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33U - 전동스프링 조작기 - Google Patents

전동스프링 조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33U
KR20230001333U KR2020210003896U KR20210003896U KR20230001333U KR 20230001333 U KR20230001333 U KR 20230001333U KR 2020210003896 U KR2020210003896 U KR 2020210003896U KR 20210003896 U KR20210003896 U KR 20210003896U KR 20230001333 U KR20230001333 U KR 202300013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witch
rotation guide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210003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33U/ko
Publication of KR20230001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4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스프링 조작기를 제공한다. 상기 전동스프링 조작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되는 옥스 스위치 축을 갖는 옥스 스위치 부;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옥스 스위치 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회전 안내홀로부터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의 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외주가 상기 회전 지지부의 중공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축 보조 회전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스프링 조작기{MOTOR SPRING OPERATOR}
본 고안은 전동스프링 조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스 스위치 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동스프링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동스프링 조작기는 GIS의 통전, 단락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전동 스프링 조작기는 전기기기의 특성상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동작하는 구조를 이용한다.
특히 사용자가 명령을 내렸을 때, 정확한 동작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조작기가 정해진 순서에 의거해 동작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조작기에는 정해진 순서에 의거하여 동작하도록 기계적 인터록과 전기적 인터록이 있다.
Aux Switch는 투입과 개방 중 어느 한쪽만 On 될 수 있도록 반대쪽 전자 접촉기가 Off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Aux Switch의 Shaft는 조작기의 메인 Shaft와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서 메인 Shaft가 각각 투입/개방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Aux Switch Shaft는 각각 90도 회전하여 투입, 반대방향 동작을 하게 된다.
조작기는 규격상 10,500회 이상의 많은 횟수의 성능을 보장하여야 하고, 조작기의 동작속도가 빠르면서도 Aux Switch Shaft를 지지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수 백 ~ 수 천회 동작을 하면서 Shaft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Aux Switch Shaft가 파손된다면 전기적 인터록이 해제되면서 투입 후 재 투입동작으로 인하여 조작기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 파손이 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투입/개방 지령을 내리지 못하면서 계통상에서 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스프링 조작기의 투입 동작 완료 후에 Aux Switch와 관련 있는 부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옥스 스위치(Aux Switch)(1-1)는 동일구성으로, 2개로 구비된다.
옥스 스위치(1-1) 하단에 사각형 형태의 옥스 스위치 축(1-2)가 하단에 위치된다.
각각의 옥스 스위치 축(1-2)는 레버(1-3)과 연결된다. 상기 레버(1-3)는 링크 플레이트(1-4)와 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 플레이트(1-4)는 힌지(1-5)와 핀 구조로 연결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옥스 링크(1-6)과 연결된다.
상기 옥스 링크(1-6)는 끝단에 회전이 자유로운 로드 엔드 베어링(Rod End Bearing)(1-7)과 조립되고, 볼트를 통해 옥스 플레이트(1-8)과 연결된다.
옥스 플레이트(1-8)은 조작기의 Output Lever(미도시)과 조립된다. 이에 조작기의 투입과 개방동작을 하면서 옥스 스위치 축(1-2)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전동스프링 조작기가 투입상태에서 개방동작으로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투입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개방동작을 할 때, 조작기 내부에서 기구적으로 동작을 하여서 최종적으로 출력 레버(미도시)가 45도 상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출력 레버에 조립된 옥스 플레이트(1-8)가 45도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서, 옥스 플레이트(1-8)에 연결된 로드 엔드 베어링(1-7), 옥스 링크(1-6), 힌지(1-5), 힌지 플레이트(1-4)가 함께 직선운동을 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레버(1-3)에 힘이 작용되면서, 옥스 플레이트 축(1-2)은 90도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역으로, 투입동작을 할 때, 개방동작과 반대로 출력 레버가 하방향으로 45도 회전하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옥스 플레이트 축(1-2)이 반대방향으로 즉, 반시계 방향을 따라 90도 회전된다.
도 3은 옥스 스위치와 관련된 부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하나의 옥스 스위치(3-1) 내부에는 옥스 스위치 축(3-2)이 각각 구비된다.
