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929A - 스프레드 캔들워머 - Google Patents

스프레드 캔들워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929A
KR20230003929A KR1020210085598A KR20210085598A KR20230003929A KR 20230003929 A KR20230003929 A KR 20230003929A KR 1020210085598 A KR1020210085598 A KR 1020210085598A KR 20210085598 A KR20210085598 A KR 20210085598A KR 20230003929 A KR20230003929 A KR 20230003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spread
warmer
light emitt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안
Original Assignee
장진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안 filed Critical 장진안
Priority to KR102021008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3929A/ko
Publication of KR2023000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으면서 향을 발산하는 캔들을 녹이면서 전등의 역할을 하는 캔들워머에 향을 실내 전체에 빠르게 멀리 퍼지도록 구현한 스프레드 캔들워머에 관한 것으로, 캔들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연장 형성되어, 캔들 상부에 위치하여 캔들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설치되어, 캔들에서 형성되는 향을 퍼트리는 퍼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레드 캔들워머{Spread Candle Warmer}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스프레드 캔들워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으면서 향을 발산하는 캔들을 녹이면서 전등의 역할을 하는 캔들워머에 향을 실내 전체에 빠르게 멀리 퍼지도록 구현한 스프레드 캔들워머에 관한 것이다.
향초는 초에 불을 붙여 빛을 내면서 불의 열기로 인하여 녹은 향초가 향을 발산하며 퍼지도록 하는 인테리어 기구이다. 하지만 초에 불을 붙였다가 초가 넘어져 화재사곡 날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 전등으로 향초를 녹여 향을 퍼트리게 하는 캔들워머이다.
캔들워머는, 실내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가구로써, 전등의 역할과 실내에 향을 채우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향초를 세우고 향초 위에 전등이 빛을 밝히며 전등에서 발생하는 열로 향초를 녹여 향을 발산함으로, 화재사고를 예방하며 인테리어 심미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캔들워머에 관한 제품과 특허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35815호(2017.05.08. 등록)는 터치식 온오프수단을 구비한 캔들워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캔들을 지지하는 받침대; 받침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어 캔들에 열을 가하여 캔들이 증발되게 하는 램프; 및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되어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되, 램프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디밍스위치를 포함하며, 캔들워머를 구성하는 구조물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디밍스위치의 센서로부터 연장되는 센싱케이블이 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가 구조물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따라 센싱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을 감지하며, 디밍스위치는 감지된 접촉에 기초하여 램프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워머를 구성하는 구조물의 어니 한 부분을 터치하여도 램프가 온오프될 수 있어 제어가 쉽고, 사용자가 원하는 양으로 향초가 증발되게 하며 원하는 농도로 향이 발생되게 조절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20-0491234호(2020.03.02. 등록)는 램프에 캔들워머를 장착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미감적 가치를 높이고 향초와 램프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캔들워머가 구비된 램프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향초를 용융시키는 워머부를 포함하되, 워머부는, 향초가 거치되는 안착부; 안착부에 안착된 향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안착부에 안착된 향초에 빛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하되, 발광부 및 워머부를 지지하는 스탠드; 및 스탠드와 발광부 및 워머부를 연결하는 제1 기둥을 더 포함하고, 스탠드는 제1 기둥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발광부는 제1 기둥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워머부는, 제1 기둥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스탠드와 발광부 사이에 형성되며, 워머부는, 안착부와 조사부를 연결하는 제2 기둥을 더 포함하되, 안착부는 제2 기둥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조사부는 제2 기둥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워머부는, 제2 기둥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캔들을 녹여 형성된 향이 캔들을 담은 병에 고여 잘 퍼지지 못하고, 퍼지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캔들을 빠르게 녹일 수 없고, 그에 따른 전력사용량이 높아 전기세가 부담이 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35815호 한국등록특허 제20-049123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한계점이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녹으면서 향을 발산하는 캔들을 녹이면서 전등의 역할을 하는 캔들워머에 향을 실내 전체에 빠르게 멀리 퍼지도록 구현한 스프레드 캔들워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캔들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연장 형성되어, 캔들 상부에 위치하여 캔들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설치되어, 캔들에서 형성되는 향을 퍼트리는 퍼트림부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캔들워머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부는, 상면에 형성되어, 캔들을 안착시키는 캔들안착부재; 일측에 상기 가열부가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열부가 고정 설치되어,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캔들안착부재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같이 회전하며 상기 캔들안착부재와 상기 회전판을 연결해주는 복수 개의 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장 