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39U - 보조가방 - Google Patents

보조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39U
KR20230001839U KR2020220000632U KR20220000632U KR20230001839U KR 20230001839 U KR20230001839 U KR 20230001839U KR 2020220000632 U KR2020220000632 U KR 2020220000632U KR 20220000632 U KR20220000632 U KR 20220000632U KR 20230001839 U KR20230001839 U KR 202300018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g
bag
auxiliary
storage unit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예린
Original Assignee
김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예린 filed Critical 김예린
Priority to KR2020220000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839U/ko
Publication of KR20230001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12Bag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77Flexible luggage; Hand bags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one strap passing over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가방을 멘 상태에서 버클 또는 고리를 이용하여 신발주머니와 같은 보조가방을 채우게 하여 신발주머니를 손에 들지 않고 다닐 수 있도록 한 보조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보조가방(1000)은, 메인가방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보조가방부(1100)의 연결수단(1120)과 내용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슬라이드파스너(1130)를 포함하는 한편, 메인가방의 뒤쪽으로 위치하도록 밀착되되, 상기 보조가방(1000)은, 상기 보조가방부(1100)가 메인가방과 밀착되지 않는 쪽의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보조가방수납부(1200)가 고정수단(1300)을 매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가방{Auxiliary bag}
본 고안은 보조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가방을 멘 상태에서 버클 또는 고리를 이용하여 채우게 하여 신발주머니등을 손에 들지 않고 다닐 수 있도록 한 보조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생은 등하교시 책가방을 등에 메고 신발주머니는 손에 들고 다닌다. 준비물이 많으면 보조가방이 하나 추가되기도 하고, 비가 오는 날이면 다른 한 손에는 우산까지 받쳐 들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한쪽 손에 신발주머니를 들고 다른 한 손에는 빈손으로 다닐 경우 몸의 균형이 맞지 않아서 허리가 한쪽으로 휘는 척추측만증이 생길 우려도 있었다.
어린 학생들은 한 곳에 집중을 하면 다른 것은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어서 신발주머니를 집이나 학교, 도서실, 컴퓨터실 등에 두고 다니거나 잃어버리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신발주머니는 신발을 넣는 청결치 못한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책가방에 넣기에도 마땅치 않았었다.
종래 발명은, 매직테이프만을 이용하여 신발주머니를 책가방 저 면에 붙이는 방법은 매직테이프의 접착력 약화에 의해서 신발주머니가 떨어질 염려가 있었고, 지퍼를 이용하며 좌우측면에 붙이는 경우는 사용상 불편을 초래했다. 책가방의 후면 상부에 연결고리를 만들고 하면에 매직테이프를 붙이는 경우는 사용이 불편하여 일반화되지 못하였다. 책가방이나 신발주머니는 사용상 더러움을 잘 타는 특성이 있으나 자주 세탁을 할 경우 매직테이프가 쉽게 헤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지지막대가 달린 바퀴 달린 형태의 경우는 신발주머니가 머리 뒤통수에 매달리는 형태이므로 불결하며 가방 자체의 무게도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6834호 발명의 명칭 "버클 채움식 신발주머니 및 책가방"이 공지되어 있는바, 책가방을 맨 상태에서 버클을 이용하여 신발주머니를 채우도록 하여 신발주머니를 손에 들지 않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초. 중학생용 책가방의 양 측면에 암 버클을 각각 설치하고 신발주머니의 양측면에 수버클을 각각 취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발주머니는 단순히 책가방의 뒤쪽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기능만 할 뿐 다른 기능이 없어 사용하기에 아쉬움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6834호 발명의 명칭 "버클 채움식 신발주머니 및 책가방".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책가방인 메인가방의 뒤쪽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두운 길거리에서 메인가방의 뒤쪽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교통안전표시부가 불빛에 반사되어 교통사고로부터 보호되는 한편, 비가 올 때 가방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보조가방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하여 메인가방에 보관하거나 계지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된 보조가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조가방은, 메인가방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보조가방부의 연결수단과 내용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슬라이드파스너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메인가방의 뒤쪽으로 위치하도록 밀착되되, 상기 보조가방은, 상기 보조가방부가 메인가방과 밀착되지 않는 쪽의 뒤쪽보조가방면에 보조가방수납부가 고정수단을 매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가방수납부는, 상기 보조가방부를 접어서 넣을 수 있도록 수용부에 입구를 갖춘 주머니와, 상기 입구에 설치된 단추나 찍찍이 또는 슬라이드파스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 상기 보조가방부의 뒤쪽보조가방면에 구비된 단추 또는 찍찍이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결합하도록 보조가방수납부에 구비된 단추 또는 찍찍이로 이루어진 제2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조가방부의 뒤쪽보조가방면에 구비된 단추 또는 찍찍이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결합하도록 보조가방수납부에 구비된 단추 또는 찍찍이로 이루어진 제2연결부와, 상기 뒤쪽보조가방면에 보조가방수납부의 입구측 일면이 재봉으로 고정되는 제3연결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조가방수납부는, 상기 고정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면에 빛에 의해 반사가 잘 되도록 교통안전 형광 물질을 도포하거나 부착된 교통안전표시구가 구비된다.
