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164A -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164A
KR20230004164A KR1020210086087A KR20210086087A KR20230004164A KR 20230004164 A KR20230004164 A KR 20230004164A KR 1020210086087 A KR1020210086087 A KR 1020210086087A KR 20210086087 A KR20210086087 A KR 20210086087A KR 20230004164 A KR20230004164 A KR 20230004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unit
electricit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618B1 (ko
Inventor
구자용
구종회
Original Assignee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6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4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fixed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의 커버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하여 수도사용량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1측정부; 전기계량기 또는 가스계량기를 커버플레이트에 폐쇄 또는 개방 가능하게 커버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개방하여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2측정부; 상기 제1측정부 또는 상기 제2측정부에서 송신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수도사용량,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을 확인하여 컴폼하도록 네크워크망에 의해 상기 제1측정부 또는 상기 제2측정부와 연결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제1측정부 또는 상기 제2측정부에서 송신되는 영상신호가 정확한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컴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네트워크망을 따라 수도사용량,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의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는 공급자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수도계량기가 수납되는 수납홈부를 구비하여 지면 또는 벽면에 고정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수도계량기에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를 일측 타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입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구동부; 상기 개폐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면 상기 베이스블록으로부터 상기 돌출블록을 돌출시키는 돌출구동부; 및 상기 개폐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면 상기 베이스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수도사용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1영상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Water Electric Gas Integrated Telecalibration System}
본 발명은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수도계량기, 전기계량기 및 가스계량기에 추가로 설치하여 원격검침 시스템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원격검침 시스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정 기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검침되어 전송되는 데이터가 공급자서버에 전송되기 전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검침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수도계량기, 전기계량기 및 가스계량기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미터는 공급되는 용수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수도 미터는 공급된 용수가 수도 미터의 입수구를 통하여 출수구로 유출되는 흐름에 의해 수도 미터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임펠러를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하는 임펠러의 회전축과 연동되는 숫자판을 통해 사용된 용수의 양을 적산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수도 미터에 대하여 종래에 공개특허 제10-2010-0012130호(공개일: 2010.02.08)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도 미터는 검침원이 직접 방문하여 목측으로 검침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최근에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도 미터의 검침값을 원격 검침 유닛에 전달해줄 수 있는 디지털 수도 미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수도 미터와 원격 검침 유닛은 개별적으로 개발되어 사업화됨에 따라 이들 제품 사이의 원활한 연동이 어려운 점이 있다.
디지털 수도 미터와 원격 검침 유닛은 설치위치, 교체주기, 생산자 등이 상이하여 보안, 전력배분, 호환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조차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수도 미터는 검침을 위한 인력을 줄일 수 있겠으나, 종래 기계식 검침방법에서와 같이 정기적인 검침원에 의한 디지털 수도 미터의 확인이 이루어지기가 어렵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수도 미터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됨에 따라, 디지털 수도 미터의 사용기한(『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1호 제1항의 별표 13』에 따른 수도 미터의 구경이 50㎜ 이하인 경우의 검정유효기간)인 8년 동안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비되는 전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격 수도 검침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원격 수도 검침 시스템은, 수도 사용량을 카운트해주는 디지털 수도 미터와, 디지털 수도 미터에서 카운트되는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받아 게이트웨이를 매개로 서버에 전송해주는 원격 검침 유닛을 포함하고, 디지털 수도 미터는, 계량기함 내에 설치되며,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입수구와 출수구를 통해 이송되는 수돗물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와, 임펠러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해주는 자기센서가 구비되는 자기감지부와, 자기감지부에서 감지된 자기장의 변화를 유량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계량기함의 개방 시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표시해줄 수 있도록 계량기함 내의 광량변화를 감지해주는 조도센서가 구비되는 광량감지부와, 자기감지부, 디스플레이부, 광량감지부를 각각 제어해주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3022호(2020년 10월 07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원격 수도 검침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검침 시스템은,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시스템에 한정되고, 검침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계량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수도 전기 가스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기 어렵고, 기존의 계량기를 제거하고 새로운 계량기를 설치하여야만 원격 검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원격 검침 시스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수도계량기, 전기계량기 및 가스계량기에 추가로 설치하여 원격검침 시스템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원격검침 시스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정 기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검침되어 전송되는 데이터가 공급자서버에 전송되기 전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검침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수도계량기, 전기계량기 및 가스계량기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의 커버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하여 수도사용량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1측정부; 전기계량기 또는 가스계량기를 커버플레이트에 폐쇄 또는 개방 가능하게 커버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개방하여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2측정부; 상기 제1측정부 또는 상기 제2측정부에서 송신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수도사용량,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을 확인하여 