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698A - 향 발산장치 - Google Patents

향 발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698A
KR20160028698A KR1020140117510A KR20140117510A KR20160028698A KR 20160028698 A KR20160028698 A KR 20160028698A KR 1020140117510 A KR1020140117510 A KR 1020140117510A KR 20140117510 A KR20140117510 A KR 20140117510A KR 20160028698 A KR20160028698 A KR 2016002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d
numbered odd
numbered
air blow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영
유승원
Original Assignee
정근영
유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근영, 유승원 filed Critical 정근영
Priority to KR102014011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698A/ko
Publication of KR2016002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2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향초와 같은 발향제에 불을 붙이지 않고서도 발향제를 가열하면서 녹일 수 있고, 터널 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향초와 같은 발향제를 끝까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향 발산장치{Fragrance diffuser}
본 발명은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 거실, 화장실 등 집안에서의 냄새 제거, 방향 등을 위해 방향제, 향초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향초를 켜두면 조명효과, 인테리어 효과 이외에 방향 효과까지 얻을 수 있어서, 향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향초의 경우, 심지에 불을 붙이면 심지 주변만 타들어가는 터널 링 현상으로 인해 향초의 몸체 부분을 전부 사용하지는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한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17944호에는 '천연 향기스탠드'가 개시되어 있으나, 개시된 천연 향기스탠드는 향유 저장용기에 향유를 넣고 심지를 통하여 향유를 외부로 이송시켜 발열체의 온도로써 향유를 증발시키는 구조이므로, 향기가 확산되는 속도가 매우 느리고, 필수적으로 향유를 사용해야 하므로 최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향초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향초와 같은 발향제에 불을 붙이지 않고서도 발향제를 가열하면서 녹일 수 있고, 터널 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향초와 같은 발향제를 끝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송풍부재의 구비로 인해 발향제에서 발산되는 향의 확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단시간에 넓은 범위의 공간 내에 향을 확산시킬 수 있으며, 향 발산장치 본연의 기능(향 발생 및 확산) 이외에 독서 램프 또는 무드 램프 등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우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발향제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도 조절스위치와 전원 조절스위치의 구비로 인해 발향제의 녹는 속도 조절,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향 발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발향제에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부재와, 상기 발향제에서 발생된 향을 확산시키기 위한 송풍부재가 구비된 하우징부; 및 일단이 베이스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향초와 같은 발향제에 불을 붙이지 않고서도 발향제를 가열하면서 녹일 수 있고, 터널 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향초와 같은 발향제를 끝까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부재의 구비로 인해 발향제에서 발산되는 향의 확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단시간에 넓은 범위의 공간 내에 향을 확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향 발산장치 본연의 기능(향 발생 및 확산) 이외에, 독서 램프 또는 무드 램프 등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발향제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조도 조절스위치와 전원 조절스위치의 구비로 인해 발향제의 녹는 속도 조절,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부를 A-A'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우징부를 B-B'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부를 A-A'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우징부를 B-B'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100)는, 발향제(101)에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부재(103)와, 발향제(101)에서 발생된 향을 확산시키기 위한 송풍부재(105)가 구비된 하우징부(107); 및 일단이 베이스부재(109)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우징부(107)에 결합되어 하우징부(107)를 지지하는 지지부(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부(107)에는 가열부재(103)와 송풍부재(105)가 구비되는데, 하우징부(107)는 일예로 스탠드의 전등갓과 같이 금속 재질의 프레임 둘레에 종이, 천 등을 부착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재(103)는 발향제(101)에 열을 가하도록 구비되는데, 여기서 발향제(101)는 일예로 향초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열부재(103)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열부재(103)는 전구(113)가 결합되는 소켓부(201); 및 소켓부(201)와 하우징부(107)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되, 소켓부(20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형성되는 연결바(203);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201)에는 전구(113)가 결합되는데,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켓부(201)에는 전구(11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선은 연결바(203)의 내부 또는 외부와 지지부(111)를 거쳐 베이스부재(109)의 메인전선(115)과 연결된다.
연결바(203)는 소켓부(201)와 하우징부(107)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연결바(203)는 소켓부(20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바(203)가 소켓부(20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형성됨으로써 연결바(203)들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향제(101)에서 발산된 향이 송풍부재(105)의 작동으로 하우징부(107)의 내측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원활히 발산될 수 있게 된다.
