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50A - 범선 전망대 구조물 - Google Patents

범선 전망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50A
KR20230001650A KR1020210084415A KR20210084415A KR20230001650A KR 20230001650 A KR20230001650 A KR 20230001650A KR 1020210084415 A KR1020210084415 A KR 1020210084415A KR 20210084415 A KR20210084415 A KR 20210084415A KR 20230001650 A KR20230001650 A KR 20230001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sailboat
sail
piece
guid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국
Original Assignee
신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국 filed Critical 신용국
Priority to KR102021008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650A/ko
Publication of KR2023000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범선 형태의 전망대를 제공하는 범선 전망대 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구축되어 일정공간을 규정하는 기초형성부, 상기 기초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기립되어 승객들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형성부, 상기 통로형성부의 상측에 연결된 채, 범선 형태로 형성되는 범선부 및 일측은 상기 범선부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기초형성부에 연결되며, 내부가 빈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승객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되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튜브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범선 전망대 구조물{Sailing ship observatory}
본 발명은 범선 전망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범선 형태의 전망대를 제공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망대는 굿 뷰(good view)를 가진 산이나 해안가의 높은 곳에 설치하여, 내부에서 외부 전경을 바라볼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며 랜드마크(land mark)로써 기능한다.
종래의 전망대는 남산타워와 같이 전파 또는 통신용 탑 상부에 전망을 위한 층을 설치하여 구성하거나, 고층건물 최상층을 전망층으로 사용하는 구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종래의 전망대는 타워 또는 마천루 등과 같이 높이에 의해 전망이 확보되는 최상층을 전망대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정형화된 전망대 모듈구조가 존재하지 않으며, 전망이 확보되는 산이나 바닷가 정상에는 정자 또는 콘크리트가 구조물 정도만이 전망대 역할을 할 뿐, 별도의 전망대 구조물이 축조되고 있지는 않고 있다.
한편, 동물원, 식물원, 휴양지, 박물관, 관람지 등과 같이 사람이 대량 운집하는 대회장소에도 상기와 같은 정형화된 별도의 전망대 구조물이 축조되어 있지 않았다.
더 나아가, 도시가 거대화되고 집약화됨으로써,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의 영역자체가 소실되어가고 있으므로 도시내부에서 뷰를 확보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공원과 같이 확 트인 오픈공간 자체가 전시의 대상이 되고, 이를 감상할 휴게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701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범선 형태의 전망대를 제공하고, 투명 튜브로 형성되어 이용자가 슬라이딩 하여 즐길 수 있는 익스트림 놀이기구를 제공하며, 여러가지 편의시설을 갖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범선 형태의 전망대를 제공하는 범선 전망대 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구축되어 일정공간을 규정하는 기초형성부, 상기 기초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기립되어 승객들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형성부, 상기 통로형성부의 상측에 연결된 채, 범선 형태로 형성되는 범선부 및 일측은 상기 범선부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기초형성부에 연결되며, 내부가 빈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승객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되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튜브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의 상기 범선부는, 상부측에 평면을 제공하며, 범선의 선수 형태의 선수부와 범선의 선미 형태의 선미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기립된 채, 고정되는 마스트부, 상기 마스트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되, 도복된 바(bar) 형태로 연결되는 수평지지부, 일측은 상기 마스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지지부에 연결되는 돛연결부 및 상기 돛연결부에 걸쳐진 채, 상기 돛연결부가 형성한 공간을 따라 펼쳐지는 돛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돛연결부는,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마스트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1 가이드라인 및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마스트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2 가이드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돛형성부는, 상기 제1 가이드라인 및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을 그물 형태로 연결하는 그물형성부 및 상기 그물형성부에 연결된 채,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의 상기 돛연결부는,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단에 상기 제1 가이드라인과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승강라인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마스트부는, 상측에 형성된 채, 고리 형태로 형성된 마스트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라인은, 상기 마스트고리부에 삽입된 채, 상기 마스트고리부를 따라 슬라이딩 접촉되어 위치 이동되고, 상기 마스트고리부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라인 및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의 상기 범선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 일측 하부를 지지한 채,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 수직다리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 타측 하부를 지지한 채,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2 수직다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평지지부는, 속이 빈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어 내부에 격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격납공간은, 상기 조명부의 조명 컨트롤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의 상기 마스트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마스트편 및 제2 마스트편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제1 마스트편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1 수평지지편 및 상기 제2 마스트편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돛연결부는, 상기 제1 마스트편에 연결되는 제1 돛연결편 및 상기 제2 마스트편에 연결되는 제2 돛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돛연결편은,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제1 마스트편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수평지지편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1-1 가이드라인,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제1 마스트편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수평지지편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1-2 가이드라인 및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단에 상기 제1-1 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2 가이드라인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1 