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087A -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087A
KR20230001087A KR1020210083566A KR20210083566A KR20230001087A KR 20230001087 A KR20230001087 A KR 20230001087A KR 1020210083566 A KR1020210083566 A KR 1020210083566A KR 20210083566 A KR20210083566 A KR 20210083566A KR 20230001087 A KR20230001087 A KR 20230001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office
door
face
camera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83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087A/ko
Priority to JP2021124581A priority patent/JP7148184B1/ja
Publication of KR2023000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사무실 업무공간 예약에 대응하여 공유사무실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과 공유사무실 이용 일정을 각 업무공간에 설치된 안전출입문에 저장해두었다가 그 업무공간에 입실 요청자가 나타나면 안전출입문에 설치된 카메라로 얻은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을 통해 해당 일정의 공유사무실 예약자인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 이용 방식을 비대면으로 구현할 뿐만 아니라 비대면 전환으로 인해 이용자 안전 관리에 공백이 나타나지 않도록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안전출입문에 장착하여 업무공간 내외의 여러 위험상황을 안전출입문 오픈 과정에서 기술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람들이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유사무실 이용 방식, 특히 공유사무실 게스트의 예약 방문 처리와 다른 지점에 대한 업무공간 예약 처리를 비대면(untact)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대면 방식 전환을 통해 이용자 편의, 관리비용, 바이러스 감염 관리의 측면에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untact management system for coworking space by use of safety doors which integrating sensors and camera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대면 방식으로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유사무실 업무공간 예약에 대응하여 공유사무실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과 공유사무실 이용 일정을 각 업무공간에 설치된 안전출입문에 저장해두었다가 그 업무공간에 입실 요청자가 나타나면 안전출입문에 설치된 카메라로 얻은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을 통해 해당 일정의 공유사무실 예약자인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 이용 방식을 비대면으로 구현할 뿐만 아니라 비대면 전환으로 인해 이용자 안전 관리에 공백이 나타나지 않도록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안전출입문에 장착하여 업무공간 내외의 여러 위험상황을 안전출입문 오픈 과정에서 기술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람들이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유오피스(coworking space)는 넓은 공간을 여러 회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유경제 기반 오피스를 의미한다. 회의실이나 탕비실, 그리고 라운지는 멤버들이 공유하면서 프라이빗 오피스 공간도 할당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공유오피스로는 위워크(WeWork)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예: 업무공간, 회의장)의 이용을 관리하기 위해 공유사무실 프론트데스크에 관리자(매니저)가 상주한다. 관리자는 멤버들과의 공간사용 계약을 관리하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멤버들의 업무공간 예약 및 각종 요청사항을 처리한다. 또한, 공유사무실의 멤버들이 업무미팅을 위해 초대한 외부인, 즉 게스트(guests)의 출입을 관리한다.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 예약이 이루어진 후에, 그 예약된 시간에 그 예약된 업무공간을 이용할 외부인이 나타났을 때에 관리자는 그 사람이 공유사무실 업무공간을 사용하기로 예약된 있는 사람(즉, '공유사무실 예약자')에 해당하는지 확인한 후에 그 게스트를 초대한 멤버를 호출하고 카드 키(card key)를 지급하는 등의 공간 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공유사무실의 다른 지점을 이용하는 업무공간 예약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이와 비슷한 프로세스를 거친다.
그러나, 통상적인 공유사무실 이용 방식은 이용자 편의, 관리비용, 바이러스 감염 관리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프론트데스크에 관리자가 상주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혹시라도 자리를 비우는 동안에 이용자가 나타나게 되면 이용자가 부득이하게 일정 시간동안 기다려야 하기에 서비스 만족도도 낮아진다. 또한, 관리자는 업무 특성상 게스트 체크인 및 체크아웃 과정에서 여러 외부 사람들과 접촉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전파의 허브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01239호(2019.01.04) "안면인식 정보를 이용한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 관리 시스템 및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 관리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91243호(2020.03.20) "IoT 기반의 공유 오피스 중앙 콘트롤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비대면 방식으로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공유사무실 업무공간 예약에 대응하여 공유사무실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과 공유사무실 이용 일정을 각 업무공간에 설치된 안전출입문에 저장해두었다가 그 업무공간에 입실 요청자가 나타나면 안전출입문에 설치된 카메라로 얻은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을 통해 해당 일정의 공유사무실 예약자인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 이용 방식을 비대면으로 구현할 뿐만 아니라 비대면 전환으로 인해 이용자 안전 관리에 공백이 나타나지 않도록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안전출입문에 장착하여 업무공간 내외의 여러 위험상황을 안전출입문 오픈 과정에서 기술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람들이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들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른 해결 과제가 이해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 별로 설치되어 있는 안전출입문을 이용하여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비대면으로 관리하기 위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은,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공유사무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 공유사무실 업무공간 제공을 위하여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와 업무공간에 설치된 안전출입문 간의 상호 연동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도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권한 확인 및 안전 확인을 수행하는 안전출입문(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는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특정 공유사무실에 대한 이용 일정과 업무공간 식별정보를 포함한 공유사무실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공유사무실 예약자 확인을 위한 증거 데이터를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로부터 공유사무실 예약 정보를 제공받아 업무공간 예약 처리를 수행하고, 업무공간 예약 처리에 배정된 특정 업무공간의 안전출입문(1000)을 