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506U -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506U
KR20230001506U KR2020220000160U KR20220000160U KR20230001506U KR 20230001506 U KR20230001506 U KR 20230001506U KR 2020220000160 U KR2020220000160 U KR 2020220000160U KR 20220000160 U KR20220000160 U KR 20220000160U KR 20230001506 U KR20230001506 U KR 202300015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uid
supply system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16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7871Y1 (en
Inventor
이종현
유숙희
Original Assignee
이종현
유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유숙희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2020220000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71Y1/en
Publication of KR20230001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506U/en
Priority to KR2020240000438U priority patent/KR20240000563U/en
Priority to KR2020240000439U priority patent/KR2024000056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7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20Arrangements or systems of devices for influencing or altering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e.g. for damping pulsations caused by opening or clos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유체가 이동되어 수집되는 집수부 및 집수부와 연결되고 집수부 내 유체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의 공급이 어려운 지점에서도 용이하게 공급이 가능하고, 공급 과정에서 과도한 자원 낭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일반 휴대 단말기를 통해 관리가 가능하여, 편의성 및 범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fluid, a collection unit for moving and collecting the flui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llec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fluid to be sprayed in the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fluid even at a point where it is difficult to supply fluid,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waste of resources during the supply process, and it is easy to install and manage through a general portable terminal, so convenience and versatility can be maximized.

Description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Specifically,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echnology.

우리나라의 산불은 사회적인 여건과 산림여건 그리고 산림정책, 제도 그 외 시대적인 기상변화에 따라 산불의 발생건수와 피해면적 등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산불은 월별로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3월, 11월에도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요일별로는 일요일에 가장 많은 발생 빈도를 보였으나, 2000년대 주5일제 시행으로 금요일과 토요일에도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Forest fires in Korea vary in the number of forest fires and affected areas according to social conditions, forest conditions, forest policies, systems, and weather changes of the times. Forest fires occurred the most in April by month, and are on the rise in March and November. In addition, by day of the week, Sunda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but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5-day work week in the 2000s, Friday and Saturday also showed a rapid increase.

상기와 같은 산불의 통계치를 볼 때, 대부분의 산불은 등산객 등에 의하여 유발된 인위적인 산불이 대부분이며, 등산로 등 등산객의 접근이 쉬운 장소에서 대부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고산 지역에서 발생하는 산악 화재의 경우에는 차량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기 때문에 초기 진화를 위해서는 소방인력이 휴대용 진화 장비를 보유한 채 화재 현장까지 달려가서 화재를 진압해야 하지만, 산세가 험난하여 소방인력의 접근이 곤란한 지역에서의 산불 발생시에는 소방 헬기 외에는 다른 화재진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When looking at the statistics of forest fires 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forest fires are artificial forest fires caused by hikers, etc., and most of them occur in places where hikers can easily access, such as hiking trail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untain fires occurring in alpine areas, vehicle entry is almost impossible, so for initial evolution, firefighters must run to the fire site with portable firefighting equipment to extinguish the fire.