승강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승강라인은, 타측단이 상기 제2 마스트편에 연결된 채, 인가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고, 상기 돛형성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돛형성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돛형성편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의 상기 튜브형성부는, 투명의 원형 튜브로 형성되되, 곡선 또는 직선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범선부로부터 상기 기초형성부로의 튜브이동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튜브형성부와 상기 범선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튜브형성부의 매달린 채, 형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은, 상기 기초형성부와 상기 범선부 사이에 연결된 채, 상기 범선부의 하중을 상기 기초형성부에 전달하는 하중지지부 및 상기 범선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채, 승객이 번지 점프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번지점프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수직 H빔과 수평 H빔이 교차된 채, 볼트 체결되어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골격에 합성목재를 통해 벽면, 바닥, 천정이 구축되되, 상기 선수부와 상기 선미부는 경량의 메탈라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훌륭한 뷰를 확보하고 쾌적한 휴게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전망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범선 형태의 전망대 돛(조명)을 승강시켜 바람, 비, 눈에 의한 돛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투명튜브를 이용한 익스트림 놀이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의 범선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1)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범선 형태의 전망대를 제공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선 전망대 구조물(1)은 기초형성부(10), 통로형성부(20), 범선부(30) 및 튜브형성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형성부(10)는, 지면에 구축되어 일정공간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통로형성부(20)는, 상기 기초형성부(10)의 일측으로부터 기립되어 승객들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로형성부(20)는 수직빔, 수평빔의 골격에 내외장재를 시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선부(30)는, 상기 통로형성부(20)의 상측에 연결된 채, 범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형성부(40)는, 일측은 상기 범선부(30)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기초형성부(10)에 연결되며, 내부가 빈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승객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되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튜브형성부(40)는, 투명의 원형 튜브로 형성되되, 곡선 또는 직선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범선부(30)로부터 상기 기초형성부(10)로의 튜브이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튜브이동공간은 승객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물을 흘려보내어 승객이 내부벽면을 따라 미끄러지거나 승객이 미끄러지기 쉬운 융 재질의 망토(하네스)를 입고 슬라이딩되어 속도감과 스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범선 전망대 구조물(1)은 복수의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튜브형성부(40)와 상기 범선부(30)를 연결하며, 상기 튜브형성부(40)의 매달린 채, 형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범선 전망대 구조물(1)은 상기 튜브형성부(40)의 하부측을 지지한 채, 상기 기초형성부(10)에 고정되어, 상기 튜브형성부(40)의 하중을 지지하는 튜브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선 전망대 구조물(1)은 하중지지부(60) 및 번지점프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지지부(60)는, 상기 기초형성부(10)와 상기 범선부(30) 사이에 연결된 채, 상기 범선부(30)의 하중을 상기 기초형성부(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번지점프대(70)는, 상기 범선부(3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채, 승객이 번지 점프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의 범선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선 전망대 구조물(1)의 범선부(30)는 본체부(31), 마스트부(32), 수평지지부(34), 돛연결부(35) 및 돛형성부(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1)는, 상기 상부측에 평면을 제공하며, 범선의 선수 형태의 선수부(311)와 범선의 선미 형태의 선미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1)는, 수직 H빔과 수평 H빔이 교차된 채, 볼트 체결되어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골격에 합성목재를 통해 벽면, 바닥, 천정이 구축되되, 상기 선수부(311)와 상기 선미부(312)는 경량의 메탈라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트부(32)는, 상기 본체부(31)의 상면에 기립된 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트부(32)는, 상측에 형성된 채, 고리 형태로 형성된 마스트고리부(3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34)는, 상기 마스트부(32)의 하부측에 연결되되, 도복된 바(bar)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돛연결부(35)는, 일측은 상기 마스트부(32)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지지부(3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돛연결부(35)는 제1 가이드라인(351a, 351b), 제2 가이드라인(352a, 352b) 및 승강라인(353a, 353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라인(351a, 351b)은,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마스트부(32)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지지부(34)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라인(352a, 352b)은,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마스트부(32)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지지부(34)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라인(353a, 353b)은,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단에 상기 제1 가이드라인(351a, 351b)과 상기 제2 가이드라인(352a, 352b)이 분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라인(353a, 353b)은, 상기 마스트고리부(321)에 삽입된 채, 상기 마스트고리부(321)를 따라 슬라이딩 접촉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라인(353a, 353b)은, 상기 마스트고리부(321)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라인(351a, 351b) 및 상기 제2 가이드라인(352a, 352b)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돛형성부(36)는, 상기 돛연결부(35)에 걸쳐진 채, 상기 돛연결부(35)가 형성한 공간을 따라 펼쳐질 수 있다. 상기 돛형성부(36)는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돛형성편(36a, 36b, 36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돛형성편(36a, 36b, 36c)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돛형성부(36)를 구성하는 각각의 돛형성편(36a, 36b, 36c)은, 그물형성부(361) 및 조명부(36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그물형성부(361)는 마름모, 육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다각형과 원형이 포함된 도형의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물형성부(361)는, 상기 제1 가이드라인(351a, 351b) 및 상기 제2 가이드라인(352a, 352b)을 그물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363)는, 상기 그물형성부(361)에 연결된 채,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며 일종의 LED 일 수 있다.