식별하여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출입문(1000)은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업무공간의 예약 처리에 따른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해당 업무공간에 대한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카메라를 통해 입실 요청자로부터 트라이얼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출입문 오픈 요청 시간에 대응하는 이용 일정에 매칭된 증거 데이터와 트라이얼 데이터를 대비함으로써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한 권한 확인을 수행하고,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센서로 획득한 실내 환경 정보와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카메라로 획득한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에 관한 안전 확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증거 데이터는 공유사무실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트라이얼 데이터는 안전출입문(1000)의 카메라로 획득한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셀프카메라 사진의 촬영 디바이스와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가 설치된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 간의 동일성 여부에 기초하여 증거 데이터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는, 공유사무실 멤버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공유사무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멤버 에이전트부(3100); 공유사무실 게스트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게스트 초대에 대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게스트 에이전트부(3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멤버 에이전트부(3100)는 공유사무실 멤버의 스마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특정 공유사무실에 대한 이용 일정과 업무공간 식별정보를 포함한 공유사무실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공유사무실 예약에 대응하는 게스트 정보를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게스트 에이전트부(3200)는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의 공유사무실 예약안내 메세지에 대응하여 공유사무실 게스트 확인을 위한 증거 데이터를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전출입문(1000)은, 공유사무실 업무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해당 업무공간의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구분하는 도어 하우징(1100); 도어 하우징(1100)에 실내 방향으로 설치되어 실내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복합 센서 부재(1200); 도어 하우징(1100)에 실외 방향으로 설치되어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부재(1300); 복합 센서 부재(1200)의 실내 환경 정보와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확인 부재(1400);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외부통신 부재(1500); 외부통신 부재(1500)를 통해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로부터 업무공간 예약 처리에 따른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를 제공받아 내부 등록하는 출입 등록 부재(1600);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가 출입 등록 부재(1600)에 공유사무실 예약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출입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권한 확인 부재(1700); 출입문을 선택적으로 락킹하는 도어 개폐 부재(1800); 안전 확인 부재(1400)의 판단 결과와 권한 확인 부재(170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오픈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여 도어 개폐 부재(1800)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 부재(1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전출입문(1000)에서 복합 센서 부재(1200), 카메라 부재(1300), 안전 확인 부재(1400), 외부통신 부재(1500), 출입 등록 부재(1600), 권한 확인 부재(1700), 도어 개폐 부재(1800), 개폐 제어 부재(1900)가 도어 하우징(1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 부재(1300)는 제 1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해 기립 상태의 사람 얼굴에 대응하는 높이에 실외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고,복합 센서 부재(1200)는 제 2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도어 하우징(1100)에서 카메라 부재(1300)와는 비정렬된 위치에 실내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 부재(1300)는,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1310);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실외촬영 카메라(1320); 카메라 촬영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발광 부재(1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전 확인 부재(1400)는, 열화상 카메라(1310)에 의해 획득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감염 방지 부재(1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실내 공간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메탄가스 농도, 독성가스 농도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가스 감지 센서(1210); 실내 공간에 대한 화염 유무를 감지하는 화염 감지 센서(1220); 실내 공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1230); 실내 공간에 대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1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전 확인 부재(1400)는, 화염 감지 센서(122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고 온도 감지 센서(1230)에 의해 온도 증가가 감지되고 습도 감지 센서(1240)에 의해 습도 감소가 감지되고 가스 감지 센서(1210)에 의해 가스 농도 증가가 감지되는 경우에 실내 공간의 화재 발생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화재 방지 부재(1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센서 부재(1200)는,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1250); 도어 하우징(1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센서(1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전 확인 부재(1400)는, 진동 감지 센서(1250)에 의해 획득한 진동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감지 센서(1260)에 의해 획득한 소음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정상 문열림 시도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침입 방지 부재(14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유사무실 이용 방식, 특히 공유사무실 게스트의 예약 방문 처리와 다른 지점에 대한 업무공간 예약 처리를 비대면(untact)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대면 방식 전환을 통해 이용자 편의, 관리비용, 바이러스 감염 관리의 측면에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실 요청자의 체온을 확인하고 안전한 경우에만 출입문을 오픈해주므로 안티바이러스(anti-virus)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난폭한 행동을 하면서 그 공간에 들어가려는 경우에는 출입문을 오픈하지 않으므로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위험 