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44A -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44A
KR20230001644A KR1020210084405A KR20210084405A KR20230001644A KR 20230001644 A KR20230001644 A KR 20230001644A KR 1020210084405 A KR1020210084405 A KR 1020210084405A KR 20210084405 A KR20210084405 A KR 20210084405A KR 20230001644 A KR20230001644 A KR 20230001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arch
note management
record data
blockchain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228B1 (ko
Inventor
김지원
강종혁
김세연
김하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드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드윗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드윗
Priority to KR102021008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228B1/ko
Priority to KR1020220034732A priority patent/KR10261007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3Some peer nodes performing special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구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연구노트 관리 서버와,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 및 해시값을 수신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의 원본을 저장하는 스토리지와,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Blockchain-based research not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을 말한다. 거래 정보가 담긴 원장(原帳)을 거래 주체나 특정 기관에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나누어 가지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분산 원장 기술(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또는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한다. 블록체인은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Block)을 사슬처럼 연결(chain)한 것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현재, 연구원들이 국가 과제 또는 기업 과제 등을 수행하는 경우, 연구 과정 및 결과를 보고 및 기록하기 위해 연구한 내용을 전자 파일로 작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원들은 연구 내용을 수기로 작성하므로, 이를 별도로 전자 파일화 작업하는 일은 매우 번거롭고 불필요하게 시간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연구원들이 연구 내용을 전자 파일화하는 과정에서 일부 연구 내용이 누락될 위험성 역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은,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구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연구노트 관리 서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 및 해시값을 수신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의 원본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및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연구노트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트랜잭션을 수신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달하는 프록시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록시 서버는 비동기 트랜잭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인증기관이 오더러(orderer)로 참여하며, 연구기관이 복수 개의 피어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피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구노트 관리 서버로부터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한 상기 트랜잭션을 실행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보증하고, 상기 보증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결과값을 상기 오더러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피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증에 기초하여 상기 피어의 서명과 함께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결과값을 상기 오더러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연구기관의 서명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더러는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을 상기 복수 개의 피어들에게 분배함으로써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타임스탬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리지는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의 작성자의 서명을 저장하며,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가 업로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에 상기 작성자의 서명이 추가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구 노트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고, 합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시간 또는 블록 생성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10)의 구성의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의 신호 흐름의 예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자 파일을 업로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을 타인에게 부여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업로드된 전자 파일이 다운로드 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업로드된 전자 파일이 블록체인 기술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서비스와 연동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업로드된 전자 파일들을 검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모듈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모듈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영역, 구성요소, 부, 블록, 모듈들 중간에 다른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모듈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10)의 구성의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스토리지(400), 데이터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의 수행주체로서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 서버 등)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대체되어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연구자의 전자장치로, 예를 들면 휴대폰, 단말, PDA, 노트북, PC, 태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형식의 연구 기록을 획득할 수 있다. 연구 기록은 예를 들면 이미지, 동영상, 사진, 텍스트 등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 기록은 수기의 기록이 촬영된 사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 또는 다른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수기의 기록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연구 기록으로서)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업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구 기록을 업로드할 때, 연구 기록의 업로드에 대응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할 수 있다. 트랜잭션은 정형화된 데이터 또는 함수일 수 있다. 특정 연구 기록에 대한 트랜잭션은, 상기 연구 기록의 해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은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트랜잭션의 구성 중 하나로 해시값을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연구 기록을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구 기록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연구 기록 데이터(예: 이미지 데이터)가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연구 기록 데이터와 함께 연구 기록에 대응하는 트랜잭션 및 그에 포함된 해시값도 함께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로 전달될 수 있다.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는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업로드된 연구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는, 연구 기록의 해시값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달하고, 연구 기록의 원본을 암호화하여 스토리지(400)에 전달하고, 연구 기록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데이터 서버(500)로 전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연구 기록에 대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데이터 등 2차 가공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연구 기록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그 결과 값을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구 기록의 원본데이터(예: 원본 이미지)는 스토리지(400)에 저장되며, 원본데이터로부터 획득된 메타데이터(예: OCR 데이터)는 별도의 데이터 서버(5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연구 기록의 인증에 필요한 해시값만 블록에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의 처리 속도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구 기록 데이터에 제3자의 서명 및 타임스탬핑을 적용시킬 수 있으며, 연구 기록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스토리지(400)는 예를 들면 클라우드 스토리지일 수 있고, 데이터 서버(500)는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통해 구성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10)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구노트를 인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연구노트에 대한 채널(330)에 인증기관들이 오더러(orderer)로 참여할 수 있다. 오더러의 개수는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오더러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연구기관들은 복수 개의 피어(peer)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연구자의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연구자가 소속된 연구기관의 피어(peer)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구기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피어는 조직(organization)(310-1, 310-2)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연구기관은 다양한 조직들 및 피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하나 이상의 조직(310-1, 310-2)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조직은 하나 이상의 피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조직(310-1) 및 제2 조직(310-2)이 도시되었으나,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내에서 조직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조직에 포함된 피어의 개수도 한정되지 않는다.