또 상기 보조가방수납부는, 상기 보조가방부를 접어서 보조가방수납부의 입구로 넣어서 수납한 다음 메인가방에 걸어서 연결할 수 있도록 소정위치에 구비된 후크고리와, 상기 후크고리와 이웃하여 다른 물건을 걸 수 있도록 된 D형고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조가방수납부가 설치되지 않은 쪽의 보조가방부의 앞쪽보조가방면에는 우의가 수납 가능하게 우의수납부가 설치되되, 상기 보조가방부의 우의수납부에서 우의를 꺼내어 메인가방을 감싸서 메인가방이 비에 젖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가방에 의하면, 책가방인 메인가방의 뒤쪽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두운 길거리에서 메인가방의 뒤쪽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교통안전표시부가 불빛에 반사되어 교통사고로부터 보호되는 한편, 비가 올 때 가방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보조가방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하여 메인가방에 보관하거나 계지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가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조가방수납부가 뒤쪽보조가방면에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의 보조가방이 보조가방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의 보조가방수납부를 설명하는 도 7의 A - A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가방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가방(100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학생들이 사용하는 도시되지 않은 메인가방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보조가방부(1100)와, 이 보조가방부의 상측 및 하측 연결고리(1121,1122)로 이루어진 연결수단(1120)과, 내용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슬라이드파스너(1130)와,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된 어깨끈(1140)을 포함하는 한편, 메인가방의 뒤쪽으로 위치하도록 밀착되되, 상기 뒤쪽보조가방면(1110)과 앞쪽보조가방면(1140)을 포함하는 보조가방(1000)은, 상기 보조가방부(1100)가 메인가방과 밀착되지 않는 쪽의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보조가방수납부(1200)가 고정수단(1300)을 매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가방(1000)이 메인가방의 뒤쪽에 버클 또는 고리와 같은 연결수단(1120)으로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보조가방부(1100)를 접어서 넣을 수 있도록 된 보조가방수납부(1200)가 보조가방부(1100)의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고정수단(1300)을 매개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가방수납부(1200)는, 상기 보조가방부(1100)를 접어서 넣을 수 있도록 수용부(1211)에 입구(1212)를 갖춘 주머니(1210)와, 상기 입구(1212)에 설치된 단추나 찍찍이 또는 슬라이드파스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개폐수단(12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가방부(1100)를 잘 접어서 주머니(1210)의 입구(1212)로 밀어 넣고 개폐수단(1220)으로 입구(1212)를 닫게 되면 수용부(1211)에 보조가방부(1100)가 수납보관되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됨과 더불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300)은, 상기 보조가방부(1100)의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구비된 단추 또는 찍찍이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1310)와, 상기 제1연결부(1310)에 결합하도록 보조가방수납부(1200)에 구비된 단추 또는 찍찍이로 이루어진 제2연결부(13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310)를 제2연결부(1320)에 밀착결합시켜 보조가방수납부(1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조가방수납부(1200)를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밀착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보조가방수납부(1200)를 사용할 때는 상기 제1연결부(1310) 또는 제2연결부(1320)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리한 다음 보조가방수납부(1200)의 입구(1212)를 열고 보조가방부(1100)를 잘 접어서 주머니(1210)의 입구(1212)로 밀어 넣어서 보조가방(1000)을 보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300)은, 상기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보조가방수납부(1200)의 입구(1212) 측 일면이 재봉으로 고정되는 제3연결부(1330)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310)를 제2연결부(1320)에 밀착결합시켜 보조가방수납부(1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조가방수납부(1200)를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밀착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보조가방수납부(1200)를 사용할 때는 상기 제1연결부(1310) 및 제2연결부(1320)를 분리한 한쪽으로 회전시켜 보조가방부(1100)를 잘 접어서 상기 주머니(1210)의 입구(1212)로 밀어 넣어서 보조가방(1000)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가방수납부(1200)는, 상기 고정수단(1300)이 설치되지 않은 면에 빛에 의해 반사가 잘 되도록 교통안전 형광 물질을 도포하거나 부착된 교통안전표시구(1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아이들이 학교 등에서 집에 돌아가는 길이 어두운 경우에 차량의 불빛이 비추게 될 때 교통안전표시구(1230)가 불빛에 반사되면서 교통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게 된다.
또 상기 보조가방수납부(1200)는, 상기 보조가방부(1100)를 접어서 보조가방수납부(1200)의 입구(1212)로 넣어서 수납한 다음 메인가방에 걸어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소정위치에 구비된 후크고리(1240)와, 상기 후크고리와 이웃하여 다른 물건을 걸 수 있도록 된 D형고리(125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가방부(1100)를 접어 넣은 보조가방수납부(1200)가 후크고리(1240)에 의해 메인가방에 용이하게 걸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D형고리(1250)에는 별도의 열쇠뭉치나 인형등의 고리를 연결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가방수납부(1200)가 설치되지 않은 쪽의 보조가방부(1100)의 앞쪽보조가방면(1140)에는 우의가 수납된 우의수납부(126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가방부(1100)의 우의수납부(1260)에서 우의를 꺼내어 메인가방을 감싸서 메인가방이 비에 젖지 않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의를 크게 만들게 되면 갑자기 비가 올 때 학생들도 간단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보조가방 1100: 보조가방부
1110: 뒤쪽보조가방면 1120: 연결수단
1130: 슬라이드파스너 1140: 앞쪽보조가방면
1200: 보조가방수납부 1210: 주머니
1211: 수용부 1212: 입구
1220: 개폐수단 1230: 교통안전표시구
1240: 후크고리 1250: D형고리
1260: 우의수납부 1300: 고정수단
1310: 제1연결부 1320: 제2연결부
1330: 제3연결부

