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124A -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124A
KR20230002124A KR1020220165618A KR20220165618A KR20230002124A KR 20230002124 A KR20230002124 A KR 20230002124A KR 1020220165618 A KR1020220165618 A KR 1020220165618A KR 20220165618 A KR20220165618 A KR 20220165618A KR 20230002124 A KR20230002124 A KR 2023000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data
relay node
cooperative communication
destination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갑석
이우용
권형진
김경표
정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00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1Ground-based stations combining by calculations packets received from different stations before transmitting the combined packets as part of network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6Distributed coding, e.g. network coding, involving channel coding
    • H04L1/0077Coopera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2Space-tim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개선된 다이버시티 이득 및 쓰루풋을 제공하는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relay node)에 대해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목적지 노드(destination node)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 노드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소스 노드(source node)의 데이터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METHOD FOR TRS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COOPERATIV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이버시티(diversity) 이득과 쓰루풋(throughput)을 향상시키기 위해 릴레이(relay)를 이용하는 협력 통신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60GHz를 이용하는 IEEE 802.11 ad 등에서 협력 통신 방법을 활용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릴레이를 이용한 협력 통신 방법은 소스 노드(source node)와 릴레이 노드(relay node)가 데이터를 목적지 노드(destination node)로 협력 전송함으로써 경로 손실을 줄여 고속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하며, 소스 노드로부터 멀리 떨어진 목적지 노드로도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간 통신은 소스 노드-릴레이 노드, 릴레이 노드-목적지 노드, 소스 노드-목적지 노드의 직렬적인 무선 링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협력 통신 방법은 크게 증폭 및 포워드(Amplify & Forward) 방식과 디코드 및 포워드(Decode & Forward)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증폭 및 포워드 방식은 릴레이 노드가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단순히 증폭하여 목적지 노드로 릴레이 전송하는 방식이다. 디코드 및 포워드 방식은 릴레이 노드가 수신된 신호를 먼저 복조 및 복호(decoding)한 다음 다시 변조 및 부호화(encoding)하여 목적지 노드로 협력 전송하는 방식이다. 또한 협력 통신 방법은 풀 듀플렉스(FD, full duplex) 방식과 해프 듀플렉스(HD, half duplex)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풀 듀플렉스 방식은 릴레이 노드가 소스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같은 시간, 같은 주파수로 목적지 노드로 중계하는 방식이다. 해프 듀플렉스 방식은 릴레이 노드가 수신과 송신을 각각 다른 시간 혹은 다른 주파수로 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 다이버시티 이득 및 쓰르풋을 제공하는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릴레이 노드(relay node)에 대해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목적지 노드(destination node)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 노드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소스 노드(source node)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목적지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목적지 노드의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 노드는, 상기 릴레이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로 전송하는 목적지 노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산공간시간 코딩, 계층변조 코딩 및 프리코딩벡터 스위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른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릴레이 노드 및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하여 상기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겟노드로 빔포밍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보다 개선된 다이버시티 이득 및 쓰르풋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층변조코딩, 네트워크코딩, 분산공간시간코딩 및 프리코딩벡터스위칭 기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를 타겟 노드로 빔포밍하여 전송함으로써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보다 개선된 다이버시티 이득 및 쓰르풋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분산공간시간 코딩(D-STC: Distributed Space Time Coding)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계층변조 코딩(LMC: Layered Modulation and Coding)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네트워크 코딩(NC: Network Coding)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소스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목적지 노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분산공간시간 코딩(D-STC: Distributed Space Time Coding)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모든 노드들이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며, 동시에 송수신이 불가능한 H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가 일예로서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소스인 소스 노드(101)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타임 슬롯(T1)에서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신호(A1, A2)를 릴레이 노드(103)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103)는 소스 노드(101)로부터 전송된 신호(A1, A2)에 대해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고, A1 및 A2에 대응되는 정보를 추정, 즉 획득한다.
소스 노드(101)는 제2타임 슬롯(T2)에서 변조된 신호(A1, A2)를 목적지 노드(105)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103)는 제2타임 슬롯(T2)에서 A1 및 A2로부터 추정된 즉, 디코딩된 신호(-(A2)*, (A1)*)를 목적지 노드(105)로 전송한다. 여기서, *는 conjugation을 의미한다.
목적지 노드(105)는 제2타임 슬롯에서 소스 노드(101) 및 릴레이 노드(103)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해 분산공간시간 코딩 스킴을 이용하여 디코딩하고 A1 및 A2를 생성한다.
도 2 및 도 3은 계층변조 코딩(LMC: Layered Modulation and Coding)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모든 노드들이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며, 동시에 송수신이 불가능한 H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가 일예로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노드(201)는 데이터를 계층변조 코딩하고, 계층변조 코딩된 신호(
Figure pat00001
)를 제1타임 슬롯(T1)에서 릴레이 노드(203) 및 목적지 노드(205)로 전송한다. 릴레이 노드(103)는 소스 노드(10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demapping for each of A' and A'' 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A' 정보를 추정한 다음 A'' 정보를 추정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205)는 소스 노드(20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해 QPSK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통해 A' 정보를 추정한다.