상황을 미리 막을 수 있는(anti-threat)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서의 공유사무실 이용 과정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공유사무실 이용 예약이 이루어지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출입 등록 부재와 권한 확인 부재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안전 확인 부재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서의 공유사무실 이용 과정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 별로 설치되어 있는 안전출입문(1000)을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와 연동하여 사람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예: 스마트폰, 컴퓨터)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가 설치되어 있고 안전출입문(1000)에는 복합 센서와 카메라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안전출입문(1000),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는 서로 원격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들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공유사무실 업무공간의 사용 관리에 협조 동작한다. 안전출입문(1000)은 내부에 소형 컴퓨터를 내장하고 자체적으로 안면인식 등에 의해 오픈 또는 락킹(locking)을 통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안과 응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해당 업무공간의 관리에 대한 정보 업데이트와 로그 백업을 위해 안전출입문(1000)의 컴퓨터 시스템은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에는 일반적인 공유사무실 이용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S110)과 (S130)에서 공유사무실 관리자와 공유사무실 이용자 간에 대면 접촉이 일어나며, 그 과정이 반복되면서 공유사무실 관리자는 바이러스 전파의 허브가 될 위험이 있다. 반면, [도 2]의 (b)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사무실 이용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유사무실 예약 후에 공유사무실 관리자와의 대면 체크인 없이 해당 업무공간을 이용하고 대면 체크아웃 없이 그 공유사무실을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 방지를 위한 비접촉 공유사무실이용 환경을 제공하고 서비스 이용 절차를 간소화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은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공유사무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와, 공유사무실 업무공간 제공을 위하여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와 업무공간에 설치된 안전출입문 간의 상호 연동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와,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도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권한 확인 및 안전 확인을 수행하는 안전출입문(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는 공유사무실 이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공유사무실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공유사무실 예약 정보는 특정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에 대한 이용 일정과 그 이용하는 공간을 특정하는 업무공간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용자 에이전트부(300)는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브라우저가 공유사무실 예약 화면을 구성하는 데에 활용하는 코드), 앱(app)의 형태로 구현되며, 사용자 조작을 위한 메뉴 화면을 구현한다. 이용자 에이전트부(300)는 공유사무실 예약자 확인을 위한 증거 데이터(proof data)를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증거 데이터의 바람직한 일 예는 공유사무실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이다.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공유사무실 이용자와 안전출입문(1000) 사이에서 공유사무실 이용을 매개하는 구성요소이다.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서버 장치,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로부터 공유사무실 예약 정보를 제공받아 업무공간 예약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공유사무실 이용자가 지정한 이용 일정과 업무공간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그 업무공간(예: 위워크 종로점 33층 A 회의실)을 해당 공유사무실 예약에 배정한다. 그리고, 배정된 업무공간(예: 위워크 종로점 33층 A 회의실)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출입문(1000)을 식별하고(예: IP 주소), 해당 안전출입문(1000)으로 그 공유사무실 예약에 따른 이용 일정(예: 2021년 7월 4일 체크인, 2021년 7월 7일 체크아웃) 및 증거 데이터(예: 셀프카메라 사진)를 전송한다.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공유사무실 예약 관리를 위하여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예컨대 지점과 층 등에 따라 구분 관리하고 이들 업무공간의 유형과 사용가능 여부를 관리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2100),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에 대한 예약 현황을 관리하는 예약 데이터베이스(2200), 업무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출입문(1000)의 식별정보(예: IP 주소)를 업무공간 별로 관리하는 출입문 데이터베이스(2300)를 구비한다.
한편,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공유사무실 예약자가 제공한 증거 데이터가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거 데이터가 셀프카메라 사진인 경우를 예로 들면,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셀프카메라 사진의 촬영 디바이스와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가 설치된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 간의 동일성 여부에 기초하여 증거 데이터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사진을 부정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셀프카메라 사진이 촬영된 시간과 공유사무실 예약이 이루어진 시간과의 근접성 여부에 기초하여 증거 데이터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 역시 다른 사람의 사진을 부정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안전출입문(1000)은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해당 업무공간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기구물이다. 안전출입문(1000)은 업무공간 실내와 실외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여러 센서장치와 카메라를 구비한다. 또한, 안전출입문(1000)은 내부에 소형 컴퓨터를 내장하여 이들 센서장치와 카메라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안면인식이나 홍채인식, 지문인식, 사진매칭 등에 의해 오픈 또는 락킹을 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출입문(1000)은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해당 업무공간에 대해 예약이 들어온 경우에는 그 예약에 대한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예: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를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누군가 업무공간 입구에 도착하여 카드키를 접근시키는 등의 출입문 오픈 요청을 하면 안전출입문(1000)은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카메라를 통해 입실 요청자로부터 트라이얼 데이터(trial data)를 획득한다. 이러한 트라이얼 데이터의 바람직한 일 예는 업무공간 입구에 서있는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이다.
