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059U -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059U
KR20230002059U KR2020220002604U KR20220002604U KR20230002059U KR 20230002059 U KR20230002059 U KR 20230002059U KR 2020220002604 U KR2020220002604 U KR 2020220002604U KR 20220002604 U KR20220002604 U KR 20220002604U KR 20230002059 U KR20230002059 U KR 202300020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martphone
smartphone case
card storage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02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059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카드 수납부를 갖는 보호케이스는 카드 수납부 내측에 스마트폰 뒷면이 노출되어 있어 카드를 수납 및 인출하는 과정이 반복되면 스마트폰 뒷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케이스에 레일을 형성하여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 하나의 사출물로 제작되는 구성을 통해 외부에서 충격을 가할 경우에도 사출물의 분리가 방지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카드가 보관될 시 카드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이 가능한 스토퍼부 형성과 카드 인출부에서도 마찰을 발생하게 하는 경사진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중으로 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Card storage type smartphone case}
본 고안은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 신분증, 현금 등의 소지품을 간편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납된 소지품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부를 형성하여 카드를 고정하고, 카드수납부에 구비된 레일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카드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화 통화만을 목적으로 하는 스마트폰이 아닌, 인터넷 사용이나 각종 업무까지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아이폰, 갤럭시, 옴니아, 블랙베리 등으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높은 활용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케이스가 개발되었으며, 동시에 교통카드, 신용카드와 같은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기능을 갖도록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폰 케이스 제품은 대부분 외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를 삽입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카드가 밖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3593호에서도 카드수납홈을 구비하고 경사 돌기홀을 형성하여 경사 돌기를 따라 카드 인입 및 인출 시 슬라이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복수개의 카드를 고정할 수 없었고 카드 인출 시 사용자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카드와 같은 개인소지품의 수납 및 인출이 간편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카드 수납형 슬라이드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3593호 (2017.06.02.)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와 같은 개인소지품의 수납 및 인출이 간편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사출물로 제작되어 카드가 보관될 시 카드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이 가능한 스토퍼부 형성과 카드 인출부에서도 마찰을 발생하게 하는 경사진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중으로 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되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카드수납부(200), 상기 카드수납부(2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카드의 인입 및 인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된 인입인출부(202), 상기 인입인출부(202) 대칭되는 위치에 카드의 인출을 보조하기 위해 형성된 제1인출부(204), 상기 인입인출부(202)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제1인출부(204)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인출부(206) 및 상기 카드수납부(200)에 카드가 보관될 시 카드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207)는 카드수납부(200) 내부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207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수납부(200) 내부에 개방된 형태로 카드(C)의 인입 및 입출이 가능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수납부(200) 내부는 스마트폰 뒷면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정면은 충격흡수부(208)를 더 포함하고, 충격흡수부(208)는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을 관통하지 않는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되고,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은 하나의 사출물로 제작되어 카드수납부 내부에 형성된 레일을 통해 카드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연결 부위가 파손되거나 연결 부위가 분리되어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드가 인입 시 카드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부 형성과 카드 인출부에서도 마찰을 발생하게 하는 경사진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중으로 카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돌출부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카드가 인입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먼저 설명하면, 본 고안은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외측 본체에 하나 이상의 카드 또는 현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카드를 고정하고 인출이 가능한 레일을 포함하는 카드 수납부, 상기 카드 수납부에는 카드 또는 현금을 슬라이딩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한 인입인출부를 포함하고, 카드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돌출부 및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돌출부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카드가 인입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되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카드수납부(200), 카드수납부(2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카드의 인입 및 인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된 인입인출부(202), 인입인출부(202) 대칭되는 위치에 카드의 인출을 보조하기 위해 형성된 제1인출부(204), 인입인출부(202)의 중앙에 위치하고 제1인출부(204)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인출부(206) 및 상기 카드수납부(200)에 카드가 보관될 시 카드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207), 상기 카드수납부(200) 내부에는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207b)를 더 포함하여, 카드를 인입시 눌려져 고정이 가능하고 카드가 인출될 시 다시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본체는 스마트폰과 접합하여 체결 시 스마트폰과 밀착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인 예를 들어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배면에 