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54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544A
KR20230004544A KR1020227037530A KR20227037530A KR20230004544A KR 20230004544 A KR20230004544 A KR 20230004544A KR 1020227037530 A KR1020227037530 A KR 1020227037530A KR 20227037530 A KR20227037530 A KR 20227037530A KR 20230004544 A KR20230004544 A KR 20230004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article
hydrophobic
hydrophilic
hydrophil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후미 오츠보
마코토 스에카네
푸옹 티 다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10); 착용자의 배측과 접촉하는 배측 몸통 둘레부(20); 및 착용자의 등측과 접촉하는 등측 몸통 둘레부(30)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1)이다. 상기 배측 몸통 둘레부(20) 및 상기 등측 몸통 둘레부(30) 중 적어도 한쪽에는, 제1 소수성 시트(31); 상기 제1 소수성 시트(31)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피부측으로 접혀 형성된 접음부(32F)를 갖는 제2 소수성 시트(32); 및 상기 제2 소수성 시트(32)의 상기 접음부(32F)보다 상기 비피부측에 배치된 친수성 시트(33)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으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몸통 둘레부에, 소수성 시트 및 소수성 시트의 내면측(피부측)에 제공된 흡한성 시트(친수성 시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출원 공개 2007-259874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친수성의 흡한성 시트가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땀을 흡수한 흡한성 시트는 땀을 함유한 채로 피부에 계속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땀을 흡수했을 때에 피부에 끈적임이 생겨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흡한성 시트가 흡수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양의 땀을 흘린 경우, 땀이 역류(리웨트)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양태는,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착용자의 배측에 적용되는 배측 몸통 둘레부; 및 착용자의 등측에 적용되는 등측 몸통 둘레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배측 몸통 둘레부 및 상기 등측 몸통 둘레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제1 소수성 시트, 상기 제1 소수성 시트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고 상단부를 피부측으로 접어 형성한 접음부를 갖는 제2 소수성 시트, 및 상기 제2 소수성 시트의 상기 접음부보다 상기 비피부측에 배치된 친수성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를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되고 신장된 상태의 기저귀(1)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핫멜트 접착제(35)에 의한 접음부(32F)와 친수성 시트(33)의 접합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흡수성 본체(10)의 톱시트(12)의 변형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착용자의 배측에 적용되는 배측 몸통 둘레부; 및 착용자의 등측에 적용되는 등측 몸통 둘레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배측 몸통 둘레부 및 상기 등측 몸통 둘레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제1 소수성 시트, 상기 제1 소수성 시트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고 상단부를 피부측으로 접어 형성한 접음부를 갖는 제2 소수성 시트, 및 상기 제2 소수성 시트의 상기 접음부보다 상기 비피부측에 배치된 친수성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상기 개시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접음부(제2 소수성 시트)를 통해서 친수성 시트가 수분(예컨대, 땀)을 흡수한다. 또한, 접음부는 소수성이므로, 피부가 젖지 않는다(리웨트가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쾌적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땀띠 등이 생기기 어렵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시트는 상기 제1 소수성 시트보다 상기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친수성 시트의 비피부측에서 소수성 시트(제1 소수성 시트 및 제2 소수성 시트의 접히지 않은 부분)가 친수성 시트에 중첩되어 있음으로써, 친수성 시트가 흡수한 땀이 흡수성 물품의 외측으로 나오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친수성 시트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단부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흡수성 본체의 단부와 몸통 둘레부가 중첩되는 부분은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 가장 많은 수의 시트가 중첩되는 영역이므로 땀이 차기 쉽다. 이 부분에서 친수성 시트는 수분(땀) 흡수를 가능하게 하여 땀이 차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 표면이 상기 친수성 시트와 대향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피부측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 내에서 공기가 이동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땀이 차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쾌적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시트의 상단부가 상기 비피부측으로 접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수분은 상측을 향해 증발하므로 친수성 시트의 상측이 이중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시트보다 위에, 상기 제1 소수성 시트 및 상기 제2 소수성 시트가 존재하고 상기 친수성 시트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친수성 시트가 몸통 둘레부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의복에 배어나오기 쉬워진다. 몸통 둘레부의 상단부를 소수성 시트만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배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시트가 착색 또는 인쇄되어 있고, 상기 접음부의 하단이 상기 친수성 시트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친수성 시트가 착색 또는 인쇄되어 있고, 접음부와 중첩되는 중첩 부분와 비중첩 부분이 있기 때문에, 친수성 시트의 존재를 인식하기 쉽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의 하단은 상기 친수성 시트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접음부와 친수성 시트의 전체 면을 중첩시킴으로써 피부가 젖지 않도록 더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땀띠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와 상기 친수성 시트는 선 또는 점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패턴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접음부와 친수성 시트가 복수의 선형 또는 점형 패턴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접음부와 친수성 시트를 일체화하면서, 접합 부분 사이에 비접합 부분이 위치하는 것으로 인해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와 접합되지 않은 비접합 영역이 상기 친수성 시트의 하단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친수성 시트의 하단부가 핫멜트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시트가 딱딱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시 위화감을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배측 몸통 둘레부 및 상기 등측 몸통 둘레부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비접합 영역이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는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비접합 영역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제2 소수성 시트의 접음부(친수성 시트에 접합되지 않는 부분)가 젖혀지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시트는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박엽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수분 흡수성(땀 흡수성)이 향상된다.