또한, 강한 바람이 불거나 시야 식별이 곤란한 야간의 경우에는 소방 헬기마저도 운행할 수 없기 때문에 소방헬기의 운행이 가능해질 때까지 화재를 지켜보고만 있어야 하는 경우도 빈번한 실정이라 고산 지역의 산불 화재 발생시 신속한 초기 진화를 위한 소방 장비가 절실한 실정이다.In addition, even firefighting helicopters cannot be operated at night when strong wind blows or visibility is difficult, so it is often necessary to watch the fire until the firefighting helicopter can operate. Firefighting equipment for early extinguishing is urgently needed.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3199호인 '화재진압용 소화탄 발사장치'가 있다.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 발사장치는, 소방차나 소방헬기가 근접할 수 없는 지역에서의 화재 발생시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액을 내장한 소화탄을 발사할 수 있도록 한 화재진압용 소화탄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is, there is a 'fire suppression grenade launcher'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83199. The fire extinguishing grenade launcher is capable of firing a fire extinguishing grenade containing a fire extinguishing liquid so that a fire can be easily extinguished from a distance when a fire occurs in an area where a fire truck or a fire helicopter cannot approach.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경우 국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산지에 일일이 발사장치를 설치 및 관리하는 것이 어렵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manage launchers individually in mountainous areas occupying more than half of the countr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가 용이하면서도 물이 필요할 때 신속히 고산지대 또는 고층 건물에 투입 가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be easily managed and quickly put into high-rise buildings or high-rise buildings when water is need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유체가 이동되어 수집되는 집수부 및 집수부와 연결되고 집수부 내 유체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luid, a water collector for moving and collecting the flui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or and controlling the spraying of the fluid in the water collec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의 공급이 어려운 지점에서도 용이하게 공급이 가능하고, 공급 과정에서 과도한 자원 낭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the fluid even at a point where it is difficult to supply the flui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waste of resources during the supply process.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일반 휴대 단말기를 통해 관리가 가능하여, 편의성 및 범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ation is easy and management is possible through a general portable terminal, so convenience and versatility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부가 반영된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측부에 의해 산출되는 계류부 및 집수부의 고도 및 저수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부가 반영된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결 유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as a w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in which a mooring is ref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altitude and water storage of a mooring unit and a collecting unit calculated by a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reflecting the liquefa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liquefa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densation induc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rotation of a filte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유체”는 화재 진화 또는 생활 용수, 공업 용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체 또는 액체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luid” can be used for purposes such as fire extinguishing or living water, industrial water, etc., and the us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a gaseous or liquid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as a w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은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110), 유체가 이동되어 수집되는 집수부(120), 저장부(110) 및 집수부(120)를 연결하여 유체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통로부(130), 통로부(130)와 연결되어 저장부(110)에서 집수부(120)로 이동되는 유체의 상태 변화를 유도하는 기화부(140), 통로부(130) 및 집수부(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유체를 집수부(12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부(151), 송풍부(151)와 연결되어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부(152), 집수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집수부(120) 내 유체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160), 집수부(120) 및 계류부(180)와 연결되어 유량을 파악하는 계측부(170)를 포함한다.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110 for storing fluid, a water collecting unit 120 for moving and collecting fluid, a passage part 130 connecting the storage part 110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to provide a fluid supply path, a vaporization part 140 connected to the passage part 130 and inducing a state change of the fluid moving from the storage part 110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and a passage part 13 0)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the blowing part 151 for moving the fluid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the power generation part 152 connected to the blowing part 151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and controlling the injection of the flui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A measuring unit 170 is included.

저장부(110)는 유체를 수집하여 집수부(120)로 보내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저장부(110)는 탱크 등의 포집수단으로 구비되어 유체를 보관하며, 여기서 유체의 상태는 액체로 구비될 수 있다. 추가로, 저장부(110)에는 유체의 정수를 위한 별도의 정수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유체는 별도의 공급수단을 통해 외부에서 저장부(110)의 내부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10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fluid and sending it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 To this end, the storage unit 110 is provided as a collecting means such as a tank to store the fluid, where the state of the fluid may be provided as a liqui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water purifying unit for purifying fluid, and the fluid may be mov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110 and stored through a separate supply unit.

집수부(120)는 유체의 수요가 필요한 곳에 설치되고, 유체의 공급이 필요할 때에 개방되어 공급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집수부(120)는 고층 건물 또는 산 등 높은 곳에 위치하고 유체를 수집 및 보관할 수 있는 집수정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집수부(120)는 제어부(16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60)와 연결된 단말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제어부(160)의 신호에 따라 개방 및 폐쇄가 진행된다. 또한, 집수부(120)는 계측부(170)와 연결되어 내부의 유량을 측정받을 수 있다.The water collector 120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demand for fluid is required, and is opened when supply of fluid is required to supply the fluid. To this end,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ater collecting well located in a high place such as a high-rise building or a mountain and capable of collecting and storing flu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and opening and closing proce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60 generated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terminal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In addition, the water collecto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unit 170 to measure the flow rate therein.

통로부(130)는 저장부(110) 및 집수부(1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통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를 집수부(120)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통로부(130)는 배관 등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110) 및 집수부(120)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기화부(140) 및 송풍부(151)가 연결될 수 있다.The passage part 130 connects the storage part 110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and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stored in the storage part 110 moves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To this end, the passage part 1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etc., an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storage part 110 and the water collector 120 to each other, the vaporizing part 140 and the blowing part 1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nnected.

기화부(140)는 유체를 기화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세하게, 기화부(140)는 동일 시간 대비 보다 많은 유량의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기화부(140)는 기화기, 카뷰레터(Carburetor) 등 유체를 미립화하여 기화 상태로 변환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비된다. 기화부(140)는 통로부(130)와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로 공기 등의 기체를 투입하고, 이에 대응하여 유체가 분무 형태로 비산하며 기화되어 통로부(13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후술할 송풍부(151)에 의해 기상의 유체가 집수정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vaporizing unit 140 is provided to move the fluid in a vaporized state. In detail, the vaporization unit 140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moving a fluid with a larger flow rate compared to the same time. To this end, the vaporizer 140 is provided with a means capable of atomizing the fluid and converting it into a vaporized state, such as a vaporizer or a carburetor. The vaporization unit 140 injects gas such as air into the interior while connected to the passage unit 130, and in response thereto, the fluid is scattered and vaporized in a spray form, and is located inside the passage unit 130. In this state, gaseous fluid may move to the collecting well by the blower 151 to be described later.

