg 4500 cctgctggca aacatgtgct taggacattg actgatctgc catgttggct tctctctgtg 4560 ttaagccatc cacagatgag gctgaaaaat aaaaactgct ttggattaaa aaggttaact 4620 tttgaataaa aaagctaggc atgtgtgatg cgcactaaca cgtgccattc cttcttcaga 4680 atgctgtgtc ctctgaagaa accaatgact ttaaacaaga ggtaagttct cattttcaat 4740 cagaggccca tcatgccttg aagagatgaa agaaggcatt gcctggattc tcttctgatg 4800 aaatttcatt agcaagtttt ccagctaatt ggcagtctaa aacttgctca taaataaaac 4860 atgtatttac taaatatcag aaatactagg tttcctcgga taagtttagc attacagaag 4920 atgtttatta atgcctgtta tttgaaacat taatctgctt gcaatttatt taaggtattt 4980 tgtagatatc taatatctaa taagcatcta attaatgcat atcaaagcta agattttgcc 5040 tttaggaaag ttttctttcc taataaaata gtttatttga caactattct ttttattagg 5100 atcattcata tatttgctaa gcaaagagta aatttatttt ccttaagatt caatttgaat 5160 atactaagaa tattaaagca agttagataa attacccaat atatttgtca atttgaaatt 5220 tgatagacat tagttgttta attcaatggg cagttttgag ctgcagttta tacacacatg 5280 cataacagag tcacctttca attatccatg ttaataggaa agtggttata gattttagta 5340 cacacattaa aatatggata ctcttctctt ttgataaatc tcatttcaaa taaaaaaacc 5400 agtctcataa ttatgtatct gtatctatta catcattgaa tttagtaaat aatgtttaat 5460 atgtataagg aaaaacaatg ttattgacat gaagattata ctcacatatt tggcttgaaa 5520 atatctataa aaataatttc tgttgcaaag taagaaatgt tcttcagaat gttattaatc 5580 cctgtgttaa aagagaaatt ggaagatgct cactttagct cctaaaagcc atggtatgta 5640 ctgtgaatgc aaagattctg aaactaaata aaaagaaaga tagtaaaaga ctaatgtgct 5700 ataaaggcta agggaaaata aaaacccata tattaatttt cccggccatc ttaattttca 5760 gacccttcca agtaagtcca acgaaagcca tgaccacatg gatgatatgg atgatgaaga 5820 tgatgatgac catgtggaca gccaggactc cattgactcg aacgactctg atgatgtaga 5880 tgacactgat gattctcacc agtctgatga gtctcaccat tctgatgaat ctgatgaact 5940 ggtcactgat tttcccacgg acctgccagc aaccgaagtt ttcactccag ttgtccccac 6000 agtagacaca tatgatggcc gaggtgatag tgtggtttat ggactgaggt caaaatctaa 6060 gaagtttcgc agacctgaca tccaggtaaa tcctttaaca gacacacctg atggttctga 6120 ctagcgctca agtctaggaa accacagttt gcatattcat tcattcattc atccattcat 6180 tcatccattc agcaagaatt cattcatatt ctactttatg accattgaat acaaatcttt 6240 ttctgcttgg cggtttttgt aagtctacat aatttctctc tagatttgat tctcaaacac 6300 aattctactt tttgaaatcc tggatcactt attttcagat taaaataaat ggaaaacacc 6360 aattatttaa aaaaaataat ggtcatgttt tgaagttaaa tacctaagag gaattgtagt 6420 tgcaaattac actgaatcct tagtcacaga atctggattt gacatagcct tgccgtttac 6480 tattctcttt actttttaac taacaattca cttcctcttt atgtaggttt caatataatg 6540 aaacctacct cataggtttc attacatatg taagtgatgt agttattaaa ctaaatgaga 6600 tgacatatgt gaaaggcctt ggtaaagtac tatacaaagt aacatgctag tattatttca 6660 gccagattta gacaattttt agtataagat gacctaaaag ctagagagtg gaaaaggatt 6720 accatattcc catccctagc cgttcatata attattcttc atttgtgccg tgattcagta 6780 ccctgatgct acagacgagg acatcacctc acacatggaa agcgaggagt tgaatggtgc 6840 atacaaggcc atccccgttg cccaggacct gaacgcgcct tctgattggg acagccgtgg 6900 gaaggacagt tatgaaacga gtcagctgga tgaccagagt gctgaaaccc acagccacaa 6960 gcagtccaga ttatataagc ggaaagccaa tgatgagagc aatgagcatt ccgatgtgat 7020 tgatagtcag gaactttcca aagtcagccg tgaattccac agccatgaat ttcacagcca 7080 tgaagatatg ctggttgtag accccaaaag taaggaagaa gataaacacc tgaaatttcg 7140 tatttctcat gaattagata gtgcatcttc tgaggtcaat