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71U - 디지털 계량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71U
KR20230001371U KR2020210003949U KR20210003949U KR20230001371U KR 20230001371 U KR20230001371 U KR 20230001371U KR 2020210003949 U KR2020210003949 U KR 2020210003949U KR 20210003949 U KR20210003949 U KR 20210003949U KR 20230001371 U KR20230001371 U KR 202300013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housing
fluid
accumulator
diaphragm memb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석
Original Assignee
서울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3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71U/ko
Publication of KR20230001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1Means for regulating or setting the meter for a predetermined quant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G01F1/11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comprising means to prevent frau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계량기의 점검 등을 위해 사용자가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하는 적산부를 임의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적산부가 사용량을 적산하지 않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유체를 공급받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량이 적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본체 하우징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격판부재; 및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PCB 기판부,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량을 통해 적산되는 유체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기, 및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PCB 기판부와 상기 유량 표시기를 보호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는 적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판부재와 대향하는 케이싱부재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제어 돌기부로서,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상기 적산부가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계량기{DIGITAL METER}
본 고안은 디지털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계량기의 점검 등을 위해 사용자가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하는 적산부를 임의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적산부가 사용량을 적산하지 않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유체를 공급받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량이 적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계량기에 관한 고안이다.
실생활에 사용하고 있는 가스계량기와 전력량계는 사용 매체의 흐름 방향에 따라 타입을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수도 계량기, 온수 계량기, 적산 열량계 등의 유체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량기의 경우 유체의 흐름에 따라 별도의 타입을 구분하지 않고 있다.
즉, 수도 계량기, 온수 계량기, 적산 열량계 등의 유체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는 설치된 후 사용량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유체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기가 장착된 적산부를 회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수도 계량기, 온수 계량기, 적산 열량계 등의 유체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는 하우징 내에 유체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가 구비되어 임펠러의 회전수를 통해 유체의 사용량을 측정하고 있다.
계량기는 유량 표시기가 임펠러의 회전축에 기어 구조로 맞물려 작동되는 기계식 계량기와, 임펠러의 회전축에 자석 또는 반사판 등이 장착되고 PCB 기판에서 센서를 통해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임펠러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측정하고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값으로서 유량 표시기로 표시하는 적산부가 구성되는 디지털 계량기로 구분된다.
기계식 계량기는 적산부에 위치된 유량 표시기가 기어에 맞물려 임펠러와 연결된 구조로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적산부를 회전시키고, 되돌아 오는 경우 기어의 중심축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반면에, 디지털 계량기의 경우에는 센서를 통해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유체가 유체 공급부 측에서 유체 사용처 측으로 정상적으로 흘러 임펠러가 정"?*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만 적산부가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사용량을 적산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계량기의 경우 점검 등을 이유로 유체를 공급받지 않아 임펠러가 실제 회전하지 않고 있음에도 사용자가 임의로 임펠러 상부에 위치하는 적산부를 임펠러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적산부가 임펠러의 정방향 회전으로 감지하여 사용량을 잘못 적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1999-0037062호(1999년 5월 25일, 공개) "디지털 계량기"
본 고안은 디지털 계량기의 점검 등을 위해 사용자가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하는 적산부를 임의로 회전시키는 경우, 적산부가 사용량을 적산하지 않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유체를 공급받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량이 적산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일 실시예는 일측에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본체 하우징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격판부재; 및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PCB 기판부,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량을 통해 적산되는 유체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기, 및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PCB 기판부와 상기 유량 표시기를 보호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는 적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판부재와 대향하는 케이싱부재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제어 돌기부로서,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상기 적산부가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는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상기 적산부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한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는,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상기 적산부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한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형상의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걸림 지지용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 