송풍부(151)는 기체 상태의 유체를 집수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송풍부(151)는 저장부(110)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한 집수정을 향해 유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송풍부(151)는 양단이 각각 통로부(130) 및 집수부(120)와 연결된다. 송풍부(151)는 통로부(130)로부터 기체 상태의 유체를 공급받고, 구동을 통해 상기 유체를 집수부(120)로 이동시킨다. 송풍부(151)는 기체 압력을 이용하여 송풍을 실시하는 음압송풍기, 블로워 등의 송풍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체 상태의 유체를 이동시키는 송풍부(151)가 구비됨으로써, 액체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것과 비교했을 때 보다 용이하고 신속한 유체의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높은 높이로의 이동이 필요한 유체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송풍부(151)는 후술할 제어부(160)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집수부(120)의 개방 이후 기체 상태의 액체를 분사할 수도 있으며, 후술할 액화부(190)가 설치된 경우에는 집수부(120)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유체가 분사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151)는 복수의 계류부(180)가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의 계류부(180)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blowing unit 151 is a component for moving gaseous fluid to a collecting well. In detail, the blowing unit 151 is provided to easily move the fluid toward a collecting well locat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storage unit 110 . To this end, both ends of the blowing unit 151 are connected to the passage unit 130 and the collecting unit 120, respectively. The blowing unit 151 receives gaseous fluid from the passage unit 130 and moves the fluid to the collecting unit 120 through driving. The blowing unit 151 may be provided as a blowing means such as a negative pressure blower or a blower that blows air using gas press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lower 151 for moving the fluid in a gaseous state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fluid more easily and quickly compared to moving the fluid in a liquid state. In addition, a fluid that needs to be moved to a high height can be moved more easily. On the other hand, the blowing unit 151 may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liquid in a gaseous state may be sprayed after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is opened, and the liquefaction unit 1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mooring units 180 are provided, a plurality of blowing units 15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mooring units 180 .

발전부(152)는 송풍부(15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발전부(152)는 송풍부(151)가 별도의 구동 전원을 소유하지 않아도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발전부(152)는 송풍부(151)와 연결되고,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는 태양광모듈로 구비된다. 하지만 발전부(152)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풍력발전, 지력발전, 조력발전 등 다양한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는 발전수단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전부(152)를 통해, 배터리의 휴대 및 설치가 어려운 지점에서도 용이하게 송풍부(151)의 설치 및 구동을 유도할 수 있어, 편의성 및 범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generator 152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blower 151 . Specifically, the generator 152 allows the blower 151 to use power even if it does not have a separate driving power source. To this end, the power generation unit 152 is connected to the blower unit 151 and is provided as a solar module capable of converting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supplying it. However, the power generation unit 15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as a power generation means capable of converting and supplying various energies such as wind power, geothermal power, and tidal power into electrical energy. Through the power generation unit 152 as described abov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blower unit 151 can be easily induced even at a point where it is difficult to carry and install a battery, thereby maximizing convenience and versatility.

제어부(160)는 유체의 분사를 제어한다. 상세하게, 제어부(160)는 통로부(130)를 거쳐 집수부(120)로 이동한 유체를 대상으로 집수부(120)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함으로써, 집수부(120)가 위치한 지점에서 유체가 분출 또는 분출 중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집수부(120)와 통신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160) 및 집수부(120)의 통신 형태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IOT, LPWA(Law-power wide area network) 등으로 구비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60)는 단말부와 통신 연결됨으로써, 단말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유체의 분사 및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후술할 계측부(170)에 의해 산출되는 집수부(120) 및 복수의 계류부(180)의 저수량을 기반으로 유체의 추가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복수의 계류부(180)와도 통신 연결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injection of fluid. In detail,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for the fluid that has mov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through the passage 130, so that the fluid is ejected or stopped at the point where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is located.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6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 Here, the communication form of the control unit 160 and the collecting unit 120 is equipped with Bluetooth, ZigBee, Wi-Fi, IOT, LPWA (Law-power wide area network),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injection and supply of fluid in response to an input of the terminal unit by being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additional supply of fluid based on the water storage amount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and the plurality of mooring units 180 calculated by the measuring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계측부(170)는 집수부(120) 및 계류부(180) 내의 유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유체가 집수부(120)로 도달하거나 중간에 계류부(180)에서 일시 저장되는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계측부(170)는 집수부(120) 및 계류부(180)와 통신 연결되며 통신 형태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IOT, LPWA(Law-power wide area network) 등으로 구비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계측부(170)는 계류부(180) 및 집수부(12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별도의 센서부와 연결되어 수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계류부(180) 및 집수부(120)가 설치된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고도에 관한 그래프 산출이 가능하다.The measuring unit 170 is a component that measures the flow rate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and the mooring part 180, and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grasping the current state in which fluid reaches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or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ooring part 180 in the middle. To this end, the measuring unit 17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and the mooring unit 180, and the communication type is provided with Bluetooth, ZigBee, Wi-Fi, IOT, LPWA (Low-power wide area network),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asurement unit 170 is connected to a separate sensor unit provided inside the mooring unit 180 and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water level, and the position where the mooring unit 180 and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ar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graph of altitud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부(180)가 반영된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측부(170)에 의해 산출되는 계류부(180) 및 집수부(120)의 고도 및 저수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in which a mooring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lected, and FIG. 3 is a mooring unit 180 calculated by a measurement unit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altitude and water storage amount of the collecting unit 120.