돌출 형성된 카드수납부(200)의 폭과 길이는 카드(C)가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카드(C)의 크기만큼 같거나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드수납부(200)는 카드가 인입 및 인출되는 공간인 인입인출부(202)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인출부(202)는 카드가 완전히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입인출부(202)와 대칭되는 위치에 카드의 인출을 보조하기 위한 제1인출부(204)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인출부(204)는 뚫린 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카드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인출부(204) 홀의 형상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외력을 가하여 카드가 밀려 인출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인출부(202) 인입인출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는 카드가 인입된 후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돌출부(20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드수납부(200) 내부에는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207b)를 더 포함하여, 카드를 인입시 눌려져 고정이 가능하고 카드가 인출될 시 다시 회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07)는 카드수납부(200) 내부측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부(207a)를 포함하고, 이때 경사면의 각도는 카드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1°~25°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부(207a)는 인입인출부(202)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카드의 인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207a)를 구비함으로써 카드를 인출할 시, 경사부(207a)의 각도에 대응되어 카드가 각도를 형성하여 일부 휘어짐으로써 인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207)는 상기 인입인출부(202)보다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카드가 인출될 경우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형태로 카드가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이러한 돌출된 돌출부(207)로 인하여 카드 수납이 완료된 후에도 이탈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드수납부(200) 내부는 스마트폰 뒷면 방향으로 노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카드(C)가 인입인출부(202)로 인입 시 카드수납부(200) 내부의 가장자리에 양측에 구비된 레일을 통해 카드(C)가 슬라이딩하여 인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카드(C) 인출 시에도 카드수납부(200) 내부 양측에 구비된 레일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입과 같은 방식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은 수납된 카드의 인입 및 인출 시 발생한 마찰력을 활용하여 고정 및 착탈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카드가 실제로 인입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복수개의 카드가 수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내부 면이 비-개방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도 1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되 카드수납부(200) 내부는 스마트폰 뒷면 방향으로 비-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수납부(200)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어 단면이 호 형상인 지지부(2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10)는 복수개의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카드가 인입될 시 압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카드가 인입된 후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하여 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7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인출 측 카드수납부(200)의 양 끝단 모서리에 라운드돌출부(21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돌출부(211)는 카드수납부(200)과 인입인출부(202)의 접점 모서리에 위치하고 단면이 호 형상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라운드돌출부(211)는 카드(C)의 인입 시 카드의 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카드를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카드를 수납할 수 있고 카드가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때 지지부(210)는 수납된 카드(C)가 수납상태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카드(C)의 수납상태가 헐거워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카드(C)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카드를 수납하더라도 상기 지지부(21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인출 시에도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충격흡수부(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208)는 스마트폰 케이스(100)을 관통하지 않는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되고,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충격흡수부(208)의 형태는 다양한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 충격을 흡수 또는 분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케이스(100) 내부 측면의 상단부에 육각형의 형태 홀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홀은 외부측면으로는 전면 뚫리지 않은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폰 케이스(100) 내부 가장자리면의 모서리의 형태는 직사각형의 홀이 형성되어 육각형 형태의 홀과 마찬가지로 외부측면으로 전면 뚫리지 않고 홈으로 파여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홈은 스마트폰 케이스(100) 두께의 소정의 길이 깊이로 파인 형태로써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때 케이스 재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만약 상기 홈이 외부측면으로 전면 뚫려진 경우 공기를 저장하는 공간이 없어지므로 외부 충격을 흡수 또는 분산함에 있어서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기설정된 깊이로 파인 형태를 형성하여 외부에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홀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접촉면이 넓은 형태의 어떠한 다각형의 형상도 가능하다.
이때 스마트폰의 외부 충격 발생시 스마트폰의 본체를 1차로 방어하고, 보호케이스 내부측면에 충격흡수부(208)를 통해 외부 충격을 흡수 또는 분산함으로써 2차 방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폰과 카드수납부(200) 사이에 케이스 면이 존재하여, 보호케이스의 뒷면이 비-노출됨으로써 카드를 수납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 뒷면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때 음량버튼(106)과 전원버튼(108)은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본체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스마트폰과 결합 시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사용되는 카드(C)의 두께는 일정하므로, 카드(C)의 폭이 제조사마다 미세한 정도로 다르게 제작되더라도 카드수납부(200)에 수납시 쉽게 빠지지 않도록 지지부(210)가 카드수납부(200)의 중앙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떨어진 양 가장자리에 구성된다.