Claims (7)

  1. 메인가방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보조가방부(1100)의 연결수단(1120)과 내용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슬라이드파스너(1130)를 포함하는 한편, 메인가방의 뒤쪽으로 위치하도록 밀착된 보조가방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방(1000)은,
    상기 보조가방부(1100)가 메인가방과 밀착되지 않는 쪽의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보조가방수납부(1200)가 고정수단(1300)을 매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방수납부(1200)는,
    상기 보조가방부(1100)를 접어서 넣을 수 있도록 수용부(1211)에 입구(1212)를 갖춘 주머니(1210)와,
    상기 입구(1212)에 설치된 단추나 찍찍이 또는 슬라이드파스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개폐수단(1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300)은,
    상기 보조가방부(1100)의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구비된 단추 또는 찍찍이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1310)와,
    상기 제1연결부(1310)에 결합하도록 보조가방수납부(1200)에 구비된 단추 또는 찍찍이로 이루어진 제2연결부(1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방,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300)은,
    상기 보조가방부(1100)의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구비된 단추 또는 찍찍이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1310)와,
    상기 제1연결부(1310)에 결합하도록 보조가방수납부(1200)에 구비된 단추 또는 찍찍이로 이루어진 제2연결부(1320)와,
    상기 뒤쪽보조가방면(1110)에 보조가방수납부(1200)의 입구(1212)측 일면이 재봉으로 고정되는 제3연결부(13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방,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방수납부(1200)는,
    상기 고정수단(1300)이 설치되지 않은 면에 빛에 의해 반사가 잘 되도록 교통안전 형광 물질을 도포하거나 부착된 교통안전표시구(12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방,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방수납부(1200)는,
    상기 보조가방부(1100)를 접어서 보조가방수납부(1200)의 입구(1212)로 넣어서 수납한 다음 메인가방에 걸어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소정위치에 구비된 후크고리(1240)와,
    상기 후크고리와 이웃하여 다른 물건을 걸 수 있도록 된 D형고리(12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방,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방수납부(1200)가 설치되지 않은 쪽이면서 상기 보조가방부(1100)의 앞쪽보조가방면(1140)에는 우의수납부(12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가방.
KR2020220000632U 2022-03-14 2022-03-14 보조가방 KR202300018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32U KR20230001839U (ko) 2022-03-14 2022-03-14 보조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32U KR20230001839U (ko) 2022-03-14 2022-03-14 보조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39U true KR20230001839U (ko) 2023-09-21

Family

ID=8819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632U KR20230001839U (ko) 2022-03-14 2022-03-14 보조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83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911B2 (en) Convertible pack
US7165271B2 (en) Transformable garment
US6510974B2 (en) Backpack for displaying objects stored within
US6923352B2 (en) Luggage container with concealed carrying means
US4416315A (en) Device for carrying valuables
US4168544A (en) Article holding system
US6257472B1 (en) Backpack
US4861301A (en) Personal flotation system
US20010027834A1 (en) Wallet/handbag system with external phone pocket
US9913515B2 (en) Cover-type containing structure for flexible enclosures
US9844255B2 (en) Cover-type containing structure for flexible enclosures
US4958760A (en) Multi-purpose carrier for skis and the like
KR20230001839U (ko) 보조가방
US20090205758A1 (en) Carrying bag
JP2002142829A (ja) カバンやハンドバッグの携帯用防水保護カバー
JP2740642B2 (ja) キーホルダー
US20180027918A1 (en) Shoe Carried by a Strap on the Leg
JPH0239367Y2 (ko)
WO2023058004A4 (fr) Organiseur pliable à points de fixation magnétiques pour équipements de sport et de voyage
KR200247195Y1 (ko) 다용도 가방
FR2752514A1 (fr) Sac a dos pour casque motocycliste
JP3084542U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バッグ
JP2000262360A (ja) ベビーホルダー
JP3056969U (ja) ザック等の汎用カバー
EP2389829A2 (en) Cover-type containing structure for flexible enclo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