계류부(180)는 송풍부(151)에 의해 집수부(120)로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체를 일시적으로 계류시킨다. 이를 위해, 계류부(180)는 비교적 낮은 위치의 저장부(110)에서 비교적 높은 위치의 접수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통로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류부(180)는 송풍부(151)에 의해 이동하는 유체를 중간에 포집 및 저장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계류부(180)는 자연 발생하는 빗물을 포집할 수 있도록 일면이 일부 개구되거나 별도의 빗물받이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통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부(110)에서 유체를 과도하게 계류부(180)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어 유체 및 송풍부(15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에너지 등의 자원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계류부(180)가 구비됨으로써 저장부(110) 및 집수부(12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 보수의 편의성 측면에서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The mooring unit 180 is a configuration for maximizing the movement efficiency of the fluid moving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by the blowing unit 151, and temporarily mooring the fluid. To this end, the mooring part 1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latively low storage part 110 and the relatively high receiv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passage part 130. Accordingly, the mooring unit 180 may collect and store the fluid moving by the blowing unit 151 in the middle. As another embodiment, the mooring unit 180 may have one side partially opened to collect naturally occurring rainwater, or may be provided in a tub shape capable of receiving fluid from a separate rainwater gutter. Through this, it is not necessary to excessively move the fluid from the storage unit 110 to the mooring unit 180, and resources such as electric energy for driving the fluid and the blowing unit 151 can be saved. In addition, since the mooring unit 180 is provided, the size of the storage unit 110 and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can be reduced, which has a remarkable effect in terms of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도 3은 계측부(170)가 형성하는 그래프로서, 가로축은 복수의 계류부(180)(도 3의 계류부(180) 1, 계류부(180) 2 및 계류부(180) 3을 의미함) 및 접수부에 관한 설치 높이(고도)를 의미한다.3 is a graph formed by the measuring unit 170, and the horizontal axis indicates a plurality of mooring units 180 (meaning mooring unit 180 1, mooring unit 180 2 and mooring unit 180 3 in FIG.

그래프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막대 그래프는 저수량에 관한 것으로서, 계측부(170)와 연결된 별도의 센서부를 통해 복수의 계류부(180) 및 집수부(120)의 내부에 위치한 유체의 유량이 측정되어 게시된다.The bar graph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raph relates to the water storage amount, and the flow rate of the fluid located inside the plurality of mooring units 180 and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is measured and posted through a separate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measuring unit 170.

꺾은선 그래프는 제어부(160)에 미리 저장된 기준 저수량에 관한 정보로서 고도에 따라 가변하도록 구비되며, 고도 상의 온도 및 습도 등 외부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고, 이는 제어부(160)와 연결된 단말부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일례로, 집수부(120)에 저장되어야 하는 유체의 유량을 타 계류부(180)보다도 많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e polygonal line graph is information about the standard storage amount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160, and is provided to vary according to the altitude, and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t the altitude,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It can also be set in the terminal unit. For example, the flow rate of the fluid to be stored in the water collector 120 may be set to be higher than that of other mooring units 180 .

도 3을 참조하면, 계류부(180) 1의 실제 저수량은 계류부(180) 1에 대응하는 기준 저수량보다 작도록 계측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송풍부(151)를 구동시켜 계류부(180) 1을 향해 유체를 이동시거나, 계류부(180) 1이 외부에서 발생하는 빗물을 받을 수 있도록 별도의 개폐수단을 개방함으로써, 계류부(180) 1의 저수량을 기준 저수량과 동일하도록 유도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actual water storage amount of the mooring unit 180 1 is measured to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stor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mooring unit 180 1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60 drives the blowing unit 151 to move the fluid toward the mooring unit 180 1, or opens a separate opening/closing means so that the mooring unit 180 1 can receive rainwater generated from the outside.