조직(310-1, 310-2) 내의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은 피어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피어들은 채널(330)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330)은 분산원장과 맵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의 신호 흐름의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101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구 기록이 업로드될 수 있다. 연구 기록은 예를 들면 수기로 작성한 노트를 사진촬영한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연구 기록이 업로드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구 기록의 업로드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트랜잭션에는 연구 기록의 해시값이 추가될 수 있다. 연구 기록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은 프록시 서버(210)를 통해 게이트웨이(220)로 전달될 수 있다.
트랜잭션에는 연구 기록의 작성자(또는 생성자)의 서명(sign)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성자의 서명이 획득될 수 있으며, 작성자의 서명은 스토리지(400)에 저장될 수 있다. 작성자의 서명은 연구 기록이 업로드될 때 연구 기록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에 추가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즉, 연구자)가 소속된 연구기관의 피어(310)에 연결될 수 있다. 피어(310)는 연구기관에 대응하는 노드들이다.
S102에서 게이트웨이(220)는 피어(310) 중 적어도 일부에게 트랜잭션의 보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220)는 연구기관을 구성하는 피어들(310) 중, 보증 피어(endorsing peer)에게 트랜잭션의 무결성에 대한 보증을 요청할 수 있다. 보증 피어는 연구기관을 구성하는 피어들(310) 중 일부일 수 있다. 보증 피어는 트랜잭션을 실행하여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보증 피어는 트랜잭션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트랜잭션이 정상적임을 나타내는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S103)
보증 피어를 통해 트랜잭션이 보증되면, S104에서 트랜잭션 및/또는 상기 결과값이 오더러(320)에 전달될 수 있다. S103, S104에서 보증 피어는, 게이트웨이(220)를 통해 오더러(320)에게 보증 피어의 서명(sign)과 함께 트랜잭션의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트랜잭션과 함께 보증 피어의 서명을 오더러(320)에 전달함으로써 제3자(예: 연구기관)의 서명이 수행됐다고 볼 수 있다. 오더러(320)는 트랜잭션의 결과를 기초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오더러(320)는 예를 들면 트랜잭션의 결과들을 순서에 따라 오더링할 수 있고, 트랜잭션을 정의하여 트랜잭션에 대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S105에서 오더러(320)는 생성된 블록을 피어(310)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오더러(320)는 상술한 보증 피어를 포함한 피어(310) 전체에게 블록을 분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내의 피어(310)들은 모두 동일한 체인을 가질 수 있다. 오더러(320)가 생성한 블록을 피어(310)들에게 분배하는 동작은, 연구 기록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에 타임스탬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더러(320)가 블록을 생성하는 시점 또는 분배하는 시점이 타임스탬핑의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S106에서 피어(310)는, 블록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게이트웨이(220)를 통해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107).
S106 및 S107에서 피어(310)는 생성된 블록에 관한 정보를 게이트웨이(220)를 통해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블록에 관한 정보는 생성된 블록의 식별정보(예: 블록 ID) 및/또는 블록의 타임스탬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는 연구 기록마다, 연구 기록에 대응하는 블록의 식별정보, 블록의 타임스탬핑 정보, 해시값 등을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된 연구 기록을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기록에 대응하는 블록의 식별정보 및 블록의 타임스탬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구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구 기록에 대응하는 블록체인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블록의 식별정보, 해시값, 타임스탬핑 정보(예: 인증완료시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프록시 서버(210)는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와 게이트웨이(220)의 사이에서 트랜잭션의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프록시 서버(210)는 비동기 트랜잭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록시 서버(210)는 여러 트랜잭션을 일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록시 서버(210)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10)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연구노트 관리 방법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실행되고,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10)이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의 종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실행되는 연구노트 관리 방법은 웹(web) 서비스 또는 앱(app) 서비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기능들의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은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할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자 파일을 업로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에는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의 일 예(400)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자 파일을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 때, 업로드 된 전자 파일이 블록체인 기술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음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 될 수 있는 전자 파일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 전자 파일은 텍스트, 이미지 등 식별 가능한 모든 파일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전자 파일의 파일 형식에는 제한이 없다.
