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1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19A
KR20230001619A KR1020210084247A KR20210084247A KR20230001619A KR 20230001619 A KR20230001619 A KR 20230001619A KR 1020210084247 A KR1020210084247 A KR 1020210084247A KR 20210084247 A KR20210084247 A KR 20210084247A KR 20230001619 A KR20230001619 A KR 20230001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pacer
plate
dispose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619A/ko
Priority to US17/717,358 priority patent/US20220418117A1/en
Priority to CN202210740809.2A priority patent/CN115602054A/zh
Priority to CN202221620063.3U priority patent/CN218384386U/zh
Publication of KR2023000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32B3/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spaced apart pieces on the surfac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51/52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7Dimensions, e.g. volume or area
    • B32B2307/7375Linear, e.g. length, distance or width
    • B32B2307/7376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정의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제1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메인 스페이서 및 서브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페이서의 두께는 상기 서브 스페이서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표시영역을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을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를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형상의 표시장치들이 개발되면서, 다양한 형상을 가진 표시영역이 구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부재를 구비하여 폴딩, 벤딩 또는 롤링 등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정의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제1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메인 스페이서 및 서브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페이서의 두께는 상기 서브 스페이서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상기 메인 스페이서 및 상기 서브 스페이서는 복수 개로 각각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메인 스페이서들과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유연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탄성 수지,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비중첩하는 복수의 제2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이 폴딩된 제1 모드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부분은 제1 상태를 가지고, 상기 지지층이 언폴딩된 제2 모드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스트레치된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세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트 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2 부분들이 각각 고정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부분들은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에 각각 감겨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메인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접촉하고, 상기 서브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만 접촉하며, 상기 서브 스페이서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는 제1 내부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복수의 오픈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1 레티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복수의 오픈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2 레티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세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트 부재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부분들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부분들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분을 스트레칭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과 중첩하는 부분에서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서 제2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정의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폴딩된 제1 모드에서보다 언폴딩된 제2 모드에서 더 크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비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을 고정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고정된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부분을 스트레칭시키는 세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제1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메인 스페이서 및 서브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페이서의 두께는 상기 서브 스페이서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지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정의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복수의 오픈 영역들이 정의된 레티스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층 및 상기 제1 지지층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층은,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기 스페이서는, 제1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메인 스페이서 및 서브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페이서의 두께는 상기 서브 스페이서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두께가 다른 메인 스페이서와 서브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변형률을 줄이고 동시에 내충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메인 스페이서와 서브 스페이서를 고정하는 세트 부재를 포함하고, 언폴딩시 세트 부재에 의해 메인 스페이서와 서브 스페이스를 스트레칭하여 폴딩부의 변형을 줄이고 내충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인-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아웃-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의 단면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의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인-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아웃-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가 폴딩 가능한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제1 표시면(FS)으로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제1 표시면(FS)은 표시 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 영상(IM)의 일 예로 인터넷 검색 창 및 시계 창이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구성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에서의 전면과 배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전자 장치(DD)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높이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표시 장치(DD)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에 의한 접촉은 물론 표시 장치(DD)와 근접하거나, 소정의 거리로 인접하여 인가되는 외부 입력(예를 들어,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힘, 압력, 온도, 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제1 표시면(FS) 및 제2 표시면(R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면(FS)은 제1 액티브 영역(F-AA), 제1 주변 영역(F-NAA), 및 전자 모듈 영역(EM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면(RS)은 제1 표시면(FS)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표시면(RS)은 표시 장치(DD)의 배면(rear surface)의 일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액티브 영역(F-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액티브 영역(F-AA)은 영상(IM)이 표시되고,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다. 