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032U -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 Google Patents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032U
KR20230002032U KR2020220000930U KR20220000930U KR20230002032U KR 20230002032 U KR20230002032 U KR 20230002032U KR 2020220000930 U KR2020220000930 U KR 2020220000930U KR 20220000930 U KR20220000930 U KR 20220000930U KR 20230002032 U KR20230002032 U KR 202300020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ressing surface
main body
contain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상
Original Assignee
김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상 filed Critical 김은상
Priority to KR2020220000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032U/ko
Priority to PCT/KR2023/004726 priority patent/WO2023204499A1/ko
Publication of KR20230002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0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30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guiding the flow of spray, e.g. funnels, ho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에 노즐구멍이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부를 구비하며 용기에 부착가능한 분사모듈로서, 상기 본체부 상부의 누름면의 우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기부 및 좌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분사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Spraying module pressing surface with protrusion}
본 고안은 스프레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레이 용기에 장착되는 분사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프레이(분무기)는 액체 또는 기체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액체나 기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구성된 물품이다. 예를 들면 액체나 기체는 세정제, 탈취제, 방향제, 소독제, 의약품 등 각종 다양한 성분의 유체일 수 있다.
스프레이 장치의 일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13549호는 손으로 잡아당겨서 액체를 외부로 분무하는 분무기를 개시하였고,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2019-840003876호는 손으로 눌러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무기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분무기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하나의 분무 자세만 가지며, 따라서 분무 대상의 위치나 방향에 따라서 사용자가 분무기를 다른 방향으로 잡는 것이 불편하거나 분사 방향이 예상과 달라질 수 있어 분무 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사모듈을 분사방향을 따라 누르거나 그에 직각인 방향으로 누를 수 있도록 누름면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분사방향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분사모듈의 누름면을 편안하고 확실하게 가압하여 효율적으로 분무할 수 있는 분사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에 노즐구멍이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부를 구비하며 용기에 부착가능한 분사모듈로서, 상기 본체부 상부의 누름면의 우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기부 및 좌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분사모듈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모듈을 분사방향을 따라 누르거나 그에 직각인 방향으로 누를 수 있도록 누름면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분사방향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분사모듈의 누름면을 편안하고 확실하게 가압하여 효율적으로 분무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을 장착한 스프레이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평면도,
도4(a) 내지 도4(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이 장착된 스프레이 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A)가 다른 구성요소(B)에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된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것은 구성요소(A)가 다른 구성요소(B)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또는 넓이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며 어느 한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의 상대적 크기도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 라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을 장착한 스프레이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10)은 임의의 용기(20)에 장착되어 용기(2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 또는 가스를 분사하는 기능을 가진다.
용기(20)는 액체 또는 가스를 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용기(20)에 저장되는 액체나 가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분사모듈(10)은 용기(20)에 장착가능한 통형상의 부재이고 측면의 일 방향을 향해 액체나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 구멍(11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사모듈(10)의 상부면, 즉 누름면(120)을 손으로 누르면 분사모듈(10)이 용기(20) 내의 액체나 가스를 펌핑하여 노즐 구멍(110)을 통해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모듈(10)에 의한 액체나 가스의 분사 원리는 당업계의 주지 관용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분사모듈(10)은 용기(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용기(20)에 대해 상대적으로 분사모듈(10)이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분사모듈(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10)의 사시도, 도3은 평면도, 도4(a)는 정면도, 도4(b)는 측면도, 도4(c)는 배면도를 각각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이 장착된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사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5(a)는 손가락을 분사방향으로 놓고 분사모듈을 가압하는 모습이고 도5(b)을 손가락을 분사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놓고 분사모듈을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10)은 본체부(100)와 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분사모듈(10)이 용기(도1의 20)에 장착되었을 때 용기(20)의 상부 위로 노출되는 부분이고 연결부(200)는 본체부(100)의 하방으로 본체부(100)에서 연장 형성되어 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체부(100)와 연결부(2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연결부(200)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본체부(100)의 하부와 용기(20)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200)의 하부에는 용기(20) 내부 바닥면까지 뻗어있어 용기(20)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흡입하는 스트로(도시 생략)가 결합될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생략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0)와 연결부(200)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00)가 용기(20)에 결합되어 용기(20)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체부(100)는 용기(20) 및 연결부(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본체부(100)와 연결부(2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 본체부(100)와 연결부(200)를 포함한 분사모듈(10)이 일체로 용기(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100)는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본체부(100)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고 일 측면에 노즐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상부면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누름면(120)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누름면(120)을 누름으로써 용기(20)의 내의 액체나 가스를 노즐구멍(110)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0)의 누름면(120)에 오목홈(121, 122), 돌기부(130, 140), 선형돌기부(160), 및 방향 표시부(170)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홈은 제1 오목홈(121)과 제2 오목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2 또는 도3에 도시한 X-Y축 방향을 참조할 때, 도4(a)에서 제1 오목홈(121)은 Y축 방향을 따라 누름면(120)에 형성된 오목홈이다. 이 때 Y축 방향은 노즐구멍(110)이 형성된 방향으로서, 용기 내의 액체나 기체가 분사되는 '분사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칭하기도 한다. 도4(b)에 도시한 것처럼 제2 오목홈(122)은 X축 방향을 따라 누름면(120)에 형성된 오목홈이다. 이 때 X축 방향은 Y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서 '가로방향'으로 칭하기도 한다.
