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170U - 건축자재 수납함 - Google Patents

건축자재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170U
KR20230002170U KR2020220001118U KR20220001118U KR20230002170U KR 20230002170 U KR20230002170 U KR 20230002170U KR 2020220001118 U KR2020220001118 U KR 2020220001118U KR 20220001118 U KR20220001118 U KR 20220001118U KR 20230002170 U KR20230002170 U KR 202300021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storage
storage box
support
laminated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석
Original Assignee
김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석 filed Critical 김태석
Priority to KR2020220001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170U/ko
Publication of KR20230002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6Containers with stacking ribs i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52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near to or at the upper edge or r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자재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개구를 형성하여 건축자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비하는 함체부(110)와, 함체부(110)의 상단 외주를 따라서 일정 높이로 구비하는 적층삽입부(120)와, 적층삽입부(120)의 하측에서 함체부(110)의 외측면을 따라서 수평부(131) 및 수직부(132)를 '¬' 형상으로 돌출 구비하는 아웃지지부(130)와, 아웃지지부(130)의 수평부(131) 하측에서 일정 높이의 협판 상으로 연장하여 함체부(110)의 외측면에 일체로 구비하되, 복수를 일정 간격 배치하여 구비하는 적층지지부(140)와, 적층삽입부(120)에서 상호 대향하는 양측에 하단을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수직바(151)와, 수직바(151)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바(152)를 일체로 구비하는 운반조작부(150)를 포함하고, 적층지지부(140)의 하단부에는 지지대(141)를 마련하되, 지지대(141)에서 함체부(110)의 하측면까지의 높이는 적층삽입부(120)의 높이와 같거나 그 이하로 형성하고, 일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 내측으로 타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함체부(110)의 하부를 수용하고 타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지지대(141)가 일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구비하여,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건축자재 수납함{CONSTRUCTION MATERIAL STORAGE BOX}
본 고안은 건축자재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각종 건축자재의 수납 및 보관, 운반을 위한 건축자재 수납함을 구성함으로써 종래 단순 마대 자루형 수납 구성에 비해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하도록 이루어지는 건축자재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는 못, 나사, 앵커볼트, 걸고리, 훅, 핀, 볼트 등 각종 다양한 종류의 건축자재를 사용한다. 작업자는 각 층 및 작업장에서 실시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건축자재를 수시로 공급받거나 운반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통상의 건축자재는 제조 시 일정 수량을 비닐 등의 포장재에 팩 단위로 포장하여 출시되는바, 건설 현장에는 예컨대 볼트 팩, 걸고리 팩 등을 필요 수량만큼 각각 포대 또는 마대에 담아서 작업장에 공급하고 있다.
종래의 건축자재 수납용 포대 또는 마대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자루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자재를 수납하고 상단을 끈 등으로 묶어 보관 및 운반하도록 이루어진다.
건축자재의 수납에 사용되는 포대 또는 마대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078673 호에는 합성수지제 테이프사를 경사와 위사로 교합하여 포대 형상으로 형성하는 물품포장용 합성수지제 포대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0388143 호에는 튜브형 합성수지제 필름 하단을 가열밀봉하여 형성된 바닥부와, 그 상단이 개구되는 개구부를 가진 자루본체에 그보다도 융점이 높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바닥부에 걸쳐 배치함과 동시에 가열밀봉으로 바닥부를 형성할 때에 일단이 동시에 임시 고정된 합성수지제 끈을 설치하는 끈을 단 합성수지제 자루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0346033 호에는 최외층이 무기 충전제를 함유한 폴리에틸렌필름 및 최내층이 무기 충전제를 함유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된 다층 적층 필름으로 형성되고, 또한 최외층 표면이 정마찰계수를 가지는 중량물용 포장자루를 구성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078673 호 (1993.11.27) 한국등록특허 제 10 - 0388143 호 (2003.06.18) 한국등록특허 제 10 - 0346033 호 (2003.03.03)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건축자재 수납에 사용되는 포대 또는 마대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자루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자재를 수납하고 상단을 끈 등으로 묶어 보관 및 운반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루형 건축자재 수납 구성은 비록 곡물 등에 사용되는 포대에 비해 내구성을 향상하고는 있다 할지라도 볼트, 못, 걸고리 등 중량이 무겁고 다양한 형상 및 첨예부를 구비하는 건축자재를 수납 시 쉽게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결국, 자루의 손상 부위로 작업장의 곳곳에 건축자재가 분실될 수 있으므로 작업환경을 어지럽히고 작업자의 안전에도 위협이 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종래의 자루형 건축자재 수납 구성은 자재가 수납된 상태에서 포대 또는 마대의 불규칙한 형태로 인해 적층 및 직립이 어려워 보관성 및 운반성이 좋지 못하며, 작업자가 취급 시에도 포대를 잡고 입구를 개폐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재가 쏟아지는 등 현장의 정리정돈이 어렵고 작업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불편함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상부 개구를 형성하여 건축자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비하는 함체부(110)와,
