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02U -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02U
KR20230001802U KR2020220000565U KR20220000565U KR20230001802U KR 20230001802 U KR20230001802 U KR 20230001802U KR 2020220000565 U KR2020220000565 U KR 2020220000565U KR 20220000565 U KR20220000565 U KR 20220000565U KR 20230001802 U KR20230001802 U KR 202300018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film
replacement device
slot
automatic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8020Y1 (ko
Inventor
장윤배
Original Assignee
명성에어플러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에어플러스(주) filed Critical 명성에어플러스(주)
Priority to KR2020220000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020Y1/ko
Priority claimed from KR2020220000565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98020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8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0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르는 과정에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전염성 질병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내부에 롤 상의 항균필름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하측면에 제1슬롯이 형성되는 제1수용함; 상기 제1수용함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항균필름이 감길 수 있는 로딩축이 구비되고, 상측면에 상기 제1슬롯을 통해 배출된 상기 항균필름이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슬롯이 형성되는 제2수용함; 상기 제2수용함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딩축을 회전되게 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설정되는 시간간격마다 동작되게 하여 상기 항균필름의 교체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Automatic antibacterial film replacement device}
본 고안은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르는 과정에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전염성 질병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근래 코로나 19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확진자 및 사망자가 발생되었으며, 여전히 코로나 19는 변이를 일으키면서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위축되게 하고 있다.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병은 공기중 비말이나 사람간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특히 사람의 손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도심의 대형 건물이나 주거시설인 아파트, 빌라 등은 고층인 관계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 밀폐된 공간에 다수의 사람들이 탑승하는 것 자체로 호흡기를 통해 질병이 전파될 수 있고, 또한 이용자들이 가고자 하는 층의 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르는 행위로 인해 각종 바이러스가 전파될 개연성이 높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엘리베이터 내부에 분무식 스프레이 등을 비치하여 사용자들이 손에 소독제를 뿌리도록 하기도 하고, 버튼을 항균필름으로 덮어두기도 한다.
다수의 버튼을 덮도록 하는 항균필름은 넓은 판상의 반투명 필름 형상을 이루어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켜 버튼을 누르는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한다.
하지만, 항균필름은 바이러스를 사멸되게 하는 기능이 있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성능이 약화될 수 밖에 없고, 훼손될 가능성도 높은 바, 주기적인 교체가 요구된다.
이런 문제점으로 항균필름의 교체 및 관리에 어려움이 따르게 됨에 따라 전시행정처럼 잠깐 사용되다가 중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5079호
이에 본 고안에서는 항균필름의 사용으로 각종 전염병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항균필름이 설정되는 주기적 간격으로 자동 교체되게 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한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는, 내부에 롤 상의 항균필름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하측면에 제1슬롯이 형성되는 제1수용함; 상기 제1수용함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항균필름이 감길 수 있는 로딩축이 구비되고, 상측면에 상기 제1슬롯을 통해 배출된 상기 항균필름이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슬롯이 형성되는 제2수용함; 상기 제2수용함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딩축을 회전되게 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설정되는 시간간격마다 동작되게 하여 상기 항균필름의 교체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용함의 좌우 양단부는 분리 가능한 사이드캡이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캡의 내측 중심부에 돌출된 롤지지단이 형성되어 상기 롤 상의 항균필름을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수용함은, 좌우로 관통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단에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 부싱이 형성되는 종동사이드캡; 상기 몸체의 타측단에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 상기 구동모터가 결합되는 구동사이드캡; 일단은 상기 부싱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는 상기 로딩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용함과 상기 제2수용함에는 상기 항균필름의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유도롤 샤프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는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들이 항균필름에 의해 덮여지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항균필름을 통해 버튼을 간접적으로 누르도록 함으로써 손가락에 묻은 바이러스들이 항균필름에 의해 사멸되게 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하는 엘리베이터를 통해서 감염병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항균필름이 주기적으로 자동 교체되게 함으로써 유지관리에 따른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제1수용함의 단면도.
도 3은 제2수용함의 단면도.