일 실시예에서 누름면(120)에는 제1 오목홈(121)과 제2 오목홈(122)이 모두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제1 및 제2 오목홈(121,122)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어 십자 형상으로 누름면(120)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 오목부(121)와 제2 오목부(122)의 각각의 형상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누름면(120) 위에 편안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오목부(121)의 경우, 도4(b)에 도시한 것처럼 분사방향(Y축 방향)을 따라서 (도4(b)를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제1 오목부(121)의 표면이 내려가는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5(a)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제1 오목홈(121)에 검지 손가락(F)을 밀착하여 누름면(120)을 가압할 때 검지 손가락(F)의 마디쪽보다 손가락 끝부분의 누름면(120) 표면이 경사져서 올라가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확실하게 누름면(120)을 가압하여 액체 또는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목부(122)의 경우, 도4(c)에 도시한 것처럼 가로방향(X축 방향)을 따라서 (도4(c)를 기준으로) 오른쪽에서 왼?P으로 갈수록 제2 오목부(122)의 표면이 내려가는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5(b)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제2 오목홈(122)에 검지 손가락(F)을 밀착하여 누를 때에도 손가락의 마디쪽보다 손가락 끝부분의 누름면(120) 표면이 경사져서 올라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름면(120)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도5(a)나 도5(b)의 어느 경우이든 사용자는 손가락을 제1 오목홈(121) 또는 제2 오목홈(122) 중 어느 하나에 편안하게 올려서 누름면(120)을 누를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노즐구멍(110) 방향과 동일 방향이나 수직인 방향 중 아무 방향으로 손가락을 누름면(120)에 대고 눌러 액체나 기체를 분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누름면(12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오목홈(121,122)으로 인해 누름면(120)에는 오목홈(121,122)에 대해 상대적으로 볼록한 형상인 볼록부(120a 내지 120d)가 형성된다. 즉 도2에 도시한 것처럼, 누름면(120)에서 제1 및 제2 오목홈(121,12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전방 우측의 제1 볼록부(120a), 전방 좌측의 제2 볼록부(120b), 후방 우측의 제3 볼록부(120c), 그리고 후방 좌측의 제4 볼록부(120d)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과 '후방'은 세로방향(Y축 방향)을 따라 노즐구멍(110)이 바라보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했을 때의 용어이고 '우측'과 '좌측'은 세로방향에 수직인 X축 방향으로 각각 정의한 용어임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볼록부(120a 내지 120d)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4에 도시한 것처럼 볼록부의 높이가 각기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a)와 도4(b)를 참조하면, 분사모듈(10)의 본체부(100)의 바닥에서부터 제1 볼록부(120a)까지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제2 볼록부(120b)까지의 높이를 H2라고 하면, H1이 H2 보다 좀 더 크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4(c)를 참조하면, 분사모듈(10)의 본체부(100)의 바닥에서부터 제3 볼록부(120c)까지의 높이를 H3이라 하고 제4 볼록부(120d)까지의 높이를 H4라고 하면, H3이 H4 보다 좀 더 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4(b)를 참조하면, 제2 볼록부(120b)의 높이(H2)가 제3 볼록부(120c)의 높이(H3) 보다 더 크도록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H1>H2>H3>H4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제1 내지 제4 볼록부(120a, 120b, 120c, 120d)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제2 볼록부(120b)의 높이(H2)와 제3 볼록부(120c)의 높이(H3)가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볼록부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도5(a)나 도5(b)에 도시한 것처럼 손가락을 제1 오목홈(121)이나 제2 오목홈(122)을 따라 누름면(120)에 놓았을 때 손가락을 기준으로 좌우의 높이가 다르게 느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노즐구멍(110)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노즐구멍(110)의 위치를 직관적이고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대안적 실시예에서 분사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높이를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바꿀 수 있다. 즉 H2>H1이 되고 H4>H3이 되며 이 때 H3이 H2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0)는 누름면(12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 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본체부(100)는 누름면(120)의 우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기부(130) 및 누름면(120)의 좌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기부(140)를 포함한다. 