실시형태
기저귀(1)의 기본 구성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로서 유아용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유아용의 일회용 기저귀에 한정되지 않고 성인용의 일회용 기저귀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1)"라고도 함)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되고 신장된 상태의 기저귀(1)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여기서, 전술한 "전개 상태"란, 기저귀(1)의 좌우 방향으로 배측 몸통 둘레부(후술하는 배측 몸통 둘레부(20))의 양쪽 단부와 등측 몸통 둘레부(후술하는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양쪽 단부의 접합을 풀어 배측 몸통 둘레부와 등측 몸통 둘레부를 분리하면서, 기저귀(1)를 길이 방향으로 개방함으로써 기저귀(1)를 평면 상에 전개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기저귀(1)의 "신장 상태"란, 기저귀(1) 전체(제품 전체)를 주름없이 신장시킨 상태,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의 구성 부재들의 치수가 그 부재 자체의 치수와 일치하거나 또는 그에 가까운 치수가 될 때까지 기저귀(1)를 신장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되는 팬츠형 상태에서, 기저귀(1)는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가진다. 좌우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도 한다. 또한, 기저귀(1)는 소위 3피스 타입이며,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적용되어 배설액과 같은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10); 상기 착용자의 배측에 적용되는 배측 몸통 둘레부(20); 및 착용자의 등측에 적용되는 등측 몸통 둘레부(30)를 가진다. 상하 방향의 상측은 몸통 둘레부측에 대응하고 하측은 가랑이부측에 대응한다. 또한, 전후 방향의 전측은 착용자의 배측에 대응하고 후측은 착용자의 등측에 대응한다.
또한, 도 2의 전개 상태에서, 기저귀(1)는 서로 교차하는 길이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이 전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일방측을 "배측" 또는 "전측"이라고도 부르고, 길이 방향의 타방측을 "등측" 또는 "후측"이라고도 부른다. 전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은 팬츠형 상태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은 기저귀(1)를 구성하는 부재가 중첩되는 방향이다.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와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이라고 부르고, 피부측의 반대측을 비피부측이라고 부른다. 도 3 및 도 4는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에서의 A-A선 및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 두께 방향이 전후 방향에 해당한다.
