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09A -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09A
KR20230001209A KR1020210083850A KR20210083850A KR20230001209A KR 20230001209 A KR20230001209 A KR 20230001209A KR 1020210083850 A KR1020210083850 A KR 1020210083850A KR 20210083850 A KR20210083850 A KR 20210083850A KR 20230001209 A KR20230001209 A KR 20230001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ntibacterial
component
essential oil
lemon ba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013B1 (ko
Inventor
조영태
이용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스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스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스컨
Priority to KR102021008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0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베이스 로션 성분 및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혼합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레몬밤잎 오일(melissa officinalis leaf oi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타임 오일(thyme oil),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 및 시나몬 바크 오일(cinnamon bark oi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타임 오일(B)의 중량비(A:B)는 약 1:4 내지 4:1 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A:C)는 약 1:4 내지 4:1 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A:D)는 약 1:4 내지 4:1 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총량과 상기 레몬밤잎 오일(A) 사이의 중량비[A:(B+C+D)]는 약 1:4 내지 4:1 일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Antibacterial functional lotion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을 갖는 로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염병 예방 수칙의 하나로 손씻기와 손소독이 강조된다. 손소독제는 소정 장소에 비치하거나 휴대하고 다니면서 물 없이도 간편하게 손을 소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거의 필수적 아이템이 되고 있다. 손소독제는 세균ㆍ바이러스를 살균ㆍ소독하는 성분이 함유된 제제로서 겔(gel) 또는 액체 타입의 제형을 갖는다. 손소독제의 항균 효과를 내는 유효 성분으로는 알코올의 일종인 에탄올ㆍ이소프로판올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성분은 세균의 구성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지질을 변형시켜 그 기능을 잃게 해 소독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손소독제는 알코올이 약 70% 수준으로 휘발성이 매우 강하여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손소독제는 일반적으로 향균 지속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자주 반복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손소독제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피부 건조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나아가, 손소독제의 잦은 사용은 세균 제거와 함께 피부의 각질과 피지도 함께 제거함으로써 손 자체의 면역력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한편, 알코올 타입의 손소독제 외에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타입의 손소독제의 경우, 소독 기능을 위해 약 0.1% 이하의 염화 벤잘코늄을 사용한다. 염화 벤잘코늄 타입의 손소독제은 무알콜 제품으로 피부 건조 현상은 피할 수 있지만, 염화 벤잘코늄의 흡입 독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잘못 사용할 경우 상당히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존 손소독제들의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균성 제제 및 제품에 대한 개발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 손소독제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분 보충 및 보습 기능과 함께 항균 기능성을 가지면서 아울러 우수한 항균 지속성을 갖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로서, 베이스 로션 성분; 및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혼합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레몬밤잎 오일(melissa officinalis leaf oil)을 포함하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타임 오일(thyme oil)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타임 오일(B)의 중량비는 B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는 C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시나몬 바크 오일(cinnamon bark oil)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는 D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타임 오일, 클로브 리프 오일 및 시나몬 바크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총량과 상기 레몬밤잎 오일(A) 사이의 중량비는 (B+C+D)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로서, 베이스 로션 성분; 및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혼합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타임 오일(thyme oil),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 및 시나몬 바크 오일(cinnamon bark oi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레몬밤잎 오일(melissa officinalis leaf oil)을 포함하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 및 상기 타임 오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타임 오일(B)의 중량비(A:B)는 약 1:4 내지 4:1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타임 오일(B)의 중량비(A:B)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 및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A:C)는 약 1:4 내지 4:1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A:C)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A:D)는 약 1:4 내지 4:1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A:D)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 상기 타임 오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총량과 상기 레몬밤잎 오일(A) 사이의 중량비[A:(B+C+D)]는 약 1:4 내지 4:1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총량과 상기 레몬밤잎 오일(A) 사이의 중량비[A:(B+C+D)]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B:C)는 약 1:2 내지 2:1 정도일 수 있고,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C:D)는 약 1:2 내지 2:1 정도일 수 있고, 상기 타임 오일(B)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B:D)는 약 1:2 내지 2:1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B:C:D)는, 예를 들어, 1:1:1, 1:1:2, 1:2:1 또는 2:1:1 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총량에 대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은 약 0.6 wt%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총량에 대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은 약 0.9 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에서 알코올류의 함량은 약 20 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로션 또는 크림일 수 있다.
