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277A -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277A
KR20210015277A KR1020190093888A KR20190093888A KR20210015277A KR 20210015277 A KR20210015277 A KR 20210015277A KR 1020190093888 A KR1020190093888 A KR 1020190093888A KR 20190093888 A KR20190093888 A KR 20190093888A KR 20210015277 A KR20210015277 A KR 2021001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product
recognition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3347B1 (en
Inventor
신재규
황준석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93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347B1/en
Publication of KR2021001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2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6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security or operator identification provisions, e.g. password en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store relay system comprises: a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from a recognition terminal, recognition information of a user obtained by the recognition terminal of a smart store recognizing the user; a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storing th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gate management unit for controlling an entrance gate and an exit gate so that the user can enter or exit using th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product management unit which recognizes a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and generate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and a seco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which provide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to a cloud POS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yment processing for the selected product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Description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Smart store relay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본 발명은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tore relay system and method.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편의시설 및 상점(편의점, 소형마켓, 대형마켓)은 이용자가 편의시설 내부에 배치된 POS 기기를 이용하여 현금이나 신용카드로 상품의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In general, convenience facilities and stores (convenience stores, small markets, and large markets) that purchase products offline allow users to pay for the product with cash or credit card using a POS device disposed inside the convenience facility.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소비자층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삼성페이와 같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개발되어 상품을 구매하려는 이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s the consumer base of smartphones rapidly increases, a mobile payment service using a smartphone such as Samsung Pay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who want to purchase products.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이러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마그네틱 보안전송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마그네틱 신용카드의 정보를 전송하여 결제하는 방식이므로, 기존 현금과 신용카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POS 기기를 통해 결제해야 하는 한계점이 존재하고 있다.Since such a mobile payment service is a method of wirelessly transmitting magnetic credit card information using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to make paymen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payment through a POS device is required in the same manner as existing cash and credit cards.

다시 말해, 오프라인의 편의시설 및 상점은 반드시 POS 기기와 같은 결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므로, 이는 상품의 판매자로 하여금 결제수단 설치비용 및 인건비와 같은 상점 운영 및 유지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offline convenience facilities and stores must have a payment method such as a POS device, this has a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store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such as payment method installation cost and labor cost for the seller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편의시설에서 POS 기기와 같은 결제수단 및 판매점원 없이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 a smart store relay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process payment of a product selected by a user without a payment method such as a POS device and a sales clerk at a convenience facility. I want to.

또한, 이용자가 편의시설에서의 상품을 구매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mart store relay system that can shorten the time for users to purchase products at convenience facilities.

또한, 이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특정 편의시설 내의 새로운 상품의 입고를 도울 수 있는 스마트 선반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mart store relay system based on a smart shelf that can help the stock of new products in a specific convenience facility by identifying the needs of us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은 스마트 스토어의 인식 단말기가 이용자를 인식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제 1 정보 통신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인증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 또는 퇴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관리부;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관리부; 및 클라우드 POS 서버에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정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mart store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recognizing the user by the recognition terminal of the smart store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A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stor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n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 gate management unit controlling an entrance gate and an exit gate so that the user can enter or exit us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 product management unit that recognizes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and generate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And a seco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that provide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to the cloud POS server.

또한, 상기 스마트 스토어는 이용자 단말기가 이용자로부터 획득한 식별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이용자로부터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 단말기; 상기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허용하는 입구 게이트; 상기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퇴장을 허용하는 출구 게이트; 상품이 진열되는 스마트 선반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mart store may include a recognition terminal that scans the identification code obtained from the user by the user terminal and obtain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 entrance gate allowing the user to enter the smart store; An exit gate allowing the user to exit the smart store; It includes a smart shelf on which products are displayed.

또한,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결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주 결제 수단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checks whether a payment method is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and if the payment method is registered, selects one of the payment methods as the main payment method, and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payment method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스마트 선반은 판매용 스마트 선반 및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상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카메라와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 단말기는 상기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1 인식 단말기, 상기 출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2 인식 단말기, 상기 판매용 스마트 선반에 설치되는 제 3 인식 단말기 및 상기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에 설치되는 제 4 인식 단말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mart shelf includes a smart shelf for sale and a smart shelf for returns, and includes a camera that recognizes the barcode of the product and a weight sensor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product, and the recognition terminal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gate. And a first recognition terminal, a second recogni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exit gate, a third recognition terminal installed on the sales smart shelf, and a fourth recognition terminal installed on the return-only smart shelf.