송풍부재(105)는 발향제(101)에서 발생된 향을 확산시키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송풍부재(105)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풍부재(105)는 수개의 날개부(301)가 연결되되, 날개부(301)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303); 및 구동부재(303)와 하우징부(107)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되, 구동부재(303)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형성되는 연장바(30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303)에는 수개의 날개부(301)가 연결되는데, 구동부재(303)는 이 날개부(30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며, 일예로 구동부재(303)는 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연장바(305)는 구동부재(303)와 하우징부(107)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데, 이러한 연장바(305)는 구동부재(303)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형성된다.
이처럼 연장바(305)가 구동부재(303)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형성됨으로 인한 효과는 앞서 연결바(203)에 대한 설명과 같다.
한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재(105)는 가열부재(10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로 인해 발향제(101)에서 발생된 향은 송풍부재(105)의 작동에 따라 하우징부(107)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발산된다.
물론, 이 때 송풍부재(105)의 날개부(301)는 공기의 흐름이 하우징부(107)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한다.
이와 달리, 송풍부재(105)의 날개부(301)는 공기의 흐름이 하우징부(107)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도 있다.
이어서, 지지부(111)는 일단이 베이스부재(109)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우징부(107)에 결합되어 하우징부(107)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지지부(111)는 하우징부(10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개의 튜브가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1)는 일단이 베이스부재(109)에 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된 제1지지몸체(117); 및 일단이 제1지지몸체(117)의 타단에 내삽되고, 타단이 하우징부(107)에 결합되는 제2지지몸체(119);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서, 제2지지몸체(119)가 제1지지몸체(117)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의 조절로써 하우징부(107)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지지부(111)가 형성됨으로써, 발향제(101)의 크기 또는 높이에 관계없이 가열부재(103)의 최적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지지몸체(117)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하우징부(107)의 높이를 조절한 후, 제2지지몸체(117)를 고정할 수 있도록 스토퍼스위치(121)가 마련되며, 이러한 스토퍼스위치(121)는 일반적인 선풍기 구조에서 선풍기 헤드의 높이를 조절한 후 고정시키는 고정스위치 구조와 유사하다.
또한, 베이스부재(109)에는 가열부재(103)의 전구(113)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스위치(123)와, 전구(113) 및 송풍부재(105)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시간을 조절하는 전원 조절스위치(125)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데, 조도 조절스위치(123)가 구비됨으로써 발향제(101)의 녹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전원 조절스위치(125)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취침시 향 발산장치(100)의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부(107)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발향제(101)에서 발생된 향을 수평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측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산홀(403)이 형성된 커버부재(40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401)는 일예로,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되, 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발산홀(403)이 형성된 구조로 이뤄질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재(401)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 몸체(501)의 직경이 상부몸체(503)의 직경보다 더 큰 2단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부(107)의 상부에 커버부재(401)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부(107)의 상부에서 하우징부(107)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부(107)의 내측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올라오는 향을 수평방향으로 확산시켜 단시간 내에 넓은 공간으로 발향제(101)의 향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향초와 같은 발향제에 불을 붙이지 않고서도 발향제를 가열하면서 녹일 수 있고, 터널 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향초와 같은 발향제를 끝까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송풍부재의 구비로 인해 발향제에서 발산되는 향의 확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단시간에 넓은 범위의 공간 내에 향을 확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향 발산장치 본연의 기능(향 발생 및 확산) 이외에, 독서 램프 또는 무드 램프 등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발향제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조도 조절스위치와 전원 조절스위치의 구비로 인해 발향제의 녹는 속도 조절,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향 발산장치
101 : 발향제
103 : 가열부재
105 : 송풍부재
107 : 하우징부
109 : 베이스부재
111 : 지지부
113 : 전구
115 : 메인전선
117 : 제1지지몸체
119 : 제2지지몸체
121 : 스토퍼스위치
123 : 조도 조절스위치
125 : 전원 조절스위치
201 : 소켓부
203 : 연결바
301 : 날개부
303 : 구동부재
305 : 연장바
401 : 커버부재
403 : 발산홀
501 : 하부몸체
503 : 상부몸체