도 4는 항균필름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의 설치 예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며, 도 2는 제1수용함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제2수용함의 단면도이며, 도 4는 항균필름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의 설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는 구성요소로 제1수용함(100), 제2수용함(200), 구동모터(300),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엘리베이터의 누름버튼을 항균필름으로 덮을 수 있도록 하되, 항균필름은 주기적으로 자동 교체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그 외에도 누름버튼이 적용되는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다.
제1수용함(100)과 제2수용함(200)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면서 상하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수용함(100)이 상측에 배치되게 하고 제2수용함(200)은 제1수용함(100)보다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게 한다.
그리고 제1수용함(100)의 내부에는 롤 상의 항균필름(1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하측면에 개구된 제1슬롯(101)이 형성된다. 제1수용함(100)에 적재되는 롤 상의 항균필름(10)은 사용전인 항균필름이며, 제1슬롯(101)을 통해 항균필름이 풀려나와 후술될 제2수용함(200)의 제2슬롯(201)으로 진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수용함(100)은 내부가 빈 중공형상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좌우 양단부에 분리 가능한 사이드캡(120)이 결합된다. 각각의 사이드캡(120)의 내측 중심부에 돌출된 롤지지단(121)이 형성되어 롤 상의 항균필름(10)의 각 단부를 롤지지단(121)에 끼워지게 하여 항균필름(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롤 상의 항균필름(10)의 중심부에는 종이나 합성수지재의 파이프 형상의 코어(11)가 구비되어 코어(11) 외면에 항균필름이 감겨진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코어(11)가 롤지지단(121)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롤 상의 항균필름(10)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제1슬롯(101)은 몸체(110)의 하면측에 길게 개구되게 형성되어 롤 상의 항균필름(10)이 제1슬롯(10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수용함(200)은 제1수용함(100)보다 하측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항균필름(10)이 감길 수 있는 로딩축(240)이 구비되고, 상면측에 제1슬롯(101)을 통해 배출된 항균필름이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게 형성되는 제2슬롯(201)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수용함(200)은 몸체(210)와, 종동사이드캡(220), 구동사이드캡(230), 로딩축(240)을 포함하게 되며, 몸체(210)는 좌우로 관통되는 중공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몸체(210)의 상면측에 개구된 제2슬롯(201)이 형성되며, 몸체(210)의 일측단에 종동사이드캡(220)이 결합된다. 종동사이드캡(220)의 내측 중심부에는 부싱(221)이 마련된다.
그리고 몸체(210)의 타측단에는 구동사이드캡(230)이 결합되는데, 구동사이드캡(230)의 내측 중심부에 구동모터(300)가 장착될 수 있다. 구동모터(300)와 부싱(221)은 동축상으로 배치된다.
한편, 몸체(210) 내부에 로딩축(240)이 마련되는데, 로딩축(240)의 일단은 부싱(221)에 끼워지고 로딩축(240)의 타단은 구동모터(300)의 모터축(310)과 연결되어 구동모터(300)의 동작에 의해 로딩축(240)은 회전 동작하게 된다. 로딩축(240)과 모터축(310)의 연결은 직결 또는 커넥터를 이용한 간접적인 연결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에는 제어부(400)가 마련되며, 제어부(400)는 제2수용함(200) 내부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제2수용함(200)의 외면 어느 한 곳에는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공급을 받게 되며 구동모터(300)의 동작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항균필름의 교체가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어 항균필름의 호적한 유효사용시간에 따라 구동모터(300)가 동작되게 하면 되며, 7일마다 항균필름이 교체되게 하는 경우라면 7일 경과시마다 구동모터가 동작되어 구 항균필름은 로딩축에 감겨지게 하고 새로운 항균필름이 설치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항균필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마킹부(12)가 형성되게 하고 마킹부(12)를 검출할 수 있는 센싱수단(미도시)이 제1수용함(100) 또는 제2수용함(200)에 구비되게 하여 구동모터(300)가 동작할 때 정확한 정지시점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항균필름(100)에 표시되는 마킹부(12)가 50mm 간격으로 형성된다고 가정하고,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항균필름의 소요길이가 300mm 라고 한다면 항균필름이 교체될 때 센싱수단이 마킹부(12)를 7개 검출할 때까지 구동모터(300)가 회전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제1수용함(100)과 제2수용함(200)에는 항균필름의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유도롤 샤프트(500)가 구비되게 한다. 즉, 제1슬롯(101) 및 제2슬롯(201)에 인접하여 유도롤 샤프트(500)를 배치하여 항균필름이 최대한 낮은 위치를 유지하면서 버튼과 최소한의 이격거리를 이루면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는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등의 버튼을 덮어 버튼을 누를때 바이러스가 사용자들에게 전염되어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수용함과 제2수용함이 분리되어 특별한 높이에 제한없이 엘리베이터 외 다양한 누름버튼을 갖는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은 코로나 등의 전염성 질환의 확산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엘리베이터 등의 장치에 설치되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100 : 제1수용함 101 : 제1슬롯