안전출입문(1000)은 그 출입문 오픈 요청이 들어온 시간에 대응하는 이용 일정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용 일정이 등록된 것이 없다면 출입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출입문 오픈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반대로, 이용 일정이 등록된 것이 있다면, 그 시간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증거 데이터를 로딩하고, 그 트라이얼 데이터와 증거 데이터를 대비한다. 증거 데이터와 트라이얼 데이터가 매칭되지 않으면 출입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출입문 오픈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반대로, 증거 데이터와 트라이얼 데이터가 매칭된다면(예: 동일 인물이라고 판단되면) 출입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안전출입문(1000)은 도어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에 관한 안전 확인을 수행한다. 이때, 출입 권한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안전 확인을 수행하지 않고, 출입 권한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안전 확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출입문(1000)은 센서와 카메라로 획득한 실내 환경 정보 및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공유사무실 이용 예약이 이루어지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공유사무실 이용 예약의 유형 중에서 회의실 예약 후 게스트를 초대하는 예를 가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 업무공간(회의실)에 입장하는 사람은 공유사무실 멤버와 외부 사람인 게스트이다. 그에 따라, 고객 에이전트부(3000)는 멤버 에이전트부(3100)와 게스트 에이전트부(3200)를 포함한다. 멤버 에이전트부(3100)는 공유사무실 멤버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공유사무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게스트 에이전트부(3200)는 멤버가 회의에 초대한 외부 사람인 게스트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게스트 초대에 대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공유사무실 멤버는 업무공간 예약을 위해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상에서 예약 절차를 수행하고 게스트 초대 입력을 한다. 멤버 에이전트부(3100)는 멤버의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특정 공유사무실에 대한 이용 일정과 업무공간 식별정보를 포함한 공유사무실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멤버 에이전트부(3100)는 공유사무실 예약에 대응하는 게스트 정보(예: 메일 주소, 전화번호 등)를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멤버 에이전트부(3100)가 이 업무공간 예약에 대한 증거 데이터로서 자신의 셀프카메라 사진을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공유사무실의 멤버들은 일반적으로 카드 키를 소지하고 있으므로 이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업무공간 예약 처리를 수행한 후에 게스트 에이전트부(3200)로 공유사무실 예약안내 메세지를 전송한다. 공유사무실 예약안내 메세지에는 회의 정보(예: 일정 정보, 회의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업무공간 입장을 위한 증거 데이터를 요청하는 내용도 포함될 수 있다.
게스트 에이전트부(3200)는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의 공유사무실 예약안내 메세지에 대응하여 공유사무실 게스트 확인을 위한 증거 데이터로서 스마트폰으로 자신의 얼굴을 찍어서 그 셀프카메라 사진을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공유사무실 업무공간 예약에 대응하여 이용 일정과 셀프카메라 사진을 그 예약된 회의실의 안전출입문(1000)으로 전송한다. 게스트의 셀프카메라 사진만 전송할 수도 있고, 구현 예에 따라서는 멤버의 셀프카메라 사진도 안전출입문(10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와 게스트 에이전트부(3200)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은 문자 메세지의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고, 카카오톡 등과 같은 SNS 앱에서 공유사무실에 할당된 대화 채널의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출입문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 업무공간을 이용하려는 사람에 대한 셀카 사진(셀프카메라 사진)이 안전출입문(1000)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업무공간 예약(등록)에 따른 출입 준비가 이루어졌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와의 대면 체크인 과정 없이 안전출입문(1000)이 자체적으로 출입 통제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가 없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출입문(1000)은 위험 요인을 판단하기 위한 복합센서를 사용하고, 얼굴 인식과 고열 및 마스크를 파악하기 위해 스테레오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출입문(1000)은 도어 하우징(1100), 복합 센서 부재(1200), 카메라 부재(1300), 안전 확인 부재(1400), 외부통신 부재(1500), 출입 등록 부재(1600), 권한 확인 부재(1700), 도어 개폐 부재(1800), 개폐 제어 부재(1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어 하우징(1100)은 공유사무실에서 특정 공간, 예컨대 업무공간, 피트니스 센터, 라커, 개별 업무공간, 회의장, 미팅룸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기구물이다.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출입문 개폐와 관련한 여러가지 위험 요인 판단을 위하여 실내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요소이다. 