상기 카드수납부(200) 내부는 비-노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10)는 카드수납부(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 형성되며, 단면이 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지지부(210)는 내부에 카드(C)를 고정하여 스마트폰 케이스(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주머니 등 스마트폰을 꺼낼 시 카드(C)와 근접한 부위에 마찰력이 작용하더라도 지지부(210)가 카드(C)의 양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C)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1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의 재질이든 가능하다.
여기서 스마트폰 케이스(100)은 TPU, PC, PE, PP, PS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범퍼 기능성 소재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카드가 인입된 상세도로, 도 8은 카드(C) 1장이 스마트폰 케이스(100)에 삽입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카드(C) 1장이 인입될 경우 지지부가 압축되었다가 다시 회복하여 본래의 지지부(210)의 형태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카드(C) 2장이 스마트폰 케이스(100)에 직접 삽입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5에 비해 지지부(210)의 형태가 복수개의 카드(C) 두께로 인하여 카드(C) 1장이 인입된 경우와 달리 지지부(210)의 형태가 압축되어 복수개의 카드(C)를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카드(C)를 2장 삽입하여도 지지부(21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복수개의 카드(C)가 인입되어도 지지부(21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복수개의 카드(C)의 두께를 제외한 너비만큼 지지부(210)의 복원이 가능하여 카드(C)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210)의 두께는 수납하려는 카드(C)의 개수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 카드 P 스마트폰
A 중심선
100 스마트폰 케이스 102 케이스 외면
104 케이스 내면 106 음량버튼
108 전원버튼 110 카메라홀
200 카드 수납부 202 인입인출부
204 제1인출부 206 제2인출부
207 돌출부 207a 경사부
207b 스토퍼부 208 충격흡수부
210 지지부 211 라운드돌출부

Claims (6)

  1. 스마트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스마트폰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되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카드수납부(200),
    상기 카드수납부(2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카드의 인입 및 인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된 인입인출부(202),
    상기 인입인출부(202) 대칭되는 위치에 카드의 인출을 보조하기 위해 형성된 제1인출부(204),
    상기 인입인출부(202)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제1인출부(204)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인출부(206) 및
    상기 카드수납부(200)에 카드가 보관될 시 카드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207)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수납부(200) 내부에는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207b)를 더 포함하여, 카드를 인입시 눌려져 고정이 가능하고 카드가 인출될 시 다시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7)는 카드수납부(200) 내부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207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수납부(200) 내부는 스마트폰 뒷면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수납부(200) 내부에 개방된 형태로 카드(C)의 인입 및 입출이 가능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수납부(200) 내부는 스마트폰 뒷면 방향으로 비-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정면은 충격흡수부(20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208)는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을 관통하지 않는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되고,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20220002604U 2022-04-20 2022-11-08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230002059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00958 2022-04-20
KR2020220000958 2022-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059U true KR20230002059U (ko) 2023-10-27

Family

ID=8850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604U KR20230002059U (ko) 2022-04-20 2022-11-08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05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93Y1 (ko) 2016-07-27 2017-06-02 주식회사 폰애드 카드 배출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93Y1 (ko) 2016-07-27 2017-06-02 주식회사 폰애드 카드 배출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8731B1 (en) Shock-absorbent electronic device case
US11139850B2 (en)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a method for removing a stylus therefrom and a method for making a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CN103887650A (zh) 芯片卡固持结构及具有该芯片卡固持结构的电子装置
TW201349123A (zh) 晶片卡固持結構
US8902602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ejection mechanism
US20140091689A1 (en) Cover Having Wallet Feature for Electronic Devices
CN110708981A (zh) 手机壳
KR101757399B1 (ko) 카드 수납기능이 있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230002059U (ko)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US6161976A (en) Automatic writing apparatus for segmental writing elements with caps
KR102531444B1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CN210924764U (zh) 一种讲解器租用机柜
KR101635152B1 (ko) 이동 단말기 보호용 케이스
KR200469872Y1 (ko) 접이식 칸막이가 마련된 여행용 가방
CN210224994U (zh) 一种移动充电装置充电仓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200130069A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CN209994144U (zh) 一种移动充电装置充电仓
KR102627088B1 (ko)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KR200470734Y1 (ko) 명함 인출이 용이한 기능성 명함케이스
KR200478580Y1 (ko) 카드 인출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230060933A1 (en) Protective case having card storag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70528B1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TWI555613B (zh) Tool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