상기 범선부(30)는, 제1 수직다리부(38) 및 제2 수직다리부(3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다리부(38)는, 상기 수평지지부(34)의 길이방향 일측 하부를 지지한 채, 상기 본체부(31)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다리부(39)는, 상기 수평지지부(34)의 길이방향 타측 하부를 지지한 채, 상기 본체부(31)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34)는, 속이 빈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어 내부에 격납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격납공간은, 상기 조명부(363)의 조명 컨트롤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스트부(32)는, 상기 본체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마스트편(32a), 제2 마스트편(32b) 및 제3 마스트편(32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34)는, 상기 제1 마스트편(32a)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1 수평지지편(34a), 상기 제2 마스트편(32b)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편(34b) 및 상기 제3 마스트편(32c)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3 수평지지편(34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돛연결부(35)는, 상기 제1 마스트편(32a)에 연결되는 제1 돛연결편(35a), 상기 제2 마스트편(32b)에 연결되는 제2 돛연결편(35b) 및 상기 제3 마스트편(32c)에 연결되는 제3 돛연결편(35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돛연결편(35a)은,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제1 마스트편(32a)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수평지지편(34a)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1-1 가이드라인(351a),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제1 마스트편(32a)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수평지지편(34a)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1-2 가이드라인(352a) 및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단에 상기 제1-1 가이드라인(351a)과 상기 제1-2 가이드라인(352a)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1 승강라인(353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승강라인(353a)은, 타측단이 상기 제2 마스트편(32b)에 연결된 채, 인가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마스트편(32b)에 연결된 상기 제1 승강라인(353a)은, 상기 제2 마스트편(32b)에 설치된 자동 권취/권출 장치에 의해 위치 이동되거나, 도르래를 이용해 관리자가 인력에 의해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승강라인(353a)이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1 가이드라인(351a) 및 상기 제1-2 가이드라인(352a)은 하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1 가이드라인(351a) 및 상기 제1-2 가이드라인(352a)에 형성된 돛형성부(36)는 중첩된 채, 하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마스트편(32a)에 연결된 부재들의 유지, 보수 또는 기상상황에 의해 돛형성부(36)를 접을 경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승강라인(353a)이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1 가이드라인(351a) 및 상기 제1-2 가이드라인(352a)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1 가이드라인(351a) 및 상기 제1-2 가이드라인(352a)에 형성된 돛형성부(36)는 펼쳐진 채, 상승할 수 있다. 이는, 펼쳐진 돛형성부(36)를 통해 심미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 돛연결편(35b)은,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제2 마스트편(32b)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수평지지편(34b)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2-1 가이드라인(351b),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제2 마스트편(32b)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수평지지편(34b)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2-2 가이드라인(352b) 및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단에 상기 제2-1 가이드라인(351b)과 상기 제2-2 가이드라인(352b)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2 승강라인(353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승강라인(353b)은, 타측단이 상기 제3 마스트편(32c)에 연결된 채, 인가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본체부(31)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승강라인은 후방의 마스트편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범선 전망대 구조물
10: 기초형성부
20: 통로형성부
30: 범선부
31: 본체부
32: 마스트부
34: 수평지지부
35: 돛연결부
36: 돛형성부
40: 튜브형성부
60: 하중지지부
70: 번지점프대

Claims (5)

  1.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범선 형태의 전망대를 제공하는 범선 전망대 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구축되어 일정공간을 규정하는 기초형성부;
    상기 기초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기립되어 승객들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형성부;
    상기 통로형성부의 상측에 연결된 채, 범선 형태로 형성되는 범선부; 및
    일측은 상기 범선부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기초형성부에 연결되며, 내부가 빈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승객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되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튜브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선 전망대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선부는,
    상부측에 평면을 제공하며, 범선의 선수 형태의 선수부와 범선의 선미 형태의 선미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기립된 채, 고정되는 마스트부,
    상기 마스트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되, 도복된 바(bar) 형태로 연결되는 수평지지부,
    일측은 상기 마스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지지부에 연결되는 돛연결부 및
    상기 돛연결부에 걸쳐진 채, 상기 돛연결부가 형성한 공간을 따라 펼쳐지는 돛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돛연결부는,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마스트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1 가이드라인 및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마스트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2 가이드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돛형성부는,
    상기 제1 가이드라인 및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을 그물 형태로 연결하는 그물형성부 및
