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481U -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481U
KR20230001481U KR2020220000111U KR20220000111U KR20230001481U KR 20230001481 U KR20230001481 U KR 20230001481U KR 2020220000111 U KR2020220000111 U KR 2020220000111U KR 20220000111 U KR20220000111 U KR 20220000111U KR 20230001481 U KR20230001481 U KR 202300014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fan
mobile phone
cradle
magne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환 filed Critical 김정환
Priority to KR2020220000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481U/ko
Publication of KR20230001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81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탈착부와 탈착부의 일면에 구비된 자석부 및 자석부의 일측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 홀더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A HOLDER FOR HOLDING A PORTABLE FAN ON A CELL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를 휴대폰의 후면에 구비된 홀더부에 끼워 팬이 휴대폰의 상부에 견고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선풍기는 기존의 부채와 같이 팔과 손목의 힘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쉽게 바람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수년 전부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휴대용 선풍기는 한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고, 파지한 손으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는 휴대용 선풍기를 파지한 한 손은 오로지 휴대용 선풍기를 잡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사용자는 휴대용 선풍기를 잡지 않은 다른 한 손만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불편이 있다.
즉,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사람이나 간헐적이나마 양손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함을 넘어 무용지물의 기기가 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의복 또는 신체 부위에 쉽게 고정 결합할 수 있는 휴대용 선풍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5398호(2017.12.26.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5840호(2018.02.23. 등록) 등에서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휴대용 선풍기는 휴대용 선풍기를 의복 또는 신체에 고정하여 설치함에 따라 사용 시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용 선풍기를 파지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의복이나 신체에 고정하는 휴대용 선풍기는 바람을 쐬고자 하는 얼굴부위 전체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부위에 바람 방향을 조절하기 어렵고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5398호(2017.12.26.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5840호(2018.02.23.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후면에 홀더부와 자석부를 형성하고,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에 자석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밀착부를 형성하여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를 홀더부에 끼워 밀착부와 자석부를 자력으로 결합시켜, 팬이 휴대폰의 상부에 견고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홀더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링의 내측을 따라 고무, 실리콘, 탄성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리브를 형성하여 휴대용 손잡이가 가이드링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한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의 일면에 구비된 자석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일측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 홀더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상기 탈착부의 일면에 접착된 내측케이스와 상기 내측케이스를 커버하는 외측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자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상기 휴대폰의 상부에 상기 휴대용 선풍기의 팬이 노출될 수 있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에 상기 자석과 다른 극성의 자석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가 끼워지는 링 형상의 가이드링; 및 상기 자석부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링의 일측이 회동되게 끼워지는 절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을 따라 고무, 실리콘, 탄성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리브를 형성한 마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넓이가 좁아지는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링으로 끼워진 상기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를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는, 상기 탈착부의 테두리로부터 회동되게 돌출되어 상기 홀더부에 거치된 상기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는, 휴대폰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된 체결부; 및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에 부착되고, 상기 체결부에 억지 끼움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판; 상기 메인판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되고,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띠; 및 상기 체결띠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고리부의 미는 힘에 대응하여 휘어짐으로써, 상기 고리부가 상기 체결띠를 수용하도록 억지끼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는 휴대용 선풍기를 휴대폰의 후면에 끼워 팬이 휴대폰의 상부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휴대용 선풍기를 작동시켜 더위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석부와 밀착부의 결합으로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를 휴대폰의 후면에 견고하게 위치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동작에도, 휴대용 선풍기가 휴대폰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는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의 지름이 가이드링의 지름보다 작더라도 가이드링의 내부에 리브를 형성한 밀착부에 의해 가이드링의 내부에서 휴대용 선풍기가 흔들리거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는 휴대폰의 후면에 체결부를 부착하고,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에 고리부를 구비하여 체결부에 고리부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결부의 원의 중심을 축으로 4방향으로 고리부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의 화면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대응하여 휴대용 선풍기를 위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결부를 서브탈착부로부터 분리하여 바닥에 배치하고,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를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 체결부에 구비된 자석부에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를 자력으로 결합하여 별도의 미니 선풍기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홀더부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휴대용 선풍기가 거치된 휴대폰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홀더부의 마찰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마찰부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외관을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체결부에 휴대용 선풍기를 처기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휴대용 선풍기가 거치된 휴대폰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휴대용 선풍기를 체결부의 일면에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홀더부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휴대용 선풍기가 거치된 휴대폰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홀더부의 마찰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마찰부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0)는 탈착부(100), 자석부(200) 및 홀더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0)는 휴대폰(11)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탈착부(100), 탈착부의 일면에 구비된 자석부(200) 및 상기 자석부의 일측에 휴대용 선풍기(12)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 홀더부(3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탈착부(100)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고 일면에 후술하는 자석부(200)가 형성되고, 타면에 점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휴대폰(11)의 후면에 부착된다.