상기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핸드 로션, 바디 로션, 핸드 크림 및 풋(foot) 크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손소독제의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수분 보충 및 보습 기능과 함께 항균 기능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항균 지속성을 갖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우수한 항균 및 소독 기능을 가지면서도, 피부를 보호하는데 유리하고 동일 조건에서 기존 손소독제 대비 사용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사용하면, 피부 건조, 피부 자극, 피부 트러블 등의 문제를 방지 및 억제하면서 우수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포함된 레몬밤잎 오일(melissa officinalis leaf oil)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citral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포함된 타임 오일(thyme oil)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thymol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포함된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eugenol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포함된 시나몬 바크 오일(cinnamon bark oil)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cinnamaldehyde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이용해서 폐렴균에 대해서 항균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이용해서 폐렴균에 대해서 항균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이용해서 폐렴균에 대해서 항균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이용해서 폐렴균에 대해서 항균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베이스 로션 성분(100) 및 베이스 로션 성분(100)과 혼합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은 타임 오일(thyme oil)(21),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22) 및 시나몬 바크 오일(cinnamon bark oil)(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레몬밤잎 오일(melissa officinalis leaf oil)(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몬밤잎 오일(melissa officinalis leaf oil; lemon balm leaf oil)(20)의 INCI(international nomenclature cosmetic ingredient) 명칭은 melissa officinalis leaf oil 일 수 있고,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 등급은 비제한적 예로서, 4 등급일 수 있다. 레몬밤잎 오일(20)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citral은 레몬향을 내는 향수에 사용될 수 있다. Citral은 뛰어난 항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itral은 다양한 식물의 기름에 존재할 수 있고, 식물 종류에 따라서 그 오일에 2∼98% 까지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몬 머틀은 약 90∼98%, litsea citrate은 약 90%, litsea cubeba는 약 70∼85%, 레몬그라스는 약 65∼85%, leptospermum liversidgei는 약 70∼80%, ocimum gratissimum은 약 66.5%, lindera citriodora는 약 65%, calypranthes parriculata는 약 62%, 페티그레인은 약 36%, 레몬버베나는 약 30∼35%, eucalyptus staigeriana는 약 26%, 레몬밤은 약 11%, 라임은 약 6∼9%, 레몬은 약 2∼5% 정도로 citral을 함유할 수 있다. 레몬밤잎 오일(20)은 citral 외에도 citronellal, β-caryophyllene, germancreno-D, ocimene, citronellol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몬밤잎 오일(20)은 그 함유량이 높은 경우 알러지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피부 관련 제품에 0.9% (중량비) 이상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타임 오일(thyme oil)(21)의 INCI 명칭은 thymus vulgaris (thyme) oil 일 수 있고, EWG 등급은 비제한적 예로서, 1 등급일 수 있다. 타임 오일(21)은 주요 구성 성분으로 thymol, carvacrol, γ-terpinene, p-cyme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arvacrol은 치주 질환 원인균 등에 대해서 항균 효과가 뛰어날 수 있고, 특별히 의심되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배지와 종에 따라서, carvacrol의 함량은 달라질 수 있다. 타임 오일(21)은 경우에 따라 피부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관련 제품에 1 w% (중량비) 이상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22)의 INCI 명칭은 eugenia caryophyllus (clove) leaf oil 일 수 있고, EWG 등급은 3∼4 등급일 수 있다. 클로브 리프 오일(22)은 주요 구성 성분으로 eugenol, β-caryophyllene, α-humulene, eugenyl acet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ugenol은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일부 알러지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로 보고 되고 있다. 클로브 리프(clove leaf)의 재배지, 재배 시기 및 추출 방식에 따라서, eugenol은 클로브 리프 오일(22)에 약 75∼90% 정도 함유될 수 있다. 클로브 리프 오일(22)은 피부 관련 제품에 0.6% (중량비) 이상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Eugenol은 정향류(계피, 후추, 바질, 월계수 등)의 나무, 식물 및 씨앗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일 수 있다.