taaaaggaga aaaaatacaa 7200 tttctcactt tgcatttagt caaaagaaaa aatgctttat agcaaaatga aagagaacat 7260 gaaatgcttc tttctcagtt tattggttga atgtgtatct atttgagtct ggaaataact 7320 aatgtgtttg ataattagtt tagtttgtgg cttcatggaa actccctgta aactaaaagc 7380 ttcagggtta tgtctatgtt cattctatag aagaaatgca aactatcact gtattttaat 7440 atttgttatt ctctcatgaa tagaaattta tgtagaagca aacaaaatac ttttacccac 7500 ttaaaaagag aatataacat tttatgtcac tataatcttt tgttttttaa gttagtgtat 7560 attttgttgt gattatcttt ttgtggtgtg aataaatctt ttatcttgaa tgtaataaga 7620 atttggtggt gtcaattgct tatttgtttt cccacggttg tccagcaatt aataaaacat 7680 aacctttttt actgccta 7698 <210> 5 <211> 40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 Met Asn Asn Leu Leu Cys Cys Ala Leu Val Phe Leu Asp Ile Ser Ile 1 5 10 15 Lys Trp Thr Thr Gln Glu Thr Phe Pro Pro Lys Tyr Leu His Tyr Asp 20 25 30 Glu Glu Thr Ser His Gln Leu Leu Cys Asp Lys Cys Pro Pro Gly Thr 35 40 45 Tyr Leu Lys Gln His Cys Thr Ala Lys Trp Lys Thr Val Cys Ala Pro 50 55 60 Cys Pro Asp His Tyr Tyr Thr Asp Ser Trp His Thr Ser Asp Glu Cys 65 70 75 80 Leu Tyr Cys Ser Pro Val Cys Lys Glu Leu Gln Tyr Val Lys Gln Glu 85 90 95 Cys Asn Arg Thr His Asn Arg Val Cys Glu Cys Lys Glu Gly Arg Tyr 100 105 110 Leu Glu Ile Glu Phe Cys Leu Lys His Arg Ser Cys Pro Pro Gly Phe 115 120 125 Gly Val Val Gln Ala Gly Thr Pro Glu Arg Asn Thr Val Cys Lys Arg 130 135 140 Cys Pro Asp Gly Phe Phe Ser Asn Glu Thr Ser Ser Lys Ala Pro Cys 145 150 155 160 Arg Lys His Thr Asn Cys Ser Val Phe Gly Leu Leu Leu Thr Gln Lys 165 170 175 Gly Asn Ala Thr His Asp Asn Ile Cys Ser Gly Asn Ser Glu Ser Thr 180 185 190 Gln Lys Cys Gly Ile Asp Val Thr Leu Cys Glu Glu Ala Phe Phe Arg 195 200 205 Phe Ala Val Pro Thr Lys Phe Thr Pro Asn Trp Leu Ser Val Leu Val 210 215 220 Asp Asn Leu Pro Gly Thr Lys Val Asn Ala Glu Ser Val Glu Arg Ile 225 230 235 240 Lys Arg Gln His Ser Ser Gln Glu Gln Thr Phe Gln Leu Leu Lys Leu 245 250 255 Trp Lys His Gln Asn Lys Asp Gln Asp Ile Val Lys Lys Ile Ile Gln 260 265 270 Asp Ile Asp Leu Cys Glu Asn Ser Val Gln Arg His Ile Gly His Ala 275 280 285 Asn Leu Thr Phe Glu Gln Leu Arg Ser Leu Met Glu Ser Leu Pro Gly 290 295 300 Lys Lys Val Gly Ala Glu Asp Ile Glu Lys Thr Ile Lys Ala Cys Lys 305 310 315 320 Pro Ser Asp Gln Ile Leu Lys Leu Leu Ser Leu Trp Arg Ile Lys Asn 325 330 335 Gly Asp Gln Asp Thr Leu Lys Gly Leu Met His Ala Leu Lys His Ser 340 345 350 Lys Thr Tyr His Phe Pro Lys Thr Val Thr Gln Ser Leu Lys Lys Thr 355 360 365 Ile Arg Phe Leu His Ser Phe Thr Met Tyr Lys Leu Tyr Gln Lys Leu 370 375 380 Phe Leu Glu Met Ile Gly Asn Gln Val Gln Ser Val Lys Ile Ser Cys 385 390 395 400 Leu <210> 6 <211> 2087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6 ggagacgcac cggagcgctc gcccagccgc cgcctccaag cccctgaggt ttccggggac 60 cacaatgaac aacttgctgt gctgcgcgct cgtgtttctg gacatctcca ttaagtggac 120 cacccaggaa acgtttcctc caaagtacct tcattatgac gaagaaacct ctcatcagct 180 gttgtgtgac aaatgtcctc ctggtaccta cctaaaacaa cactgtacag caaagtggaa 240 gaccgtgtgc gccccttgcc ctgaccacta ctacacagac agctggcaca ccagtgacga 300 gtgtctatac tgcagccccg tgtgcaagga gctgcagtac gtcaagcagg agtgcaatcg 360 cacccacaac cgcgtgtgcg aatgcaagga agggcgctac cttgagatag agttctgctt 420 gaaacatagg