또한, 탈착부(100)는 테두리를 따라 일면보다 돌출되는 가이드벽(111)을 형성하여 탈착부(100)의 테두리를 보호해준다.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서 탈착부(100)는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 뿐 아니라, 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및 마름모 형상 등 다양한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석부(200)는 탈착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에 부착한 밀착부(230)를 자력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자석(201)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자석부(200)는 케이싱(210) 및 수용부(220)를 더 포함한다.
케이싱(210)은 탈착부(100)의 일면에 접착된 내측케이스(211)와 내측케이스(211)를 커버하는 외측케이스(212)로 이루어진다.
내측케이스(21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의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벽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내측케이스(211)의 벽체의 외측을 따라 돌기가 형성된다.
외측케이스(212)는 내측케이스(211)의 크기에 대응하여 외측벽체를 형성하되, 내측케이스(211)에 형성된 벽체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내측케이스(211)의 돌기에 대응하여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220)는 케이싱(210)의 내부에 자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수용부(220)는 내측케이스(211)의 벽체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케이스(212)의 외측벽체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자석(201)을 제1 수용공간에 먼저 수용하고 제2 수용공간으로 제1 수용공간을 폐쇄하여 수납시키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자석부(200)는 밀착부(230)를 더 포함한다.
밀착부(230)는 휴대폰(11)의 상부에 휴대용 선풍기(12)의 팬이 노출될 수 있는 위치가 되도록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에 자석(201)과 다른 극성의 자석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즉, 밀착부(230)는 수용부(220)에 수납된 자석(201)과 자력으로 결합되기 위한 다른 극성의 자석 또는 금속을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에 부착시키되, 팬이 휴대폰(11)의 상부에 노출될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한 손으로 휴대폰(11)을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휴대폰(11)의 화면을 조작하면서 휴대용 선풍기(12)의 바람을 쐴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홀더부(300)는 자석부(200)의 일측에 휴대용 선풍기(12)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홀더부(300)는 가이드링(310) 및 절첩부(32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링(310)은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가 끼워지는 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절첩부(320)는 자석부(200)의 일측에 가이드링(310)의 일측이 회동되게 끼워지는 것으로, 휴대용 선풍기(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링(310)을 탈착부(100)의 일면방향으로 위치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부(300)는 마찰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330)는 가이드링(310)의 내측을 따라 고무, 실리콘, 탄성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리브를 형성한다.
특히, 마찰부(330)는 가이드링(310)의 내측으로 삽입된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에 마찰력을 인가하여 손잡이가 움직이는 것을 감소시킨다.