또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1 인식 단말기로부터 스캐닝된 식별코드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멤버십 회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등록부는 상기 이용자가 멤버십 회원이면,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매장 진입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입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scann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checks whether the user is a membership memb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registers the information If the user is a membership member, the department generates store entry information by matching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gate management unit may control the entrance gate to be opened whe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is generated.

또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3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판매용 스마트 선반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third recogni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and the product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Upon authentication, the door of the smart shelf for sale is unlocked,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is recognized using a camera and a weight sensor, and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duct is generated.

또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2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식별코드와 이용자 신원 정보를 포함하는 퇴점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퇴점 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출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recogni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and the gate management unit i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Upon authentication, exit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when the exit comple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exit gate may be controlled to open.

또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제 2 정보 통신부로부터 상기 퇴점 완료 정보와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퇴점 완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한다.In addition, the cloud POS server receives the exit comple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generates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first user based on the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completes the exit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a payment authentication code of the main payment method is obtained from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added using the payment authentication code. Pay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the included product.

또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ud POS server may provide first payment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products paid by an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4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 1 결제내역 정보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제 1 결제내역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반품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반품된 상품에 대응하는 반품 거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반품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반품된 상품을 제외한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recogni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and when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rst payment history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the product management unit unlocks the door of the return-only smart shelf when the first payment history information is retrieved, and the user After recognizing the returned product by using a camera and a weight sensor, return transa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urned product is generated, and secon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excluding the returned product is generated based on the return transaction information. do.

또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제 2 정보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결제를 취소하고, 상기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ud POS server receives the secon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generates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second user based on the secon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generates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user. Cancel the payment of the included product, obtain a payment authentication code of the main payment method from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and use the payment authentication code to the second Payment can be made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the product included in the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user.

또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loud POS server provides second payment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products paid by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요청 단말기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하여 생성된 요청 상품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재고부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미판매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selected and generated by the user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compares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displayed on the smart shelf, and if they match, generates inventory shortage information, When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displayed on the smart shelf and is inconsistent, unsold produc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생성한다.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collects the unsold product information for a preset time and, when exceeding a preset reference value, generates a product warehousing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또한, 스마트 스토어 중계방법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퇴장할 수 있도록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store relay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controlling an entrance gate so that the user can enter by us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and generating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And controlling the exit gate so that the user can exit by us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은 편의시설에서 POS 기기와 같은 결제수단 및 판매점원 없이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mart store relay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utomatically process payment of a product selected by a user without a payment method such as a POS device and a sales clerk at a convenience facility.

또한, 이용자가 편의시설에서의 상품을 구매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for a user to purchase a product at a convenience facility.

또한, 이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특정 편의시설 내의 새로운 상품의 입고를 도울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needs of users and assist in the warehousing of new products in specific convenience facilit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선반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에 입장하기 위해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선반으로부터 선택한 상품의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로부터 퇴장하기 위해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store operating system based on a smart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mart store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mart st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relaying a smart st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showing a step of controlling an entrance gate for a user to enter a smart st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of a product selected from a smart shelf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teps of a user controlling an exit gate to exit a smart st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provide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ossessor,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Even if not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accepted by universal technology in the prior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by general dictionaries may be constru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related description and/or the text of this application, and not conceptualized or excessively formalized, even if not clearly defined herein. Wo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includes' and/or various conjugated forms of this verb, for example,'includes','includes','includes','includes', etc. refer to the mentioned composition, ingredient, component,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sitions, component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and/or' refers to each of the listed components or various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erms such as'~ unit','~ group','~ block', and'~ module'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may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it can mean software,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s or ASICs. However,'~bu','~gi','~block', and'~module' are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unit','~ group','~ block', and'~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refore, as an example,'~ unit','~ group','~ block', and'~ module' ar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Include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Boo','~Gi','~Block', and'~Module' include a smaller number of elements and'~Boo','~Gi','~Block. It may be combined into','~module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unit','~group','~block', and'~modu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선반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mart store operating system based on a smart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mart store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mart st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선반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기(100), 스마트 스토어(200),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 클라우드 POS 서버(400) 및 요청 단말기(50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smart store operating system based on a smart shelf is composed of a user terminal 100, a smart store 200, a smart store relay system 300, a cloud POS server 400, and a request terminal 500. .

