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777U - 주류 음용 보조용구 - Google Patents

주류 음용 보조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777U
KR20230001777U KR2020220000542U KR20220000542U KR20230001777U KR 20230001777 U KR20230001777 U KR 20230001777U KR 2020220000542 U KR2020220000542 U KR 2020220000542U KR 20220000542 U KR20220000542 U KR 20220000542U KR 20230001777 U KR20230001777 U KR 202300017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liquor
drinking
neck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강훈
Original Assignee
윤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강훈 filed Critical 윤강훈
Priority to KR2020220000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777U/ko
Publication of KR20230001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77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5Mouth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류 음용 보조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주류용기의 상단에 나사 결합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 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단부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볼록한 타원 또는 원의 구형상을 갖는 소정 높이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이어져 일체로 형성된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단에 이어져 일체로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는 타원 또는 원의 구 형상을 갖는 꼭지부와; 상기 꼭지부의 정점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목부 및 꼭지부의 내부에서 배출부까지 통공으로 형성된 소정 직경의 유로부를 포함하는 주류 음용 보조용구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주류 음용 보조용구{Alcohol Drinking Aids}
본 고안은 다양한 소재의 병 형상의 용기에 담긴 주류의 음용을 위한 보조용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병 맥주, 막걸리 등과 같이 병에 담긴 주류를 음용하고자 할 때에 기존의 병뚜껑을 제거하고 본 고안의 보조용구를 체결한 상태에서 음용자가 보조용구의 꼭지부를 입에 물고 빨면 용기 내의 주류가 내부의 통공을 통하여 부드럽게 배출되어 편안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술잔을 사용할 경우에도 잔에 주류를 따를 때 용기 내부의 주류가 보조용구 내부의 통공 구조로 인하여 부드럽고 끊김이 없이 배출되어 잔에 채우는 양을 정밀 조절이 가능하고 주류가 외부로 흘리지 않게 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류 음용 보조용구에 관한 것이다.
주류를 담은 합성수지재의 병 모양을 갖는 용기는, 내부에 주류가 수용된 용기 몸체와, 용기몸체의 상단부에 작은 직경으로 이어져 형성된 병목부와, 병목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나사부의 외부에서 나사결합하여 밀폐시키는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에 담긴 주류를 음용하고자 할 때에 함께한 사람 수에 대응하는 술잔을 준비하고, 용기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에서 각각의 술잔에 주류를 따라서 음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류가 담긴 용기의 배출부의 직경이 크므로 주류를 술잔에 따를 때 주류가 술잔의 외부로 흘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술잔을 동반인 서로가 돌려가면서 주류를 따라주어 마시게 되므로 각종 감염병에의 전염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주류용기에 사용되는 보조용구는 아니지만, 음료의 음용 보조용구에 관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20-0001129호(공개일: 2020년06월02일)의 아이들 안전 빨대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고안은, 전체 몸통이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기둥과 아이들이 안전하게 먹을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부드러운 재질의 빨대를 이용하였고, 대중성이 있는 뚜껑의 크기를 이용하여 만든 하부를 포함하고, 크기가 작아 휴대하기 쉽고 빨대 부분이 부드러워 아이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안이다.
상기 공개고안은 음료용기에 나사 결합하는 하부와 하부에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기둥과 기둥의 단부에 이어 형성된 부드러운 재질의 빨대로 이루어져 있지만, 빨대가 기둥에 소정의 각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과 및 소지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사용자가 용기를 세운 상태에서 빨대를 빨아야 하므로 소정의 흡입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류용기에 체결되어 용기 내의 주류를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고, 주류용기를 기우는 것만으로도 내부의 주류가 부드럽게 배출되는 내부 구조를 갖고, 외부 구조가 단순하여 보관 및 소지가 용이한 주류 음용 보조용구에 관한 고안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20-0001129호(공개일: 2020년06월02일)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류용기에 끼움 또는 나사 결합되어 용기 내의 주류를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고, 주류용기를 기우는 것만으로도 내부의 주류가 부드럽게 배출되는 내부 구조를 갖고, 외부 구조가 단순하여 보관 및 소지가 용이한 주류 음용 보조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주류용기의 상단에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내부가 구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 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단부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 부위가 볼록한 타원 또는 원의 구형상을 형상을 갖는 소정 높이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이어져 일체로 형성된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단에 이어져 일체로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는 타원 또는 원의 구 형상을 갖는 꼭지부와; 상기 꼭지부의 정점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목부 및 꼭지부의 내부에서 배출부까지 통공으로 형성된 소정 직경의 유로부와; 상기 유로부의 하단부위에서 상기 체결부로 이어지는 부위에 하부로 갈 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주류 음용 보조용구가 제시된다.