도 2의 전개 상태에서, 배측 몸통 둘레부(20)(도면의 길이 방향 전측)와 등측 몸통 둘레부(30)(도면의 길이 방향 후측)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측 몸통 둘레부(20)와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사이에 흡수성 본체(10)가 걸쳐 있다.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단부들은 각각 몸통 둘레부(배측 몸통 둘레부(20) 및 등측 몸통 둘레부(30))에 접합 고정되어 있어서, 평면시에서 H형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10)가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중앙부(C10)인 접음 위치에서 한 번 접힌다. 이 접힌 상태에서, 기저귀(1)의 좌우 방향으로 배측 몸통 둘레부(20)의 양측 단부와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양측 단부가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등으로 서로 접합되어, 한쌍의 접합부(5)를 형성한다. 따라서, 몸통 둘레부(배측 몸통 둘레부(20) 및 등측 몸통 둘레부(30))가 고리형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 둘레 개구(BH)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LH)가 형성된 착용 상태의 기저귀(1)가 얻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기저귀(1)의 3개의 구성 부품인 흡수성 본체(10), 배측 몸통 둘레부(20), 및 등측 몸통 둘레부(30)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본체(10)의 구성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성 코어(11); 흡수성 코어(11)보다 피부측에 배치된 액투과성 톱시트(12); 흡수성 코어(11)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된 액불투과성 백시트(13); 및 백시트(13)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된 외장 시트(14)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11)의 주위에, 액투과성 코어랩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흡수성 코어(11)는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액체 흡수성 재료를 적층하여 형성된 부재이며, 소변과 같은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다. 액체 흡수성 재료로서, 예컨대, 펄프 섬유와 같은 액체 흡수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11)는 액체 흡수성 입상물로서 예컨대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거나 또는 액체 흡수성 섬유 및 액체 흡수성 입상물 이외의 액체 흡수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코어(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11)가 착용자의 가랑이에 피트되기 쉬워진다. 흡수성 코어(11)의 형상은 평면시에서 상기 언급한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흡수성 코어의 형상은 평면시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톱시트(12)는 흡수성 코어(11)를 피부측으로부터 덮는 시트형 부재이며, 예컨대 흡수성 코어(11)보다 큰 평면 사이즈의 액투과성 부직포로 제조된다. 또한, 백시트(13)는, 흡수성 코어(11)를 비피부측으로부터 덮고 흡수성 코어(11)보다 큰 평면 사이즈의 시트이다. 백시트(13)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된 액불투과성 시트이다. 외장 시트(14)는 예컨대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고, 백시트(13) 상에 적층되어 2층 구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백시트(13)(및 외장 시트(14))와 톱시트(12)의 사이에 흡수성 코어(11)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흡수성 코어(11)의 4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백시트(13)가 톱시트(12)에 액자형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흡수성 본체(10)가 대략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흡수성 본체(10)의 양측부에 다리 둘레 탄성 부재(15)가 제공되어, 기저귀(1)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피트된다. 예컨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5)는 좌우 방향으로 내측으로 접힌 2층의 외장 시트(14)의 사이에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15)는 스트링형 탄성 부재, 신축성 시트 등이다. 외장 시트(14)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5)는 다리 둘레 개더(LG)를 형성한다.
톱시트(12)와 흡수성 코어(11)의 사이에 또는 백시트(13)와 흡수성 코어(11)의 사이에, 세컨드 시트로서, 티슈 페이퍼와 같은 액투과성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개재시키는 이하의 구성도 허용가능하다.
몸통 둘레부의 구성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배측 몸통 둘레부(20)는 길이 방향으로 흡수성 본체(10)의 전측에 배치하고, 등측 몸통 둘레부(30)는 길이 방향으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후측에 배치된다.
또한, 배측 몸통 둘레부(20)(등측 몸통 둘레부(30))는 소수성을 갖는 제1 소수성 시트(21(31))와, 제1 소수성 시트(21(31))에 적층된 제2 소수성 시트(22(32))를 갖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측 몸통 둘레부(20)에는, 탄성 스트링과 같은 복수개의 탄성 부재(24)가 좌우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등측 몸통 둘레부(30)에는, 복수개의 탄성 부재(34)가 좌우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측 몸통 둘레부(20) 및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각각에 좌우 방향(폭 방향)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탄성 부재(24 및 34)는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제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등측 몸통 둘레부(30)에 친수성 시트(33)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언급한 용어 "소수성"은, 시트 표면에서 액체가 퍼지지 않고 시트 표면이 90°보다 큰 접촉각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접촉각이란 수평면(수평인 표면)을 갖는 시트와 상기 수평면 상에 적하된 물(액적)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액적의 윤곽 곡선과 상기 수평면의 교점에서 상기 윤곽 곡선의 접선과 상기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제1 소수성 시트(21 및 31)와 제2 소수성 시트(22 및 32)의 접촉각은 90°보다 커서, 이들 시트는 소수성 표면을 갖고 있다. 반대로, 접촉각이 90°보다 작으면, 시트는 친수도가 높은 친수성 시트라고 판단된다. 친수성 시트(33)의 표면은 90°보다 작은 접촉각을 갖고 있다.