제1 주변 영역(F-NAA)은 제1 액티브 영역(F-AA)에 인접한다. 제1 주변 영역(F-NA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제1 주변 영역(F-NAA)은 제1 액티브 영역(F-A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액티브 영역(F-A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제1 주변 영역(F-NA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주변 영역(F-NAA)은 제1 액티브 영역(F-A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형상의 액티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모듈 영역(EMA)은 다양한 전자 모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카메라, 스피커, 광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 영역(EMA)은 제1 또는 제2 표시면들(FS, RS)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피사체를 감지하거나 제1 또는 제2 표시면들(FS, RS)을 통해 음성 등의 소리 신호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은 복수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모듈 영역(EMA)은 제1 액티브 영역(F-AA) 및 제1 주변 영역(F-NA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모듈 영역(EMA)은 제1 액티브 영역(F-AA)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A)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A1) 및 폴딩 영역(FA1)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폴딩 영역(FA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가상의 폴딩 축(AX1)을 포함한다. 폴딩 축(AX1)은 제1 표시면(FS) 상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폴딩 축(AX1)은 표시 장치(DD)의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폴딩 영역(FA1)을 사이에 두고 폴딩 영역(FA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폴딩 영역(FA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폴딩 영역(FA1)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폴딩 축(AX1)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제1 표시면(FS) 중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중첩하는 일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하는 타 영역이 서로 마주하는 인 폴딩(in-folding)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인-폴딩된 상태에서 제2 표시면(RS)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이때, 제2 표시면(RS)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액티브 영역(R-AA) 및 제2 액티브 영역(R-AA)에 인접한 제2 주변 영역(R-NA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티브 영역(R-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액티브 영역(R-AA)은 영상이 표시되고,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다. 제2 주변 영역(R-NA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제2 주변 영역(R-NAA)은 제2 액티브 영역(R-AA)을 에워쌀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표시면(RS)은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이 배치되는 전자 모듈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폴딩 축(AX1)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제2 표시면(RS) 중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중첩하는 일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하는 타 영역이 서로 마주하는 아웃-폴딩(out-folding)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폴딩 축들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제1 표시면(FS) 및 제2 표시면(RS) 각각의 일부가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으며, 폴딩 축의 개수 및 이에 따른 비폴딩 영역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딩 축(AX2)을 기준으로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될 수 있다. 폴딩 축(AX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에서 폴딩 축(AX1)은 표시 장치(DD)의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반면, 도 2a 및 도 2b에서 폴딩 축(AX2)은 표시 장치(DD)의 단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에는 동작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역들은 폴딩 영역(FA2) 및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NFA3, NFA4)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2)은 두 비폴딩 영역들(NFA3, NFA4) 사이에 정의된다.
폴딩 영역(FA2)은 폴딩 축(AX2)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비폴딩 영역들(NFA3, NFA3)은 제1 비폴딩 영역(NFA3) 및 제2 비폴딩 영역(NF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3)은 제1 방향(DR1)에서 폴딩 영역(FA2)의 일측에 인접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A4)은 제1 방향(DR1)에서 폴딩 영역(FA2)의 타측에 인접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DD)에 하나의 폴딩 영역(FA2)이 정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D)에는 복수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비폴딩된 상태에서 제1 표시면(FS)이 사용자에게 시인되고, 인-폴딩된 상태에서 제2 표시면(RS)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제2 표시면(RS)은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이 배치되는 전자 모듈 영역(EM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DM),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M), 표시 모듈(DM)의 아래에 배치된 지지층(S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장치(DD)의 일 부분을 구성하며, 특히 표시 모듈(DM)에 의해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및 입력감지유닛(IS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은 전체적으로 말리거나 폴딩 축(AX1)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P)은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감지유닛(ISP)은 연속공정에 의해 표시 패널(D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입력감지유닛(ISP)이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 점착 필름이 입력감지유닛(ISP)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감지유닛(ISP)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점착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감지유닛(ISP)은 표시 패널(DP)과 연속 공정에 의해 제조되지 않으며, 표시 패널(DP)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후, 점착 필름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생성하고, 입력감지유닛(ISP)은 사용자의 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에 대한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모듈(DM)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M)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박막 글라스 또는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WM)는 폴딩 축(AX1)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즉,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의 형상 변형시 함께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 표시 모듈(DM)이 파손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 함은 압력, 스트레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힘으로써 표시 모듈(DM)에 결함을 야기하는 힘을 의미한다.