해제용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걸림 지지용 스프링부재는 상기 걸림 해제용 삽입부 내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는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상기 적산부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한 경사면을 가지는 일자형 탄성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는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상기 적산부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위치되는 경사 탄성편, 상기 경사 탄성편의 단부에서 꺾여진 지지편을 포함하여 삼각 탄성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케이싱부재의 하면과 단부가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경사 탄성편이 상기 격판부재의 상면에 눌려질 때 단부 측이 상기 케이싱부재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경사 탄성편이 눌려지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는 일측에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본체 하우징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격판부재;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PCB 기판부,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량을 통해 적산되는 유체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기, 및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PCB 기판부와 상기 유량 표시기를 보호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는 적산부; 및 서로 맞닿은 상기 본체 하우징부와 상기 케이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 감싸 상기 본체 하우징부와 상기 케이싱부재가 접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원형띠 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제어 돌기부로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본체 하우징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적산부가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제어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일측에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본체 하우징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격판부재;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PCB 기판부,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량을 통해 적산되는 유체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기, 및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PCB 기판부와 상기 유량 표시기를 보호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는 적산부; 및 서로 맞닿은 상기 본체 하우징부와 상기 케이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 감싸 상기 본체 하우징부와 상기 케이싱부재가 접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원형띠 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제어 돌기부로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케이싱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적산부가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제어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디지털 계량기의 점검 등을 위해 사용자가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하는 적산부를 임의로 회전시키는 경우, 적산부가 사용량을 적산하지 않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유체를 공급받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량이 적산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유체의 사용량에 따른 요금을 정확하게 부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에서 회전 제어 돌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에서의 회전 제어 돌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일 실시예는 일측에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본체 하우징부(100)를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부(100)는 양측에 각각 유체 공급용 연결관부(110)와 유체 배출용 연결관부(120)가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어 유체를 이송하는 유체 이송관부에 연결된다.
유체 공급용 연결관부(110)는 본체 하우징부(100) 내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측에 연결되고, 유체 배출용 연결관부(120)는 본체 하우징부(100)의 내부를 통과한 유체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측 즉, 사용처 측에 연결된다.
유체 공급용 연결관부(110)와 유체 배출용 연결관부(120)의 단부 측에는 각각 나사결합부가 외주면에 위치되어 나사 결합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유체 이송관부에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유체 공급용 연결관부(110)와 유체 배출용 연결관부(1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지의 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두다.
본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는 흐르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부(200)가 위치된다.
임펠러부(200)는 본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부재(210),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날개부재(220)를 포함한다.
임펠러부(200)는 흐르는 유체가 날개부재(220)에 부딪치면서 회전축부재(210)를 중심으로 날개부재(220)가 회전된다.
날개부재(220)는 회전축부재(210)에 세워져 위치되며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고, 공지의 계량기에 적용되는 임펠러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부(100)의 상부는 임펠러부(200)의 회전을 감지하는 PCB 기판부(320)와 임펠러부(200)의 회전량을 통해 적산되는 유체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기(330)가 장착된 적산부(300)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격판부재(130)가 결합되어 밀폐된다.
적산부(300)는 본체 하우징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위치되는 케이싱부재(310), 기판 케이싱부재(3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임펠러부(200)의 회전을 감지하는 PCB 기판부(320), PCB 기판부(320)에 실장되고 PCB 기판부(320)에서 감지된 임펠러부(200)의 회전량을 통해 적산되는 유체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기(330)를 포함한다.
또한, 임펠러부(200)의 회전축부재(210)에는 PCB 기판에서 감지하여 회전축부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반사판 또는 자석이 위치된다.
PCB 기판부(320)은 반사판 또는 자석을 감지할 수 있는 2개 이상 즉, 복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전축부재(210)는 상단부에 반사판 또는 자석이 복수로 분할되어 위치되고, PCB 기판부(320)에는 분할된 반사판 또는 자석을 감지할 수 있는 2개 이상 즉, 복수의 감지센서가 연결된다.
회전축부재(210)의 상단부에는 2개로 분할된 자석부가 위치되고, PCB 기판부(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부(340)는 2개로 분할된 자석부의 자력을 감지하는 2개의 감지센서가 수직 방향 즉, 회전축부재(21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되어 회전축부재(210)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감지하고, 사용량을 적산하며 적산된 사용량을 유량 표시기(330)로 표시한다.