반면 계류부(180) 2, 계류부(180) 3 및 집수부(120)에 대응하는 저수량은 각각의 기준 저수량보다 크도록 계측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계류부(180) 2 및 계류부(180) 3에 추가로 유체가 공급되지 않도록 각각의 사이에 위치한 송풍부(151)의 구동을 일시 중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torage volumes corresponding to the mooring unit 180 2 , the mooring unit 180 3 , and the water collection unit 120 are measured to be greater than the respective reference water storage volume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60 temporarily stops driving of the blowing unit 151 positioned between the mooring unit 180 2 and the mooring unit 180 3 so that fluid is not additionally supplied.

집수부(120)의 근처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등 유체를 사용할 일이 발생할 경우, 제어부(160)와 통신연결된 단말부의 입력에 기반하여 집수부(120)를 개방한다. 이 과정에서 복수의 계류부(180)의 사이에 위치한 송풍부(151)가 구동되어 기체 상태의 유체를 집수부(120)를 향해 신속히 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유체를 집수부(120)로 이동 및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When a fluid usage event occurs, such as a fire occurring near the water collector 120, the water collector 120 is opened based on an input from a terminal unit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In this process, the blowing unit 151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mooring units 180 is driven to quickly move the gaseous fluid toward the collecting unit 120. Through this, the fluid can be moved to and discharged to the water collector 120 for us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부(190)가 반영된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in which the liquefier 1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lected.

선술한 일련의 구성을 통해 기체 상태의 유체를 집수부(120)로 이동 및 배출할 수 있으며, 액화부(190)를 통해 집수부(120)에서 배출 직전에 유체를 액상으로 변환하여 보다 편리하게 화재 진화 및 용수 사용을 실시할 수 있다.Through a series of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the gaseous fluid can be moved and discharged to the water collector 120, and the fluid is converted into a liquid immediately before discharge from the water collector 120 through the liquefier 190, so that fire can be extinguished and water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액화부(190)는 통로부(130) 또는 계류부(180)에서 집수부(120)로 이동하는 기체 상태의 유체를 액화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액화부(190)는 통로부(130) 및 계류부(180)와 연결된다. 즉, 액화부(190)는 계류부(180)와 연결된 상태에서 집수부(120)를 향해 형성된 통로부(130) 및 상기 집수부(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액화부(190)는 기상의 유체를 과포화시킨 후 기액분리를 통해 응결수 형태의 유체로 변화시킨다. 이를 위해, 액화부(190)는 후술할 복수의 여과부(192)를 의한 유체의 1차 유속 감소 및 응결 유도부(193)에 의한 유체의 2차 유속 감소로 발생하는 응결수 발생을 연속적으로 유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유체의 상태가 액체로 변환된다.The liquefaction unit 190 is a component for liquefying gaseous fluid moving from the passage unit 130 or the mooring unit 180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 To this end, the liquefaction unit 190 is connected to the passage unit 130 and the mooring unit 180. That is, the liquefaction part 190 is located between the passage part 130 formed toward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while connected to the mooring part 180 . The liquefaction unit 190 supersaturates the gaseous fluid and then changes it into a condensed water type fluid through gas-liquid separation. To this end, the liquefaction unit 190 continuously induces the generation of condensed water caused by the primary flow rate reduction of the fluid by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and the secondary flow rate reduction of the fluid by the condensation inducing unit 193. As a result, the state of the fluid is converted into a liqui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부(19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결 유도부(193)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여기서, “전방”은 액화부(190)에서 저장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서, 유체 공급 방향의 역방향이다. 또한,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으로서, 유체가 저장부(110)에서 이동하여 집수부(120)로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5 is a view showing a liquefaction unit 1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condensation induction unit 19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art a of FIG. 5 is enlarged. Here, “forward” is a direction from the liquefaction unit 190 toward the storage unit 110, and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uid supply direction. In addition, “rearward”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front” and means a direction in which fluid moves from the storage unit 110 to the collecting unit 120.