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에 의하면, 주류용기에 끼움 또는 나사결합되어 용기 내의 주류를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고, 주류용기를 기우는 것만으로도 내부의 주류가 부드럽게 배출되는 내부 구조를 갖고, 외부 구조가 단순하여 보관 및 소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의 주요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5는 주류 용기와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의 실시예를 결합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ㄱh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는, 주류용기의 상단 용기 꼭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끼움 방식의 결합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내부에 소정 각도의 경사부(111)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180) 형상의 체결부(110)와; 상기 체결부(110)의 상단부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부위가 볼록한 타원 또는 원의 구형상이고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소정 높이의 연장부(120)와; 상기 연장부(120)의 상단에 이어져 일체로 형성된 목부(130)와; 상기 목부(130)의 상단에 이어져 일체로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는 타원 또는 원의 구 형상을 갖는 꼭지부(140)와; 상기 꼭지부(140)의 정점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배출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120), 목부(130) 및 꼭지부(140)의 내부에서 배출부(150)까지 통공으로 형성된 소정 직경의 유로부(160)와; 상기 유로부(160)의 하단부위에서 상기 체결부(110)로 이어지는 부위에 하부로 갈 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유로형성부(1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의 주요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3의 본 발명의 주류 음용 보조구(100)의 실시예에서 유로부, 유로형성부 및 배출부의 확대도 및 작용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100)는, 꼭지부(140)의 상단을 관통하여 형성된 소정 직경의 배출부(150)와, 상기 배출부(150)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목부(130) 및 연장부(120)의 내부 중심 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된 용기 내의 주류가 흘러 나오는 소정 직경의 유로부(160)와, 상기 유로부(160)의 하단부에서 이어져 연결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유로형성부(170)로 이루어져 있다.
타원 또는 원의 구형상을 갖는 상기 목부(130)로부터 꼭지부(140)까지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0mm~15mm이고, 외경은 15mm~20mm의 범위에서 구성하고, 상기 배출부(150) 및 유로부(160)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8mm~12mm의 범위에서 구성되고, 상기 목부(140)의 외경은 14mm~16mm의 범위에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120)의 높이는 14mm~18mm의 범위에서 구성되고, 전체 높이가 35mm~45mm의 범위 내에서 콤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170)의 최하단의 직경은 상기 유로부(160)의 1.5배 내지 2배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0)의 높이는 내부의 유로부(160)와 유로형성부(170의 높이의 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유로형성부(170)의 높이는 상기 유로부(160)의 1/5~1/2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60)의 하단부에 이어져 형성된 유로형성부(170)의 구성은, 상기 배출부(150)로 배출되는 주류의 흐름을 부드럽고 끊김이 없는 상태로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100)를 주류용기에 체결한 상태에서 주류의 음용을 위해 상기 배출부(150)가 하부를 향하도록 하면, 내부의 유로형성부(170)는 마치 깔대기와 같은 형상이 되고 깔대기의 하단부가 상기 유로부(160)에 연결되는 형상이 된다.
따라서, 주류용기 내의 주류(10)가 상기 깔대기 형상의 유로형성부(170)에서 구조상의 저항으로 인한 유동이나 튀김이 없이 부드럽게 흘러들어가고, 이어 연결되어 있는 유로부(160)를 통하여 끊김이 없이 부드럽게 상기 배출부(150)까지 도달하여, 꼭지부(140)를 물고있는 사용자가 배출부(150)로 배출되는 주류(20)를 주류 흐름의 저항이 없이 부드럽게 음용할 수 있고, 술잔에 따를 때에도 배출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주류가 끊김이 없이 부드럽게 배출되어, 술잔 밖으로 흘리는 일이 없고 계량이 없이도 정확한 양까지 주류를 술잔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17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유로부(160)로부터 하부로 갈 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상태의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주류용기와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의 실시예를 결합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배출홀(240)을 뚜껑 또는 마개로 나사결합하여 밀봉시키고 주류 음용시에 상기 뚜껑 또는 마개를 제거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211)이 형성된 병목부(210)와, 상기 병목부(210)의 하단부에 연장되어 내부에 주류를 담을 수 있는 주류수용부(230)가 형성된 용기몸체부(220)를 포함하는 주류용기(200)와, 상기 주류용기(200)의 상단에 상기 병목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1)을 수용하면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체결되도록 내부에 소정 각도의 경사부(111)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180) 형상의 체결부(110)와; 상기 체결부(110)의 상단부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부위가 볼록한 타원 또는 원의 구형상이고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소정 높이의 연장부(120)와; 상기 연장부(120)의 상단에 이어져 일체로 형성된 목부(130)와; 상기 목부(130)의 상단에 이어져 일체로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는 타원 또는 원의 구 형상을 갖는 꼭지부(140)와; 상기 꼭지부(140)의 정점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배출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120), 목부(130) 및 꼭지부(140)의 내부에서 배출부(150)까지 통공으로 형성된 소정 직경의 유로부(160)와; 상기 유로부(160)의 하단부위에서 상기 체결부(110)로 이어지는 부위에 하부로 갈 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유로형성부(170)를 포함하는 주류 음용 보조용구(10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주류용기(200)에서 뚜껑 또는 마개를 제거한 후에 잔류부재(310)가 남을 수 있다.
주류가 담긴 상태에서 뚜껑 또는 마개로 밀봉된 주류용기(200)에서 상기 뚜껑 또는 마개를 제거하고, 뚜껑 또는 마개가 제거된 주류용기(200)의 병목부(210)에 본 고안의 주류 음용 보조용구(100)의 체결부(110)에 상기 주류용기(200)의 병목부(21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류 음용 보조용구(100)를 주류용기(200) 측으로 밀면, 상기 체결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부(111)에 상기 병목부(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1)이 슬라이드되어 체결부(210) 내벽과 주류용기(200)의 꼭지부(210)가 밀폐 상태로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110)의 내부 경사부(111)는 바람직하게는 체결부 내부의 직경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 수록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고안의 맥주, 막걸리 등의 주류용이고 나사 결합되는 병마개 또는 병뚜껑으로 밀봉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주류용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류용기에서 병뚜껑 또는 병마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거된 부분에 체결하고, 주류용기에의 체결부와 체결부의 상부에 연장된 연장부와 목부를 매개로 상단에 형성된 꼭지부를 갖고, 상기 꼭지부를 통해 외부로 주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부와, 배출부와 이어져서 내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소정 직경의 유로부와, 유로부의 하단에 이어여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꺼지는 형상을 갖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해당함은 당연하다.
100: 주류 음용 보조용구
110: 체결부
120: 연장부
130: 목부
140: 꼭지부
150: 배출부
160: 유로부
170: 유로형성부
200: 주류용기