제2타임 슬롯(T2)에서 소스 노드(201)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릴레이 노드(203)는 추정된 정보 중 A'' 정보를 목적지 노드(2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205)는 QPSK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통해 A'' 정보를 추정함으로써, 소스 노드(201)로부터 전송된 신호(
Figure pat00002
)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은 계층변조 코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소스 노드(201)가 전송하는 하나의 심볼(A)는 Base Layer와 Enhancement Layer에서 A' 및 A''으로 변조된다. A' 정보는 Base Layer에서 하나의 사분면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A'' 정보는 A' 정보가 나타내는 사분면에서 위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α와 β는 A'및 A'' 각각에 대한 파워를 나타내는 계수로서, α와 β의 제곱 합은 1이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협력 통신 방법에서 하나 이상의 소스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FD 방식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네트워크 코딩(NC: Network Coding)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네트워크 코딩을 이용하는 협력 통신 방법은 다수의 소스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이용되며, 유선의 네트워크 코딩 기술이 무선 통신에 적용된 예이다.
제1 및 제2소스 노드(401, 402) 각각은 제1주파수 자원(f1)과 제2주파수 자원(f2) 각각을 이용하여 제1타임 슬롯(T1)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A, B)릴레이 노드(403) 및 목적지 노드(405)로 전송한다. 릴레이 노드(403) 및 목적지 노드(405) 각각은 제1주파수 자원(f1)과 제2주파수 자원(f2) 각각에서 채널 디코딩을 통해 A 및 B 각각에 해당하는 이진 정보(a, b)를 추정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403)은 생성된 이진 정보(a, b)를 XOR 연산하고, 연산 정보(C,
Figure pat00003
)를 제2타임 슬롯(T2)에서 목적지 노드(4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405)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이진 정보와 릴레이 노드(403)로부터 전송된 연산 정보(C)를 이용하여 데이터(A, B)를 추정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코딩 및 변조 기법들이 적용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빔포밍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 및 쓰루풋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 노드 및 릴레이 노드가 타겟 노드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타겟 노드 역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노드에 대해 빔포밍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하,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소스 노드, 릴레이 노드 및 목적지 노드 각각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소스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노드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에 대해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S501)한다. 그리고 소스 노드는 릴레이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S503)한다. 릴레이 노드는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S505)한다. 그리고 소스 노드는 목적지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S507)한다. 여기서, 소스 노드는 릴레이 노드 및 목적지 노드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해, 소스 노드는 복수의 빔방향에 대한 인덱스 정보가 포함된, 빔포밍을 위한 트레이닝 시퀀스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한다. 그리고 소스 노드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통해 선택된 방향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릴레이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이 때, 트레이닝 시퀀스의 길이는 기 설정된 길이(L)일 수 있으며, 소스 노드는 반복적으로 트레이닝 시퀀스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소스 노드는 전방향 또는 반방향(0도~180도 또는 180도~360도)을 커버하는 복수의 빔 방향에 대한 트레이닝 시퀀스를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여 빔 방향별로 상관을 취하고, 상관 값이 가장 높은 빔 방향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소스 노드로 전송한다. 릴레이 노드는 트레이닝 시퀀스의 빔 방향 패턴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있을 수 있다.
소스 노드는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빔 방향이 릴레이 노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안테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노드 역시 전술된 방법으로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노드 및 릴레이 노드는 HD 방식 또는 FD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노드 및 릴레이 노드가 HD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소스 노드는 제1타임 슬롯에서 릴레이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제2타임 슬롯에서 목적지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는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2타임 슬롯에서 목적지 노드로 전송한다. 이 때, 릴레이 노드 역시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빔포밍은 제1 및 제2타임 슬롯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및 제2타임 슬롯 전에 빔포밍이 수행된 후, 제1 및 제2타임 슬롯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는, 릴레이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S601)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는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S603)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는 수신된 데이터를 목적지 노드로 전송(S605)한다.
릴레이 노드는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목적지 노드로 빔포밍을 위한 트레이닝 시퀀스를 전송하여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노드 및 릴레이 노드는 HD 방식 또는 FD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노드 및 릴레이 노드가 HD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릴레이 노드는 제1타임 슬롯에서 소스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제2타임 슬롯에서 목적지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릴레이 노드가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와 목적지 노드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동일한 데이터로서, 릴레이 노드는 수신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 및 인코딩 등의 재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은 제1 및 제2타임 슬롯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및 제2타임 슬롯 전에 빔포밍이 수행된 후, 제1 및 제2타임 슬롯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목적지 노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 노드는,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S701)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는,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로부터 수신(S703)한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는, 릴레이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하여 목적지 노드로 전송한다. 릴레이 노드가 중계하는 데이터와 소스 노드가 목적지 노드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동일한 데이터로서, 릴레이 노드는 중계하는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 등의 재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목적지 노드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목적지 노드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고 복수의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선택한다. 이 때, 목적지 노드는 트레이닝 시퀀스에 대해 빔 방향별로 상관을 취하여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방향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릴레이 노드 및 소스 노드로 전송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 역시 소스 노드 및 릴레이 노드에 대해 빔포밍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목적지 노드는 안테나의 빔 방향이 릴레이 노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안테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노드 및 릴레이 노드는 HD 방식 또는 FD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소스 노드 및 릴레이 노드가 HD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목적지 노드는 동일한 타임 슬롯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빔포밍은 제1 및 제2타임 슬롯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및 제2타임 슬롯 전에 빔포밍이 수행된 후, 제1 및 제2타임 슬롯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는 분산공간시간 코딩, 계층변조 코딩, 프리코딩벡터 스위칭 및 네트워크 코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공간시간 코딩, 계층변조 코딩 및 프리코딩벡터 스위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른 정보 신호를 생성하고, 릴레이 노드 및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하여 정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분산공간시간 코딩, 계층변조 코딩, 프리코딩벡터 스위칭 및 네트워크 코딩 중 적어도 두 개의 기법이 적용되어 협력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분산공간시간 코딩, 계층변조 코딩 및 프리코딩벡터 스위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도 8 내지 도 11에서는 하나의 소스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되며, 도 12 내지 도 17에는 2개의 소스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7에서는 R-D 링크 품질로서 QPSK 또는 16QAM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되나, 변조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분산공간시간코딩 및 프리코딩 벡터스위칭 기법이 적용되는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표 1]과 같은 환경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는 동일 주파수 자원을 할당 받아 정보를 전송함.