일 실시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실내 공간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메탄가스 농도, 독성가스 농도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가스 감지 센서(1210), 실내 공간에 대한 화염 유무를 감지하는 화염 감지 센서(1220), 실내 공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1230), 실내 공간에 대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1240),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1250), 도어 하우징(1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센서(1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센서 부재(1200)는 개별 부품이 산재되지 않고 단일의 모듈 내에 센서 부품이 탑재되어 있는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성능 유지 “G 안전출입문 제작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실내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복합 센서 부재(1200)는 도어 하우징(1100)에서 실내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부재(1300)는 도어 하우징(1100)에 실외 방향으로 설치되어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요소이다. 일 실시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카메라 부재(1300)는,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1310),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예: 얼굴 사진)를 획득하기 위한 실외촬영 카메라(1320), 카메라 촬영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발광 부재(1330), 원격지의 관리자나 AI 컴퓨터가 출입 희망자와 소통하기 위한 양방향 오디오 부재(1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부재(1300)는 개별 부품이 산재되지 않고 단일의 모듈(박스 장치) 내에 카메라 부품, LED, 마이크, 스피커 등이 탑재되어 있는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성능 유지 “G 안전출입문 제작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 하우징(1100) 전방에 위치해있는 사람에 대하여 체온과 얼굴 사진을 획득하기 위해 카메라 부재(1300)는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해 기립 상태의 사람 얼굴에 대응하는 높이에 실외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예: 장애인, 노약자)이 그 공간을 이용하려는 경우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에는 앉은 상태의 사람 얼굴에 대응하는 높이에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복합 센서 부재(1200)와 카메라 부재(1300)는 도어 하우징(1100)의 양 단면에서 상호 비정렬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이 정렬된 위치에 설치되거나 단일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출입문 외부에서 모듈을 강하게 타격하면 출입문을 관통하는 구멍이 생기게 되고, 그 구멍을 통해 손이나 장비를 집어넣어 문을 열 수 있으므로 보안에 큰 허점이 생긴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복합 센서 부재(1200)와 카메라 부재(1300)가 비정렬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출입문 외부에서 누군가가 카메라 부재(1300)를 타격하더라도 출입문이 관통되지 않으며, 반대쪽에 위치한 복합 센서 부재(1200)를 타격하는 공간도 확보되지 않으므로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안전 확인 부재(1400)는 복합 센서 부재(1200)의 실내 환경 정보와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출입문(1000)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안전 확인 부재(14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기술한다.
외부통신 부재(1500)는 네트워크(예: 인터넷, 무선랜, 이동통신망 등)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출입문(1000)은 외부통신 부재(1500)를 자체 구비한다.
출입 등록 부재(1600)는 공유사무실 예약 과정에서 공유사무실 예약자가 자신의 스마트 단말로 제공한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예: 얼굴 사진)를 외부통신 부재(1500)를 통해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로부터 제공받아 예컨대 안전출입문(1000) 내부의 컴퓨터 장치에 등록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출입문(1000)은 소형 컴퓨터(MCU)를 자체적으로 구비하는데, 출입 등록 부재(1600)도 이 소형 컴퓨터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한 확인 부재(1700)는 출입문 오픈 요청(예: 출입문에 설치된 오픈 버튼, 출입문 노브를 돌리는 조작, 카드키 접근 등)이 식별되는 경우에, 그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가 출입 등록 부재(1600)에 해당 기간의 공유사무실 예약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출입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트라이얼 데이터의 일 예로서 도어 하우징(1100)의 실외 방향으로 설치된 실외촬영 카메라(1320)가 촬영한 얼굴 사진을 들 수 있다. 개인 스마트폰에서 전용 앱(app)을 통해 사용 일정과 공간의 종류를 선택한 후 셀카 사진만 보내면, 별다른 체크인 절차 없이 그 공간(예: 업무공간)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체크아웃은 예약 스케줄에 의한 자동 체크아웃 또는 스마트폰 앱을 통한 체크아웃이 가능하다.
도어 개폐 부재(1800)는 출입문을 선택적으로 락킹하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전자 개폐 장치(magnetic switch)로 구현할 수 있다.