시나몬 바크 오일(cinnamon bark oil)(23)의 INCI 명칭은 cinnamomum zeylanicum cinnamon bark oil 일 수 있고, EWG 등급은 비제한적 예로서, 3 등급일 수 있다. 시나몬 바크 오일(23)은 주요 구성 성분으로 cinnamaldehyde 및 eugeno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나몬 바크 오일(23)은 estragole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Estragole은 유럽 연합 약초위원회에서는 유전 독성이 의심되고 있는 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시나몬 바크 오일(23)은 피부 관련 제품에 0.12% (중량비) 이상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Estragole은 시나몬 수피 뿐만 아니라 바질(basil), 테레빈유(turpentine oil), 회향(foeniculum vulgare), 타라곤(tarragon)과 같은 다양한 나무와 식물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일 수 있다.
레몬밤잎 오일(20), 타임 오일(21), 클로브 리프 오일(22)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 각각은 우수한 항균 기능을 갖는 에센셜 오일(천연 성분 에센셜 오일)일 수 있고, 이들을 적절한 배합비로 배합함으로써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은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은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타임 오일(21), 클로브 리프 오일(22)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 중 적어도 하나와 레몬밤잎 오일(20)이 적절히 배합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은 우수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은 레몬밤잎 오일(20) 및 타임 오일(21)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클로브 리프 오일(22)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에서 레몬밤잎 오일(20)(A)과 타임 오일(21)(B)의 중량비(A:B)는 약 1:4 내지 4:1 정도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몬밤잎 오일(20)(A)과 타임 오일(21)(B)의 중량비(A:B)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은 레몬밤잎 오일(20) 및 클로브 리프 오일(2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타임 오일(21)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에서 레몬밤잎 오일(20)(A)과 클로브 리프 오일(22)(C)의 중량비(A:C)는 약 1:4 내지 4:1 정도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몬밤잎 오일(20)(A)과 클로브 리프 오일(22)(C)의 중량비(A:C)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은 레몬밤잎 오일(20)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타임 오일(21) 및 클로브 리프 오일(22)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에서 레몬밤잎 오일(20)(A)과 시나몬 바크 오일(23)(D)의 중량비(A:D)는 약 1:4 내지 4:1 정도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몬밤잎 오일(20)(A)과 시나몬 바크 오일(23)(D)의 중량비(A:D)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은 레몬밤잎 오일(20), 타임 오일(21), 클로브 리프 오일(22)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에서 타임 오일(21)(B), 클로브 리프 오일(22)(C)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D)의 총량과 레몬밤잎 오일(20)(A) 사이의 중량비[A:(B+C+D)]는 약 1:4 내지 4:1 정도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타임 오일(21)(B), 클로브 리프 오일(22)(C)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D)의 총량과 레몬밤잎 오일(20)(A) 사이의 중량비[A:(B+C+D)]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이 레몬밤잎 오일(20), 타임 오일(21), 클로브 리프 오일(22)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에서 타임 오일(21)(B)과 클로브 리프 오일(22)(C)의 중량비(B:C)는 약 1:2 내지 2:1 정도일 수 있다. 또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에서 클로브 리프 오일(22)(C)과 시나몬 바크 오일(23)(D)의 중량비(C:D)는 약 1:2 내지 2:1 정도일 수 있다. 또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에서 타임 오일(21)(B)과 시나몬 바크 오일(23)(D)의 중량비(B:D)는 약 1:2 내지 2:1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할 때,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에서 타임 오일(21)(B)과 클로브 리프 오일(22)(C)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D)의 중량비(B:C:D)는 1:1:1, 1:1:2, 1:2:1 또는 2:1:1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서 베이스 로션 성분(100)과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총량에 대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함량은 약 0.6 wt%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로션 성분(100)과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총량에 대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함량은 약 0.9 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함량이 0.6 wt% 보다 낮은 경우, 원하는 수준의 항균 효과를 얻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함량이 0.9 wt% 보다 높은 경우, 피부 자극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 내에서 타임 오일(21), 클로브 리프 오일(22) 및 시나몬 바크 오일(23) 중 적어도 하나와 레몬밤잎 오일(20)의 배합비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아울러, 베이스 로션 성분(100)에 대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로션 성분(100)은 일반적인 로션의 성분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로션 성분(100)은 정제수와 글리세린 및 다양한 종류의 유분과 보습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베이스 로션 성분(100)은 정제수, 글리세린,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세틸알코올류, 