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46A -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46A
KR20230001846A KR1020210084899A KR20210084899A KR20230001846A KR 20230001846 A KR20230001846 A KR 20230001846A KR 1020210084899 A KR1020210084899 A KR 1020210084899A KR 20210084899 A KR20210084899 A KR 20210084899A KR 20230001846 A KR20230001846 A KR 20230001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user
information
product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8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2033B1 (en
Inventor
황준석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8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033B1/en
Publication of KR2023000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0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yment device includes: a first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token information of a payment card; and a payment unit which pays for the price of a product using the token information obtained in advan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ymen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simplifying admission to an unmanned store or payment using token information of a credit card or debit card.

Description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의 토큰 정보를 활용한 무인 매장 결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

본 발명은 무인 매장에서 자동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payment in an unmanned store.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원이 없는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As IT technology develops, an unmanned store operating system without a clerk has been proposed.

하지만,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은 신속한 결제 처리가 가능한 특정 매장에 주로 사용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은 빠른 결제 처리가 필요하고, 비교적 작은 크기의 물품을 판매하여 포장에 대한 부담이 적고, 비교적 적은 개수의 물품을 구매하는 매장에 적합한데, 이러한 대표적인 예가 편의점이다.However, the unmanned store operating system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mainly used for a specific store where rapid payment processing is possible. For example, the unmanned store operating system is suitable for a store that requires fast payment processing, sells relatively small-sized items to reduce the burden on packaging, and purchases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item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which is a convenience store.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의 보급화를 위해서는 결제 과정이 간소화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popularize the unmanned store operating system, the payment process needs to be simplifi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19453호에는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19453 shows an automatic payment device for selling cosmetics and an unmanned cosmetics store op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1945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19453

본 발명은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의 토큰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매장의 입장 또는 결제를 간소화할 수 있는 결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ymen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simplifying admission to an unmanned store or payment using token information of a credit or debit card.

본 발명의 결제 장치는 결제 카드의 토큰 정보를 획득하는 제1 획득부; 사전 획득된 상기 토큰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가격을 결제하는 결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y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quiring unit acquiring token information of a payment card; It may include; a payment unit for paying the price of a product using the pre-obtained token information.

본 발명의 결제 장치는 사용자의 결제 카드 정보를 입수하는 입수 수단; 상기 결제 카드 정보를 결제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상기 결제 카드의 정보 제공에 대한 답변으로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카드의 정보에 대응되는 토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입수 수단에 상기 결제 카드의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은 입력 수단; 상점에 입장할 수 있는 입장 코드를 발급하는 관리 서버에 상기 토큰 정보와 상기 단말기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제공 수단; 상기 상점의 입구에 설치되는 입장 게이트; 상기 상점의 출구에 설치되는 퇴장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y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btaining means for obtaining user's payment card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to a payment server;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ok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server in response to the provision of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an input means for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provided information of the payment card to the acquisition means; a provision means for providing both the toke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that issues an access code for entering the store; an entrance gat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store; It may include; an exit gate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store.

상기 입장 게이트는 물리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제1 모드, 상기 사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The entrance gate may operate in one of a first mode that physically permits the user's entry and a second mode that restricts the user's entry.

상기 입장 게이트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입장 코드가 인식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entrance gate basically operates in the second mode, and can operate in the first mode only when the access code output from the terminal is recognized.

상기 퇴장 게이트는 상기 상점에 입장한 사용자가 상기 상점으로부터 퇴장할 때, 상기 상점에 입장할 당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장바구니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The exit gate may extract a shopping cart code given to the user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tore when the user who has entered the store leaves the store.

상기 퇴장 게이트는 상기 장바구니 코드에 연계된 특정 토큰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와 함께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결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The exit gate may transmit specific token information linked to the shopping cart code to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payment server together with a product code of a specific product purchased by the user.

본 발명의 결제 방법은 상점의 상품 가격을 결제하는 결제 서버 또는 상점 주변에 설치된 키오스크로부터 사용자의 결제 카드의 토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토큰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장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y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token information of a user's payment card from a payment server that pays for a product price in a store or a kiosk installed around the store; obtain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token information is acquired, transmitting an access code to the user's terminal;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없이 무인 매장 사용이 가능한 일회성 입장 수단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one-time entrance means capable of using an unmanned stor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회원 가입 없이 무인 매장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nvironment in which an unmanned store can be used without separate membership registra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토큰 정보를 활용하여 후불 결제, 재결제, 취소 등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ferred payment, repayment, cancellation, etc. may be performed using toke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퇴장시 수행되는 기존의 결제 과정이 대폭 간소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상점 이용시 가장 정체가 심한 퇴장 게이트의 혼잡도가 대폭 완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payment process performed upon leaving can be greatly simplified. As a result, congestion at the exit gate, which is the most congested when using a store, can be greatly alleviated.

도 1은 본 발명의 결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키오스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퇴장 게이트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y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nagement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kiosk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it 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ay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ing'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list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결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y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결제 장치는 입장 게이트(10), 퇴장 게이트(20), 키오스크(30)(kiosk), 관리 서버(100), 결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yment device shown in FIG. 1 may include an entrance gate 10, an exit gate 20, a kiosk 30, a management server 100, and a payment server 200.