agctgccctc ctggatttgg agtggtgcaa gctggaaccc cagagcgaaa 480 tacagtttgc aaaagatgtc cagatgggtt cttctcaaat gagacgtcat ctaaagcacc 540 ctgtagaaaa cacacaaatt gcagtgtctt tggtctcctg ctaactcaga aaggaaatgc 600 aacacacgac aacatatgtt ccggaaacag tgaatcaact caaaaatgtg gaatagatgt 660 taccctgtgt gaggaggcat tcttcaggtt tgctgttcct acaaagttta cgcctaactg 720 gcttagtgtc ttggtagaca atttgcctgg caccaaagta aacgcagaga gtgtagagag 780 gataaaacgg caacacagct cacaagaaca gactttccag ctgctgaagt tatggaaaca 840 tcaaaacaaa gaccaagata tagtcaagaa gatcatccaa gatattgacc tctgtgaaaa 900 cagcgtgcag cggcacattg gacatgctaa cctcaccttc gagcagcttc gtagcttgat 960 ggaaagctta ccgggaaaga aagtgggagc agaagacatt gaaaaaacaa taaaggcatg 1020 caaacccagt gaccagatcc tgaagctgct cagtttgtgg cgaataaaaa atggcgacca 1080 agacaccttg aagggcctaa tgcacgcact aaagcactca aagacgtacc actttcccaa 1140 aactgtcact cagagtctaa agaagaccat caggttcctt cacagcttca caatgtacaa 1200 attgtatcag aagttatttt tagaaatgat aggtaaccag gtccaatcag taaaaataag 1260 ctgcttataa ctggaaatgg ccattgagct gtttcctcac aattggcgag atcccatgga 1320 tgagtaaact gtttctcagg cacttgaggc tttcagtgat atctttctca ttaccagtga 1380 ctaattttgc cacagggtac taaaagaaac tatgatgtgg agaaaggact aacatctcct 1440 ccaataaacc ccaaatggtt aatccaactg tcagatctgg atcgttatct actgactata 1500 ttttccctta ttactgcttg cagtaattca actggaaatt aaaaaaaaaa aactagactc 1560 cattgtgcct tactaaatat gggaatgtct aacttaaata gctttgagat ttcagctatg 1620 ctagaggctt ttattagaaa gccatatttt tttctgtaaa agttactaat atatctgtaa 1680 cactattaca gtattgctat ttatattcat tcagatataa gatttgtaca tattatcatc 1740 ctataaagaa acggtatgac ttaattttag aaagaaaatt atattctgtt tattatgaca 1800 aatgaaagag aaaatatata tttttaatgg aaagtttgta gcatttttct aataggtact 1860 gccatatttt tctgtgtgga gtatttttat aattttatct gtataagctg taatatcatt 1920 ttatagaaaa tgcattattt agtcaattgt ttaatgttgg aaaacatatg aaatataaat 1980 tatctgaata ttagatgctc tgagaaattg aatgtacctt atttaaaaga ttttatggtt 2040 ttataactat ataaatgaca ttattaaagt tttcaaatta tttttta 2087 <210> 7 <211> 43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 Met Glu Arg Arg Arg Ile Thr Ser Ala Ala Arg Arg Ser Tyr Val Ser 1 5 10 15 Ser Gly Glu Met Met Val Gly Gly Leu Ala Pro Gly Arg Arg Leu Gly 20 25 30 Pro Gly Thr Arg Leu Ser Leu Ala Arg Met Pro Pro Pro Leu Pro Thr 35 40 45 Arg Val Asp Phe Ser Leu Ala Gly Ala Leu Asn Ala Gly Phe Lys Glu 50 55 60 Thr Arg Ala Ser Glu Arg Ala Glu Met Met Glu Leu Asn Asp Arg Phe 65 70 75 80 Ala Ser Tyr Ile Glu Lys Val Arg Phe Leu Glu Gln Gln Asn Lys Ala 85 90 95 Leu Ala Ala Glu Leu Asn Gln Leu Arg Ala Lys Glu Pro Thr Lys Leu 100 105 110 Ala Asp Val Tyr Gln Ala Glu Leu Arg Glu Leu Arg Leu Arg Leu Asp 115 120 125 Gln Leu Thr Ala Asn Ser Ala Arg Leu Glu Val Glu Arg Asp Asn Leu 130 135 140 Ala Gln Asp Leu Ala Thr Val Arg Gln Lys Leu Gln Asp Glu Thr Asn 145 150 155 160 Leu Arg Leu Glu Ala Glu Asn Asn Leu Ala Ala Tyr Arg Gln Glu Ala 165 170 175 Asp Glu Ala Thr Leu Ala Arg Leu Asp Leu Glu Arg Lys Ile Glu Ser 180 185 190 Leu Glu Glu Glu Ile Arg Phe Leu Arg Lys Ile His Glu Glu Glu Val 195 200 205 Arg Glu Leu Gln Glu Gln Leu Ala Arg Gln Gln Val His Val Glu Leu 210 215 220 Asp Val Ala Lys Pro Asp Leu Thr Ala Ala Leu Lys Glu Ile Arg Thr 225 230 235 240 Gln Tyr Glu Ala Met