디메치콘, 미네랄오일, 스테아릭애씨드, 페녹시에탄올,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에칠헥실글리세린 등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복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개시한 베이스 로션 성분(100)의 구체적인 구성 물질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이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하지 않는 다른 다양한 물질들이 베이스 로션 성분(100)에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 로션 성분(100)에서 알코올류의 함량은 약 20 wt% 이하 또는 약 10 wt%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전체에서 알코올류의 함량은 약 20 wt% 이하 또는 약 10 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는 살균 성능을 가지면서 피부 적용이 가능한 에탄올, 글리세롤, 부틸렌글라이콜, 라놀린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프로필렌 글라이콘, 다른 공지의 변성 알코올과 같은 모노올, 다이올, 트리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류는 에탄올이다. 기존의 손소독제가 약 70% 수준의 높은 알코올류 함유율을 갖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월등히 낮은 알코올류 함유율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알코올류 성분을 거의 포함하지 않거나, 심지어 알코올류 성분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염화 벤잘코늄 등 흡입 독성이 있는 물질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로션 성분(100)과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200)을 포함하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는 염화 벤잘코늄 등 흡입 독성이 있는 물질이 함유되지 않을 수 있고, 흡입 독성이 있는 물질에 의한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로션 또는 크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로션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로션은 물론이고 크림까지 포함할 수 있는 용어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핸드 로션, 바디 로션, 핸드 크림 및 풋(foot) 크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그 밖에 다른 용도의 로션이나 크림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손소독제의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즉, 기존 손소독제 대비 알코올류의 함량을 월등히 낮추거나 배제하고, 수분 보충 및 보습 기능과 함께 항균 기능성을 가지면서 아울러 우수한 항균 지속성을 갖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소독 기능을 가지면서도, 피부를 보호하는데 유리하고 동일 조건에서 기존 손소독제 대비 사용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사용하면, 피부 건조, 피부 자극, 피부 트러블 등의 문제를 방지/억제하면서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포함된 레몬밤잎 오일(melissa officinalis leaf oil)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citral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레몬밤잎 오일은 주요 구성 성분으로 citral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citronellal, β-caryophyllene, germancreno-D, ocimene, citronellol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포함된 타임 오일(thyme oil)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thymol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타임 오일은 주요 구성 성분으로 thymol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carvacrol, γ-terpinene, p-cymene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포함된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eugenol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은 주요 구성 성분으로 eugenol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β-caryophyllene, α-humulene, eugenyl acetate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포함된 시나몬 바크 오일(cinnamon bark oil)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cinnamaldehyde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은 주요 구성 성분으로 cinnamaldehyde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estragole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이용해서 폐렴균에 대해서 항균 성능을 평가하였다.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제조한 후,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폐렴균을 노출시켜 5분간 노출되었을 때 폐렴균의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 내지 표 4 및 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도 6 내지 도 9와 같았다.
아래의 표 1은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도 1의 200)이 레몬밤잎 오일(A)과 타임 오일(B)을 포함하는 경우, 레몬밤잎 오일(A)과 타임 오일(B)의 비율과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첨가율)에 따른 세균(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을 측정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첨가율)은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총량에 대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중량비를 의미한다. 여기서, A 비율과 B 비율의 합은 1 이다.
Figure pat00001
도 6은 표 1의 결과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이용해서 폐렴균에 대해서 항균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에서 가로축(X축)은 B의 비율을 나타내고, 세로축(Y축)은 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을 나타낸다.