PCB 기판부(320)가 센서부(340)를 통해 임펠러부(200)의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적산부(300)는 유체가 유체 공급부 측에서 유체 사용처 측으로 정상적으로 흘러 임펠러부(200)가 일 방향(이하, '정방향 회전 방향'이라 함)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만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사용량을 적산하지 않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반사판 또는 자석, PCB 기판을 이용하여 임펠러부(200)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감지하고, 이를 유량 표시기(330)로 표시하는 구조는 공지된 디지털 계량기의 유체 사용량 감지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일 실시예는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140)에 삽입되거나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제어 돌기부(400)가 격판부재(350)와 대향하는 케이싱부재(310)의 하면 상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케이싱부재(310)의 하면 상에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일 실시예는 임펠러부(200)의 회전 방향을 표시하여 유체 공급용 연결관부(110)와 유체 배출용 연결관부(120)의 위치 즉, 본체 하우징부(100)의 장착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유체 방향 표시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체 방향 표시부(500)는 유체 공급부 측에서 유체 사용처 측으로 흐르는 유체에 의해 임펠러부(200)가 일 방향(정방향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적산부(300)가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체 공급용 연결관부(110)와 유체 배출용 연결관부(120)의 위치를 지정하여 설치 시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유체 방향 표시부(5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살표 또는 문자 등의 공지의 표시 방법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실시될 수 있다.
디지털 계량기의 점검 등을 위해 사용자가 임펠러부(200)와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산부(300)를 임의로 회전시키는 경우, 특히 유체를 사용하지 아니하여 임펠러부(200)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음에도 적산부(300)를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적산부(300)가 임펠러부(20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하여 사용량을 적산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임펠러부(200)와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산부(300)를 사용자가 임의로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차단하도록 회전 제어 돌기부(400)가 격판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거나 격판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적산부(300)가 사용량을 적산하지 않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제 유체를 공급받지 않고 있음에도 디지털 계량기의 점검 등을 위해 사용자가 적산부(300)를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적산부(300)가 사용량을 적산할 수 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에서, 회전 제어 돌기부(400)가 형성된 케이싱부재(310)의 하면 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부분확대도를 참조하면,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단면이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격판부재(130) 상부에서 적산부(300)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한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고,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14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제어 돌기부(400)의 수직면은 적산부(300)가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홈부(140)의 측면과 맞닿아 걸려 적산부(30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경사면은 수직면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적산부(300)가 사용량을 적산하지 않는 방향 즉,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싱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일정량의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적산부(300)가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경사면에 의해 홈부(140)의 측면을 넘어 회전이 가능하나, 적산부(300)가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수직면이 홈부(140)의 측면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다.
비록 도 1에서는 회전 제어 돌기부(400)가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140)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회전 제어 돌기부(400)가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회전 제어 돌기부(400)가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거나 돌출부에 걸려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별도의 부재를 고정 설치하고, 회전 제어 돌기부(400)가 별도의 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거나 돌출부에 걸려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에서의 회전 제어 돌기부(4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2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제어 돌기부(400)의 다른 실시예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격판부재(130) 상부에서 적산부(300)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한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형상의 걸림부재(410), 걸림부재(410)를 탄성 지지하는 걸림 지지용 스프링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부재(310)에는 걸림부재(410)가 삽입되는 걸림 해제용 삽입부(310a)가 위치되고, 걸림 지지용 스프링부재(420)는 걸림 해제용 삽입부(310a) 내에서 걸림부재(410)를 탄성 지지한다.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의 상부에서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140)의 측면 또는 돌출부의 측면이 걸림부재(410)의 경사면을 밀면서 걸림부재(410)를 누르게 되고, 걸림부재(410)가 걸림 해제용 삽입부(310a) 내로 삽입됨으로써 적산부(300)가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적산부(300)의 회전으로 걸림부재(410)는 격판부재(130)의 홈부(140)에 다시 삽입되면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반복되면서 적산부(300)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적산부(30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할 때는 걸림부재(410)의 수직면에 홈부(140)의 측면이 맞닿아 걸리면서 적산부(300)가 다른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에서의 회전 제어 돌기부(4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격판부재(350)와 대향하는 케이싱부재(31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비스듬하게 즉, 경사지게 돌출되는 일자형 탄성편일 수 있다.