●릴레이 노드는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동시 송수신은 불가능함.
●릴레이 노드는 HD 모드로 동작함.
●R-D 링크 품질로서 QPSK 변조방식이 가능함.
●각 노드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채용하며, 다중 안테나를 채용할 경우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정보를 전송함.
●2개의 타임슬롯(T1, T2)을 이용해 정보(데이터)를 전송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타임 슬롯(T1)에서 소스 노드(801)는 QPSK 변조된 베이스밴드(baseband) 전송신호 백터 A(
Figure pat00004
)를 릴레이 노드(803)로 전송한다. 여기서, A1은 예를 들어, 데이터(A)를 구성하는 심볼 중 짝수번째 심볼이며, A2는 홀수번째 심볼을 나타낼 수 있다. 릴레이 노드(803)는 소스 노드(801)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해 QPSK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A를 추정, 즉 생성한다.
그리고 소스 노드(801) 및 릴레이 노드(803)는 A에 대해 분산공간시간코딩 기술인 DPVS-STBC (Distributed and Precoding-Vector-Switched Space Time Block Coding) 또는 DPVS-SFBC (DPVS Space Frequency Block Coding)를 적용하여 제2타임 슬롯(T2)에서 목적지 노드(8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805)는 소스 노드(801) 및 릴레이 노드(803)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해 DPVS-STBC 또는 DPVS-SFBC에 따른 디코딩을 수행하여 A를 추정, 즉 획득한다.
DPVS-STBC (또는 DPVS-SFBC) 기법은 도 1에서 설명된 분산공간시간코딩 에 프리코딩이 추가된 기법으로서, DPVS-STBC (또는 DPVS-SFBC) 기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스 노드(801)는 전송 신호 벡터 A의 엘리먼트를 2개의 그룹(A1, A2)으로 묶고, 각각의 그룹에 대해 2개의 서브캐리어(또는 2개의 심볼)를 이용하여 QPSK 변조 및 프리코딩한다. 소스 노드(801)는 QPSK 변조 및 프리코딩된 신호를 릴레이 노드(803)로 전송한다. 릴레이 노드(803) 역시 소스 노드(801)와 같이 전송 신호 벡터 A를 목적지 노드(805)로 전송한다.
프리코딩은 [수학식 1]과 같이 수행된다. 여기서, W1 과 W2 는 각각 그룹 내 첫 번째와 두 번째 엘리먼트(element)에 대한 프리코딩벡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소스 노드(801) 및 릴레이 노드(803)가 전송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수학식 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스 노드(801)는 A1 및 A2를 프리코딩하여, 프리코딩된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를 목적지 노드(805)로 전송한다. 릴레이 노드(803) 역시 A1 및 A2를 프리코딩하여, 프리코딩된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를 목적지 노드(805)로 전송한다. 프리코딩 벡터 W1 과 W2는 서로 독립성이 최대한 보장될 수 있는 벡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송시간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그룹 간의 독립적인 채널 특성을 최대한 보장해주기 위해 프리코딩 벡터스위칭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프리코딩 벡터스위칭 기법을 이용하는 제1실시예로서, 짝수번째 심볼 그룹(A1)에는 프리코딩 벡터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가 적용되며, 홀수번째 심볼 그룹(A2)에는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가 적용될 수 있다. 짝수번째 심볼 그룹(A1)과 홀수번째 심볼 그룹(A2)에는 상기의 반대 프리코딩 벡터가 적용될 수 있다.
프리코딩 벡터스위칭 기법을 이용하는 제2실시예로서, 그룹을 나타내는 인덱스 K에 [수학식 2]와 같이 프리코딩 벡터 W1 과 W2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타임 슬롯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고 1 보다 크거나 같은 값이고, Δ는 N보다 작거나 같고 0 보다 크거나 같은 값이다.
Figure pat00014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를 모두 포함하는 프리코딩 벡터 W1과 W2에 대한 일반화된 식은 [수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x(k)와 y(k)는 두 프리코딩 벡터 W1과 W2간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해 주도록 하는 임의의 실수 값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15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분산공간시간코딩 및 프리코딩 벡터스위칭 기법과 함께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에서 프리코딩 벡터 W1과 W2이 각각
Figure pat00016
이며,
Figure pat00017
로 수정되는 경우는 프리코딩없이 빔포밍기술이 이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분산공간시간코딩 및 프리코딩 벡터스위칭 기법이 적용되는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표 1]과 같은 환경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소스 노드(901)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전송 신호 벡터(A)를 릴레이 노드(903) 및 목적지 노드(905)로 전송한다.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전송 신호 벡터(A)는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Ab는 Base Layer의 전송신호벡터이고, As는 Enhancement Layer의 전송신호벡터를 나타낸다. α와 β는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Ab 및 As에 대한 파워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8
릴레이 노드(903)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각각에 대한 이진 정보 신호 벡터인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를 추정, 즉 생성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903)는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로부터
Figure pat00026
를 생성한다. 목적지 노드(905)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27
를 생성한다.