액화부(190)는 감소부(191), 여과부(192) 및 응결 유도부(193)를 통해 유체를 액화시킨다. 상세하게, 액화부(190)는 감소부(191) 및 여과부(192)를 통해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응결 유도부(193)를 통해 기체 상태의 유체를 응결수 형태의 유체로 변환시킨다. 이를 위해, 액화부(190)는 통로부(130) 및 집수부(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통 형태로 구비되며 내부가 개구된다. 또한, 한 쌍의 별도의 체크밸브(제1체크밸브, 제2체크밸브)가 각각 통로부(130) 및 집수부(120)에 근접하도록 액화부(190)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액화부(190)의 내부에 위치한 유체의 의도하지 않은 역류 및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The liquefying unit 190 liquefies the fluid through the reducing unit 191, the filtering unit 192, and the condensation inducing unit 193. In detail, the liquefying unit 190 reduc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rough the reducing unit 191 and the filtering unit 192, and converts the gaseous fluid into a condensed water type fluid through the condensation inducing unit 193. To this end, the liquefaction unit 19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 cylindrical or polygonal cross section located between the passage unit 130 and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and has an open interior. In addition, since a pair of separate check valves (first check valve and second check valve) are located inside the liquefaction unit 190 so as to be close to the passage part 130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unintentional reverse flow and outflow of the fluid located inside the liquefaction unit 190.

감소부(191)는 유속의 1차 감소를 유도한다. 감소부(191)는 액화부(190)의 내주면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깔때기 형태로 구비되도록 하되 점차 개구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가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액화부(190)의 전단에 위치한 별도의 체크밸브(제1체크밸브)를 통과하여 액화부(19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관경이 확대됨에 따라 유속이 감소된다.The reduction unit 191 induces a first decrease in flow rate. The reducing portion 191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quefying portion 190 gradually increases, and is provided in a funnel shape, but has a shape in which the size of the internal space gradually increases. Accordingly,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liquefaction unit 190 through the separate check valve (first check valve)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liquefaction unit 190 is reduced as the pipe diameter is enlarged.

여과부(192)는 1차 유속이 감소된 유체를 대상으로 2차 유속 감소를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여과부(192)는 감소부(191)의 후방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공극을 갖는다. 상기 공극을 통해 유체가 여과부(19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의 2차 감속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여과부(192)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감속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복수의 여과부(192)는 액화부(190)의 내부에서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일렬 배열되어 형성되도록 하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공극의 크기가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방에 위치한 여과부(192)가 갖는 공극의 크기는 후방에 위치한 여과부(192)의 공극 크기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이는 공극을 통해 여과부(19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 감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유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유체의 속력을 추가 감소시키는 복수의 여과부(192)를 통해, 유속이 빠른 기체 상태의 유체를 대상으로 유속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액화가 용이하다.The filtering unit 192 is provided to induce a secondary flow rate decrease for the fluid having a primary flow rate decrease. To this end, the filtering part 192 is located behind the reducing part 191 and has one or more air gaps. In the cours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unit 192 through the air gap, a secondary reduction in flow rate occur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may be provided to maximize a deceleration effect. In detail,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iquefying unit 190, bu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ize of the gap de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at is, the size of the air gap of the filtering unit 192 located at the front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ltering unit 192 located at the rear. This is to maximize the effect of reduc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unit 192 through the air gap.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spaced apart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to further reduce the speed of the flui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lower the flow rate of the fast-flowing gaseous fluid, so that liquefaction is easy.

응결 유도부(193)는 기체 상태의 유체를 대상으로 응결수 형태의 유체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응결 유도부(193)는 복수의 여과부(19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응결 유도부(193)는 액화부(190)의 내부면에 나사선 배열로 음각 형성되는 것으로서, 액상의 유체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응결 유도부(193)는 액화부(190)의 내주면에 식각되는 형태로 구비되되 그 형태가 빗살무늬, 3차원 나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여과부(192)를 통과하는 유체는 여과부(192)의 사이에서 응결 유도부(193)와 접하면서 액화부(19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와류와 같은 나선회전을 실시한다. 이 과정에서 복수의 여과부(192)를 각각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 차이로 인해, 복수의 여과부(192)의 사이에 위치한 응결 유도부(193)에서는 유체의 충돌관성이 발생한다. 즉, 유체의 유속 감소가 순차 적용되는 공간(복수의 여과부(192)의 사이) 상에서 응결 유도부(193)로 인한 나선형 회전으로 인해 응결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방법이 반복되어, 유체의 액화가 이루어져 집수부(120)로 이동 및 보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응결수의 발생을 유도하기 위해, 유체를 대상으로 전기분해 또는 전위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ndensation induction unit 193 is a component for converting a fluid in a gaseous state into a fluid in the form of condensation water. To this end, the condensation inducing unit 193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 In detail, the condensation induction unit 193 is formed intaglio in a spiral arrangem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quefaction unit 190, and forms a liquid fluid. Specifically, the condensation induction unit 193 is provided in a form that is etch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quefying unit 190, but the shape is formed in a comb pattern or a three-dimensional spiral shape. Accordingly,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performs spiral rotation like a vortex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liquefying unit 19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densation inducing unit 193 between the filtering units 192 . In this process, collision inertia of the fluid occurs in the condensation inducing unit 193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due to a difference in flow velocity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 That is,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due to the spiral rotation caused by the condensation inducing unit 193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where the flow velocity reduction of the fluid is sequentially applied. This method is repeated, and the fluid is liquefied and moved to and stored in the water collector 120 .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duce the generation of condensed water, a method of generating electric potential or electrolysis for a fluid may be used.