사용자는 화면(400)의 일 영역에 표시된 지시자(410)를 선택함으로써, 전자 파일을 연구노트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지시자(410)를 선택함에 따라 화면(400)의 일 영역에는 전자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파일을 드래그 앤드 드랍(drag and drop)을 통하여 화면(400)의 일 영역(42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자 파일을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된 지시자(430)를 선택함으로써 전자 파일이 사용자 단말(100) 내에 저장된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 내에 존재하는 전자 파일을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된 지시자(440)를 선택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전자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전자 파일을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파일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이미지를 촬영(510)함으로써 촬영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자 파일을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기 저장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자 파일을 이 때, 이미지 내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의 방법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전자 파일이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는, 업로드된 전자 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52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는 업로드된 전자 파일이 저장된 폴더의 명칭(530) 및 전자 파일에 대응하는 해시태그(540)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을 타인에게 부여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는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의 일 예(600)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을 타인에게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 권한은 업로드된 전자 파일에 대한 열람만 가능한 제1 권한, 업로드된 전자 파일을 편집하거나 다른 전자 파일을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는 제2 권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사용 권한의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허용하는 다양한 사용 권한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600)의 일 영역에 출력된 이미지(610)를 통하여 타인에게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 권한과 관련된 전자 파일이 업로드된 링크도 화면의 일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업로드된 전자 파일이 다운로드 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에는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된 전자 파일이 다운로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연구노트에 대한 공신력이 인정받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규정하는 형식적인 요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연구노트에 대한 공신력이 인정받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이름, 서명, 작성 일자, 인증 시간 등이 명시되어야 하면, 연구노트의 내용이 위변조되지 않았음을 인증하는 표식이 포함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서버(200)에 전자 파일에 대하여 상술한 형식적인 요건들이 충족될 수 있도록 가공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운로드된 연구노트는 공신력을 갖춘 연구노트로 인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된 전자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경우, 해당 전자 파일에 대한 표지(70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지(700)에는 전자 연구노트임을 명시하는 내용 뿐만 아니라, 해당 전자 파일에 대응하는 연구 주제에 대한 명칭(710) 및 다운로드된 전자 파일이 공신력을 갖춘 연구노트임을 나타내는 표식(예를 들어, 진본임을 확인하는 표식)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는, 표지(700)에 이어서 다운로드된 전자 파일에 포함된 내용을 나타내는 페이지(8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800)에는 전자 파일에 포함된 내용 뿐만 아니라, 다운로드된 전자 파일이 공신력을 갖춘 연구노트임을 나타내는 표식(810) 및 페이지 번호(820)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페이지(800)의 일 영역(830)에는 다운로드된 전자 파일을 작성한 연구자의 이름, 서명, 작성 일자, 인증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업로드된 전자 파일이 블록체인 기술에 기초하여 관리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리 서버(200)에 업로드된 전자 파일은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관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이 업로드한 전자 파일이 관리되고 있는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00)에는 업로드된 전자 파일에 대응하는 블록 넘버(910) 및 해시값(92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서비스와 연동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는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의 일 예(1000)가 도시되어 있다.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프로그램(예를 들어, 깃허브(Github) 등)과 연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업로드된 전자 파일은 연동된 다른 프로그램에 자동으로 업로드될 수 있다. 또한,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다른 프로그램에 업로드된 전자 파일이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업로드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업로드된 전자 파일들을 검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는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의 일 예(1100)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전자 파일들을 업로드할 수 있고, 자신이 업로드한 전자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1100)의 일 영역(1110)에 표시된 검색 창에 특정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텍스트와 관련된 전자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에 전자 파일이 업로드되면, 전자 파일에는 해시태그가 할당될 수 있고, 또한 전자 파일에 포함된 내용이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 영역(1110)에 입력한 특정 텍스트와 관련된 전자 파일이 검색되어 화면(110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권리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구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연구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연구노트 관리 서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 및 해시값을 수신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의 원본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및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구노트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트랜잭션을 수신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달하는 프록시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록시 서버는 비동기 트랜잭션 처리를 수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인증기관이 오더러(orderer)로 참여하며, 연구기관이 복수 개의 피어들을 구성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피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구노트 관리 서버로부터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한 상기 트랜잭션을 실행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보증하고,