소스 노드(901)는 제2타임 슬롯(T2)에서
Figure pat00028
를 목적지 노드(905)로 전송하고, 릴레이 노드(903) 또한 제2타임 슬롯(T2)에서
Figure pat00029
를 목적지 노드(9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905)는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30
를 생성한다.
이 때, 소스 노드(901), 릴레이 노드(903) 및 목적지 노드(905)는 도 8에서 설명된 프리코딩 벡터 스위칭 기법을 추가로 적용하여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계층변조코딩 및 프리코딩 벡터스위칭 기법과 함께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분산공간시간코딩 및 프리코딩 벡터스위칭 기법이 적용되는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표 2]와 같은 환경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는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할당 받아 정보 전송함.
●릴레이 노드는 송수신이 가능하며, 동시 송수신도 가능함.
●릴레이 노드는 FD 모드로 동작함.
●R-D 링크 품질로서 QPSK 변조방식이 가능함.
●각 노드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채용하며, 다중 안테나를 채용할 경우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정보를 전송함.
도 10에서 설명되는 협력 통신 방법은 도 8에서 설명된 협력 통신 방법과 비교하여, 2개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점에 차이가 있으며, 분산공간시간코딩 및 프리코딩 벡터스위칭 기법이 적용되는 것은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노드(1001)는 제1주파수 자원(f1)에서 QPSK 변조된 베이스밴드 전송신호 백터 A(
Figure pat00031
)를 릴레이 노드(1003) 및 목적지 노드(1005)로 전송한다. 이 때, 소스 노드(801)는 A1 및 A2를 [수학식 1]과 같이 프리코딩하여, 프리코딩된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를 전송한다. 릴레이 노드(1003)는 DPVS-STBC 또는 DPVS-SFBC에 따른 디코딩을 수행하여 A를 추정, 즉 생성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1003)는 A1 및 A2를 [수학식 1]과 같이 프리코딩하여, 제2주파수 자원(f2)에서 프리코딩된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를 목적지 노드(10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1005)는 제1 및 제2주파수 자원(f1, f2)을 통해 전송된 프리코딩 신호를 수신하고, DPVS-STBC 또는 DPVS-SFBC에 따른 디코딩을 수행하여 A를 추정, 즉 생성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분산공간시간코딩 및 프리코딩 벡터스위칭 기법과 함께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즉, 소스 노드(1001)는 제1주파수 자원(f1)에서 릴레이 노드(1003) 및 목적지 노드(1005)로 빔포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릴레이 노드(1003)는 제2주파수 자원(f2)에서 목적지 노드(1005)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분산공간시간코딩 및 계층변조코딩 기법이 적용되는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표 3]과 같은 환경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는 동일 주파수 자원을 할당 받아 정보를 전송함.
●릴레이 노드는 송수신이 가능하며, 동시 송수신도 가능함.
●릴레이 노드는 FD 모드로 동작함.
●R-D 링크 품질로서 QPSK 변조방식이 가능함.
●각 노드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채용하며, 다중 안테나를 채용할 경우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정보를 전송함.
●2개 타임 슬롯(T1, T2)을 이용해 정보를 전송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노드(S)는 최초 데이터 전송 시에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전송 신호 벡터
Figure pat00036
를 릴레이 노드(R) 및 목적지 노드(D)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R)는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 과정을 통해, A1 및 A2를 추정, 즉 생성한다. 여기서, α 및 β는 도 3에서 정의된 바와 같으며, A의 첨자 중 홀수는 Base Layer의 전송신호벡터를 나타내며, 짝수는 Enhancement Layer의 전송신호벡터를 나타낸다. 그리고 An은 소스 노드(S)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이후, 제1타임 슬롯(T1)에서 소스 노드(S)는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전송 신호 벡터
Figure pat00037
를 릴레이 노드(R) 및 목적지 노드(D)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R)은 생성된 A1 및 A2를 이용하여,
Figure pat00038
를 생성하고, 목적지 노드(D)로 전송한다. 또한 릴레이 노드(R)는
Figure pat00039
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 과정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를 추정한다.
다음 제2타임 슬롯(T2)에서 소스 노드(S)는
Figure pat00042
를 릴레이 노드(R) 및 목적지 노드(D)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R)는 생성된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를 이용하여
Figure pat00045
를 생성하고, 목적지 노드(D)로 전송한다.
다시, 제1타임 슬롯(T1)에서 소스 노드(S)는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전송 신호 벡터
Figure pat00046
를 릴레이 노드(R) 및 목적지 노드(D)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R)은 생성된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를 이용하여
Figure pat00049
를 생성하고, 목적지 노드(D)로 전송한다. 또한 릴레이 노드(R)은
Figure pat00050
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 과정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를 추정한다.
다시, 제2타임 슬롯(T2)에서 소스 노드(S)는
Figure pat00053
를 를 릴레이 노드(R) 및 목적지 노드(D)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R)는 생성된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를 이용하여
Figure pat00056
를 생성하고, 목적지 노드(D)로 전송한다.
제1 및 제2타임 슬롯(T1, T2)에서의 과정이 반복되며 목적지 노드(D)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결국, 목적지 노드(D) 입장에서는 도 1에서 설명된 분산공간시간코딩된 신호를 신호를 수신하는 결과가 되며, 따라서 목적지 노드(D)는 분산공간시간코딩에 따라 디코딩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분산공간시간코딩 및 계층변조코딩 기법과 함께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네트워크 코딩 및 계층변조코딩 기법이 적용되는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표 4]와 같은 환경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제1 및 제2소스 노드(S1, S2)는 서로 다른 주파수자원 (f1, f2)을 할당 받아 정보를 전송함.