상기 함체부(110)의 상단 외주를 따라서 일정 높이로 구비하는 적층삽입부(120)와,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하측에서 상기 함체부(110)의 외측면을 따라서 수평부(131) 및 수직부(132)를 '¬' 형상으로 돌출 구비하는 아웃지지부(130)와,
상기 아웃지지부(130)의 수평부(131) 하측에서 일정 높이의 협판 상으로 연장하여 상기 함체부(110)의 외측면에 일체로 구비하되, 복수를 일정 간격 배치하여 구비하는 적층지지부(140)와,
상기 적층삽입부(120)에서 상호 대향하는 양측에 하단을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수직바(151)와, 수직바(151)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바(152)를 일체로 구비하는 운반조작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지지부(140)의 하단부에는 지지대(141)를 마련하되, 지지대(141)에서 상기 함체부(110)의 하측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높이와 같거나 그 이하로 형성하고,
일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 내측으로 타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함체부(110)의 하부를 수용하고 타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지지대(141)가 일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구비하여,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못, 나사, 앵커볼트, 걸고리, 훅, 핀, 볼트 등 각종 다양한 종류의 건축자재의 수납을 위한 건축자재 수납함을 제공한다.
특히, 본 고안은 종래에 현장에서 사용되는 단순 포대 또는 마대와 같은 자루형 건축자재 수납 구성과 차별하여 플라스틱 함체 형상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구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중량이 무겁고 다양한 형상 및 첨예부를 구비하는 건축자재를 수납 시 종래 기술에 비해 자재의 분실 및 그로 인한 현장에서의 사고의 발생 위험을 배제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자루형 수납 구성과 차별하여 건축자재 수납함의 적층 및 직립성을 확보함으로써 현장에 보관하거나 파렛트 등에 적재하여 작업자 또는 운반 장치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납함 및 수납된 자재의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함체 내부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나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자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 수납함의 상, 하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 수납함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 수납함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 수납함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건축자재 수납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 수납함의 상, 하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 수납함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 수납함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 수납함의 사용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건축자재 수납함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각종 건축자재의 수납 및 보관, 운반을 위한 수납함을 구성함으로써 종래 단순 마대 자루형 수납 구성에 비해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건축자재 수납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부(110)와, 함체부(110)에 일체로 구비하는 적층삽입부(120), 아웃지지부(130), 적층지지부(140)와, 함체부(110)에 결합하는 운반조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함체부(110)는 상부 개구를 형성하여 건축자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함체부(110)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형상으로 형성하여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못, 나사, 앵커볼트, 걸고리 등의 건축자재를 수납하도록 구비한다. 현장 여건이나 사용되는 건축자재의 종류에 따라서 함체부(110)의 깊이, 크기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함체부(110)에는 저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배치하여 내부에 유입되는 수분을 배출하도록 구비하는 배수홀(111)을 구비한다.
상기 함체부(110)는 수납되는 자재를 간편하게 취급하고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용이하게 적층하도록 상부를 개구하는 형태로 구비하는바, 우천 시 혹은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수의 유입 시 함체부(110)로부터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배수홀(111)을 배치한다.
상기 배수홀(11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함체부(110)의 저면 4개소에 격자로 배치하였으나 함체부(110)의 규격에 따라서 모서리나 중심부 등에도 배치하여 유입된 수분으로 인한 자재의 손상이나 건축자재 수납함의 중량 증대와 같은 문제를 배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함체부(110)에는 하측면 상에 격자 형태로 배치하여 건축자재에 의해 하측면 중심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하는 보강대(112)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대(112)는 함체부(110)의 하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하여 하측면 전반을 지지함으로써 중량물인 건축자재의 하중에 의해 중심부가 쳐지거나 하측면이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배수홀(111)을 통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강대(112)를 격자로 배치하여 구성하였으나 원형이나 방사상의 배치 구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층삽입부(120)는 상기 함체부(110)의 상단 외주를 따라서 일정 높이로 구비한다.