컴폼하도록 네크워크망에 의해 상기 제1측정부 또는 상기 제2측정부와 연결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제1측정부 또는 상기 제2측정부에서 송신되는 영상신호가 정확한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컴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네트워크망을 따라 수도사용량,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의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는 공급자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수도계량기가 수납되는 수납홈부를 구비하여 지면 또는 벽면에 고정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수도계량기에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를 일측 타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입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구동부; 상기 개폐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면 상기 베이스블록으로부터 상기 돌출블록을 돌출시키는 돌출구동부; 및 상기 개폐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면 상기 베이스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수도사용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1영상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에 상기 제1힌지부가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돌출블록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커버하는 돌출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상기 개폐구동부 측으로 작동대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개폐구동부는,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작동대 단부에 제3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돌출블록은,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록의 곡면홈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4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돌출블록의 일단에는 제1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블록의 중앙부로부터 일단 측으로 상기 카메라의 일측을 감쌀 수 있도록 돌출되는 가이드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은, 기존의 아날로그 수도계량기에 설치되어 설정 기간이 경과되면 수도계량기의 커버부재를 개방하여 수도사용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서버에 송신하는 제1측정부와, 전기계량기 또는 가스계량기에 설치되어 사용량을 촬영하고 송신하는 제2측정부가 구비되므로 기존의 수도계량기, 전기계량기 및 가스계량기에 제1측정부 및 제2측정부를 설치함으로써,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기존의 수도계량기, 전기계량기 및 가스계량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원격검침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원격검침 시스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의 제1측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의 제1측정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의 제2측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의 제2측정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의 제1측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의 제1측정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의 제2측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의 제2측정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은, 수도계량기(1)의 커버부재(30)를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커버부재(30)를 개방하여 수도사용량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1측정부(10)와, 전기계량기(3) 또는 가스계량기(7)를 커버플레이트(130)에 폐쇄 또는 개방 가능하게 커버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커버플레이트(130)를 개방하여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2측정부(100)와, 제1측정부(10) 또는 제2측정부(100)에서 송신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수도사용량,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을 확인하여 컴폼하도록 네크워크망에 의해 제1측정부(10) 또는 제2측정부(100)와 연결되는 사용자단말기와, 제1측정부(10) 또는 제2측정부(100)에서 송신되는 영상신호가 정확한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컴폼신호가 수신되면 네트워크망을 따라 수도사용량,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의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는 공급자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도계량기(1), 전기계량기(3) 및 가스계량기(7)의 검침이 요구되는 날짜가 도래하면 공급자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요청신호에 따라 제어부에서 구동신호가 송신되고,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제1측정부(10) 및 제2측정부(100)가 구동되어 수도계량기(1), 전기계량기(3) 및 가스계량기(7)에 표시된 사용량이 촬영되어 사용자의 단말기에 송신되고, 사용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량을 전월과 비교하여 사용량이 합리적인지 판단하여 컴폼신호를 입력하면 네트워크망을 따라 공급자서버에 사용량 데이터가 송신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컴폼신호는 설정회수 이상 입력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컴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사용자의 컴폼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1측정부(10)는, 수도계량기(1)가 수납되는 수납홈부(14)를 구비하여 지면 또는 벽면에 고정홀부(16)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베이스블록(12)과, 수도계량기(1)의 디스플레이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수도계량기(1)에 제1힌지부(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30)와, 커버부재(30)를 일측 타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수도계량기(1)의 디스플레입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구동부(50)와, 개폐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수도계량기(1)의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면 베이스블록(12)으로부터 돌출블록(70)을 돌출시키는 돌출구동부(80)와, 개폐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수도계량기(1)의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면 베이스블록(12)으로부터 돌출되어 수도계량기(1)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수도사용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1영상송신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30)는 일단에 제1힌지부(34)가 구비되고, 타단에 돌출블록(70) 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블록(70)을 베이스블록(12)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커버하는 돌출덮개(32)가 구비되고, 제1힌지부(34)로부터 개폐구동부(50) 측으로 작동대(36)가 연장된다.
따라서 개폐구동부(50)의 작도에 의해 커버부재(30)가 회전되면서 수도계량기(1)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시키면 돌출구동부(80)의 작동에 의해 돌출블록(70)이 베이스블록(12) 상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블록(70)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의 작동에 의해 사용량 영상 또는 이미지가 촬영되어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개폐구동부(50)는, 제2힌지부(54)에 의해 베이스블록(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52)와, 작동대(36) 단부에 제3힌지부(5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실린더(52)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부재(56)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돌출블록(70)은,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베이스블록(12)의 곡면홈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4힌지부(7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돌출블록(70)의 일단에는 제1카메라가 설치되며, 돌출블록(70)의 중앙부로부터 일단 측으로 카메라의 일측을 감쌀 수 있도록 돌출되는 가이드블록(74)이 구비된다.