배측 몸통 둘레부(20)와 등측 몸통 둘레부(30)는 등측 몸통 둘레부(30)가 친수성 시트(33)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제1 소수성 시트(31)는 소수성 섬유로 형성된 소수성 시트이며, 수분(예컨대, 착용자의 땀)을 투과시킨다. 또한, 제1 소수성 시트(31)가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흡수율이 매우 낮으므로,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를 제1 소수성 시트(31)에 포함시키면 수분(땀)을 잘 통과시킬 수 있다. 이로써 또한 땀이 통과한 후에도 제1 소수성 시트(31)의 표면이 드라이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착용자가 끈적함을 느끼지 않고 쾌적하게 지낼 수 있다. 제1 소수성 시트(31)의 평량(단위면적당 중량)은 8∼20 g/㎡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소수성 시트(31)의 평량은 15 g/㎡이다.
제2 소수성 시트(32)는 제1 소수성 시트(31)와 마찬가지로 소수성 섬유로 형성된 소수성 시트이며, 제1 소수성 시트(31)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땀 등의 증발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제2 소수성 시트(32)는 그 상단부를 몸통 둘레 개구(BH)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피부측으로 접어 형성한 접음부(32F)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음 부분(32F)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단부를 피복하고 있지만(전후 방향에서 볼 때 흡수성 본체(10)의 단부와 중첩됨), 흡수성 본체의 단부를 피복하지 않아도 된다. 제1 소수성 시트(31)와 마찬가지로, 제2 소수성 시트(32)도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땀을 잘 통과시킬 수 있다. 이로써 땀이 통과한 후에도 접음부(32F)(제2 소수성 시트(32))의 표면이 드라이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착용자가 끈적함을 느끼지 않고 쾌적하게 지낼 수 있다. 제2 소수성 시트(32)(접음부(32F) 포함)의 평량도 8∼20 g/㎡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2 소수성 시트(32)의 평량은 18 g/㎡이며, 제1 소수성 시트(31)의 평량(15 g/㎡)보다 크다.
친수성 시트(33)는 (땀과 같은)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친수성 시트이다. 친수성 시트(33)는 액체 흡수성의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박엽지(예컨대, 티슈 페이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친수성 시트(33)의 땀 흡수성이 향상된다.
펄프 섬유로서는, 친수성 표면을 갖는 섬유이며, 구성 섬유가 습윤 상태에서 높은 자유도를 갖는 시트를 형성할 수 있는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어떤 유형의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펄프 섬유의 예는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친수성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펄프 섬유는 목재 펄프일 수도 있고 또는 풀, 짚, 대나무, 또는 삼과 같은 비목재 펄프일 수도 있다.
또한, 친수성 시트(33)는 땀을 흡수한 후에도 시트의 위생을 유지하기 위해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친수성 시트(33)가 항균제의 예로서 염화세틸피리디늄(CPC) 또는 카테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친수성 시트(33)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에 전술한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을 흡착시킴으로써 항균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 결과, 땀에 포함되는 잡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고, 땀을 흡수한 친수성 시트(33)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친수성 시트(33)가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 가장 피부측(여기서는, 접음부(32F)보다 피부측)에 배치되는 경우, 땀을 흡수한 친수성 시트(33)는 땀을 함유한 채로 피부에 계속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땀을 흡수했을 때에 피부에 끈적임이 생겨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땀의 양이 친수성 시트(33)가 흡수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경우, 땀이 역류되어(리웨트) 쾌적성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친수성 시트(33)는 접음부(32F)(제2 소수성 시트(32))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음부(32F)(제2 소수성 시트(32))를 통해서 친수성 시트(33)가 땀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소수성인 접음부(32F)는 땀의 역류(리웨트)를 어렵게 하여 피부가 젖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접음부(32F)(제2 소수성 시트(32))가 땀을 통과시킨 후에도 접음부(32F)의 표면이 드라이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끈적함을 느끼지 않고 쾌적하게 느낄 수 있다. 이로써 쾌적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땀띠 등이 생기기 어렵다.