Ala Ser Ser Asn Met His Glu Ala Glu Glu Trp 245 250 255 Tyr Arg Ser Lys Phe Ala Asp Leu Thr Asp Ala Ala Ala Arg Asn Ala 260 265 270 Glu Leu Leu Arg Gln Ala Lys His Glu Ala Asn Asp Tyr Arg Arg Gln 275 280 285 Leu Gln Ser Leu Thr Cys Asp Leu Glu Ser Leu Arg Gly Thr Asn Glu 290 295 300 Ser Leu Glu Arg Gln Met Arg Glu Gln Glu Glu Arg His Val Arg Glu 305 310 315 320 Ala Ala Ser Tyr Gln Glu Ala Leu Ala Arg Leu Glu Glu Glu Gly Gln 325 330 335 Ser Leu Lys Asp Glu Met Ala Arg His Leu Gln Glu Tyr Gln Asp Leu 340 345 350 Leu Asn Val Lys Leu Ala Leu Asp Ile Glu Ile Ala Thr Tyr Arg Lys 355 360 365 Leu Leu Glu Gly Glu Glu Asn Arg Ile Thr Ile Pro Val Gln Thr Phe 370 375 380 Ser Asn Leu Gln Ile Arg Glu Thr Ser Leu Asp Thr Lys Ser Val Ser 385 390 395 400 Glu Gly His Leu Lys Arg Asn Ile Val Val Lys Thr Val Glu Met Arg 405 410 415 Asp Gly Glu Val Ile Lys Glu Ser Lys Gln Glu His Lys Asp Val Met 420 425 430 <210> 8 <211> 5501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8 agagccagag caggatggag aggagacgca tcacctccgc tgctcgccgc tcctacgtct 60 cctcagggga gatgatggtg gggggcctgg ctcctggccg ccgtctgggt cctggcaccc 120 gcctctccct ggctcgaatg ccccctccac tcccgacccg ggtggatttc tccctggctg 180 gggcactcaa tgctggcttc aaggagaccc gggccagtga gcgggcagag atgatggagc 240 tcaatgaccg ctttgccagc tacatcgaga aggttcgctt cctggaacag caaaacaagg 300 cgctggctgc tgagctgaac cagctgcggg ccaaggagcc caccaagctg gcagacgtct 360 accaggctga gctgcgagag ctgcggctgc ggctcgatca actcaccgcc aacagcgccc 420 ggctggaggt tgagagggac aatctggcac aggacctggc cactgtgagg cagaagctcc 480 aggatgaaac caacctgagg ctggaagccg agaacaacct ggctgcctat agacaggaag 540 cagatgaagc caccctggcc cgtctggatc tggagaggaa gattgagtcg ctggaggagg 600 agatccggtt cttgaggaag atccacgagg aggaggttcg ggaactccag gagcagctgg 660 cccgacagca ggtccatgtg gagcttgacg tggccaagcc agacctcacc gcagccctga 720 aagagatccg cacgcagtat gaggcaatgg cgtccagcaa catgcatgaa gccgaagagt 780 ggtaccgctc caagtttgca gacctgacag acgctgctgc ccgcaacgcg gagctgctcc 840 gccaggccaa gcacgaagcc aacgactacc ggcgccagtt gcagtccttg acctgcgacc 900 tggagtctct gcgcggcacg aacgagtccc tggagaggca gatgcgcgag caggaggagc 960 ggcacgtgcg ggaggcggcc agttatcagg aggcgctggc gcggctggag gaagaggggc 1020 agagcctcaa ggacgagatg gcccgccact tgcaggagta ccaggacctg ctcaatgtca 1080 agctggccct ggacatcgag atcgccacct acaggaagct gctagagggc gaggagaacc 1140 ggatcaccat tcccgtgcag accttctcca acctgcagat tcgagaaacc agcctggaca 1200 ccaagtctgt gtcagaaggc cacctcaaga ggaacatcgt ggtgaagacc gtggagatgc 1260 gggatggaga ggtcattaag gagtccaagc aggagcacaa ggatgtgatg tgaggcagga 1320 cccacctggt ggcctctgcc ccgtctcatg aggggcccga gcagaagcag gatagttgct 1380 ccgcctctgc tggcacattt ccccagacct gagctcccca ccaccccagc tgctcccctc 1440 cctcctctgt ccctaggtca gcttgctgcc ctaggctccg tcagtatcag gcctgccaga 1500 cggcacccac ccagcaccca gcaactccaa ctaacaagaa actcaccccc aaggggcagt 1560 ctggaggggc atggccagca gcttgcgtta gaatgaggag gaaggagaga aggggaggag 1620 ggcggggggc acctactaca tcgccctcca catccctgat tcctgttgtt atggaaactg 1680 ttgccagaga tggaggttct ctcggagtat ctgggaactg tgcctttgag tttcctcagg 1740 ctgctggagg aaaactgaga ctcagacagg aaagggaagg ccccacagac aaggtagccc 1800 tggccagagg cttgttttgt cttttggttt ttatgaggtg ggatatccct atgctgccta 1860 ggctgacctt gaactcctgg