따라서 로드부재(56)가 실린더(52) 외부로 돌출되면서 커버부재(30)를 회전시키면 커버부재(30)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덮개(32)가 돌출블록(7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돌출구동부(80)의 작동에 의해 돌출구동부(80)가 곡면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베이스블록(12) 상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의 돌출구동부(80)는, 곡면홈부 타단에서 곡면홈부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패널(82)과, 지지패널(82)과 돌출블록(70) 타단 사이에 개재되어 돌출블록(70)의 일단을 베이스블록(12)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탄성부재(84)를 포함한다.
따라서 탄성부재(84)로부터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돌출블록(70)의 일단이 베이스블록(12) 상측으로 돌출되면 제1카메라의 작동에 의해 수도사용량이 촬영되고, 커버부재(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폐쇄되면 돌출덮개(32)가 가이드블록(74)을 가압하면서 돌출블록(70)을 곡면홈부 내측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돌출블록(70)이 곡면홈부 내측으로 삽입되면 제1영상송신부(90)의 작동에 의해 사용량 사용자단말기 또는 공급자서버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제1영상송신부(90)는, 돌출블록(70)에 설치되어 제1카메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블록(92)과, 돌출블록(70)이 곡면홈부 내부로 삽입되면 단자블록(92)과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접속블록(94)과, 접속블록(94)에 수신된 영상신호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 또는 공급자서버에 송신하는 제1무선통신부(96)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측정부(100)는, 전기계량기(3) 또는 가스계량기(7) 일측부에 설치되고, 통과홀부(114)가 구비되는 제1베이스(112)와, 제1베이스(112)에 대향되도록 전기계량기(3) 또는 가스계량기(7) 타측부에 설치되고, 삽입홈부(118)에 구비되는 제2베이스(116)와, 통과홀부(114)와 삽입홈부(118)를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기계량기(3) 또는 가스계량기(7)의 디스플레이부를 개폐하며, 제2카메라(136) 및 확인홀부(132)가 구비되는 커버플레이트(130)와, 커버플레이트(130)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구동시키면서 전기계량기(3) 또는 가스계량기(7)의 디스플레이부를 개폐하는 개방구동부(150)와, 개방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전기계량기(3) 또는 가스계량기(7)의 디스플레이부를 폐쇄하면 제2카메라(136)에서 촬영된 사용량 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 또는 공급자서버에 송신하는 제2영상송신부(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개방구동부(150)는, 제1베이스(112)에 설치되는 모터(158)와, 모터(158)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57)와, 구동기어(157)에 기어연결되는 전달기어(156)와, 전달기어(156)에 기어연결되고, 커버플레이트(130)에 구비되는 랙기어부(151)와 기어연결되는 제1피니언(152)과, 제2베이스(116)에 설치되어 랙기어부(151)와 기어연결되는 제2피니언(154)을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158)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랙기어부(151)가 구비되는 커버플레이트(13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확인홀부(132)가 디스플레이부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확인홀부(132) 일측에는 제2카메라(136)가 설치되어 확인홀부(132)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면 제2카메라(136)의 작동에 의해 사용량 데이터를 촬영하게 되고, 커버플레이트(130)의 상면에는 스토퍼(134)가 설치되어 커버플레이트(130)가 개방되는 한계를 구속하게 되어 제2카메라(136)에 의해 촬영되는 디스플레이부는 항상 동일한 지점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영상송신부(170)는, 커버플레이트(13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2카메라(136)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돌기(172)와, 커버플레이트(130)가 삽입홈부(118) 내측 단부까지 삽입되면 단자돌기(172)와 연결되어 단자돌기(172)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자홈부(174)와, 단자홈부(174)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사용자단말기 또는 공급자서버에 공급하는 제2무선통신부(176)를 포함한다.