표시 모듈(DM)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모듈(DM)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출사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한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DM)의 표시 영역(DA)은 제1 액티브 영역(F-AA)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지지층(SL)은 표시 모듈(DM)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판 형태의 제1 플레이트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판 형태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판 형태의 제3 플레이트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판 형태의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지지층(SL)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SPC)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SPC)는 복수의 메인 스페이서들 및 복수의 서브 스페이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페이서들과 서브 스페이서들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다. 스페이서(SPC)의 제2 방향(DR2)의 길이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 각각의 제2 방향(DR2)의 길이보다 크다. 메인 스페이서들과 서브 스페이서들은 제2 방향(DR2)에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제3 방향(DR3)의 길이인 두께가 서로 다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 한다.
스페이서(SPC)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를 제3 방향(DR3)에서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지지층(SL)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 사이에 스페이서(SPC)를 포함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눌림에 대한 저항력이 커지고, 표시 패널(DP)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 내지 I'를 자른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윈도우(WM), 반사 방지층(POL), 표시 모듈(DM), 보호층(PL) 및 지지층(S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윈도우(WM)와 표시 모듈(DM) 사이에는 반사 방지층(POL)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M)와 반사 방지층(POL)의 사이에는 접착층(AD)이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AD)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POL)은 표시 장치(DD)의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외광에 의해 표시 모듈(DM)을 구성하는 소자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POL)은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 위상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알콜필름(PVA 필름)에 요오드 화합물을 염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하나의 편광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하측에는 보호층(PL)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PL)은 보호 필름(PF) 및 쿠션층(CL)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DM)의 하측에는 보호 필름(PF)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필름(PF)은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의 배면을 보호하는 층일 수 있다. 보호 필름(PF)은 합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보호 필름(PF)이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 필름(PF)의 아래에는 쿠션층(CL)이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CL)은 스펀지, 발포폼, 또는 우레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CL)은 외부의 충격 및 힘에 의해 플레이트(MP)의 눌림 현상 및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쿠션층(CL)은 표시 장치(DD)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쿠션층(CL)은 탄성 중합체(elastom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층(CL)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CL)이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포함하는 경우, 쿠션층(CL)의 두께는 대략 100㎛ 내지 150㎛ 일 수 있다.
보호층(PL)이 쿠션층(CL)을 포함하는 경우, 폴딩 동작에 의해서 지지층(SL)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그 변형이 표시 모듈(DM)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지지층(SL)에 발생한 굴곡 등의 변형들이 표시 모듈(DM)을 통해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 및 개선할 수 있다.
쿠션층(CL)은 접착층(AD)에 의해 지지층(SL)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층(AD)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을 포함하고, 필름 또는 테이프 형태의 접착 필름 또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SL)은 보호층(PL)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층(SL)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의 단면도들이다.
스페이서(SPC)는 메인 스페이서(MSPC) 및 서브 스페이서(SSPC)를 포함한다. 도 5에서는 메인 스페이서(MSPC) 3개와 서브 스페이서(SSPC) 2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스페이서(SPC)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서, 메인 스페이서(MSPC)와 서브 스페이서(SSPC)는 제1 방향(DR1)으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즉, 메인 스페이서(MSPC)의 사이 사이에 서브 스페이서(SSPC)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제한되지 않고, 서브 스페이서(SSPC)는 외곽에 배치되고 메인 스페이서(MSPC)가 서브 스페이서(SSPC)들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메인 스페이서(MSPC)와 서브 스페이서(SSPC) 각각의 제1 방향(DR1)의 길이인 폭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메인 스페이서(MSPC)와 서브 스페이서(SSPC) 각각의 제2 방향(DR2)의 길이도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메인 스페이서(MSPC)와 서브 스페이서(SSPC)의 제2 방향(DR2)의 길이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제2 방향(DR2)의 길이보다 길다. 그러므로, 메인 스페이서(MSPC)와 서브 스페이서(SSPC)의 일부분은 제1 방향(DR1) 또는 제3 방향(DR3)에서 봤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외곽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중첩하고, 제2 플레이트(P2)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는 제2 방향(DR2)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의 사이에는 제1 접착 부재(FAD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FAD1)는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FAD1)는 유연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는 서로 이격되게 분리 배치되고, 사이에는 빈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도 6a는 도 5의 지지층을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II 내지 II'를 자른 절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지지층(SL)은 쿠션층(CL) 아래에 배치되고, 쿠션층(CL)과 지지층(SL) 사이에는 접착층(AD)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층(SL)은 제1 지지 플레이트(SP1), 제2 지지 플레이트(SP2) 및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사이에 스페이서(SPC)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표시 모듈(DM, 도 4 참조)의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1 플레이트(P1)와 폴딩 영역(FA)에서 이격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제1 플레이트(P1)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P3) 및 제3 플레이트(P3)와 폴딩 영역(FA)에서 이격되고 제2 플레이트(P2)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P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각각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탄소 강화 섬유 및/또는 유리 강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각각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각각 단일 금속 물질, 또는 복수의 금속 물질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의 사이에는 제1 접착 부재(FAD1)가 배치되고, 제3 플레이트(P3)와 제4 플레이트(P4) 사이에는 제2 접착 부재(FAD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FAD1)와 제2 접착 부재(FAD2)는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FAD1)와 제2 접착 부재(FAD2)는 유연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의 사이 및 제3 플레이트(P3)와 제4 플레이트(P4) 사이에는 빈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 부재(FAD1) 및 제2 접착 부재(FAD2)는 생략될 수 있다.