입장 게이트(10)는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 예를 들어 관리자가 없는 무인 상점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입장 게이트(10)는 상점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장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는, 입장 게이트(10)는 설정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을 물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장 게이트(10)에는 사용자의 입장을 가로막는 가로막, 가로막대가 마련될 수 있다. 가로막 또는 가로막대는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특정 사용자의 입장이 허용된 경우, 가로막은 특정 사용자의 입장 경로로부터 도피될 수 있다. 특정 사용자의 입장이 불허된 경우, 가로막은 특정 사용자의 입장 경로로 진입하고 특정 사용자의 입장을 가로막을 수 있다.The entrance gate 10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store that sells products, for example, an unmanned store without a manager. The entrance gate 10 may guide an entrance path of a user who wants to use the store. Alternatively, the entrance gate 10 may physically restrict the user's entrance according to set conditions. For example, the entrance gate 10 may be provided with barriers and barriers to block the user's entry. The diaphragm or diaphragm may be installed to be flexible. When a specific user is allowed to enter, the barrier can be evaded from the specific user's entry path. When a specific user is not allowed to enter, the barrier may enter the specific user's entrance path and block the specific user's entry.

입장 게이트(10)는 물리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제1 모드, 사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모드는 가로막이 입장 경로로부터 도피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모드는 가로막이 입장 경로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The entrance gate 10 may operate in one of a first mode that physically allows the user's entry and a second mode that restricts the user's entry. The first mode may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 barrier is evacuated from the entry path. The second mode may represent a state in which the barrier has entered the entry path.

입장 게이트(10)는 기본적으로 제2 모드로 동작하고, 단말기(90)로부터 출력되는 입장 코드가 인식된 경우에 한하여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entrance gate 10 basically operates in the second mode, and can operate in the first mode only when the access code output from the terminal 90 is recognized.

퇴장 게이트(20)는 상점의 출구에 설치될 수 있다. 퇴장 게이트(20)는 상점에 대한 사용자의 퇴장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퇴장 게이트(20)는 입장 게이트(10)의 가로막과 유사한 가로막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해당 가로막은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에 한해 퇴장 경로로부터 도피되고, 상점에 대한 사용자의 퇴장을 허용할 수 있다. 해당 가로막은 퇴장 경로에 진입한 사용자가 소지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비정상 결제 상태로 판별되면, 퇴장 경로에 진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퇴장 경로에 진입한 상태로 유지되는 가로막은 상점에 대한 사용자의 퇴장을 제한할 수 있다. 퇴장 게이트(20)에는 별도의 가로막이 미존재해도 무방하다.The exit gate 20 may be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store. The exit gate 20 may guide a user's exit route to the store. In some cases, a barrier similar to that of the entrance gate 10 may be installed on the exit gate 20 . The barrier may escape from the exit route only when the user has completed payment for the product, and may allow the user to exit the store. If the barrier is determined to be in an abnormal payment state in which payment for a product possessed by the user entering the exit route is not normally made, the state of entering the exit route may be maintained. The user's exit to the store may be restricted if the exit route remains in the state of entering the exit route. A separate diaphragm may not exist in the exit gate 20 .

키오스크(30)는 사용자로부터 결제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kiosk 30 may receive input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from the user.

키오스크(30)는 상점 내부가 아닌 상점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키오스크(30)는 상점의 입구 주변, 예를 들어 상점 입구로부터 10m 내의 거리에 설치될 수 있다. 키오스크(30)는 사용자의 결제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를 리딩할 수 있는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30)는 리딩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의 도난 여부/분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kiosk 3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store instead of inside the store. Preferably, the kiosk 30 may be installed around the entrance of the store, for example, at a distance within 10 m from the store entrance. The kiosk 30 may include a reader capable of reading card information from a user's payment card. The kiosk 30 may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card has been stolen/lost using the reading information.

관리 서버(100)는 입장 게이트(10), 퇴장 게이트(20), 키오스크(30)를 관리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manage the entrance gate 10 , the exit gate 20 , and the kiosk 30 .

일 예로, 관리 서버(100)는 입장 게이트(10) 또는 퇴장 게이트(20)에 마련된 가로막의 경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100)는 키오스크(30)와 통신하고 각종 정보를 키오스크(30)와 주고받을 수 있다. 입장 게이트(10), 퇴장 게이트(20)가 상점 자체의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관리 서버(100)는 키오스크(30)와의 각종 정보 교환에 전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determine whether to enter a path through a barrier provided at the entrance gate 10 or the exit gate 20 . Alternatively,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kiosk 30 and exchang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th the kiosk 30 . When the entrance gate 10 and the exit gate 20 are controlled by the store's own control means, the management server 100 can concentrate on exchang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th the kiosk 30 .