일자형 탄성편은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의 상부에서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140) 또는 돌출부의 측면이 경사면을 누르면 눌려져 적산부(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반복되면서 적산부(300)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일자형 탄성편은 적산부(300)가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경사지게 위치된 단부 측에 홈부(140) 또는 돌출부의 측면이 걸리면서 적산부(300)가 다른 한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적산부(300)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140) 또는 돌출부가 일자형 탄성편의 경사면을 누르면서 자연스럽게 일자형 탄성편을 통과하면서 회전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탄성편의 단부 측에 걸리면서 회전이 제한된다.
도 4를 참고하면,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격판부재(350)와 대향하는 케이싱부재(310)의 하면에서 경사지게 위치되는 경사 탄성편(400a), 경사 탄성편(400a)의 단부에서 꺾여진 지지편(400b)을 포함하여 삼각 탄성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편(400b)은 케이싱부재(310)의 하면과 단부가 이격되게 위치되어 경사 탄성편(400a)이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140) 또는 돌출부의 측면에 눌려질 때 단부 측이 케이싱부재(310)의 하면에 지지되어 경사 탄성편(400a)이 눌려지는 범위를 제한하여 경사 탄성편(400a)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경사 탄성편(400a)은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의 상부에서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140) 또는 돌출부의 측면이 경사면을 누르면 눌려져 적산부(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반복되면서 적산부(300)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지지편(400b)은 경사 탄성편(400a)이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140) 또는 돌출부의 측면에 눌려질 때 단부가 케이싱부재(310)의 하면에 지지되어 적산부(300)가 회전될 수 있는 만큼만 기울어지게 한다.
그리고, 적산부(300)가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지지편(400b)이 홈부(140) 또는 돌출부의 측면에 걸리면서 적산부(300)가 다른 한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적산부(300)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격판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140) 또는 돌출부가 경사 탄성편(400a)의 경사면을 누르면서 자연스럽게 경사 탄성편(400a)을 통과하면서 회전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지지편(400b)에 걸리면서 회전이 제한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는 서로 맞닿은 본체 하우징부(100)와 케이싱부재(310)의 외주면을 따라서 감싸 본체 하우징부(100)와 케이싱부재(310)가 접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원형띠 형상의 고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00)는 본체 하우징부(100)의 외주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본체 하우징부(10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고정부(600)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케이싱부재(31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홈부(640)에 삽입되어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 상부에서 한 방향 즉,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산부(300)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한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형상을 갖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자형 탄성편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 탄성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원리와 동일한 방식에 따라, 회전 제어 돌기부(400)는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의 상부에서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케이싱부재(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부(640)의 측면이 경사면을 누르면서 적산부(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반복되면서 적산부(300)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반면, 적산부(300)가 임펠러부(200)의 정방향 회전 방향과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회전 제어 돌기부(400)가 홈부(640)의 측면에 걸리면서 적산부(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비록 도 5에서는 고정부(600)가 본체 하우징부(100)의 외주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600)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 제어 돌기부(400)가 케이싱부재(31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홈부(640)에 삽입되어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고정부(600)가 케이싱부재(310)의 외주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600)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 제어 돌기부(400)가 본체 하우징부(10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홈부(640)에 삽입되어 적산부(300)가 격판부재(130)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계량기는 점검 등을 위해 사용자가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하는 적산부를 임의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적산부가 사용량을 적산하지 않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유체를 공급받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량이 적산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실제 유체의 사용량에 따른 요금을 정확하게 부과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하우징부 110 : 유체 공급용 연결관부
120 : 유체 배출용 연결관부 130 : 격판부재
140 : 홈부 200 : 임펠러부
210 : 회전축부재 220 : 날개부재
300 : 적산부 310 : 케이싱부재
310a : 걸림 해제용 삽입부 320 : PCB 기판부
330 : 유량 표시기 340 : 센서부
400 : 회전 제어 돌기부 400a : 경사 탄성편
400b : 지지편 410 : 걸림부재
420 : 걸림 지지용 스프링부재 500 : 유체 방향 표시부

Claims (8)

  1. 일측에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본체 하우징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격판부재; 및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PCB 기판부,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량을 통해 적산되는 유체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기, 및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PCB 기판부와 상기 유량 표시기를 보호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는 적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판부재와 대향하는 케이싱부재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제어 돌기부로서,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상기 적산부가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계량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는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상기 적산부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한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계량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는,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상기 적산부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한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형상의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걸림 지지용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 해제용 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걸림 지지용 스프링부재는 상기 걸림 해제용 삽입부 내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계량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는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상기 적산부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한 경사면을 가지는 일자형 탄성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계량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 돌기부는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상기 적산부의 회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위치되는 경사 탄성편, 상기 경사 탄성편의 단부에서 꺾여진 지지편을 포함하여 삼각 탄성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계량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케이싱부재의 하면과 단부가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경사 탄성편이 상기 격판부재의 상면에 눌려질 때 단부 측이 상기 케이싱부재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경사 탄성편이 눌려지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계량기.