상기와 같이 유체를 액화시키는 구성이 구비됨으로써, 고도가 높은 지역으로의 이동을 위해서는 이동성이 보다 용이한 기체 상태로 이동을 실시하고, 유체의 사용 또는 보관 직전에 액상 변환할 수 있어 운반 및 보관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By having a configuration for liquefying the flui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ove to a high altitude area, the movement is carried out in a gaseous state that is easier to move, and the liquid phase can be converted immediately before use or storage of the fluid, so the transport and storage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192)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rotation of the filtering unit 19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초음파 발생부(200)는 액화부(190)의 내부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초음파 발생부(200)는 복수의 여과부(192)를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화부(19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이물질을 여과부(192)로부터 분리 및 제거한다. 초음파 발생부(200)는 선술한 제어부(160)와 IOT 등의 통신수단으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제어모듈을 통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 발생부(200)는 제어부(160)와 연결된 단말부의 입력에 따른 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시, 초기 액화부(190)의 내부에서 구동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한다. 이후, 단말부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160)가 초음파 발생부(200)에 구동을 지시하고, 초음파 발생부(200)는 이에 대응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킨다.The ultrasonic generator 200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side of the liquefier 190 . In detail, the ultrasonic generator 200 is for cleaning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and separate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ltering unit 192 by generating ultrasonic waves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liquefying unit 190. The ultrasonic generato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160 and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IOT, or driven through a separate control module. Accordingly, the ultrasonic generator 200 waits in an undriven state inside the initial liquefaction unit 190 when no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terminal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60 instructs the ultrasonic generator 200 to driv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terminal unit,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200 generates ultrasonic waves in response thereto.

여과부(192)는 양단이 액화부(190)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별도의 회전축(s)과 체결된다. 상기 회전축(s)은 액화부(190)의 중심축과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막대 형태로 구비되어 여과부(192)에 관통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s)이 액화부(190)와 연결된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되도록 구동됨으로써,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여과부(192)는 기존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하는 면이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filtering unit 192 are coupled to a separate rotational shaft 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quefying unit 190 . The rotating shaft (s) is provided to be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of the liquefying unit 19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and is provided through the filtering unit 192. Here, the rotating shaft s is driven to rotate through a separate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liquefier 190, so that the existing front and rearward facing surfaces of the filtering unit 192 rotating around the rotating shaft s ar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espectively. It can be rotated 90 degrees.

여과부(192)의 전면 및 후면이 액화부(190)의 전면 및 후면과 직교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선술한 초음파 발생부(200)가 삽입 및 구동됨으로써 여과부(192)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과부(192)의 유속 저하 관련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ltering unit 192 are rotat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iquefying unit 190,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ltering unit 192 can be removed by inserting and driving the ultrasonic generator 200 described abov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ing unit 192 from deteriorating in relation to the flow rate redu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ROM, or any other form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0)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110);
상기 유체가 이동되어 수집되는 집수부(120); 및
상기 집수부(120)와 연결되고, 상기 집수부(120) 내 유체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
A storage unit 110 for storing fluid;
a water collector 120 in which the fluid is moved and collected; and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comprising a; controller 160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or 120 and controlling the fluid in the water collector 120 to be spray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10) 및 집수부(120)를 연결하는 통로부(130); 및
양단이 상기 저장부(110) 및 통로부(130)와 연결되고, 상기 유체를 기화시키는 기화부(140);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assage part 130 connecting the storage part 110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and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further comprising a vaporization unit 14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110 and the passage unit 130 and vaporizing the fluid.
제 2 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통로부(130) 및 집수부(120)와 연결되고, 상기 통로부(130)의 내부에 위치한 기체 상태의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는 송풍부(151);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passage part 130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120, and a blowing part 151 for moving the fluid in a gaseous state located inside the passage part 130;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15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부(152);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ower generation unit 152 for supplying power to the blower unit 15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130)와 연결되고 액상의 유체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계류부(180);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mooring parts 180 connected to the passage part 130 and temporarily storing liquid flui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180) 및 집수부(120) 내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부(170);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easurement unit 170 for measuring the flow rate in the mooring unit 180 and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는 통신연결된 단말부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집수부(120)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는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or 6,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based on the input of the communication connected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130)에서 집수부(120)로 이동하는 기상의 상기 유체를 액화시키는 액화부(190);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further comprising a liquefaction unit 190 for liquefying the gas phase fluid moving from the passage unit 130 to the water collection unit 1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부(190)는,
상기 통로부(130)에서 이동되는 기상의 상기 유체의 속력을 감소시키는 감소부(191);
상기 유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속력을 추가 감소시키는 복수의 여과부(192); 및
상기 복수의 여과부(192)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액화부(190)의 내주면에 나사선 배열로 음각 형성되어 액상의 유체를 형성하는 응결 유도부(193);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liquefaction unit 190,
a reducing unit 191 for reducing the speed of the gas phase fluid moving in the passage unit 130;
A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spaced apart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to further reduce the speed of the fluid; and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comprising a; condensation induction unit 193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192 and formed intaglio in a spiral arrangemen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quefying unit 190 to form liquid flui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192)는 상기 액화부(190)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마트 화재예방 급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filtration unit 192 is a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that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s)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of the liquefaction unit 190.
KR2020220000160U 2022-01-20 2022-01-20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KR2004978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160U KR200497871Y1 (en) 2022-01-20 2022-01-20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KR2020240000438U KR20240000563U (en) 2022-01-20 2024-03-12 Constan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KR2020240000439U KR20240000568U (en) 2022-01-20 2024-03-12 Water supply system with electrolysis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160U KR200497871Y1 (en) 2022-01-20 2022-01-20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40000439U Division KR20240000568U (en) 2022-01-20 2024-03-12 Water supply system with electrolysis function
KR2020240000438U Division KR20240000563U (en) 2022-01-20 2024-03-12 Constan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506U true KR20230001506U (en) 2023-07-27
KR200497871Y1 KR200497871Y1 (en) 2024-03-21