표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B 비율/A 비율은 약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대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첨가율)은 약 0.60 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레몬밤잎 오일(A)과 타임 오일(B)의 중량비(A:B)는 약 1:4 내지 4: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몬밤잎 오일(A)과 타임 오일(B)의 중량비(A:B)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한 조건에서 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은 80% 이상 또는 90% 이상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이 0.60 wt% 보다 낮은 경우, 초기(노출 시간 5분 기준)의 항균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초기 효능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이 약 0.90 wt%를 초과하여 너무 높은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은 0.60 wt% 내지 0.90 wt%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도 1의 200)이 레몬밤잎 오일(A)과 클로브 리프 오일(C)을 포함하는 경우, 레몬밤잎 오일(A)과 클로브 리프 오일(C)의 비율과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첨가율)에 따른 세균(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을 측정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첨가율)은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총량에 대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중량비를 의미한다. 여기서, A 비율과 C 비율의 합은 1 이다.
Figure pat00002
도 7은 표 2의 결과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즉,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이용해서 폐렴균에 대해서 항균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에서 가로축(X축)은 C의 비율을 나타내고, 세로축(Y축)은 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을 나타낸다.
표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C 비율/A 비율은 약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대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첨가율)은 약 0.60 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레몬밤잎 오일(A)과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A:C)는 약 1:4 내지 4: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몬밤잎 오일(A)과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A:C)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한 조건에서 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은 80% 이상 또는 90% 이상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이 0.60 wt% 보다 낮은 경우, 초기(노출 시간 5분 기준)의 항균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초기 효능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이 약 0.90 wt%를 초과하여 너무 높은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은 0.60 wt% 내지 0.90 wt%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래의 표 3은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도 1의 200)이 레몬밤잎 오일(A)과 시나몬 바크 오일(D)을 포함하는 경우, 레몬밤잎 오일(A)과 시나몬 바크 오일(D)의 비율과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첨가율)에 따른 세균(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을 측정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첨가율)은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총량에 대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중량비를 의미한다. 여기서, A 비율과 D 비율의 합은 1 이다.
Figure pat00003
도 8은 표 3의 결과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즉,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이용해서 폐렴균에 대해서 항균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에서 가로축(X축)은 D의 비율을 나타내고, 세로축(Y축)은 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을 나타낸다.
표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D 비율/A 비율은 약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대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첨가율)은 약 0.60 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레몬밤잎 오일(A)과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A:D)는 약 1:4 내지 4: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몬밤잎 오일(A)과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A:D)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한 조건에서 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은 80% 이상 또는 90% 이상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이 0.60 wt% 보다 낮은 경우, 초기(노출 시간 5분 기준)의 항균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초기 효능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이 약 0.90 wt%를 초과하여 너무 높은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은 0.60 wt% 내지 0.90 wt%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래의 표 4는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도 1의 200)이 레몬밤잎 오일(A), 타임 오일(B),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시나몬 바크 오일(D)을 포함하는 경우, 타임 오일(B),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총량(B+C+D)과 레몬밤잎 오일(A) 사이의 비율 및 B/C/D 사이의 비율(B:C:D)에 따른 세균(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을 측정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첨가율)은 0.60 wt% 였다. 한편,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타임 오일(B)과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사이의 중량비(B:C:D)는 1:1:1, 1:1:2, 1:2:1 및 2:1:1 이었다. 여기서, A 비율과 (B+C+D) 비율의 합은 1 이다.
Figure pat00004
도 9는 표 4의 결과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즉,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이용해서 폐렴균에 대해서 항균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에서 가로축(X축)은 (B+C+D)의 비율을 나타내고, 세로축(Y축)은 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을 나타낸다.