gctcaagcag tctacccacc tcagcctcct gtgtagctgg 1920 gattatagat tggagccacc atgcccagct cagagggttg ttctcctaga ctgaccctga 1980 tcagtctaag atgggtgggg acgtcctgcc acctggggca gtcacctgcc cagatcccag 2040 aaggacctcc tgagcgatga ctcaagtgtc tcagtccacc tgagctgcca tccagggatg 2100 ccatctgtgg gcacgctgtg ggcaggtggg agcttgattc tcagcacttg ggggatctgt 2160 tgtgtacgtg gagagggatg aggtgctggg agggatagag gggggctgcc tggcccccag 2220 ctgtgggtac agagaggtca agcccaggag gactgccccg tgcagactgg aggggacgct 2280 ggtagagatg gaggaggagg caattgggat ggcgctaggc atacaagtag gggttgtggg 2340 tgaccagttg cacttggcct ctggattgtg ggaattaagg aagtgactca tcctcttgaa 2400 gatgctgaaa caggagagaa aggggatgta tccatggggg cagggcatga ctttgtccca 2460 tttctaaagg cctcttcctt gctgtgtcat accaggccgc cccagcctct gagcccctgg 2520 gactgctgct tcttaacccc agtaagccac tgccacacgt ctgaccctct ccaccccata 2580 gtgaccggct gcttttccct aagccaaggg cctcttgcgg tcccttctta ctcacacaca 2640 aaatgtaccc agtattctag gtagtgccct attttacaat tgtaaaactg aggcacgagc 2700 aaagtgaaga cactggctca tattcctgca gcctggaggc cgggtgctca gggctgacac 2760 gtccacccca gtgcacccac tctgctttga ctgagcagac tggtgagcag actggtggga 2820 tctgtgccca gagatgggac tgggagggcc cacttcaggg ttctcctctc ccctctaagg 2880 ccgaagaagg gtccttccct ctccccaaga cttggtgtcc tttccctcca ctccttcctg 2940 ccacctgctg ctgctgctgc tgctaatctt cagggcactg ctgctgcctt tagtcgctga 3000 ggaaaaataa agacaaatgc tgcgcccttc cccagagtgg actctgatct gttcatgaga 3060 gggcgggact ggggccaaga tgtagccttt gacaagacca actcatttct tattactgat 3120 catctctggg gcccatgccc tcaccaaatt ccacccgcag ccaaagagga catacaccag 3180 ctccctccac tcttttcttc cttcctctcc ctgctacctg caactcaacc agcacaatct 3240 tcataggcaa gaaagcaaag cagctcaaac atgattcaac actgatcagt gtttaccact 3300 ggataaatct gagttcacac tttccttctc tgacctaaat gtgaagtcag gaaacacatg 3360 tgccctactt ccatcctgag ctcagtcccc aatctcccac cagcctcagg cccctccact 3420 tctcagatca ggtcccagac ctgcccatga aaatggggag caggctgtaa cagatttgtc 3480 cacatgttcc taccacctgt cccaacccag ggtacccacc cagagacatc tggtatcatt 3540 taacaaacac attgaaggac aactggtctt cagagctgaa gagagctcct agggggagaa 3600 gctgggacaa cagtgaaata agtagcagca gcaacgacag aagtgaatgg tgacaaagac 3660 tgctgtgatg agcaggtagc ctatcagggt gagctccaca gccgagcgag tctcaggatc 3720 tgagaacgag gctgggtagt gcccatgaga tgtcacaccc agccggaagc cagcaactag 3780 cacaccctgc ctccagcaat agtagatgcc ccggtcatcc agctgggtga agcggatgtg 3840 gagctggttg ccgtggtcaa tgaacaccct catggacctg ttgacaccct tcaggtactg 3900 tgtgcggtag aggtgctggc ggtctttgtc ccaggccact gcatgctctg gccgggcccc 3960 aggacaggag atgatgagtc catggcccag tctctgctgg tggaactgaa tgggcacctg 4020 gggcacccag ggccggctgc ccactttgga cacatagtta atgatggcca gcacgccctc 4080 ccggatggtc tttgtcttct cacagggtac taagcagctc cgaaccagca cctcaggcgt 4140 gtggtccctg gccttggtcc gcagcttcct tggcacagcc cttgagccac aagacaccac 4200 atcgggcacg gccttgaggt agcgtgggga gaggtctggg ctctgcaggt agcagaggcc 4260 gatgcgccac tgctccccac gcactccgca gcggtcacag ggggtccatt cccagaaggt 4320 ggtgaagaca tggaggtgcc catagtattc atctgcaaag ggctcctggc ccttgtcctg 4380 gaaagtggcc accattccct cactgttctg gatgtccaca tcgtaggcgt aaaagtagtc 4440 ccccttgcgg gtgccgcaga agtacaggcc tgagtcctca gactgagccc tgaaaaccaa 4500 caagctgaac atgcggatgc tgaagcgggt cagcatgtcg ctgcccacac gtacctgggc 4560 