Family

ID=8742604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160U KR200497871Y1 (en) 2022-01-20 2022-01-20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KR2020240000439U KR20240000568U (en) 2022-01-20 2024-03-12 Water supply system with electrolysis function
KR2020240000438U KR20240000563U (en) 2022-01-20 2024-03-12 Constan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40000439U KR20240000568U (en) 2022-01-20 2024-03-12 Water supply system with electrolysis function
KR2020240000438U KR20240000563U (en) 2022-01-20 2024-03-12 Constan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497871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01Y1 (en) * 2000-07-20 2001-01-15 이성문 Putting out apparatus of forest fire
KR20030004740A (en) * 2001-07-06 2003-01-15 주성엔지니어링(주) Liquid reagent delivery system and process method using the same
KR102048724B1 (en) * 2018-01-31 2019-11-27 엄기현 The water storage tank to prevent the spread of forest fi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01Y1 (en) * 2000-07-20 2001-01-15 이성문 Putting out apparatus of forest fire
KR20030004740A (en) * 2001-07-06 2003-01-15 주성엔지니어링(주) Liquid reagent delivery system and process method using the same
KR102048724B1 (en) * 2018-01-31 2019-11-27 엄기현 The water storage tank to prevent the spread of forest f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563U (en) 2024-03-29
KR200497871Y1 (en) 2024-03-21
KR20240000568U (en)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5295T3 (en)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the power output of a turbine
US9234725B2 (en) Green energy mine defeat system
EP3587265B1 (en) Air-transportable device for projecting pressurised liquid
JP4400891B2 (en) 3D area cooling system
KR100706084B1 (en) watering apparatus for protecting forest
US20170159649A1 (en) Compressed air storage a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compressed air storage and power generation method
EP0933097A2 (en) Fire fighting equipment
EP3600573B1 (en) A compressed air artificial wind system, firefight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EP1053935A1 (en)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s from an aircraft and related device
US20100213719A1 (en) Concentrator for wind power station and aeolian grid
CN102921138A (en) Detector-sprinkler-based movable automatic fire-extinguishing system
CN110215782B (en) Intelligent spray dust settling method and system for storage yard
US20170153091A1 (en) Green energy mine defeat system
WO2011018747A2 (en) Universal renewable global energy machine nature systems
CN109167296B (en) High-voltage line floating and hanging intelligent obstacle clea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KR20230001506U (en) Smart fire prevention water supply system
JP2022543405A (en)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CN111659059A (en) Pre-installed turbofan gun foam-water mist fire extinguishing system
CN108525178B (en) Multipurpose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08437721A (en) A kind of hovercar for fire extinguishing
CN205252376U (en) Building fire extinguishing systems
JPH08272329A (en) Method for generating artificial rainbow and device therefor
WO20020768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liquid mist
KR20040097100A (en) a dence fog removal system and method of the runway and road
KR200397903Y1 (en) watering apparatus for protecting fo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