형성되어, 캔들 상부에 위치되도록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캔들에 발광하며 가열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를 덮으며 상기 연장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생성되는 빛과 열을 캔들에 모아주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캔들방향으로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퍼트림부가 설치되어, 상기 퍼트림부가 형성된 바람을 캔들에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부재는, 30~60W의 할로겐 전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재는, 일면이 구리로 코팅되어, 발광부재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퍼트림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캔들에서 형성되는 향을 바람으로 퍼트리는 제1팬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에 연장 형성되어, 캔들에서 형성되는 향을 바람으로 퍼트리는 제2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팬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하측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제1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바람을 형성하는 제1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팬부재는,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 구동시키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모터의 회전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2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모터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2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팬부재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바람을 형성하여 캔들에서 형성된 향을 밀어내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캔들에서 형성된 향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프레드 캔들워머는, 상기 발광부재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캔들에 전달하는 보조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가열부는, 상기 발열부재에 연결 형성되어 수직으로 관통홀을 구비하며, 열을 전달하는 제1전달부재;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전달부재에 전달된 열을 전달하는 제2전달부재; 및 상기 제2전달부재에 전달된 열로 캔들에 직접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한계점이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녹으면서 향을 발산하는 캔들을 녹이면서 전등의 역할을 하는 캔들워머에 향을 실내 전체에 빠르게 멀리 퍼지도록 구현한 스프레드 캔들워머를 제공함으로써, 캔들에서 생성된 향을 빠르게 멀리 퍼트릴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캔들을 빠르게 녹일 수 있어, 전력사용량을 줄여 전기세를 감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캔들워머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받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2팬부재의 정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바람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2팬부재의 역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바람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캔들워머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캔들워머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캔들워머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받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제2팬부재의 회전에 따른 사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제2팬부재의 역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바람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캔들워머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스프레드 캔들워머(10)는, 받침부(100), 가열부(200), 퍼트림부(300), 보조가열부(400)를 포함한다.
받침부(100)는, 캔들을 받쳐 지지하며, 일측에 가열부(200)와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100)는, 캔들안착부재(110), 연결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캔들안착부재(110)는, 상면에 다각형이나 원형으로 형성되어, 캔들을 안착시켜, 캔들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캔들안착부재(110)는, 캔들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펼치거나 오므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캔들안착부재(110)는, 일측에 연결부재(120)가 설치되는 설치홈(100a)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재(120)는, 받침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받침부(100)에 가열부(200)를 연결 설치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120)는 암나사홈으로 형성되어, 가열부(200)가 나사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120)는, 회전판(121), 복수 개의 롤(1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121)은, 상측에 가열부(200)가 고정 설치되며 설치홈(100a)에 설치되어, 수직축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판(121)은 측면에 복수 개의 롤(122)이 위치되는 롤홈(121a)을 구비할 수 있다.
롤(122)은, 캔들안착부재(110)(즉, 설치홈(100a))와 회전판(121)(즉, 롤홈(121a))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회전판(121)을 회전시키면 같이 회전하며 캔들안착부재(110)와 회전판(121)을 연결해준다.
가열부(200)는, 일측은 받침부(100)(즉, 연결부재(120))에 연장 형성되며, 다른 일측은 캔들 상부에 위치하여 캔들을 가열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부(200)는, 고정부재(210), 연장부재(220), 발광부재(230), 덮개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일측은 받침부(100)(즉, 연결부재(120))에 설치되고, 다른 일측은 연장부재(220)가 설치되어, 받침부(100)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210)는, 캔들방향으로 개방되며 내부에 퍼트림부(300)가 설치되어, 퍼트림부(300)에서 형성된 바람을 캔들에 가이드하여 캔들에서 형성된 향을 실내에 빠르고 멀리 퍼트리게 할 수 있다.