제1 돌기부(130)는 제1 볼록부(120a)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돌기부(140)는 제2 볼록부(120b)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돌기부(130, 140)의 각각은 원기둥이나 다각 기둥 형상일 수 있고, 높이 방향으로 단면적이 동일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위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돌기부(130)의 상부면(130a)은 평평한 평면 형상일 수도 있지만 위로 약간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2 돌기부(140)의 상부면도 이와 동일하게 평면이거나 위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도4(a) 내지 도4(c)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돌기부(130)와 제2 돌기부(140)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돌기부(130)가 제2 돌기부(140) 보다 더 높게 형성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볼록부(120a)가 제2 볼록부(120b) 보다 더 높게 형성되었으므로 제1 볼록부(120a)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돌기부(130)가 제2 볼록부(120b)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돌기부(140) 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예컨대 제2 볼록부(120b)가 제1 볼록부(120a) 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대안적 실시예의 경우 제2 볼록부(120b)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돌기부(140)가 제1 볼록부(120a)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돌기부(130) 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누름면(120)의 상면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분사모듈(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손가락으로 제1 돌기부(130)나 제2 돌기부(140)를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움직임으로써 본체부(100)를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으로 제1 돌기부(130)를 누른 상태로 손가락을 움직여 본체부(10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거나 제2 돌기부(140)를 누른 상태로 손가락을 움직여 본체부(100)를 좌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예시적인 사용예이며, 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제1 돌기부(130)를 누른 상태로 본체부(10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와 같이 분사방향(Y축 방향)을 중심으로 우측과 좌측에 각각 제1 돌기부(130)와 제2 돌기부(140)를 형성할 경우, 사용자가 제1 오목홈(121)을 따라 손가락을 놓았을 때 손가락 끝의 양쪽에 각각 제1 및 제2 돌기부(130, 140)가 닿기 때문에 사용자가 노즐구멍(110)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노즐구멍(110)의 위치를 직관적이고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오목홈(122)을 따라 손가락을 놓았을 때에도 손가락의 왼쪽편으로 제1 및 제2 돌기부(130, 140)가 닿기 때문에 노즐구멍(110)을 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노즐구멍(110)의 위치를 더욱 직관적이고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누름면(120)이 제1 및 제2 오목홈(121, 122) 또는 제1 내지 제4 볼록부(120a 내지 120d)가 없는 평평한 형상이고 그 위에 제1 및 제2 돌기부(130,1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누름면(120) 자체는 평평하지만 누름면(120) 위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 제1 돌기부(130)와 제2 돌기부(140)를 손가락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분사방향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손가락의 촉감으로 분사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10)은 누름면(120) 위에 선형 돌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형 돌기부(160)는 가로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2 오목홈(122)에 형성된다. 선형 돌기부(16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된 돌기 형상이되 가로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오목홈(122)의 전체 길이 중 2/3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형 돌기부(160)를 누름면(120)에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사용자가 도5(b)와 같이 분사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분사모듈(10)을 누를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제2 오목홈(122)에 올려 놓았을 때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선형 돌기부(160)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노즐구멍(110)을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분사 방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10)은 누름면(120)의 표면에 방향 표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 표시부(170)는 노즐구멍(110)이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표시부이고 도시한 것처럼 삼각형의 음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분사모듈(10)은 본체부(100)의 측면을 따라 세로로 형성된 요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철부(150)는 