이용자 단말기(100), 스마트 스토어(200),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및 요청 단말기(5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the smart store 200, the smart store relay system 300, the cloud POS server 400, and the requesting terminal 5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exchange information.

이용자 단말기(100)는 이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자의 멤버십 회원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품의 결제를 위한 식별코드를 획득하거나 이용자 신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check whether a user is a member of a membership through the user's application, obtain an identification code for payment of a product, or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로 입장 및 퇴장하거나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 활용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100 and may be utilized when a user enters and exits a smart store or purchases a product.

또한, 이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100 may check whether a payment method is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상기 결제 수단은 애플페이, 페이먼트, 페이팔,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케이페이, 시럽페이, T 머니, 네이버페이, SSG페이, 스마일페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SSG페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ayment method may be any one of Apple Pay, Payment, PayPal, Samsung Pay, Kakao Pay, K-Pay, Syrup Pay, T-Money, Naver Pay, SSG Pay, Smile Pay,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SG Pay. It is preferable to be.

또한, 이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으면, 결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주 결제 수단으로 선택한다.In addition, when the payment method is registered, the user terminal 100 selects one of the payment methods as the main payment method.

단,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결제 수단 설치를 위한 화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제 수단을 설치한다.However, if the payment method is not registered, it moves to the screen for installing the payment method and installs the payment method.

또한, 이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선택된 주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되는 식별코드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obtain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main payment method selected from the application. Here, the obtained identification code may exist in the form of a one-dimensional barcode or a two-dimensional barcode.

여기서, 1차원 바코드는 굵기가 서로 다른 흑백 막대가 조합되어 있으면서 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이며, 2차원 바코드는 흔히 QR코드로 불리는 형태이다.Here, the one-dimensional barcode is a barcode that includes a number while combining black and white bars of different thicknesses, and the two-dimensional barcode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QR code.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스토어(200)는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상기 이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mart store 200 may provide a product to the user after confirming the user's identity.

또한, 스마트 스토어(200)는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허용하는 입구 게이트(210), 상품이 진열되는 스마트 선반(220),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퇴장을 허용하는 출구 게이트(230) 및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식별코드를 스캐닝하고, 이용자로부터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 단말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store 200 includes an entrance gate 210 allowing a user to enter the smart store, a smart shelf 220 on which products are displayed, an exit gate 230 allowing a user to exit the smart store, and a user terminal 100. ). It may include a recognition terminal 240 that scans the identification code obtained from) and obtain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a user.

인식 단말기(240)는 상기 입구 게이트(210)에 설치되는 제 1 인식 단말기(241), 출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2 인식 단말기(242), 판매용 스마트 선반(221)에 설치되는 제 3 인식 단말기(243) 및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222)에 설치되는 제 4 인식 단말기(244)를 더 포함한다.The recognition terminal 240 includes a first recognition terminal 241 installed at the entrance gate 210, a second recognition terminal 242 installed at the exit gate, and a third recogni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smart shelf 221 for sale ( 243) and a fourth recognition terminal 244 installed on the return-only smart shelf 222 is further included.

또한, 인식 단말기(240)는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인식 정보는 안면, 지문, 동공 및 골격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와 이용자가 선택한 상기 주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식별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terminal 240 acquires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bi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face, fingerprint, pupil, and skeleton information and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main payment method selected by the user. Include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식 단말기(240)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인식 정보는 이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획득한 안면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at 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terminal 240 obtain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but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s preferably facial information obtained by recognizing the user's 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식 단말기(240)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인식 정보는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스캐닝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식별코드일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terminal 240 acquir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but the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user obtained by scanning from the user terminal 100.