2개의 옥스 스위치(3-1)의 상부 및 하부에는 밴딩 플레이트(3-3)가 각각 배치된다.
2개의 옥스 스위치(3-1)는 너트 및 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을 통해 2개의 밴딩 플레이트(3-3)의 사이에 고정된다.
여기서 각각의 옥스 스위치(3-1)에 구비되는 옥스 스위치 축(3-2)의 하단은 Lever(3-4)와 조립된다.
여기서 옥스 스위치(3-1)는 밴딩 플레이트(3-3)에 고정되며, 옥스 스위치 축(3-2)은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옥스 스위치 축(3-2)를 회전시키는 힘은 하단에 조립된 레버(3-4)로부터 전달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옥스 스위치 축의 하단부, 즉 밴딩 플레이트의 하부에 노출된 부분은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이 레버에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의 구조에 따라 옥스 스위치 축의 하단부는 옥스 스위치 축이 회전되는 경우 비틀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별도의 고정 구조가 없는 축이 연속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옥스 스위치 축의 하단부에서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면서 피로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상기의 옥스 스위치 축의 하단부가 별도의 고정 구조가 없이 회전되기 때문에, 회전되는 동안에 일정 이상의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옥스 스위치 축과 연결되는 다른 부품들 간의 연결 상태가 불안정해지며, 부품 들 간 파손을 비롯한 투입 및 오픈 동작이 부정확해지는 문제도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9868호(등록일자: 2015년 08월 28일)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밴딩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옥스 스위치 축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옥스 스위치 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스프링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옥스 스위치 축이 회전되는 동안에 축선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들 간의 진동 발생 및 이로 인해 연결 부위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동스프링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동스프링 조작기를 제공한다.
상기 전동스프링 조작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되는 옥스 스위치 축을 갖는 옥스 스위치 부;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옥스 스위치 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회전 안내홀로부터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의 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외주가 상기 회전 지지부의 중공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축 보조 회전 안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와 일체를 이루어 상기 지지부의 하방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중공을 형성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는,
동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이 관통 및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외주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중공 내주에 슬립이 가능하게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지지부의 중공 내주에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외주 일부가 위치되는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의 인장 강도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인장 강도 보다 일정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되는 옥스 스위치 축을 갖는 옥스 스위치 부; 및,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옥스 스위치 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의 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외주가 상기 회전 안내홀의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축 보조 회전 안내부를 포함하는 전동스프링 조작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의 인장 강도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인장 강도 보다 일정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에 따라 본 고안은 지지부인 밴딩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옥스 스위치 축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옥스 스위치 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옥스 스위치 축이 회전되는 동안에 축선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들 간의 진동 발생 및 이로 인해 연결 부위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스프링 조작기의 투입 동작 완료 후에 Aux Switch와 관련 있는 부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는 전동스프링 조작기가 투입상태에서 개방동작으로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옥스 스위치와 관련된 부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전동스프링 조작기의 클로우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전동스프링 조작기의 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옥스 스위치 축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 및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축 노출 길이 따른 비틀림 모멘트의 비교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축 보조 회전 안내부가 배치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프링 조작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전동스프링 조작기의 클로우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전동스프링 조작기의 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프링 조작기는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에 배치되는 한 쌍의 옥스 스위치 부(200)와, 한 쌍의 옥스 스위치 축(300)과, 제 1,2링크 부재(410, 420)와, 로드(500)와, 로드 엔드 베어링(600)과, 옥스 플레이트(700)를 포함한다.
상기 옥스 플레이트(700)는 출력축(미도시)에 연결되고, 출력축이 이동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로드 엔드 베어링(600)은 상기 옥스 플레이트(700)의 일단에 결합된다.
상기 로드(500)의 일단은 상기 로드 엔드 베어링(60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100)에는 한 쌍의 상기 옥스 스위치 부(200)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옥스 스위치 부(200)는 각 옥스 스위치 축(300)을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옥스 스위치 축(300)의 상단은 지지부(100)의 상단에 회전 지지된다. 상기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은 지지부(100)의 하단을 관통한다.