결제 서버(200)는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결제를 인증, 인가,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키오스크(30), 입장 게이트(10), 퇴장 게이트(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포스(POS, Point Of Sales) 결제기가 마련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포스 결제기와 통신하고,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 등을 이용한 각종 결제 및 정산 관련 업무를 대행하는 밴(VAN, Value-Added Network)사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yment server 200 may authenticate, authorize, or process a user's payment for a product.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kiosk 30, the entrance gate 10, and the exit gate 20 may be provided with a POS (Point Of Sales) payment machine capable of paying with a credit card or check card. The payment server 200 may include a value-added network (VAN)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POS payment machine and performs various payment and settlement-related tasks using a credit card or check card.

본 발명의 결제 장치는 결제가 가능한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를 소지한 사용자에 한해서 상점의 입장을 허용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퇴장시 별도의 상품 가격 정산을 수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정산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pay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only users who have a credit or debit card capable of payment to enter the store, and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does not have to perform a separate product price settlement when leaving the store. there is.

일 예로, 키오스크(30)는 사용자가 제공한 신용 카드, 체크 카드 등의 결제 카드의 정보, 예를 들어 카드 번호, 유효 기간 등을 결제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kiosk 3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a payment card such as a credit card or check card provided by a user, for example, a card number, expiration date, etc. to the payment server 200 .

결제 서버(200)는 결제 카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토큰 정보를 생성해서 키오스크(30)에 제공할 수 있다.The payment server 200 may generate token information based on payment card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kiosk 30 .

키오스크(30)는 토큰 정보를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토큰 정보는 결제 서버(200)로부터 관리 서버(100)로 곧바로 전달되어도 무방하다.The kiosk 30 may provide toke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 In some cases, the token information may be directly transferred from the payment server 200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키오스크(30)는 사용자가 제공한 단말기(90)의 정보를 추가로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90)는 스마트폰 등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9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90)의 정보는 단말기(90)의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kiosk 30 may additionally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90 provided by the user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 The terminal 90 may include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90 such as a smart phon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90 may include a phone number of the terminal 90 and the like.

관리 서버(100)는 토큰 정보가 입수되면 토큰 정보의 기초가 되는 결제 카드의 사용자가 입력한 단말기(90)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90)에 입장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입장 코드는 사전에 입장 게이트(10)와 약속된 것일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100)는 입장 코드를 키오스크(30)를 통해 입장 게이트(10)에 전달하거나 입장 코드를 직접 입장 게이트(10)에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token information is acquired,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provide an entry code to the user's terminal 90 by us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90 input by the user of the payment card that is the basis of the token information. The access code may be prearranged with the entrance gate 10 . Alternatively,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transfer the access code to the entrance gate 10 through the kiosk 30 or directly transfer the access code to the entrance gate 10 .

입장 코드는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90)로부터 출력되는 입장 코드를 입장 게이트(10)의 감지기에 갖다 대면, 입장 게이트(10)는 입장 코드를 확인하고 가로막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감지된 입장 코드가 정당한 것으로 판별되면, 입장 게이트(10)는 입장 경로로부터 가로막을 도피시키고, 사용자는 입장 경로를 통해 상점 안으로 입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상점에 입장한 사용자에게 토큰 정보와 연계된 장바구니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해당 장바구니 코드는 현실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90)에 부여되거나, 상점에서 제공하고 사용자가 끌고 다니는 카트 등에 부여될 수 있다.The access code may include a barcode, a quick response (QR) code, and the like. When the user applies the access code output from the terminal 90 to the sensor of the entrance gate 10, the access gate 10 can check the access code and determine whether the barrier is opened or closed. If the detected access code is determined to be valid, the access gate 10 withdraws the barrier from the access path, and the user can enter the store through the access path.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grant a shopping cart code associated with token information to a user who has entered the store. The corresponding shopping cart code may be actually assigned to the terminal 90 of the user, or may be assigned to a cart provided by a store and carried by the user.

상점에 입장한 사용자는 상품을 선택하고 퇴장 경로를 이용해 상점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A user entering the store may select a product and exit the store using an exit path.