tgcctccgtc agcacccgcc catcaaagtc cgtcagcact ttggtgtggc tgctacctag 4620 gtgcttttgg tagaaccaga ctacagctgg cacctcttcg ggtttgcagt gacagggaag 4680 ctcaaagctc atgtcggcca ggtaggctgc attttcaaac atcaggaaag cagggcaggg 4740 ggtcctctga aaaatgtttt ccttctccac aatttcaaag gcctggagcc cccatgccca 4800 caggagcaca gtggtgaggg ccaggtgcat acctgaagga ggcaggggtc agaggggcag 4860 ggcaaaacca gggcattaaa ggctcatagg gctcctagaa agctctgcta agcggaagcc 4920 tctagatgag gaaaggatta tgcagccagg aaaagcagca acaatctgca gaggaagccg 4980 ccaagtgcaa ggcaatttat tcccagtgga tgtacaagat gcccttctaa cattccagac 5040 ctgatctcag ggtggggggg gaaagccatt ctagaacctg gcctttactc ccctttctag 5100 aacactggcg ctcacccaag aatgggtcaa aggaaaccgg aatgagaagg gcgggccgag 5160 gtgctcgggc agggagatct ctgcctcagt gctccaggcc ctgccctgcc agcctggtgg 5220 aaaagtcttt catcaacctg ggggatgaag gaaacccacc ctcctgcata tctggccatc 5280 cgggaggctg gctggacctg agctgatggc ttgggacttt cccaggccca acctgcacaa 5340 gaactgagtc tctaggggaa aattcaacac ctcaaatgat gtagtatttg atcatttgtt 5400 gattacatgt ccattcattg gtttggggct ataaacattc ttgttaagag ctgtggagat 5460 cagtgtttgt ttaccataaa gattttgctt tttccctttt a 5501

Claims (22)

  1. 대혈관 폐색 (LVO)로 인한 뇌졸중 진단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들)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D-이량체,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및 오스테오폰틴 (OPN)
  2. 뇌졸중이 있거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 군으로부터, LVO의 결과로 뇌졸중을 겪은 개체를 식별해내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각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들)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D-이량체,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및 오스테오폰틴 (OPN).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들중 적어도 두 개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들중 적어도 세 개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D-이량체, OPN 및 OPG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D-이량체 및 GFAP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6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각 바이오마커의 양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조군, 양성 표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성 참조 또는 음성 참조에 있는 동일한 바이오마커의 양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정된 바이오마커의 양이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에 있는 동일한 바이오마커의 양과 상이하거나 또는 양성 표준에 있는 동일한 바이오마커의 양에 필적할 경우, 상기 개체는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진단되는, 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이때 건강한 또는 비-LVO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와 비교하였을 때, D-이량체, OPN 및/또는 OPG의 양의 증가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임의선택적으로 건강한 또는 출혈성 뇌졸중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와 비교하였을 때, GFAP의 양의 감소의 감소는 해당 개체가 바람직하게는 LVO로 인한 비-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내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이때 건강한 또는 비-LVO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와 비교하였을 때, D-이량체, OPN 및 OPG의 양의 증가는 해당 개체가 LVO로 인한 뇌졸중을 앓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임의선택적으로 건강한 또는 출혈성 뇌졸중 대조군 또는 음성 참조와 비교하였을 때, GFAP의 양의 감소의 감소는 해당 개체가 바람직하게는 LVO로 인한 비-출혈성 뇌졸중을 앓았음을 나타내는, 방법.