친수성 시트(33)의 평량은 8∼30 g/㎡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친수성 시트(33)의 평량은 20 g/㎡이며, 제2 소수성 시트(32)의 평량(18 g/㎡)보다 크다. 다시 말해서, 접음부(32F)의 평량은 친수성 시트(33)의 평량보다 작다. 이로써 접음부(32F)로부터 친수성 시트(33)로 수분(땀)이 이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친수성 시트(33)는 제1 소수성 시트(31)보다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친수성 시트(33)보다 비피부측에, 2장의 소수성 시트(제1 소수성 시트(31) 및 제2 소수성 시트(32)의 접히지 않은 부분)가 서로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친수성 시트(33)가 흡수한 땀 등이 등측 몸통 둘레부(30)(기저귀(1))의 외측으로 나오기 어려워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부측에 위치하는 제1 소수성 시트(31)의 평량보다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제2 소수성 시트(32)의 평량이 커서, 땀이 외측으로 나오기가 더 어려워진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친수성 시트(33)는 제1 소수성 시트(31)와 제2 소수성 시트(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소수성 시트(32)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시트(33)는 전후 방향에서 볼 때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길이 방향 단부)와 중첩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 시트(33)가 흡수성 본체(10)의 단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4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단부와 몸통 둘레부(여기서는, 등측 몸통 둘레부(30))가 접합하는 접합부는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 가장 많은 수의 시트가 중첩되는 영역이므로 땀이 차기 쉽다. 이 부분에 친수성 시트(33)를 배치함으로써 수분(땀)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이 부분에 땀이 차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소수성 시트(32)의 접음부(32F)와 친수성 시트(33)는 핫멜트 접착제(35)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핫멜트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 용융되어 유체 상태로 됨으로써 도포가 가능한 열가소성 접착제이다.
도 5는 핫멜트 접착제(35)에 의한 접음부(32F)와 친수성 시트(33)의 접합 패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폭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변위하는 복수의 파형(선형) 패턴(핫멜트 접착제(35)의 패턴)이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접음부(32F)(제2 소수성 시트(32))와 친수성 시트(33)를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선형 패턴으로 접합함으로써, 양 시트를 일체화할 수 있다. 간헐적으로 제공된 핫멜트 접착제(35)는 접음부(32F)로부터의 땀의 통과를 필요 이상으로 방해하지 않고, 친수성 시트(33)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흡수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즉, 간헐적으로 접합된 부분 사이에 비접합 부분이 있으므로, 친수성 시트(33)가 수분을 흡수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렵게 할 수 있다(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음부(32F)와 친수성 시트(33) 사이의 접합 패턴은 상기 개시일례에 한정되지 않고,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인 임의의 패턴(선 또는 점으로 형성된 복수의 패턴)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점이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핫멜트 접착제(35)에 의해 접음부(32F)(제2 소수성 시트(32))와 친수성 시트(33)가 접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접합 방법으로 접합해도 좋다. 예컨대, 엠보싱과 같은 히트 시일(열용착) 또는 소닉 시일(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접합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된 패턴(선 또는 점으로 형성된 복수의 패턴)으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 시트(33)의 하단부에는, 접음부(32F)와 접합되지 않은 비접합 영역(R)이 형성되어 있다. 비접합 영역(R)에서는, 친수성 시트(33)와 접음부(32F)가 핫멜트 접착제(35)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트가 딱딱해지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가 착용했을 때의 위화감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음부(32F)의 하단은 친수성 시트(33)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음부(32F)를 친수성 시트(33)의 전체 면과 중첩시킴(친수성 시트(33)의 전체 면을 덮음)으로써 피부가 젖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땀띠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더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음부(32F)의 하단은 친수성 시트(33)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친수성 시트(33)와 접음부(32F)가 중첩되는 중첩 부분과 이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비중첩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친수성 시트(33)는, 제2 소수성 시트(32)(접음부(32F))와는 상이한 색으로 착색 또는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친수성 시트(33)의 존재를 인식하기 쉽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수성 시트(31)와 제2 소수성 시트(32)의 사이에는, 복수의 탄성 부재(34)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2 소수성 시트(32)의 접음부(32F) 및 친수성 시트(33)는 복수의 탄성 부재(34)와 중첩되어 있고, 비접합 영역(R)에는 하나의 탄성 부재(3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볼 때, 비접합 영역(R)은 복수의 탄성 부재(34)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는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접합 영역(R)이 제공되어 있더라도, 접음부(32F)가 젖혀지기 어렵다. 따라서, 친수성 시트(33)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친수성 시트(33)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탄성 부재(34)의 수축력이 다른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 부재(34)(및 탄성 부재(24))의 수축력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친수성 시트(33)를 제공함으로 인한 피트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접합 영역(R)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탄성 부재(34)의 수축력은 다른 영역에 배치된 탄성 부재(34)(및 탄성 부재(24))의 수축력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접음부(32F)가 더 젖혀지기 어려워진다.