스페이서(SPC)는 탄성 수지,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SPC)는 탄성 소재를 사용하여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SPC)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SPC)는 평면상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와 중첩하는 제1 부분(PR1) 및 제1 부분(PR1)에서 제2 방향(DR2)에서 양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와 비중첩하는 제2 부분들(PR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SPC)의 제2 방향(DR2)에서의 길이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제2 방향(DR2)의 길이보다 제2 부분(PR2)들의 길이만큼 길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스페이서는 제1 방향(DR1)에서 서로 교번하여 반복 배치되는 메인 스페이서(MSPC) 및 서브 스페이서(SSPC)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페이서(MSPC) 및 서브 스페이서(SSPC)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스페이서들(MSPC) 각각과 서브 스페이서들(SSPC) 각각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스페이서들(MSPC)과 서브 스페이서들(SSPC)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스페이서(MSPC) 및 서브 스페이서(SSPC)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크기, 위치, 재료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메인 스페이서(MSPC)의 두께는 서브 스페이서(SSPC)의 두께보다 크다. 여기에서, 두께는 제3 방향(DR3)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메인 스페이서(MSPC)의 두께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 사이의 제3 방향(DR3)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메인 스페이서(MSPC)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에 모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지지층(SL)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 사이의 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메인 스페이서(MSPC)를 포함하여 우수한 전단 응력을 가지면서, 종래의 일체형의 플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들에 비하여 가벼울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는 지지층(SL)을 포함하여 내구성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도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다.
서브 스페이서(SSPC)의 두께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 사이의 제3 방향(DR3)의 이격거리보다 작다. 즉, 서브 스페이서(SSPC)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b에서, 서브 스페이서(SSPC)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와 접촉되게 배치되었으나,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서브 스페이서(SSPC)와 접촉되지 않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 중 다른 하나 사이에는 제1 내부 공간(ISC)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층(SL)은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내부 공간(ISC)에 의해 우수한 변형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는 지지층(SL) 포함하여 폴딩 또는 슬라이딩 동작에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서브 스페이서(SSPC)의 두께는 메인 스페이서(MSPC)보다 짧고 구체적 길이는 제한되지 않으며, 크기, 위치, 재료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7a는 폴딩된 지지층(SL)을 도시하고, 도 7b는 언폴딩된 지지층(SL)을 도시한다. 즉, 도 7a는 표시 장치(DD, 도 4 참조)가 폴딩된 제1 모드를 보여주고, 도 7b는 언폴딩된 제2 모드를 보여준다.