퇴장 경로에 마련된 퇴장 게이트(20)는 장바구니 코드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카트에 담긴 상품을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등을 이용해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의 상품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퇴장 게이트(20)는 특정 사용자의 장바구니 코드와 특정 사용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를 매칭시킬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특정 장바구니 코드에 연계된 특정 토큰 정보와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를 결제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일반 포스 결제기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으므로, 별다른 무리없이 상품에 대한 결제, 정산을 진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퇴장 게이트(20)는 관리 서버(100)를 대신하여 결제 서버(200)에 토큰 정보와 상품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The exit gate 20 provided on the exit route may detect a shopping cart code and detect products carried by the user or contained in the cart us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or the like. In order to prevent mixing with products of other users, the exit gate 20 may match a shopping cart code of a specific user with a product code of a specific product purchased by the specific user.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transmit specific token information linked to a specific shopping cart code and a product code of a specific product to the payment server 200 . Since the payment server 200 can obtain the same information as the pay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neral POS payment machine, it can proceed with payment and settlement for products without any difficulty. In some cases, the exit gate 20 may transmit token information and product codes to the payment server 200 instead of the management server 100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에 키오스크(30)를 통해 카드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는 퇴장시 상품을 일일이 계산대에서 꺼내어 리더기에 찍는 등의 정산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냥 퇴장 게이트(20)를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에 키오스크(30)를 통해 입력된 결제 카드의 정보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만 상점에 입장할 수 있다. 상점에 입장한 사용자는 상품을 골라서 소지하거나 카트에 담은 후 별다른 상품 정산 절차 없이 퇴장 게이트(20)를 통해서 상점을 그대로 빠져나올 수 있다. 키오스크(30)를 통해 입수된 결제 카드의 정보에 기반한 토큰 정보는 설정 시간 동안 관리 서버(10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설정 시간 동안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토큰 정보는 사용자가 상품을 퇴장할 때의 상품 결제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설정 시간 이내라면, 상점에서 퇴장한 사용자는 키오스크(30)에 대한 결제 카드의 투입을 반복하지 않고도 기발급된 입장 코드를 이용해 상점에 재입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점에 입장한 상태에서 토큰 정보가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점에 입장하면 토큰 정보의 저장 시간의 흐름이 일시 정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점에서 퇴장하면 토큰 정보의 저장 시간의 흐름이 다시 플레이되고 저장 시간이 차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user who has provided card information through the kiosk 30 in advance can pass through the exit gate 20 without going through a settlement process such as taking products out of the cashier and stamping them on a reader when leaving.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nly users who can pay through payment car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iosk 30 in advance can enter the store. After entering the store, the user can select and carry a product or put it in a cart, and then exit the store as it is through the exit gate 20 without a separate product settlement procedure. Token information based on payment car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kiosk 30 may b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like for a set time. Toke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during the set time can be used for product payment when the user leaves the product. Meanwhile, within the set time, the user who has left the store can re-enter the store using the previously issued entry code without repeating the insertion of the payment card into the kiosk 30 . In order to prevent token information from being destroyed while the user enters the store, the flow of storage time of the token information may be temporarily stopped when the user enters the store. When the user leaves the store, the flow of storage time of the token information may be played again and the storage time may be deducted.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nagement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리 서버(100)는 제1 획득부(110), 제2 획득부(120), 입장부(130), 코드부(150), 결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include a first acquisition unit 110, a second acquisition unit 120, an entry unit 130, a code unit 150, and a payment unit 170.

제1 획득부(110)는 결제 카드의 토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결제 카드의 토큰 정보는 결제 카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결제 서버(2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제1 획득부(110)는 결제 서버(200)로부터 토큰 정보를 획득하거나, 결제 서버(200)로부터 토큰 정보를 제공받는 키오스크(30)로부터 토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토큰 정보는 결제에 필요한 필수 정보(카드 번호, 유효 기간 등)이 포함(암호화)된 일회용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큰 정보는 설정 기간동안 결제 서버(200) 또는 관리 서버(100)에 저장되고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acquisition unit 110 may acquire token information of a payment card. The payment card toke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the payment server 200 based on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The first acquisition unit 110 may acquire token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server 200 or obtain token information from the kiosk 30 receiving token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server 200 . The token information may include a one-time virtual card number including (encrypted) essential information (card number, expiration date, etc.) required for payment. Token information may be stored and used in the payment server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100 during the setting period.

제2 획득부(120)는 토큰 정보에 매칭되는 단말기(90)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90) 정보는 휴대폰(셀룰러폰)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acquisition unit 120 may acquire terminal 90 information matching the token information. Terminal 90 inform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cellular phone) phone number and the like.

입장부(130)는 토큰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이 마련된 상점의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입장부(130)에 의해 상점에는 토큰 정보가 부여된 사용자만 입장 가능할 수 있다.The entrance unit 130 may allow entry of a store where products are prepared using token information. Only users who have been given token information can enter the store by the admission unit 130 .

일 예로, 입장부(130)는 제1 획득부(110)를 통해 토큰 정보가 획득되면, 토큰 정보에 매칭되는 단말기(90)에 입장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oken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the first acquisition unit 110, the admission unit 130 may transmit an access code to the terminal 90 that matches the token information.

코드부(150)는 상품이 마련된 상점에 입장한 사용자(사용자의 단말기(90) 포함)에게 토큰 정보와 연계된 장바구니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The code unit 150 may assign a shopping cart code associated with token information to a user (including the user's terminal 90) who has entered a store where products are provided.

결제부(170)는 사전 획득된 토큰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가격을 결제하거나 정산할 수 있다.The payment unit 170 may pay or settle the price of a product using pre-obtained token information.

결제부(170)는 특정 사용자가 상점으로부터 퇴장할 때, 특정 사용자의 토큰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가 구입한 상품의 가격을 자동으로 결제할 수 있다. 결제부(170)에 의해 수행되는 결제는, 토큰 정보를 생성한 결제 서버(200)에 토큰 정보와 함께 상품의 가격 또는 상품 코드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When a specific user leaves the store, the payment unit 170 may automatically pay for a product purchased by the specific user using toke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The payment performed by the payment unit 170 may include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a product price or product code along with token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200 that generated the token information.

일 예로, 결제부(170)는 장비구나 코드와 함께 상품에 부여된 상품 코드가 입수되면,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의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 결제부(170)는 산정된 상품의 가격과 토큰 정보를 결제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yment unit 170 may calculate the price of the product using the product code when obtaining a product code assigned to the product together with the equipment or code. The payment unit 170 may transmit the calculated product price and token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200 .