상기 적층삽입부(120)는 상기 함체부(110)의 4측 벽으로부터 일정 높으로 상향 돌출하여 상단부를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적층삽입부(120)는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상, 하로 적층 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 적층삽입부(120)에는 내주면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수납한계라인(121)을 형성하여 건축자재의 수납 높이를 제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수납한계라인(121)은 일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 내측으로 타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함체부(110)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함체부(110)에 수납되는 건축자재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수납한계라인(121)은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내주면에서 미세 깊이로 요입 또는 돌출하는 선형으로 구비하여 건축자재의 취급시 간섭을 배제하면서 제한 높이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납한계라인(121)은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높이를 이격한 위치에 형성하되, 그 높이는 후술하게 될 적층지지부(140)의 지지대(141)에서 상기 함체부(110)의 하측면까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납한계라인(121)은 상기 함체부(110)의 규격에 비례하여 그 위치를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상단으로부터 더욱 이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아웃지지부(130)는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하측에서 상기 함체부(110)의 외측면을 따라서 수평부(131) 및 수직부(132)를 '¬' 형상으로 돌출 구비한다.
상기 아웃지지부(130)는 수평부(131)를 상기 함체부(110)의 외측면을 따라서 일체로 구비하고, 수평부(131)의 외측단에서 절곡되는 수직부(132)를 마련하며, 수평부(131)와 수직부(132)의 내측에는 후술하게 될 적층지지부(140)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함체부(110)의 외측 전반을 지지함으로써 중량의 건축자재를 수납 시 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아웃지지부(130)의 수평부(131) 상측에는 후술하게 될 운반조작부(150)가 안착되며, 수평부(131) 하측에는 후술하게 될 적층지지부(140)의 상단이 결합되므로 수평부(131)의 폭은 운반조작부(150) 및 적층지지부(140)의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적층지지부(140)는 상기 아웃지지부(130)의 수평부(131) 하측에서 일정 높이의 협판 상으로 연장하여 상기 함체부(110)의 외측면에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적층지지부(140)는 상기 아웃지지부(130)와 연동하여 상기 함체부(110)의 외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하게 될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적층 시 상기 적층삽입부(120)와 연계하여 상호 지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적층지지부(140)는 상기 수평부(131)의 하측면에 상단부를 일체로 결합하고 일정 높이로 하향 연장하되, 상기 아웃지지부(130)의 수직부(132)에 의해 커버되는 상단부에 비해 하단부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외부 간섭을 배제하면서 지지력을 분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적층지지부(140)는 상기 함체부(110)의 외측면을 따라서 복수를 일정 간격 배치하여 구비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4측 면으로 이루어지는 함체부(110)의 각 측 2개소에 상기 적층지지부(140)를 배치하였으나 그 수 및 배치 간격은 함체부(110)의 규격에 따라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적층지지부(140)의 하단부는 수평단으로 지지대(141)를 형성하여 상기 적층삽입부(120)에 지지되도록 구비한다. 지지대(141)는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외주연 전반을 4측 적층지지부(140)가 균등하게 충분히 지지 가능하도록 일정 폭을 확보하여 형성하며, 수평단의 상측으로 수직면을 구비하여 더욱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적층지지부(140)의 지지대(141)에서 상기 함체부(110)의 하측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높이와 같거나 그 이하로 형성한다.