도 7a 및 도 7b에서, 표시 장치(DD, 도 4 참조)는 세트 부재(SE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트 부재(SET)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세트 부재(SET)는 표시 장치(DD)의 지지층(SL)을 감싸고 배치될 수 있다. 세트 부재(SET)는 표시 장치(DD)의 최 외곽에 배치되는 케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트 부재(SET)는 제1 고정부(BS-1) 및 제2 고정부(B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BS-1)는 스페이서(SPC)의 제2 부분(PR2)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고, 제2 고정부(BS-2)는 스페이서(SPC)의 제2 부분(PR2) 중 다른 하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세트 부재(SET)는 제1 고정부(BS-1) 및 제2 고정부(BS-2)를 이용하여 스페이서(SPC)를 양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7a에서, 제1 고정부(BS-1) 및 제2 고정부(BS-2)는 지지층(SL)이 폴딩된 표시 장치(DD)의 제1 모드에서 스페이서(SPC)를 제1 상태로 고정시킨다. 도 7b에서, 제1 고정부(BS-1) 및 제2 고정부(BS-2)는 지지층(SL)이 언폴딩된 표시 장치(DD)의 제2 모드에서 스페이서(SPC)를 제2 상태로 스트레칭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BS-1) 및 제2 고정부(BS-2)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언폴딩될 때, 스페이서(SPC)의 양 측의 제2 부분들(PR2)을 제1 부분(PR1)에서 각각 멀어지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스페이서(SPC)의 제1 부분(PR1)을 스트레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BS-1) 및 제2 고정부(BS-2)는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BS-1)는 제1 롤러(BS-1)이고, 제2 고정부(BS-2)는 제2 롤러(BS-2)일 수 있다. 제1 롤러(BS-1) 및 제2 롤러(BS-2)는 표시 장치(DD)의 제1 모드에서 스페이서(SPC)의 제2 부분들(PR2)을 풀어주고, 제2 모드에서 스페이서(SPC)의 제2 부분들(PR2)을 감을 수 있다.
즉, 제2 부분들(PR2)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롤러(BS-1) 및 제2 롤러(BS-2)에 각각 감겨서 제1 부분(PR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부분(PR1)은 제2 방향(DR2)으로 늘어나게 된다. 표시 장치(DD)의 폴딩된 제1 모드에서 스페이서(SPC)의 제1 부분(PR1)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표시 장치(DD)의 언폴딩된 제2 모드에서 스페이서(SPC)의 제1 부분(PR1-1)에 가해지는 인장력보다 작다.
스트레칭된 스페이서(SPC)는 언폴딩된 상태에서 표시 장치(DD)의 굴곡 변형률을 줄이고, 눌림을 방지하며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의 제1 모드에서 제1 부분(PR1)의 길이(LTH1)보다 제2 모드에서 제1 부분(PR1-1)의 길이(LTH2)가 더 클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의 단면도들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II 내지 II'를 자른 절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III 내지 III'를 자른 절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에서, 메인 스페이서(MSPC) 및 서브 스페이서(SSPC)는 동일한 제1 폭(WD1)을 가진다. 즉, 제1 및/또는 제2 비폴딩 영역들(NFA1, NFA2)과 중첩하는 메인 스페이서(MSPC) 및 서브 스페이서(SSPC)는 각각 제1 폭(WD1)을 가진다.
도 8b에서, 메인 스페이서(MSPC) 및 서브 스페이서(SSPC)는 동일한 제2 폭(WD2)을 가진다. 즉, 폴딩 영역(FA1)에 중첩하는 메인 스페이서(MSPC) 및 서브 스페이서(SSPC)는 각각 제2 폭(WD2)을 가진다.