연장부재(220)는, 고정부재(210)에 연장 형성되어, 일측에 발광부재(230)가 설치되어, 발광부재(230)를 캔들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장부재(220)는, 내부에 철심을 구비하며, 복수 개의 관절유닛(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으로 형성되어, 발광부재(23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위치시킬 수 있다.
발광부재(230)는, 연장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콘센트나 건전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캔들방향으로 발광하며 가열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재(230)는, 30-60W의 할로겐 전구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240)는, 발광부재(230)의 일면을 덮으며 연장부재(2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발광부재(230)에서 생성되는 빛과 열을 캔들에 모아준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재(240)는, 캔들방향의 면을 구리로 코팅하여, 발광부재(230)에서 발생하는 열을 하술하는 보조가열부(400)에 전달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퍼트림부(300)는, 가열부(200)(즉, 고정부재(210)나 발광부재(230))에 설치되어, 캔들에서 형성되는 향을 빠르고 멀리 퍼트린다.
일 실시 예에서, 퍼트림부(300)는, 제1팬부재(310), 제2팬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부재(310)는, 고정부재(210)에 설치되어, 캔들에서 형성되는 향을 바람으로 멀리 빠르게 퍼트린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팬부재(310)는, 제1모터(311), 제1팬(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311)는, 고정부재(210)의 하측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콘샌트나 건전지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제1회전축(311A)을 회전 구동시킨다.
제1팬(312)은, 제1회전축(311A)에 고정 설치되어, 제1회전축(311A)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바람을 형성한다.
제2팬부재(320)는, 발광부재(230)에 연장 형성되어, 캔들에서 형성되는 향을 바람으로 퍼트린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팬부재(320)는, 제2모터(321), 제어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 제2팬(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모터(321)는, 콘샌트나 건전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기(322)에서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2팬(322)을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제어기는, 제2모터(321)에 설치되어, 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2모터(321)의 회전 방향과 속도를 제어한다.
제2팬(322)은, 제2모터(321)에 설치되어 제2모터(321)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팬(322)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캔들방향으로 바람을 형성하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흡입하여 덮개부재(240) 방향으로 바람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참조)
보조가열부(400)는, 발광부재(230)에 연결 형성되어, 발광부재(2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캔들에 전달하여 캔들이 녹아 향을 생성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가열부(400)는, 열전도율이 높은 은, 구리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가열부(400)는, 제1전달부재(410), 제2전달부재(420), 가열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달부재(410)는, 발열부재(230)에 연결 형성되어, 수직으로 제2전달부재(420)가 설치되는 관통홀(410a)을 구비하며, 발열부재(230)와 덮개부재(240)에 열을 제2전달부재(420)에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410a)은, 제2전달부재(420)가 관통홀(410a)에 걸려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일측에 걸림턱(4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전달부재(420)는, 관통홀(410a)에 설치되어, 제1전달부재(410)에 전달된 열을 가열부재(43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전달부재(420)는, 다른 일측이 두껍게 형성되어, 걸림턱(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에 걸려 관통홀(410a)에서 빠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재(430)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며 캔들 상에 위치되어, 전달된 열로 캔들을 녹여 향을 발산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레드 캔들워머(10)는, 녹으면서 향을 발산하는 캔들을 가열부(200)(즉, 발광부재(230))가 발광하며 가열하여, 전등의 역할을 하며 캔들이 녹아서 형성된 향을 퍼트림부(300)가 바람으로 실내 전체에 빠르게 멀리 퍼지도록 구현함으로써, 캔들에서 생성된 향을 빠르게 멀리 퍼트릴 수 있으며, 보조가열부(400)가 캔들을 빠르게 녹이며, 가열부(200)(즉, 발광부재(230))에서 사용한 전력으로 생성된 열을 받아 직접 캔들을 녹임으로써, 전력사용량을 줄여 전기세를 감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레드 캔들워머(10)는, 제2팬부재(3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캔들의 향을 흡입하듯 상승시켜 제1팬부재(310)가 상승된 향을 바람으로 퍼트려주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스프레드 캔들워머
100: 받침부
100a: 설치홈
110: 캔들안착부재
120: 연결부재
121: 회전판
122: 롤
200: 가열부
210: 고정부재
220: 연장부재
230: 발광부재
240: 덮개부재
300: 퍼트림부
310: 제1팬부재
311: 제1모터
311A: 제1회전축
312: 제1팬
320: 제2팬부재
321: 제2모터
322: 제2팬
400: 보조가열부
410: 제1전달부재
410a: 관통홀
420: 제2전달부재
430: 가열부재

Claims (5)

  1. 캔들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연장 형성되어, 캔들 상부에 위치하여 캔들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설치되어, 캔들에서 형성되는 향을 퍼트리는 퍼트림부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캔들워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장 형성되어, 캔들 상부에 위치되도록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캔들에 발광하며 가열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를 덮으며 상기 연장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생성되는 빛과 열을 캔들에 모아주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캔들워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캔들방향으로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퍼트림부가 설치되어, 상기 퍼트림부가 형성된 바람을 캔들에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캔들워머.