다시 말해, 상기 인식 단말기(240)는 이용자로부터 식별코드와 안면 정보와 같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거나, 이용자로부터 식별코드만을 획득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ecognition terminal 240 may acquir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n identification code and facial information from the user, or may acquire only th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user.

스마트 선반(220)은 판매용 스마트 선반(221) 및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2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진열되는 상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카메라와 진열되는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shelf 220 may include a smart shelf 221 for sale and a smart shelf 222 for returns, and may include a camera that recognizes a barcode of the displayed product and a weight sensor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displayed product. have.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은 스마트 스토어(200)의 인식 단말기(240)가 이용자를 인식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인식 단말기(240)로부터 제공받는 제 1 정보 통신부(310),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 또는 퇴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관리부(320),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관리부(330),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인증부(340),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350), 및 클라우드 POS 서버(400)에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정보 통신부(360)로 구성된다.1, 2, and 3, the smart store relay system 300 transmit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recognizing the user by the recognition terminal 240 of the smart store 200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240.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10 provided, the gate management unit 320 that controls the entrance gate and the exit gate so that the user can enter or exit us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nd recognize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A product management unit 330 for generating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340 for authenticating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50 for storing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nd a cloud POS server 400 for the product. It is composed of a seco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60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product purchase.

또한,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은 이용자의 인식 정보 및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와 인식 단말기(240)로부터 제공받은 이용자의 식별코드를 매칭한 매장 진입 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자 정보 DB, 이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내역 D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store relay system 300 is a user information DB that stor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 entry information match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240, and It may include a purchase history DB that store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or a product.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위해서, 상기 제 1 인식 단말기(241)가 이용자의 식별코드를 스캐닝한 후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의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1 인식 단말기(410)로부터 스캐닝된 식별코드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340)는 상기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멤버십 회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등록부(350)는 이용자가 멤버십 회원이면,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매장 진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the user to enter the smart store, when the first recognition terminal 241 obtain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fter scanning the user's identification code,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 store relay system 300 Receiving the scann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410,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340 checks whether the user is a member of a membership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50 If the user is a membership member, store entry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matching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이후, 게이트 관리부(320)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가 생성되면, 입구 게이트(210)가 열리도록 제어한다.Thereafter, whe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gate management unit 320 controls the entrance gate 210 to be open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가 생체 정보일 경우, 이용자의 식별코드와 상기 생체 정보를 매칭한 매장 진입 정보를 이용자 정보 DB에 저장함으로써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등록한 후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biometric information, the smart store relay system 300 stores store entry information matching the user's identification code with the biometric information in the user information DB. This allows users to enter the smart store after register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가 식별코드일 경우, 인식 정보와 식별코드를 매칭할 필요없이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매장 진입 정보를 생성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n identification code, the smart store relay system 300 uses the identification code to store entry information without match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code. Generate.

다시 말해, 상기 매장 진입 정보는 이용자의 생체 정보와 식별코드가 매칭된 정보이거나 식별코드만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tore entry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are matched or information including only the identification code.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 3 인식 단말기(243)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310)는 제 3 인식 단말기(243)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340)는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제 3 인식 단말기(243)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한다.In order to detect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when the third recognition terminal 243 obtain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third recognition terminal 243 ,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340 authenticat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hird recognition terminal 243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이때, 정보 인증부(340)는 기 저장된 매장 진입 정보와 제 3 인식 단말기(243)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이용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34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previously stored store entry information with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hird recognition terminal 243 and determining whether they match.

이후, 상기 상품 관리부(330)는 판매용 스마트 선반(221)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한다.Thereafter,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30 unlocks the door of the smart shelf 221 for sale, recognizes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using a camera and a weight sensor, and then receives the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duct. Generate.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는 상품의 종류 및 상품의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 type of product and a quantity of products.