표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B+C+D) 비율/A 비율은 약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타임 오일(B),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총량과 레몬밤잎 오일(A) 사이의 중량비[A:(B+C+D)]는 약 1:4 내지 4: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타임 오일(B),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총량과 레몬밤잎 오일(A) 사이의 중량비[A:(B+C+D)]는 약 1:1.5 내지 1.5:1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이 레몬밤잎 오일, 타임 오일, 클로브 리프 오일 및 시나몬 바크 오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타임 오일(B)과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B:C)는 약 1:2 내지 2:1 정도일 수 있다. 또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클로브 리프 오일(C)과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C:D)는 약 1:2 내지 2:1 정도일 수 있다. 또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타임 오일(B)과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B:D)는 약 1:2 내지 2:1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할 때,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피부 자극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균 효과 및 항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한 조건에서 폐렴균의 감소율(제거율)은 80% 이상 또는 90% 이상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이 0.60 wt% 보다 낮은 경우, 초기(노출 시간 5분 기준)의 항균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초기 효능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이 약 0.90 wt%를 초과하여 너무 높은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은 0.60 wt% 내지 0.90 wt%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의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이 레몬밤잎 오일(melissa officinalis leaf oil)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과 함께 타임 오일(thyme oil)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타임 오일(B)의 중량비는 B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과 함께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는 C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과 함께 시나몬 바크 오일(cinnamon bark oil)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는 D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과 함께 타임 오일, 클로브 리프 오일 및 시나몬 바크 오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겨우,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총량과 상기 레몬밤잎 오일(A) 사이의 중량비는 (B+C+D)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 및 그에 따른 효과는 표 1 내지 표 4의 결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아래의 표 5는 여러 조성의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대해서 5대 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테스트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다양한 조성으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제조한 후,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에 5대 균(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을 노출시켜 5분간 노출되었을 때 균의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표 1에서 '조성 1'은 베이스 로션 성분에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으로 레몬밤잎 오일을 0.6 wt% 첨가한 로션이고, '조성 2'는 베이스 로션 성분에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으로 레몬밤잎 오일을 0.67 wt% 첨가한 로션이고, '조성 3'은 베이스 로션 성분에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으로 레몬밤잎 오일과 타임 오일을 0.5:0.5 로 혼합하여 0.6 wt% 첨가한 로션이고, '조성 4'는 베이스 로션 성분에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으로 레몬밤잎 오일과 클로브 리프 오일을 0.4:0.6 으로 혼합하여 0.6 wt% 첨가한 로션이고, '조성 5'는 베이스 로션 성분에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으로 레몬밤잎 오일과 시나몬 바크 오일을 0.6:0.4 로 혼합하여 0.6 wt% 첨가한 로션이고, '조성 6'은 베이스 로션 성분에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으로 레몬밤잎 오일(A)과 타임 오일(B),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시나몬 바크 오일(D)의 혼합물(B:C:D=1:1:1)을 0.5:0.5 로 혼합하여 0.6 wt% 첨가한 로션이다. 상기 조성 1 내지 조성 6 에서 베이스 로션 성분은 모두 동일하였다.
Figure pat00005
표 5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5대 균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 손소독제의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기존 손소독제 대비 알코올류의 함량을 월등히 낮추거나 배제하고, 염화 벤잘코늄의 사용을 배제하며, 수분 보충 및 보습 기능과 함께 항균 기능성을 가지면서 아울러 우수한 항균 지속성을 갖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소독 기능을 가지면서도, 피부를 보호하는데 유리하고 동일 조건에서 기존 손소독제 대비 사용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피부 건조, 피부 자극, 피부 트러블 등의 문제를 방지/억제하면서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기존 손소독제를 대체하거나 기존 손소독제를 보완하는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일상 생활에서 손뿐 아니라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대해 항균성/항균력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일반적인 로션 타입으로 사용에 이질감이나 저항감이 없으며, 일반적인 로션과 동일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치환, 변경 및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레몬밤잎 오일
21 : 타임 오일
22 : 클로브 리프 오일
23 : 시나몬 바크 오일
100 : 베이스 로션 성분
200 :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

Claims (16)

  1.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로서,
    베이스 로션 성분; 및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혼합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레몬밤잎 오일(melissa officinalis leaf oil)을 포함하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타임 오일(thyme o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타임 오일(B)의 중량비는 B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하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는 C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하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시나몬 바크 오일(cinnamon bark o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는 D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하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타임 오일, 클로브 리프 오일 및 시나몬 바크 오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총량과 상기 레몬밤잎 오일(A) 사이의 중량비는 (B+C+D) 비율/A 비율 ≤ 4 를 만족하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6.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로서,