도 3은 본 발명의 키오스크(3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kiosk 3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품이 마련된 상점 주변에 설치된 키오스크(30)에는 입수 수단(31), 송신 수단(35), 수신 수단(37), 입력 수단(33), 제공 수단(39)이 마련될 수 있다.An acquisition means 31, a transmission means 35, a reception means 37, an input means 33, and a provision means 39 may be provided in the kiosk 30 installed around the store where products are prepared.

입수 수단(31)은 결제 카드의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입수 수단(31)은 결제 카드의 정보를 스캔하는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quisition unit 31 can obtain payment card information. The acquisition means 31 may include a reader that scans the information of the payment card.

송신 수단(35)은 결제 카드의 정보를 결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35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ayment card to the payment server 200 .

수신 수단(37)은 결제 카드의 정보 제공에 대한 답변으로 결제 서버(200)로부터 토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수단(35) 및 수신 수단(37)은 결제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는 각종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37 may receive token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server 200 as a response to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provision. The transmitting unit 35 and the receiving unit 37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ayment server 200 .

입력 수단(33)은 입수 수단(31)에 결제 카드의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단말기(90)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 수단(33)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33 may receive input of terminal 90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provided payment card information to the acquisition unit 31 . The input unit 33 may include a button operated by a user, a touch pad, and the like.

제공 수단(39)은 제1 획득부(110)에 토큰 정보를 제공하고, 제2 획득부(120)에 단말기(90)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 수단(39)은 제1 획득부(110) 및 제2 회득부가 마련된 관리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unit 39 may provide token information to the first acquisition unit 110 and terminal 90 information to the second acquisition unit 120 . The providing unit 39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100 provided with the first acquisition unit 110 and the second acquisition unit.

도 4는 본 발명의 퇴장 게이트(2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it ga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퇴장 게이트(20)에는 제1 감지 수단(21), 제2 감지 수단(22), 구분 수단(23)이 마련될 수 있다.A first detecting unit 21, a second detecting unit 22, and a distinguishing unit 23 may be provided at the exit gate 20.

제1 감지 수단(21)은 장바구니 코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장바구니 코드는 입장 코드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감지 수단(21)은 입장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QR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퇴장하면서 단말기(90)에 표시되는 입장 코드를 제1 감지 수단(21)에 갖다 대는 동작만으로 별도의 수동 상품 정산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퇴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장바구니 코드는 카트 등에 설치된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감지 수단(21)은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tecting means 21 can detect the shopping cart code. For example, the shopping cart code may be the same as the entry code. In this case, the first detecting unit 21 may include a QR reader or barcode reader capable of recognizing an entry code. While exiting, the user can omit a separate manual product settlement process and leave immediately, simply by applying the entry code displayed on the terminal 90 to the first detecting means 21 . As another example, the shopping cart code may include an RFID tag installed on the cart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first detecting unit 21 may include an RFID reader capable of recognizing an RFID tag.

제2 감지 수단(22)은 상품 코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각 상품에 RFID 태그가 마련된 경우, 제2 감지 수단(22)은 RFID 태그와 통신할 수 있는 RFID 수신기 또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tecting means 22 can detect the product code. For example, when an RFID tag is provided for each product, the second sensing unit 22 may include an RFID receiver or an RFID read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FID tag.

구분 수단(23)은 복수의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The distinguishing means 23 can distinguish a plurality of users.

구분 수단(23)에 따르면, 특정 상품이 제1 사용자의 것인지 제2 사용자의 것인지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분 수단(23)은 특정 상품 코드의 발원지와 가장 가까운 장바구니 코드의 발원지를 하나로 묶고, 다른 장바구니 코드, 다른 상품 코드와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이 제1 사용자에 의해 결제되는 이상 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tinguishing unit 23, whether a specific product is a first user's product or a second user's product can be discriminated. For example, the distinguishing unit 23 may group the origin of a specific product code and the origin of the nearest shopping cart code into one, and distinguish them from other shopping cart codes and other product cod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 abnormal operation in which a product purchased by a second user is paid by a first user can be prevented.

구분 수단(23)에 의해 특정 사용자에게 부여된 특정 장바구니 코드와 특정 사용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가 서로 매칭될 수 있다.A specific shopping cart code assigned to a specific user by the distinguishing unit 23 and a product code of a specific product purchased by the specific user may be matched with each other.

결제부(170)는 특정 장바구니 코드에 연계된 특정 토큰 정보와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를 결제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payment unit 170 may transmit specific token information linked to a specific shopping cart code and a product code of a specific product to the payment server 200 .

본 발명의 결제 장치는 키오스크(30), 입장 게이트(10), 퇴장 게이트(20), 관리 서버(100), 결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결제 장치는 이보다 작은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pay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kiosk 30 , an entrance gate 10 , an exit gate 20 , a management server 100 , and a payment server 200 . Alternatively, the pay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as a smaller concept.