Claims (5)

  1. 주류용기의 상단에 끼움방식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서 체결되는 구조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 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단부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볼록한 타원 또는 원의 구형상을 갖는 소정 높이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이어져 일체로 형성된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단에 이어져 일체로 형성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는 타원 또는 원의 구 형상을 갖는 꼭지부와; 상기 꼭지부의 정점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목부 및 꼭지부의 내부에서 배출부까지 통공으로 형성된 소정 직경의 유로부를 포함하는 주류 음용 보조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의 하단부위에서 상기 체결부로 이어지는 부위에 하부로 갈 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유로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주류 음용 보조용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배출부를 하부에 위치시켰을 때, 깔대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음용 보조용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의 길이는 상기 유로부 길이의 5/1 내지 1/2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음용 보조용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은 상기 목부로부터 상기 체결부까지 볼록한 곡선으로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음용 보조용구.
KR2020220000542U 2022-03-02 2022-03-02 주류 음용 보조용구 KR202300017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42U KR20230001777U (ko) 2022-03-02 2022-03-02 주류 음용 보조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42U KR20230001777U (ko) 2022-03-02 2022-03-02 주류 음용 보조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77U true KR20230001777U (ko) 2023-09-11

Family

ID=8797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542U KR20230001777U (ko) 2022-03-02 2022-03-02 주류 음용 보조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777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29U (ko) 2018-11-23 2020-06-02 천영우 아이들 안전 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29U (ko) 2018-11-23 2020-06-02 천영우 아이들 안전 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2381A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RU2012112841A (ru) Непролива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итья
US10364057B2 (en) Pet water container and bowl
US20160137346A1 (en) Drip free glass bottles and methods of making such bottles
US4265363A (en) Container with drinking tube
US6508793B1 (en) Invertible eye drop dispenser device
US7850050B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device
US5992662A (en) Container stand adapter
US10098818B2 (en) Cuspidor funnels attachable to empty drink containers
US20150182047A1 (en) Spill resistant transition cup
CN107511190A (zh) 一种密闭式双室组织标本送检瓶
US6530815B1 (en) Bubble tumbler
KR20230001777U (ko) 주류 음용 보조용구
WO2015138885A1 (en) Spill resistant transition cup
KR100352739B1 (ko) 유아용액체분배컵
ES2913631B2 (es) Dispositivo dosificador para líquidos envasados
RU83900U1 (ru) Сосуд для питья
KR200202513Y1 (ko) 냉온수기생수통안전교체장치
CN219970531U (zh) 一种药剂瓶
JP2009137647A (ja) ペットボトル・アルミ缶ボトル用飲み口器及び漏水防止キャップ
US3190510A (en) Toy flask
CN213822549U (zh) 骨头形抽取式药瓶
CN208665922U (zh) 一种用于低糖型强力枇杷露内置量杯的瓶子
RU214322U1 (ru) Стакан-крышка для бутылки
CN210681808U (zh) 一种采用双瓶身的瓶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