상기 적층삽입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상, 하로 적층 시 상호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내주면에 형성하는 수납한계라인(121)의 상측으로 공간을 확보하여 상측에 건축자재 수납함의 하부를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적층지지부(140)의 지지대(141)에서 함체부(110)의 하측면까지의 높이를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할 경우 함체부(110)에 수납되는 건축자재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 내측으로 타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함체부(110)의 하부를 수용하고 타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지지대(141)가 일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구비하여,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운반조작부(150)는 상기 적층삽입부(120)에서 상호 대향하는 양측에 하단을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수직바(151)와, 수직바(151)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바(152)를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운반조작부(150)는 건축자재를 수납하는 상기 함체부(110) 일체를 운반 시 운반조작부(150)를 힌지 조작하여 작업자 또는 리프트와 같은 운반 장치를 이용해 건축자재 수납함을 운반하도록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운반조작부(150)는 상기 함체부(110)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삽입부(120)에는 수직바(151)의 하단 힌지에 상응하는 한 쌍의 힌지 결합부를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운반조작부(150)는 미사용 또는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100a,100b)을 적층 시 상기 아웃지지부(130)의 수평부(131) 상측에 안착하도록 구비하되, 수직바(151) 및 수평바(152)의 폭은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높이와 같거나 그 이하로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운반조작부(150)의 폭이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높이보다 이상일 경우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적층 시 간섭이 발생하거나 가동 범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반조작부(150)의 수평바(152)의 내측면 정중앙부에는, 수평바(152)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터널 형상의 운반결합홈(153)을 구비한다. 상기 운반결합홈(153)에는 리프트와 같은 운반 장치에 의해 건축자재 수납함을 운반 시 후크 또는 로프 등을 개재하여 결합함으로써 건축자재 수납함의 무게 중심을 유지하면서 운반조작부(150)의 일측으로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를 배제하여 안정적인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건축자재 수납함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 수납함은 함체부(110)의 내부에 건축자재를 수납하되, 함체부(110)의 상단에 형성하는 적층삽입부(120)의 수납한계라인(121)까지 수납한다.
중량물의 건축자재를 수납 및 운반 시 함체부(110)의 하측면 전반에 배치되는 보강대(112)와, 함체부(110)의 외측면을 따라서 구비하는 아웃지지부(130) 및 적층지지부(140)의 연계 구조에 의해 함체부(110)는 안정적으로 제 형상 및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일 건축자재 수납함을 운반 시에는 작업자 또는 리프트와 같은 운반 장치를 이용해 운반조작부(150)를 힌지 작동하여 운반한다.
운반 장치에 마련되는 후크나 로프를 운반조작부(150)의 정중앙에 형성하는 운반결함홈에 결함하여 미끄러짐을 배제하고 무게 중심을 유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으며 고층 작업장 등으로 건축자재 수납함 일체를 안정적으로 운반한다.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현장에 보관하거나 파렛트 등을 이용해 운반 시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상, 하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측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운반조작부(150)를 아웃지지부(130)의 수평부(131) 상측에 안착하고 적층삽입부(120) 내측으로 상측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함체부(110)의 하부를 삽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함체부(110)에는 건축자재가 수납한계라인(121) 이하로 수납이 제한되므로 하측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에 상측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적층지지부(140)의 지지대(141)에서 함체부(110)의 하측면까지의 높이보다 적층삽입부(120)의 높이가 높으므로 상측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함체부(110) 외측면을 따라서 배치하는 적층지지부(140)의 지지대(141)가 하측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 상단에 지지되어 적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현장에 보관하거나 파렛트 상에 적재하여 목적하는 작업장으로 운반할 수 있다.
건축자재 수납함을 보관 또는 운반 시 상부가 개구되는 함체부(110)의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배수홀(111)을 통해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져 건축자재의 오염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 수납함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못, 나사, 앵커볼트, 걸고리, 훅, 핀, 볼트 등 각종 다양한 종류의 건축자재의 수납 시 종래에 현장에서 사용되는 단순 포대 또는 마대와 같은 자루형 건축자재 수납 구성과 차별하여 함체 형상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구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중량이 무겁고 다양한 형상 및 첨예부를 구비하는 건축자재를 수납 시 종래 기술에 비해 자재의 분실 및 그로 인한 현장에서의 사고의 발생 위험을 배제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건축자재 수납함의 적층 및 직립성을 확보함으로써 현장에 보관하거나 파렛트 등에 적재하여 작업자 또는 운반 장치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납함 및 수납된 자재의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100a,100b: 건축자재 수납함
110: 함체부
111: 배수홀
112: 보강대
120: 적층삽입부
121: 수납한계라인
130: 아웃지지부
131: 수평부
132: 수직부
140: 적층지지부
141: 지지대
150: 운반조작부
151: 수직바
152: 수평바
153: 운반결합홈

Claims (4)

  1. 상부 개구를 형성하여 건축자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비하는 함체부(110)와,