  7. 일측에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본체 하우징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격판부재;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PCB 기판부,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량을 통해 적산되는 유체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기, 및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PCB 기판부와 상기 유량 표시기를 보호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는 적산부; 및
    서로 맞닿은 상기 본체 하우징부와 상기 케이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 감싸 상기 본체 하우징부와 상기 케이싱부재가 접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원형띠 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제어 돌기부로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본체 하우징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적산부가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제어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계량기.
  8. 일측에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본체 하우징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격판부재;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PCB 기판부,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량을 통해 적산되는 유체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기, 및 상기 격판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PCB 기판부와 상기 유량 표시기를 보호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는 적산부; 및
    서로 맞닿은 상기 본체 하우징부와 상기 케이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 감싸 상기 본체 하우징부와 상기 케이싱부재가 접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원형띠 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제어 돌기부로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케이싱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적산부가 상기 격판부재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제어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계량기.
KR2020210003949U 2021-12-27 2021-12-27 디지털 계량기 KR202300013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49U KR20230001371U (ko) 2021-12-27 2021-12-27 디지털 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49U KR20230001371U (ko) 2021-12-27 2021-12-27 디지털 계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71U true KR20230001371U (ko) 2023-07-04

Family

ID=8715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949U KR20230001371U (ko) 2021-12-27 2021-12-27 디지털 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37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062A (ko) 1998-10-14 1999-05-25 김대언 디지털 계량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062A (ko) 1998-10-14 1999-05-25 김대언 디지털 계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8601B2 (ja) 流量計
US7013728B2 (en) System for detecting level of liquid in tank
JP6099670B2 (ja) オプション式スロッシングガードを備えた可変配向流体レベルセンサ
WO2018068763A1 (zh) 一种叶轮式无磁流量计
KR101167960B1 (ko) 조작방지를 위한 자력차폐 수도계량기
KR101003583B1 (ko) 회전식 파티클 센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446434B1 (ko)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전자식 수도계량기
KR20230001371U (ko) 디지털 계량기
ES2832536T3 (es) Flujómetro
KR101242131B1 (ko) 분리형 전자식 수도계량기
CN102822650A (zh) 带有壳体的探测器
KR200443454Y1 (ko) 오염방지부재를 갖는 유량계
US7913577B2 (en) Flow meter
KR200465170Y1 (ko) 외부자력차단 계량기
KR102434502B1 (ko) 도수방지 가능한 전자식 수도계량기
JP6344221B2 (ja) 液面検出装置
US20150362349A1 (en) Throughflow measurement device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102157978B1 (ko) 전자식 수도계량기
CN211042375U (zh) 一种涡轮流量计
CN208887831U (zh) 辅助装置及压差传感器组件
KR102421797B1 (ko) 도수방지 가능한 전자식 수도계량기
KR20090130543A (ko) 수도 계량기의 유체 진행방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41528A (ko) 디지털 수도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시스템
CN216453390U (zh) 用于电子烟的测速咪头及电子烟
JP6156239B2 (ja) 液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