  11. 청구항 1-10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혈액, 혈장, 뇌척수액 또는 타액인, 방법.
  12. 청구항 1-11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해당 개체의 뇌졸중 중증도 점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때 상기 뇌졸중 중증도 점수는 NIHSS, FAST, FAST-ED, RACE, C-STAT 및 EMSA에서 선택되는, 방법.
  13.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서 측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양을 해당 개체에서 얻은 뇌졸중 중증도 점수와 함께 조합하여, LVO 뇌졸중 점수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얻은 LVO 뇌졸중 점수를 대조군, 또는 양성 표준으로부터 얻은 LVO 뇌졸중 점수와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이때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가 양성 표준의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에 필적할 때; 또는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측정된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가 대조군의 바이오마커 양을 이용하여 얻은 LVO 뇌졸중 점수와 상이할 때, 상기 개체는 LVO의 결과로 인한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뇌졸중이 있었던 것으로 진단되는, 방법.
  16. 청구항 1-15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 안에 바이오마커의 양의 양은 이 바이오마커에 결합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때 바이오마커의 양은 ELISA 또는 측면 흐름 분석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
  17. 청구항 1-16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방법은 해당 개체에서 뇌졸중 증상이 시작된 후 약 24시간 이내에 수행되는, 방법.
  18. 대혈관 폐색 (LVO)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용도에 있어서,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D-이량체, 오스테오프로테게린 (OPG), 신경교원 섬유성 산성 단백질 (GFAP) 및 오스테오폰틴 (OPN).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이때 상기 바이오마커들중 적어도 2개 또는 적어도 3개 바이오마커를 이용하여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앓았던 것으로 확인된 또는 의심되는 개체에서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을 식별하는, 용도.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이때 D-이량체 및 GFAP를 이용하여 뇌졸중을 가지고 있거나, 앓았던 것으로 확인된 또는 의심되는 개체에서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을 식별하는, 용도.
  21. 대혈관 폐색 (LVO)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에 사용되는 D-이량체, OPN, OPG 및/또는 GFAP.
  22. 청구항 1-17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키트에 있어서, 이 키트는 다음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키트: 뇌졸중이 있거나, 또는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취한 샘플을 담을 용기; 표적 바이오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수단; 그리고 표적 바이오마커(들)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제공된 수단과 샘플 간의 반응을 어떻게 수행하는 지에 대한 지침.