제1 폭(WD1)은 제2 폭(WD2)보다 클 수 있다. 즉, 폴딩 영역(FA1)에 중첩하게 배치되는 메인 스페이서(MSPC) 및 서브 스페이서(SSPC)의 제2 폭(WD2)은 제1 폭(WD1)보다 작기 때문에, 표시 장치(DD, 도 4 참조)가 폴딩될 때, 지지층(SL)의 폴딩이 용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폴딩 영역(FA1)에 중첩하는 제1 레티스부(LTP1)를 포함하고,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폴딩 영역(FA1)에 중첩하는 제2 레티스부(LT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티스부(LTP1) 및 제2 레티스부(LTP2)는 복수의 오픈 영역들(OPA)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1)는 윈도우(WM), 표시 모듈(DM), 보호층(PL), 제1 지지층(SL1) 및 제2 지지층(S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층(SL1)은 보호층(PL)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지지층(SL1)은 제1 지지층(SL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층(SL1)은 폴딩 영역(FA1)에 중첩하는 레티스부(LT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층(SL1)은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레티스부(LTP)는 복수의 오픈 영역들(OP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층(SL2)은 제1 지지층(SL1)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 지지 플레이트(SP1), 제2 지지 플레이트(SP2) 및 스페이서(SP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오픈 영역(FA1)에서 서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를 포함하고,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오픈 영역(FA1)에서 서로 이격된 제3 플레이트(P3) 및 제4 플레이트(P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SPC)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지지층(SL2)은 본 발명의 도 4 내지 도 8b의 지지층(SL)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지지층(SL2)과 관련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SL: 지지층
SP1: 제1 지지 플레이트
SP2: 제2 지지 플레이트
SPC: 스페이서
MSPC: 메인 스페이서
SSPC: 서브 스페이서

Claims (21)

  1.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정의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제1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메인 스페이서 및 서브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페이서의 두께는 상기 서브 스페이서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보다 큰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페이서 및 상기 서브 스페이서는 복수 개로 각각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메인 스페이서들과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유연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탄성 수지,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비중첩하는 복수의 제2 부분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이 폴딩된 제1 모드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부분은 제1 상태를 가지고,
    상기 지지층이 언폴딩된 제2 모드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스트레치된 제2 상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세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트 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2 부분들이 각각 고정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부분들은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에 각각 감겨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보다 큰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접촉하고,
    상기 서브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만 접촉하며,
    상기 서브 스페이서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는 제1 내부 공간이 정의된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복수의 오픈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1 레티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복수의 오픈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2 레티스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세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트 부재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부분들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부분들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분을 스트레칭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과 중첩하는 부분에서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서 제2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큰 표시 장치.
  15.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정의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폴딩된 제1 모드에서보다 언폴딩된 제2 모드에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비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을 고정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고정된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부분을 스트레칭시키는 세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제1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메인 스페이서 및 서브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페이서의 두께는 상기 서브 스페이서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지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정의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복수의 오픈 영역들이 정의된 레티스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층; 및
    상기 제1 지지층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층은,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제1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메인 스페이서 및 서브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페이서의 두께는 상기 서브 스페이서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보다 큰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084247A 2021-06-28 2021-06-28 표시 장치 KR20230001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47A KR20230001619A (ko) 2021-06-28 2021-06-28 표시 장치
US17/717,358 US20220418117A1 (en) 2021-06-28 2022-04-11 Display device
CN202210740809.2A CN115602054A (zh) 2021-06-28 2022-06-27 显示装置
CN202221620063.3U CN218384386U (zh) 2021-06-28 2022-06-27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47A KR20230001619A (ko) 2021-06-28 2021-06-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19A true KR20230001619A (ko) 2023-01-05

Family

ID=8454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247A KR20230001619A (ko) 2021-06-28 2021-06-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418117A1 (ko)
KR (1) KR20230001619A (ko)
CN (2) CN115602054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844B1 (ko) * 2008-01-07 2015-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용 상부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KR102133220B1 (ko) * 2014-01-07 2020-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194183B2 (en) * 2018-05-25 2021-12-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126175A (ko) * 2020-04-09 2021-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15715A (ko) * 2021-02-09 2022-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470520B (zh) * 2021-06-16 2022-11-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支撑基板及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384386U (zh) 2023-01-24
CN115602054A (zh) 2023-01-13
US20220418117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7882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robust flexible displays
KR102132235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4320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985774B2 (en) Display device
KR20210086745A (ko) 표시 장치
US11930606B2 (en) Display device
CN215730580U (zh) 显示设备
KR20210079461A (ko) 표시 장치
KR20210055845A (ko) 표시 장치
KR20220039952A (ko) 전자 장치
US1150167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10102507A (ko) 표시 장치
TWI839442B (zh) 顯示裝置
KR20220003688A (ko) 표시 장치
CN219066346U (zh) 显示装置
KR20230001619A (ko) 표시 장치
KR20210148464A (ko) 표시 장치
US11693451B2 (en)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206095A1 (en) Electronic device
US1204173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12397667A (zh) 显示装置
US202400494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230288956A1 (en) Display device
US20210410302A1 (en) Display device
KR20230023878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