Claims (6)

  1. 발향제에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부재와, 상기 발향제에서 발생된 향을 확산시키기 위한 송풍부재가 구비된 하우징부; 및
    일단이 베이스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되,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형성되는 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재는,
    수개의 날개부가 연결되되, 상기 날개부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하우징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되, 상기 구동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형성되는 연장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재는 상기 가열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스위치와, 상기 전구 및 상기 송풍부재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시간을 조절하는 전원 조절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발향제에서 발생된 향을 수평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측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산홀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향 발산장치.
KR1020140117510A 2014-09-04 2014-09-04 향 발산장치 KR20160028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10A KR20160028698A (ko) 2014-09-04 2014-09-04 향 발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10A KR20160028698A (ko) 2014-09-04 2014-09-04 향 발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698A true KR20160028698A (ko) 2016-03-14

Family

ID=5554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10A KR20160028698A (ko) 2014-09-04 2014-09-04 향 발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869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662A (ko) * 2017-02-10 2018-08-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전소자를 이용한 발향장치
KR101895189B1 (ko) * 2018-03-30 2018-09-04 이준식 조명기능이 구비된 방향기
KR20180002906U (ko) * 2017-03-31 2018-10-11 홍교종 캔들워머 고정장치
KR20190000609U (ko) * 2017-08-31 2019-03-08 (주)이삭줍기 캔들워머가 구비된 램프
KR20200145894A (ko) * 2019-06-19 2020-12-31 성기택 캔들워머
EP3957903A1 (en) * 2020-08-21 2022-02-23 Jaroslav Pipta An adjustable fastening mechanism of the thermal evaporator for the shade of the light sour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662A (ko) * 2017-02-10 2018-08-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전소자를 이용한 발향장치
KR20180002906U (ko) * 2017-03-31 2018-10-11 홍교종 캔들워머 고정장치
KR20190000609U (ko) * 2017-08-31 2019-03-08 (주)이삭줍기 캔들워머가 구비된 램프
KR101895189B1 (ko) * 2018-03-30 2018-09-04 이준식 조명기능이 구비된 방향기
KR20200145894A (ko) * 2019-06-19 2020-12-31 성기택 캔들워머
EP3957903A1 (en) * 2020-08-21 2022-02-23 Jaroslav Pipta An adjustable fastening mechanism of the thermal evaporator for the shade of the light source
EP4202293A1 (en) 2020-08-21 2023-06-28 Jaroslav Pipta An adjustable fastening mechanism of the thermal vaporator for the shade of the light sou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8698A (ko) 향 발산장치
US6354710B1 (en) Aromatic system and method of use
US7132084B1 (en) Candle warmer
US10610612B2 (en) Scent dispersion device
US10145549B2 (en) Candle warmer having touch type on/off means
US20090122516A1 (en) Aroma lamp
US20130265743A1 (en) Lamp Structure
KR20170091377A (ko) 자가발전을 통한 조명기능이 포함된 아로마 향초 용기
US20200038540A1 (en) Rotatable aromatherapy lamp
KR102212706B1 (ko) 다기능 향초 워머
CN108361901A (zh) 一种释放天然负离子的加湿机
US200402467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ameless burning of candles
US10780193B2 (en) Rotary aromatherapy lamp structure
CN207230436U (zh) 一种电子蜡烛
KR101858069B1 (ko) 양초를 이용한 자가발전장치
KR20190000609U (ko) 캔들워머가 구비된 램프
TWM574659U (zh) 旋轉香薰燈結構改良
US8556441B2 (en) Fragrance emitting article
US3416871A (en) Readily convertible light fixture
KR200200392Y1 (ko) 아로마테라피 (향기치료요법) 훈증기의 기능을 첨부한조명기구
TWM567340U (zh) 旋轉香薰燈
KR101895189B1 (ko) 조명기능이 구비된 방향기
JP3146211U (ja) 芳香ランプ
KR200203546Y1 (ko) 장식용 조명등
CN213065894U (zh) 一种具加香功能的led蜡烛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