개폐 제어 부재(1900)는 안전 확인 부재(1400)의 판단 결과와 권한 확인 부재(170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안전출입문(1000)의 오픈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여 도어 개폐 부재(1800)를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안전 확인 부재(1400)에 의해 특별한 위험 요인이 발견되지 않아 안전출입문(1000)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이라고 판단되고, 권한 확인 부재(1700)에 의해 현재 안전출입문(1000) 앞에 있는 사람이 해당 시간에 대한 정당한 공유사무실 예약자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개폐 제어 부재(1900)는 도어 개폐 부재(1800)를 제어하여 안전출입문(1000)이 오픈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안전출입문(1000)을 구성하는 복합 센서 부재(1200), 카메라 부재(1300), 안전 확인 부재(1400), 외부통신 부재(1500), 출입 등록 부재(1600), 권한 확인 부재(1700), 도어 개폐 부재(1800), 개폐 제어 부재(1900)가 도어 하우징(1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지연을 제거함으로써 안전출입문(1000)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고, 해킹 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인 설비에 출입문만 교체하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공유사무실에 적용하기 위한 비용도 낮출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출입 등록 부재(1600)와 권한 확인 부재(1700)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이용하려는 사람은 자신의 스마트 단말에 구현된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 상에서 예약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자신의 셀카 사진을 전송한다. 이 셀카 사진은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를 매개하여 외부통신 부재(1500)를 통해 출입 등록 부재(1600)로 전달된다. 출입 등록 부재(1600)는 이 셀카 사진을 그 공유사무실 예약자에 대한 증거 데이터로서 내부에 등록 관리한다. 이때, 증거 데이터와 이용 일정을 보관하는 증거 데이터베이스(1610)과 일정 데이터베이스(1620)는 안전출입문(1000) 내부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그 예약한 바에 따라 해당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이용하려는 사람은 그 예약한 업무공간 앞에 도착하여 출입문 오픈을 요청한다. 공유사무실 예약 과정에서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가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로 업무공간 정보(예: 위워크 종로점 33층 A 회의실)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안전출입문(1000)의 카메라 부재(1300)는 입실 요청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트라이얼 데이터를 획득하며, 권한 확인 부재(1700)는 이 트라이얼 데이터가 공유사무실 예약자의 증거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그 예약된 일정을 고려한다.
만일 등록되어 있다면, 권한 확인 부재(1700)는 입실 요청자가 출입 권한이 있다고 판단한다. 반면, 만일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권한 확인 부재(1700)는 입실 요청자가 출입 권한이 없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셀카 사진 전송만으로 공간 사용을 예약할 수 있으므로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의 사용 관리에 있어서 관리자 접촉이 불필요하며, 관리자가 바이러스 유포의 허브 역할을 하게될 위험도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문제점이었던 사실상의 불법적 출입이었던 하나의 인증(예약)으로 두 사람이 해당 업무공간을 출입하는 경우를 제거할 수 있어 안티패스백(anti-passback)이 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증거 데이터와 트라이얼 데이터가 생체 정보, 예컨대 얼굴 사진, 홍채 사진, 지문 사진인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구현 방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분증 사진이나 자신이 간직하고 다니는 물건(예: 도장, 인형, 가방)의 사진이나 반려동물의 얼굴 혹은 발 사진을 포함하는 방식도 배제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안전 확인 부재(1400)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안전 확인 부재(1400)는 복합 센서 부재(1200)의 실내 환경 정보와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안전출입문(1000)에 복합센서, 얼굴인식 및 체온 감지 카메라를 탑재하여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문열림을 차단하며, 외부로부터 비정상적인 문열림 시도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안전 확인 부재(1400)가 식별하는 비정상 상황으로는 입실 요청자가 고열인 경우(예: 37.5도 이상), 실내 화재 등으로 온도가 급상승하는 경우, 실내에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실내에 가스 누출 등이 발생한 경우, 비정상 개문시도(예: 드릴 작동, 드라이버 끼움, 문고리 강제 개방, 돌맹이 투척 등)가 감지되는 경우, 비정상 방향의 문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등이다. 이중에서 비정상 방향의 문열림은 본 발명자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5162호 "비정상 문열림 감지 방법"에서 다루어졌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 확인 부재(1400)는 감염 방지 부재(1410), 화재 방지 부재(1420), 침입 방지 부재(1430)를 구비한다.
감염 방지 부재(1410)는 열화상 카메라(1310)에 의해 획득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예: 37.5도) 이상인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실내 공간이 바이러스 감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종래의 일반 출입문의 경우에는 관리자가 주의깊게 관찰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강 이상자도 별다른 제재 없이 출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고열이 발생한 출입자를 감지하여 문열림을 차단한다. 추가로, 행정 명령에 따라 마스크 착용이 강제되는 경우에, 감염 방지 부재(1410)는 실외촬영 카메라(1320)의 촬영 영상으로부터 입실 요청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경우에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화재 방지 부재(1420)는 화염 감지 센서(1220)에 의해 실내에 불꽃이 감지되고 온도 감지 센서(1230)에 의해 온도 증가가 감지되고 습도 감지 센서(1240)에 의해 습도 감소가 감지되고 가스 감지 센서(1210)에 의해 가스 농도 증가가 감지되는 경우에 실내 공간의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급격한 산소 공급에 의해 폭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백드래프트 현상)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종래의 일반 출입문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출입구를 열고 들어오려는 사람은 내부 화재 상황을 알 수 없었기에 백드래프트에 의한 폭발 사고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었다.