일례로, 가이드링(310)의 지름보다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의 지름이 현저하게 작은 경우,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가 가이드링(3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자석부(200)의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휴대폰(11)의 조작으로 무게중심이 변하여 자석부(200)의 자력이 약해지면 휴대용 선풍기(12)가 가이드링(310)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마찰부(330)는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의 외측에 마찰력을 인가하여 움직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마찰부(330)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넓이가 좁아지는 경사를 형성하여 가이드링(310)으로 끼워진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를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마찰부(330)는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가 가이드링(310)에 끼워질 때, 손잡이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손잡이의 이동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때, 경사면에 의해 손잡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면이 넓어져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0)는 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0)는 탈착부(100)의 테두리로부터 회동되게 돌출되어 홀더부(300)에 거치된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부(400)는 가이드벽(111)의 일측에 회동되게 결합되어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가 가이드링(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동할 때,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도 병행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선풍기(12)의 무게를 지지하여 자석부(200)에 인가되는 하중을 덜어주는 것이다.
이하, 각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탈착부(100)의 타면을 휴대폰(11)의 후면에 접착시킨다. 그리고 도 3의 (a)의 상태에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링(310)을 탈착부(100)의 일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첩부(320)를 축으로 회동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를 가이드링(310)의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밀착부(230)는 휴대용 선풍기(12)의 팬이 휴대폰(11)의 상부에 노출될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하여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에 미리 부착한다.
이로 인해,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가 가이드링(310)의 내측을 지나 탈착부(100)에 구비된 자석부(200)의 자석(201)과 밀착부(230)가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링(310)을 탈착부(100)의 일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첩부(320)를 축으로 회동 시, 지지부(400)도 회동하여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는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바를 참고하며, 변형된 구성요소인 서브탈착부(500), 체결부(600) 및 고리부(7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므로, 도 7 내지 도 11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생략될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외관을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체결부에 휴대용 선풍기를 처기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휴대용 선풍기가 거치된 휴대폰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휴대용 선풍기를 체결부의 일면에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탈착부(500), 체결부(600) 및 고리부(8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0)는 휴대폰(11)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서브탈착부(500), 탈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된 체결부(600),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에 부착되고, 체결부에 억지 끼움되는 고리부(700)를 포함한다.
서브탈착부(500)는 휴대폰(11)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일면은 점성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서브탈착부(500)는 일면의 테두리가 휴대폰(11)의 후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후술하는 체결부(600)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체결부(600)는 탈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체결부(600)는 메인판(610), 체결띠(620) 및 체결홈(630)을 더 포함한다.
메인판(6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실시예의 탈착부(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메인판(610)은 서브탈착부(500)에 결합되도록 타면에 슬라이딩 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홈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메인판(610)을 배치시 지지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체결띠(620)는 메인판(6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되고,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체결띠(620)가 메인판(6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됨으로써, 고리부(700)가 체결홈(630)에 끼워지는 경우, 고리부(700)의 고리가 메인판(61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홈(630)은 체결띠(62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된 홈을 형성하고,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특히, 체결홈(630)은 고리부(700)의 미는 힘에 대응하여 휘어짐으로써, 고리부(700)가 체결띠(620)를 수용하도록 억지끼움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리부(700)는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에 부착되고, 체결부(600)에 억지 끼움되는 고리로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0)는 체결부(600)의 일면에 구비된 자석부(200)와 자석부(200)의 일측에 회동되게 형성된 홀더부(3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자석부(200) 및 홀더부(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각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탈착부(500)를 휴대폰(11)의 후면에 부착한다. 그리고 서브탈착부(500)에 체결부(600)를 형성하는 메인판(610)을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다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600)의 위치에 대응하여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에 고리부(700)를 부착한다.
이때, 휴대용 선풍기(12)의 팬이 휴대폰(11)의 외측으로 노출 될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부(700)는 메인판(610)의 일면에 구비된 체결띠(620)의 상단부터 체결하고, 하단을 향향 눌러 체결한다.