본체부(100)의 측면 중에서도 분사방향을 중심으로 본체부(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50)는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부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다양한 형상의 음각 또는 양각 구조물이 반복되어 요철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요철부(150)를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예컨대 검지 손가락으로 좌측 또는 우측의 요철부(150)를 누른 상태로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본체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돌기부(130)나 제2 돌기부(140)를 손가락 끝으로 누른 채 본체부(100)를 회전하여도 되고 좌측 또는 우측의 요철부(150)를 손가락으로 가압하면서 본체부(100)를 회전하여도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각자 필요에 따라 편리한대로 돌기부(130,140)나 요철부(150)를 이용하여 분사모듈(10)의 회전시키면서 액체나 기체를 분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분사모듈 20: 용기
100: 본체부 110: 노즐구멍
120: 누름면 130, 140: 돌기부
150: 요철부 160: 선형 돌기부
170: 방향 표시부 200: 연결부

Claims (5)

  1. 측면에 노즐구멍(110)이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부(100)를 구비하며 용기(20)에 부착가능한 분사모듈(10)로서,
    상기 본체부(100) 상부의 누름면(120)의 우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기부(130) 및 좌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기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용기(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제1 돌기부(130) 및 제2 돌기부(140)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130) 및 제2 돌기부(140)의 각각이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에 요철부(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방으로 본체부(100)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용기(20)와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KR2020220000930U 2022-04-18 2022-04-18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KR2023000203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30U KR20230002032U (ko) 2022-04-18 2022-04-18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PCT/KR2023/004726 WO2023204499A1 (ko) 2022-04-18 2023-04-07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30U KR20230002032U (ko) 2022-04-18 2022-04-18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032U true KR20230002032U (ko) 2023-10-25

Family

ID=8842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930U KR20230002032U (ko) 2022-04-18 2022-04-18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2032U (ko)
WO (1) WO20232044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282A (ja) * 2000-10-10 2002-04-16 Shiseido Co Ltd 押しボタン付き容器
CN101575039B (zh) * 2003-03-03 2013-03-27 西奎斯特完美分配器外国公司 气溶胶促动器
JP2010047295A (ja) * 2008-08-22 2010-03-04 Mitani Valve Co Ltd 噴出装置の噴出ボタン、噴出装置、ならびにポンプ式、エアゾール式および押し出し式噴出器
JP6024043B2 (ja) * 2014-08-08 2016-11-09 明秀 東畑 スプレーノズル
US20170349328A1 (en) * 2016-06-07 2017-12-07 Bryan Borneman Focus straw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aerosol spray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4499A1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776B1 (ko) 에어러졸 인간 공학적 분무기
US6386397B2 (en) Spray bottle grip
US5411173A (en) Counter attachment for product dispensers
WO2007140398A3 (en) Ergonomic cap for plastic aerosol container
JP2003535784A (ja) 保護弁を備えた流体製品ディスペンサ
KR20230002032U (ko) 돌기부가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분사모듈
EP1317963A1 (en) Trigger-type sprayer with stopper member
JP7291540B2 (ja) 点鼻薬噴出器
USD883445S1 (en) Adapter for a liquid spray nozzle with a weed guard
JP6375193B2 (ja) ポンプ付き容器
KR850001008Y1 (ko) 분무기
JP4805109B2 (ja) 揮散体
JP4203937B2 (ja) 液体噴出容器
JP2011177630A (ja) 液体噴出器
JP7105973B2 (ja) トリガー式エアゾール装置及びエアゾールキャップ
JP4198617B2 (ja) ノズル用貯留具
USD993433S1 (en) Cupping device
JP3730647B2 (ja) ポンプ付液体容器の片手操作具
USD488535S1 (en) Trigger sprayer ergonomic trigger with finger protrusion
JP3104229U (ja) 包装用噴霧器
JPH0619532Y2 (ja) 鎮痛鎮痒剤用エアゾ−ル装置
JP2023054976A (ja) キャップ及びスクイズボトル
JPH0335412Y2 (ko)
JPH0335408Y2 (ko)
EP1844862A1 (en) Safety arrangement for fluid dispen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