110 : 몸체 120 : 사이드캡
121 : 롤지지단 200 : 제2수용함
201 : 제2슬롯 210 : 몸체
220 : 종동사이드캡 221 : 부싱
230 : 구동사이드캡 240 : 로딩축
300 : 구동모터 310 : 모터축
400 : 제어부 500 : 유도롤 샤트프
10 : 항균필름 11 : 코어
12 : 마킹부

Claims (4)

  1. 내부에 롤 상의 항균필름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하측면에 제1슬롯이 형성되는 제1수용함;
    상기 제1수용함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항균필름이 감길 수 있는 로딩축이 구비되고, 상측면에 상기 제1슬롯을 통해 배출된 상기 항균필름이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슬롯이 형성되는 제2수용함;
    상기 제2수용함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딩축을 회전되게 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설정되는 시간간격마다 동작되게 하여 상기 항균필름의 교체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함의 좌우 양단부는 분리 가능한 사이드캡이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캡의 내측 중심부에 돌출된 롤지지단이 형성되어 상기 롤 상의 항균필름을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함은,
    좌우로 관통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단에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 부싱이 형성되는 종동사이드캡;
    상기 몸체의 타측단에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 상기 구동모터가 결합되는 구동사이드캡;
    일단은 상기 부싱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는 상기 로딩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함과 상기 제2수용함에는 상기 항균필름의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유도롤 샤프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KR2020220000565U 2022-03-04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KR200498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65U KR200498020Y1 (ko) 2022-03-04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65U KR200498020Y1 (ko) 2022-03-04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02U true KR20230001802U (ko) 2023-09-13
KR200498020Y1 KR200498020Y1 (ko) 2024-05-23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079B1 (ko) 2020-06-05 2021-03-10 (주)성수기전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이 성형되는 제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079B1 (ko) 2020-06-05 2021-03-10 (주)성수기전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이 성형되는 제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1174B2 (en) Glove dispenser
JP6775216B2 (ja) 手袋装着システム
JP4700397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CN100453029C (zh) 医疗器具保管装置
US4955092A (en) Swimming pool cover
KR100729717B1 (ko) 코드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200498020Y1 (ko)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US118976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sterile items
CA2137069A1 (en) A tubular body, especially as a core element, and roll with core element
KR20230001802U (ko) 자동 항균필름 교체장치
US7077289B2 (en) Powered dispenser for interconnected strip bandages
ITBO940166A1 (it) Metodo per l'applicazione di collane sulla superficie superiore di suole per calzature e dispositivo che attua tale metodo
JP3638869B2 (ja) 医療用補助具の収容体
EP1122510B1 (en) Sensing unevenness with a difference feeler ( sterilization cassette groove )
JP2006513931A (ja) 製品ディスペンサ
KR102346479B1 (ko) 진료 부스
US20010002725A1 (en) Device for protecting touch-activated data terminals
EP3345848A1 (en) Drive gear assembly for a detachable roll
JPS61195885A (ja) 満量検知器付排版収納装置
KR101713566B1 (ko) 일회용 비닐장갑 및 일회용 비닐장갑 착용 장치
KR200373833Y1 (ko) 가식성필름 자동 디스펜서
JP4914667B2 (ja) 医療器具保管装置
JPH0659271B2 (ja) 医療用ファイバスコープの格納庫
JP2021524195A (ja) 遠隔制御装置用衛生ケース
CN220309573U (zh) 手指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