KR1020227039385A 2020-04-17 2020-12-22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 방법 KR20230004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005632.1 2020-04-17
GB2005632.1A GB2594094A (en) 2020-04-17 2020-04-17 Method for diagnosing stroke caused by large vessel occlusion
PCT/GB2020/053340 WO2021209732A1 (en) 2020-04-17 2020-12-22 D-dimer,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osteoprotegerin (opg) and osteopontin (opn) as biomarkers for stroke caused by large vessel occlu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594A true KR20230004594A (ko) 2023-01-06

Family

ID=7086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385A KR20230004594A (ko) 2020-04-17 2020-12-22 대혈관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726100B2 (ko)
EP (1) EP4136458A1 (ko)
JP (1) JP2023522066A (ko)
KR (1) KR20230004594A (ko)
GB (2) GB2594094A (ko)
WO (1) WO2021209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51870A (zh) * 2021-04-15 2024-03-05 瓦尔德西布伦大学医院基金会研究所 诊断大血管闭塞的标志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3958B2 (ja) 1990-06-11 1998-06-11 ネクスター ファーマス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核酸リガンド
US5660985A (en) 1990-06-11 1997-08-26 Nexstar Pharmaceuticals, Inc. High affinity nucleic acid ligands containing modified nucleotides
US5683867A (en) 1990-06-11 1997-11-04 Nexstar Pharmaceuticals, Inc. 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 blended SELEX
US5707796A (en) 1990-06-11 1998-01-13 Nexstar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selecting nucleic acids on the basis of structure
US5637459A (en) 1990-06-11 1997-06-10 Nexstar Pharmaceuticals, Inc. 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 chimeric selex
US5496938A (en) 1990-06-11 1996-03-05 Nexstar Pharmaceuticals, Inc. Nucleic acid ligands to HIV-RT and HIV-1 rev
US6011020A (en) 1990-06-11 2000-01-04 Nexstar Pharmaceuticals, Inc. Nucleic acid ligand complexes
US5567588A (en) 1990-06-11 1996-10-22 University Research Corporation 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 Solution SELEX
US5270163A (en) 1990-06-11 1993-12-14 University Research Corporation Methods for identifying nucleic acid ligands
WO1999042607A1 (en) * 1998-02-24 1999-08-26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Du Lac Use of succinate as a diagnostic tool
US20120065087A1 (en) * 2010-07-15 2012-03-1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iomarkers for diagnosis of stroke and its causes
CN103299191B (zh) * 2010-08-13 2016-06-15 莫尔豪斯医学院 中风的生物标记
GB201309928D0 (en) * 2013-06-04 2013-07-17 Randox Lab Ltd Method
EP3029466A1 (en) * 2014-12-03 2016-06-08 Fundació Hospital Universitari Vall d' Hebron - Institut de Recerca Methods for differentiating ischemic stroke from hemorrhagic stroke
US11774457B2 (en) * 2018-07-09 2023-10-03 Wright State University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protein biomarkers
EP3969911A2 (en) 2019-05-16 2022-03-23 Fundació Hospital Universitari Vall d'Hebron - Institut de Recerca Method for selecting a patient for a reperfusion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93154A1 (en) 2023-12-07
GB2600844A (en) 2022-05-11
US11726100B2 (en) 2023-08-15
EP4136458A1 (en) 2023-02-22
GB2594094A (en) 2021-10-20
US20230048418A1 (en) 2023-02-16
GB202200967D0 (en) 2022-03-09
WO2021209732A1 (en) 2021-10-21
JP2023522066A (ja) 2023-05-26
GB202005632D0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5894B2 (ja) 虚血を有する患者の診断およびリスク層別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キット
KR20110104930A (ko) 갈렉틴-3 면역검정
RU2745602C2 (ru) Лактоферрин, используемый при диагностике или прогнозировании болезни Альцгеймера или диагностике болезни Паркинсона
RU2733471C2 (ru)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иска развития хроническ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почек
CA2913524C (en) Method for aiding differential diagnosis of stroke
KR20160116060A (ko) 특정 시기 내에 임신중독증의 개시를 배제하기 위한 sFlt-1/PlGF 또는 엔도글린/PlGF 비의 적용 수단 및 방법
JP2014525593A (ja) 心臓血管リスクを予測するための診断分析
JP2021518903A (ja) 患者の評価方法
CN114041058A (zh) 对于再灌注疗法选择患者的方法
JP2011220969A (ja) 増殖糖尿病網膜症の検出方法および予防・治療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US20230393154A1 (en) Method of treating large vessel occlusion stroke
CN110702917A (zh) 血清淀粉样蛋白p在制备抑郁症诊断治疗相关产品的用途
JP5924502B2 (ja) リンパ球性漏斗下垂体後葉炎のバイオマーカー及びその用途
EA034364B1 (ru) Иммуноанализ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хромогранина а
KR20150140657A (ko) 자간전증의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US8969015B2 (en) Methods and kits for diagnosing Sjögren&#39;s syndrome
KR20140023260A (ko) Cartilage Acidic Protein 1 단백질에 의한 뇌경색의 검사 방법
JP2009092561A (ja) ジヒドロピリジン受容体抗体レベルに基づく胸腺腫合併重症筋無力症の診断方法
KR20140109956A (ko) 테나신-c 및 류마티스 관절염에서의 이의 용도
JP2020020755A (ja) 肝硬変の診断方法、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炎及び肝細胞がんの合併症の診断方法並びに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炎及び食道胃静脈瘤の合併症の診断方法
KR102390827B1 (ko) 정상압 수두증의 진단 또는 예측용 gdf15 유전자 마커 및 이의 용도
US918241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diagnosing cardiac disorders
JP2011237402A (ja) ガレクチン−3結合蛋白質による脳梗塞の検査方法
US20150309053A1 (en) Test method and test kit for psychiatric ailments
Khanna et al. The Role of Biomarkers in Treatment Algorithms for Ulcerative Colitis (U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