●릴레이 노드(R)는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동시 송수신은 불가능함.
●릴레이 노드(R)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에 할당된 주파수자원 중 하나를 이용해 정보를 전송함.
●릴레이 노드(R)는 HD 모드로 동작
●R-D 링크 품질로서 QPSK 변조방식이 가능함.
●각 노드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채용하며, 다중 안테나를 채용할 경우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정보를 전송함.
●2개 타임 슬롯(T1, T2)을 이용해 정보를 전송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스 노드(1201)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제1주파수 자원(f1)을 이용하여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057
를 릴레이 노드(1203) 및 목적지 노드(1205)로 전송한다. 제2소스 노드(1202)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제2주파수 자원(f2)을 이용하여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058
를 릴레이 노드(1203) 및 목적지 노드(1205)로 전송한다.
릴레이 노드(1203)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1201, 12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를 추정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1205)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1201, 12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를 추정한다. 여기서,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는 각각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의 이진 정보 벡터를 나타낸다.
릴레이 노드(1203)는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에 대해 XOR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정보(C,
Figure pat00069
)의 변조된 신호 벡터를 제2타임 슬롯(T2)에서 목적지 노드(12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1205)는 릴레이 노드(1203)로부터 전송된 신호 벡터를 이용하여 연산 정보(C)를 추정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1205)는 이미 추정된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1
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를 생성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코딩 및 계층변조코딩 기법과 함께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즉, 제1소스 노드(1201), 제2소스 노드(1202) 및 릴레이 노드(1203)는 타겟 노드로 빔포밍하여 네트워크 코딩 및 계층변조코딩에 따른 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7에서 설명되는 방법에서도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계층변조코딩 기법이 적용되는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표 4]와 같은 환경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다만 도 13에서는 QPSK 변조방식 대신 16QAM 변조방식이 적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스 노드(1301)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제1주파수 자원(f1)을 이용하여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074
를 를 릴레이 노드(1303) 및 목적지 노드(1305)로 전송한다. 제2소스 노드(1302)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제2주파수 자원(f2)을 이용하여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075
를 릴레이 노드(1303) 및 목적지 노드(1305)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1303)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1301, 13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를 추정한다.
릴레이 노드(1303)는 추정된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에 대해 "직렬적으로 연결된 바이너리 결합(Serially concatenated binary combination)"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80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1303)는
Figure pat00081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신호 벡터를 제2타임 슬롯(T2)에서 목적지 노드(13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1305)는 릴레이 노드(1303)의 변조딘 신호 벡터로부터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를 추정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1305)는 추정된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5
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타임 슬롯(T1, T2)에서 수신한 신호로부터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에 해당하는 성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목적지 노드(1305)는 QPSK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통해
Figure pat00088
Figure pat00089
를 획득할 수 있으며, 결국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1
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계층변조코딩 기법과 함께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네트워크 코딩 기법 및 계층변조 코딩 기법이 적용되는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표 5]와 같은 환경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제1 및 제2소스 노드(S1, S2)는 서로 다른 주파수자원 (f1, f2)을 할당 받아 정보를 전송함.
●릴레이 노드(R)는 송수신이 가능하며, 동시 송수신도 가능함.
●릴레이 노드(R)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에 할당된 주파수자원과 다른 주파수 자원(f3)을 이용해 정보를 전송함.
●릴레이 노드(R)는 FD 모드로 동작
●R-D 링크 품질로서 QPSK 변조방식이 가능함.
●각 노드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채용하며, 다중 안테나를 채용할 경우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정보를 전송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스 노드(1401)는 제1주파수 자원(f1)을 이용하여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092
를 릴레이 노드(1403) 및 목적지 노드(1405)로 전송한다. 제2소스 노드(1402)는 제2주파수 자원(f2)을 이용하여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093
를 릴레이 노드(1403) 및 목적지 노드(1405)로 전송한다.
릴레이 노드(1403)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1401, 14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를 추정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1405)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1401, 14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096
Figure pat00097
를 추정한다.
릴레이 노드(1403)는
Figure pat00098
Figure pat00099
에 대해 XOR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정보(C,
Figure pat00100
)의 변조된 신호 벡터를 제3주파수 자원(f1)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14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1405)는 릴레이 노드(1403)로부터 전송된 신호 벡터를 이용하여 연산 정보(C)를 추정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1405)는 이미 추정된
Figure pat00101
Figure pat00102
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Figure pat00103
Figure pat00104
를 생성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코딩 및 계층변조코딩 기법과 함께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계층변조코딩 기법이 적용되는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표 5]와 같은 환경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다만 도 15에서는 QPSK 변조방식 대신 16QAM 변조방식이 적용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스 노드(1501)는 제1주파수 자원(f1)을 이용하여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105
를 릴레이 노드(1503) 및 목적지 노드(1505)로 전송한다. 제2소스 노드(1502)는 제2주파수 자원(f2)을 이용하여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106
를 릴레이 노드(1503) 및 목적지 노드(1505)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1503)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1501, 15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107
Figure pat00108
를 추정한다.
릴레이 노드(1503)는 추정된
Figure pat00109
Figure pat00110
에 대해 "직렬적으로 연결된 바이너리 결합(Serially concatenated binary combination)"을 수행하여
Figure pat00111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1503)는
Figure pat00112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 벡터를 제3주파수 자원(f3)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15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1505)는 릴레이 노드(1503)의 변조된 신호 벡터로부터
Figure pat00113
Figure pat00114
를 추정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1505)는 추정된
Figure pat00115
Figure pat00116
를 이용하여, 제1및 제2주파수 자원(f1, f2)을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Figure pat00117
Figure pat00118
에 해당하는 성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목적지 노드(1505)는 QPSK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통해
Figure pat00119
Figure pat00120
를 획득할 수 있으며, 결국
Figure pat00121
Figure pat00122
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계층변조코딩 기법과 함께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네트워크 코딩 기법 및 계층변조 코딩 기법이 적용되는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표 6]과 같은 환경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제1 및 제2소스 노드(S1, S2) 및 릴레이 노드(R)는 동일한 주파수자원을 할당 받아 정보를 전송함.