변형예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흡수성 본체(10)의 단부(흡수성 코어(11)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가 친수성 시트(33)의 비피부측에 중첩되어 있다. 즉,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구체적으로는, 톱시트(12)의 피부측) 표면은 친수성 시트(33)와 대향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이 톱시트(12)의 피부측 표면은 요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톱시트(12)의 피부측 표면이 요철 구조를 갖는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시트(12)의 표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피부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12a)가 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각 쌍의 볼록부(12a)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12a)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2b)를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에 의해, 톱시트(12)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2a) 및 오목부(12b)는 모두 톱시트(12)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 구조는 적어도 톱시트(12)의 피부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비피부측면에는 형성되어 있거나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변형예의 경우, 친수성 시트(33)는 톱시트(12)의 볼록부(12a)의 꼭대기부에 접합되고 오목부(12b)에는 접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톱시트(12)와 친수성 시트(33)의 사이에, 오목부(12b)에 의해 공간(통기로)이 형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로써 기저귀(1) 내에서 공기가 이동하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하측(가랑이부)으로부터 상측(몸통 둘레부)을 향해 공기가 흐르기 쉬워진다. 또한,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이 친수성 시트(33)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땀이 차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쾌적함이 향상될 수 있다.
요철 구조는 도면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볼록부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간헐적(예컨대, 점형 패턴)으로 형성되고 각 볼록부의 주위에 오목부가 형성된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변형예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흡수성 본체(10), 탄성 부재(34) 등이 생략되어 있다.
기저귀(1)를 제조하는 동안, 제2 소수성 시트(32) 상의 소정 위치에, 제1 소수성 시트(31), 흡수성 본체(10) 등이 배치(접합)되고, 제2 소수성 시트(32)의 상단부가 피부측으로 접힌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경우, 제2 소수성 시트(32)의 상단부(접음부(32F)의 부분)에 친수성 시트(33)가 배치(접합)되어, 제2 소수성 시트(32)와 친수성 시트(33)가 함께 접히게 된다.
상기 언급한 접음부의 접힘 위치나 시트의 배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도 7a 및 도 7b와 같은 구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의 변형예에서는, 친수성 시트(33)의 단부가 제2 소수성 시트(32)의 접힌 위치에 걸쳐 배치되고, 그 상태로, 제2 소수성 시트(32)와 친수성 시트(33)가 피부측으로 접힌다. 즉, 도 7a의 변형예에서는, 친수성 시트(33)의 상단부가 비피부측으로 접혀 있다. 즉, 이 변형예에서는, 친수성 시트(33)의 상측이 접혀(이중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분은 상측을 향해 증발되므로, 친수성 시트(33)의 상측이 이중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분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도 7b의 변형예에서는, 친수성 시트(33)가 제2 소수성 시트(32)의 접힌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7b의 변형예에서는, 친수성 시트(33)보다 위에, 제1 소수성 시트(31) 및 제2 소수성 시트(32)가 존재하고 친수성 시트(33)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다. 친수성 시트(33)가 몸통 둘레부(여기서는,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상단부까지 연장되면 의복에 배어나오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 변형예에서와 같이 몸통 둘레부(등측 몸통 둘레부(30))의 상단부를 소수성 시트(제1 소수성 시트(31) 및 제2 소수성 시트(32))만으로 구성함으로써 배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추가로 그 등가물이 본 발명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는 예로서 전개 상태에 있어서 배측 몸통 둘레부(20)와 등측 몸통 둘레부(30) 사이에 흡수성 본체(10)가 걸쳐 있는 소위 3피스 타입의 기저귀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기저귀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 외장 시트의 피부측면에 흡수성 본체가 배치된 소위 2피스 타입의 기저귀일 수도 있다(배측 몸통 둘레부(20)와 등측 몸통 둘레부(30)가 연속한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소수성 시트(32)의 상단부를 피부측으로 접음으로써 접음부(32F)를 형성한다. 그러나, 제2 소수성 시트(32)를 접는 대신, 제2 소수성 시트(32)와는 별체인 부재로서 소수성 시트를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피부측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소수성 시트보다 비피부측에 친수성 시트(3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친수성 시트(33)가 좌우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연속적으로 제공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친수성 시트(33)는 좌우 방향 양쪽 단부(접합 영역(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친수성 시트(33)가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대신 간헐적으로 나란히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몸통 둘레부의 등측(등측 몸통 둘레부(30))에만 친수성 시트(33)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친수성 시트(33)는 배측 몸통 둘레부(20)에만 제공되거나 배측 몸통 둘레부(20)와 등측 몸통 둘레부(30) 양쪽에 제공될 수 있다.