이용자의 퇴장을 위해서, 상기 제 2 인식 단말기(242)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310)는 제 2 인식 단말기(242)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340)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인식 단말기(242)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한다. In order to leave the user, when the second recognition terminal 242 obtain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recognition terminal 242, and the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340 authenticat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cond recognition terminal 242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이때, 정보 인증부(330)는 기 저장된 매장 진입 정보와 제 2 인식 단말기(242)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이용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33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previously stored store entry information with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cond recognition terminal 242 and determining whether they match.

이후, 게이트 관리부(320)는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이용자의 식별코드와 이용자 신원 정보를 포함하는 퇴점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퇴점 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출구 게이트(230)가 열리도록 제어한다.Thereafter,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the gate management unit 320 generates exit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of a user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exit comple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exit gate 230 is controlled to open. do.

바람직하게, 이용자 신원 정보는 이용자의 CI(Conneting Information)-번호일 수 있으며, 제 1 정보 통신부(310)는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이용자 신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Preferably,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user's CI (Conneting Information)-number, and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10 may receiv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이용자의 상품 반품을 위해서, 상기 제 4 인식 단말기(244)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제 1 정보 통신부(310)는 제 4 인식 단말기(244)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340)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제 4 인식 단말기(244)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한다.For the user to return the product, when the fourth recognition terminal 244 obtain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recognition terminal 244, and the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340 authenticat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ourth recognition terminal 244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이때, 정보 인증부(340)는 기 저장된 매장 진입 정보와 제 4 인식 단말기(244)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이용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34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previously stored store entry information with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ourth recognition terminal 244 and determining whether they match.

또한, 상기 정보 인증부(340)는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자의 제 1 결제내역 정보 유무를 판단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340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s first payment detail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100.

이후, 상기 상품 관리부(330)는 상기 제 1 결제 내역 정보가 검색되면,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222)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이용자에 의해 반품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반품된 상품에 대응하는 반품 거래 정보를 생성한다.Thereafter, when the first payment details information is retrieved,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30 unlocks the door of the return-only smart shelf 222, and recognizes the product returned by the user using a camera and a weight sensor. Generates return transa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urned product.

또한, 상기 상품 관리부(330)는 상기 반품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반품된 상품을 제외한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30 may generate secon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excluding the returned product based on the return transaction informatio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용자의 무인 결제 처리를 위하여,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제 2 정보 통신부(360)로부터 퇴점 완료 정보와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for the user's unattended payment processing, the cloud POS server 400 receives exit completion information and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60, and receives the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generated.

이때,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는 제 1 상품 구매 정보에 포함된 상품 정보와 함께 상품의 가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first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user may further include a price of a product together with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후,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퇴점 완료 정보에 포함된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한다.Thereafter, the cloud POS server 400 obtains the payment authentication code of the main payment method from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100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exit completion information.

또한,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ud POS server 400 may pay by calculating an amount of a product included in the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first user using a payment authentication code.

더하여,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loud POS server 400 provides first payment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goods paid by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100.

이용자의 무인 반품 결제 처리를 위하여,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제 2 정보 통신부(360)로부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order to process the user's unattended return payment, the cloud POS server 400 receives secon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60, and generates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second user based on the secon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can do.

이후,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결제를 취소하고,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한다.Thereafter, the cloud POS server 400 cancels the payment of the product included in the first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pays the main payment method from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100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code. Obtain an authentication code.

또한,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ud POS server 400 may pay by calculating an amount of a product included in the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second user using a payment authentication code.

더하여,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loud POS server 400 provides second payment detail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products paid by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100.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단말기(500)는 스마트 선반(220)의 미판매 상품 여부 및 상품의 재고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용자의 요청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gain, the requesting terminal 500 may generate information about a user's requested product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shelf 220 is an unsold product and whether the product is out of stock.

또한, 상기 요청 단말기(500)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스마트 스토어(200)에서 퇴장하면,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의 생성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leaves the smart store 200, the requesting terminal 500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the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first user.

또한, 상기 요청 단말기(500)는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요청 상품을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요청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questing terminal 500 may provide a request interface that arranges and displays the requested product at a preset loca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product when the first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user does not exist.

이후, 상기 요청 단말기(500)는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요청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요청 상품에 대응하는 요청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관리부(330)로 제공한다.Thereafter, the request terminal 500 generates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product selected in the request interface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provides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30.