    베이스 로션 성분; 및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혼합된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타임 오일(thyme oil),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 및 시나몬 바크 오일(cinnamon bark oi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레몬밤잎 오일(melissa officinalis leaf oil)을 포함하는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 및 상기 타임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타임 오일(B)의 중량비(A:B)는 1:4 내지 4:1 이거나 1:1.5 내지 1.5:1 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 및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A:C)는 1:4 내지 4:1 이거나 1:1.5 내지 1.5:1 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레몬밤잎 오일(A)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A:D)는 1:4 내지 4:1 이거나 1:1.5 내지 1.5:1 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은 상기 레몬밤잎 오일, 상기 타임 오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총량과 상기 레몬밤잎 오일(A) 사이의 중량비[A:(B+C+D)]는 1:4 내지 4:1 이거나 1:1.5 내지 1.5:1 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의 중량비(B:C)는 1:2 내지 2:1 이고,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C:D)는 1:2 내지 2:1 이고,
    상기 타임 오일(B)과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B:D)는 1:2 내지 2:1 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타임 오일(B)과 상기 클로브 리프 오일(C) 및 상기 시나몬 바크 오일(D)의 중량비(B:C:D)는 1:1:1, 1:1:2, 1:2:1 또는 2:1:1 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13. 제 1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총량에 대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은 0.6 wt% 이상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과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총량에 대한 상기 항균 에센셜 오일 성분의 함량은 0.9 wt% 이하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15. 제 1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로션 성분에서 알코올류의 함량은 20 wt% 이하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16. 제 1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로션 또는 크림이고,
    상기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은 핸드 로션, 바디 로션, 핸드 크림 및 풋(foot) 크림 중 어느 하나인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KR1020210083850A 2021-06-28 2021-06-28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KR10260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850A KR102600013B1 (ko) 2021-06-28 2021-06-28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850A KR102600013B1 (ko) 2021-06-28 2021-06-28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09A true KR20230001209A (ko) 2023-01-04
KR102600013B1 KR102600013B1 (ko) 2023-11-08

Family

ID=8492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850A KR102600013B1 (ko) 2021-06-28 2021-06-28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0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478A (ko) *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57342B1 (ko) * 2018-09-11 2021-05-27 심재덕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478A (ko) *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57342B1 (ko) * 2018-09-11 2021-05-27 심재덕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013B1 (ko)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2711B1 (en) Hydroalcoholic compositions thickened using polymers
CN104245781B (zh) 用聚合物提高生物杀伤剂的抗微生物活性
US6884763B2 (en) Waterless hand cleaner containing plant derived natural essential oil
EP1830636B1 (de) Alkoholischer pumpschaum
US8741271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ntaining essential oils
EP1581052A2 (en) An emollient alcohol skin disinfecting formulation
TW200946022A (en) Moisturizing hand sanitizer
WO2004028520A1 (ja) 防腐殺菌剤並びに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料、医薬品及び食品
JP2015501330A (ja) 抗菌性組成物、治癒組成物、洗浄組成物、抗カビ性局所用クリーム、食用消毒クレンザー、表面消毒剤、殺虫剤
US20060165623A1 (en) Natural deodorant composition
JPH11310506A (ja) 防腐殺菌剤及び化粧料組成物
AU2004258808A1 (en) Wipe comprising a pathogen selective antimicrobial
US20140030203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ntaining essential oils
CN106166117A (zh) 一种免洗手消毒凝胶及其制备方法
CN104173248A (zh) 一种含天然植物精油的消毒洗手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547275A (zh) 一种手用精油护肤消毒凝胶及其制备方法
US20100197544A1 (en) Rinseless body wash composition
KR102198696B1 (ko) 고함량 에탄올을 함유하며 보습 효과가 뛰어난 외용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00013B1 (ko)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CN109069422A (zh) 局部抗微生物组合物
CN111067866A (zh) 一种免洗乙醇手部消毒喷雾
CN103110541A (zh) 纯天然免洗消毒净手液
KR102184758B1 (ko) 고안전성 액상 분무형 타입의 항균성과 항염성 기능성이 우수하고 고 지속성을 보유한 손세정제
Kusumawatia et al. Expansion of Hand Hygiene Compliance and Decreasing Counterfeiting of Sanitation Products in the Era of the COVID-19 through Divers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Alcohol-Based Gel and Wipes Hand Sanitizer
KR20130143241A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