1 : 기저귀(흡수성 물품), 5 : 접합부,
10 : 흡수성 본체, 11 : 흡수성 코어,
12 : 톱시트, 12a : 볼록부, 12b : 오목부,
13 : 백시트,
14 : 외장 시트,
15 : 다리 둘레 탄성 부재,
20 : 배측 몸통 둘레부,
21 : 제1 소수성 시트, 22 : 제2 소수성 시트,
24 : 탄성 부재,
30 : 등측 몸통 둘레부,
31 : 제1 소수성 시트, 32 : 제2 소수성 시트,
33 : 친수성 시트, 34 : 탄성 부재,
BH : 몸통 둘레 개구, LH : 다리 둘레 개구
LG : 다리 둘레 개더
R : 비접합 영역

Claims (12)

  1.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착용자의 배측에 적용되는 배측 몸통 둘레부; 및
    착용자의 등측에 적용되는 등측 몸통 둘레부
    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배측 몸통 둘레부 및 상기 등측 몸통 둘레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제1 소수성 시트, 상기 제1 소수성 시트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피부측으로 접힌 접음부를 갖는 제2 소수성 시트, 및 상기 제2 소수성 시트의 상기 접음부보다 상기 비피부측에 배치된 친수성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시트는 상기 제1 소수성 시트보다 상기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친수성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단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 표면은 상기 친수성 시트와 대향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피부측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시트의 상단부가 상기 비피부측으로 접혀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시트보다 위에, 상기 제1 소수성 시트 및 상기 제2 소수성 시트가 존재하고 상기 친수성 시트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시트는 착색 또는 인쇄되어 있고,
    상기 접음부의 하단은 상기 친수성 시트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의 하단은 상기 친수성 시트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와 상기 친수성 시트는 선 또는 점으로 형성된 복수의 패턴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이 상기 친수성 시트의 하단부에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 몸통 둘레부 및 상기 등측 몸통 둘레부에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비접합 영역은,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는 부분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시트는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박엽지인 흡수성 물품.
KR1020227037530A 2020-04-30 2021-01-29 흡수성 물품 KR20230004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0727A JP7209424B2 (ja) 2020-04-30 2020-04-30 吸収性物品
JPJP-P-2020-080727 2020-04-30
PCT/JP2021/003327 WO2021220569A1 (ja) 2020-04-30 2021-01-2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544A true KR20230004544A (ko) 2023-01-06

Family

ID=7827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530A KR20230004544A (ko) 2020-04-30 2021-01-2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209424B2 (ko)
KR (1) KR20230004544A (ko)
CN (1) CN115443116A (ko)
BR (1) BR112022017170A2 (ko)
WO (1) WO202122056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9874A (ja) 2006-02-28 2007-10-11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0043B2 (ja) * 1998-12-28 2006-09-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U2008294197B2 (en) * 2007-09-05 2014-01-23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JP6960284B2 (ja) * 2016-11-15 2021-11-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44206B2 (ja) * 2016-12-22 2020-08-1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10072499B (zh) * 2016-12-22 2021-04-20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WO2019093507A1 (ja) * 2017-11-10 2019-05-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957106B2 (ja) * 2017-11-20 2021-11-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コア
WO2019130565A1 (ja) * 2017-12-28 2019-07-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9874A (ja) 2006-02-28 2007-10-11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443116A (zh) 2022-12-06
JP7209424B2 (ja) 2023-01-20
WO2021220569A1 (ja) 2021-11-04
BR112022017170A2 (pt) 2022-11-08
JP2021171584A (ja)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762B1 (ko) 일회용 기저귀
EP2593060B1 (en) Disposable diaper
JP6192003B2 (ja)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
JP2013192848A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673719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821893B2 (ja) パンツタイプ吸収性物品
JP2020156929A5 (ko)
CA2803329C (en) Disposable diaper
CN113382701B (zh) 吸收性物品
KR20230004544A (ko) 흡수성 물품
JP650459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701847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505897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製品
JP6926382B2 (ja) パンツタイプ吸収性物品
JP2021049447A (ja) 吸収性物品
CN113679534A (zh) 吸收性物品
JP2021115327A (ja) 着用物品
JP2019111264A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20195420A5 (ko)
CN113679533A (zh) 吸收性物品
JP2020168221A5 (ko)
JP2019136432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9111198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