    상기 함체부(110)의 상단 외주를 따라서 일정 높이로 구비하는 적층삽입부(120)와,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하측에서 상기 함체부(110)의 외측면을 따라서 수평부(131) 및 수직부(132)를 '¬' 형상으로 돌출 구비하는 아웃지지부(130)와,
    상기 아웃지지부(130)의 수평부(131) 하측에서 일정 높이의 협판 상으로 연장하여 상기 함체부(110)의 외측면에 일체로 구비하되, 복수를 일정 간격 배치하여 구비하는 적층지지부(140)와,
    상기 적층삽입부(120)에서 상호 대향하는 양측에 하단을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수직바(151)와, 수직바(151)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바(152)를 일체로 구비하는 운반조작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지지부(140)의 하단부에는 지지대(141)를 마련하되, 지지대(141)에서 상기 함체부(110)의 하측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높이와 같거나 그 이하로 형성하고,
    일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 내측으로 타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함체부(110)의 하부를 수용하고 타 건축자재 수납함(100b)의 지지대(141)가 일 건축자재 수납함(100a)의 적층삽입부(120)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구비하여,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을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수납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10)에는,
    저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배치하여 내부에 유입되는 수분을 배출하도록 구비하는 배수홀(111)과,
    하측면 상에 격자 형태로 배치하여 건축자재에 의해 하측면 중심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하는 보강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수납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삽입부(120)에는 내주면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수납한계라인(121)을 형성하여 건축자재의 수납 높이를 제한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수납한계라인(121)은,
    적층삽입부(1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높이를 이격한 위치에 형성하되, 그 높이는 상기 적층지지부(140)의 지지대(141)에서 함체부(110)의 하측면까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수납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조작부(150)는,
    미사용 또는 복수의 건축자재 수납함(100a,100b)을 적층 시 상기 아웃지지부(130)의 수평부(131) 상측에 안착하도록 구비하되, 수직바(151) 및 수평바(152)의 폭은 상기 적층삽입부(120)의 높이와 같거나 그 이하로 형성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수평바(152)의 내측면 정중앙부에는, 수평바(152)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터널 형상의 운반결합홈(153)을 구비하여 운반 장치에 의해 건축자재 수납함을 운반 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수납함.
KR2020220001118U 2022-05-06 2022-05-06 건축자재 수납함 KR202300021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18U KR20230002170U (ko) 2022-05-06 2022-05-06 건축자재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18U KR20230002170U (ko) 2022-05-06 2022-05-06 건축자재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70U true KR20230002170U (ko) 2023-11-14

Family

ID=8874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118U KR20230002170U (ko) 2022-05-06 2022-05-06 건축자재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170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033B1 (ko) 1994-04-07 2003-03-03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중량물용포장자루
KR100388143B1 (ko) 1998-08-21 2003-06-18 사모호소 가부시끼 가이샤 끈을 단 합성수지제 자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033B1 (ko) 1994-04-07 2003-03-03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중량물용포장자루
KR100388143B1 (ko) 1998-08-21 2003-06-18 사모호소 가부시끼 가이샤 끈을 단 합성수지제 자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328B2 (en) Mobile platform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9340322B2 (en) Transport pallet
EP2390198B1 (en) Transport pallet system
US3533502A (en) Shipping rack
US3083879A (en) Dispensing bin
CA2627331C (en) Packaging structure for housing, transporting, displaying and retailing products
US5538153A (en) Folding crate for holding packages
US8365912B2 (en) Wire containment structure including container and bag
US6315122B1 (en) Palletless packaging system
AU2017304820B2 (en) Container cover and container
US9828172B2 (en) Intermodal container
EP0354953A1 (en) Containment device for items of irregular shape or configuration
US10611519B2 (en) Universal platform for stacking an object on top of a bulk bin
DK2930121T3 (en) Plastic pallet for receiving the flexible bulk material containers
PT1539597E (pt) Um palete de carregamento.
KR20230002170U (ko) 건축자재 수납함
KR20160100763A (ko) 롤 제품용 운반 및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제품용 파렛트
KR200465192Y1 (ko) 화물포장이 용이한 팔레트
WO2012052282A1 (en) Spool rack with securing bars
JP2508971Y2 (ja) スライドボックスパレット
GB2315731A (en) Two layered bulk bag
WO2019125137A1 (en) Storage system comprising trolleys
EP0449062A1 (en) Support structure for cardboard containers to be handled by fork lift trucks
JP2019127275A (ja) パレット
JP4462906B2 (ja) パレット及び住宅部材の配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