    상기 보증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결과값을 상기 오더러에게 전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피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증에 기초하여 상기 피어의 서명과 함께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결과값을 상기 오더러에게 전달함으로써,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연구기관의 서명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더러는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을 상기 복수 개의 피어들에게 분배함으로써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타임스탬핑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는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의 작성자의 서명을 저장하며,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가 업로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에 상기 작성자의 서명이 추가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KR1020210084405A 2021-06-29 2021-06-29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KR102492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05A KR102492228B1 (ko) 2021-06-29 2021-06-29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KR1020220034732A KR102610078B1 (ko) 2021-06-29 2022-03-21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05A KR102492228B1 (ko) 2021-06-29 2021-06-29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732A Division KR102610078B1 (ko) 2021-06-29 2022-03-21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44A true KR20230001644A (ko) 2023-01-05
KR102492228B1 KR102492228B1 (ko) 2023-01-27

Family

ID=849258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05A KR102492228B1 (ko) 2021-06-29 2021-06-29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KR1020220034732A KR102610078B1 (ko) 2021-06-29 2022-03-21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732A KR102610078B1 (ko) 2021-06-29 2022-03-21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22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927A (ko) * 2010-09-08 2012-03-16 (주)기술과가치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90066537A (ko) * 2017-12-05 2019-06-13 라이브픽쳐스(주) 음성인식 기반의 사진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81299A (ko) * 2017-12-29 2019-07-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47085B1 (ko) * 2019-12-16 2020-08-24 주식회사 디지털존 전자문서의 사후 파기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210044734A (ko) * 2018-02-12 2021-04-23 디엘티 랩스 인크. 블록체인 기반 동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274A (ko) * 2019-09-27 2021-04-06 구대근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927A (ko) * 2010-09-08 2012-03-16 (주)기술과가치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90066537A (ko) * 2017-12-05 2019-06-13 라이브픽쳐스(주) 음성인식 기반의 사진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81299A (ko) * 2017-12-29 2019-07-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4734A (ko) * 2018-02-12 2021-04-23 디엘티 랩스 인크. 블록체인 기반 동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47085B1 (ko) * 2019-12-16 2020-08-24 주식회사 디지털존 전자문서의 사후 파기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078B1 (ko) 2023-12-06
KR102492228B1 (ko) 2023-01-27
KR20230002033A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52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ublic software component ecosystem using a distributed ledger
US117410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collaboration and annotation-based action creation and management
US20200311646A1 (en) Blockchain-based system for analyzing and tracking work performance
US20180146027A1 (en) Identifying content items for inclusion in a shared collection
US79039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data related to a set of similar images
US11567904B2 (en) Distributed ledger systems and methods for importing, accessing, verifying, and comparing documents
US20120221944A1 (en) System for digital and remote document revision and execution with document escrow
US9967103B2 (en) Advisor roles in the electronic signing of documents
US119367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e network
US20230274373A1 (en) Decentralized will management apparatu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200210377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9697350B1 (en) Electronic signing of content
US202203120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verification, organization, search, and exchange
WO2022193920A1 (en) Blockchain data segregation
CN112287403B (zh) 基于区块链的电子卷宗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2244622B1 (ko)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49222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CN115408590B (zh) 一种文档追踪溯源方法、装置及系统
US20230129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rtified data storage and retrieval
JP2009015445A (ja) 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文書管理方法
Salama et al. Metadata based forensic analysis of digital information in the web
KR20200082186A (ko) 법률 문서 자동 작성 방법 및 시스템
US11966502B2 (en) Digital file forensic accounting and management system
Thompson et al. Embedded metadata patterns across web sharing Environments
WO2022042602A1 (en) Trustless operations for blockchai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