침입 방지 부재(1430)는 진동 감지 센서(1250)에 의해 획득한 진동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감지 센서(1260)에 의해 획득한 소음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정상 문열림 시도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비정상적인 문열림 시도를 진동 감지 센서(1250)와 소음 감지 센서(1260)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이다. 이때,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평소에 자주 감지되는 소리 또는 진동은 무시하고, 비정상적인 문열림 시도에서 발생하는 소리 또는 진동을 선별적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정상적인 문열림 시도로는 누군가 안에 있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돌멩이를 던지는 행동, 손잡이를 억지로 돌리거나 밀거나 당기는 행동, 특정 도구(드릴, 드라이버)로 문을 따려고 하는 행동을 들 수 있다. 비정상적인 문열림 시도에 적절히 대응하지 않아 출입문이 열려버리게 되면 문이 열리자 마자 총격, 방화, 흉기에 의한 공격이 일어날 수도 있고 경찰과 경비가 출동하기 전에 도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상 사용자가 위험에 빠질 수 있어 문이 열리지 않도록 전자 개폐 장치를 강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안전 확인 부재(1400)는 비명이나 폭발 등의 큰 소리, 아무도 없는 상황에서의 조명 켜짐(불법침입), 기준치 이상의 유해가스(예: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 농도, 가스 누출 등을 감지하여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는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0 : 안전출입문
1100 : 도어 하우징 1200 : 복합 센서 부재
1210 : 가스 감지 센서 1220 : 화염 감지 센서
1230 : 온도 감지 센서 1240 : 습도 감지 센서
1250 : 진동 감지 센서 1260 : 소음 감지 센서
1300 : 카메라 부재
1310 : 열화상 카메라 1320 : 실외촬영 카메라
1330 : 발광 부재 1340 : 양방향 오디오 부재
1400 : 안전 확인 부재
1410 : 감염 방지 부재 1420 : 화재 방지 부재
1430 : 침입 방지 부재
1500 : 외부통신 부재 1600 : 출입 등록 부재
1610 : 증거 데이터베이스 1620 : 일정 데이터베이스
1700 : 권한 확인 부재 1800 : 도어 개폐 부재
1900 : 개폐 제어 부재
2000 :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
2100 : 공간 데이터베이스 2200 : 예약 데이터베이스
2300 : 출입문 데이터베이스
3000 : 이용자 에이전트부
3100 : 멤버 에이전트부 3200 : 게스트 에이전트부

Claims (9)

  1.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 별로 설치되어 있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하여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을 비대면으로 관리하기 위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으로서,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공유사무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
    공유사무실 업무공간 제공을 위하여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와 업무공간에 설치된 안전출입문 간의 상호 연동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
    공유사무실의 업무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도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권한 확인 및 안전 확인을 수행하는 안전출입문(10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는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특정 공유사무실에 대한 이용 일정과 업무공간 식별정보를 포함한 공유사무실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공유사무실 예약자 확인을 위한 증거 데이터를 상기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상기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로부터 상기 공유사무실 예약 정보를 제공받아 업무공간 예약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업무공간 예약 처리에 배정된 특정 업무공간의 안전출입문(1000)을 식별하여 상기 이용 일정 및 상기 증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전출입문(1000)은 상기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업무공간의 예약 처리에 따른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해당 업무공간에 대한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실 요청자로부터 트라이얼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출입문 오픈 요청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이용 일정에 매칭된 증거 데이터와 상기 트라이얼 데이터를 대비함으로써 상기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한 권한 확인을 수행하고,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센서로 획득한 실내 환경 정보와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에 관한 안전 확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거 데이터는 공유사무실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라이얼 데이터는 상기 안전출입문(1000)의 카메라로 획득한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는 상기 셀프카메라 사진의 촬영 디바이스와 상기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가 설치된 공유사무실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 간의 동일성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증거 데이터의 적합성을 검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에이전트부(3000)는,
    공유사무실 멤버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공유사무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멤버 에이전트부(3100);
    공유사무실 게스트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게스트 초대에 대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게스트 에이전트부(3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멤버 에이전트부(3100)는 공유사무실 멤버의 스마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특정 공유사무실에 대한 이용 일정과 업무공간 식별정보를 포함한 공유사무실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공유사무실 예약에 대응하는 게스트 정보를 상기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부(3200)는 상기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의 공유사무실 예약안내 메세지에 대응하여 공유사무실 게스트 확인을 위한 증거 데이터를 상기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출입문(1000)은,
    공유사무실 업무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해당 업무공간의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구분하는 도어 하우징(1100);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 실내 방향으로 설치되어 실내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복합 센서 부재(1200);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 실외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부재(1300);
    상기 복합 센서 부재(1200)의 실내 환경 정보와 상기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확인 부재(1400);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외부통신 부재(1500);
    상기 외부통신 부재(1500)를 통해 상기 공유사무실 관리 서버(2000)로부터 업무공간 예약 처리에 따른 상기 이용 일정 및 상기 증거 데이터를 제공받아 내부 등록하는 출입 등록 부재(1600);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가 상기 출입 등록 부재(1600)에 공유사무실 예약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출입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권한 확인 부재(1700);