더하여, 상품 관리부(300)는 요청 단말기(500)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하여 생성된 요청 상품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재고부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미판매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00 receives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selected and generated by the user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500, and compares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mart shelf, and if they match, the stock is insufficient. Whe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requested product is compared with information on the product displayed on the smart shelf and is inconsistent, information on the unsold product may be generated.

또한, 상품 관리부(300)는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생성한다.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00 collects unsold product information for a preset time and, when exceeding a preset reference value, generates a product warehousing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이후, 상품 관리부(300)는 상기 상품 입고 요청을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00 may provide the product warehousing request to a manager terminal (not shown).

또한, 상품 관리부(300)는 재고부족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0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insufficient inventory to a manager terminal.

더하여, 상품 관리부(300)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된 미판매 상품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저장된 판매 불가 상품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판매 불가 상품 정보에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nsold product information collected for the preset tim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00 compares the unsold product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non-sold product information, and If the unsold product information matches, a product warehousing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may not be genera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relaying a smart st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 스토어 중계 방법(S10)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S100),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퇴장할 수 있도록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4, a smart store relay method using a smart store relay system (S10) is a step (S100) of controlling the entrance gate so that the user can enter us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Recognizing and generating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S200), and controlling the exit gate so that the user can exit us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S30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에 입장하기 위해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선반으로부터 선택한 상품의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로부터 퇴장하기 위해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 chart showing a step of controlling an entrance gate in order for a user to enter a smart st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of a product selected by a user from a smart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teps of the user controlling the exit gate to exit from the smart st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S100)는 제 1 정보 통신부(310)가 제 1 인식 단말기(241)로부터 스캐닝된 식별코드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110), 정보 인증부(340)가 상기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멤버십 회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0), 정보 등록부(350)가 이용자가 멤버십 회원이면,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매장 진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0), 및 게이트 관리부(320)가 상기 매장 진입 정보가 생성되면, 입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5, the step of controlling the entrance 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00) is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10 of the identification code scanned from the first recognition terminal 241 and the user Receiving recognition information (S110),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340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s a membership memb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S120),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50, if the user is a member, the user Generating store entry information by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S130), and controlling the entrance gate to open whe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gate management unit 320 (S140). .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0)는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310)가 제 3 인식 단말기(243)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210), 정보 인증부(340)가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S220), 상품 관리부(330)가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판매용 스마트 선반(221)의 도어를 언로킹하는 단계(S230), 및 상품 관리부(330)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6,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S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third recognition terminal 243. Step (S210), the step of authentica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340 (S220), when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by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30, the smart shelf for sale 221 ) Unlocking the door (S230), and generating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duct after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30 recognizes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using a camera and a weight sensor It includes (S24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S300)는 제 1 정보 통신부(310)가 제 2 인식 단말기(242)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310), 정보 인증부(340)가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S320), 게이트 관리부(320)가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식별코드와 이용자 신원 정보를 포함하는 퇴점 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30), 및 게이트 관리부(320)가 상기 퇴점 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출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exit 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300),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recognition terminal 242. Step (S310), the step of authentica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340 (S320),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by the gate management unit 320,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user Generating the exit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330), and when the exit comple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gate management unit 320, controlling the exit gate to be opened (S340).

이로써, 본 발명의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마트 선반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은 편의점과 같은 상품매장에서 POS 기기와 같은 결제수단 및 판매점원 없이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smart shelf-based smart store op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mart stor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process the payment of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without a payment method such as a POS device and a sales clerk at a product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

또한, 이용자가 편의시설에서의 상품을 구매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특정 매장 내의 새로운 상품의 입고를 돕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for a user to purchase a product at a convenience facility, and it is effective in helping to stock up a new product in a specific store by identifying the needs of users.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disclosed contents, and/or the skill or knowledge of the art.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describes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the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mbodiments.