일 예로, 관리 서버(100)가 본 발명의 결제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correspond to the pay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예로, 상점에 외형적으로 존재하는 키오스크(30), 입장 게이트(10), 퇴장 게이트(20)가 결제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 장치는 입수 수단(31), 송신 수단(35), 수신 수단(37), 입력 수단(33), 제공 수단(39), 입장 게이트(10), 퇴장 게이트(2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kiosk 30, an entrance gate 10, and an exit gate 20 externally present in a store may correspond to payment devices. In this case, the payment device may include an acquisition unit 31, a transmission unit 35, a reception unit 37, an input unit 33, a provision unit 39, an entrance gate 10, and an exit gate 20. can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수 수단(31)은 사용자의 결제 카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btaining unit 31 can obtain the user's payment card information.

송신 수단(35)은 결제 카드 정보를 결제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35 may transmit payment card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200 .

수신 수단(37)은 결제 카드의 정보 제공에 대한 답변으로 결제 서버(200)로부터 결제 카드의 정보에 대응되는 토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37 may receive tok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provision.

입력 수단(33)은 입수 수단(31)에 결제 카드의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단말기(90)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33 may receive input of terminal 90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provided payment card information to the acquisition unit 31 .

제공 수단(39)은 상점에 입장할 수 있는 입장 코드를 발급하는 관리 서버(100)에 토큰 정보와 단말기(90)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The provision unit 39 may provide both token information and terminal 90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that issues an access code for entering the store.

입장 게이트(10)는 상점의 입구에 설치되고, 입장 경로를 개폐할 수 있다.The entrance gate 1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store and can open and close the entrance path.

입장 게이트(10)는 물리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제1 모드, 사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The entrance gate 10 may operate in one of a first mode that physically allows the user's entry and a second mode that restricts the user's entry.

입장 게이트(10)는 기본적으로 제2 모드로 동작하고, 단말기(90)로부터 출력되는 입장 코드가 인식된 경우에 한하여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entrance gate 10 basically operates in the second mode, and can operate in the first mode only when the access code output from the terminal 90 is recognized.

퇴장 게이트(20)는 상점의 출구에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퇴장 게이트(20)는 퇴장 경로를 개폐할 수 있다. 상점의 결제 혼잡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퇴장 게이트(20)는 항상 퇴장 경로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퇴장 게이트(20)는 제1 감지 수단(21)과 제2 감지 수단(22)의 감지 가능 범위를 거쳐가도록 퇴장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exit gate 20 may be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store. In some cases, the exit gate 20 may open and close the exit path. In order to minimize payment congestion in the store, the exit gate 20 may always keep the exit route open. However, the exit gate 20 may form an exit path to pass through the detectable ranges of the first detection unit 2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2 .

퇴장 게이트(20)는 상점에 입장한 사용자가 상점으로부터 퇴장할 때, 상점에 입장할 당시에 사용자에게 부여된 장바구니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The exit gate 20 may extract a shopping cart code given to the user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tore when the user who has entered the store leaves the store.

퇴장 게이트(20)는 장바구니 코드에 연계된 특정 토큰 정보를 사용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와 함께 관리 서버(100) 또는 결제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exit gate 20 may transmit specific token information linked to the shopping cart code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payment server 200 together with the product code of a specific product purchased by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ay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결제 방법은 도 1의 결제 장치 또는 도 2의 결제 장치(관리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payment method shown in FIG. 5 may be performed by the payment device of FIG. 1 or the payment device (management server 100) of FIG. 2 .

결제 방법은 제1 획득 단계(S 510), 제2 획득 단계(S 520), 전송 단계(S 530), 결제 단계(S 5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yment method may include a first acquisition step (S 510), a second acquisition step (S 520), a transmission step (S 530), and a payment step (S 540).

제1 획득 단계(S 510)는 상점의 상품 가격을 결제하는 결제 서버(200) 또는 상점 주변에 설치된 키오스크(30)로부터 사용자의 결제 카드의 토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획득 단계(S 510)는 관리 서버(100)의 제1 획득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first acquisition step ( S510 ), token information of the user's payment card may be acquired from the payment server 200 that pays for product prices in the store or the kiosk 30 installed around the store. The first acquisition step (S 510)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acquisition unit 110 of the management server 100.

제2 획득 단계(S 520)는 사용자의 단말기(90)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획득 단계(S 520)는 관리 서버(100)의 제2 획득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second acquisition step (S520), information about the user's terminal 90 may be obtained. The second acquisition step (S 520)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acquisition unit 120 of the management server 100.

전송 단계(S 530)는 토큰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의 단말기(90)에 입장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단계(S 530)는 관리 서버(100)의 입장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transmission step (S530), when the token information is acquired, an access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terminal 90. The transmission step (S530) may be performed by the admission unit 130 of the management server 100.