●릴레이 노드(R)는 송수신이 가능하며, 동시 송수신은 불가능함.
●릴레이 노드(R)는 HD 모드로 동작
●R-D 링크 품질로서 QPSK 변조방식이 가능함.
●각 노드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채용하며, 다중 안테나를 채용할 경우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정보를 전송함.
●3개 타임 슬롯(T1, T2, T3)을 이용해 정보를 전송함.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스 노드(1601)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123
를 릴레이 노드(1603) 및 목적지 노드(1605)로 전송한다. 제2소스 노드(1602)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124
를 릴레이 노드(1603) 및 목적지 노드(1605)로 전송한다.
릴레이 노드(1603)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1601, 16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를 추정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1605)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1601, 16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8
를 추정한다.
릴레이 노드(1603)는
Figure pat00129
Figure pat00130
에 대해 XOR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정보(C,
Figure pat00131
)의 변조된 신호 벡터를 제3타임 슬롯(T3)에서 목적지 노드(16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1605)는 릴레이 노드(1603)로부터 전송된 신호 벡터를 이용하여 연산 정보(C)를 추정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1605)는 이미 추정된
Figure pat00132
Figure pat00133
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Figure pat00134
Figure pat00135
를 생성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코딩 및 계층변조코딩 기법과 함께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협력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계층변조 코딩 기법이 적용되는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표 6]과 같은 환경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다만 도 15에서는 QPSK 변조방식 대신 16QAM 변조방식이 적용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스 노드(1701)는 제1타임 슬롯(T1)에서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136
를 릴레이 노드(1703) 및 목적지 노드(1705)로 전송한다. 제2소스 노드(1702)는 제2타임 슬롯(T2)에서 계층변조코딩된 베이스밴드 정보신호벡터
Figure pat00137
를 릴레이 노드(1703) 및 목적지 노드(1705)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1703)는 제1 및 제2소스 노드(1701, 17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Layered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Figure pat00138
Figure pat00139
를 추정한다.
릴레이 노드(1703)는 추정된
Figure pat00140
Figure pat00141
에 대해 "직렬적으로 연결된 바이너리 결합(Serially concatenated binary combination)"을 수행하여
Figure pat00142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1703)는
Figure pat00143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신호 벡터를 제3타임 슬롯(T3)에서 목적지 노드(1705)로 전송한다.
목적지 노드(1705)는 릴레이 노드(1703)의 변조딘 신호 벡터로부터
Figure pat00144
Figure pat00145
를 추정한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1705)는 추정된
Figure pat00146
Figure pat00147
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타임 슬롯(T1, T2)에서 수신한 신호로부터
Figure pat00148
Figure pat00149
에 해당하는 성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목적지 노드(1705)는 QPSK demapping과 채널 디코딩을 통해
Figure pat00150
Figure pat00151
를 획득할 수 있으며, 결국
Figure pat00152
Figure pat00153
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계층변조코딩 기법과 함께 빔포밍 기술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17에서는 목적지 노드가 하나인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은 복수의 목적지 노드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이 프로세스적 관점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는 장치적인 관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에 포함된 단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협력 통신 장치에 포함된 구성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의 소스 노드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에 대해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하는 제1빔포밍부; 상기 릴레이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전송부; 목적지 노드(destination node)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는 제2빔포밍부; 및 상기 목적지 노드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노드는, 상기 릴레이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는 빔포밍부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목적지 노드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의 목적지 노드는, 상기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제1수신부 및 상기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제2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 노드는, 상기 릴레이 노드에 대해 빔포밍된 데이터를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협력 통신 장치는 분산공간시간 코딩, 계층변조 코딩 및 프리코딩벡터 스위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른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릴레이 노드 및 목적지 노드에 대해 빔포밍하여 상기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협력 통신 장치는 전술된 소스 노드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통신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자원에 기초하여 제1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 장치와 상이한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은 동일 시간 또는 주파수에 관련되고,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다중 안테나를 가지고,
    상기 통신 노드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는 동일 채널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는 풀 듀플렉스(FD, full duplex)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노드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통신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자원에 기초하여 제1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 장치와 상이한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은 상이한 시간 또는 주파수이고,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다중 안테나를 가지고,
    상기 통신 노드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는 독립된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는 해프 듀플렉스(HD, half duplex)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노드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220165618A 2009-07-08 2022-12-01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202300021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295 2009-07-08
KR20090062295 2009-07-08
KR20100013937 2010-02-16
KR1020100013937 2010-02-16
KR1020210008879A KR20210011047A (ko) 2009-07-08 2021-01-21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879A Division KR20210011047A (ko) 2009-07-08 2021-01-21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24A true KR20230002124A (ko) 2023-01-05