100: 이용자 단말기
200: 스마트 스토어
220: 스마트 선반
240: 인식 단말기
300: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400: 클라우드 POS 서버
500: 요청 단말기
100: user terminal
200: smart store
220: smart shelf
240: recognition terminal
300: smart store relay system
400: Cloud POS server
500: request terminal

Claims (15)

스마트 스토어의 인식 단말기가 이용자를 인식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제 1 정보 통신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인증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 또는 퇴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관리부;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관리부; 및
클라우드 POS 서버에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정보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A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recognizing the user by the recognition terminal of the smart store from the recognition terminal;
A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stor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n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 gate management unit controlling an entrance gate and an exit gate so that a user can enter or exit us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A product management unit that recognizes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and generate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And
A smart store relay system including a seco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that provide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to a cloud POS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토어는,
이용자 단말기가 이용자로부터 획득한 식별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이용자로부터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 단말기;
상기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허용하는 입구 게이트;
상기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퇴장을 허용하는 출구 게이트;
상품이 진열되는 스마트 선반을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store,
A recognition terminal for scanning the identification code obtained from the user by the user terminal and obtaining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 entrance gate allowing the user to enter the smart store;
An exit gate allowing the user to exit the smart store;
A smart store relay system including a smart shelf on which products are display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결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주 결제 수단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user terminal,
Check whether a payment method is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If the payment method is registered, one of the payment methods is selected as the main payment method,
Smart store relay system for obtaining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ain payment meth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선반은,
판매용 스마트 선반 및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상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카메라와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 단말기는,
상기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1 인식 단말기, 상기 출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2 인식 단말기, 상기 판매용 스마트 선반에 설치되는 제 3 인식 단말기 및 상기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에 설치되는 제 4 인식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mart shelf,
Including a smart shelf for sale and a smart shelf for returns,
A camera that recognizes the barcode of the product and a weight sensor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product,
The recognition terminal,
Smart including a first recogni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entrance gate, a second recogni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exit gate, a third recogni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smart shelf for sale, and a fourth recogni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return-only smart shelf Store relay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1 인식 단말기로부터 스캐닝된 식별코드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멤버십 회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등록부는 상기 이용자가 멤버십 회원이면,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매장 진입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입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scann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checks whether the user is a member of a membership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If the user is a membership member,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generates store entry information by matching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The gate management unit, whe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is generated, a smart store relay system that controls to open the entrance g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3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판매용 스마트 선반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third recogni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When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the product management unit unlocks the door of the smart shelf for sale,
A smart store relay system for generating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duct after recogniz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using a camera and a weight senso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2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식별코드와 이용자 신원 정보를 포함하는 퇴점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퇴점 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출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스토어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recogni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the gate management unit generates exit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exit comple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 smart store providing system that controls to open the exit ga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제 2 정보 통신부로부터 상기 퇴점 완료 정보와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퇴점 완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cloud POS server,
Receiving the exit comple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Create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first user based on the fir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Obtaining a payment authentication code of the main payment means from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exit completion information,
A smart store relay system that calculates and pays the amount of products included in the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first user by using the payment verification co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cloud POS server,
A smart store relay system that provides first payment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products paid by an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4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 1 결제내역 정보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제 1 결제내역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반품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반품된 상품에 대응하는 반품 거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반품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반품된 상품을 제외한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recogni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tore entry information,
When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irst payment details information is present through an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The product management unit unlocks the door of the return-only smart shelf when the first payment history information is retrieved,
After recognizing the product returned by the user using a camera and a weight sensor, return transa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urned product is generated,
A smart store relay system that generates secon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excluding the returned product based on the return transaction informa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제 2 정보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결제를 취소하고,
상기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cloud POS server,
Receiving the secon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Create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second user based on the secon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Canceling the payment for the product included in the first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user,
Obtaining a payment authentication code of the main payment means from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A smart store relay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n amount of a product included in the shopping cart information for each second user using the payment authentication code and making paym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cloud POS server,
A smart store relay system that provides second payment detail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products paid by an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요청 단말기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하여 생성된 요청 상품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재고부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미판매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duct management unit,
Receiving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selected and generated by the user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When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mart shelf are compared and matched, inventory shortage information is generated,
A smart store relay system that compares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mart shelf and generates unsold product information when there is a discrepanc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생성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oduct management unit,
A smart store relay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a product stocking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when the unsold product information is collected for a preset time and exceeds a preset threshold.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퇴장할 수 있도록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방법.
Controlling the entrance gate so that the user can enter by using the user's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and generating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And
A smart store relay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an exit gate so that the user can exit by using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1020190093888A 2019-08-01 2019-08-01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KR1023333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888A KR102333347B1 (en) 2019-08-01 2019-08-01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888A KR102333347B1 (en) 2019-08-01 2019-08-01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277A true KR20210015277A (en) 2021-02-10
KR102333347B1 KR102333347B1 (en) 2021-11-30