상기 한 쌍의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은 각각의 링크 부재(410, 4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링크 부재(410, 420)는 제 1링크 부재(410)와 제 2링크 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2링크 부재(410, 420)의 타단은 링크 플레이트(430)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500)의 타단에는 힌지 부재(510)가 연결되고, 상기 힌지 부재(510)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430)의 일단에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클로우즈 상태에서 투입 상태를 이루는 경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500)는 직선 운동을 이루고, 이에 링크 플레이트(430)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1,2링크 부재(410, 4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연동되어, 제 1,2링크 부재(410, 420)에 연결된 한 쌍의 옥스 스위치 축(300)은 그 하단이 결합되어, 제 1,2링크 부재(410, 420)의 회전에 따라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조를 이룬다.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지지부 및 축 보조 회전 안내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옥스 스위치 축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 및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도 7을 참조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100), 회전 지지부(800)를 비롯한 옥스 스위치 축(200)의 회전 지지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100)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10, 12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10, 120) 중, 상부 지지 플레이트(110)는 한 쌍의 옥스 스위치 축(300)의 상단을 회전지지하며, 한 쌍의 옥스 스위치 부(200)의 상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10, 120) 중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는 한 쌍의 옥스 스위치 축(200)의 하단을 회전지지하며, 한 쌍의 옥스 스위치 부(200)의 하단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에는 회전 안내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안내홀(121)을 통해 옥스 스위치 축(200)의 하단이 관통된다.
상기 옥스 스위치 축(200)의 하단 둘레에는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가 결합된다.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는 환 형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결합홀(9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910)은 상기 옥스 스위치 축(200)의 하단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 단면이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경우, 결합홀(910)의 형상은 사각 형상의 홀로 형성된다.
이에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이 결합홀(910)에 끼워지면서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는 상기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 둘레에 고정된다.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는 황동으로 형성되며, 상기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 둘레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용접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에는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지지부(800)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800)는 상기 회전 안내홀(121)과 연결되도록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에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용접의 방식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지지부(80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공에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8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회전 지지부(800)는 원형의 홀인 중공을 가지며, 둘레 형상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력을 더 확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는 환 형으로 형성되며, 그 둘레는 회전 지지부(800)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된다.
즉, 상기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에는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가 설치되고,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는 회전 지지부(800)의 중공에서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에는 링크 부재(410. 420)가 연결된다.
이의 구성에 따라 링크 부재(410, 420)가 일 방향을 따라 회전되면, 이 회전력은 본 고안에 따른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으로 전달된다. 이에 상기 옥스 스위치 축(300)은 일 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동시에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에 결합된 부쉬인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 역시 회전된다.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의 하부로 연장된 회전 지지부(800)의 중공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이 안내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고안은 밴딩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옥스 스위치 축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옥스 스위치 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옥스 스위치 축이 회전되는 동안에 축선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들 간의 진동 발생 및 이로 인해 연결 부위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지지부(800)의 중공 내주에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의 외주 일부가 위치되는 단차홈(8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에서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가 회전 지지부(800)의 중공에서 회전되는 동안에 상하로의 이탈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축 노출 길이 따른 비틀림 모멘트의 비교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100)와 회전 지지부(800)의 인장 강도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의 인장 강도 보다 일정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도 8 및 도 9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를 C3601 소재로 형성하고, 인장 강도를 300MPa 이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100) 및 부쉬 하우징의 역할을 하는 회전 지지부(800)를 SS400 소재로 형성하고, 인장 강도를 400MPa ~500MPa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부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의 결합홀(910)에 끼워져 지지된다. 그리고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는 회전 지지부(800)를 관통하여 회전 지지부(800)에 의해 회전이 안내된다.