결제 단계(S 540)는 퇴장 게이트(20)로부터 장바구니 코드에 연계된 특정 토큰 정보와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를 입수하고, 특정 토큰 정보와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를 결제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결제 단계(S 540)에 따르면, 결제 서버(200)에서 특정 토큰 정보가 나타내는 결제 카드에 대해 특정 상품의 결제 또는 정산이 수행될 수 있다. 결제 단계(S 540)는 결제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payment step (S540), specific token information linked to the shopping cart code and product code of a specific product may be obtained from the exit gate 20 and the specific token information and product code of the specific product may be transmitted to the payment server 200. . According to the payment step (S540), payment or settlement of a specific product may b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payment card indicated by the specific token information in the payment server 200. The payment step (S540) may be performed by the payment unit 17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devices and/or methods described so far,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입장 게이트 20...퇴장 게이트
21...제1 감지 수단 22...제2 감지 수단
23...구분 수단 30...키오스크
31...입수 수단 33...입력 수단
35...송신 수단 37...수신 수단
39...제공 수단 90...단말기
100...관리 서버 110...제1 획득부
120...제2 획득부 130...입장부
150...코드부 170...결제부
200...결제 서버
10...entry gate 20...exit gate
21...first sensing means 22...second sensing means
23 ... Separation means 30 ... Kiosk
31...Intake means 33...Input means
35 ... transmission means 37 ... reception means
39...providing means 90...terminal
100 ... management server 110 ... first acquisition unit
120 ... second acquisition unit 130 ... entrance unit
150 ... code part 170 ... payment part
200...Payment Server

Claims (10)

결제 카드의 토큰 정보를 획득하는 제1 획득부;
사전 획득된 상기 토큰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가격을 결제하는 결제부;
를 포함하는 결제 장치.
a first acquiring unit acquiring token information of a payment card;
a payment unit for paying a price of a product using the pre-obtained token information;
A payment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이 마련된 상점의 입장을 허용하는 입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입장부에 의해 상기 상점에는 상기 토큰 정보가 부여된 사용자만 입장 가능하며,
상기 결제부는 특정 사용자가 상기 상점으로부터 퇴장할 때, 상기 특정 사용자의 토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가 구입한 상품의 가격을 자동으로 결제하는 결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ntrance unit is provided to allow entry of the store where the product is prepared using the token information;
Only users who have been given the token information can enter the store by the entrance unit,
The payment unit automatically pays for a price of a product purchased by the specific user using the toke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when the specific user exits the store.
제1항에 있어서,
제2 획득부, 입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획득부는 상기 토큰 정보에 매칭되는 단말기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입장부는 상기 제1 획득부를 통해 상기 토큰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토큰 정보에 매칭되는 단말기에 입장 코드를 전송하는 결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acquisition unit and an entrance unit are provided,
The second obtaining unit acquires terminal information matching the token information,
The payment device for transmitting an access code to a terminal matching the token information when the admission unit obtains the token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acquisi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마련된 상점 주변에 설치되는 키오스크가 마련되고,
상기 키오스크에는 입수 수단, 송신 수단, 수신 수단, 입력 수단, 제공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입수 수단은 상기 결제 카드의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결제 카드의 정보를 결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결제 카드의 정보 제공에 대한 답변으로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토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입수 수단에 상기 결제 카드의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공 수단은 상기 제1 획득부에 상기 토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획득부에 상기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kiosk installed around a store where the product is provided is provided,
The kiosk is provided with an acquisition means, a transmission means, a reception means, an input means, and a provision means,
The acquisition means obtains the information of the payment card,
The transmission means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payment card to a payment server;
The receiving means receives token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server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provision of the payment card;
The input unit receives terminal information of a user who provided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to the acquisition unit,
wherein the providing means provides the token information to the first acquisition unit and provides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second acquisi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마련된 상점의 입구에 설치되는 입장 게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입장 게이트는 물리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제1 모드, 상기 사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며,
상기 입장 게이트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입장 코드가 인식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결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n entrance gate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store where the product is provided,
The entrance gate operates in one of a first mode that physically allows the user's entry and a second mode that restricts the user's entry,
The payment device basically operates in the second mode, and operates in the first mode only when the access code output from the terminal is recogniz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상기 토큰 정보를 생성한 결제 서버에 상기 토큰 정보와 함께 상기 상품의 가격을 전송하는 결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yment unit transmits the price of the product together with the token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that generated the toke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마련된 상점에 입장한 사용자에게 상기 토큰 정보와 연계된 장바구니 코드를 부여하는 코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제부는 상기 장바구니 코드와 함께 상기 상품에 부여된 상품 코드가 입수되면, 상기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며,
상기 결제부는 산정된 상기 상품의 가격과 상기 토큰 정보를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결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de unit is provided for granting a shopping cart code associated with the token information to a user who has entered a store where the product is provided;
When the product code assigned to the product is obtained along with the shopping cart code, the payment unit calculates the price of the product using the product code;
The payment unit transmits the calculated price of the product and the token information to a payment serv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마련된 상점의 출구에 설치되는 퇴장 게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퇴장 게이트에는 상기 장바구니 코드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수단, 상기 상품 코드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수단, 복수의 사용자를 구분하는 구분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구분 수단에 의해 특정 사용자에게 부여된 특정 장바구니 코드와 상기 특정 사용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가 서로 매칭되고,
상기 결제부는 상기 특정 장바구니 코드에 연계된 특정 토큰 정보와 상기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를 상기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결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7,
An exit gate is provided at the exit of the store where the product is provided;
A firs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shopping cart code, a secon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oduct code, and a distinguishing means for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users are provided at the exit gate;
A specific shopping cart code assigned to a specific user by the distinguishing means and a product code of a specific product purchased by the specific user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he payment unit transmits specific token information linked to the specific shopping cart code and product code of the specific product to the payment server.
사용자의 결제 카드 정보를 입수하는 입수 수단;
상기 결제 카드 정보를 결제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상기 결제 카드의 정보 제공에 대한 답변으로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카드의 정보에 대응되는 토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입수 수단에 상기 결제 카드의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은 입력 수단;
상점에 입장할 수 있는 입장 코드를 발급하는 관리 서버에 상기 토큰 정보와 상기 단말기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제공 수단;
상기 상점의 입구에 설치되는 입장 게이트;
상기 상점의 출구에 설치되는 퇴장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장 게이트는 물리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제1 모드, 상기 사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며,
상기 입장 게이트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입장 코드가 인식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퇴장 게이트는 상기 상점에 입장한 사용자가 상기 상점으로부터 퇴장할 때, 상기 상점에 입장할 당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장바구니 코드를 추출하며,
상기 퇴장 게이트는 상기 장바구니 코드에 연계된 특정 토큰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의 상품 코드와 함께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결제 장치.
obtaining means for obtaining user's payment card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to a payment server;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ok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server in response to the provision of the payment card information;
an input means for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provided information of the payment card to the acquisition means;
a provision means for providing both the toke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that issues an access code for entering the store;
an entrance gat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store;
Including; exit gate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store,
The entrance gate operates in one of a first mode that physically allows the user's entry and a second mode that restricts the user's entry,
The entrance gate basically operates in the second mode, and operates in the first mode only when the access code output from the terminal is recognized;
The exit gate extracts a shopping cart code given to the user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tore when the user who has entered the store leaves the store;
The payment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exit gate transmits specific token information linked to the shopping cart code to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payment server along with a product code of a specific product purchased by the user.
결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점의 상품 가격을 결제하는 결제 서버 또는 상점 주변에 설치된 키오스크로부터 사용자의 결제 카드의 토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토큰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장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 방법.
In the payment method performed by the payment device,
obtaining token information of a user's payment card from a payment server that pays for product prices in a store or a kiosk installed around the store;
obtain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user;
If the token information is obtained, transmitting an access code to the user's terminal;
Payment method including.
KR1020210084899A 2021-06-29 2021-06-29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 KR1026120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99A KR102612033B1 (en) 2021-06-29 2021-06-29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99A KR102612033B1 (en) 2021-06-29 2021-06-29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46A true KR20230001846A (en) 2023-01-05
KR102612033B1 KR102612033B1 (en) 2023-12-07