이로써, 기존의 수도계량기, 전기계량기 및 가스계량기에 추가로 설치하여 원격검침 시스템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원격검침 시스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정 기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검침되어 전송되는 데이터가 공급자서버에 전송되기 전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검침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수도계량기, 전기계량기 및 가스계량기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1측정부 30 : 커버부재
50 : 개폐구동부 70 : 돌출블록
80 : 돌출구동부 90 : 제1영상송신부
100 : 제2측정부 130 : 커버플레이트
150 : 개방구동부 170 : 제2영상송신부

Claims (4)

  1. 수도계량기의 커버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수납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하여 수도사용량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1측정부;
    전기계량기 또는 가스계량기를 커버플레이트에 폐쇄 또는 개방 가능하게 커버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개방하여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2측정부;
    상기 제1측정부 또는 상기 제2측정부에서 송신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수도사용량,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을 확인하여 컴폼하도록 네크워크망에 의해 상기 제1측정부 또는 상기 제2측정부와 연결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제1측정부 또는 상기 제2측정부에서 송신되는 영상신호가 정확한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컴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네트워크망을 따라 수도사용량, 전기사용량 또는 가스사용량의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는 공급자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수도계량기가 수납되는 수납홈부를 구비하여 지면 또는 벽면에 고정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수도계량기에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를 일측 타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입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구동부;
    상기 개폐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면 상기 베이스블록으로부터 상기 돌출블록을 돌출시키는 돌출구동부; 및
    상기 개폐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면 상기 베이스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도계량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수도사용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1영상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에 상기 제1힌지부가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돌출블록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커버하는 돌출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상기 개폐구동부 측으로 작동대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부는,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작동대 단부에 제3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블록은,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록의 곡면홈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4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돌출블록의 일단에는 제1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블록의 중앙부로부터 일단 측으로 상기 카메라의 일측을 감쌀 수 있도록 돌출되는 가이드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KR1020210086087A 2021-06-30 2021-06-30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KR102499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087A KR102499618B1 (ko) 2021-06-30 2021-06-30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087A KR102499618B1 (ko) 2021-06-30 2021-06-30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164A true KR20230004164A (ko) 2023-01-06
KR102499618B1 KR102499618B1 (ko) 2023-02-14

Family

ID=8492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087A KR102499618B1 (ko) 2021-06-30 2021-06-30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376B1 (ko) * 2023-05-01 2024-02-20 주식회사 플랜투스 카메라를 구비한 가스데이터 수집기 및 가스소비량 계측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890A (ko) * 2002-09-17 2004-03-24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원격 검침 시스템용 자동 검침 단말장치
KR100848037B1 (ko) * 2005-12-23 2008-07-23 김연미 계량기의 사용량 지침값을 간단하게 디지타이징 하는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0909432B1 (ko) * 2007-04-24 2009-07-28 주식회사 테크노스퀘어 원격검침기용 수납 케이스
KR101022763B1 (ko) * 2008-09-02 2011-03-17 주식회사 이비 데이타가 저장되는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원격검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03929B1 (ko) * 2019-08-26 2021-01-18 제이비 주식회사 장착형 원격검침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890A (ko) * 2002-09-17 2004-03-24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원격 검침 시스템용 자동 검침 단말장치
KR100848037B1 (ko) * 2005-12-23 2008-07-23 김연미 계량기의 사용량 지침값을 간단하게 디지타이징 하는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0909432B1 (ko) * 2007-04-24 2009-07-28 주식회사 테크노스퀘어 원격검침기용 수납 케이스
KR101022763B1 (ko) * 2008-09-02 2011-03-17 주식회사 이비 데이타가 저장되는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원격검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03929B1 (ko) * 2019-08-26 2021-01-18 제이비 주식회사 장착형 원격검침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376B1 (ko) * 2023-05-01 2024-02-20 주식회사 플랜투스 카메라를 구비한 가스데이터 수집기 및 가스소비량 계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618B1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618B1 (ko) 수도 전기 가스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US20070171092A1 (en) Automated meter reading system
US9175979B2 (en) Prepayment system for supplying water or gas by means of a wireless intelligent card and meter for said system
WO2020263036A1 (en) Cold/hot water meter with remote control module (lorawan and iot) and telemetering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same
US20090188315A1 (en) Instruments for flow meters
KR102516461B1 (ko) 자동차 충전포트도어용 액추에이터
JP2008164544A (ja) 水道メータ
KR101312818B1 (ko) 수도미터기용 적산열량계
US5777222A (en) Fluid meter with modular automatic meter reading unit
WO1996003721A1 (en) Apparatu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gas
MXPA02002067A (es) Sistema de telegestion de consumo de agua en viviendas e industrias.
ES2139295T3 (es) Perfeccionamientos relativos a contadores de gas.
KR20180007159A (ko) 자가발전원 적용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유량 원격 검침 시스템
US11703144B2 (en) Motor-driven axial-flow control valve
JP6840503B2 (ja) 電子式電力量計を収容するための収容ケース及び収容ケースと電子式電力量計とを備える電子式電力量計ユニット
CN2913914Y (zh) 民用供暖智能控制装置
CN216746275U (zh) 一种水表外罩的结构
WO2011128709A1 (en) Cmos sensor with optical prism for metering counter readout
EP0843288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s meters
KR102083476B1 (ko) 계량기용 외부자력사용 식별장치
EP0945711A1 (en) System for recording consumption of a fluid
CN214480945U (zh) 信息获取系统
US20230383740A1 (en) Auxiliary device for pumps
CN209312159U (zh) 一种取水机
JP4803203B2 (ja) 個別ガス機器運転検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