Family

ID=7456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888A KR102333347B1 (en) 2019-08-01 2019-08-01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347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095B1 (en) * 2021-04-13 2021-12-02 주식회사 고스트패스 Payment method and payment system using user terminal
KR102347645B1 (en) * 2021-03-30 2022-01-10 유비씨엔(주) System for certification of access to unmanned stores, goods sales, and inventory management using smartphones
KR20220120841A (en) * 2021-02-24 2022-08-31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payment processing system providing simple access authentication
WO2022220570A1 (en)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고스트패스 Payment method and payment system using user terminal or dedicated terminal installed in product transfer means
KR20230001846A (en)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
KR20230050581A (en)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SYSTEM for registering payment information
KR20230055098A (en) * 2021-10-18 2023-04-25 와이폴라리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ores based on vision recogn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10B1 (en) * 2023-10-31 2024-04-01 쿠팡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190A (en) * 2014-06-26 2014-09-05 (주) 메이저피스 Mobile field payment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28394A (en) * 2014-07-01 2017-03-13 로니 헤이 Computer-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outlet and related method
KR20190083608A (en) * 2018-08-09 2019-07-12 (주) 비지에프리테일 System for selling produc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190A (en) * 2014-06-26 2014-09-05 (주) 메이저피스 Mobile field payment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28394A (en) * 2014-07-01 2017-03-13 로니 헤이 Computer-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outlet and related method
KR20190083608A (en) * 2018-08-09 2019-07-12 (주) 비지에프리테일 System for selling produc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841A (en) * 2021-02-24 2022-08-31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payment processing system providing simple access authentication
KR102347645B1 (en) * 2021-03-30 2022-01-10 유비씨엔(주) System for certification of access to unmanned stores, goods sales, and inventory management using smartphones
KR102334095B1 (en) * 2021-04-13 2021-12-02 주식회사 고스트패스 Payment method and payment system using user terminal
WO2022220570A1 (en)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고스트패스 Payment method and payment system using user terminal or dedicated terminal installed in product transfer means
KR20230001846A (en)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in unmanned stores using token information of credit or debit cards
KR20230050581A (en)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SYSTEM for registering payment information
KR20230055098A (en) * 2021-10-18 2023-04-25 와이폴라리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ores based on vision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347B1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3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KR102146058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of payment for unattended store
RU2394275C2 (en)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US11756039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payment system, payment system, and cash register system
US10380662B2 (en) Pre-verification processing
KR102286030B1 (en) Un-manned sell system and sell method using the same
US20120143760A1 (en) Internet Payment System Using Credit Card Imaging
US20140052607A1 (en) Secure pay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US20150046328A1 (en) Secured point of sale transaction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CN108564420B (en) Intelligent retail system network
CN105741451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512272B1 (en) Terminal device, service application acceptance method, program
WO2020203378A1 (en) Unattended shop system and unattended shop management method
US202300273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3646811A (en) Fee calculation and payment device and unattended shop system
US11830048B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esting and purchase of goods
US20230410231A1 (en) Accomodation management system and accomodation management apparatus
KR20210107515A (en) Mediating method for purchasing and selling item using vending machine
WO201919475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cure transactions
KR102440000B1 (en) Unmanned accommodation managing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CN113785336A (en) Fee calculation and payment device and unattended shop system
CN113646812A (en) Fee calculation and payment device and unattended shop system
KR1022542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in Traditional Market
KR102347645B1 (en) System for certification of access to unmanned stores, goods sales, and inventory management using smartphones
KR101680016B1 (en) Payment ASP System and Method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