Family

ID=43429690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004A KR101754413B1 (ko) 2009-07-08 2010-07-08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20170082926A KR101884338B1 (ko) 2009-07-08 2017-06-29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20180086996A KR20180088615A (ko) 2009-07-08 2018-07-26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20190060129A KR20190058433A (ko) 2009-07-08 2019-05-22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20210008879A KR20210011047A (ko) 2009-07-08 2021-01-21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20220165618A KR20230002124A (ko) 2009-07-08 2022-12-01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004A KR101754413B1 (ko) 2009-07-08 2010-07-08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20170082926A KR101884338B1 (ko) 2009-07-08 2017-06-29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20180086996A KR20180088615A (ko) 2009-07-08 2018-07-26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20190060129A KR20190058433A (ko) 2009-07-08 2019-05-22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20210008879A KR20210011047A (ko) 2009-07-08 2021-01-21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6) US9397744B2 (ko)
EP (3) EP3934119B1 (ko)
KR (6) KR101754413B1 (ko)
CN (2) CN105827368B (ko)
WO (1) WO20110050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30251A (en) * 2009-02-27 2011-09-01 Agency Science Tech & Res Wireless transmission of layered signals in a relay network
WO2011005045A2 (ko) * 2009-07-08 201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1839808B1 (ko) * 2011-08-24 2018-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기지국 컨트롤 장치 및 그 컨트롤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다중 협력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820982B (zh) * 2011-09-21 2016-04-13 金蝶软件(中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装置
KR101425742B1 (ko) * 2012-02-21 2014-08-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채널 추정을 위한 트레이닝 시퀀스 생성, 프리코딩 방법과 그 장치
US9780842B2 (en) 2012-12-21 2017-10-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device assisted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9301308B2 (en) 2012-12-21 2016-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termining a cluster set of mobile devices
CN103152141A (zh) * 2013-03-20 2013-06-12 中国计量学院 一种多源分布式协作网络中协作空时网络编码方法
GB2512285B (en) * 2013-03-22 2015-09-30 Cambridge Comm Systems Ltd Node partitioning
KR20140127976A (ko) * 2013-04-26 2014-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밀리미터파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보안 시스템 및 밀리미터파 통신을 이용한 보안 방법
KR20150116171A (ko) * 2014-04-07 2015-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협력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4539397B (zh) * 2015-01-19 2018-01-16 西安电子科技大学 交分多址接入中继系统的去噪互信息保持量化转发方法
WO2016203291A1 (en) 2015-06-15 2016-1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le transfer by mobile user collaboration
CN106685504B (zh) * 2015-11-09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设备间协作方法及装置
US20170353219A1 (en) * 2016-06-02 2017-12-07 Zte Wistron Telecom Ab Small cell distributed precoding
JP2019537849A (ja) * 2016-09-12 2019-12-26 京セラ株式会社 マシンタイプ通信(mtc)送信のための複数の符号化レートを用いた階層化変調
KR20180060882A (ko)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포밍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8097411A1 (ko) * 2016-11-28 2018-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포밍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142137B2 (en) 2017-03-02 2018-11-27 Micron Technology, Inc. Wireless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examples of full duplex transmission
US9948408B1 (en) 2017-05-02 2018-04-17 Facebook, Inc. Antenna array calibration
US11941516B2 (en) 2017-08-31 2024-03-26 Micron Technology, Inc. Cooperative learning neural networks and systems
US10554375B2 (en) 2017-09-11 2020-02-04 Micron Technology, Inc. Full duplex device-to-device cooperative communication
KR101965665B1 (ko) * 2018-01-12 2019-04-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릴레이를 위한 무선전력 및 정보 동시전송 빔포밍 장치 및 방법
US11206050B2 (en) 2018-02-06 2021-12-21 Micron Technology, Inc. Self interference noise cancellation to support multiple frequency bands
US11075740B2 (en) 2018-05-07 2021-07-27 ENK Wireless, Inc. Systems/methods of communications using a plurality of cooperative devices
US10681716B2 (en) * 2018-05-07 2020-06-09 ENK Wireless, Inc. Systems/methods of providing increased wireless capacity, vehicular safety, electrical power wirelessly, and device control responsive to geographic position
US11100796B2 (en) 2018-05-07 2021-08-24 ENK Wireless, Inc. Systems/methods of improving vehicular safety
US11038559B2 (en) * 2018-11-29 2021-06-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ased on beamforming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29645A (ko) * 2019-05-09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973956B2 (ja) * 2019-07-04 2021-12-01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基板処理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0535517B (zh) * 2019-07-11 2020-11-06 北京邮电大学 一种车车通信的波束成形计算方法及系统
EP4000331A4 (en) * 2019-07-18 2023-03-29 Qualcomm Incorporated BEAM-SHAPING DETERMINATION FOR A FULL DUPLEX IAB SYSTEM
US10979097B2 (en) 2019-09-05 2021-04-13 Micron Technology, Inc. Wireless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examples of full duplex transmission using neural networks or recurrent neural networks
US11196464B2 (en) 2019-09-09 2021-12-07 Qualcomm Incorporated Beam training in millimeter wave relays using amplify-and-forward transmissions
US11258473B2 (en) 2020-04-14 2022-02-22 Micron Technology, Inc. Self interference noise cancellation to support multiple frequency bands with neural networks or recurrent neural networks
CN112291036B (zh) * 2020-04-30 2022-06-28 温州大学智能锁具研究院 一种基于信号盲检测的放大-前向协作通信方法