Family

ID=8492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899A KR102612033B1 (en) 2021-06-29 2021-06-29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03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144A (en)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 of vending machine
KR20190019453A (en) 2017-08-17 2019-02-27 (주) 이니스프리 Automatic payment apparatus for costmetic and unmanned cosmetic shop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00023990A (en)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of payment for unattended store
KR20210015277A (en) * 2019-08-01 2021-02-10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KR20210023438A (en)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스마트로 A method of paying in unmanned store and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144A (en)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 of vending machine
KR20190019453A (en) 2017-08-17 2019-02-27 (주) 이니스프리 Automatic payment apparatus for costmetic and unmanned cosmetic shop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00023990A (en)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of payment for unattended store
KR20210015277A (en) * 2019-08-01 2021-02-10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KR20210023438A (en)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스마트로 A method of paying in unmanned store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033B1 (en)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1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transactions
KR101078173B1 (en) Assured payment system using mobile phones and the payment system, payment methods using
US11756039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payment system, payment system, and cash register system
EP3109838A1 (en) Mobile device based digital wallet for retail shopping, related system and method
US20100153269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facing a multi-card radio frequency (rf) device with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106934933A (en) Self-service vending method and system
KR20180014252A (en)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program, checkpoint management system, and checkpoint management method
US20190114605A1 (en) Point-of-sale pay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US9836627B2 (en) Event based interrogation zone tracking system for product samples
WO2014077444A1 (en) Online payment method for face-to-face transactions
JP2014513825A5 (en)
KR20130135615A (en) Self settl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15641125A (en) Trade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commodity without scanning bar code or code
KR202300018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
EP2577594A1 (en) Contactless validation method and apparatus
EP2680206A2 (en) Secure pay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US20200387875A1 (en) Store management system, electronic receipt system, and store management method
Wójtowicz et al. Face-based Passive Customer Identification Combined with Multimodal Context-aware Payment Authorization: Evaluation at Point of Sale.
US20190097803A1 (en) Encrypted reverse biometric token validation
JP7433490B2 (en) Payment Method
KR101757762B1 (en) Server for accumulating small change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accumulating small change using the same
KR1025327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using encrytion key in unmanned store
KR20130057929A (en) Merchant to automatically recognize method in assured payment system using mobile phones
KR101754134B1 (en) Reserving apparatus for the change
WO2020026456A1 (en) Server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