만일, 회전 지지부(800)와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가 서로 동일한 인장 강도를 이루는 경우, 회전 지지부(800)는 회전되는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지지부(10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회전 지지부(800)의 인장 강도를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의 인장 강도 보다 크게 형성하여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원통 형상인 회전 지지부(8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회전축선을 이루어 옥스 스위치 축(300)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의 하단면에서 링크 부재(410, 420)와 연결되는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 연결 중심까지의 간격을 6 내지 7mm를 이루도록 제작함에 따라, 종래의 25mm의 간격을 이루는 경우에 비하여 축 회전시 발생되는 모멘트가 일정 이하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옥스 스위치 축(300)이 회전되는 동안에 축선이 비틀리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축 보조 회전 안내부가 배치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회전 안내홀(121)에 회전 지지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는 옥스 스위치 축(300)의 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외주가 상기 회전 안내홀(121)의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옥스 스위치 축(300)의 하단에 결합된 부쉬인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는 회전 안내홀(121)의 내주에 회전지지되어 회전이 안내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경우 회전 안내홀(121)이 형성되는 부분 또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20)의 두께는, 축 보조 회전 안내부(900)의 두께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지지부
110 : 상부 지지 플레이트
120 : 하부 지지 플레이트
200 : 옥스 스위치 부
300 : 옥스 스위치 축
410 : 제 1링크 부재
420 : 제 2링크 부재
500 : 로드
600 : 로드 엔드 베어링
700 : 옥스 플레이트
800 : 회전 지지부
900 : 축 보조 회전 안내부
910 : 결합홀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되는 옥스 스위치 축을 갖는 옥스 스위치 부; 및,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옥스 스위치 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회전 안내홀로부터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의 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외주가 상기 회전 지지부의 중공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축 보조 회전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프링 조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와 일체를 이루어 상기 지지부의 하방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중공을 형성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프링 조작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는,
    동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이 관통 및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외주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중공 내주에 슬립이 가능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프링 조작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의 중공 내주에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외주 일부가 위치되는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프링 조작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의 인장 강도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인장 강도 보다 일정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프링 조작기.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되는 옥스 스위치 축을 갖는 옥스 스위치 부; 및,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옥스 스위치 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옥스 스위치 축의 단부 외주에 결합되며, 외주가 상기 회전 안내홀의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축 보조 회전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프링 조작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인장 강도는,
    상기 축 보조 회전 안내부의 인장 강도 보다 일정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프링 조작기.

KR2020210003896U 2021-12-22 2021-12-22 전동스프링 조작기 KR202300013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96U KR20230001333U (ko) 2021-12-22 2021-12-22 전동스프링 조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96U KR20230001333U (ko) 2021-12-22 2021-12-22 전동스프링 조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33U true KR20230001333U (ko) 2023-06-29

Family

ID=8694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896U KR20230001333U (ko) 2021-12-22 2021-12-22 전동스프링 조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33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868B1 (ko) 2014-04-04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부시베어링 및 이를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868B1 (ko) 2014-04-04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부시베어링 및 이를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922B1 (ko) 기중 차단기
EA003758B1 (ru) Многополюсное электрическое комму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6777636B2 (en) Low-voltage power switch with a bearing arrangement for a switch shaft
EP0177951A2 (en) Tank-type switchgear
RU2699389C2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рерывателя цепи
KR20230001333U (ko) 전동스프링 조작기
JP4668165B2 (ja) 開閉装置
KR101408261B1 (ko) 링 메인 유닛용 주 회로 차단 장치
KR100424897B1 (ko) 전력개폐장치용 조작기
JP3823676B2 (ja) 開閉器用操作器
JPH04306518A (ja) 電気スイッチの手動操作器
US3316366A (en) Operating mechanisms for electric switch structures
EP0619587A1 (en) Actuator
US3575565A (en) Overtravel device for rotary electric switch
JP6415794B1 (ja) 開閉器
CN218826694U (zh) 用于开关设备的操动机构及开关设备
WO2021159334A1 (en) Balance spring assembly for disconnector
KR101869720B1 (ko) 가스절연차단기
KR100594894B1 (ko) 공동주택용 나이프블레이드의 가동접점장치
KR200468495Y1 (ko) 링 메인 유닛용 주 회로 차단 장치
KR200492868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KR100486747B1 (ko) 가스 절연 배전반 구동부의 멈춤장치
JPS60501926A (ja) 真空開閉器のための操作機構
JPH08298040A (ja) 回路遮断器操作装置および真空回路遮断器
KR960005875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회로차단기의 접점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