    출입문을 선택적으로 락킹하는 도어 개폐 부재(1800);
    상기 안전 확인 부재(1400)의 판단 결과와 상기 권한 확인 부재(170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오픈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개폐 부재(1800)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 부재(19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 센서 부재(1200), 카메라 부재(1300), 안전 확인 부재(1400), 외부통신 부재(1500), 출입 등록 부재(1600), 권한 확인 부재(1700), 도어 개폐 부재(1800), 개폐 제어 부재(1900)가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부재(1300)는 제 1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해 기립 상태의 사람 얼굴에 대응하는 높이에 실외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제 2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서 상기 카메라 부재(1300)와는 비정렬된 위치에 실내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부재(1300)는,
    상기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1310);
    상기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실외촬영 카메라(1320);
    카메라 촬영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발광 부재(13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 확인 부재(1400)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310)에 의해 획득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감염 방지 부재(14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실내 공간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메탄가스 농도, 독성가스 농도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가스 감지 센서(1210);
    실내 공간에 대한 화염 유무를 감지하는 화염 감지 센서(1220);
    실내 공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1230);
    실내 공간에 대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1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 확인 부재(1400)는,
    상기 화염 감지 센서(122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1230)에 의해 온도 증가가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40)에 의해 습도 감소가 감지되고 상기 가스 감지 센서(1210)에 의해 가스 농도 증가가 감지되는 경우에 실내 공간의 화재 발생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화재 방지 부재(14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1250);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센서(12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 확인 부재(1400)는,
    상기 진동 감지 센서(1250)에 의해 획득한 진동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소음 감지 센서(1260)에 의해 획득한 소음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정상 문열림 시도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침입 방지 부재(14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KR1020210083566A 2021-06-28 2021-06-28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KR20230001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566A KR20230001087A (ko) 2021-06-28 2021-06-28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JP2021124581A JP7148184B1 (ja) 2021-06-28 2021-07-29 複合センサ及びカメラ一体型安全ドアを利用した非対面のコワーキングスペース管理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566A KR20230001087A (ko) 2021-06-28 2021-06-28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87A true KR20230001087A (ko) 2023-01-04

Family

ID=8350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566A KR20230001087A (ko) 2021-06-28 2021-06-28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148184B1 (ko)
KR (1) KR202300010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40761B (zh) * 2023-05-24 2024-06-18 国家电网有限公司华东分部 互感器的异常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39A (ko)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에스티씨 안면인식 정보를 이용한 호텔 객실 관리 시스템 및 호텔 객실 관리 방법
KR102091243B1 (ko) 2019-10-29 2020-03-20 박철파 IoT 기반의 공유 오피스 중앙 콘트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201665A (ja) * 2019-06-07 2020-12-1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設利用管理方法
WO2021106737A1 (ja) * 2019-11-26 2021-06-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間演出方法、プログラム、及び空間演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39A (ko)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에스티씨 안면인식 정보를 이용한 호텔 객실 관리 시스템 및 호텔 객실 관리 방법
KR102091243B1 (ko) 2019-10-29 2020-03-20 박철파 IoT 기반의 공유 오피스 중앙 콘트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48184B1 (ja) 2022-10-05
JP2023007266A (ja)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9148B2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制御方法
US11236525B2 (en) Door locking device and a smart door apparatus
US7689834B2 (en) Personal authentication apparatus
CN107408316A (zh) 门和住宅安全系统以及方法
US10944940B1 (en) Intercom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KR20190138638A (ko) 무선 및 안면 인식을 갖는 액세스 제어 시스템
CN108946348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电梯控制方法
EP3142079B1 (en) Identity assurance
CN111784889A (zh) 一种门禁管理系统
KR20230001087A (ko)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공유사무실 관리 시스템
JP6554409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200060094A (ko) 출입문 보안 관리시스템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2632839B1 (ko)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KR102124164B1 (ko) 출입자 감시기능을 갖는 중문 시스템
JP2017208751A (ja) 来訪者認証・判定システム
KR20110094927A (ko) 통합보안 구축 운용 관리시스템
KR20220170014A (ko)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
TW201800652A (zh) 具有自動解鎖功能的門禁系統及其解鎖方法
JP2020186572A (ja) 建物の施解錠制御システム
KR102018886B1 (ko)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21644Y1 (ko) 실시간 얼굴 인식을 통한 출입통제 및 방문자 기록 시스템
KR200418791Y1 (ko) 전자키를 이용한 티씨피 아이피 기반의 지능형 출입 관리시스템
JP2022063783A (ja) 制御システム、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入退管理システム、顔認証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38880A (ko)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