  4. 제2항에 있어서, 퍼트림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캔들에서 형성되는 향을 바람으로 퍼트리는 제1팬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에 연장 형성되어, 캔들에서 형성되는 향을 바람으로 퍼트리는 제2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캔들워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하측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제1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바람을 형성하는 제1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캔들워머.
KR1020210085598A 2021-06-30 2021-06-30 스프레드 캔들워머 KR20230003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98A KR20230003929A (ko) 2021-06-30 2021-06-30 스프레드 캔들워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98A KR20230003929A (ko) 2021-06-30 2021-06-30 스프레드 캔들워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929A true KR20230003929A (ko) 2023-01-06

Family

ID=8492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598A KR20230003929A (ko) 2021-06-30 2021-06-30 스프레드 캔들워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392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815B1 (ko) 2015-06-08 2017-05-29 (주) 레판토 터치식 온오프수단을 구비한 캔들워머
KR200491234Y1 (ko) 2017-08-31 2020-03-09 (주)이삭줍기 캔들워머가 구비된 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815B1 (ko) 2015-06-08 2017-05-29 (주) 레판토 터치식 온오프수단을 구비한 캔들워머
KR200491234Y1 (ko) 2017-08-31 2020-03-09 (주)이삭줍기 캔들워머가 구비된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8643B2 (en) Gesture-base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load
US20080150453A1 (en) Candle emulation device with aerosol-based fragrance release mechanism
US20070127249A1 (en) Candle emulation device with fragrance release mechanism
US10145549B2 (en) Candle warmer having touch type on/off means
WO2003096748A1 (en) Illuminating candle warming apparatus
KR102051610B1 (ko) 다기능 향초 워머
KR20170096662A (ko) 다양한 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향 발산장치
US20240072711A1 (en) Load control device having an illuminated rotary knob
CN101352577A (zh) 芳香器
KR20160028698A (ko) 향 발산장치
KR20230003929A (ko) 스프레드 캔들워머
CN107191883A (zh) 一种电子蜡烛
JP3146210U (ja) 芳香ランプにおける芳香調節装置
KR101820047B1 (ko) 실내 조도변화에 따라 디밍되는 조명장치 및 방법
KR20200008753A (ko)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캔들워머
KR102517985B1 (ko) 선택적 조명이 가능한 캔들워머
CN213333915U (zh) 一种智能起夜灯控制系统
KR102340257B1 (ko) 발향 지향성을 구비한 캔들 워머
US20240191849A1 (en) Intelligent lighting fixture with emergency backup system
CN207990335U (zh) 一种可调节人体感应的led灯
TWM574659U (zh) 旋轉香薰燈結構改良
JP3608326B2 (ja) 熱線式自動スイッチ
JP3915138B2 (ja) 照明器具および演出照明システム
TWI392828B (zh) 燈具及其控制方法
CN210744468U (zh) 一种自适应可调式智能照明配电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