이때, 체결띠(620)에 형성된 체결홈(630)을 고리부(700)로 밀어 넣기 때문에 체결홈(630)이 휘어지면서 고리부(700)가 체결띠(620)에 억지끼움 된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띠(620)에 고리부(70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인해 휴대폰(11)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휴대폰(11)의 화면을 보는 방향에 대응하여 휴대용 선풍기(12)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의 말단의 단부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도 형성된 자석부(200)에 자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판(610)을 서브탈착부(500)로부터 분리하여 바닥면에 배치한다. 그리고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를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운 후, 휴대용 선풍기(12)의 손잡이의 말단에 구비된 자석과 메인판(610)의 일면에 구비된 자석부(200)를 자력으로 결합시켜 휴대용 선풍기(12)를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20 :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11 : 휴대폰 12 : 휴대용 선풍기
100 : 탈착부 110 : 보호벽
200 : 자석부 210 : 케이싱
211 : 내측케이스 212 : 외측케이스
220 : 수용부 230 : 밀착부
300 : 홀더부 310 : 가이드링
320 : 절첩부 330 : 마찰부
400 : 지지부 500 : 서브탈착부
600 : 체결부 610 : 메인판
620 : 체결띠 630 : 체결홈
700 : 고리부

Claims (10)

  1. 휴대폰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의 일면에 구비된 자석부; 및
    상기 자석부의 일측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 홀더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상기 탈착부의 일면에 접착된 내측케이스와 상기 내측케이스를 커버하는 외측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자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상기 휴대폰의 상부에 상기 휴대용 선풍기의 팬이 노출될 수 있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에 상기 자석과 다른 극성의 자석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가 끼워지는 링 형상의 가이드링; 및
    상기 자석부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링의 일측이 회동되게 끼워지는 절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을 따라 고무, 실리콘, 탄성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리브를 형성한 마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넓이가 좁아지는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링으로 끼워진 상기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를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의 테두리로부터 회동되게 돌출되어 상기 홀더부에 거치된 상기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8. 휴대폰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된 체결부; 및
    휴대용 선풍기의 손잡이에 부착되고, 상기 체결부에 억지 끼움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판;
    상기 메인판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되고,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띠; 및
    상기 체결띠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고리부의 미는 힘에 대응하여 휘어짐으로써, 상기 고리부가 상기 체결띠를 수용하도록 억지끼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KR2020220000111U 2022-01-14 2022-01-14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KR202300014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111U KR20230001481U (ko) 2022-01-14 2022-01-14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111U KR20230001481U (ko) 2022-01-14 2022-01-14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81U true KR20230001481U (ko) 2023-07-21

Family

ID=8742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111U KR20230001481U (ko) 2022-01-14 2022-01-14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481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398Y1 (ko) 2017-09-01 2018-01-02 김영래 손 선풍기
KR200485840Y1 (ko) 2017-12-05 2018-03-02 김영래 손 선풍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398Y1 (ko) 2017-09-01 2018-01-02 김영래 손 선풍기
KR200485840Y1 (ko) 2017-12-05 2018-03-02 김영래 손 선풍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18071A1 (en) Phone grip attachment
US930661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8631980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5533809A (en) Remote control caddy
US5464180A (en) Support set of golf club bag
US11213142B2 (en) Mobile device stand, stand system and combined case for mobile device
KR200470116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US9192214B2 (en) Pole caddy for display of indicia and method of displaying said indicia
US9737132B2 (en) Movemen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US6920650B2 (en) Portable outdoor toilet with advertising indicia
US20200214408A1 (en) Terminal holder and terminal case
US20140001081A1 (en) Protective holder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284525B2 (en) Storage accessor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960354B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60118995A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KR20230001481U (ko) 휴대폰에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CN112166281B (zh) 可调节式移动设备悬挂器
KR200447150Y1 (ko) 이동 정보 단말기용 케이스
US20050106018A1 (en) Necklace fan
CN216976289U (zh) 一种磁吸指环支架
CN206658236U (zh) 可自由旋转的指环形手机支架
KR101479854B1 (ko) 지팡이 걸이
JP3163103U (ja) 携帯端末機器用スタンド
CN208161027U (zh) 陀螺组件
CN210329671U (zh) 一种可放置蓝牙键盘的平板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