    상기 그물형성부에 연결된 채,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선 전망대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돛연결부는,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단에 상기 제1 가이드라인과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승강라인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마스트부는,
    상측에 형성된 채, 고리 형태로 형성된 마스트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라인은,
    상기 마스트고리부에 삽입된 채, 상기 마스트고리부를 따라 슬라이딩 접촉되어 위치 이동되고,
    상기 마스트고리부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라인 및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이 승강되도록 하고,
    상기 범선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 일측 하부를 지지한 채,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 수직다리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 타측 하부를 지지한 채,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2 수직다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평지지부는,
    속이 빈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어 내부에 격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격납공간은,
    상기 조명부의 조명 컨트롤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마스트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마스트편 및 제2 마스트편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제1 마스트편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1 수평지지편 및 상기 제2 마스트편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2 수평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돛연결부는,
    상기 제1 마스트편에 연결되는 제1 돛연결편 및
    상기 제2 마스트편에 연결되는 제2 돛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돛연결편은,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제1 마스트편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수평지지편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1-1 가이드라인,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제1 마스트편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수평지지편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1-2 가이드라인 및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단에 상기 제1-1 가이드라인과 상기 제1-2 가이드라인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1 승강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승강라인은,
    타측단이 상기 제2 마스트편에 연결된 채, 인가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고,
    상기 돛형성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돛형성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돛형성편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선 전망대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성부는,
    투명의 원형 튜브로 형성되되, 곡선 또는 직선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범선부로부터 상기 기초형성부로의 튜브이동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튜브형성부와 상기 범선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튜브형성부의 매달린 채,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선 전망대 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형성부와 상기 범선부 사이에 연결된 채, 상기 범선부의 하중을 상기 기초형성부에 전달하는 하중지지부; 및
    상기 범선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채, 승객이 번지 점프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번지점프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수직 H빔과 수평 H빔이 교차된 채, 볼트 체결되어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골격에 합성목재를 통해 벽면, 바닥, 천정이 구축되되, 상기 선수부와 상기 선미부는 경량의 메탈라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선 전망대 구조물.
KR1020210084415A 2021-06-29 2021-06-29 범선 전망대 구조물 KR20230001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15A KR20230001650A (ko) 2021-06-29 2021-06-29 범선 전망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15A KR20230001650A (ko) 2021-06-29 2021-06-29 범선 전망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50A true KR20230001650A (ko) 2023-01-05

Family

ID=8492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15A KR20230001650A (ko) 2021-06-29 2021-06-29 범선 전망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6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96B1 (ko) 2017-12-14 2018-06-22 수풍산업 주식회사 다층구조 전망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96B1 (ko) 2017-12-14 2018-06-22 수풍산업 주식회사 다층구조 전망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6479B2 (en) Observation tower
US20080156929A1 (en) Captive Balloon Mobile In a Tower
ES2303376T3 (es) Estructura en mar abierta semisumergible de gran calado.
WO2006078174A1 (en) Device for a gangway
JP2007120241A (ja) 避難用タワー
US5305561A (en) Inflatable housing structure
KR20230001650A (ko) 범선 전망대 구조물
KR20070030728A (ko) 네비게이션 채널 횡단 통로용 교량
CN109680598B (zh) 一种采用玻璃桥面的人行悬链桥
KR20130006916U (ko)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CN104343251A (zh) 天空广场
CN106864687A (zh) 一种自升式海上休闲度假平台
ES2257606T3 (es) Estructura de tribuna adaptable de uso polivalente.
JP6169480B2 (ja) 浮体式避難通路、浮体式避難通路網
TWM525055U (zh) 沉浮式蚵棚
US6945003B2 (en) Monumental, stainless-steel cross with I-beam and cable structure
JP2019178553A (ja) テント
CN107021199A (zh) 一种承载天文望远镜的环形浮空器
CN2929004Y (zh) 可移动观景休闲亭
KR101269069B1 (ko) 선박용 램프구조
JPH0722446Y2 (ja) 水上家屋
RU2032053C1 (ru) Солнцезащитное укрытие для открытых спортивнозрелищных сооружений
US267115A (en) Tower for electric lights
RU83524U1 (ru) Подъемный павильон
WO2023052658A1 (es) Sistema de fond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