KR20230073369A (ko) * 2021-11-15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47891B1 (ko) * 2022-12-20 2024-03-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세그멘티드 빔포빙 기반 다중-빔 공간 벡터 결합 mimo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6811B1 (en) * 2002-03-27 2004-10-19 Blaine C. Readler Infra-red perimeter alarm
US7808939B2 (en) * 2003-03-28 2010-10-05 Lenovo (Singapore) Pte Ltd. Routing in wireless ad-hoc networks
KR100603608B1 (ko) 2003-10-29 2006-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에서 동일채널중계기의 시간지연을 줄이기 위한 복조 장치 및 그 방법
US20050286663A1 (en) 2004-06-23 2005-12-29 Intel Corporation Compact feedback for closed loop MIMO systems
CN1744458A (zh) * 2004-08-31 2006-03-08 株式会社Ntt都科摩 使用中继节点的通信系统和方法
CN101167294B (zh) 2005-02-17 2013-07-1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协同中继的方法和装置
US20090227202A1 (en) * 2005-12-16 2009-09-10 Nokia Corporation Relay
US7673219B2 (en) * 2006-03-16 2010-03-0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ooperative relay networks using rateless codes
SG136824A1 (en) * 2006-04-20 2007-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directional beam-forming transmission
EP2057775B1 (en) * 2006-08-24 2012-08-29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Relay-assisted harq transmission system
DE602008005560D1 (de) * 2007-01-10 2011-04-28 Ericsson Telefon Ab L M Verbesserungen an oder im zusammenhang mit strahlformung
US7991063B2 (en) * 2007-06-06 2011-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symbols mapping for antenna diversity
US20090129497A1 (en) * 2007-06-26 2009-05-21 Daniel Stopler Method, device and system of multi-input-multi-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US8045497B2 (en) * 2007-07-02 2011-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llocating wireless resource for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system of enabling the method
CN101743701B (zh) 2007-07-13 2013-04-24 Lg电子株式会社 协同通信网络中的数据通信
EP2017973A1 (en) * 2007-07-20 2009-01-2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es for selecting a subchannels subset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relays
CN101360291B (zh) 2007-07-31 2011-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待机终端及其固件更新方法及装置
KR101397292B1 (ko) * 2007-08-31 2014-05-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7899129B2 (en) * 2007-09-11 2011-03-01 Intel Corporatio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with fast adaptive beamforming
US7893871B1 (en) * 2007-10-10 2011-02-22 Marvell International Ltd. Beamforming with partial channel knowledge
KR101400240B1 (ko) * 2007-10-18 2014-06-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CN101442389B (zh) * 2007-11-23 2013-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天线系统的数据发送、接收方法及装置
US20090147728A1 (en) 2007-12-05 2009-06-11 Atia George K Wireless Cooperative Relay Network Transmitting Data using Imperfect CSI
US8301956B2 (en) * 2008-04-07 2012-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communication in a relay channel
US8634763B2 (en) * 2008-04-22 2014-01-21 Intel Corpora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s techniques
KR101447443B1 (ko) 2008-05-09 2014-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 단말들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1511786B1 (ko) * 2008-06-30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분할 이중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및 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의 이용 방법
US8306089B2 (en) * 2009-03-10 2012-11-06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technique for multiuser MIMO based on eigenmode selection and MMSE
US8526454B2 (en) * 2009-03-27 2013-09-0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it remapping in a relay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WO2011005045A2 (ko) * 2009-07-08 201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JP6476848B2 (ja) * 2014-12-26 2019-03-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70619A1 (en) 2012-07-05
KR20190058433A (ko) 2019-05-29
KR20170081155A (ko) 2017-07-11
CN105827368B (zh) 2019-04-30
EP2453589B1 (en) 2021-09-08
US9680558B2 (en) 2017-06-13
US20160329952A1 (en) 2016-11-10
KR101754413B1 (ko) 2017-07-07
US20170279518A1 (en) 2017-09-28
CN102484528A (zh) 2012-05-30
US20200287616A1 (en) 2020-09-10
KR20210011047A (ko) 2021-01-29
EP3934119A1 (en) 2022-01-05
US11038582B2 (en) 2021-06-15
KR101884338B1 (ko) 2018-08-01
US9973259B2 (en) 2018-05-15
CN102484528B (zh) 2016-06-08
US9397744B2 (en) 2016-07-19
EP3934119B1 (en) 2023-11-29
EP2453589A4 (en) 2017-01-18
US10666350B2 (en) 2020-05-26
US20210306066A1 (en) 2021-09-30
CN105827368A (zh) 2016-08-03
WO2011005045A2 (ko) 2011-01-13
WO2011005045A3 (ko) 2011-04-14
US20180262263A1 (en) 2018-09-13
EP2453589A2 (en) 2012-05-16
EP4333319A1 (en) 2024-03-06
KR20180088615A (ko) 2018-08-06
KR20110004802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2124A (ko)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KR101587563B1 (ko) 간섭 정렬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4734210B2 (ja) 無線通信方法
TWI397271B (zh) 使用髒紙編碼之mimo空氣介面
KR102508858B1 (ko) 송신 다이버시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210833A (zh) 用于多用户多入/多出(mimo)通信的干扰消除和抑制
KR101359666B1 (ko)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코드북 기반의 협력적빔포밍 장치 및 방법
JP2010526465A (ja) 複数ユーザのmimoシステムにおいて情報をプリコーディングする方法
JP5208453B2 (ja) 通信装置、及び送信レート設定方法
Koike-Akino Adaptive network coding in two-way relaying MIMO systems
JP2010193445A (ja) 2ホップmimoaf中継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チャネルを推定する方法
JP544435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267569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KR101546202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omulainen et al. CSI acquisition concepts for advanced antenna schemes in the WINNER+ project
KR101705991B1 (ko) 중첩 변조를 이용한 ofdm 협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1024B1 (ko) 다중 송수신 안테나에서 동일 이득 차분 코드북 생성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